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509B1 - 아글리콘인 ppd 및/또는 pp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글리콘인 ppd 및/또는 pp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509B1
KR101641509B1 KR1020150010821A KR20150010821A KR101641509B1 KR 101641509 B1 KR101641509 B1 KR 101641509B1 KR 1020150010821 A KR1020150010821 A KR 1020150010821A KR 20150010821 A KR20150010821 A KR 20150010821A KR 101641509 B1 KR101641509 B1 KR 101641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muscle
treating
enzyme
w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응
배현아
정승경
정혜인
조미나
양현봉
정경훈
허병석
Original Assignee
샘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샘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샘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23L1/3002
    • A23L1/3004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아글리콘(aglycone)인 PPD(20(S)-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및 PPT(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및 아글리콘인 PPD 및 PPT 중 하나 이상의 함량이 증진된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인삼은 효소로 생물전환된 것인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불안 장애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글리콘인 PPD 및/또는 PP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ANTI-STRESS CONTAINING AGLYCONE PPD AND/OR PPT}
본 명세서에는 아글리콘(aglycone)인 PPD(20(S)-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및 PPT(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및 아글리콘인 PPD 및 PPT 중 하나 이상의 함량이 증진된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인삼은 효소로 생물전환된 것인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스트레스는 모두에게 공통되고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스트레스에 대한 노출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hypothalamo-pituitary-adrenal(HPA) axis)의 활성에 의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방출을 야기하고 이는 면역 세포를 조절하며 나아가 사이토카인 생성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이토카인 중에서, 염증전 사이토카인 인터루킨(IL)-6과 종양 괴사 인자(TNF)-α는 스트레스에 의해 촉진되고 방어 시스템에 관여된다.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실패는 불안, 우울증, 심혈관 장애, 중추 신경계의 신경 세포의 퇴화 및 만성 피로 증후군을 포함하는 심리적 및 면역 질환을 유발한다(Papadopoulos, A. S., Cleare, A. J. 2012.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dysfunction in chronic fatigue syndrome. Nat Rev Endocrinol 8, 22-32.; Steptoe, A., Kivimaki, M. 2012. Stress and cardiovascular disease. Nat Rev Cardiol 9, 360-370.).
두릅나무과 Panax ginseng C.A. Meyer의 뿌리인 인삼은 전통적으로 다양한 질환의 치료를 위해 이용되어 왔다. 대표적인 구성 성분은 프로토파낙사디올, 예컨대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및 Rd와 프로토파낙사트리올, 예컨대 진세노사이드 Re 및 Rg1으로 분류되는 담마레인(dammarane)계 진세노사이드이다. 이러한 진세노사이드는 소염, 항알러지, 항암 활성 등의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갖는 것이 보고되어 왔다.
경구 투여된 진세노사이드는 혈액 내로 흡수되기 전에 소화관 미생물에 의해 컴파운드 K(20-O-β-D-글루코피래노실-20(S)-프로토파낙사디올)/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진세노사이드 Rh1/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로 각각 대사되고, 이 대사산물은 위장관으로부터 혈액으로 흡수된다. 이 대사산물은 인삼이 나타내는 다양한 항암, 항당뇨, 소염 등의 약학적 활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인삼의 약학적 효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대사산물의 생물학적 활성이 연구되어야 한다. 그러나, 진세노사이드 대사산물,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의 약학적 활성은 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51883호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아글리콘인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아글리콘인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 중 하나 이상의 함량이 극대화된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인삼은 효소로 생물전환된 것인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아글리콘(aglycone)인 20(S)-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아글리콘(aglycone)인 20(S)-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중 하나 이상의 함량이 증진된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인삼은 효소로 생물전환된 것인,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생체, 건체, 분말, 추출물 및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산삼배양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아글리콘인 20(S)-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0.1 내지 3.0 (mg/g)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0.1 내지 2.5 (mg/g)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아글리콘인 20(S)-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0.5 내지 2.5 (mg/g)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0.5 내지 2.0 (mg/g)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셀룰라아제, 헤미셀룰라아제, 락타아제, 베타글루코시다아제 및 나린지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 처리가 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에 셀룰라아제 및 헤미셀룰라아제 중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처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인삼에 락타아제를 처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인삼에 인삼에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처리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를 거친 인삼에 나린지나제를 처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는 pH 조건 3~6 및 산소 조건 1.00~2.50 vvm에서 효소 처리가 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20(S)-프로토파낙사디올은 GABAA 수용체 조절물질이고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은 5-HT1A 수용체 조절물질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아글리콘인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아글리콘인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 중 하나 이상의 함량이 극대화된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인삼은 효소로 생물전환된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EPM 시험에서 고정화로 야기된 불안-유사 행동에 대한 발효 인삼(FG, Fermented ginseng)(25, 50 mg/kg), PPD(5, 10 mg/kg) 및 PPT(5, 10 mg/kg)의 효능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개방형 가지에서 보낸 시간, (B)는 개방형 가지에 대한 출입 빈도를 나타낸다.
