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714B1 - 스키화 바인딩 - Google Patents

스키화 바인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714B1
KR101640714B1 KR1020150082535A KR20150082535A KR101640714B1 KR 101640714 B1 KR101640714 B1 KR 101640714B1 KR 1020150082535 A KR1020150082535 A KR 1020150082535A KR 20150082535 A KR20150082535 A KR 20150082535A KR 101640714 B1 KR101640714 B1 KR 101640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pport member
support
metal frame
a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 리-첸
Original Assignee
치 솅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 솅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엘티디. filed Critical 치 솅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엘티디.
Priority to KR102015008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9/00Ski bind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9/00Ski bindings
    • A63C9/08Ski bindings yieldable or self-releasing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e. safety bindings
    • A63C9/082Ski bindings yieldable or self-releasing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e. safety bindings with swivel heel-pl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9/00Ski bindings
    • A63C9/08Ski bindings yieldable or self-releasing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e. safety bindings
    • A63C9/085Ski bindings yieldable or self-releasing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e. safety bindings with sole hold-downs, e.g. swingab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와, 스키판과 접합되어 위치 결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접합구조와, 상기 베이스의 좌측변에서 상기 후측변의 좌측 절반부분을 향해 경사지게 위로 연장하는 좌측 지지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우측변에서 상기 후측변의 우측 절반부분을 향해 경사지게 위로 연장하는 우측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후측변에 위치하는 상기 좌측 지지부재의 일단과 상기 베이스의 후측변에 위치하는 상기 우측 지지부재의 일단은 서로 미리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는 지지구조와, 서로 마주하는 양측이 상기 좌측 지지부재의 최상단과 상기 우측 지지부재의 최상단에 각각 연결되는 발목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하는 양단은 상기 베이스의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신발안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신발안착 공간에 수용되는 스키화와 상기 베이스를 서로 긴밀하게 고정시키는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스키화 바인딩을 제공함으로써, 좌우 비틀림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키화 바인딩{SKI SHOE BINDING}
본 발명은 스키화 바인딩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스키화는 통상적으로 스키판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키화 바인딩에 의해 스키판에 고정되며, 특허 US 2009/0174172, TW 257991, TW 298090, TW 305222, TW 312998와 TW 521636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스키화 바인딩은 베이스, 발목 지지대와 끈을 포함하고, 상기 발목 지지대는 스키화의 발목부분이 지지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후단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끈은 스키화와 베이스가 서로 긴밀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그 중, 기존의 발목 지지대는 베이스의 후측변까지 직접 일체로 연결되고, 다시 좌우 양측변으로 진일보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발목이 좌우로 비틀리며 흔들릴 때, 흔들리는 발목 지지대는 필연적으로 베이스를 연동시켜 함께 흔들리게 되므로, 평형의 파괴를 초래하고, 또는 베이스가 오히려 발목 지지대의 흔들림 폭을 제한하여 비틀리며 흔들리는 수준이 한정적이게 되므로, 팬시 스키의 동작 표현을 제한한다. 다른 한가지 가능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발목이 확실하게 비틀리며 흔들리게 되었지만, 베이스가 발목 지지대의 흔들림을 제한하므로, 발목 지지대와 사용자의 발목이 서로 빗나가는 것을 초래하여, 발목에 대한 보호를 감소시켜 쉽게 부상을 입는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좌우로의 비틀림 흔들림이 비교적 큰 자유도를 구비하여 스키 동작의 표현 효과를 향상시키는 스키화 바인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좌측변, 우측변과 후측변을 구비하는 베이스(base); 스키판과 접합되어 위치 결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접합구조; 상기 좌측변에서 상기 후측변의 좌측 절반부분을 향해 경사지게 위로 연장하는 좌측 지지부재와 상기 우측변에서 상기 후측변의 우측 절반부분을 향해 경사지게 위로 연장하는 우측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후측변에 위치하는 상기 좌측 지지부재의 일단과 상기 베이스의 후측변에 위치하는 상기 우측 지지부재의 일단은 서로 미리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는 지지구조; 일단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이 상기 좌측 지지부재의 최상단과 상기 우측 지지부재의 최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의 후측변의 상측에 위치하는 발목 지지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하는 양단은 상기 베이스의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신발안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신발안착 공간에 수용되는 스키화와 상기 베이스를 서로 긴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부재의 상기 일단과 상기 우측 지지부재의 상기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후측 폭의 4/5보다 작은 틈을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여 연장하는 스키화 바인딩(Binding)을 제공한다.
