KR101641555B1 -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 - Google Patents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555B1
KR101641555B1 KR1020150014209A KR20150014209A KR101641555B1 KR 101641555 B1 KR101641555 B1 KR 101641555B1 KR 1020150014209 A KR1020150014209 A KR 1020150014209A KR 20150014209 A KR20150014209 A KR 20150014209A KR 101641555 B1 KR101641555 B1 KR 101641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ece
binding band
fasten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961A (ko
Inventor
이태원
이우재
Original Assignee
이태원
이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원, 이우재 filed Critical 이태원
Priority to KR1020150014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55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벽체(1)의 개구부(3)상에 고정되며, 추락방망(5)의 결속띠(7)를 지지하는 결속띠수용부(11)가 벽체(1)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편(10); 상기 지지편(10) 단부에 “L”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벽체(1) 내측면에 고정되며, 결속띠(7)를 구속하는 결속띠고정부(21)가 구비되는 고정편(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추락방망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이 설치가 건물의 내측에서 이루어지므로써 설치 및 해체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정이 간소화되고, 고정브라켓의 해체 없이 안전난간 및 창틀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준비시점부터 완료시점까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FIXING BRAKET FOR CONSTRUCTION PROTECTIVE NET}
본 발명은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브라켓의 설치가 건물 내측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시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고, 고정브라켓의 해체 없이 안전난간 및 창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용으로 사용되는 추락방망은 주로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창호나 난간이 설치되는 건물 벽면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기물의 낙하나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사고를 방지해주는 것이나, 창호 또는 안전난간의 설치 시점에서 작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제거되므로 안전확보라는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추락방망을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게 시공하여 창호나 안전난간의 설치공간이 확보되는 방식을 사용해 왔으며,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4857호는, 그 일례로서 추락방망이 앵커세트볼트에 의해 건물에 부착되는 가드고정구를 이용해 고정됨으로써 설치구조가 간소화되고, 시공이 완료된 추락방망이 견인기에 의해 장력조절되어 처짐이나 변형이 방지되는 수직형 추락방망 설치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방망을 고정하는 가드고정구가 창호나 난간의 설치공간 확보를 위해 건물 외부에 설치되므로, 특히 고층건물의 경우 설치 및 해체작업의 위험도가 높아 별도의 안전설비가 필요해지는 모순된 상황이 초래되며, 설치된 창호나 난간에 가로막혀 건물 내부에서는 가드고정구 해체작업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프트카나 사다리차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더라도 작업위치의 신속한 변경이 곤란하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떨어지고 작업소요시간이 증가되어 공사기간 단축효과가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 고정브라켓의 설치가 건물 내측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시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고, 고정브라켓의 해체 없이 안전난간 및 창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1)의 개구부(3)상에 고정되며, 추락방망(5)의 결속띠(7)를 지지하는 결속띠수용부(11)가 벽체(1)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편(10); 상기 지지편(10) 단부에 “L”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벽체(1) 내측면에 고정되며, 결속띠(7)를 구속하는 결속띠고정부(21)가 구비되는 고정편(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편(10) 및 고정편(20)은 양측단부에 절곡 형태로 각각 보강살(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편(10)은 길이방향으로 돌출 조절되는 확장플레이트(19)가 구비되어 결속띠수용부(11)의 위치를 선택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띠고정부(21)는 결속띠(7)가 끼움고정되도록 이격배치되는 다수의 절개홈(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띠고정부(21)는 결속띠(7)의 장력조절을 위한 권취부재(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추락방망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이 설치가 건물의 내측에서 이루어지므로써 설치 및 해체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정이 간소화되고, 고정브라켓의 해체 없이 안전난간 및 창틀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준비시점부터 