도 2는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의 항불안 활성에 대한 플루마제닐, 비쿠쿨린 및 WAY-100635의 영향을 EPM 시험을 통해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고정화 처리된 마우스에서 혈청 코티코스테론(A)과 IL-6(B)에 대한 발효 인삼(FG, Fermented ginseng)(25, 50 mg/kg), PPD(5, 10 mg/kg) 및 PPT(5, 10 mg/kg)의 효능을 덱사메타손(1 mg/kg)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고정화 처리된 마우스에서 혈청 GOT(A)과 GPT(B)에 대한 발효 인삼(FG, Fermented ginseng)(25, 50 mg/kg), PPD(5, 10 mg/kg) 및 PPT(5, 10 mg/kg)의 효능을 덱사메타손(1 mg/kg)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아글리콘(aglycone)인 20(S)-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아글리콘(aglycone)인 20(S)-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중 하나 이상의 함량이 증진된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인삼은 효소로 생물전환된 것인,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아글리콘(aglycone)"은 글리코시드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당과 결합한 알코올류 또는 아민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스트레스"란 정신적 피로 회복의 의미로서, 구체적으로는 긴장 완화, 불안 완화, 수면 장애 완화, 우울증 완화 및/또는 집중력 향상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의 생체, 건체, 분말, 추출물 및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속(Panax species) 식물의 뿌리, 줄기, 잎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으로서, 구체적인 인삼속 식물로는 고려인삼(Panax ginseng), 화기삼(Panax quinquefolium), 전칠삼(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japonicum), 삼엽삼(Panax trifolium), 히말라야삼(Panax pseudoginseng) 또는 베트남삼(Panax vietnamensis) 등이 있고, 가공여부와 생육환경에 따른 홍삼, 수삼, 백삼, 재배삼, 장뇌삼 또는 산양산삼, 산삼배양근을 포함하는 산삼 등도 이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은 산삼배양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삼 "배양근" 또는 삼(蔘) "배양근"은 자연상태로 자생하는 인삼 등을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여 배양한 것으로서, 자생하는 인삼과 그 성분 및 DNA 배열이 동일하여 동일한 유전적 성질을 가지는 인삼을 대량 생산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산삼 배양근은 원래 천종 또는 지종 산삼 조직에서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여 배양된 것이며 천종산삼과 그 성분 및 DNA 배열이 같다. 또한, 산삼과 산삼배양근의 배수성검정에서 DNA함량과 핵수가 일치하고 있는데 이는 산삼배양근이 다년간 배양을 해도 변이의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산삼과 유전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산삼배양근"은 산삼부정근이라고도 하며, 자연에서 채취한 80년에서 120년 정도 된 인삼인 산삼으로부터 산삼조직을 분리하여 배양된 산삼원료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산삼배양근은 100년 이상 된 산삼의 뿌리를 잘게 쪼개 세포 배양을 거쳐 뿌리를 생성한 후에 생물 배양기 속에서 45일간 자라게 하여 얻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아글리콘 20(S)-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0.1 내지 3.0 (mg/g)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0.1 내지 2.5 (mg/g)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삼은 인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인 Rh1 0.1 내지 4.0 (mg/g), F1 0.1 내지 3.0 (mg/g) 및 C-K(Compound-K) 0.1 내지 4.0 (mg/g)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아글리콘 20(S)-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0.5 내지 2.5 (mg/g)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0.5 내지 2.0 (mg/g)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삼은 인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인 Rh1 0.5 내지 3.5 (mg/g), F1 0.5 내지 2.0 (mg/g) 및 C-K(Compound-K) 0.5 내지 3.5 (mg/g)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셀룰라아제, 헤미셀룰라아제, 락타아제, 베타글루코시다아제 및 나린지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 처리가 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효소는 일측면에서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또는 페니실리움 속(Penicillium sp.)으로부터 유래된 베타글루코시다아제, 셀룰라아제, 나린지나제, 헤미셀룰라아제, 및 락타아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에 셀룰라아제 및 헤미셀룰라아제 중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처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인삼에 락타아제를 처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인삼에 인삼에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처리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를 거친 인삼에 나린지나제를 처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인삼에 효소를 처리하기 전에 인삼을 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일측면에서 0.5-3 atm, 다른 일측면에서 1-2 atm, 또 다른 일측면에서 1.3-1.8 atm의 가압조건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일측면에서 온도 100~140℃, 다른 일측면에서 110~130℃, 또 다른 일측면에서 115~127℃일 수 있다. 또한, 전처리 시간은 일측면에서 5분~120분, 다른 일측면에서 10분~90분, 또 다른 일측면에서 30분~70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후에 제1단계 내지 제4단계에서 각각의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는 적정한 온도와 pH 및 산소를 변화시켜 최적의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H는 일측면에서 2-7, 다른 일측면에서 3-6, 또 다른 일측면에서 4-5.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소 조건은 0.50-3.00 vvm, 다른 일측면에서 1.00-2.50 vvm, 또 다른 일측면에서 1.25-1.75 vvm 일 수 있다.
