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403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403B1
KR101641403B1 KR1020130014553A KR20130014553A KR101641403B1 KR 101641403 B1 KR101641403 B1 KR 101641403B1 KR 1020130014553 A KR1020130014553 A KR 1020130014553A KR 20130014553 A KR20130014553 A KR 20130014553A KR 101641403 B1 KR101641403 B1 KR 101641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oor
refrigerator
convex portion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088A (ko
Inventor
미키오 야마다
도오루 에비하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34356A external-priority patent/JP6186115B2/ja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8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인출식 수납 용기를 인출할 때, 도어의 개폐 각도를 크게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납 용기를 충분히 인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열손실을 억제하여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냉장실 전방면에 대해 상기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수납 용기를 인출한 경우에 있어서, 인출되는 수납 용기에 대향하는 도어 배면에는, 적어도 힌지측이며 또한 수납 용기의 높이 치수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볼록부를 구비하지 않거나, 혹은 수납 용기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상기 볼록부를 구비하고, 힌지 반대측의 볼록부는 힌지측의 수납 용기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볼록부보다도 높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로 하였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저장물을 냉장이나 냉동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류로 되어 있는 냉장고에 있어서, 저장물을 출납하기 위한 도어는, 전방측에 좌우로 분할된 양측 개방식(이른바, 프렌치형)이나, 혹은 하부의 도어는 인출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장고 내에는, 약 3 내지 5℃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인 냉장실 및 야채실이나, 약 0℃로 보존할 수 있도록 한 저장실인 칠드실이나, 약 -18℃의 냉동 온도대의 냉동실 등이 구획 배치되어 있다. 냉장실 도어 내의 칠드실이나 야채실, 냉동실에는, 수납성이나 가반성,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납 용기가 설치되어 넣어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양측 개방식 도어에 있어서는, 도어의 배면측(냉장고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도어 라이너나 도어 포켓 등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내의 수납 용기를 인출할 때에는, 도어 라이너 등의 볼록부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90도 이상)로 도어를 개방하여, 수납 용기를 인출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냉장실은, 도어가 90도 이상 개방되지 않은 경우라도 인출식 야채 케이스를 꺼내어 냉장고 내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냉장실 내에 설치한 야채 케이스와 대향하는 부분의 도어 내 판면을 도어 가스킷 정상면으로부터 오목면으로 하고, 이 오목면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도어 선반을 장착하고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냉장고는, 냉동실 용기를 충분히 인출하여 식품의 출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냉동실 도어에 수납 포켓을 설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더하여, 실시예 6에서는 냉동실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냉동실 도어의 냉동실 용기 상면 상당 부분으로부터 상부 주연에 형성한 스로트 형성용 둑부를 설치하고 있다. 당해 스로트 형성용 둑부의 선단은, 냉동실 용기의 측부보다도 내측에 위치하지만, 냉동실 용기보다도 상부에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4-187981호 일본 실용신안 공보 소55-46148호 일본 특허 제3294964호
특허문헌 1과 같은 냉장고의 양측 개방식(프렌치식) 도어에 있어서, 냉장고의 좌우 어느 쪽으로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접촉하는 벽이나 가구 등의 장해물이 있는 경우에, 냉장고의 도어가 다른 장해물에 간섭하게 되므로, 냉장고의 도어를 90도 이상 개방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를 90도 이상 개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양측 개방식 도어로 밀봉된 고내에 설치된 인출식 수납 용기(야채 용기 등)를 인출할 때, 수납 용기가 도어 배면측에 설치된 볼록부나 도어 라이너에 접촉하므로, 충분히 수납 용기를 인출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냉장고의 배치 개소에 제한이 있었다.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냉장실 내의 청소를 할 때나 수납 용기를 꺼낼 때에는, 도어 포켓을 사전에 떼어낼 필요가 있었다. 또한, 청소시를 제외한 통상 사용시에 수납품의 출납을 행할 때에는, 도어 포켓에 수납 용기가 접촉해 버려, 수납 용기를 충분히 인출하는 것이 어려워 수납물의 출납을 하기 어려운 것이 생각된다.
