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127B1 -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 일체형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 - Google Patents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 일체형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127B1
KR101640127B1 KR1020150108853A KR20150108853A KR101640127B1 KR 101640127 B1 KR101640127 B1 KR 101640127B1 KR 1020150108853 A KR1020150108853 A KR 1020150108853A KR 20150108853 A KR20150108853 A KR 20150108853A KR 101640127 B1 KR101640127 B1 KR 10164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main body
shell
heat exchanger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석
김수민
김명성
Original Assignee
김봉석
김수민
김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석, 김수민, 김명성 filed Critical 김봉석
Priority to KR102015010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 F28F2250/08Fluid driving means, e.g. pumps,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 일체형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에 관한 것으로,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증발기의 구성을 구비하는 냉동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압축기의 출구라인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는 냉매입구와, 상기 본체에 수액기의 입구라인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는 냉매출구와, 상기 본체에는 냉각수입구라인과 냉각수출구라인이 돌출되어 있도록 본체의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와, 상기 냉매입구와 냉매출구 사이의 본체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격설되어 있는 복수의 칸막이와, 상기 복수의 칸막이 각각에는 상기 냉매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가 상기 냉매출구를 향해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통로 및 하부통로가 구비되어 있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탱크와;
상기 냉각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여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로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수펌프를 구성하되,
상기 냉각수탱크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를 직접 감싸준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탱크의 입구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냉각수출구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탱크의 출구는 냉각수펌프의 입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냉각수펌프의 출구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냉각수입구라인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펌프로 펌핑된 냉각수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의 냉각수입구라인과 냉각수출구라인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로 공급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응축기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 일체형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Refrigerating cycle having shell and tube type heat exchanger, condenser in one body type of cooling water tank and vaporizer}
본 발명은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 일체형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기 및 증발기 각각에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 탱크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냉동사이클을 구성하여 냉동사이클의 설치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고 냉동사이클의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동절기에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 및 냉각수 탱크 등의 동파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고장 없이 안전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냉동사이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사이클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열교환작용으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액상으로 응축된 액체냉매를 일시 저장하는 수액기, 상기 수액기에서 보내진 액상냉매를 안개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급속하게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상기 팽창밸브에서 안개와 같이 급속 팽창된 냉매를 공기 또는 물 등과의 열교환작용을 공기 또는 물로부터 열을 빼앗아 차갑게 냉각시키는 증발기, 그리고 상기 압축기에서는 증발기에서 공기 또는 물과의 열교환작용으로 열을 빼앗고 증발하는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작용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냉동사이클은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냉동성능에 많은 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외부의 기온 변화 즉, 날씨에 따라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의 성능이 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하절기에 외부의 기온이 대략 26∼28℃ 이상으로 높게 올라가게 될 경우에는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응축시키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기체냉매를 액체냉매로 응축시키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냉동사이클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며, 또한 동절기에 외부의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게 될 경우에는 증발기에서 안개상태의 냉매와 공기 또는 물과의 열교환작용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나 냉동사이클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및 증발기 각각에 쉘 엔 튜브식(shell and tube type) 열교환기를 적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냉동사이클의 응축기에 적용한 종래 기술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축기(100)의 출구라인(110)은 응축기(200)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10)의 냉매입구라인(2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10)의 냉각수 출구라인(212)은 실외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탑(213)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측(부호 생략)에 연결되고, 상기 냉각탑(213)의 출구측(부호 생략)에 연결된 출구라인(214)은 냉각수탱크(215)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수탱크(215)의 출구라인(216)은 펌프(217)의 입구측(부호 생략)에 연결되고, 상기 펌프(217)의 출구측에 연결된 출구라인(218)은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10)의 냉각수 입구(부호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10)의 냉매출구라인(219)은 수액기(300)의 입구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액기(300)의 출구라인(310)은 팽창밸브(40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팽창밸브(400)의 출구라인(410)은 증발기(500)에 연결되고 상기 증발기(500)의 출구라인(510)은 압축기(100)의 입구라인(부호 