셀룰라아제 및 헤미셀룰라아제 중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는 일측면에서 투입 원료 중량 당 0.1~20%를 접종할 수 있으며, 다른 일측면에서 0.5~10%, 또 다른 일측면에서 1~5%를 접종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일측면에서 20~90℃, 다른 일측면에서 30~85℃, 또 다른 일측면에서 40~80℃일 수 있다. 반응시간은 일측면에서 30분~20시간, 다른 일측면에서 1~15시간, 또 다른 일측면에서 1~12시간일 수 있다.
일측면에서 셀룰라아제(cellulase)는 셀룰로오스의 가수분해 반응을 촉진하는 효소를 총칭하며, 일측면에서 셀룰로오스의 β-1,4 글리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상기 셀룰라아제는 일측면에서 엔도-β-1,4-글루카나아제(endo-β-1,4-glucanase, EG, EC 3.2.1. 4), 엑소-β-1,4-글루칸 셀로바이오히드로라아제(exocellobiohydrolase, CBH, EC 3.2.1.91), 셀로비아제(β-glucosidase G, EC 3.2.1.21)를 포함한다.
일측면에서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는 헤미셀룰로오스를 가수분해하는 효소를 총칭하며, 자일라나아제(xylanase), 아라비나나아제(arabinanase), 만나나아제(mannanase) 등을 포함한다.
락타아제를 처리하는 단계는 일측면에서 투입 원료 중량 당 0.1~30%를 접종할 수 있으며, 다른 일측면에서 0.1~20%, 또 다른 일측면에서 1~10%를 접종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일측면에서 10~80℃, 다른 일측면에서 20~70℃, 또 다른 일측면에서 30~60℃일 수 있다. 반응시간은 일측면에서 30분~72시간, 다른 일측면에서 30~48시간, 또 다른 일측면에서 1~36시간일 수 있다.
일측면에서 락타아제(lactase)는 β-D-갈락토실(1, 4)-D-글루코스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락토오스(젖당)를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가수분해할 때 촉매로 사용되는 효소를 총칭한다.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처리하는 단계는 일측면에서 투입 원료 중량 당 0.1~30%를 접종할 수 있으며, 다른 일측면에서 0.1~20%, 또 다른 일측면에서 1~10%를 접종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일측면에서 20~80℃, 다른 일측면에서 30~70℃, 또 다른 일측면에서 40~60℃일 수 있다. 반응시간은 일측면에서 30분~72시간, 다른 일측면에서 30분~48시간, 또 다른 일측면에서 1~36시간일 수 있다.
일측면에서 베타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는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효소를 의미하며, 안토시아닌의 글루코사이드 결합(glucoside bond, 단당류 2분자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물이 빠지면서 축합되어 산소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상태)을 분해하는 성질이 있다.
나린지나제를 처리하는 단계는 일측면에서 투입 원료 중량 당 0.1~40%를 접종할 수 있으며, 다른 일측면에서 0.1~30%, 또 다른 일측면에서 1~20%를 접종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일측면에서 20~80℃, 다른 일측면에서 30~70℃, 또 다른 일측면에서 40~60℃일 수 있다. 반응시간은 일측면에서 10분~120시간, 다른 일측면에서 30분~108시간, 또 다른 일측면에서 1~96시간일 수 있다.