완료시점까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난간 및 창틀 설치 후 고정브라켓 및 추락방망을 건물의 내측에서 해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이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의 결속띠수용부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에 보강살이 구비된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에 확장플레이트가 구비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에 관련되며, 이때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은, 고정브라켓의 설치가 건물 내측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시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고, 고정브라켓의 해체 없이 안전난간 및 창틀을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편(10)과 고정편(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편(10)은 건물의 시공과정에서 창호나 난간,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와 같이 추락사고의 우려가 높은 건물 벽체(1)의 개구부(3) 상에 시공되어 추락방망(5)을 고정시켜주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단부가 벽체(1)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벽체(1)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지지편(10)의 단부에 추락방망(5)이 설치되는 것으로 개구부(3) 상에 창호나 난간의 설치공간이 확보된다. 이때 지지편(10)은 벽체(1)의 개구부(3) 상의 내측벽면을 따라 밀착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추락방망(5)에 연결되어 개구부(3) 상에 다수개가 설치되어지되, 상,하측에 위치되는 지지편(10)은 개구부(3)의 상,하 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편(10)에 연결되는 추락방망(5)의 양측에는 벽체(1)의 개구부(3) 둘레와 접하도록 벨트나 로프, 밴드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결속띠(7)가 형성되며, 각각의 결속띠(7)가 지지편(10)에 형성되는 결속띠수용부(11)의 관통공(11a)에 인입되는 방식으로 추락방망(5)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인입된 결속띠(7)는 지지편(10) 및 고정편(20)을 거쳐 고정편(20)의 단부측에 절곡 형성된 결속띠고정부(21)에 의해 구속되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상기 결속띠수용부(11)는 도 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관통공(11a)을 서로 이격되게 반복 형성하는 것을 통해 결속띠(7)의 삽입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결속띠(7)가 상기 결속띠수용부(11)의 관통공(11a)에 연속 통과되도록 배치하는 것으로 접촉 마찰력을 높여 추락방망(5)의 고정성을 높이고 장력 저하가 방지되도록 구조를 개선할 수도 있다.
한편, 고정편(20)은 상기 지지편(10)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벽체(1)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결속띠(7)를 고정하는 결속띠고정부(21)를 포함한다. 이때 결속띠고정부(21)는 도 1에서와 같이 고정편(20)의 단부측에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고정편(20)은 벽체(1)의 표면에 고정작업을 위한 통공(20a)이 형성되어 나사와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을 이용해 벽체(1)에 고정되고, 지지편(10)에도 동일한 통공(20a)이 형성되며, 신속하고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시공이 이루어지는 벽체(1) 내부에는 앙카볼트를 매립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앙카볼트와 대응되는 고정편(20)의 통공(20a)은 앙카볼트의 위치에 자유로이 대응될 수 있도록 장공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편(20)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10)의 단부에 “L”자 형태로 절곡 연장형성되고, 이러한 형태로 된 고정브라켓은 벽체(1)의 개구부(3) 내측 모서리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고정브라켓의 절곡형태는 벽체(1)의 단면형태에 따라 직각 또는 경사형상이나 굴곡면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벽체(1)의 개구부(3)에 설치되는 안전난간이나 창틀은 설치시 수평유지를 위해 그 하부에 수평조절부재를 구비하게 되므로 개구부(3)의 벽면과 이격 유지되고, 설치후 고정마감 작업을 위해 양측부 및 상부도 각각 이격 유지된다. 이러한 설치 구조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편(10) 및 고정편(20)을 도 2에서와 같이 벽체(1)의 개구부(3)에 설치하게 되면, 안전난간이나 창틀과 벽체(1)의 개구부(3) 벽면 사이에 형성되어져야 할 이격공간 내에 지지편(10)이 위치하게 되므로 지지편(10) 및 고정편(20)으로 구성되는 고정브라켓을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난간이나 창틀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준비시점부터 완료시점까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난간이나 창틀 설치 후 벽체(1)의 내측에서 일측 고정브라켓에 연결고정된 결속띠(7)를 분리한 다음, 양측 고정브라켓을 벽체(1)에서 해체하면 분리작업이 완료되므로 안전한 철거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편(10) 및 고정편(20)은 금속재 또는 강화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의 제작이 가능하며, 지지편(10) 및 고정편(20)의 양측 단부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살(13)이 각각 형성되어 추락방망(5)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변형을 방지해주게 된다. 