생략)에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냉동사이클은 응축기(200)을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10)는 압축기(100)에 압축된 기체냉매와 냉각탑(213)을 거처 냉각수탱크(215)에 저장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작용으로 기체냉매를 액체냉매로 응축시키는 성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반해, 상기 응축기(200)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10)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탑(213)과 냉각수탱크(215) 및 펌프(219) 등이 연결 설치되는 관계로 부피가 상당히 커지고, 또 설치부품수가 많아져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이 커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냉도사이클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축기(100)의 출구라인(110)은 응축기(200)의 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응축기(200)의 낸매출구라인(219)은 수액기(300)의 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수액기300)의 출구라인(310)은 팽창밸브(400)의 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팽창밸브(400)의 출구라인은 증발기(500)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520)의 입구측(부호 생략)에 연결되며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520)의 냉매출구라인(521)은 압축기(100)의 입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520)에는 냉각수 입구(522)와 냉각수 출구(52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냉각수 출구(523)에 연결된 냉각수 출구라인(524)은 냉각수 탱크(525)의 입구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냉각수 탱크(525)의 출구(526)는 펌프(527)의 입구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527)의 출구(528)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520)의 냉각수 입구(522)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삭제
이러한 종래 기술은 증발기(500)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520)는 팽창밸브(400)에서 공급되는 안개상태의 냉매와 냉각수 탱크(525)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서로 열교환하도록 하는 작용으로 증발기(50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 증발기(500)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520)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탱크(525)와 펌프(527) 등을 연결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증발기(500)의 부피가 커지고, 또 설치부품수가 많아져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증발기(500)를 구성하는 냉각수 탱크(525)를 실외에 설치하게 될 경우 하절기에 날씨가 영하로 떨어지게 될 때에는 냉각수가 얼게 되어 냉각수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심한 경우 냉각수 탱크(525) 등이 동파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난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및 증발기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 탱크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응축기 및 증발기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응축기 및 증발기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설치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동절기에는 쉘 엔튜브식 열교환기 및 냉각수 탱크의 동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밞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증발기의 구성을 구비하는 냉동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압축기의 출구라인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는 냉매입구와, 상기 본체에 수액기의 입구라인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는 냉매출구와, 상기 본체에는 냉각수입구라인과 냉각수출구라인이 돌출되어 있도록 본체의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와, 상기 냉매입구와 냉매출구 사이의 본체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격설되어 있는 복수의 칸막이와, 상기 복수의 칸막이 각각에는 상기 냉매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가 상기 냉매출구를 향해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통로 및 하부통로가 구비되어 있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탱크와;
상기 냉각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여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로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수펌프를 구성하되,
상기 냉각수탱크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를 직접 감싸준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탱크의 입구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냉각수출구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탱크의 출구는 냉각수펌프의 입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냉각수펌프의 출구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냉각수입구라인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펌프로 펌핑된 냉각수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의 냉각수입구라인과 냉각수출구라인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로 공급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응축기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증발기의 구성을 구비하는 냉동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돌출되어 팽창밸브에서 급속 팽창된 안개상태의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팽창밸브의 출구라인에 연결되는 냉매입구와, 상기 본체에 돌출되어 압축기의 입구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냉매출구와, 상기 냉매입구와 냉매출구를 연결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매 순환파이프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에 형성되는 냉각수입구라인과, 상기 본체에 형성된 냉각수입구라인으로부터 유입되어 본체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배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출구라인과, 상기 냉각수입구라인과 냉각수출구라인 사이의 본체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격설되어 있는 복수의 칸막이와, 상기 복수의 칸막이 각각에는 상기 냉각수입구라인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출구라인을 향해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통로와 하부통로가 구비되어 있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탱크와;
상기 냉각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여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에 돌출되어 있는 냉각수입구라인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냉각수펌프를 구성하되,