일측면에서 나린지나제(naringinase)는 나린긴(naringin) 가수분해효소를 총칭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효소로 생물전환된 인삼은, 진세노사이드인 PPD 계열과 PPT 계열의 효소적 대사경로를 정확히 파악하여 최적의 효소를 탐색하고 효소를 각각의 대사경로에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생체이용율(bioavailability)이 뛰어난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및 아글리콘으로의 전환율을 최대화한 것으로서,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및 어글리콘 함량이 극대화된 것을 의미한다.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란 효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진세노사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는 Rh1, F1, Rg3, 및 C-K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 미생물을 이용한 방법은 베타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에 따라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매우 불안정하고, 특히 미생물 효소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기본 골격에 하나의 당을 가지고 있는 즉, PPD 계열의 C-20의 β-글루코오스 뿐만 아니라 PPT 계열의 Rh1에 결합되어 있는 C-6의 β-글루코오스를 분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글리콘으로의 전환율이 매우 낮다. 또한,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대량 생산 시 투자비가 매우 높은 단점이 있고, 식품으로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2차 대사산물에 의한 독성 문제도 야기될 수가 있어 식품 소재로써 제한적일 수 있다. 게다가, 진세노사이드의 강한 항균력으로 인한 미생물 생육 저하로 초기 진세노사이드 기질 함량을 적게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및 어글리콘이 강화된 인삼의 가공방법은 일측면에서 상기의 문제점 내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20(S)-프로토파낙사디올은 GABAA 수용체 조절물질이고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은 5-HT1A 수용체 조절물질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장애, 수면 장애, 우울증 또는 집중력 저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장애, 수면 장애, 우울증 또는 집중력 저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정신적 스트레스는 긴장, 불안, 수면 장애, 우울증, 집중력 저하 등을 야기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 의하면 고가식 십자미로 실험(EMP)에서, 아글리콘의 투여는 open arm으로 들어가는 횟수의 증가 및 전체 시간에 대한 open arm에서 보내는 시간 비율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아글리콘의 불안증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가식 십자미로 실험에서 관찰되는 불안은 해마에서 5-HT 과다흐름과 관계 있다고 보고된바 있다(Carvalho, M.C., S. Masson, M.L. Brandao, and M.A. de Souza Silva. 2008. Anxiolytic like effects of substance P administration into the dorsal, but not ventral, hippocampus and its influence on serotonin. Peptides. 29: 1191-1200). 반복되는 구금 스트레스는 해마와 같은 뇌의 특정 부분에 있어서 자극에 대한 행동 및 생리학상의 반응과 연관되어 있는 5-HT의 방향 전환 및 방출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아글리콘의 투여를 통해서 해마에 있어서 반복되는 구금 스트레스 노출에 따른 5-HT 방출의 증가를 저해할 수 있었다.
불안 장애는 주로 불안한 감정으로 드러나는 정신 질병으로서, 불안 장애의 주된 특징은 자율 신경계 장애(autonomic nerves disturbance), 근육 경직(muscle rigidity), 운동 장애(exercise disturbance) 등과 같은 증후군(syndromes)과 결합한 발동 혹은 불안, 긴장증(catatonia), 두려움 등과 같은 계속적인 긴장 정서들이다. 우울증과 불안 장애는 거의 서로 함께 나타난다고 보고된 바 있다(Mineka, S., and R. Zinbarg. 2006. A contemporary learning theory perspective on the etiology of anxiety disorders: it's not what you thought it was. Am. Psychol. 61: 10-26).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아글리콘인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은 5-HT의 흡수를 억제하여 5-HT에 의해 유도되는 불안 장애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 ㎏당 0.1~500 ㎎, 바람직하게는 1~100 ㎎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피부 외용제, 좌제, 주사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주사제 또는 피부 외용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비경구, 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경피(trandermally),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서 피부 표면에 도포되는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5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 음료, 미네랄 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 제품,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기능성 식품류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기능성 식품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효소처리로 진세노사이드 및 아글리콘이 강화된 발효배양산삼(fermented wild ginseng, FWG)은 제조는 아래와 같다.
산삼배양근을 ㈜비트로시스(Young-ju, South Korea)에서 구입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모두 생체를 사용하였다. 상기 산삼배양근은 산에서 자연상태로 자란 인삼인 산삼의 뿌리를 잘게 쪼개어 세포배양을 거쳐 얻어진 것으로서 시판되는 제품에 해당한다.