상기 보강살(13)은 내구성 강화를 위해 지지편(10) 및 고정편(20)의 표면과 경사지는 형태로, 특히 도면에서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직교하는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실시예와 같이 폭방향 양단부를 절곡하거나 별도의 보강부재를 용접 또는 끼움결합하는 방식으로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추락방망(5)의 장력이 약하면 표면에 접촉이 발생했을 때, 처짐이 나타나고 처짐부위로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의 우려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고정편(20)에는 상술한 추락방망(5)의 결속띠(7)를 당겨 장력이 최대한 확보된 상태로 고정시켜주는 결속띠고정부(21)가 형성된다. 상기 결속띠고정부(21)가 지지편(10)의 결속띠수용부(11)를 통과한 결속띠(7)를 구속해주므로 추락방망(5)의 장력이 약화되거나 의도치 않게 해제되어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또한, 결속띠고정부(21)가 구비됨에 따라 추락방망(5)의 장력을 높이기 위해 결속띠(7)를 당겨주는 작업이 최초 시공단계에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현장 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추락방망(5)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결속띠고정부(21)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띠(7)가 끼움고정되도록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절개홈(23)으로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결속띠(7)와 결속띠고정부(21)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지지편(10)의 결속띠수용부(11)를 통과한 결속띠(7)는 이격배치된 절개홈(23)을 교대로 지나며 접촉면적을 넓히게 되며, 절개홈(23)을 지난 결속띠(7)의 단부가 상술한 결속띠고정부(21)를 감싸며 절개홈(23)중 어느 하나에 다시 끼워지는 것으로 위치고정이 완료된다. 이때 각각의 절개홈(23)은 결속띠(7)가 반복투입될 수 있도록 결속띠(7)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되며, 삽입된 결속띠(7)가 미끄러져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표면에 고무나 합성수지 코팅을 실시하여 마찰력을 개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4는 결속띠고정부(2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결속띠고정부(21)에는 결속띠(7)의 장력조절을 위한 권취부재(25)가 추가로 구비된다. 권취부재(25)는 도시된 것처럼, 고정편(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봉이나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결속띠(7)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홈이나 관통공 형상으로 수납공(25a)이 절개가공된다. 지지편(10)의 결속띠수용부(11)를 통과한 결속띠(7)가 상기 수납공(25a)에 삽입된 상태에서 권취부재(25)가 회전되면 결합된 결속띠(7)가 당겨져 추락방망(5)의 장력이 개선된다. 권취부재(25)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추락방망(5)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권취부재(25)를 이용해 장력의 간편한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변형이나 파손의 우려가 감소되어 추락방망설치구의 내구성이 개선되고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권취부재(25)에는 회전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도시된 실시예의 래칫 구조나 걸림핀과 같은 역회전 방지구(26)가 구비되어 추락방망(5)의 복원력에 의해 감겨진 결속띠(7)가 풀려지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참고로, 상기 결속띠고정부(21)를 구성하는 절개홈(23)이나 권취부재(25)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생산단가나 사용의 편의성 면에서 장단점이 있는 기술이므로,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벽체(1)의 개구부(3) 양측 모두에 절개홈(23)이 형성된 결속띠고정부(21)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권취부재(25)가 형성된 결속띠고정부(21)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일측에는 절개홈(23)이 형성된 결속띠고정부(21)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권취부재(25)가 형성된 결속띠고정부(21)를 구비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띠고정부(21)를 통과한 결속띠(7)는 통상 그 단부를 결속띠(7) 상에 재봉하여 고정하거나, 다른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하는 과정이 필요로 하였으나, 상기한 구조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결속띠고정부(21)에 고정되는 결속띠(7)는 별도의 재봉이나 고정작업 없이 절개홈(23)이나 권취부재(25)의 수납공(25a)에 삽입된 상태로 감겨진 결속띠(7)의 마찰력만으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고정 및 해체와 구조변경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지지편(10)은 길이조절되도록 확장플레이트(19)가 구비되어 결속띠수용부(11)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확장플레이트(19)를 살펴보면, 상기 확장플레이트(19)는 지지편(10)의 길이를 확장하여 다양한 두께의 벽체(1)의 개구부(3)에 용이하게 적용가능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절첩식 또는 슬라이드방식처럼 지지편(1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조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지지편(10)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확장플레이트(19)가 별도 부재로 제작되어 홈과 돌기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해 지지편(10)에 부착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확장플레이트(19)의 단부에는 추락방망(5)의 결속띠(7)가 부착되도록 결속띠수용부(11)가 형성되며, 결속띠(7)의 고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살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10 : 지지편 11 : 결속띠수용부
