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324B1 - 차량 유실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실물 알림 서버 및 유실물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유실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실물 알림 서버 및 유실물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324B1
KR101639324B1 KR1020150057818A KR20150057818A KR101639324B1 KR 101639324 B1 KR101639324 B1 KR 101639324B1 KR 1020150057818 A KR1020150057818 A KR 1020150057818A KR 20150057818 A KR20150057818 A KR 20150057818A KR 101639324 B1 KR101639324 B1 KR 101639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rminal
information
identifier
l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원
Original Assignee
(주)허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허브로 filed Critical (주)허브로
Priority to KR1020150057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2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child unit emits, i.e. the child unit incorporates the emit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시 등의 운송 수단을 이용한 탑승자의 휴대 전화 등의 단말이 분실되는 경우, 이에 대한 유실물 정보를 제공하는 유실물 알림 서버 및 유실물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차량의 식별자는 탑승자 단말로부터 서버에 전송되고, 서버는 식별자 및 식별자가 수신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탑승자 단말이 유실물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분실된 물품에 관한 정보를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실물에 대한 안전한 회수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실된 탑승자와 연관되어 있는 수신자에게 유실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차량에 유실된 물품에 대한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유실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실물 알림 서버 및 유실물 알림 방법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LOST ARTICLE INFORMATION}
본 발명은 택시 등의 운송 수단에 대한 유실물 알림 서버 및 유실물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물품이 분실된 경우, 분실된 물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실물 알림 서버 및 유실물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전력의 근거리 데이터 통신 기술로 비콘 기술이 많이 활용되면서,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를 지원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근거리 통신 기술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반의 사물 및 상황 인식, 콘텐츠 푸시, 자동 결재, 및 위치 기반 기술 등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근거리 데이터 통신 환경내에서, 스마트 디바이스가 신호 발생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면, 별도의 패어링(pairing) 절차 없이 신호로부터 식별되는 특정한 사물이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특정 인지 값을 수신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이를 식별할 수 있고, 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기반의 응용서비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신호 발생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단말이 인식하면, 광고, 가맹점과 관련된 쿠폰, 박물관에 대한 정보 등이 서버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다.
비콘을 이용한 인용문헌 중에서, 한국공개특허공보 2001-0055778(지피에스와 비콘 겸용 단말시스템)는 지피에스(GPS)와 비콘(Beacon) 겸용 단말시스템에 관해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1-0055778는 개인휴대통신기기가 단말시스템으로부터 이탈한 경우, 단말시스템으로부터 관제센터로 송신되는 근거리통신신호에 기반하여, 개인휴대통신기기로 이동체의 위치데이터가 제공되는 실시예를 통해, 분실된 차량의 위치를 되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공보 2001-0055778는 차량이 분실된 경우, 비콘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파악을 돕는 것에 국한되어 있고, 탑승자 단말의 분실을 방지하는 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한국특허공보 1550302(비콘신호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는, 비콘신호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에 관해 개시하는데, 물체 주변의 비콘을 인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스마트 단말기들이 제공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물체의 위치를 찾는 실시예를 개시한다. 그러나, 한국특허공보 1550302는 차량에 분실된 단말을 찾기 위한 개념은 제시하지 못한다.
운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탑승자가 휴대 전화 등의 단말을 차량에 분실한 경우, 분실된 단말을 되찾기 위한 서비스가 요구된다.
KR 2001-0055778 A KR 1550302 B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택시 등의 운송 서비스를 이용한 탑승자가 휴대 전화 등의 단말을 차량에 분실하게 되는 경우, 이를 회수하지 못하게 되는 위험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택시 등의 차량 운전자에게 유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운행 서비스의 개선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휴대 전화 등의 단말을 분실한 탑승자와 연관된 수신자에게 유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유실물의 회수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는 제1 탑승자 단말 및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식별자를 반복적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탑승자 단말을 유실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식별자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출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탑승자 단말 및 상기 제2 탑승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 및 상기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 및 상기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의 차가 미리 정의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을 상기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는 운임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식별자를 탑승자 단말로부터 반복적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운임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 단말을 유실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임 결제 정보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상기 차량의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로부터 신호 발생기로 전송되고, 상기 운임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식별자는 상기 신호 발생기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출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탑승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임 결제 정보가 상기 차량의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경우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운임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상기 탑승자 단말로부터 최초로 수신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상기 탑승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탑승자 단말을 상기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실물 알림 방법은 제1 탑승자 단말 및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식별자가 반복적으로 수신되는 단계;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 및 상기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의 차가 미리 정의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탑승자 단말이 유실물로 결정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이 상기 유실물로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운임 결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운임 결제 정보가 수신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이 상기 유실물로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식별자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출되고, 상기 차량의 식별자는 상기 제1 탑승자 단말 및 상기 제2 탑승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 및 상기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택시 등 운송 수단의 탑승자는 택시 등의 차량에 분실된 휴대 전화 등의 단말을 보다 용이하게 되찾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송 수단의 운전자에게 차량에 분실된 물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전화 등의 단말을 분실한 탑승자와 연관된 수신자에게 유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유실물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실물 정보가 제공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분실된 단말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에 의해 유실물로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실물 정보가 제공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분실된 단말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에 의해 유실물로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실물 정보가 제공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5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분실된 단말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에 의해 유실물로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의 구성을 도시한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차량 정보 및 운전자 단말 정보와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실물 정보가 운전자 단말 및 수신자 단말에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실물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실물 정보가 제공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1)의 운송 서비스의 이용을 종료한 제1 탑승자로부터 분실된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차량(101)에 있고, 제2 탑승자가 차량(101)을 탑승하게 되면, 제1 탑승자 단말(103)에 대한 유실물 정보가 차량 운전자의 단말(106) 또는 미리 지정된 수신자 단말(107)로 자동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차량(101)의 식별자는 차량(101)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102)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출된다. 