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805B1 -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805B1
KR101640805B1 KR1020160015559A KR20160015559A KR101640805B1 KR 101640805 B1 KR101640805 B1 KR 101640805B1 KR 1020160015559 A KR1020160015559 A KR 1020160015559A KR 20160015559 A KR20160015559 A KR 20160015559A KR 101640805 B1 KR101640805 B1 KR 101640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base
fastening
longitudinal direction
bas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이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우 filed Critical 이용우
Priority to KR102016001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8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determining relative positions by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과 실내를 구획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의 조립방법으로서, 길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되며 양측 측벽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함입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 베이스 파츠에 설치하기 위한 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 및 길이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대시보드 하면에 구비된 돌기를 물도록, 베이스 파츠의 양측 측벽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결속 파츠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베이스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는, 함입부 중앙부를 일정면적으로 평탄하게 형성하는 평탄부 형성단계와, 평탄부의 길이방향 일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1경사부 형성단계와, 평탄부의 길이방향 타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2경사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며, 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는, 베이스 파츠의 양측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제1베이스부를 형성하며, 베이스 파츠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대시보드의 돌기에 접하게 되는 제1체결부를 형성하여 제1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와, 제1베이스부와 대향하여 베이스 파츠의 양측 측벽 사이에서 위치되는 제2베이스부를 형성하며, 베이스 파츠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대시보드의 돌기에 접하게 되는 제2체결부를 형성하여 제2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저면에 돌기 형태의 체결부가 복수 형성된 돌기 타입 대시보드를 치수측정부재와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정밀하고 용이한 치수측정이 가능하며, 고정 모듈 자체도 간단한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및 그 조립방법 {Holding module for measuring car dashboard and assemb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부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외부의 측정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달에 따라 자동차에 탑재되는 다양한 부품들 역시 그 구조가 매우 상이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부품들 중에는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를 예로들 수 있다. 이러한 대시보드는 원래 차량의 실내와 엔진룸을 격리하는 격벽(panel)에서 출발하여 지금의 형태로 발전한 것으로서, 속도계를 비롯하여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해 주는 계기판, 자동차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릴 휠, 오디오와 에어컨의 조절판이 잇는 센터페시아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대시보드는 자동차의 각 부품 생산과 조립에 있어서 정밀한 치수 측정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대시보드는 독립적으로 별도의 측정부재에 고정되어야만 한다. 여기서, 제조사 별로 다양한 차종이 존재하고 이로 인하여 대시보드 역시 다양한 타입으로 제작되고 있어 치수 측정을 위한 별도의 방식이 요구된다.
특히. 이 중에서 저면에 돌기 형태의 체결부가 형성된 타입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방식과 달리 측정부재와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에도 불구하고 대시보드와 측정부재 상호간의 간편하고 안정적인 고정 수단이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07915호
본 발명은, 저면에 돌기 형태의 체결부가 복수 형성된 돌기 타입 대시보드를 치수측정부재와의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보다 정밀하고 용이한 치수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과 실내를 구획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의 조립방법으로서, 길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되며 양측 측벽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함입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 베이스 파츠에 설치하기 위한 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 및 길이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대시보드 하면에 구비된 돌기를 물도록, 베이스 파츠의 양측 측벽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결속 파츠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베이스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는, 함입부 중앙부를 일정면적으로 평탄하게 형성하는 평탄부 형성단계와, 평탄부의 길이방향 일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1경사부 형성단계와, 평탄부의 길이방향 타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2경사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며, 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는, 베이스 파츠의 양측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제1베이스부를 형성하며, 베이스 파츠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대시보드의 돌기에 접하게 되는 제1체결부를 형성하여 제1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와, 제1베이스부와 대향하여 베이스 파츠의 양측 측벽 사이에서 위치되는 제2베이스부를 형성하며, 베이스 파츠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대시보드의 돌기에 접하게 되는 제2체결부를 형성하여 제2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과 실내를 구획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로서, 길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되며 양측 측벽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함입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파츠; 및 길이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대시보드 하면에 구비된 돌기를 물도록, 베이스 파츠의 양측 측벽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결속 파츠를 포함하며, 베이스 파츠는, 함입부 중앙부를 일정면적으로 평탄하게 형성하는 평탄부와, 평탄부의 길이방향 일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1경사부와, 평탄부의 길이방향 타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며, 결속 파츠는, 베이스 파츠의 양측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제1베이스부와, 베이스 파츠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대시보드의 돌기에 접하게 되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는 제1결속 파츠와, 제1베이스부와 대향하여 베이스 파츠의 양측 측벽 사이에서 위치되는 제2베이스부와, 