효소는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및 페니실리움 속(Penicillium sp.)으로부터 유래된 베타글루코시다아제, 셀룰라아제, 나린지나제, 헤미셀룰라아제, 및 락타아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효소들은 노보자임사(Basgsvaerd, Denmark) 또는 시그마알드리치사(Missouri, United States)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 구입한 산삼배양근의 생체를 깨끗하게 수세하여 파일럿 믹서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이때 분쇄는 산삼배양근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00μm 이하가 되도록 조분쇄(crude-pulverization)하였다. 분쇄 후 산삼배양근의 분쇄물 2kg를 정확하게 칭량하여 5L 발효조에 투입하였다.
(2) 발효조 투입 후, 전처리 공정으로서 산삼 배양근 효소 분해물에 1.5 atm의 가압조건 하에서 125℃로 40분간 처리하는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였다.
(3) 상기 전처리 공정 후, 산삼 배양근 분쇄물에 1차 효소인 셀룰라아제와 헤미셀룰라아아제를 투입 원료 중량 당 2.5중량%를 접종하여 55℃에서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시 pH 5 및 산소 1.50vvm의 조건으로 효소 생물전환을 수행하였다.
(4) 전처리 공정을 수행한 후, 2차, 3차, 및 4차 효소를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반응시켰다. 2차 효소인 락타아제는 투입 원료 중량 당 5%를 접종하여 온도 45℃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3차 효소인 베타글루코시다아제는 투입 원료 중량 당 5%를 접종하여 온도 45℃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4차 효소인 나린지나제는 투입 원료 중량 당 12%를 접종하여 온도 40℃에서 72시간 반응시켰다. 이때, 효소 반응은 모두 pH 5 및 산소 1.50vvm의 조건으로 효소 생물전환을 수행한 것이다.
(5) 효소 생물전환 반응을 모두 진행한 뒤, 분쇄기를 통하여 나노입자화(nano-pulverization)하였다. 이때 평균 입자 크기가 1μm 이하가 되도록 나노입자화를 수행하였다. 이후, 자동멸균기(auto-clave)를 사용하여 121℃에서 15분간 멸균함으로써 구입한 산삼배양근을 원료로 한 효소처리 산삼배양근(FWG), 즉 효소로 생물전환된 인삼을 제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및 아글리콘의 함량이 통상적인 발효홍삼에 포함된 함량 대비 최대 16.3배 높아졌으며, 생체 이용율이 뛰어난 생물전환 진세노사이드 중 Rh1, F1, C-K와 아글리콘인 20(S)-프로토파낙사디올,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의 전환율이 극대화되어 양산 표준화를 확립하였다. 하기 표 1은 0.5톤 발효조를 이용한 양산 표준화된 발효 산삼배양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과 백삼, 홍삼, 발효홍삼의 일반적인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5007053645-pat00001

제조예 2.
비쿠쿨린, 부스피론, 덱사메타손, 플루마제닐 및 WAY-100635는 Sigma(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20(S)-프로토파낙사디올(HPLC에 의한 순도 98% 이상)과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HPLC에 의한 순도 98% 이상)은 Ambo Institute(Daejeon, Korea)로부터 구입하였다.
실험예 1. 고정화 스트레스
7주령, 24~28g의 수컷 ICR 마우스를 Samtako Biokorea(Seoul, Kore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기 전에 1주일 동안 적응시켰다. 모든 동물은 일정한 온도 24±2℃ 및 습도 60±10%에서 12시간의 명암주기로 유지시켰다. 표준 실험 먹이(Samyang Co., Seoul, Korea)를 급여하고 수돗물을 자유식으로 제공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각 그룹은 7마리로 구성하였으며, 무작위로 8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상기 그룹은 비고정화하고 운반체(vehicle)를 공급한 일반 대조군(Normal control, NC), 고정화하고 운반체(vehicle)를 공급한 대조군(control, CON), 고정화하고 20(S)-프로토파낙사디올 5 또는 10 mg/kg을 공급한 PPD군, 고정화하고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 5 또는 10 mg/kg을 공급한 PPT군, 고정화하고 부스피론 또는 덱사메타손 1 mg/kg을 공급한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 PC)이다. 각 샘플은 고정화하기 1시간 전에 경구 투여하였다. 부스피론은 고정화하기 30분 전에 복강내 투여하였다.
또한, 불안 완화의 길항 작용 시험을 위해, 20(S)-프로토파낙사디올(10 mg/kg) 또는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10 mg/kg)을 경구 투여한 30분 후에 플루마제닐(3 mg/kg), 비쿠쿨린(0.5 mg/kg) 또는 WAY-100635(0.5 mg/kg)를 경구 투여하고, 30분 후에 고정화 스트레스를 실시하였다.