이로써, 발목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재는 좌우로 2개의 서로 독립적이고 이격되는 부재로 구분되므로, 사용자가 좌우로 비틀리는 동작을 할 때, 좌측/우측 지지부재는 각각 조금 변형되어, 발목 지지대가 사용자의 발목의 이동에 따라 발목에 지속적으로 양호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조에 따라 사용자의 좌우로의 비틀림 동작이 스키판에서 가장 진실하게 표현될 수 있고, 발목 지지대는 항상 발목에 긴밀한 지지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배면도이다.
도3a는 도3의 부분적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부분적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사용 모식도이다.
먼저 설명해야 할 것은, 이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실현 가능한 실시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이 보호하고자 하는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10), 접합구조(20), 지지구조(30), 발목 지지대(40)와 고정구조(50)를 포함하여 스키화를 스키판에 고정하기 위한 스키화 바인딩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측변, 우측변과 후측변을 구비하고,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10)는 프론트 베이스(11)와 리어 베이스(12)를 포함하고, 회동구조(60)는 상기 프론트 베이스(11)와 상기 리어 베이스(12)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접합구조(20)는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되어 스키판과 접합되어 위치 결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구조(30)는 상기 좌측변에서 상기 후측변의 좌측 절반부분을 향해 경사지게 위로 연장하는 좌측 지지부재(31)와 상기 우측변에서 상기 후측변의 우측 절반부분을 향해 경사지게 위로 연장하는 우측 지지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의 후측변에 위치하는 상기 좌측 지지부재(31)의 일단과 상기 베이스(10)의 후측변에 위치하는 상기 우측 지지부재(32)의 일단은 서로 미리 설정된 거리로 이격된다. 상기 좌측 지지부재(31)의 상기 일단과 상기 우측 지지부재(32)의 상기 일단은 상기 베이스(10)의 후측 폭의 4/5보다 작은(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10)의 후측 폭의 1/2보다 작다) 틈(34)을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여 연장한다. 따라서, 상기 좌측 지지부재(31) 및 상기 우측 지지부재(32)는 발목에 양호한 지지를 제공하고, 또한 다양한 스키화와 바람직한 호환성을 구비한다.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면, 상기 좌측 지지부재(31)는 금속 프레임(311)와 받침부재(312)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311)은 대개 둔각 삼각형을 이루며 대개 상기 베이스의 좌측변과 평행되게 상기 좌측변에 고정되는 밑변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311)은 상기 밑변과 둔각을 이루는 지지변 및 상기 밑변과 상기 지지변을 연결시키는 연장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변은 상기 베이스(10)의 후측변과 비교적 가깝고, 상기 연장변은 상기 베이스(10)의 후측변과 비교적 멀며, 상기 밑변, 상기 지지변과 상기 연장변은 각각 스트립형 금속 또는 파이프 형상의 금속이고, 상기 받침부재(312)는 상기 발목 지지대(40)가 연결되도록 상기 금속 프레임(311)의 상기 밑변을 멀리하는 일단에 구비된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우측 지지부재(32)는 금속 프레임(321)와 받침부재(322)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321)은 대개 둔각 삼각형을 이루며 대개 상기 베이스의 우측변과 평행되게 상기 우측변에 고정되는 밑변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321)은 상기 밑변과 둔각을 이루는 지지변 및 상기 밑변과 상기 지지변을 연결시키는 연장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변은 상기 베이스(10)의 후측변과 비교적 가깝고, 상기 연장변은 상기 베이스(10)의 후측변과 비교적 멀며, 상기 밑변, 상기 지지변과 상기 연장변은 각각 스트립형 금속 또는 파이프 형상의 금속이고, 상기 받침부재(322)는 상기 발목 지지대(40)가 연결되도록 상기 금속 프레임(321)의 상기 밑변을 멀리하는 일단에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좌측 지지부재(31)와 상기 우측 지지부재(32)는 선행기술에 따른 단일한 일체형 지지부재를 대체하여, 상기 베이스(10)의 좌우 양측에 이격되게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10)의 후측변까지 연장된다.
상기 좌측 지지부재(31)는 좌측 연결판(3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결판(313)은 상기 금속 프레임(311)에 조립되며 선택적이고 조정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10)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10)에는 호형의 관통홈(1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좌측 연결판(313)은 핀 체결 기구(15)에 의해 상기 호형의 관통홈(14)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선택적이고 조정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10)에 연결된다. 상기 우측 지지부재(32)는 우측 연결판(3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연결판(323)은 상기 금속 프레임(321)에 조립되며 선택적이고 조정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10)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10)에는 호형의 관통홈(1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우측 연결판(323)은 핀 체결 기구(17)에 의해 상기 호형의 관통홈(16)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선택적이고 조정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10)에 연결된다.
