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177B1 - 캔 압착장치 - Google Patents

캔 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177B1
KR101639177B1 KR1020150171527A KR20150171527A KR101639177B1 KR 101639177 B1 KR101639177 B1 KR 101639177B1 KR 1020150171527 A KR1020150171527 A KR 1020150171527A KR 20150171527 A KR20150171527 A KR 20150171527A KR 101639177 B1 KR101639177 B1 KR 101639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drum
pressing drum
main body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주태
Original Assignee
노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태 filed Critical 노주태
Priority to KR102015017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30B9/325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between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 및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캔을 압착하는 캔 압착장치로서, 압착장치는, 캔이 투입되는 호퍼와, 투입된 캔을 압착하는 압착부와, 압착된 캔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갖는 본체; 본체의 압착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사이로 투입되는 캔을 압착하는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 및 제 1 압착드럼을 회전시켜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본체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전달휠과, 제 1 전달휠에 연결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2 전달휠이 구비되고,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에는 해당 압착드럼과 같이 회전되는 한편 각각 제 1 전달휠과 제 2 전달휠에 연결되는 제 1 연동휠과 제 2 연동휠이 구비되어,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캔 압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캔 압착장치{Apparatus for compressing cans}
본 발명은 금속 및 플라스틱 재질의 캔을 압착하는 캔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캔을 크기에 관계없이 연속하여 신속하게 압착할 수 있는 캔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나 식료품을 비롯한 다양한 제품의 포장 수단으로 캔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캔은 알루미늄, 스틸 등의 금속 재질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므로 사용 후에는 이를 수거하여 자원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사용된 캔의 재사용을 위해서는 캔을 녹여 원재료 형태로 가공하는 장소로 운반해야 하는데, 캔은 내부가 비어 있는 용기 형태이므로, 운반이나 보관시에 소요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캔을 압축하여 부피를 줄인 상태로 운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512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한다)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3182호(이하 '선행문헌2'라 한다)에 캔을 투입하면 캡을 자동으로 압착하는 압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캔 자동 압착기는 캔이 투입되면, 실린더를 이용한 압착수단이 이동되어 캔을 압착시키고, 압착된 캔은 하부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성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선행문헌1,2에 개시된 종래의 캔 자동 압착기는 실린더에 의한 압착수단이 단일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한 사이클에 하나의 캔만을 압축시키게 되므로, 다수의 캔을 압착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행문헌1,2에 개시된 종래의 캔 자동 압착기에서는 압착수단 측으로 하나의 캔만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공급수단이 구성되어야 하므로 압착기의 구성 및 구조가 복잡해질 뿐 아니라 크기와 부피가 비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캔 압착장치 및 이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512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318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압착드럼을 구비하여 줌으로써 다량의 캔을 연속하여 신속하게 압착시킬 수 있는 캔 압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투입되는 캔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캔을 압착시킬 수 있는 캔 압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캔 압착장치는, 금속 및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캔을 압착하는 캔 압착장치로서, 압착장치는, 캔이 투입되는 호퍼와, 투입된 캔을 압착하는 압착부와, 압착된 캔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갖는 본체; 본체의 압착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사이로 투입되는 캔을 압착하는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 및 제 1 압착드럼을 회전시켜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본체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전달휠과, 제 1 전달휠에 연결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2 전달휠이 구비되고,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에는 해당 압착드럼과 같이 회전되는 한편 각각 제 1 전달휠과 제 2 전달휠에 연결되는 제 1 연동휠과 제 2 연동휠이 구비되어,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압착드럼 또는 제 2 압착드럼의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압착드럼에는 기어부가 삽입될 수 있는 기어홈이 형성되어, 캔을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 사이에서 압착시킬 수도 있다.