베이스 파츠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대시보드의 돌기에 접하게 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제2결속 파츠를 포함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및 그 조립방법에 의하면, 저면에 돌기 형태의 체결부가 복수 형성된 돌기 타입 대시보드를 치수측정부재와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정밀하고 용이한 치수측정이 가능하며, 고정 모듈 자체도 간단한 구조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차량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차량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의 구성들 중 베이스 파츠와 결속 파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차량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이 대시보드와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이 대시보드와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모듈을 도시한 측면도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결속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결속구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따른 결속구를 도시한 측면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조립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조립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차량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차량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의 구성들 중 베이스 파츠와 결속 파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시보드(DB)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100)은 베이스 파츠(110)와, 결속 파츠(12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파츠(110)는 평탄부(1111)와, 제1경사부(1112)와, 제2경사부(1113)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 파츠(120)는 제1결속 파츠(121)와, 제2결속 파츠(12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파츠(110)는 길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측벽(112)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측벽(112)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함입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파츠(110)는. 상기 평탄부(1111)가 상기 함입부(111) 중앙부에 일정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1112)는 상기 평탄부(1111)의 길이방향 일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1112)와 상기 제1결속 파츠(121)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제1결속 파츠(121)가 상기 측벽(112)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1113)는 상기 평탄부(1111)의 길이방향 타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1113)와 상기 제2결속 파츠(122) 사이에는 탄성부재를 설치되어, 상기제2결속 파츠(122)가 상기 측벽(112)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 파츠(120)는 길이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대시보드(DB) 하면에 구비된 체결부를 물도록,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상기 양측 측벽(112)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속 파츠(120)는 상기 제1결속 파츠(121)와 상기 제2결속 파츠(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속 파츠(121)의 상기 제1베이스부(1211)는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상기 양측 측벽(112)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1212)는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상기 제1베이스부(1211)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시보드(DB)의 체결부(10)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1212)는 상기 제1체결부(1212) 상의 상기 제1베이스부(1211)가 위치하는 일면의 반대면에, 높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제2측벽(1212a)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제2측벽(1212a)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제2함입부(121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1212a)들의 높이 방향을 향하는 단부 사이에는 제1내벽(121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속 파츠(121)는,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상기 양측 측벽(112) 사이에서 상기 제1경사부(1112)를 향하여 유동 가능하되, 길이방향 일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 파츠(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결속 파츠(122)의 상기 제2베이스부(1221)는 상기 제1베이스부(1211)와 대향하여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상기 양측 측벽(112) 사이에서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1222)는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상기 제2베이스부(1221)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시보드(DB)의 상기 돌기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체결부(1222)는, 상기 제2체결부(1222) 상의 상기 제2베이스부(1221)가 위치하는 일면의 반대면에, 높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제3측벽(1222a)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제3측벽(1222a)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제3함입부(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측벽(1222a)들의 높이 방향을 향하는 단부 사이에는 제2내벽(122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속 파츠(122)는,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상기 양측 측벽(112) 사이에서 상기 제2경사부(1113)를 향하여 유동 가능하되, 길이방향 타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 파츠(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베이스 파츠(110)와 상기 결속 파츠(120) 상호 간의 결합을 위한 구조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경사부(1112)의 상면에는 제1홈(11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부(1113) 상면에는 제2홈(1113a)이 형성되며, 상기 평탄부(1111)에는 외부의 측정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소정의 체결공(1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부(1211)의 하면에는 제3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1221)의 하면에는 제4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홈(1112a)과 상기 제3홈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홈(1113a)과 상기 제4홈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대시보드(DB)의 저면에는 소정의 체결부(10)가 복수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상기 체결부(10)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소정의 가이드 핀(11)과, 상기 가이드 핀(11)의 외측을 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삽입체(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체(12)는 초입부(12a)와, 확관부(12b), 축관부(1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입부(12a)는 상기 결속 파츠(120)와의 결속 시에, 상기 제1체결부(1212)와 상기 제2체결부(1222)에 물려져 접할 수 있다.