20 : 고정편 21 : 결속띠고정부

Claims (5)

  1. 벽체(1)의 개구부(3)상에 고정되는 지지편(10)은, 그 일측 단부가 벽체(1)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벽체(1)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10) 단부에는 추락방망(5)의 결속띠(7)를 지지하는 결속띠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10)과 L자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벽체(1)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편(20)은, 그 일측 단부에 결속띠(7)를 구속하도록 결속띠고정부(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0) 및 고정편(20)은 양측단부에 절곡 형태로 각각 보강살(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0)은 길이방향으로 돌출 조절되는 확장플레이트(19)가 구비되어 결속띠수용부(11)의 위치를 선택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띠고정부(21)는 결속띠(7)가 끼움고정되도록 이격배치되는 다수의 절개홈(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띠고정부(21)는 결속띠(7)의 장력조절을 위한 권취부재(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
KR1020150014209A 2015-01-29 2015-01-29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 KR101641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209A KR101641555B1 (ko) 2015-01-29 2015-01-29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209A KR101641555B1 (ko) 2015-01-29 2015-01-29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961A KR20150022961A (ko) 2015-03-04
KR101641555B1 true KR101641555B1 (ko) 2016-07-21

Family

ID=53020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209A KR101641555B1 (ko) 2015-01-29 2015-01-29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03523A (zh) * 2017-08-30 2017-12-22 云南工程建设总承包公司 一种工具式临边或洞口防护装置
KR102049470B1 (ko) * 2017-12-22 2019-11-27 정용기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CN112663932A (zh) * 2020-12-06 2021-04-16 宿迁市高速铁路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施工用外墙防护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90Y1 (ko) * 2012-02-03 2013-10-23 김진곤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471Y1 (ko) * 1998-09-11 2001-08-07 이상식 벽체 부착용 안전난간 클램프
KR101270731B1 (ko) * 2010-01-18 2013-06-03 김성식 수직 보호망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90Y1 (ko) * 2012-02-03 2013-10-23 김진곤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961A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555B1 (ko) 건설용 추락방망 고정브라켓
AU2006230672B1 (en) A Panel
CN111719846B (zh) 用于将物体保持在模板面板上的保持器
KR20120008002U (ko) 건축물의 외벽 난간에 설치되는 안전도어가 구비된 비계
DE102015108782B4 (de) Fahrzeugaufbau, insbesondere für Nutzfahrzeuge, Nutzfahrzeug mit einem solchen Fahrzeugaufbau und Herstellungsverfahren
KR20190022287A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US20130069027A1 (en) Safety Barrier
KR101879679B1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101947515B1 (ko) 추락방망 고정장치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102049470B1 (ko)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KR20120008001U (ko) 상하로 개폐되는 안전도어가 설치된 비계
KR20080001844U (ko) 엘리베이터 홀의 보호망 설치구
JP5940957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柵
KR102061877B1 (ko) 건축 공사를 위한 안전 난간 구조물 시공 방법
KR20160002284U (ko) 안전 난간
US692575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fastening a latch mechanism in a vehicle door
KR101435528B1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장치
KR200339868Y1 (ko)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KR200471957Y1 (ko) 시공이 용이한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KR102342968B1 (ko) 발끝막이판
JPH0828546A (ja) 回転ヒンジ
JP3111227U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における親綱取り付け装置
KR101346725B1 (ko)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KR20190066644A (ko)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보호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