또한, 특허문헌 3에 있어서는, 수납 포켓을 냉동실 도어에 설치하지 않는 구성이나 대략 ㄷ자 형상의 스로트 형성용 둑을 설치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만, 수납 용기를 지나치게 인출하여 낙하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각도를 90도 이상으로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납 용기를 충분히 인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열손실을 억제하여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어에 의해 밀봉되는 고내 공간에 배치된 인출식 수납 용기와, 도어 배면의 좌우에 당해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고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이 좌우의 볼록부 사이에 도어 포켓을 구비하고, 냉장실 전방면에 대해 상기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수납 용기를 인출한 경우에 있어서, 인출되는 수납 용기에 대향하는 도어 배면에는, 적어도 힌지측이며 또한 수납 용기의 높이 치수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볼록부를 구비하지 않거나, 혹은 수납 용기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상기 볼록부를 구비하고, 힌지 반대측의 볼록부는 힌지측의 수납 용기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볼록부보다도 높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를 크게 개방하지 않고도 도어 내의 수납 용기의 인출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사용 편의성이 양호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힌지 반대측에는 상기 볼록부를 구비하므로,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양측 개방식 도어의 경우에는 상기 수납 용기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볼록부보다도 높은 치수의 볼록부가 접근 대향하여 간극을 형성하므로, 고내의 냉기가 도어 측면에 대류하여 흐르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도어 측면을 냉각하여 열손실되는 것을 억제하고, 도어 측면에 결로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결로 방지를 위한 가열의 필요성도 작아지므로,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것은, 양측 개방식 도어에 한정되지 않고, 편측 개방식 도어에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 고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 본체의 우측벽과 배면벽을 생략한 후방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에 있어서의 야채 용기와 칠드실 주변의 단면 확대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에 있어서의 야채 용기의 정면도와 우측면도, 후방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에 있어서의 베이스의 전방 사시도.
도 8은 야채 용기를 적재한 베이스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야채 용기를 적재한 다른 실시 형태의 베이스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베이스측 레일부와 냉장고 본체측 레일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11은 롤러의 위치와 움직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우측 도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도어를 90도 개방한 상태에서 야채실을 인출한 사시도.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마찬가지의 부위나 화살표 등은 동일한 부호에 의해 나타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 고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냉장고(1)는, 그 본체부를 이루는 냉장고 본체(1H)에, 냉장실(3), 칠드실(4), 야채실(5), 냉동실(6)이 구획 배치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1H)의 전방측 상부에는, 좌우로 분할된 양측 개방식(이른바 프렌치형)의 도어(2a, 2b)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도어(2a, 2b)의 개폐에 의해, 냉장실(3), 칠드실(4), 야채실(5) 내의 저장물을 취출하거나, 또는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1H)의 전방측 하부에는, 인출식 도어(2c)가 구비되어 있고, 이 도어(2c)의 개폐에 의해, 냉동실(6) 내의 저장물의 취출ㆍ수납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냉장고(1)에 있어서는, 냉장 공간을 구성하는 냉장실(3), 칠드실(4), 야채실(5)이 상부로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있고, 야채실(5)은 냉장실(3), 칠드실(4)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야채실(5)이 돌출된 공간을 가짐으로써, 야채실 공간의 대용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냉장실(3) 및 야채실(5)은, 약 3 내지 