게다가, 본체에 제 1 전달휠을 회전가능하게 구비하는 중심축; 및 중심축에 그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제 2 압착드럼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제 2 압착드럼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더욱이, 본체에는 본체 상에서 회전되는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되, 간격조절수단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통체; 회전통체에 삽입되어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단부는 회전판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 및 로드와 회전통체 사이에 구비되어 인출된 로드를 회전통체 내로 삽입시켜 복귀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판에는 회전판의 회전 곡률에 대응한 안내공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본체에는 안내공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고정핀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 압착장치는, 금속 및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캔을 압착하는 캔 압착장치로서, 압착장치는, 캔이 투입되는 호퍼와, 투입된 캔을 압착하는 압착부와, 압착된 캔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갖는 본체; 본체의 압착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사이로 투입되는 캔을 압착하는 제 1 압착드럼 및 제 2 압착드럼; 제 1 압착드럼에 연결되어 제 1 압착드럼 및 제 2 압착드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압착드럼 또는 제 2 압착드럼의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압착드럼에는 기어부가 삽입될 수 있는 기어홈이 형성되어, 캔을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 사이에서 압착시킬 수 있다.
또한, 압착드럼에는 각각 제 1 연동휠과 제 2 연동휠이 구비되고, 본체에는 제 1 연동휠 및 제 2 연동휠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제 1 연동휠과 제 2 연동휠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복수의 연결휠이 구비되며, 양 연결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휠은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제 2 압착드럼은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제 2 압착드럼은 그 일단부에 지지판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한 본체에는 지지판의 상,하단부와 결합되어 지지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더가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에는 본체 상에서 이동되는 제 2 압착드럼과 제 1 압착드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더 구비되고, 간격조절수단은, 본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면에는 중공관이 돌출 형성되는 고정블럭; 고정블럭의 중공관 내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탄성체; 및 제 2 압착드럼의 지지판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면에는 탄성체에 삽입되는 지지바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체에는 제 2 압착드럼의 이동시 제 2 압착드럼의 제 2 연동휠과 체인으로 연결된 연결휠의 변위를 조절하는 변위조절수단이 더 구비되고, 변위조절수단은, 본체에 그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타단부에는 지지바가 돌출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는 연결휠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럭; 회전블럭의 지지바가 그 내부로 삽입되어 구비되는 탄성체; 및 본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면에는 탄성체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중공관이 돌출 형성되는 고정블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캔 압착장치에 따르면, 본체 상부의 호퍼를 통해 투입된 다량의 캔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압착드럼을 통해 압착함으로써 다량의 캔을 연속하여 신속하게 압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호퍼로 투입되는 캔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캔을 양 압착드럼 사이에서 압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캔 압착장치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캔 압착장치에 구비되는 회전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캔 압착장치의 압착드럼을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캔 압착장치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좌측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캔 압착장치의 압착드럼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캔 압착장치의 압착드럼을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캔 압착장치에 구성되는 간격조절수단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캔 압착장치에 구성되는 변위조절수단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캔 압착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캔 압착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빈 본체(10a)와, 본체(10a)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압착드럼(20) 및 제 2 압착드럼(30)과, 제 1 압착드럼(20)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60)를 포함한다.
본체(10a)는 그 외측 상단부에 캔이 투입되는 호퍼(11)가 구비되고, 호퍼(11) 하부의 내측 상부에는 캔을 압착하는 압착부(12)가 구비되며, 압착부(12) 하부의 내측 하부에는 압착부(12)에서 압착된 캔이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부(1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체(10a)의 내부 공간을 상,하부로 구획하는 압착부(12)와 수납부(13)는 그 사이에 일정한 직경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서 연통되게 구비되고, 수납부(13)는 본체(10a)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도어(미도시)에 의해서 개폐되어, 그 내부에 수납된 압착된 캔을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압착부(12)에서 압착되는 캔은 알루미늄이나 스틸 등의 금속 재질과 플라스틱 재질을 모두 포함하는 용기를 통칭한다.
그리고, 본체(10a)에는 후술될 제 1,2 압착드럼(20)(30)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60)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모터(60)에는 모터풀리(62)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모터풀리(62)에는 벨트(63)를 매개로 한 제 1 전달휠(40)의 전달풀리(41)가 연결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모터(40)와 모터풀리(41) 사이에는 변속기(61)가 구비되어 모터(60)의 동력을 감속 또는 증속시켜 제 1 전달휠(40)에 전달할 수도 있다.
