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843B1 - 유산균 발효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산균 발효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843B1
KR101545843B1 KR1020130130696A KR20130130696A KR101545843B1 KR 101545843 B1 KR101545843 B1 KR 101545843B1 KR 1020130130696 A KR1020130130696 A KR 1020130130696A KR 20130130696 A KR20130130696 A KR 20130130696A KR 101545843 B1 KR101545843 B1 KR 101545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fermented
acid bacteria
extract
gastrodia el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755A (ko
Inventor
이기형
이경호
김병수
최영호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0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84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2Spore-forming bacteria, e.g.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or Lactobacillus sporog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천마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면유도 기능이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Description

유산균 발효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Sleep inducing material comprising Gastrodia elata extract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은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불면증은 잠이 들기 힘들거나 잠을 계속 유지하기 어렵거나 너무 일찍 깨서 다시 잠들지 못하는 증상이다. 불면증은 성인의 12%에서 나타나는 흔한 증상이며 일차 진료기관에 방문하는 환자의 20%가 유의한 수면 이상을 호소한다고 한다. 수면제는 일반적으로 불면증의 단기적 치료에는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수면장애의 치료제로는 쿠아제팜(quazepam), 플루라제팜(flurazepam) 및 트리아졸람(triazolam) 등의 벤조디아핀(benzodiapine) 계통 약물과 졸피뎀(zolpidem)이 있다. 이러한 약물의 단점은 불안, 흥분 및 금단현상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일상생활의 어려움 뿐만 아니라 인지적 장애나 우울 등 다른 질병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약물을 대치하고 위험요소를 나타내지 않는 수면장애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2-0125152 A.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천마를 단순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 형태로 이용하지 않고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변환 시킴으로써, 천마 내에 포함된 성분의 활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면유도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천마(Gastrodia elata)의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함으로써 수득되는 발효액 또는 그 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산균은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속의 균주(Lactobacillus sp.)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CCM41029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효성분은 GABA(γ-amino-n-butyric acid), 4-하이드록시벤질 알코올(4-hydroxybenzyl alcohol), 4-하이드록시벤질 알데히드(4-hydroxybenzyl aldehyde), 바닐린(vanillin) 및 파리신 C(parishin 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방에서도 불안 및 신경과민에 관한 약리학적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산조인(Zyziphus jujube)은 저용량에서는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며, 고용량에서는 진정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밖에 항불안 생리활성 효능을 갖는 약재로는 황금, 현삼 및 천마 등이 있다.
천마(Gastrodia elata)는 난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사용부위는 뿌리이다. 천마의 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이며 채집 시기는 5월이다. 특성으로는 맛은 맵고, 약성은 평범하고 독이 없다. 국내에서 천마에 대하여 알려진 연구결과로는 신경보호기능, 진정작용, 항염증, 혈전효과, 관상순환기 및 일반성분에 대한 연구가 있다. 이와 같은 효능을 나타내는 천마의 성분으로는 페놀성 화합물로서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가스트로딘(gastrodin)이 있으며, 이외에 바닐릴 알코올(vanillyl alcohol), 발닐린(valnillin),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s) 및 페놀성 배당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용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얻는 발효액 또는 그 건조분말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제형으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은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말토오스, 슈크로스, 덱스트린 또는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착색제, 방부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마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천마 추출물의 수면유도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유산균으로 발효된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 천마 추출물은 수면유도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발효 