그 중,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10)는 프론트 베이스(11), 좌측 베이스(12)와 우측 베이스(13)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베이스(11), 상기 좌측 베이스(12) 및 상기 우측 베이스(13)는 상호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서로 간격을 두어 분리된다. 상기 좌측 베이스(12)와 상기 우측 베이스(13)는 상기 접합구조(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접합구조(20)는 가요성을 가지며, 상기 접합구조(20)는 상기 발목 지지대(40)와 상기 프론트 베이스(11)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좌측 지지부재(31)의 일단은 상기 좌측 베이스(12) 및 상기 프론트 베이스(11)의 좌측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지지부재(32)의 일단은 상기 우측 베이스(13) 및 상기 프론트 베이스의 우측(11)과 연결되고, 상기 죄측 베이스와 상기 우측 베이스 사이에는 미리 설정된 거리로 미리 설정된 너비의 틈을 형성한다. 상기 좌측 베이스(12)는 회동 가능하고 또한 조정 가능하게 상기 좌측 지지부재(31)의 좌측 연결판(313)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 베이스(13)는 회동 가능하고 또한 조정 가능하게 상기 우측 지지부재(32)의 우측 연결판(323)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구조(30)는 상기 좌측 지지부재(31)의 상기 일단과 상기 우측 지지부재(32)의 상기 일단에 각각 핀 체결되는 연결봉(33)을 더 포함하고, 이로써 상기 베이스(10)가 큰 범위 내에서 조정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발목 지지대(40)의 일단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이 상기 좌측 지지부재(31)의 최상단과 상기 우측 지지부재(32)의 최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발목 지지대(40)를 상기 베이스(10)의 후측변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면, 상기 발목 지지대(40)는 좌측 지지대(41)와 우측 지지대(42)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대(41)와 상기 우측 지지대(42)의 형상은 대칭되며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좌측 지지대(41)의 하단부는 착탈 가능하게 상기 좌측 지지부재(31)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 지지대(42)의 하단부는 착탈 가능하게 상기 우측 지지부재(32)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목 지지대(40)는 대개 역 U자형이며, 상기 좌측 지지대(41)의 상단부와 가까운 우측과 상기 우측 지지대(42)의 상단부와 가까운 좌측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는 수요에 따라 단일변 지지대를 교체하여 상기 발목 지지대가 비대칭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팬시 스키의 특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5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구조(50)의 서로 마주하는 양단은 상기 베이스(10)의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구조(50)와 상기 베이스(10) 사이에서 신발안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조(50)는 상기 신발안착 공간에 수용되는 스키화와 상기 베이스(10)를 서로 긴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실무적으로, 상기 고정구조(50)는 스트립 형태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상기 고정구조(50)의 서로 마주하는 양단은 상기 좌측 지지부재(31)와 상기 우측 지지부재(32)에 각각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상기 베이스(10)의 좌측변과 우측변에 연결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사용할 때, 스키화를 상기 신발안착 공간에 넣어 신고, 상기 고정구조(50)에 의해 상기 스키화를 상기 베이스(10)에 고정시키며, 상기 접합구조(20)로 상기 베이스(10)를 스키판에 고정시킴으로써 장착을 완성하여 스키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그 중, 사용자가 조향 또는 평형 동작을 완성하도록 좌우 양측으로 비틀면, 상기 발목 지지대(40)가 좌우로 흔들리기 마련이고, 흔들리는 힘은 필연적으로 지지구조(30)를 거쳐 베이스(10)로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구조(30)는 좌측 지지부재(31)와 우측 지지부재(32)로 구분되어, 양자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각자의 흔들림 변형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좌측 베이스(12)와 우측 베이스(13)로 구분되어 좌측 지지부재(31)와 우측 지지부재(32)를 각각 연결하고, 또한 상기 접합구조는 가요성 구조이므로, 좌측/우측부분의 각자 흔들리는 허용 탄력을 진일보로 증가하였다. 또 다른 관점에서 말하면, 좌측 지지부재(31)와 우측 지지부재(32)가 우수한 흔들림 탄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베이스(10)는 발목 지지대(40)에 대하여 과도한 견제와 한정을 초래하지 않고, 발목의 좌우 흔들림과 비틀림 동작을 완전하고 용이하게 구현하므로, 팬시 스키 등 동작의 표현에 유리하고, 발목이 확실히 발목 지지대(40)에 항상 감싸여 지지되므로, 발목이 더 큰 보호를 받게 되고, 부상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목 지지대(40)는 2개 부재의 조합형 구조로서 착탈 가능하고, 사용자는 하고자 하는 동작과 통상적으로 흔들리는 방향에 따라 좌측 지지대(41)와 우측 지지대(42)를 진일보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칭되지 않지만 수요에 적합한 발목 지지대를 조합해 낼 수 있어, 사용의 다양성이 대폭 증가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스키화 바인딩은 경량화, 양호한 탄성, 발목 지지대 교체 가능성 등 우점을 구비하여, 스키 동작의 표현을 강화할 수 있고, 발목을 보호하여 부상을 피할 수 있으며, 또 수요에 따라 발목 지지대를 교체할 수 있어, 실제적으로 진보적인 효과를 구비한다.