특히, 제 1 전달휠(40)은 본체(10a)에 중심축(2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제 1 전달휠(40)은 중심축(23)에 고정되어 중심축(23)과 같이 회전될 수도 있고, 또는 중심축(23)은 본체(10a)에 고정되는 한편 중심축(23) 상에 제 1 전달휠(40)이 공회전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전달휠(40)에는 전달풀리(41)가 축으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전달풀리(41)와 제 1 전달휠(40)이 같이 회전되고, 이와 같은 제 1 전달휠(40)은 후술될 제 2 전달휠(50) 및 제 2 압착드럼(30)의 제 2 연동휠(32)과 치합되어 구비된다.
또한, 제 1 전달휠(40)과 인접한 본체(10a)에는 제 2 전달휠(5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제 2 전달휠(50)은 제 1 전달휠(40) 및 후술될 제 1 압착드럼(20)의 제 1 연동휠(22)과 치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모터(60)가 작동되면, 모터풀리(62)가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모터풀리(62)에 벨트(63)로서 연결된 전달풀리(41)가 모터풀리(62)와 동일한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1 전달휠(40)을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 1 전달휠(40)과 치합된 제 2 전달휠(50) 및 제 2 압착드럼(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2 전달휠(50)과 치합된 제 1 압착드럼(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1,2 압착드럼(20)(30)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투입되는 캔을 압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체(10a)의 압착부(12) 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압착드럼(20)과 제 2 압착드럼(30)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이와 같은 제 1 압착드럼(20)과 제 2 압착드럼(30)은 모터(60)에 의해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투입되는 캔을 압착시키게 된다.
제 1 압착드럼(20)은 본체(10a) 내부의 압착부(12)에 회전은 가능하지만 이동은 불가한 상태로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는 돌출된 기어부(2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기어부(21)는 제 1 압착드럼(20)의 외주면에 연속한 나선형으로 된 하나의 열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각각 독립된 원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기어부(21)는 도 1에서와 같이, 제 1 압착드럼(20)의 외주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부(21a)와, 수직부(21a)에서 제 1 압착드럼(20)의 외주면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경사부(21b)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기어부(21)는 수직부(21a)가 제 2 압착드럼(30)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 1 압착드럼(20)의 정회전(즉 캔을 압착하는 방향)시 호퍼(11)를 통해 투입된 캔을 제 1 압착드럼(20)의 기어부(21)의 수직부(21a)가 찍은 상태로 제 1 압착드럼(20)과 제 2 압착드럼(30) 사이로 끌고 들어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1 압착드럼(20)에는 제 1 압착드럼(20)에서 인출되는 축에 제 1 연동휠(22)이 고정되게 구비되어 제 1 연동휠(22)과 제 1 압착드럼(20)이 연동되어 회전되고, 제 1 연동휠(22)은 제 2 전달휠(50)과 치합되어 구비됨으로써, 제 2 전달휠(50)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제 2 압착드럼(30)은 제 1 압착드럼(20)에 대응한 구성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제 1 압착드럼(20)의 기어부(21)에 대응한 기어홈(31)이 형성되어 기어부(21)가 회전되면서 기어홈(31)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어홈(31)은 제 1 압착드럼(20)의 기어부(21)와 마찬가지로 나선형의 기어부(21)에 대응한 나선형의 기어홈(31)으로 형성되어 기어부(21)와 기어홈(31)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또는 독립된 원형의 기어부(21)에 대응한 독립된 원형으로 형성되어 각 기어부(21)가 각 기어홈(31)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 2 압착드럼(30)의 일면에는 제 1 전달휠(40)에 치합되는 제 2 연동휠(32)이 구비되어, 제 1 전달휠(40)과 제 2 연동휠(32)에 의해 제 2 압착드럼(30)이 회전 구동된다. 이러한 제 2 압착드럼(30)은 제 1 압착드럼(2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사이에서 캔을 압착시키고, 모터(60)의 역회전시는 전술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제 2 압착드럼(30)은 본체(10a) 상에서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제 2 압착드럼(30)의 일단부에는 회전판(71)이 구비되고, 회전판(71)에는 제 2 압착드럼(3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판(71)은 그 일단부가 본체(10a)의 중심축(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판(71)에 의해 제 2 압착드럼(30)은 본체(10a) 상에서 회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압착드럼(20)과 제 2 압착드럼(30)이 구비되는 본체(10a)의 압착부(12)에는 양 압착드럼(20)(3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70)이 구성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수단(7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a) 상에서 제 2 압착드럼(30)의 회전을 통해서 본체(10a) 내부로 투입되는 캔의 크기에 따라 제 1 압착드럼(20)과 제 2 압착드럼(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간격조절수단(70)은 본체(10a)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통체(71)와, 회전통체(71)에 삽입되어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단부는 회전판(24)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73)와, 로드(73)와 회전통체(71) 사이에 구비되어 인출된 로드(73)를 회전통체(71) 내로 삽입시켜 복귀시키는 탄성체(72)를 포함한다.