상기 확관부(12b)는 상기 결속 파츠(120)로부터 상기 체결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초입부(12a)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내벽(1212c)과 상기 제2내벽(1222c)에 걸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관부(12b)는 상기 확관부(12b)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속 파츠(120)와 초기 결속 시 강제끼움 방식으로 상호 결속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 파츠(120)는 체결부(1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강제끼움 될 때 순간적으로 외측을 향하여 유동하여 벌려진 후에 상기 확관부(12b)가 상기 제1내벽(1212c)과 상기 제2내벽(1222c) 내측으로 걸리면서 다시 내측으로 복원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시보드(DB)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100‘)이 대시보드(DB)와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 모듈의 상기 제1체결부(1212‘)는, 상기 제2내벽(1222c’)과 대향하는 상기 제1내벽(1212c‘)의 대향면에 요철형상의 삽입돌기(12d’)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체결부(1222‘)에도 역시, 상기 제1내벽(1212c’)과 대향하는 상기 제2내벽(1222c‘)의 대향면에 요철형상의 삽입돌기(12d’)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삽입돌기(12d‘)의 형상은 어느 특정한 형상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확관부(12b‘)에는, 상기 삽입돌기(12d’)를 삽입시키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돌기(12d’)는, 상기 체결부(10‘)와 상기 결속 파츠(120‘)의 상호 결속 시,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상기 체결부(10’)의 유동에 의하여 상기 확관부(12b’)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10‘)와 상기 결속 파츠(120‘)의 결속을 보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모듈(100")을 도시한 측면도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결속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결속구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따른 결속구를 도시한 측면도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모듈(100")은 결속구(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구(213")는 결속 몸체(2110")와, 제1바이스 부재(2115")와, 제2바이스 부재(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구(213")는 베이스 파츠(110")에 하부에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하부로 다양한 수단(예: 볼트체결 방식 등)을 통해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결속구(213")는 베이스 파츠(110")에 설치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결속 몸체(2110")는 대상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밴드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그 양단 각각의 일부는 상기 제1바이스부재(2115")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그 양단 각각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가 힌지 결합되게 된다.
상기 결속 몸체(2110")에는 상기 결속 몸체(2110")를 대상물에 결속시킬 때, 대상물에 규격에 자유롭게 상긱 결속 몸체(2110")를 소정 간격으로 가압하여 절곡시키기 위한 완충부(2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2110a")는 상기 결속 몸체(2110")와 경도가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부(2110a")를 상기 결속 몸체(2110")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유연한 성질의 재질(예 : 저경도 금속, 합성수지, 고무, 엘라스토머 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인접부와 단차를 가지는 등의 두께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완충부는(2110a")는 상기 결속 몸체(2110") 상에 필요에 맞게 하나 이상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상물에 체결시 가압힘이 많이 가해지는 상기 결속 몸체(2110")의 절곡된 중앙부에 또는 각 단부에 인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속 몸체(2110")의 중단에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볼트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2112")이 마련된다.
상기 제1바이스 부재(2115")는 상기 결속 몸체(2110")의 양단부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어 쌍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바이스 부재(2115")는 상기 결속 몸체(2110")의 양단부 일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면(2115a")과, 상기 절곡면(2115a")에서 연장되어 상기 절곡면(2115a")과 함께 일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또는 'ㄷ' 자 형상을 형성하는 제1후크면(2115b")을 구비하여 상기 결속 몸체(2110")와 일체형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부방향에 위치되는 제1바이스 부재(2115")를 예를 들면, 상기 절곡면(2115a")은 상기 결속 몸체(2110")의 일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면이며, 상기 제1후크면(2115b")은 상기 절곡면(2115a")에서 좌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연장단부에서 다시 한번 절곡되어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면(2115a")와 함께 일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 또는 ㄷ 자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하부방향에 위치되는 제1바이스 부재(2115")에서는, 상기 절곡면(2115a")은 상기 결속 몸체(2110")의 타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면이며, 제1후크면(2115b")은 상기 절곡면(2115a")에서 좌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그 연장단부에서 다시 한번 절곡되어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면(2115a")과 함께 일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 또는 'ㄷ' 자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면(2115a")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 상기 절곡면(2115a")과 함께 끼움홈을 형성하도록 돌출되는 가압돌기(2118")가 상기 결속 몸체(2110")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돌기(2118")는 상기 절곡면(2115a")에 인접된 상기 결속 몸체(2110") 부분에서 상기 절곡면(2115a")과 같이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돌기(2118")와 상기 절곡면(2115a")에 의해 형성되는 끼움홈에는 후술하는 제1걸림편(2120c")의 단부가 삽입되게 된다.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는, 상기 결속 몸체(2110")의 양단부 각각의 타측에 구비되어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바이스 부재(2115")와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는, 상기 결속 몸체(2110")의 양단부 타측에서 상기 결속 몸체(2110")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일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 또는 'ㄷ' 자 형상으로 상기 제1바이스 부재(2115")와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는, 상기 결속 몸체(2110")의 양단부 타측면과 접촉하여 힌지결합되는 접촉면(2120a")과, 상기 접촉면(2120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어 일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는 제2후크면(2120b")과, 상기 제2후크면(2120b")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1걸림편(2120c")을 구비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접촉면(2120a")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걸림편(2120d")을 구비한다.
상기 접촉면(2120a")은 상기 결속 몸체(2110")의 양단부의 타측면 또는 양단부에 인접된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결속 몸체(2110")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면이고, 상기 제2후크면(2120b")은 상기 접촉면(2120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다시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그 단부가 다시 절곡되어 일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 또는 'ㄷ' 자 형상을 이룬다.