신호 발생기(102)로부터 송출되는 차량(101)의 식별자는 차량(101)을 식별하는 정보이고,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 차량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로부터 송출되는 고유한 식별자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각 차량이 식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01)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102)에 의해 송출되는 차량(101)의 식별자는 근거리 통신 환경을 조성하는 저전력의 비콘(beacon) 신호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은 특정 상황이나 사물을 식별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장치를 모두 의미한다. 이러한 비콘은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 저주파 비콘, LED 비콘, 와이파이 비콘, 및 블루투스 비콘 등을 포함한다.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를 지원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식별자를 송출하는 비콘이 설치된 특정 상점 근처를 지나가는 경우, 비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상점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할인 쿠폰이 제공된다거나, 특정 관광지에 설치된 비콘에 의해 해당 위치의 관광 정보가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즉, 식별자를 송출하는 비콘이 부착된 특정 구체적인 사물이나 상황의 오프라인 공간에서, 패어링 절차와 같은 탑승자에게 요구되는 특별한 행동이 없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되는 응용 서비스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개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비콘은 사물이나 상황의 ID(식별자)를 부여하여 구분하고, 이러한 식별자를 근접한 위치의 오프라인 공간에 제공한다. 비콘은 소형의 저비용으로 설치 또는 부착이 자유롭고, 저전력의 수명도 길고, 도달거리도 최대 50m 로 사물인터넷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발생기(102)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차량(101)의 식별자는 제1 탑승자 단말(103), 제2 탑승자 단말(104), 및 운전자 단말(106)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1 탑승자 단말(103), 제2 탑승자 단말(104), 및 운전자 단말(106)로부터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탑승자 단말(103)은 차량(101)의 운행 서비스를 종료하고, 하차한 승객(제1 탑승자)으로부터 차량(101)에 분실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탑승자 단말(104)은 제1 탑승자가 하차한 이후에, 차량(101)의 운행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차량(101)에 탑승한 승객(제2 탑승자)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106)은 차량(101)을 운행하고 있는 운전자의 단말을 의미한다.
단말(103, 104, 및 106)은 네트워크 상에 접속하여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통신 장치로서,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포터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말(103, 104, 및 106)에 의해 차량(101)의 식별자가 감지되면, 단말(1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활성화 될 수 있다. 활성화된 단말(103, 104, 및 106)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단말(103, 104, 및 106)로부터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로 차량(101)의 식별자가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3, 104, 및 106)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의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블루투스가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별도의 패어링 절차 없이 차량(101)에 부착 또는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고유한 식별자를 감지할 수 있다. 단말(103, 104, 및 106)에 의해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유실물 정보를 운전자 단말(106) 및 미리 지정된 수신자 단말(107)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제1 탑승자 단말(103) 및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반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1)의 식별자는 차량(101)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출된다. 차량(101)의 식별자가 제1 탑승자 단말(103) 및 제2 탑승자 단말(104)에 의해 감지되면, 제1 탑승자 단말(103) 및 제2 탑승자 단말(1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될 수 있다.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차량(101)의 식별자는 제1 탑승자 단말(103) 및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로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동안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경우,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제1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가 제1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유실물로 결정되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유실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제1 탑승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조회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미리 지정된 수신자 단말(107)에 유실물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수신자 단말(107)에 전송하는 유실물에 관한 정보에 제1 탑승자 단말(103) 정보, 분실 시각, 분실 위치, 차량(101) 정보, 운전자 정보, 및 운전자 단말(106)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분실 시각은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에 의해 유실물로 결정되는 시각에 해당할 수 있다. 분실 위치는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에 의해 유실물로 결정되는 경우,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전송되는 제1 탑승자 단말(103)의 위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탑승자 단말(103)의 위치 정보는 오늘날 단말에 설치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탑승자 단말(103)의 위치 정보는 제1 탑승자 단말(103)의 식별자 감지에 의해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제1 탑승자 단말(103) 위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탑승자 단말(103) 정보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와 같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복수의 탑승자 단말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수신자 단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1 탑승자 단말(103)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107)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 및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 정보,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복수의 차량 정보, 및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 단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차량(101)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차량(101) 정보, 운전자 정보, 운전자 단말(106)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조회된 운전자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운전자의 운전자 단말(106)에 유실물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유실물로 결정되면, 분실된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있는 차량(101)을 운행하는 운전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조회할 수 있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운전자 단말(106)에 전송하는 유실물에 관한 정보에 제1 탑승자 단말(103) 정보, 분실 시각, 분실 위치, 및 수신자 단말(107)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분실 시각 및 분실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에 의해 유실물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탑승자 단말(103) 정보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와 같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복수의 탑승자 단말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수신자 단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1 탑승자 단말(103)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107)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에 의해 운전자 단말(106) 및 수신자 단말(107)에 전송되는 유실물에 관한 정보는 유실물 정보라 하고, 유실물 정보는 분실 시각, 분실 위치, 분실된 단말 정보, 차량 정보, 운전자 정보, 운전자 단말 정보, 및 수신자 단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분실된 단말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에 의해 유실물로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 정보 제공 서버(105)는 수신부(201) 및 제어부(202)를 포함한다.