5℃도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냉장실(2)에는, 냉장고 본체(1H)의 내측의 좌우의 양 측면에 설치된 돌출부에 지지된, 저장물을 수납하는 수납 선반(3a)과 칠드실(4)의 구획도 겸한 수납 선반(3b)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 포켓(8)은 냉장실 도어(2a, 2b)의 냉장실(2)에 대향하는 면(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야채실(5)에 대향하는 높이 위치에 있어서는, 야채실(5)이 냉장실(3)이나 칠드실(4)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이므로, 당해 돌출 부분과 간섭하지 않도록 도어 포켓(8)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야채실(5)이 돌출 부분을 가짐으로써 큰 야채를 대량으로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장실 도어(2a, 2b) 배면의 냉장실(3)과 칠드실(4)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어 포켓(8)을 가짐으로써 페트병이나 보틀형의 조미료 등, 냉장이 필요한 식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칠드실(4)은, 약 0℃로 보존할 수 있도록 한 저장실이다. 칠드실(4) 내에는, 인출함으로써 취출 가능한 칠드실 용기(4a)가 배치되어 있다. 칠드실 용기(4a)의 상부에는 수납 선반(3b)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칠드실(4) 내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칠드실(4) 상부의 냉장실(3)의 고내의 배면에, 전환 레버(4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환 레버(4b)를 좌우로 전환함으로써, 칠드실(4) 내의 도시하지 않은 냉기구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다. 냉기구를 개방함으로써, 후술하는 냉각기(12)에 의해 냉각된 냉기는, 냉각기 냉기 순환 팬(11)의 작용에 의해, 냉기 덕트(8)를 흘러, 냉기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칠드실(3)의 실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적합한 온도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할 때의 사용하기 쉬운 높이를 고려하여, 냉장실(2)의 최하단의 배면에 전환 레버(3a)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당연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장고 본체(1H) 내의 다른 개소여도 되고, 외부로부터 조작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냉동실(6)은, 약 -18℃의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냉동실(6) 내에는, 인출식 상단 냉동고 용기(6a)와, 하단 냉동고 용기(6b)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하단 냉동고 용기(6b)는, 냉동실 도어(2c)에 고착된 도시하지 않은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냉동실 도어(2c)와 함께 인출된다. 상단 냉동고 용기(6a)는, 또한 하단 냉동고 용기(6b)와 함께 인출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또한 내부에 남는 구성으로서, 상단 냉동고 용기(6a)를 단독으로 인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냉각기실(10)은 냉동실(6)의 후방 상부로부터 야채실(5)의 후방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공간이며, 여기에는 냉기 순환용 팬(11a, 11b)과 냉각기(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1H)의 배면 하부에는 오목 형상으로 기계실(13)이 형성되고, 이 기계실(13)에는 압축기(14)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기(12)의 하부에는 서리 제거 히터(15)가 설치되고, 냉각기(12)에 부착된 서리는 서리 제거 히터(15)에 의해 녹아, 드레인 파이프(16)에 의해 기계실(13)의 상부로 유도되어, 하부로 배수된다.
도 4는 냉장고 본체의 우측벽과 배면벽을 생략한 후방 사시도이다. 냉각기(12)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기 순환용 팬(11a, 11b)의 작용에 의해, 냉장실(3)이나 칠드실(4), 야채실(5), 냉동실(6)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냉기 순환용 팬(11a)은, 냉장실(3)이나 칠드실(4), 야채실(5)용으로 냉기를 보내기 위한 팬이고, 한편 냉기 순환용 팬(11b)은 냉동고(6)용으로 냉기를 보내기 위한 팬이다. 냉기 순환용 팬(11b)에 의해, 냉동실(6)에 분출된 냉기는, 냉동실(6) 내를 냉각한 후, 냉동실(6)의 배면 중앙으로 복귀된다. 그 후, 서리 제거 히터(15)를 통과하여, 냉각기 냉기 순환 팬(11a)의 작용에 의해, 냉장실 본체(1H)의 배면의 내부에 설치된 냉기 덕트(17)를 흘러, 냉장실(3)과 칠드실(4)의 배면에 설치된 냉기 유로(18)를 통과하여, 냉기 유로에 설치된 분출구로부터 냉기가 흐르게 된다.
<<야채실의 구체적 구성>>
다음에,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야채실(4)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야채 용기(수납 용기의 예)와 칠드실 주변의 단면 확대도이고, 도 6은 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의 정면도와 우측면도, 후방 사시도이다.