상부방향에 위치되는 제2바이스 부재(2120")의 상기 제2후크면(2120b")을 예로들면, 상기 제2후크면(2120b")은 상기 접촉면(2120a")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상부연장면과 상부연장면에서 우측방향으로 다시 절곡되어 연장되는 우측연장면을 구비하고 우측연장면의 단부에서 다시 절곡되어 걸림부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 또는 'ㄷ' 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걸림편(2120c")은 상기 제2후크면(2120b")의 일단에서 일정길이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편(2120c")은 상기 제2후크면(2120b")의 일단부에서 좌측방향으로 상기 제1바이스 부재(2115")의 절곡면(2115a")이 위치되는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편(2120c")의 단부는 상기 절곡면(2115a")와 상기 가압돌기(2118")에 의해 형성되는 끼움홈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제1걸림편(2120c")이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바이스부재(2115")와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가 서로 결합되게 되고, 상기 제1바이스부재(2115")와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는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 또는 일측이 개방된 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결속구(213")가 완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의 상기 제1걸림편(2120c")은 일정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걸림편(2120c")이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걸림편(2120c")이 상기 끼움홈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의 회전 또는 회동시에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가압되게 된다. 즉 상기 절곡면(2115a")과 상기 가압돌기(2118")는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가 회동 또는 회전가능하고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가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결속 몸체(2110")는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와의 결합부분 또는 이에 인접하여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두개의 회전방지돌기들(2114")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바이스부재(2120")는 상기 접촉면(2120a")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걸림편(2120d")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들(2114")은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힌지공(2116")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편(2120d")은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의 상기 접촉면(2120a")에 형성되는 힌지공에 인접하여, 힌지핀(2130")에 의한 힌지결합시 상기 제1걸림편(2120d")이 상기 회전방지돌기들(2114")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들(2114") 사이에 상기 제2걸림편(2120d")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와 상기 결속 몸체(2110")가 힌지결합되면, 상기 제2걸림편(2120d")이 상기 회전방지돌기들(2114")의 사이에서만 움직임이 가능해,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바이스 부재(2120")의 회전각도가 한정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회전방지돌기들(2114")의 위치나 이격거리를 변경할수 있고, 상기 제2걸림편(2120d")의 위치를 변경하여, 회전각도 조절 또는 탄성력의 조절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시보드(DB)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조립방법(S100)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모듈 조립방법(S100)은, 차량의 엔진룸과 실내를 구획하는 차량용 대시보드(DB)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의 조립방법으로서, 길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측벽(112)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측벽(112)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함입부(111)가 형성되는 베이스 파츠(110)를 준비할 수 있다.(S110단계)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파츠(110)를 준비하는 단계(S110단계)는, 상기 함입부(111) 중앙부를 일정면적으로 평탄하게 형성하는 평탄부(111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탄부(1111)에는 외부의 측정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소정의 체결공(1111a)이 형성될 수 있다.(S111단계)
상기 평탄부(1111)를 형성한 이후에는, 상기 평탄부(1111)의 길이방향 일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1경사부(111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부(1112) 상면에는 제1홈(1112a)이 형성될 수 있다.(S112단계)
제1경사부(1112)를 형성한 이후에는, 상기 평탄부(1111)의 길이방향 타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2경사부(11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1113) 상면에는 제2홈(1113a)이 형성될 수 있다.(S113단계)
상기 베이스 파츠(110)를 준비한 이후, 준비된 상기 베이스 파츠(110)에 설치하기 위한 결속 파츠(120)를 준비할 수 있다.(S120단계)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상기 양측 측벽(112) 사이에 위치되는 제1베이스부(1211)를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상기 제1베이스부(1211)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시보드(DB)의 돌기에 접하게 되는 제1체결부(1212)를 형성하여 제1결속 파츠(121)를 준비할 수 있다.(S121단계)
여기서, 상기 제1베이스부(1211)의 하면에는 제3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부(1212)는, 상기 제1체결부(1212) 상의 상기 제1베이스부(1211)가 위치하는 일면의 반대면에는, 높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제2측벽(1212a)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제2측벽(1212a)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제2함입부(121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1212a)의 하단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1211)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측벽(1212a)들의 높이 방향을 향하는 단부 사이에는 제1내벽(121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속 파츠(121)를 준비한 이후에, 상기 제1베이스부(1211)와 대향하여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상기 양측 측벽(112) 사이에서 위치되는 제2베이스부(1221)를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상기 제2베이스부(1221)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시보드(DB)의 상기 돌기에 접하게 되는 제2체결부(1222)를 형성하여 제2결속 파츠(122)를 준비할 수 있다(S122단계)