수신부(201)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반복적으로 수신한다. 수신부(201)는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반복적으로 수신한다. 제1 탑승자 단말(103) 및 제2 탑승자 단말(104)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1 탑승자 단말(103) 및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수신부(201) 차량(101)의 식별자는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차량(101)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로부터 송출되는 차량(101)의 식별자는 제1 탑승자 단말(103) 및 제2 탑승자 단말(104)에 전송된다.
제어부(202)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부(201)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동안,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부(202)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수신부(201)에 의해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제1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제1 탑승자 단말(103) 및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구간이 중복되는 경우,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 및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의 차를 연산한다. 연산된 제1 탑승자 단말(103) 및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수신되는 시점의 차가 미리 정의된 시간을 초과하면, 제어부(105)는 제1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고, 유실물에 관한 정보를 운전자 단말(106) 또는 수신자 단말(107)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부(201)에 의해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이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부(201)에 의해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보다 앞선 것으로 가정한다.
도 2에 도시된 210은 제어부(202)에 의해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유실물로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3에 도시된 복수의 화살표는 수신부(201)가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하는 차량(101)의 식별자를 의미하고, 각 화살표의 간격은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주기를 의미하고, 가장 왼쪽의 화살표는 수신부(201)가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최초로 수신한 차량(101)의 식별자를 의미한다. 203에 도시된 복수의 화살표는 오른쪽으로 있을수록, 수신부(201)에 의해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시간적으로 나중에 수신된 차량(101)의 식별자를 의미한다. 203에 도시된 복수의 화살표의 크기가 같은 것은 수신부(201)가 동일한 식별자인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되는 차량(101)의 식별자를 설명하기 위해 203을 참조하여 설명된, 복수의 화살표와 관련된 정의들은 도 2의 206, 도 4의 401, 및 도 4의 403에도 적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204에 도시된 복수의 화살표는 수신부(201)가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수신하는 차량(101)의 식별자를 의미하는데, 20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장 왼쪽의 화살표는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수신부에 의해 최초로 수신된 차량(101)의 식별자를 의미하고, 그 밖에 복수의 화살표와 관련된 정의들은 203과 동일하다. 204는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203은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04에서 도시된 화살표 중 가장 왼쪽에 있는 화살표는 203에 도시된 화살표 중 가장 왼쪽에 있는 화살표보다 오른쪽에 있으므로,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이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시점보다 시간적으로 앞서는 것을 의미한다.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되는 차량(101)의 식별자를 설명하기 위해 204을 참조하여 설명된, 복수의 화살표와 관련된 정의들은 도 2의 207에도 적용된다.