야채실(5)에는 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50)가 설치되어 있다. 야채 용기(50)는 도어 포켓(8)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냉장실 도어(2a, 2b)의 내면, 구획벽(5a)의 상면, 칠드실(4)과의 구획부(4c, 4d)의 하면 및 배면 수직부(5b)와 야채실(5)의 양 측면(5c)(도 10에 도시)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속하는 크기의 용적을 갖는 용기이다. 야채 용기(50)는, 후술하는 베이스(60)에 적재되어 보유 지지된다. 사용자는, 베이스(60)의 손걸이부(61)에 손을 걸어 베이스(60)와 함께 야채 용기(50)를 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장실(3)과 칠드실(4)의 구획을 겸한 수납 선반(3b)은, 냉장실 도어(2a, 2b)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칠드실 전방의 도어 포켓(8)을 향해, 가급적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칠드실(4)과 야채실(5) 사이에는, 칠드실(4)의 저면인 구획부(4c)와, 구획부(4c)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술하는 야채 용기(50)의 전방 상부까지 성형된 구획부(4d)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즉, 야채실(5) 및 야채 용기(50)는, 상방의 칠드실(4) 및 칠드 용기(4a)보다도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냉장실(3) 내의 냉기는, 수납 선반(3d)과 도어 포켓(8)에 의해, 칠드실(4)로 유입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구획부(4d)와 도어 포켓(8)의 저면에 의해, 야채실(5)로, 냉기가 유입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즉, 다른 실 내의 냉기가 칠드실(4)이나 야채실(5) 내로 들어가기 어렵게 함으로써, 실온의 저하나 상승을 방지할 수 있어, 온도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을 사용하여, 야채 용기(50)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야채 용기(50)는, 베이스(60)의 손걸이부(61)를 따르도록 손걸이 오목부(51)가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야채 용기(50)를 베이스(60)에 적재한 경우에, 손걸이 오목부(51)와 손걸이부(61)가 끼워 맞추어지므로, 야채 용기(50)의 적재 위치가 일의적으로 정해져, 손걸이 오목부(51)는 야채 용기(50)의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도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60)에 손걸이 오목부를 구비함으로써, 야채 용기(50)의 좌우 전후의 이동이 억제되어, 야채 용기(50)의 안정 유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야채 용기(50)의 저면에는, 볼록면부(52)가 설치되어 요철 성형되어 있다. 베이스(60)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이 볼록면부(52)가 야채 용기(50)와 베이스(60)의 저면 사이에 공간을 만들게 된다. 이 공간으로 냉기가 들어감으로써, 야채 용기(50) 내의 단열 효과를 높여, 야채 용기(50)와 베이스(60) 상호에 열을 전달하기 어렵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야채실(4) 내의 안정된 보냉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야채 용기(50)는, 횡폭 치수 A가 깊이 폭 치수 B보다도 큰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다종류의 저장물이 저장되는 수납 용기에 있어서, 횡폭이 긴 쪽이, 안쪽까지의 시인성이 향상되므로,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야채실 후방의 공간을 유효 활용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9를 사용하여, 베이스(60)의 형상과 소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베이스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8은 야채 용기를 적재한 베이스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9는 야채 용기를 적재한 다른 실시 형태의 베이스의 확대 단면도이다.
베이스(60)는, 글래스 소재로 성형된 글래스 부재(61)와, 수지 소재,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로 성형된 글래스 부재(61)를 둘러싸도록 조합된 수지 부재(62)로 구성되어 있다.