상기 냉각수탱크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를 직접 감싸준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탱크의 냉각수입구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에 형성된 냉각수출구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 내부를 순환한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탱크의 냉각수출구는 냉각수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펌프의 펌핑작동으로 펌핑된 냉각수가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에 형성된 냉각수입구라인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증발기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증발기의 구성을 구비하는 냉동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압축기의 출구라인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는 냉매입구와, 상기 본체에 수액기의 입구라인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는 냉매출구와, 상기 본체에는 냉각수입구라인과 냉각수출구라인이 돌출되어 있도록 본체의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와, 상기 냉매입구와 냉매출구 사이의 본체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격설되어 있는 복수의 칸막이와, 상기 복수의 칸막이 각각에는 상기 냉매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가 상기 냉매출구를 향해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통로 및 하부통로가 구비되어 있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탱크와;
상기 냉각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여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로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수펌프를 구성하되,
상기 냉각수탱크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를 직접 감싸준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탱크의 입구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냉각수출구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탱크의 출구는 냉각수펌프의 입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냉각수펌프의 출구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냉각수입구라인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펌프로 펌핑된 냉각수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의 냉각수입구라인과 냉각수출구라인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로 공급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응축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기는,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돌출되어 팽창밸브에서 급속 팽창된 안개상태의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팽창밸브의 출구라인에 연결되는 냉매입구와, 상기 본체에 돌출되어 압축기의 입구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냉매출구와, 상기 냉매입구와 냉매출구를 연결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매 순환파이프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에 형성되는 냉각수입구라인과, 상기 본체에 형성된 냉각수입구라인으로부터 유입되어 본체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배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출구라인과, 상기 냉각수입구라인과 냉각수출구라인 사이의 본체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격설되어 있는 복수의 칸막이와, 상기 복수의 칸막이 각각에는 상기 냉각수입구라인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출구라인을 향해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통로와 하부통로가 구비되어 있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탱크와;
상기 냉각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여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에 돌출되어 있는 냉각수입구라인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냉각수펌프를 구성하되,
상기 냉각수탱크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를 직접 감싸준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탱크의 냉각수입구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에 형성된 냉각수출구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 내부를 순환한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탱크의 냉각수출구는 냉각수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펌프의 펌핑작동으로 펌핑된 냉각수가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의 본체에 형성된 냉각수입구라인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증발기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는 하나의 냉각수탱크에 복수의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구성하는 냉각수탱크에는 동파방지용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및 증발기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의 부피를 최소화상태로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부품수도 줄일 수 있으므로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및 증발기의 제작비용과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냉동사이클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동절기에는 냉각수탱크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냉동사이클 회로도
도 2는 냉동사이클의 응축기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로 구성한 종래 기술
도 3은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로 구성한 종래 기술
도 4는 본 발명의 냉동사이클의 응축기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를 일체형으로 결합한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를 일체형으로 결합한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및 증발기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가와 냉각수탱크를 일체형으로 결합한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냉동사이클의 응축기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응축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를 하나의 냉각수탱크에 구성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증발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를 하나의 냉각수탱크에 구성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및 증발기를 구성하는 쉘 엔 뷰브식 열교환기를 하나의 냉각수탱크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13은 본 발명의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및 증발기를 구성하는 하나의 냉각수탱크에 복수의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에 의한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 일체형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도시는 본 발명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응축기(1)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와 냉각수탱크(3)를 일체로 결합하여 나타낸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의 냉동사이클은 압축기(4)와, 상기 압축기(4)로부터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1)와, 상기 응축기(1)에서 액상으로 응축된 액상냉매를 일시 저장하게 되는 수액기(5)와, 상기 수액기(5)에서 공급되는 액상냉매를 급속하게 팽창시켜서 안개상태의 냉매로 만드는 팽창밸브(6)와, 상기 팽창밸브(6)에서 급속 팽창된 안개상태의 냉매를 공급받아 공기, 물 등으로부터 열을 빼앗고 작용을 하는 증발기(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특징은, 상기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응축기(1)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와 냉각수탱크(3)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에 있다.