회전통체(71)는 통상의 실린더로서 그 일단부가 본체(10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개구부로서 로드(73)가 출입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로드(73)는 통상의 피스톤으로서 그 일단부는 회전판(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회전통체(71)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출입된다. 따라서, 회전판(24)의 회전에 의해 제 1 압착드럼(20)과 제 2 압측드럼(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경우에는 로드(73)가 회전통체(71)로부터 인출되고, 반대로 회전판(24)의 역회전에 의해 제 1 압착드럼(20)과 제 2 압착드럼(3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에는 로드(73)가 회전통체(71)로 인입된다.
이와 같은 회전통체(71)와 로드(73)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72)는 인장 코일스프링으로서, 평상시에는 압축된 상태로 회전통체(71)와 로드(73)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가 로드(73)의 인출시 인장되면서 인출된 로드(73)를 회전통체(71) 내로 삽입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체(10a) 상에서 회전되는 회전판(24)에는 회전판(24)의 회전 곡률에 대응한 안내공(25)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본체(10a)에는 안내공(25)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고정핀(14)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회전판(24)의 회전시는 고정핀(14)과 안내공(25)에 의해서 안내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캔 압착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캔 압착장치(1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60)를 작동시키면, 변속기(61)에 의해 감속 또는 증속된 모터풀리(62)가 회전되면서 이에 벨트(63)로 연결된 제 1 전달휠(40)의 전달풀리(41)가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때, 전달풀리(41)와 함께 제 1 전달휠(40)이 도 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1 전달휠(40)에 치합된 제 2 전달휠(50)과 제 2 압착드럼(30)의 제 2 연동휠(3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 2 전달휠(50)에 치합된 제 1 압착드럼(20)의 제 1 연동휠(2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 1 연동휠(22)과 제 2 연동휠(32)에 각각 구비되어 연동되는 제 1 압착드럼(20)과 제 2 압착드럼(30)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본체(10a)의 호퍼(11)를 통해 제 1,2 압착드럼(20)(30) 사이로 투입되는 캔을 압착하고, 압착된 캔은 양 압착드럼(20)(30) 사이를 지나 수납부(13)로 배출되어 수납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 1,2 압착드럼(20)(30) 사이로 투입되는 캔은 제 1 압착드럼(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21)의 수직부(21a)가 제 2 압착드럼(30)을 향하여 회전됨으로써 기어부(21)가 캔을 찍어 물은 상태로 회전되어 제 2 압착드럼(30)의 기어홈(31)으로 삽입되어 통과하게 되므로 본체(10a) 내로 투입된 캔들을 연속하여 신속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양 압착드럼(20)(30) 사이로 공급되는 캔의 크기에 따라 제 2 압착드럼(30)이 제 1 압착드럼(20)으로부터 회전되면서 양 압착드럼(20)(30) 사이의 간격을 캔의 크기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부피가 큰 캔도 신속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 1 압착드럼(20)의 기어부(21)에 의해 캔이 강제적으로 양 압착드럼(20)(30) 사이로 유입되어 압착될 때, 최초 투입되는 캔의 직경이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제 2 압착드럼(30)이 구비된 회전판(24)이 중심축(23)을 축으로 도 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압착되는 캔의 크기(부피)가 줄어듦에 따라 인장되었던 탄성체(72)의 복원력에 의해 제 2 압착드럼(30)이 역회전 되면서 원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캔 압착장치(10)에 의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다량의 캔을 연속하여 신속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캔 압착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빈 본체(110)와, 본체(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압착드럼(120) 및 제 2 압착드럼(130)과, 제 1 압착드럼(120)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19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본체(10a)와 대동소이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그 외측 상단부에는 캔이 투입되는 호퍼(111)가 구비되고, 호퍼(111) 하부의 내측 상부에는 캔을 압착하는 압착부(112)가 구비되며, 압착부(112) 하부의 내측 하부에는 압착부(112)에서 압착된 캔이 배출되어 수납되는 수납부(11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상,하부로 구획하는 압착부(112)와 수납부(113)는 그 사이에 일정한 직경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서 연통되게 구비되고, 수납부(113)는 본체(110)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도어(미도시)에 의해서 개폐되어 그 내부에 수납된 압착된 캔을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압착부(112)에서 압착되는 캔은 알루미늄이나 스틸 등의 금속 재질과 플라스틱 재질을 모두 포함하는 용기를 통칭한다.