수지 부재(62)는, 야채 용기(50)가 적재되는 보유 지지부(63)와, 야채 용기(50)의 전후 좌우의 이동을 억제하는 측벽(64)과, 냉장고 본체(1H)측에 설치된 후술하는 레일(70)과 끼워 맞추어지는 레일부(65)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일부(65)는, 측벽(64)으로부터 냉장고 측벽 방향으로 돌출된 것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60)는 수지 부재(62)의 보유 지지부(63)와 레일부(65)의 단부에 의해 상하로 끼워 넣어지도록 글래스 부재(61)의 외측 프레임이 덮여, 보유 지지부(63)와 함께 야채 용기(50)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야채 용기(50)는, 횡폭 치수 A가 깊이 폭 치수 B보다도 큰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야채 용기(50)의 치수 비율에 맞추도록, 베이스(60)에 대해서도 횡폭 치수가 깊이 폭 치수보다도 큰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치수 비율로 하는 경우, 베이스(60)의 양단부에 설치된 레일부(65)와 냉장고 본체(1H)측의 레일(70)이 접속하였을 때에, 베이스(60) 중앙을 향해 휨력이 발생한다. 이때, 베이스(60)의 중앙 근방을 포함하는 일부를 수지에 비해 굽힘 강성이 높은 글래스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이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베이스의 프레임의 소재를 수지로 성형하고, 그 저면의 일부를 글래스 소재로 함으로써, 수지나 금속으로 성형한 베이스와 비교하여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베이스(60)를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중 부하가 큰 야채 용기(50)에 있어서, 수지만으로 성형한 경우에서는, 둑부가 휨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있었지만, 이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글래스 소재는 수지나 금속과 비교하여 저렴하므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보톰 프리저 냉장고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야채실의 배면에는 냉기 순환용 팬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베이스(50)에 글래스재보다도 연질인 수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팬의 소음이나 모터에 의한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정음 효과나 방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글래스 부재(61)는 가시광에 대해 투명한 소재여도 되고, 반투명, 불투명한 소재여도 된다. 투명 혹은 반투명 소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야채 용기(50)의 공간을 구획하는 저면을 투과하여 시인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에 대해 용기 공간을 크게 보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지 부재(62)의 보유 지지부(63)와 레일부(65)의 단부에 의해 상하로 끼워 넣어지도록 글래스 부재(61)의 외측 프레임이 덮이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60)로부터 보유 지지부(63)를 없애, 글래스 부재(61)를 레일부(65)의 단부에 적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글래스 부재는 베이스에 적재되어 있을 뿐이므로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글래스 부재를 통째로 세척할 수 있으므로,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소할 때, 베이스를 수지 소재와 글래스 소재로 나누어 운반 가능해지므로, 가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60)에 주스나 국물이 넘친 것을 장기간 알아차리지 못한 경우라도, 글래스 부재(61)가 주스나 국의 성분에 의해 열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베이스(60)의 강도 저하에 의한 휨 및 변형되기 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야채 용기(50)에 수납물이 많이 수납되어 베이스(60)에 큰 하중이 가해져도 원활한 인출 조작이 유지 가능하다.
도 10과 도 11을 사용하여, 레일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베이스측 레일부와 냉장고 본체측 레일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1은 롤러의 위치와 움직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레일부(65)는, 후술하는 냉장고 본체측 롤러(71)를 수용하는 대략 ㄷ자 형상의 수용부(66)를 갖고 있다. 한편, 야채실(5)의 양 측면(5c) 하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에는 베이스(60)의 레일부(65)가 안내되는 레일(70)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70)은, 한쪽 레일부(65)보다 약간 큰 치수의 횡단면 ㄷ자 형상의 오목 형상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측면 레일(70)의 저면을, 후술하는 베이스(60)의 후방 양 측면에 고착된 베이스측 롤러(67)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도 11 중 (a)는 베이스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베이스가 냉장고 본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냉장고 본체측 레일의 일부를 투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면 중, 냉장고 본체(1H)의 측면과, 냉장고 본체측의 레일(70)의 측면을 투시하고 있다. 레일(70)의 전방의 단부에는 롤러(71)가 고정되어 있고, 수용부(66)와 끼워 맞추어져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60)의 후방 양 측면에는, 베이스측 롤러(67)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측 롤러(67)는, 레일(70)의 저면을 전후로 회전 이동함으로써, 베이스(70)를 인출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측의 레일부는, 냉장고 측벽의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야채실의 측면에 일체 성형 등에 의해 형성한 레일을 만들고, 그 안에 베이스측의 레일부를 넣는 구성으로 하였다. 따라서, 야채 용기와 야채실의 양 측벽의 간극(클리어런스)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데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수납 용기의 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의 배면 구조에 대해>>
다음에, 야채 용기(50)를 인출하였을 때의, 냉장실 도어(2a, 2b)와의 접촉 관계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우측 도어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도어를 90도 개방한 상태이다. 도 12 중 (a)는, 도어 라이너(101)측(힌지 반대측)을 전방측으로 한 사시도이고, (b)는 힌지부(힌지측)를 전방측으로 한 사시도이다. 도 13 중 (a)는 야채 용기(50)를 수납한 상태를 도시하고, (b)는 개방한 도어의 선단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볼록부인 도어 라이너(101) 위치까지 야채 용기(50)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냉장실 도어(2b)는, 음료나 소품을 수납하는 포켓(8)을 갖고, 냉장실 도어(2b)를 개방하였을 때의 전방측에 설치된 도어 라이너(101)와, 힌지부(10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힌지측에 설치되고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고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인 도어 라이너(102)가 상하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실 도어(2b)를 개방하여 야채 용기(50)를 인출하였을 때에, 적어도 인출되는 야채 용기(50)에 대향하는 위치의 도어 배면 부분(103)에 있어서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어 포켓(8)의 위치는, 야채 용기(50)에 대향하는 도어 배면 부분(103)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야채 용기(50)를 인출할 때에 간섭하지 않는다.