도 2의 203을 참조하면, 수신부(201)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주기적으로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또한, 204를 참조하면, 수신부(201)는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주기적으로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204를 참조하면,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에도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203)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202)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 및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의 차를 연산한다. 도 2의 210을 참조하면,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최초로 수신하는 시점이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최초로 수신하는 시점보다 앞서 있다. 제어부(202)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 및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의 차를 미리 정의된 시간(205)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 및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의 차가 미리 정의된 시간(205)을 초과하는 경우, 제1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제2 탑승자 단말(104)보다 시간적으로 차량(101)에 앞서서 있었으므로, 유실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220은 제어부(202)에 의해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유실물로 결정되지 않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206을 참조하면, 수신부(201)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주기적으로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또한, 207를 참조하면, 수신부(201)는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주기적으로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207를 참조하면,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에도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203)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202)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 및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의 차를 연산한다. 도 2의 220을 참조하면,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최초로 수신하는 시점이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최초로 수신하는 시점보다 앞서 있다. 제어부(202)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 및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의 차를 미리 정의된 시간(208)과 비교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208은 205와 동일하다. 제어부(202)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 및 제2 탑승자 단말(104)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의 차가 미리 정의된 시간(208)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제1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하지 않는다. 210과 달리, 220에서는 차량(101)의 운송 서비스를 복수의 승객이 같이 이용하게 되는 경우 복수의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되는 구간이 겹칠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 내에 있는 탑승자 단말을 유실물로 결정하게 되는 오류를 방지 하기 위해, 220의 경우에는 제어부(202)는 제1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실물 정보가 제공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01)의 운송 서비스의 이용을 종료한 제1 탑승자로부터 분실된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차량(101)에 있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제1 탑승자 단말(103)에 대한 유실물 정보가 차량의 운전자 단말(106) 또는 미리 지정된 수신자 단말(107)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제2 탑승자가 차량(101)에 탑승하게 되는 경우,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에 의해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유실물로 결정되는 경우에 해당하지만,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는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차량(101)에 장시간동안 방치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차량(101)의 식별자는 신호 발생기(102)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출되고,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반복적으로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제1 탑승자 단말(1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전송되는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시점에 기초하여, 제1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탑승자 단말(1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운임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운임 결제 정보는 제1 탑승자가 차량(101)의 운행 서비스가 종료되고 운임을 지불하게 되는 경우, 이에 대한 결제 정보를 의미한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운임 결제 정보를 수신한 시점 및 반복적으로 수신되는 차량(101)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에 의해 유실물로 결정되는 경우, 유실물에 관한 정보가 운전자 단말(106) 및 수신자 단말(107)에 전송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에 의해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유실물로 결정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분실된 단말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에 의해 유실물로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부(201) 및 제어부(202)를 포함한다.
수신부(201)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제어부(202)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차량(101)의 식별자가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되면 제1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201)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운임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운임 결제 정보가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차량(101)의 식별자가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되면, 제1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02)가 제1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하는 실시예를 410 및 4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410은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제어부(202)에 의해 유실물로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01을 참조하면, 수신부(201)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가장 왼쪽에 있는 화살표는 수신부(201)가 최초로 수신한 차량(101)의 식별자를 의미한다. 402는 소정의 시간의 길이를 의미하고, 수신부(201)에 의해,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동일한 차량(101)의 식별자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수신되므로, 제1 탑승자 단말(103)은 제어부(202)에 의해 유실물로 결정된다.
도 4에 도시된, 420은 제1 탑승자 단말(103)이 제어부(202)에 의해 유실물로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03을 참조하면, 401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부(201)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가장 왼쪽에 있는 화살표는 수신부(201)가 최초로 수신한 차량(101)의 식별자를 의미한다. 404는 제1 탑승자 단말(1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부(201)가 수신한 운임 결제 정보(404)를 의미한다. 405는 수신부(201)가 운임 결제 정보(404)를 수신한 시점부터 경과된 소정 시간의 길이를 의미한다. 제어부(202)는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운임 결제 정보(404)를 수신한 시점부터, 소정 시간(405)이 경과된 이후에도, 수신부(201)에 의해 차량(101)의 식별자가 제1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되므로 제1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실물 정보가 제공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101)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502)는 차량(101)에 설치된 차량(101)의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501)로부터 운임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501)는 택시 등의 차량의 운행 서비스에 대한 운임을 연산할 수 있다.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501)는 택시의 경우 택시 미터기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501)는 탑승객에 제공되는 운행 서비스의 운행 거리에 기초하여 운임을 연산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501) 신호 발생기(502)에 운임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데, 신호 발생기(502)가 수신하는 운임 결제 정보는 운임이 결제되기 전 또는 운임이 결제된 이후를 지시할 수 있다. 신호 발생기(502)는 운임 결제 정보가 포함된 차량(101)의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차량(101)의 식별자에 포함된 운임 결제 정보는 0 또는 1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1비트로 기록될 수 있다. 운임 결제 정보가 지시하는 0 또는 1은 차량(101)의 운행 서비스를 제공받은 탑승객에 의해, 운임이 지불되기 전 또는 운임이 지불된 후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101)에 설치된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501)에 의해 운임이 연산되고 있는 중인 경우, 운임 결제 정보는 0을 지시할 수 있고, 운임의 연산이 종료되어 운임이 연산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운임 결제 정보는 1을 지시할 수 있다. 이의 반대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101)의 운행 서비스를 종료한 탑승객에 의해 분실된 탑승자 단말(103)이 차량(101)에 있는 경우,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하는 차량(101)의 식별자에 포함된 운임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 탑승자 단말(103)이 유실물로 결정되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차량(101)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차량(101)의 운전자 단말(106)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조회할 수 있다. 탑승자 단말(103)이 유실물로 결정되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하는 탑승자 단말(103)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105)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조회할 수 있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하고, 조회된 정보에 기초하여 유실물 정보를 탑승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수신자 단말(105) 및 차량(101)을 운행하는 운전자 단말(106)에 전송할 수 있다. 운임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가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하는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는 도 5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분실된 단말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에 의해 유실물로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수신부(201) 및 제어부(202)를 포함한다. 수신부(201)는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반복적으로 수신한다. 차량(101)의 식별자는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501)로부터 신호 발생기(502)에 의해 수신된 운임 결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1)의 식별자는 탑승자 단말(1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부(201)에 전송된다.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부(201)가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차량(101)의 식별자는 운임 결제 정보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식별자와 차이가 있다.