10: 베이스 11: 프론트 베이스
12: 좌측 베이스 13: 우측 베이스
14, 16: 호형의 관통홈 15, 17: 핀 체결 기구
20: 접합구조 30: 지지구조
31: 좌측 지지부재 311: 금속 프레임
312: 받침부재 313: 좌측 연결판
32: 우측 지지부재 321: 금속 프레임
322: 받침부재 323: 우측 연결판
33: 연결봉 34: 틈
40: 발목 지지대 41: 좌측 지지대
42: 우측 지지대 50: 고정구조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좌측변, 우측변과 후측변을 구비하는 베이스;
    스키판과 접합되어 위치 결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접합구조;
    상기 좌측변에서 상기 후측변의 좌측 절반부분을 향해 경사지게 위로 연장되는 좌측 지지부재와 상기 우측변에서 상기 후측변의 우측 절반부분을 향해 경사지게 위로 연장되는 우측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후측변에 위치하는 상기 좌측 지지부재의 일단과 상기 베이스의 후측변에 위치하는 상기 우측 지지부재의 일단은 서로 미리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는 지지구조;
    일단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이 상기 좌측 지지부재의 최상단과 상기 우측 지지부재의 최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의 후측변의 상측에 위치하는 발목 지지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하는 양단은 상기 베이스의 좌측변과 우측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신발안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신발안착 공간에 수용되는 스키화와 상기 베이스를 서로 긴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부재의 상기 일단과 상기 우측 지지부재의 상기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후측 폭의 4/5보다 작은 틈을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여 연장하며,
    상기 발목 지지대는 좌측 지지대와 우측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형상은 대칭되며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좌측 지지대의 하단부는 착탈 가능하게 상기 좌측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 지지대의 하단부는 착탈 가능하게 상기 우측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발목 지지대는 역 U자형이며, 상기 좌측 지지대의 상단부와 가까운 우측과 상기 우측 지지대의 상단부와 가까운 좌측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키화 바인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재는 금속 프레임과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은 둔각 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의 좌측변과 평행하게 상기 좌측변에 고정되는 밑변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은 상기 밑변과 둔각을 이루는 지지변 및 상기 밑변과 상기 지지변을 연결시키는 연장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변은 상기 베이스의 후측변과 비교적 가깝고, 상기 연장변은 상기 베이스의 후측변과 비교적 멀며, 상기 밑변, 상기 지지변과 상기 연장변은 각각 스트립형 금속이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발목 지지대가 연결되도록 상기 금속 프레임의 상기 밑변을 멀리하는 일단에 구비되는 스키화 바인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재는 좌측 연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결판은 상기 금속 프레임에 조립되며 선택적이고 조정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호형의 관통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좌측 연결판은 핀 체결 기구에 의해 상기 호형의 관통홈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선택적이고 조정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스키화 바인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지지부재는 금속 프레임과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은 둔각 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의 우측변과 평행되게 상기 우측변에 고정되는 밑변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은 상기 밑변과 둔각을 이루는 지지변 및 상기 밑변과 상기 지지변을 연결시키는 연장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변은 상기 베이스의 후측변과 비교적 가깝고, 상기 연장변은 상기 베이스의 후측변과 비교적 멀며, 상기 밑변, 상기 지지변과 상기 연장변은 각각 스트립형 금속이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발목 지지대가 연결되도록 상기 금속 프레임의 상기 밑변을 멀리하는 일단에 구비되는 스키화 바인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지지부재는 우측 연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연결판은 상기 금속 프레임에 조립되며 선택적이고 조정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호형의 관통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우측 연결판은 핀 체결 기구에 의해 상기 호형의 관통홈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선택적이고 조정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스키화 바인딩.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프론트 베이스, 좌측 베이스와 우측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베이스, 상기 좌측 베이스 및 상기 우측 베이스는 상호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서로 이격 분리되며, 상기 좌측 베이스와 상기 우측 베이스는 상기 접합구조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접합구조는 가요성을 가지며, 상기 접합구조는 상기 발목 지지대와 상기 프론트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좌측 지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좌측 베이스 및 상기 프론트 베이스의 좌측과 연결되며, 상기 우측 지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우측 베이스 및 상기 프론트 베이스의 우측과 연결되는 스키화 바인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베이스는 회동 가능하고 조정 가능하게 상기 좌측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 베이스는 회동 가능하고 조정 가능하게 상기 우측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스키화 바인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좌측 지지부재의 상기 일단과 상기 우측 지지부재의 상기 일단에 각각 핀 체결되는 연결봉을 더 포함하는 스키화 바인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은 상기 베이스의 후측 폭의 1/2보다 작은 스키화 바인딩.