상기 응축기(1)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는 밀폐된 원통형의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냉매입구(22)에는 압축기(4)의 출구라인(41)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21)의 타측에 돌출 형성된 냉매출구(23)에는 수액기(5)의 입구라인(51)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는 냉각수탱크(3)에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냉각수탱크(3)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의 본체(21) 양단만 양측으로 노출되게 감싸준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도 4, 도 7 참조)
상기 본체(21)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냉각수 순환파이프(24)가 지그재그상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도 7 참조), 상기 냉각수 순환파이프(24)의 냉각수입구라인(25) 및 냉각수출구라인(26) 각각은 본체(21)의 일측(도면상 좌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각수 순환파이프(24)의 냉각수입구라인(25)은 냉각수펌프(8)의 출구(8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출구라인(26)은 냉각수탱크(3)의 냉각수입구(3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탱크(3)의 냉각수출구(32)는 냉각수펌프(8)의 입구(81)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의 내부에는 냉매입구(22)에서부터 냉매출구(23)를 향해 일정간격으로 격설되는 복수의 칸막기(27)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복수의 칸막이(27) 각각은 냉매입구(22)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가 냉매출구(23) 쪽으로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상으로 흐르도록 하는 상부통로(28)와 하부통로(29)를 서로 교대적으로 형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도 7 화살표참조), 또한 상기 복수의 칸막이(27) 각각에는 본체(21)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냉각수 순환파이프(24)들이 일정간격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따라서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의 본체(21)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냉각수 순환파이프(24)들은 복수의 칸막이(27)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응축기(1)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의 본체(21)에 형성된 냉매입구(22)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본체(21)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27)를 순환하는 냉각수와 열교환하게 되는데, 상기 본체(21)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냉매는 복수의 칸막이(27)를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작용으로 액상으로 응축되는 것이며, 액상으로 응축된 냉매는 냉매출구(23)를 통해 수액기(5)를 거쳐 팽창밸브(6)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의 냉매출구(23)로 배출되는 냉매는 액상으로 응축된 상태이므로 상기 팽창밸브(6)에 의하여 안개상태로 급속 팽창되어 증발기(7)로 공급되는 것이므로 상기 증발기(7)는 열교환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냉동사이클의 냉동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를 구성하는 냉각수탱크(3)의 내저부에는 동파방지용 히터(9)가 장설되어 있으며,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동절기에는 상기 동파방지용 히터(9)를 작동시켜서 냉각수탱크(3)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가 얼지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의 본체(21)를 동파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냉각수탱크(3)의 내상부에는 외부로부터 보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볼탑밸브(부호 생략)가 설치되어 있어 냉각수탱크(3)에 냉각수를 자동으로 보충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도시는 본 발명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7)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와 냉각수탱크(3a)를 일체로 결합하여 나타낸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의 냉동사이클은 압축기(4)와, 상기 압축기(4)로부터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1)와, 상기 응축기(1)에서 액상으로 응축된 액상냉매를 일시 저장하게 되는 수액기(5)와, 상기 수액기(5)에서 공급되는 액상냉매를 급속하게 팽창시켜서 안개상태의 냉매로 만드는 팽창밸브(6)와, 상기 팽창밸브(6)에서 급속 팽창된 안개상태의 냉매를 공급받아 공기, 물 등으로부터 열을 빼앗고 작용을 하는 증발기(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특징은, 상기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7)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와 냉각수탱크(3a)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에 있다.