제어부(202)는 운임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임 결제 정보가 차량(101)의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경우를 지시하는 경우, 제어부(202)는 운임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101)의 식별자가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부(201)에 의해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차량(101)의 식별자가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되면,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 운임의 결제가 완료된 이후에도, 탑승자 단말(103)이 차량 내에 있다면,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되는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신부(201)는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최초로 수신하는 시점부터 반복적으로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한다(601). 602 및 603은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되는 차량(101)이 식별자를 의미한다. 602는 운임 결제 정보가 차량(101)의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기 전의 경우를 지시하는 차량(101)의 식별자를 의미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기 전의 경우"는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501)에 의해 운임이 연산되고 있는 중"을 의미할 수 있다. 603은 운임 결제 정보가 차량(101)의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경우를 의미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01)의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경우"는 "운행 서비스가 종료되고 승객에 의해 운임이 지불되어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501)에 의해 운임이 연산되고 있지 않는 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신부(201)는 운전자 단말(106)로부터 운임 결제 정보가 포함된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운임 결제 정보는, 차량(101)의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가 운임을 연산하고 있는 중인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운전자 단말(106)로부터 수신한 차량(101)의 식별자에 포함된 운임 결제 정보를 기초로, 차량(101)에 탑승객이 있는지 여부, 탑승객에 의해 운임이 지불되었는지 여부, 및 차량의 미터기가 운임을 연산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운임 결제 정보는 차량(101)에 승객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 차량(101)의 운행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에 대한 정보, 공차 정보, 주행 정보, 및 운임 결제가 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603의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경우를 지시하는 운임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101)의 식별자가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202)는 소정의 시간(604)이 경과된 이후에도 차량(101)의 식별자가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되면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610).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이후에는 603과 같이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경우를 지시하는 운임 결제 정보가 포함된 차량(101)의 식별자가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이후에, 차량(101)의 운행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다음 승객이 차량(101)을 탑승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602("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기 전의 경우")와 같은 운임 결제 정보가 포함된 차량(101)의 식별자가 분실된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부(201)에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차량(101)의 식별자는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되므로, 제어부(202)는 소정의 시간(604)이 경과된 이후에도 차량(101)의 식별자가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된다면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한다. 즉,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경우"를 지시하는 운임 결제 정보가 포함된 차량(101)의 식별자를 수신부(201)가 최초로 수신하는 시점부터 소정 시간(604)이 경과된 이후에도, 수신부(201)가 차량(101)의 식별자를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하기만하면, 소정 시간(604)이후에 수신된 식별자에 포함된 운임 결제 정보가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경우" 또는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기 전의 경우"를 지시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제어부(202)는 탑승자 단말(103)을 유실물로 결정한다(610).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의 구성을 도시한 일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신부(201) 및 제어부(202)에 추가하여,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는 데이터베이스(7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01)에는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차량 정보 및 운전자 단말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01)에는 복수의 탑승자 단말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수신자 단말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될 수 있다. 수신부(201)는 운전자 단말(106)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운전자 단말(106)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01)는 운전자 단말(106)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운전자 단말(106)로부터 운전자 단말(106)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01)는 탑승자 단말(1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차량(101)의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01)는 탑승자 단말(1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탑승자 단말(103)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01)는 탑승자 단말(1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자 단말(107)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106) 및 탑승자 단말(1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차량(101)의 식별자를 운전자 단말(106) 및 탑승자 단말(103)이 감지하면, 활성화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01)는 수신된 차량(101)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차량(101)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01)는 수신된 차량(101)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106)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01)는 수신된 탑승자 단말(103)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107)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01)는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가 기록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01)의 식별자는 이에 대응되는 차량 정보, 차량 평가 정보, 운전자 정보, 운전자 단말 정보, 및 운전자 계좌 정보에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701)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01)는 복수의 차량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될 수 있다. 복수의 차량 정보는 차량의 식별자에 대응되어 매핑되어 있고, 차량(101) 정보는 식별자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기가 설치된 차량의 기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신호 발생기가 설치된 차량의 차량 번호, 운송 회사, 차종, 및 차량 색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 수단을 포함하므로, 택시, 기차, 지하철, 고속 열차, 및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기차, 지하철, 및 고속 열차의 경우, 분실된 탑승자 단말이 위치한 차량의 위치, 차량의 운송 회사, 출발지, 목적지, 및 지하철의 칸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버스의 경우, 분실된 탑승자 단말이 위치한 버스의 노선, 버스 번호, 운행 스케쥴, 및 버스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01)는 복수의 탑승자 단말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 단말 정보는 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 정보 및 탑승자 계좌 정보에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701)에 저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701)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한 탑승자 단말(103)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될 수 있다. 탑승자 단말 정보는 해당 탑승자 단말을 특정하는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701)에 기록되어 유지될 수 있다.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입력되어 탑승자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701)에 기록되어 유지될 수 있다. 