여기서, 상기 제2베이스부(1221)의 하면에는 제4홈(122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1222)는, 상기 제2체결부(1222) 상의 상기 제2베이스부(1221)가 위치하는 일면의 반대면에, 높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제3측벽(1222a)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제3측벽(1222a)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제3함입부(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측벽(1222a)의 하단부는 상기 제2베이스부(1221) 방향으로 테이퍼 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측벽(1222a)들의 높이 방향을 향하는 단부 사이에는 제2내벽(122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 파츠(120)를 준비하여 상기 베이스 파츠(110)에 설치한 이후에는, 길이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대시보드(DB) 하면에 구비된 돌기를 물도록,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상기 양측 측벽(112)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결속 파츠(120)를 설치할 수 있다.(S130단계)
상기 결속 파츠(120)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상기 양측 측벽(112) 사이에서 상기 제1경사부(1112)를 향하여 유동 가능하되, 길이방향 일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 파츠(110)에 제1결속 파츠(121)를 설치할 수 있다.(S131단계)
상기 제1결속 파츠(121)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경사부(1112)와 상기 제1결속 파츠(121) 사이에는 탄성부재를 설치할 수 있으며(S1311단계), 상기 제1결속 파츠(121)를 상기 측벽(112)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킬 수 있다.(S1312단계)
상기 제1결속 파츠(121)를 설치한 이후에, 상기 베이스 파츠(110)의 상기 양측 측벽(112) 사이에서 상기 제2경사부(1113)를 향하여 유동 가능하되, 길이방향 타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 파츠(110)에 제2결속 파츠(122)를 설치할 수 있다.(S132단계)
상기 제2결속 파츠(122)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2경사부(1113)와 상기 제2결속 파츠(122) 사이에는 탄성부재를 설치할 수 있으며(S1321단계), 상기 제2결속 파츠(122)를 상기 측벽(112)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킬 수 있다.(S1322단계)
상기 결속 파츠(120)를 설치한 이후에, 상기 베이스 파츠(110)에 설치된 상기 결속 파츠(120)를 상기 대시보드(DB)의 저면에 구비되는 체결부(10)에 설치할 수 있다.(S140단게)
여기서, 상기 체결부(10)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소정의 가이드 핀(11)과, 상기 가이드 핀(11)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삽입체(12)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12)는, 상기 결속 파츠(120)를 통한 상기 체결부(10)와의 결속 시에, 상기 제1체결부(1212)와 상기 제2체결부(1222)에 물려져 접하는 초입부(12a)와, 상기 제1내벽(1212c)과 상기 제2내벽(1222c)에 걸려지는 상기 결속 파츠(120)로부터 상기 체결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초입부(12a)로부터 절곡되어 확관부(12b)와, 상기 확관부(12b)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축관부(12c)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10)는 상기 결속 파츠(120)와 초기 결속 시 상방에서 하방으로 강제끼움 방식으로 상호 결속 될 수 있다.(S140단계)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체결부(1212)는, 상기 제2내벽(1222c)과 대향하는 상기 제1내벽(1212c)의 대향면에 요철형상의 삽입돌기(12d)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체결부(1222)에, 상기 제1내벽(1212c)과 대향하는 상기 제2내벽(1222c)의 대향면에 요철형상의 삽입돌기(12d)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확관부(12b)에는, 상기 삽입돌기(12d)를 삽입시키기 위한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12d)는, 상기 체결부(10)와 상기 결속 파츠(120)의 상호 결속 시,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상기 체결부(10)의 유동에 의하여 상기 확관부(12b)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10)와 상기 결속 파츠(120)의 결속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시보드(DB)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조립방법(S200)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파츠(110‘)를 준비하는 단계(S210)는, 상기 함입부(111’) 중앙부를 일정면적으로 평탄하게 형성하는 평탄부(111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탄부(1111‘)에는 외부의 측정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소정의 체결공(도 7의 체결공(1111a)과 대응되는)(1111a’)이 형성될 수 있다.(S211단계)
상기 평탄부(1111‘)를 형성한 이후에는, 상기 평탄부(1111’)의 길이방향 일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1경사부(111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부(1112’) 상면에는 제1홈(1112a’)이 형성될 수 있다.(S212단계)
상기 제1경사부(1112‘)를 형성한 이후에는, 상기 평탄부(1111’)의 길이방향 타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2경사부(11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1113’) 상면에는 제2홈(1113a‘)이 형성될 수 있다.(S213단계) 상기 제2홈(1113a’)이 형성된 후에 상기 양측 측벽(112‘)에는 제1힌지공(미도시), (예: 도 4의 제1힌지공(NH1)과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S214단계)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S211단계 내지 상기 S214단계는 상호 간에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싱기 베이스 파츠(110‘)를 준비하는 단계(S210단계)는, 상기 함입부(111’) 중앙부를 일정면적으로 평탄하게 형성하는 평탄부(111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탄부(1111’)에는 외부의 측정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소정의 체결공(1111a‘)이 형성될 수 있다.(S211단계)
상기 평탄부(1111‘)를 형성한 이후에는, 상기 평탄부(1111’)의 길이방향 일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1경사부(111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부(1112’) 상면에는 제1홈(1112a‘)이 형성될 수 있다.(S212단계)