고정화 스트레스는 이전에 보고된 방법(Satoh et al., 2006)을 약간 변형하여 수행되었다. 전진 및 후진을 막고 좌우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50 ml의 원뿔형 튜브(지름 3 cm 및 길이 10 cm) 삽입 거즈에 마우스를 수직으로 배치하였다. 마우스의 호흡을 위해 0.3 cm 지름의 구멍이 튜브 중앙에 만들어졌다. 마우스는 2시간 동안 튜브에 고정화되었다.
실험예 2. 고가식 십자미로(Elevated plus-maze, EPM) 시험
EPM 시험은 이전에 보고된 방법(Grundmann et al., 2007)에 따라 수행되었다. 십자미로 장치는 두 개의 개방형 가지(30×7 cm)와 두 개의 폐쇄형 가지(30×7 cm)로 구성되고, 20 cm 높이의 벽을 가지며 중앙 플랫폼(7×7 cm)으로부터 확장한다. 블랙 플렉시글라스로 만들어진 미로는 불빛이 어둑한 방(20 Lux)에서 바닥으로부터 50 cm 상승되어 있고 마우스의 움직임을 기록하기 위해 비디오 카메라가 미로 위에 설치되었다.
각각의 마우스는 헤드가 개방형 가지에 향하도록 EPM 중앙에 배치하여 5분간 시험하였으며, 개방형 가지에서 보낸 시간 퍼센트[(개방형 가지에서 보낸 시간/개방형 및 폐쇄형 가지에서 보낸 시간)×100]와 개방형 가지 출입 퍼센트[(개방형 가지 출입/개방형 및 폐쇄형 가지 출입)×100]를 계산하였다. 실험 동물이 새로운 환경을 탐색하려는 경향과 밝은 빛과 열려 있는 공간을 회피하려는 경향 간의 갈등을 열려 있는 공간과 막혀 있는 공간에 머문 시간, 드나든 횟수로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불안증의 정도가 높을수록 열려 있는 공간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실험예 3. 혈청 코티코스테론, IL-6, ALT 및 AST 측정
고정화 이후 마우스를 희생시켜 경동맥으로부터 혈액 샘플을 수집하고 4℃에서 5분간 3000×g으로 원심분리하였다. 혈청은 분리되어 분석될 때까지 -70℃에서 저장하였다. 코티코스테론과 IL-6은 상업적 ELISA 키트(Abcam, MA, U.S.A.)로 측정되었고, ALT(alanine amiontransferase)와 AST(aspartate amiontransferase)는 상업적 키트(Asan pharmaceutical Co., Seoul, Korea)로 분석되었다. 측정은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되었다.
실험결과 1. EPM 시험을 통한 고정화로 야기된 불안-유사 행동에 대한 효소로 생물전환된 인삼,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의 효능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화 스트레스는 개방형 가지에서 보낸 시간과 개방형 가지 출입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또한, 고정화 스트레스가 가해진 마우스에서 생물전환된 인삼,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의 처리는 개방형 가지에서 보낸 시간과 개방형 가지 출입 감소를 저지하였다. 특히, 생물전환된 인삼(50 mg/kg), 20(S)-프로토파낙사디올(10 mg/kg)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10 mg/kg)은 상당한 불안 완화제 유사 효능을 나타냈다. 이들의 불안 완화 효능은 개방형 가지에서 보낸 시간과 개방형 가지 출입을 유의적으로 증가(p<0.001)시켜 불안 완화제인 부스피론(1 mg/kg)의 효능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아글리콘이 강화된 생물전환된 인삼과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은 항스트레스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결과 2.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의 항불안 활성에 플루마제닐, 비쿠쿨린 및 WAY-100635가 미치는 영향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의 항불안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고정화 스트레스 유발된 마우스에 GABAA 수용체 길항제인 비쿠쿨린(0.5 mg/kg), 플루마제닐(3 mg/kg), 또는 5-HT1A 수용체 길항제인 WAY-100635(0.5 mg/kg)를 첨가 또는 비첨가하여 20(S)-프로토파낙사디올(10 mg/kg)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10 mg/kg)의 효능을 EPM 시험을 통해 관찰하였다(도 2 참조).