탑승자 계좌 정보는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어 데이터베이스(701)에 기록되고 유지될 수 있다.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탑승자 계좌 정보는 운송에 대한 운임이 결제되기 위한 탑승자의 계좌 정보를 의미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201)는 식별자에 대응되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기 위한 차량 정보, 차량 평가 정보, 운전자 계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01)는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기 위한 수신자 단말 정보 및 탑승자 계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수신자 단말 정보 및 탑승자 계좌 정보는, 탑승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입력되어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201)는 탑승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입력된 운임 결제 정보를 탑승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탑승자 단말(103)이 유실물로 결정되면, 제어부(202)는 차량(101)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106)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01)로부터 조회하고, 조회된 운전자 단말(106) 정보에 기초하여, 유실물 정보를 운전자 단말(106)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탑승자 단말(103)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107)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01)로부터 조회하고, 유실물 정보에 조회된 수신자 단말(107)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고, 이를 운전자 단말(106)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탑승자 단말(103)이 유실물로 결정되면, 제어부(202)는 탑승자 단말(103)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107)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01)로부터 조회하고, 조회된 수신자 단말(107) 정보에 기초하여, 유실물 정보를 수신자 단말(107)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차량(101)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차량(101) 정보 및 운전자 단말(106)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01)로부터 조회하고, 유실물 정보에 조회된 차량(101) 정보 및 운전자 단말(106)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고, 이를 수신자 단말(107)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2)에 의해 전송되는 유실물 정보는 탑승자 단말(103)이 분실된 위치 및 분실 시각을 포함할 수 있고, 분실된 위치는 탑승자 단말(103)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분실 시각은 탑승자 단말(103)이 유실물로 결정되는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차량 정보 및 운전자 단말 정보와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식별자(801)가 기록되어 있고, 각 식별자에 대응되는 차량 정보(802) 및 운전자 단말 정보(803)가 매핑되어 기록되어 있다.
차량의 식별자는 차량을 식별하는 고유 신호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2)는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차량(101)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조회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복수의 식별자(801) 중 수신된 차량(101)의 식별자와 일치하는 "ID 1"이 조회될 수 있다. "ID 1"은 이에 대응되는 "ID 1 차량 정보" 및 "ID 1 운전자 단말 정보"가 매핑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202)는 데이터베이스(701)에 기록된 복수의 차량 정보(802) 중 차량의 식별자 "ID 1"에 대응되는 차량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조회된 "ID 1 차량 정보"는 식별자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기가 설치된 차량(101)의 차량 번호, 운송 회사, 차종, 및 차량 색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수신자 단말(107)에 제공되기 위한 정보의 조합이 임의적으로 포함될 수 있고, 이는 식별자에 대응되어 데이터베이스(701)에 저장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202)는 데이터베이스(701)에 기록된 복수의 운전자 단말 정보(803) 중 차량(101)의 식별자 "ID 1"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01)의 식별자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기가 설치된 차량(101)을 운행하는 운전자에 대한 운전자 정보는 식별자에 대응되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운전자 정보는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운전자에 대한 정보로 업데이트된다. 동일한 차량(101)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복수이고, 운전자들이 서로 교대로 차량(101)을 운전하는 경우, 운전자들이 서로 교대하는 시점에 맞추어서 식별자에 대응되는 운전자 정보는 교대 이전의 운전자 정보로부터 교대 이후의 운전자 정보로 변경되어 데이터베이스(701)에 기록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201)는 운전자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운전자에 의해 전송되는 변경된 운전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데이터베이스(701)에 기록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운전자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유실물 정보를 미리 지정된 수신자 단말(107)에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변경된 운전자 단말(106) 정보는 운전자 단말(106)로부터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차량(101)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로부터 송출되는 식별자가 운전자 단말(106)에 의해 감지되면, 운전자 단말(106)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운전자 단말(106)로부터 변경된 운전자 단말(106)정보가 서버의 수신부(201)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01)는 변경된 운전자 단말 정보(106)를 식별자에 대응하여 기록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201)는 운임 결제 정보가 포함된 차량(101)의 식별자를 운전자 단말(106)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운전자 단말(106)로부터 수신한 운임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1)에 탑승객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운전자 단말(106)에 포함된 차량(101)의 식별자에 포함된 운임 결제 정보가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501)가 운임을 연산하고 있는 경우를 지시하면, 차량(101)에 탑승객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운전자 단말(106)에 포함된 차량(101)의 식별자에 포함된 운임 결제 정보가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501)가 운임을 연산하고 있지 않는 경우를 지시하면, 차량(101)에 탑승객이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 단말(106)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과 탑승자 단말(103)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탑승자가 서버 측에 보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메뉴에 추가하여, 운전자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메뉴가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될 수 있다. 변경된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106)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를 이용하여, 차량(101)의 운전자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의하면, 차량(101) 운전자의 교대가 이루어진 경우, 교대 이후의 운전자 단말(106)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차량(101)의 식별자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고,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운전자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메뉴가 입력되면, 변경된 운전자 단말(106) 정보가 운전자 단말(106)로부터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에 전송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105)의 데이터베이스(701)에는 업데이트된 운전자 단말(106) 정보가 차량(101)의 식별자에 대응되어 기록되고, 유실물 정보는 식별자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106) 정보를 포함하여 미리 지정된 수신자 단말(107)에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실물 정보가 운전자 단말 및 수신자 단말에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202)는 탑승자 단말(103)이 유실물로 결정되면, 운전자 단말(106)에 유실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901을 참조하면, 운전자 단말(106)에 제공되는 유실물 정보는 탑승자 단말(103)에 대응되어, 미리 지정된 수신자 단말(107) 정보, 분실 시각, 및 분실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902을 참조하면, 수신자 단말(107)에 제공되는 유실물 정보는 차량(101)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차량(101) 정보, 운전자 단말(106), 분실 시각, 및 분실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실물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1 탑승자 단말 및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식별자가 반복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1001).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동안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1002).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동안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경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 및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의 차가 미리 정의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1003) 초과하는 경우 제1 탑승자 단말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1004).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동안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차량의 식별자가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차량의 식별자가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1005),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차량의 식별자가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제1 탑승자 단말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1004).