그리고, 본체(110)의 압착부(112) 내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압착드럼(120)과 제 2 압착드럼(130)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이와 같은 제 1 압착드럼(120)과 제 2 압착드럼(130)은 후술될 모터(190)의 작동시 서로 반대되는 방향(즉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투입되는 캔을 압착시키게 된다.
제 1 압착드럼(120)은 본체(110) 내부의 압착부(112)에 회전은 가능하지만 이동은 불가한 상태로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는 돌출된 기어부(12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기어부(121)는 제 1 압착드럼(120)의 외주면에 연속한 나선형으로 된 하나의 열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각각 독립된 원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기어부(121)는 제 1 압착드럼(120)의 외주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부(121a)와, 수직부(121a)에서 제 1 압착드럼(120)의 외주면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경사부(121b)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기어부(121)는 수직부(121a)가 제 2 압착드럼(130)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 1 압착드럼(120)의 정회전(즉 캔을 압착하는 방향)시 호퍼(111)를 통해 투입된 캔을 제 1 압착드럼(120)의 기어부(121)가 찍은 상태로 제 1 압착드럼(120)과 제 2 압착드럼(130) 사이로 끌고 들어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1 압착드럼(120)의 일면에는 제 1 압착드럼(120)에서 인출되는 축에 제 1 연동휠(122)과 구동풀리(123)가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어 연동된다. 이와 같은 제 1 연동휠(122)에는 후술될 체인(160)이 연결되고, 제 1 연동휠(122) 전방의 구동풀리(123)에는 벨트(192)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특히, 제 1 압착드럼(120)의 구동풀리(123)에는 벨트(192)를 매개로 모터(190)가 연결되는 바, 모터(190)는 본체(110)의 외측면 상단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190)는 그 일단부에 모터풀리(19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모터풀리(191)는 벨트(192)로서 제 1 압착드럼(120)의 구동풀리(123)와 연결되어 상호 연동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모터(190)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터(190)가 작동되면, 모터풀리(191)가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모터풀리(191)에 벨트(192)로서 연결된 구동풀리(123)가 모터풀리(191)와 동일한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제 1 압착드럼(1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 1 압착드럼(120)은 제 2 압착드럼(130)을 향하는 측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 2 압착드럼(130)은 제 1 압착드럼(120)에 대응한 구성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제 1 압착드럼(120)의 기어부(121)에 대응한 기어홈(131)이 형성되어 기어부(121)가 회전되면서 기어홈(131)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어홈(131)은 제 1 압착드럼(120)의 기어부(121)와 마찬가지로 나선형의 기어부(121)에 대응한 나선형의 기어홈(131)으로 형성되어 기어부(121)와 기어홈(131)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또는 독립된 원형의 기어부(121)에 대응한 독립된 원형으로 형성되어 각 기어부(121)가 각 기어홈(131)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 2 압착드럼(130)의 일면에는 제 1 압착드럼(120)의 제 1 연동휠(122)과 체인(160)으로 연결되는 제 2 연동휠(132)이 구비되어, 제 1 압착드럼(120)과 제 2 압착드럼(130)은 모터(190)의 작동시 일체로 연동되어 회전 구동된다. 다만, 제 2 압착드럼(130)은 후술될 복수의 연결휠(140)(150)을 통해서 제 1 압착드럼(120)과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될 연결휠(140)(150)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제 2 압착드럼(130)은 본체(110) 상에서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제 2 압착드럼(130)은 그 일단부에 지지판(133)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한 본체(110)에는 지지판(133)의 상,하단부와 결합되어 지지판(13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더(171)(172)가 고정되어 구비된다.