그 결과, 플루마제닐, 비쿠쿨린 또는 WAY-100635의 첨가 없이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을 처리할 경우, 개방형 가지에서 보낸 시간과 개방형 가지 출입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20(S)-프로토파낙사디올의 항불안 효과는 플루마제닐 또는 비쿠쿨린에 의해 억제(p<0.01)되었고,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의 항불안 효과는 WAY-100635에 의해 억제되었다(p<0.001). 따라서, 20(S)-프로토파낙사디올의 항불안 효과는 GABAA 수용체를 통해,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의 항불안 효과는 세로토닌 작동성 수용체를 통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결과 3. 고정화 처리된 마우스의 혈청 코티코스테론, IL-6, ALT 및 AST 레벨에 대한 생물전환된 인삼,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의 효능
고정화 스트레스는 대조군에 비해 뇌 유리 신경 성장 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조절을 통해 불안 유사 행동을 야기하는 코티코스테론 및 IL-6 레벨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도 3 참조). 스트레스 유발된 마우스에 인삼 추출물, 20(S)-프로토파낙사디올을 처리할 경우 고정화 스트레스에 의한 이들의 혈청 레벨 증가를 억제시켰다. 그러나,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의 처리는 고정화 스트레스로 증가된 코티코스테론 및 IL-6 레벨을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고정화 스트레스는 ALT(GPT, glutamic pyuvic transaminase) 및 AST(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레벨을 증가시켰다. 스트레스 유발된 마우스에 생물전환된 인삼, 20(S)-프로토파낙사디올 또는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을 처리할 경우 고정화 스트레스로 증가된 이들의 혈청 레벨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다(도 4 참조).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연질 캡슐
효소처리 산삼배양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9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연질 캡슐 충진액을 제조하였다. 1 캡슐당 400㎎씩 충진하여 연질 캡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별도로 젤라틴 66 중량부, 글리세린 24 중량부 및 솔비톨액 10 중량부의 비율로 연질 캡슐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충진액을 충진시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 400mg이 함유된 연질 캡슐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정제
효소처리 산삼배양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갈락토올리고당 200㎎, 유당 60㎎ 및 맥아당 140㎎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을 첨가하였다. 이들 조성물 500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드링크제
효소처리 산삼배양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를 가하여 각 병에 200㎖씩 되도록 충진하였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4] 과립제
효소처리 산삼배양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무수결정 포도당 250㎎ 및 전분 550㎎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5] 주사제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07053645-pat00002
[제형예 6] 건강기능식품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07053645-pat00003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7] 건강 음료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07053645-pat00004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하였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효소로 생물전환된 산삼배양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산삼배양근에 셀룰라아제 및 헤미셀룰라아제를 처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산삼배양근에 락타아제를 처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산삼배양근에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처리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를 거친 산삼배양근에 나린지나제를 처리하여 효소로 생물전환된 산삼배양근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효소로 생물전환된 산삼배양근은, 산삼배양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인 Rh1 0.1 내지 4.0 (mg/g), F1 0.1 내지 3.0 (mg/g), C-K(Compound-K) 0.1 내지 4.0 (mg/g), 아글리콘인 PPD(20(S)-protopanaxadiol) 0.1 내지 3.0 (mg/g) 및 PPT(20(S)-protopanaxatriol) 0.1 내지 2.5 (mg/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생물전환된 산삼배양근은 생체, 건체, 분말, 추출물 및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형태인,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생물전환된 산삼배양근은, 산삼배양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인 Rh1 0.5 내지 3.5 (mg/g), F1 0.5 내지 2.0 (mg/g), C-K(Compound-K) 0.5 내지 3.5 (mg/g), 아글리콘인 PPD(20(S)-protopanaxadiol) 0.5 내지 2.5 (mg/g) 및 PPT(20(S)-protopanaxatriol) 0.5 내지 2.0 (mg/g)을 포함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는 pH 조건 3~6 및 산소 조건 1.00~2.50 vvm에서 효소 처리가 된,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산삼배양근에 효소를 처리하기 전에 산삼배양근을 압력 0.5-3 atm 및 온도 100-140℃에서 5-120분 동안 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6. 