차량의 식별자가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차량의 식별자가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운임 결제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1006).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운임 결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운임 결제 정보가 수신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차량의 식별자가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1007), 제1 탑승자 단말을 유실물로 결정할 수 있다(1004).
제1 탑승자 단말이 유실물로 결정되면, 유실물 정보는 차량을 운행하고 잇는 운전자 단말에 전송될 수 있고(1008), 탑승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수신자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1009).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차량 유실물 알림 방법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의 동작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2 : 차량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
103 : 탑승자 단말
105 :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Claims (16)

  1.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에 있어서,
    제1 탑승자 단말 및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식별자를 반복적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탑승자 단말을 유실물로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식별자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출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탑승자 단말 및 상기 제2 탑승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 및 상기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 및 상기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의 차가 미리 정의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을 상기 유실물로 결정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 및 상기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 단말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운전자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유실물 정보를 운전자 단말에 전송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운전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차량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기 운전자 단말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수신자 단말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제1 탑승자 단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고, 상기 유실물 정보에 상기 조회된 수신자 단말 정보를 포함시키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탑승자 단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탑승자 단말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수신자 단말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되고,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 및 상기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차량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되고, 상기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 단말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제1 탑승자 단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고, 상기 차량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차량 정보 및 운전자 단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고, 유실물 정보에 상기 조회된 차량 정보 및 상기 운전자 단말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수신자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실물 정보를 수신자 단말에 전송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을 상기 유실물로 결정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운임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임 결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운임 결제 정보가 수신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을 상기 유실물로 결정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9.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에 있어서,
    운임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식별자를 탑승자 단말로부터 반복적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운임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 단말을 유실물로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운임 결제 정보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상기 차량의 운임을 연산하는 장치로부터 신호 발생기로 전송되고, 상기 운임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식별자는 상기 신호 발생기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출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탑승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임 결제 정보가 상기 차량의 운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경우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운임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상기 탑승자 단말로부터 최초로 수신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상기 탑승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탑승자 단말을 상기 유실물로 결정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 및 상기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 단말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운전자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유실물 정보를 운전자 단말에 전송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운전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차량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기 운전자 단말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수신자 단말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탑승자 단말로부터 탑승자 단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고, 상기 유실물 정보에 상기 조회된 수신자 단말 정보를 포함시키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14.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탑승자 단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탑승자 단말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수신자 단말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되고,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 및 상기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차량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되고, 상기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 단말 정보가 기록되어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탑승자 단말로부터 탑승자 단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고, 상기 차량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차량 정보 및 운전자 단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고, 유실물 정보에 상기 조회된 차량 정보 및 상기 운전자 단말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수신자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실물 정보를 수신자 단말에 전송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서버.