이 도어 배면 부분(103)에 볼록부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를 90도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야채 용기(50)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 개방한 도어의 선단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볼록부인 도어 라이너(101)에 접하는 위치까지 야채 용기(50)를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투영 면적을 초과하는 범위까지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냉장실 도어(2b)를 냉장고 본체(1H)의 횡치수를 초과하여 개방하지 않는 상태라도], 수납 용기를 충분히 인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50)는, 인출 지지 부재인 레일을 통해 상기 힌지부측이며 또한 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50)의 높이 치수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볼록부를 구비하지 않거나, 혹은 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50)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상기 볼록부 위치보다도 인출된 상태에서 지지된다. 또한, 도 13의 예에서는 도어를 90도 개방한 상태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야채 용기(50)와 냉장실(3)의 측면벽 사이에는 통상은 공간이 비어 있으므로, 도어를 90도까지 개방하지 않아도 90도 가까이(예를 들어, 80도) 개방하면, 야채 용기(50)를 식품의 출납에 충분한 치수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크게 개방할 필요가 없으므로, 냉기의 유출도 적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배면의 볼록부나 도어 라이너에 부분적[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50)에 대향하는 위치]으로 볼록부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어의 좌우에 벽이나 가구의 장해물이 있었던 경우에 있어서도 냉장고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각각의 방의 레이아웃을 따른 배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어를 크게 개방할 필요가 없으므로, 냉기가 누설되기 어려워,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또한, 힌지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힌지측에만 볼록부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50)를 인출할 때에, 냉장실 도어의 전방의 볼록부인 도어 라이너(101)가 스토퍼의 역할을 하여, 수납 용기가 전방으로 지나치게 나오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부주의하게 수납 용기[야채 용기(50)]를 지나치게 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납 용기[야채 용기(50)]를 지지하는 레일 등의 인출 지지 부재의 단부에 과대한 하중이 집중되어 가해지는 것이나, 과대한 집중 하중이 단부에 가해지는 것에 의한 레일 등의 인출 지지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혹은, 레일 등의 인출 지지 부재의 슬라이드 치수 이상으로 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레일 등의 인출 지지 부재로부터 수납 용기가 빠져 낙하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수납 용기를 지지하는 레일 등의 인출 지지 부재를 갖지 않는 경우라도, 수납 용기의 깊이 치수가 도어의 폭 치수보다도 수납 용기를 지나치게 인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납 용기[야채 용기(50)]를 지나치게 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수납 용기[야채 용기(50)]를 손으로 보유 지지하는 일 없이 충분히 인출한 상태에서 식품의 출납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양호한 동시에 작업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기의 유출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력 절약으로 이어진다.