싱기 제1경사부(1112‘)를 형성한 이후에는, 상기 평탄부(1111’)의 길이방향 타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2경사부(11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1113’) 상면에는 제2홈(1113a‘)이 형성될 수 있다.(S213단계) 상기 제2홈(1113a’)이 형성된 후에 상기 양측 측벽(112‘)에는 제1힌지공을 형성할 수 있다.(S214단계)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S211단계 내지 상기 S214단계는 상호 간에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1결속 파츠(121‘)를 준비하는 단계(S221단계)는, 상기 제1베이스부(1211’)에 장공형태의 제2힌지공(미도시)(예: 도 4의 제1힌지공에 대응하여 장공으로 형성되는 형태)을 형성하는 단계(S2211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결속 파츠(122‘)를 준비하는 단계(S222단계)는 상기 제2베이스부(1221’)에 장공형태의 제3힌지공(미도시)(예: 도 4의 제1힌지공에 대응하여 장공으로 형성되는 형태)을 형성하는 단계(S2221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속 파츠(121‘)를 설치하는 단계(S231단계)는, 상기 제1경사부(1112’)와 상기 제1결속 파츠(121‘) 사이로 탄성부재를 설치할 수 있으며(S2311단계), 상기 제1결속 파츠(121’)를 상기 측벽(112‘)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킬 수 있다.(S2312단계)
상기 제2결속 파츠(122‘)를 설치하는 단계(S232단계)는, 상기 제2경사부(1113’)와 상기 제2결속 파츠(122‘) 사이로 탄성부재를 설치할 수 있으며(S2321단계), 상기 제2결속 파츠(122’)를 상기 측벽(112‘)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킬 수 있다.(S2322단계)
즉, 상기 제1결속 파츠(121‘) 및 상기 제2결속 파츠(122’)는 상기 함입부(111‘)의 길이방향 상으로 진퇴 유동이 가능하여 상기 대시보드(DB)에 구비되는 체결부(10’)에 대하여 보다 용이하게 결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DB : 대시보드
10, 10’, 10” : 체결부
11, 11’, 11”: 가이드 핀
12, 12’, 12” : 삽입체
12a, 12a’, 12a” : 초입부
12b, 12b’, 12b” : 확관부
12c, 12c’, 12c” : 축관부
12d, 12d’, 12d” : 삽입돌기
110, 110’, 110” : 베이스 파츠
111, 111’, 111” : 함입부
1111, 1111’, 1111” : 평탄부
1111a, 1111a’, 1111a” : 체결공
1112, 1112’, 1112” : 제1경사부
1112a, 1112a’, 1112a” : 제1홈
1113, 1113’, 1113” : 제2경사부
1113a, 1113a’, 1113a” : 제2홈
112, 112’, 112” : 측벽
120, 120’, 120” : 결속 파츠
121, 121’, 121” : 제1결속 파츠
1211, 1211’, 1211” : 제1베이스부
1212, 1212’, 1212’ : 제1체결부
1212a, 1212a’, 1212a’ : 제2측벽
1212b, 1212b’, 1212b” : 제2함입부
1212c, 1212c’, 1212c” : 제1내벽
122, 122’, 122” : 제2결속 파츠
1221, 1221’, 1221” : 제2베이스부
1222, 1222’, 1222” : 제2체결부
1222a, 1222a’, 1222a” : 제3측벽
122b, 122b’, 122b” : 제3함입부
1222c, 1222c’, 1222c” : 제2내벽
213” : 결속구
2110” : 결속 몸체
2115” : 제1바이스 부재
2120” : 제2바이스 부재

Claims (18)

  1. 차량의 엔진룸과 실내를 구획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로서,
    길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함입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파츠; 및
    길이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대시보드 하면에 구비된 돌기를 물도록, 상기 베이스 파츠의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결속 파츠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파츠는,
    상기 함입부 중앙부를 일정면적으로 평탄하게 형성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길이방향 일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1경사부와,
    상기 평탄부의 길이방향 타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 파츠는,
    상기 베이스 파츠의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 파츠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상기 제1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시보드의 상기 돌기에 접하게 되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는 제1결속 파츠와,
    상기 제1베이스부와 대향하여 상기 베이스 파츠의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서 위치되는 제2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 파츠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시보드의 상기 돌기에 접하게 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제2결속 파츠를 포함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1체결부 상의 상기 제1베이스부가 위치하는 일면의 반대면에, 높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제2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제2측벽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제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2체결부 상의 상기 제2베이스부가 위치하는 일면의 반대면에는, 높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제3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제3측벽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제3함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측벽들의 높이 방향을 향하는 단부 사이에는 제1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3측벽들의 높이 방향을 향하는 단부 사이에는 제2내벽이 형성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시보드의 저면에는 상기 결속 파츠와의 결속을 위한 소정의 체결부가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소정의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핀의 외측을 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삽입체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는,
    상기 결속 파츠를 통한 상기 체결부와의 결속 시에,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에 물려져 접하는 초입부와, 상기 제1내벽과 상기 제2내벽에 걸려지는 상기 결속 파츠로부터 상기 체결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초입부로부터 절곡되는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축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속 파츠와 초기 결속 시 상방에서 하방으로 강제끼움 방식으로 상호 결속 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속 파츠는,
    상기 베이스 파츠의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1경사부를 향하여 유동 가능하되, 길이방향 일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 파츠에 설치되며,
    상기 제2결속 파츠는,