천마와 발효하지 않은 천마 추출물의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의 선택적인 길항제인 3H-플루마제닐의 수용체에 대한 결합 반응을 억제하는 활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천마의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증강시켜서, 발효하지 않은 천마 및 발효 천마의 추출물에서 수면유도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를 유기용매로 추출 및 분획하여 시험한 결과, 발효 천마의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의 증가와 함께 수면유도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DMSO(dimethyl sulfoxide), 펜토바르비탈 나트륨(pentobarbital sodium),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MTT(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디아제팜(diazepam), GABA(γ-amino-n-butyric acid), 4-하이드록시벤질 알코올(4-hydroxybenzyl alcohol), 4-하이드록시벤질 알데히드(4-hydroxybenzyl aldehyde), 바닐린(vanillin) 및 파리신 C(parishin C)는 시그마(Sigma-Aldrich,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H-플루마제닐(3H-flumazenil)은 퍼킨엘머 생명 & 분석과학(PerkinElmer Life & Analytical Sciences,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FBS(fetal bovine serum)은 인비트로젠(Invitrogen, USA)으로부터, 천마는 전북 무주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대상 동물)
수면유도 시험 동물로는 체중 17.5 g의 ICR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사육 조건은 22 ℃, 상대습도 55%, 환기횟수 시간당 11회, 명암주기 12시간으로 유지하고, 모든 실험동물은 실험 동물실에서 1주일 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료는 1일 1회로 5일간 투여하였고, 최종 시료의 경구투여 45분 후에 펜토바르비탈(30 mg/kg, i.p.)을 마우스 복강으로 주사하여 수면시간(sleeping time)과 입면시간(sleep latency)을 측정하였다.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측정)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측정은 마우스의 대뇌피질을 적출한 후 즉시 30 mM Tris-HCl 버퍼(pH 7.4, 4 ℃) 20 mL에 넣어 균질화시키고 10초 동안 초음파를 처리하였다. 이 후 27,000 x g 및 4 ℃의 조건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버리고 다시 버퍼 20 mL로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뇌 조직 안의 GABA를 제거하기 위하여 37 ℃의 중탕냄비(water bath)에 30분간 정치하여 원심분리한 후 알갱이(pellet)을 수집하여 -80 ℃에서 동결보관하여 사용하였다.
동결된 postsynaptic membrane을 해동시킨 후 27,000 x g 및 ℃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버리고 50 mM Tris-citrate 버퍼(pH 7.1, 4 ℃; binding buffer) 20 mL로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3번 반복한 후 membrane을 binding buffer에 500 mL 버퍼/g original tissue으로 현탁시켜 결합력 평가에 사용하였다. 96 웰플레이트(well-plate)에 멤브레인 현탁액 180 μL, 각 추출물 시료 10 μL 및 1 nM 3H-플루마제닐 10 μL를 넣고 냉각냄비(ice bath)에서 4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유리 섬유 필터(glass fiber filter; GF/C, Whatman)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샘플의 방사성(radioactivity)은 Tri-Carb Liquid Scintillation Analyzers(Perkin-Elmer, Shelton, CT, USA)로 측정하였다. 비특이적 결합(nonspecific binding, NSB)은 클로나제팜(clonazepam, 1 μM)을 이용하여 그 값을 결정하였고, 결합 이동(binding displacement) 값(%)은 아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1]
결합이동(binding displacement, %) = [1-((시료의 DPM - NSB DPM)/(TB DPM - NSB DPM))] x 100
(DPM: disintegrations per minute, TB: total binding, NSB: nonspecific binding)
(통계 분석)
실험 결과의 통계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룹간의 유의적인 통계차를 분석하기 위하여 p<0.05의 유의수준으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후, Duncan의 다중범위 검정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하였다.
(제조예 1) 천마의 유산균 발효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KCCM41029)는 MRS 배지에 2% (v/w) 접종하여 37 ℃ 배양기(Sanyo, 일본)에 1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천마는 세척, 건조 및 분쇄하여 동결건조를 거쳐 사용하였다. 발효 천마의 제조를 위해 건조된 천마 1 kg을 물에 침지한 후 불림을 행하였으며, 침지 후 물을 빼 내고 200 g 씩 배양용기에 분취하였다. 상기 천마를 121 ℃에서 15분간 가압 멸균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배양액을 5% (v/w)로 접종한 후 30 ℃에서 7일간 발효하였다. 배양체의 덩어리 형성 방지를 위해 하루에 3회 규칙적으로 혼합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후 동결건조한 후 분쇄 냉동보관 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2) 천마 추출물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유산균 발효된 천마와 발효시키지 않은 천마는 모두 동결건조하였고 60% 에탄올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7시간 추출하였다.
(시험예 1) 수면시간 및 입면시간의 변화 측정
상기 제조예 1에 의해 제조한 유산균 발효 천마(실시예 1~3)와, 상기 발효시키지 않은 천마(비교예 1~3) 각각을 상기 방법과 같이 투여한 후에 수면시간과 입면시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표 1] 수면시간 변화
Figure 112013098926989-pat00001