또한, 도어를 폐쇄한 상태의 양측 개방식 도어의 경우에 있어서, 힌지 반대측의 볼록부인 도어 라이너(101)는, 상기 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50)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볼록부보다도 높은 치수의 볼록부가 접근 대향하여 간극을 형성하므로, 고내의 냉기가 좌우의 도어의 대향하는 도어 측면 사이의 간극에 대류하여 흐르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도어 측면을 냉각하여 열손실되는 것이 억제되는 동시에, 도어 측면에 결로가 발생되기 어려워져 결로 방지를 위한 가열의 필요성도 작아진다. 이에 의해, 전력 소비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양측 개방식의 도어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편측 개방식 도어에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50)를 인출한 경우에, 적어도 인출되는 야채 용기에 대향하는 위치의 도어 배면에는 부분적으로 볼록부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분적으로 볼록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50)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 치수의 볼록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야채 용기(5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인출식 수납 용기이면 그것에 대향하는 위치의 도어 배면에, 상기 볼록부를 부분적으로 구비하지 않거나, 혹은 수납 용기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 치수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냉장실 도어(2a)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냉장실 도어(2b)와 마찬가지의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냉장실 도어를 90도로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야채 용기(50)를 인출하기 위한 손걸이 오목부에 손이 걸릴 정도로 도어를 개방한 상태(예를 들어, 30도 정도)라도, 도어 배면측에 설치된 도어 라이너 등의 볼록 부재와 간섭하지 않도록 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50)를 인출할 수 있다. 즉, 종래 있었던 냉장실 도어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었던 볼록부가 존재하고 있었던 경우, 당해 볼록부를 인출식 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50)와 대향하는 위치에 볼록부를 설치하지 않거나, 혹은 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50)가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 치수로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수납 용기인 야채 용기(50)를 인출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냉장실 도어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야채 용기(50)에 대향하는 위치의 도어 배면에 볼록부를 구비하지 않거나, 혹은 야채 용기(50)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 치수의 볼록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측 개방식 혹은 편측 개방식 도어에 있어서, 인출 구조를 갖는 수납 용기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면, 그 수납 용기의 위치에 대향하여 볼록부를 설치하지 않거나, 혹은 수납 용기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 치수의 볼록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볼록부를 설치하지 않거나 혹은 수납 용기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 치수의 볼록부」라는 표현으로 하였지만, 이 밖에 예를 들어 수납 용기에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오목부나 절결 형상이라고 하는 표현으로 해도 된다.
1 : 냉장고
1H : 냉장고 본체
2a, 2b : 냉장실 도어
2c : 냉동실 도어
3 : 냉장실
4 : 칠드실
5 : 야채실
6 : 냉동실
8 : 도어 포켓
10 : 냉각기실
11 : 냉기 순환용 팬
12 : 냉각기
13 : 기계실
14 : 압축기
15 : 서리 제거 히터
16 : 드레인 파이프
17 : 냉기 덕트
18 : 냉기 유로
50 : 야채 용기
60 : 베이스

Claims (15)

  1. 냉장고 내에 수용 가능한 수용 용기와,
    당해 수용 용기를 적재한 상태에서 인출 가능한 베이스를 갖고,
    상기 베이스는 일부가 글래스 부재로 구성되고, 당해 글래스 부재를 둘러싸도록 조합된 수지 부재와,
    당해 베이스의 좌우의 냉장고 측벽 내에 돌출되는 레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부재는 상기 수용 용기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고,
    냉장고 내의 양측면 하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 그 오목부에는 상기 레일부가 안내되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보유 지지부와 레일부의 단부에 의해 상하로 끼워 넣어지도록 글래스 부재의 외측 프레임이 덮여지고,
    상기 수용 용기는, 냉장고의 도어에 의해 밀봉되는 고내 공간에 수용된 인출식이고,
    상기 도어 배면의 좌우에 상기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고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이 좌우의 볼록부 사이에 도어 포켓을 구비하고,
    냉장실 전방면에 대해 상기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 용기를 인출한 경우에 있어서, 인출되는 수용 용기에 대향하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는, 적어도 힌지측이며 또한 수용 용기의 높이 치수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볼록부를 구비하지 않거나, 혹은 상기 수용 용기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상기 볼록부를 구비하고, 힌지 반대측의 볼록부는 힌지측의 수용 용기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볼록부보다도 높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전방면 일부에 손걸이부를 갖고,