이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증발기(7)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와 냉각수탱크(3a)의 구성부품에 대해서는 전술한 응축기(1)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 및 냉각수탱크(3)의 구성부품들과 같은 작용을 하는 구성은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증발기(7)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는 밀폐된 원통형의 본체(21a)와, 상기 본체(21a)의 일측(도면상 우측)에 돌출 형성된 냉매입구(22a)에는 팽창밸브(6)의 출구라인(62)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21a)의 일측에 냉매입구(22a)와 같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냉매출구(23a)에는 압축기(4)의 입구라인(52)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는 냉각수탱크(3a)에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냉각수탱크(3a)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의 본체(21a) 양단만 양측으로 노출되게 감싸준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도 5, 도 8 참조)
상기 본체(21a)의 내부에는 냉매가 순환하도록 하는 냉매 순환파이프(24a)가 지그재그상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도 7 참조), 상기 냉매 순환파이프(24a)의 냉매입구(22a) 및 냉매출구(23a) 각각은 본체(21a)의 일측(도면상 우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1a)의 일측(도면상 좌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입구라인(25a)은 냉각수펌프(8)의 출구(8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21)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출구라인(26a)은 냉각수탱크(3a)의 냉각수입구(31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탱크(3a)의 냉각수출구(32a)는 냉각수펌프(8)의 입구(81)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의 내부에는 냉각수입구라인(25a)에서부터 냉각수출구라인(26a)를 향해 일정간격으로 격설되는 복수의 칸막기(27a)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복수의 칸막이(27a) 각각은 냉각수입구라인(25a)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가 냉각출구라인(26a) 쪽으로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상으로 흐르도록 하는 상부통로(28a)와 하부통로(29a)를 서로 교대적으로 형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도 8 화살표참조), 또한 상기 복수의 칸막이(27a) 각각에는 본체(21a)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냉매 순환파이프(24a)들이 일정간격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따라서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의 본체(21a)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냉매 순환파이프(24a)들은 복수의 칸막이(27a)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증발기(7)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의 본체(21a)에 형성된 냉매입구(22a)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본체(21a)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는 냉매 순환파이프(24a)를 따라 순환하는 과정에서 본체(21a)의 냉각수입구라인(25a)으로 유입되어 본체 내부를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는 냉각수와 열교환하게 되는데, 상기 냉매 순환파이프(24a)를 따라 순환하는 기체냉매는 본체(21a)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칸막이(27a) 각각에 형성된 상,하부 통로(28a)(29a)를 통해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하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작용으로 액상으로 응축되는 것이며, 상기 냉매순환파이프(24a)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액상으로 응축된 냉매는 냉매출구(23a)를 통해 압축기(4)로 보내져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의 냉매출구(23a)로 배출되는 본체(21a)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냉매는 기체상태로 증발된 상태로 상기 압축기(4)로 보내지게 되므로 압축기(4)는 증발된 기체냉매를 압축시키는 성능이 좋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냉동사이클의 냉동성능이 향상되어 냉동효율이 증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7)를 구성하는 냉각수탱크(3a)의 내저부에는 동파방지용 히터(9)가 장설되어 있으며,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동절기에는 상기 동파방지용 히터(9)를 작동시켜서 냉각수탱크(3)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가 얼지않도록 하며, 또한 상기 냉각수탱크(3)의 내상부에는 보충수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볼탑밸브(부호 생략)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냉각수탱크(3a)에 냉각수를 충분하게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의 도시는 냉동사이클의 응축기(1)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와 냉각수탱크(3)를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증발기(7) 역시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와 냉각수탱크(3a)를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응축기(1) 및 증발기(7)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으므로 동일 명칭,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6의 실시예는 응축기(1)와 증발기(7)를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구성하였으므로 냉동사이클의 부피를 줄일 있으며, 냉동사이클의 냉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냉동사이클의 응축기(1) 및 증발기(7)를 구성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2a)의 