[표 2] 입면시간 변화
Figure 112013098926989-pat00002

상기 실시예 1~3에서와 같이 유산균 발효 천마를 투여한 마우스의 경우, 시료 투여에 의한 수면시간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여 20 및 200 mg/kg 군에서는 각각 137% 및 216%의 수면시간 증가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어 시료투여에 의한 수면시간 증대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1~3에서와 같이 유산균으로 발효시키지 않은 천마의 투여에 의한 수면시간의 증가효과는 모든 투여농도에서 실시예 1~3 대비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시료 투여에 의한 입면시간의 감소효과를 측정한 결과, 수면시간의 증대효과와 동일 양상으로 유산균 발효 천마 투여의 경우가 발효시키지 않은 천마 투여에 비하여 입면시간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2)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상기 방법에 의하여 유산균 발효 천마와 발효하지 않은 천마 추출물의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의 선택적인 길항제인 3H-플루마제닐의 수용체에 대한 결합 반응을 억제하는 활성도를 특정하였다(도 1). 두 시료의 농도를 각각 0.1, 1, 10, 100 및 1,000 μg/mL (실시예 4~8, 비교예 4~8)로 달리하여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을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
Figure 112013098926989-pat00003

상기 표 3과 도 1로부터 유산균 발효 천마와 발효시키지 않은 천마를 투여하였을 때의 50% 활성 저해농도를 도출한 결과 각각 62 및 114 μg/mL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유산균 발효 천마의 경우가 3H-플루마제닐의 결합을 치환하는 GABAA-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활성도가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유산균 발효에 의한 천마 성분의 변화
유산균 발효 천마와 발효하지 않은 천마에 대하여 천마의 성분 중 수면유도 효과와 관련이 있다고 추측되는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상기 GABA, 4-하이드록시벤질 알코올, 4-하이드록시벤질 알데히드, 바닐린 및 파리신 C를 증류수 1mL 에 녹인 후 측정하였으며, 천마의 열수추출물과 그 발효액은 증류수에 100배 희석한 후 0.22 μm 막 필터(3M, 미국)로 여과한 후 측정하였다. HPLC 컬럼은 C18컬럼(4.5 mm x 150 mm, 5 μm, Phenomenex Inc., Torrance, CA, USA)를 사용하였고,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물 혼합액을 1.0 mL/min으로 사용하였다. 시 (Agilent, 미국)은 30℃로 유지하였다. 아미노산 분석기(Amino acid analyzer, L-8900, Hitachi, Japan)를 사용하여 6,000 x 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0.45 μm 멤브레인(Millipore사)으로 여과한 후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로부터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유산균 발효에 의한 수면유도 효과 관련 천마 성분 변화
Figure 112013098926989-pat00004

상기 결과와 같이 천마의 유산균 발효 후 각 화합물은 함량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특히 파리신 C와 GABA의 경우 큰 증가 비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8 및 비교예 1~8에 의한 수면시간의 증가와 입면시간의 감소로부터, 상기 물질이 수면유도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Claims (5)

  1. 60% 에탄올로 상온에서 7시간동안 추출한 천마의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CCM41029를 접종하여 발효함으로써 수득되는 GABA; 및 4-하이드록시벤질 알코올, 4-하이드록시벤질 알데히드, 바닐린 및 파리신 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발효액 또는 그 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의 제조방법에 의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용 식품.
KR1020130130696A 2013-10-31 2013-10-31 유산균 발효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 KR101545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696A KR101545843B1 (ko) 2013-10-31 2013-10-31 유산균 발효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696A KR101545843B1 (ko) 2013-10-31 2013-10-31 유산균 발효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755A KR20150049755A (ko) 2015-05-08
KR101545843B1 true KR101545843B1 (ko) 2015-08-20

Family

ID=53387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696A KR101545843B1 (ko) 2013-10-31 2013-10-31 유산균 발효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415A (ko) 2020-03-03 2021-09-13 (주)리얼베이스 L-테아닌을 포함하는 수면 개선용 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937B1 (ko) * 2017-11-30 2019-04-30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2366B1 (ko) * 2020-10-30 2024-01-08 전라북도(농업기술원)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천마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415A (ko) 2020-03-03 2021-09-13 (주)리얼베이스 L-테아닌을 포함하는 수면 개선용 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755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76224A1 (en) Compound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having anti-inflammation activity
KR101523820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72595B1 (ko)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WO2008155998A1 (ja) 抗不安抗うつ剤
KR101545843B1 (ko) 유산균 발효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유도 조성물
CN114642258A (zh) 一种用于青年人缓解压力、放松心情、改善睡眠的饮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54532B1 (ko)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131821A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000488A (ko)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 그의 유산균 발효물 및 그의장내세균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인삼 추출물 소양증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101861784B1 (ko) 한약재 추출물(cjs03)을 함유하는 불면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15305A (ko) 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0526631B1 (ko)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상심자 추출물을 함유한조성물
KR20160079269A (ko) 애엽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N114794478A (zh) 一种能降低血压血脂血糖的组合物及应用
KR20140142580A (ko) 질려자로부터 분리한 엔-트랜스-로우-카페오일 티라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9493B1 (ko) 조골세포 분화 촉진과 파골세포의 분화 억제 활성을 갖는 자소자 추출물 및 상기 자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JP7078227B2 (ja) 概日リズム変調及びそれに起因する症状の予防又は改善用の内服剤並びに飲食品組成物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2657B1 (ko) 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90006058A (ko) 자연노화 골다공증 치료용 조성물
KR100526628B1 (ko)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상심자 추출물을함유한 조성물
JP6688585B2 (ja) バリア機能改善剤
KR100533505B1 (ko)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알레르기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건강보조식품
CN101291679A (zh) 包含猕猴桃属植物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