KR1020150082535A 2015-06-11 2015-06-11 스키화 바인딩 KR101640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35A KR101640714B1 (ko) 2015-06-11 2015-06-11 스키화 바인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35A KR101640714B1 (ko) 2015-06-11 2015-06-11 스키화 바인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714B1 true KR101640714B1 (ko) 2016-07-18

Family

ID=5667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535A KR101640714B1 (ko) 2015-06-11 2015-06-11 스키화 바인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7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375A (ja) * 1989-05-24 1991-03-05 Dow Corning Ltd 繊維材料の処理方法
JPH0928403A (ja) * 1995-07-13 1997-02-04 Skis Rossignol Sa 滑走スポーツ実践用靴
JPH11206952A (ja) * 1998-01-26 1999-08-03 Akira Sasaki スノーボード用ブーツの固定装置
JP3051375B2 (ja) 1997-11-13 2000-06-12 リノール油脂株式会社 共役リノール酸を有効成分とする抗アレルギー剤
KR101438174B1 (ko) * 2013-09-27 2014-09-11 주식회사 버즈런 스노우보드용 바인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375A (ja) * 1989-05-24 1991-03-05 Dow Corning Ltd 繊維材料の処理方法
JPH0928403A (ja) * 1995-07-13 1997-02-04 Skis Rossignol Sa 滑走スポーツ実践用靴
JP3051375B2 (ja) 1997-11-13 2000-06-12 リノール油脂株式会社 共役リノール酸を有効成分とする抗アレルギー剤
JPH11206952A (ja) * 1998-01-26 1999-08-03 Akira Sasaki スノーボード用ブーツの固定装置
KR101438174B1 (ko) * 2013-09-27 2014-09-11 주식회사 버즈런 스노우보드용 바인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982824U (zh) 一种头戴结构及头戴装置
JP5738197B2 (ja) メガネ組立用弾性拘束装置およびかかる装置により得られるメガネ
JP4465691B1 (ja) メガネ固定具
FR2620240A1 (fr) Monture de lunettes avec support nasal a deformation elastique supprimant les marques sur le dos du nez
CN212187589U (zh) 蹦床夹具
JP2007264207A (ja) 眼鏡
US20140368785A1 (en) Eyeglasses assembly structure
US4791674A (en) Microphone suspension assembly
GB2484185A (en) Baby swing
KR101640714B1 (ko) 스키화 바인딩
US8424893B2 (en) Shock absorption system for bicycle frame and components
JP2005084664A (ja) 多焦点用眼鏡枠
US6547387B1 (en) Eyeglass appliance for reducing eye strain
US5801806A (en) Eyeglass frames with resilient bridge
US11269196B2 (en) Eyeglasses having a snap-on one-piece lens
JP6055030B1 (ja) スキーブーツ固定台
JP5832510B2 (ja) スポーツ練習用人形
JP7045338B2 (ja) 自転車サドルの組立構造
JP6407793B2 (ja) 頭部装着表示装置
CN207541319U (zh) 一种透镜驱动装置
US20130208231A1 (en) Eyeglass Temple Structure
CN201044018Y (zh) 一种无需焊接的组合眼镜
TWI603765B (zh) 滑雪鞋固定座
KR201401310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7556372B2 (en) Eyeglasses structure and an eyeglasses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