    상기 베이스 파츠의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2경사부를 향하여 유동 가능하되, 길이방향 타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 파츠에 설치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결속 파츠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제1결속 파츠가 상기 측벽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경사부와 상기 제2결속 파츠 사이에는 탄성부재를 설치되어, 상기제2결속 파츠가 상기 측벽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파츠의 상기 양측 측벽에 제1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 파츠의 상기 제1베이스부에는 장공형태의 제2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속 파츠의 상기 제2베이스부에는 장공형태의 제3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 파츠 및 상기 제2결속 파츠는 각기 상기 함입부의 길이방향 상으로 진퇴 유동 가능한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의 상면에는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부 상면에는 제2홈이 형성되며, 상기 평탄부에는 외부의 측정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소정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부의 하면에는 제3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의 하면에는 제4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홈과 상기 제3홈에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2홈과 상기 제4홈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싱기 베이스 파츠의 하방에 체결되는 결속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속구는,
    밴드형상으로 절곡된 결속 몸체와,
    상기 결속 몸체의 양단부 일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절곡면과 함께 일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는 제1후크면을 구비하여 상기 결속 몸체와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한쌍의 제1바이스 부재와,
    상기 결속 몸체의 양단부 타측에서 상기 결속 몸체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일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상기 제1바이스 부재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바이스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속 몸체는 상기 절곡면과 함께 끼움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절곡면에 인접되어 돌출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바이스 부재는 일단부에서 연장된 제1걸림편을 구비하여, 상기 끼움홈에 상기 제1걸림편이 끼워져 상기 절곡면과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상기 제2바이스 부재가 가압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이스 부재는, 상기 결속 몸체의 타측과 접촉하여 힌지결합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어 일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는 제2후크면과, 상기 제2후크면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1걸림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2바이스 부재는, 상기 접촉면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걸림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 몸체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회전방지돌기들을 구비하여, 상기 제2걸림편이 상기 회전방지돌기들 사이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하여 상기 제2바이스 부재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11. 차량의 엔진룸과 실내를 구획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의 조립방법으로서,
    길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함입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파츠에 설치하기 위한 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 및
    길이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대시보드 하면에 구비된 돌기를 물도록, 상기 베이스 파츠의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결속 파츠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함입부 중앙부를 일정면적으로 평탄하게 형성하는 평탄부 형성단계와,
    상기 평탄부의 길이방향 일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1경사부 형성단계와,
    상기 평탄부의 길이방향 타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제2경사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파츠의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베이스부를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 파츠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상기 제1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시보드의 마련되는 체결부에 접하게 되는 제1체결부를 형성하여 제1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베이스부와 대향하여 상기 베이스 파츠의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서 위치시키기 위한 제2베이스부를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 파츠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하는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대시보드의 상기 돌기에 접하게 되는 제2체결부를 형성하여 제2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조립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1체결부 상의 상기 제1베이스부가 위치하는 일면의 반대면에는, 높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제2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제2측벽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제2함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측벽의 하단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2체결부 상의 상기 제2베이스부가 위치하는 일면의 반대면에는, 높이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제3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제3측벽 사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된 제3함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3측벽의 하단부는 상기 제2베이스부 방향으로 테이퍼 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측벽들의 높이 방향을 향하는 단부 사이에는 제1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3측벽들의 높이 방향을 향하는 단부 사이에는 제2내벽이 형성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조립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시보드의 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부를 상기 베이스 파츠에 설치된 상기 결속 파츠에 설치하여 상기 결속 파츠와 상기 대시보드를 결속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소정의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핀의 외측을 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삽입체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는,