항스트레스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효소로 생물전환된 산삼배양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산삼배양근에 셀룰라아제 및 헤미셀룰라아제를 처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산삼배양근에 락타아제를 처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산삼배양근에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처리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를 거친 산삼배양근에 나린지나제를 처리하여 효소로 생물전환된 산삼배양근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효소로 생물전환된 산삼배양근은, 산삼배양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인 Rh1 0.1 내지 4.0 (mg/g), F1 0.1 내지 3.0 (mg/g), C-K(Compound-K) 0.1 내지 4.0 (mg/g), 아글리콘인 PPD(20(S)-protopanaxadiol) 0.1 내지 3.0 (mg/g) 및 PPT(20(S)-protopanaxatriol) 0.1 내지 2.5 (mg/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스트레스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생물전환된 산삼배양근은 생체, 건체, 분말, 추출물 및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형태인, 항스트레스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 생물전환된 산삼배양근은, 산삼배양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인 Rh1 0.5 내지 3.5 (mg/g), F1 0.5 내지 2.0 (mg/g), C-K(Compound-K) 0.5 내지 3.5 (mg/g), 아글리콘인 PPD(20(S)-protopanaxadiol) 0.5 내지 2.5 (mg/g) 및 PPT(20(S)-protopanaxatriol) 0.5 내지 2.0 (mg/g)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는 pH 조건 3~6 및 산소 조건 1.00~2.50 vvm에서 효소 처리가 된, 항스트레스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산삼배양근에 효소를 처리하기 전에 산삼배양근을 압력 0.5-3 atm 및 온도 100-140℃에서 5-120분 동안 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10821A 2015-01-22 2015-01-22 아글리콘인 ppd 및/또는 pp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101641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21A KR101641509B1 (ko) 2015-01-22 2015-01-22 아글리콘인 ppd 및/또는 pp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21A KR101641509B1 (ko) 2015-01-22 2015-01-22 아글리콘인 ppd 및/또는 pp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509B1 true KR101641509B1 (ko) 2016-07-21

Family

ID=5668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821A KR101641509B1 (ko) 2015-01-22 2015-01-22 아글리콘인 ppd 및/또는 pp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5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823B1 (ko) 2017-06-01 2018-10-23 주식회사 엠진바이오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항스트레스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5998A1 (ja) * 2007-06-21 2008-12-24 Nagase & Co., Ltd. 抗不安抗うつ剤
KR20090029789A (ko) * 2006-06-09 2009-03-23 상하이 이노베티브 리서치 센터 오브 트레디셔날 차이니스 메디슨 항우울제 제조에서 20(s)-프로토파낙사다이올의 용도
KR101351883B1 (ko) 2011-06-13 2014-01-22 한국식품연구원 왕겨 추출물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789A (ko) * 2006-06-09 2009-03-23 상하이 이노베티브 리서치 센터 오브 트레디셔날 차이니스 메디슨 항우울제 제조에서 20(s)-프로토파낙사다이올의 용도
WO2008155998A1 (ja) * 2007-06-21 2008-12-24 Nagase & Co., Ltd. 抗不安抗うつ剤
KR101351883B1 (ko) 2011-06-13 2014-01-22 한국식품연구원 왕겨 추출물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823B1 (ko) 2017-06-01 2018-10-23 주식회사 엠진바이오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항스트레스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9803B1 (ko) 약효가 증가된 특수가공처리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뇌졸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200012B1 (ko)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KR101787543B1 (ko) 발효배양 산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EP3017821A1 (en) Composition having a function for alleviating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pain
KR101750779B1 (ko) 아글리콘인 ppd 및/또는 pp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피로용 조성물
KR101641509B1 (ko) 아글리콘인 ppd 및/또는 pp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120104651A (ko) 마(산약)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91251B1 (ko) 강화된 진세노사이드 및 어글리콘을 포함하는 인삼 또는 산삼배양근, 및 그의 가공방법
KR20160056554A (ko) Compound K 성분이 강화된 홍삼농축액을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 식품
KR100848686B1 (ko) 유산균으로 감마-아미노부틸산과 생물전환 사포닌을 동시에강화한 발효 인삼 조성물
KR20140088969A (ko) 갈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1545843B1 (ko) 유산균 발효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
KR20040099670A (ko) 유효 성분으로 진세노시드 Rh2를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조성물
KR20110093477A (ko) 발효 홍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0759772B1 (ko) 유효 성분으로 진세노시드 Rh2를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조성물
JP7309568B2 (ja) 新規なジンセノサイドを含む運動能力増進用又は抗疲労用組成物
KR102073691B1 (ko) 강화된 진세노사이드 및 어글리콘을 포함하는 인삼 또는 산삼배양근, 및 그의 가공방법
KR20210121892A (ko) 인삼씨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90220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인삼열매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23910A1 (ja) 男性ホルモン増加促進用組成物
KR102655942B1 (ko)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변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5864003B1 (ja) 脂質蓄積抑制効果を有する新規羅漢果抽出物組成物
KR100456417B1 (ko) 약효가 증가된 특수가공처리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뇌졸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403664B1 (ko) 녹용 발효물을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 또는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
KR20240011288A (ko) 에스트로겐 분비저하에 의한 여성 갱년기 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