본체(21)(21a)가 냉각수탱크(3)(3a)의 전,후면 중심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도 12 참조), 또 본 발명의 응축기(1) 및 증발기(7)는 도 13의 도시와 같이 하나의 냉각수탱크(3)(3a)에 복수의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2a)를 상,하,좌,우로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교환작용의 효율이 우수한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응축기 및 증발기를 구성함으로써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및 증발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냉동사이클을 협소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설치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 설치비용 등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냉동사이클의 냉동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 : 응축기 2,2a :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
21.21a : 본체 22.22a : 냉매입구
23,23a : 냉매출구 24 : 냉각수 순환파이프
24a : 냉매순환파이프 25,25a : 냉각수입구라인
26,26a : 냉각수출구라인 27,27a : 칸막이
28,28a : 상부통로 29,29a : 하부통로
3,3a : 냉각수탱크 31,31a : 냉각수입구
32,32a : 냉각수출구 4 : 압축기
5 : 수액기 6 : 팽창밸브
7 : 증발기 8 : 냉각수펌프
81 : 입구 82 : 출구

Claims (4)

  1.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증발기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1)에는,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에 압축기(4)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압축기의 출구라인(41)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는 냉매입구(22)와, 상기 본체(21)에 수액기(5)의 입구라인(51)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는 냉매출구(23)와, 상기 본체(21)에는 냉각수입구라인(25)과 냉각수출구라인(26)이 돌출되어 있도록 본체의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24)와, 상기 냉매입구(22)와 냉매출구(23) 사이의 본체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격설되어 있는 복수의 칸막이(27)와, 상기 복수의 칸막이 각각에는 상기 냉매입구(22)를 통해 본체(21)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가 상기 냉매출구(23)를 향해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통로(28) 및 하부통로(29)가 구비되어 있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와;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의 본체(21)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24)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탱크(3)와;
    상기 냉각수탱크(3)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여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의 본체(21)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파이프(24)로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수펌프(8)가 구성되어 있는 냉동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의 본체(21)는 냉각수탱크(3)에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병렬로 연결 결합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본체(21)는 압축기(4)의 출구라인(41)에 연결되는 냉매입구(22)와, 냉각수탱크(3)의 냉각수입구(31)에 연결되는 냉각수출구라인(26)과, 냉각수펌프(8)의 출구(82)에 연결되는 냉각수입구라인(25)이 형성된 일측 부분 및 수액기(5)의 입구라인(51)에 연결되는 냉매출구(23)가 형성된 타측 부분이 상기 냉각수탱크(3)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하도록 병렬로 연결 결합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탱크 일체형 응축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
  2.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증발기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기(7)에는,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21a)와, 상기 본체에 돌출되어 팽창밸브(6)에서 급속 팽창된 안개상태의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팽창밸브(6)의 출구라인(62)에 연결되는 냉매입구(22a)와, 상기 본체(21a)에 돌출되어 압축기(4)의 입구라인(42)에 연결되어 있는 냉매출구(23a)와, 상기 냉매입구(22a)와 냉매출구(23a)를 연결하도록 본체(21a)의 내부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매 순환파이프(24a)와, 상기 본체(21a)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에 형성되는 냉각수입구라인(25a)과, 상기 본체에 형성된 냉각수입구라인(25a)으로부터 유입되어 본체(21a)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배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출구라인(26a)과, 상기 냉각수입구라인(25a)과 냉각수출구라인(26a) 사이의 본체(21a)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격설되어 있는 복수의 칸막이(27a)와, 상기 복수의 칸막이 각각에는 상기 냉각수입구라인(25a)을 통해 본체(21a) 내부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출구라인(26a)을 향해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통로(28a)와 하부통로(29a)가 구비되어 있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와;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의 본체(21a)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탱크(3a)와;