  15. 차량 유실물 알림 방법에 있어서,
    제1 탑승자 단말 및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식별자가 반복적으로 수신되는 단계;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 및 상기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의 차가 미리 정의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탑승자 단말이 유실물로 결정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이 상기 유실물로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운임 결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운임 결제 정보가 수신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상기 차량의 식별자가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이 상기 유실물로 결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식별자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출되고, 상기 차량의 식별자는 상기 제1 탑승자 단말 및 상기 제2 탑승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 및 상기 제2 탑승자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차량 유실물 알림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 및 상기 복수의 차량의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 단말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유지되는 단계;
    복수의 탑승자 단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탑승자 단말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수신자 단말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유지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되고, 상기 조회된 운전자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유실물 정보가 운전자 단말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1 탑승자 단말로부터 제1 탑승자 단말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제1 탑승자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자 단말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되고, 상기 수신자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실물 정보가 수신자 단말에 전송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유실물 알림 방법.
KR1020150057818A 2015-04-24 2015-04-24 차량 유실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실물 알림 서버 및 유실물 알림 방법 KR101639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818A KR101639324B1 (ko) 2015-04-24 2015-04-24 차량 유실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실물 알림 서버 및 유실물 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818A KR101639324B1 (ko) 2015-04-24 2015-04-24 차량 유실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실물 알림 서버 및 유실물 알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324B1 true KR101639324B1 (ko) 2016-07-13

Family

ID=5650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818A KR101639324B1 (ko) 2015-04-24 2015-04-24 차량 유실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실물 알림 서버 및 유실물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75175A (ja) * 2018-03-28 2019-10-10 日本電気株式会社 忘れ物検知システム、携帯デバイス、忘れ物検知プログラム及び忘れ物検知方法
WO2021015303A1 (ko) * 2019-07-19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주행 공유차량에서 분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778A (ko) 1999-12-13 2001-07-04 손덕열 지피에스와 비콘 겸용 단말시스템
JP2013191960A (ja) * 2012-03-13 2013-09-26 Panasonic Corp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KR20140067688A (ko) * 2012-11-27 201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연결장치 알림 방법
KR101550302B1 (ko) 2014-07-08 2015-09-07 주식회사 유시스 비콘신호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778A (ko) 1999-12-13 2001-07-04 손덕열 지피에스와 비콘 겸용 단말시스템
JP2013191960A (ja) * 2012-03-13 2013-09-26 Panasonic Corp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KR20140067688A (ko) * 2012-11-27 201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연결장치 알림 방법
KR101550302B1 (ko) 2014-07-08 2015-09-07 주식회사 유시스 비콘신호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75175A (ja) * 2018-03-28 2019-10-10 日本電気株式会社 忘れ物検知システム、携帯デバイス、忘れ物検知プログラム及び忘れ物検知方法
JP6996390B2 (ja) 2018-03-28 2022-01-17 日本電気株式会社 忘れ物検知システム、携帯デバイス、忘れ物検知プログラム及び忘れ物検知方法
WO2021015303A1 (ko) * 2019-07-19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주행 공유차량에서 분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435196B2 (en) 2019-07-19 2022-09-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st property in shared autonomous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3423B2 (en) System for managing parking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US8340893B2 (en) Mobile object support system
US9772197B2 (en) Dispatch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US20190043000A1 (en) System for pairing uav and truck to make uav complete goods delivey and method thereof
CN102737501A (zh) 出租车载客调度方法和系统以及调度服务器
WO2013109960A1 (en) Transitioning to a roadside unit state
CN105184504A (zh) 一种车辆调度方法、装置及系统
CN202650043U (zh) 基于rfid技术和gps技术的在途货物跟踪装置
CN104183116A (zh) 出租车调度系统、车载导航终端及调度服务器
CN11174713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信息处理程序
CN102119319A (zh) 用于在站台上发现合适的登车区的方法和移动设备
US20150348334A1 (en) Travel data of transport system users
CN105096639A (zh) 用于预测公交到站时间的方法、装置和系统
CN105438224A (zh) 一种列车运行控制方法和装置
KR101599192B1 (ko) 탑승 정보 제공을 위한 서버, 어플리케이션, 및 탑승 정보 제공 방법
KR101639324B1 (ko) 차량 유실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실물 알림 서버 및 유실물 알림 방법
KR20160025294A (ko) 도시 철도망을 이용한 물류 운송 시스템 및 물류 운송 방법
JP5452569B2 (ja) 列車位置確定装置および列車位置確定方法
KR102054494B1 (ko) 비접촉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88302B2 (ja) サーバ装置、車載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003023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bility network
RU2711255C1 (ru) Способ информирования и система информирования для выдач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информации о выходе в рельсовом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KR20130020547A (ko) 차량도착안내방법, 차량도착안내장치, 및 기록매체
CN114537476A (zh) 列车防碰撞处理方法、装置及系统
JP6576718B2 (ja) サーバ装置およびチェックイ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