    당해 손걸이부는, 베이스 내부로 돌출되도록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내부에 적재되는 상기 수용 용기는, 상기 손걸이부를 따른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의 저면의 일부에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글래스 부재에 대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는 야채 용기이며, 당해 야채 용기는, 구획 선반으로 구획된 냉장실의 최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획 선반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 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구획 선반을 통해 칠드 용기가 배치되고,
    당해 야채 용기는, 상기 칠드 용기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도어의 배면측에 도어 포켓을 구비하고,
    당해 도어 포켓은 상기 칠드 용기와 대향하는 위치이며 또한 상기 야채 용기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 가능하고,
    상기 냉장실의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당해 도어 포켓과, 당해 칠드 용기가 근접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도어 라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도어를 90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 용기의 전단부가 90도로 개방된 도어의 선단 위치까지 인출 가능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부분에 볼록부를 구비하지 않는 위치, 혹은 수용 용기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 도어 포켓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는, 인출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힌지측이며 또한 수용 용기의 높이 치수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볼록부를 구비하지 않거나, 혹은 수용 용기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의 상기 볼록부 위치보다도 인출된 상태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삭제
KR1020130014553A 2012-06-08 2013-02-08 냉장고 KR101641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30379 2012-06-08
JP2012130379 2012-06-08
JPJP-P-2012-134356 2012-06-14
JP2012134356A JP6186115B2 (ja) 2012-06-08 2012-06-14 冷蔵庫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25021A Division KR20150035863A (ko) 2012-06-08 2015-02-2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88A KR20130138088A (ko) 2013-12-18
KR101641403B1 true KR101641403B1 (ko) 2016-07-20

Family

ID=4982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553A KR101641403B1 (ko) 2012-06-08 2013-02-08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1403B1 (ko)
CN (1) CN1034868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2696B (zh) * 2016-08-26 2018-09-28 合肥雪祺电气有限公司 冰箱抽屉安装结构及冰箱
JP7228423B2 (ja) * 2019-03-18 2023-02-24 シャープ株式会社 収納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4339A (ja) 2005-07-12 2007-02-01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5513A (en) * 1948-01-12 1949-07-05 Transit Freese Inc Collapsible refrigerated tray
JPS5546148U (ko) 1978-09-20 1980-03-26
JPH03294964A (ja) 1990-04-12 1991-12-26 Ricoh Co Ltd 文書検索方法
JP2977266B2 (ja) 1990-11-22 1999-1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の扉装置
BR8300964U (pt) * 2003-06-27 2005-03-29 Multibras Eletrodomesticos Sa Gaveta de frutas para refrigeradores
KR100619732B1 (ko) * 2004-07-29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60101038A (ko) * 2005-03-18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 경사 인출이 가능한 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JP4961295B2 (ja) * 2007-08-02 2012-06-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101608857B (zh) * 2008-06-19 2013-04-24 海尔集团公司 冰箱用储物盒导向机构
KR101149861B1 (ko) * 2009-11-13 2012-05-24 주식회사 파세코 김치 냉장고용 선반
JP2011185463A (ja) * 2010-03-05 2011-09-22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5481311B2 (ja) * 2010-08-06 2014-04-2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4339A (ja) 2005-07-12 2007-02-01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86800B (zh) 2016-01-06
CN103486800A (zh) 2014-01-01
KR20130138088A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8814B1 (en) Refrigerator
CN102124289B (zh) 冷藏库
EP3152502B1 (en) Refrigerator
JP5172407B2 (ja) 冷蔵庫
JP5117142B2 (ja) 冷蔵庫
JP2013083365A (ja) 冷蔵庫の収納室
KR101641403B1 (ko) 냉장고
KR101677611B1 (ko)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1467271B1 (ko) 냉장고
KR20150035863A (ko) 냉장고
CN103026157B (zh) 冷藏库
JP6039924B2 (ja) 冷蔵庫
KR20080079107A (ko) 냉장고
JP6294100B2 (ja) 冷蔵庫
JP2013148274A (ja) 冷蔵庫
JP4641968B2 (ja) 貯蔵庫
KR10145586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홈바
JP3843088B2 (ja) 超低温フリーザ
WO2018123338A1 (ja) 冷蔵庫
JP2006242464A (ja) 冷蔵庫
JP2006250465A (ja) 冷蔵庫
JP5486940B2 (ja) 冷蔵庫
JP2009228967A (ja) 冷蔵庫
JP2011214725A (ja) 冷蔵庫
JP2009068748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