    상기 결속 파츠를 통한 상기 체결부와의 결속 시에,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에 물려져 접하는 초입부와, 상기 제1내벽과 상기 제2내벽에 걸려지는 상기 결속 파츠로부터 상기 체결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초입부로부터 절곡되는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축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속 파츠와 초기 결속 시 상방에서 하방으로 강제끼움 방식으로 상호 결속 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조립방법.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파츠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파츠의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1경사부를 향하여 유동 가능하되, 길이방향 일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 파츠에 제1결속 파츠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파츠의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2경사부를 향하여 유동 가능하되, 길이방향 타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 파츠에 제2결속 파츠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조립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속 파츠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결속 파츠 사이에는 탄성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결속 파츠를 상기 측벽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속 파츠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2경사부와 상기 제2결속 파츠 사이에는 탄성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2결속 파츠를 상기 측벽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조립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양측 측벽에 제1힌지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1베이스부에 장공형태의 제2힌지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2베이스부에 장공형태의 제3힌지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결속 파츠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결속 파츠는 상기 함입부의 길이방향 상으로 진퇴 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2결속 파츠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결속 파츠는 상기 함입부의 길이방향 상으로 진퇴 유동 가능한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조립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경사부 상면에는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부 상면에는 제2홈이 형성되며, 상기 평탄부에는 외부의 측정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소정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베이스부의 하면에는 제3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결속 파츠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베이스부의 하면에는 제4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속 파츠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홈과 상기 제3홈에 탄성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제2결속 파츠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홈과 상기 제4홈에 탄성부재를 설치하는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조립방법.
KR1020160015559A 2016-02-11 2016-02-11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및 그 조립방법 KR101640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559A KR101640805B1 (ko) 2016-02-11 2016-02-11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559A KR101640805B1 (ko) 2016-02-11 2016-02-11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805B1 true KR101640805B1 (ko) 2016-07-29

Family

ID=5661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559A KR101640805B1 (ko) 2016-02-11 2016-02-11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8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155B1 (ko) * 1996-07-25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트렁크 외측 패널 치수 측정 장치
KR100207915B1 (ko) 1996-06-29 1999-07-15 양재신 자동차 대시보드의 완충구조
KR20080113476A (ko) * 2007-06-25 2008-12-31 (주)삼정스틸 방음벽용 파이프 클램프
KR100960039B1 (ko) * 2009-12-09 2010-05-31 김정배 자동차 부품 검사용 범용 지그 및 자동차 부품 검사용 범용 지그의 베이스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915B1 (ko) 1996-06-29 1999-07-15 양재신 자동차 대시보드의 완충구조
KR100196155B1 (ko) * 1996-07-25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트렁크 외측 패널 치수 측정 장치
KR20080113476A (ko) * 2007-06-25 2008-12-31 (주)삼정스틸 방음벽용 파이프 클램프
KR100960039B1 (ko) * 2009-12-09 2010-05-31 김정배 자동차 부품 검사용 범용 지그 및 자동차 부품 검사용 범용 지그의 베이스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0292B2 (ja) 物品取付具
EP3056768B1 (en) Shift device
WO2012063373A1 (ja) スルーアンカ
US9849840B2 (en) Attaching structure for vehicle-mounted equipment
CN101441091B (zh) 旋转角检测装置
US11040663B2 (en) Pre-loaded two-lobe spring twist-on rearview mounting assembly
JP6578548B2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リンク装置
JPWO2007013635A1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180078002A1 (en) Buckle for seatbelt device
JPWO2019088109A1 (ja) 固定構造
US20090134559A1 (en) Spring Assembly
EP3054196B1 (en) Shift device
KR101640805B1 (ko) 차량용 대시보드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및 그 조립방법
US6508143B2 (en) Structure for mounting to steering wheel
WO2015146087A1 (ja) 空調装置
US20130219795A1 (en) Urging device
US20100066061A1 (en) Air Bag Fastener Assembly
US4438894A (en) Holder
JPH0571014U (ja) 装飾枠とケース本体との嵌合構造
US20130239737A1 (en) Method and instruction for attachment of etc pedal to bracket
JP2006336748A (ja) 樹脂成形体の取付構造
JP2008074362A (ja) 自動車用ボディパネルと取付部品との取付構造、及びロッカパネルとロッカプロテクタとの取付構造
US9925945B2 (en) Airbag assemblies in a vehicle
KR101949475B1 (ko) 차량용 액츄에이터
JP5859618B2 (ja) スルーアン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