    상기 냉각수탱크(3a)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여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의 본체(21a)에 돌출되어 있는 냉각수입구라인(25a)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냉각수펌프(8a)가 구성되어 있는 냉동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2a)의 본체(21a)는 냉각수탱크(3a)에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병렬로 설치하되,
    상기 본체(21a)는 냉각수펌프(8a)의 출구(82a)가 연결되는 냉각수입구라인(25a)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 부분 및 냉각수탱크(3a)의 냉각수입구(31a)에 연결되는 냉각수출구라인(26a)와, 압축기(4)의 입구라인(42)에 연결되는 냉매출구(23a)와, 팽창밸브(6)의 출구라인(62)이 연결되는 냉매입구(22a)가 형성된 타측 부분이 상기 냉각수탱크(3a)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하도록 병렬로 연결 결합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 일체형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
  3. 삭제
  4. 삭제
KR1020150108853A 2015-07-31 2015-07-31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 일체형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 KR101640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853A KR101640127B1 (ko) 2015-07-31 2015-07-31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 일체형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853A KR101640127B1 (ko) 2015-07-31 2015-07-31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 일체형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127B1 true KR101640127B1 (ko) 2016-07-18

Family

ID=56679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853A KR101640127B1 (ko) 2015-07-31 2015-07-31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 일체형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1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567B1 (ko) * 2016-10-14 2019-02-14 김봉석 냉각수탱크 일체형 수냉식 냉동기 유니트
CN113562910A (zh) * 2020-04-28 2021-10-29 斗山重工业建设有限公司 废水无放流处理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4904A (en) * 1983-05-19 1984-08-14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the transfer of refrigeration
JPS59225299A (ja) * 1983-06-06 1984-12-18 Hitachi Ltd 熱交換器
JPH04270897A (ja) * 1991-02-26 1992-09-28 Toshiba Corp 密閉式冷却塔
KR20120124710A (ko) * 2011-05-04 2012-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쉘-튜브형 응축기 및 그를 갖는 냉동 사이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4904A (en) * 1983-05-19 1984-08-14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the transfer of refrigeration
JPS59225299A (ja) * 1983-06-06 1984-12-18 Hitachi Ltd 熱交換器
JPH04270897A (ja) * 1991-02-26 1992-09-28 Toshiba Corp 密閉式冷却塔
KR20120124710A (ko) * 2011-05-04 2012-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쉘-튜브형 응축기 및 그를 갖는 냉동 사이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567B1 (ko) * 2016-10-14 2019-02-14 김봉석 냉각수탱크 일체형 수냉식 냉동기 유니트
CN113562910A (zh) * 2020-04-28 2021-10-29 斗山重工业建设有限公司 废水无放流处理装置及方法
KR20210132963A (ko) * 2020-04-28 2021-11-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폐수 무방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420601B1 (ko) * 2020-04-28 2022-07-13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폐수 무방류 처리장치 및 방법
US11787718B2 (en) 2020-04-28 2023-10-17 Doosan Enerbility Co., Ltd. Zero-liquid discharge (ZL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83719B (zh) 冷冻装置的除霜系统以及冷却单元
KR102137410B1 (ko) 수실을 구비한 열교환기
TW201727170A (zh) 蒸汽壓縮系統
CN105904960A (zh) 冷却模块
EP2770277B1 (en) Water heater
EP2770278B1 (en) Water heater
KR101640127B1 (ko) 쉘 엔 튜브식 열교환기와 냉각수탱크 일체형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
KR101511432B1 (ko) 저온창고 냉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수공급 시스템
KR20110097367A (ko) 칠러
KR100881328B1 (ko) 연속 제상이 가능한 냉,난방 히트펌프장치
KR102413937B1 (ko) 냉장고
JP3122223B2 (ja) 氷蓄熱装置
JP4609316B2 (ja) 冷蔵庫
JP6397246B2 (ja) 冷凍機用凝縮器
EP3232138B1 (en) Refrigeration system of the "free cooling" type with sub-cooler of the refrigerant
KR101280312B1 (ko) 냉동장치를 이용한 온수생산장치
KR10212385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JP3183379U (ja) 冷媒凝縮器
KR101378598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온수 생산장치
KR102342956B1 (ko) 고효율 증발식 응축기
CN219014673U (zh) 制冷系统、空调以及冷库
KR10209256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US11788778B2 (en) Geothermal heat system having reduced heat source residual heat of geothermal heat pump
US20240044553A1 (en) Central Air Conditioning and Heat Pump System with Cooling Arrangement
KR100862021B1 (ko) 에너지절약형 온수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