제 2 압착드럼(130)의 지지판(133)은 그 상,하면에 각각 함몰된 가이드홈(133a)이 형성되고, 본체(110)에 구비되는 양 가이더(171)(172)의 각 상,하면에는 지지판(133)의 가이드홈(133a)에 대응한 가이드돌부(171a)(172a)가 돌출 형성되어 지지판(133)의 가이드홈(133a)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제 2 압착드럼(130)은 지지판(133)의 가이드홈(133a)과 가이더(171)(172)의 가이드돌부(171a)(172a)에 의해 본체(110) 상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 1 압착드럼(120)과 제 2 압착드럼(130)은 모터(190)의 구동에 의해 함께 회전 구동되는데, 이때 제 1 압착드럼(120)과 제 2 압착드럼(130) 사이에는 체인(160)을 우회시키는 복수의 연결휠(140)(150)이 구비되어 제 1 압착드럼(120)과 제 2 압착드럼(130)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즉, 제 1 압착드럼(120)의 제 1 연동휠(122) 상부에는 제 1 연결휠(140)이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제 1 연동휠(122)의 하부 일측에는 제 2 연결휠(150)이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제 1,2 연결휠(140)(150)과 제 1 연동휠(122), 제 2 연동휠(132)은 모두 체인(160)으로 연결되어 연동되게 구비되되, 제 1,2 연결휠(140)(150)과 제 2 연동휠(132)은 체인(160)에 내접하여 구비되고, 제 1 연동휠(122)은 체인(160)에 외접하여 구비됨으로써, 제 1 연동휠(122)과 제 2 연동휠(132)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제 1 압착드럼(120)과 제 2 압착드럼(130)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복수의 연결휠(140)(150) 중 제 2 연결휠(150)은 후술될 회전블럭(181)에 구비되어 본체(110)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될 변위조절수단(180)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압착드럼(120)과 제 2 압착드럼(130)이 구비되는 본체(110)의 압착부(112)에는 양 압착드럼(120)(13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170)과, 간격조절수단(170)과 연동하여 제 2 연결휠(150)의 변위를 조절하는 변위조절수단(180)이 더 구성된다.
먼저, 간격조절수단(17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상에서 제 2 압착드럼(130)의 이동을 통해서 본체(110) 내부로 투입되는 캔의 크기에 따라 제 1 압착드럼(120)과 제 2 압착드럼(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수단(170)은 본체(1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블럭(173)과, 고정블럭(173)에 대향되는 제 2 압착드럼(130)의 지지판(133)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지지블럭(175)과, 지지블럭(175)과 고정블럭(173)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는 탄성체(174)를 포함한다.
고정블럭(173)은 지지블럭(175)과 대향되는 그 일면에 중공관(173a)이 돌출 형성되고, 지지블럭(175) 역시도 고정블럭(173)과 대향되는 그 일면에 지지바(175a)가 돌출 형성되되, 이와 같은 고정블럭(173)의 중공관(173a)과 지지블럭(175)의 지지바(175a)는 동일선상으로 위치되어 제 2 압착드럼(130)의 후진 이동시 지지블럭(175)이 탄성체(174)를 압축시키면서 지지블럭(175)의 지지바(175a)가 고정블럭(173)의 중공관(173a)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지지블럭(175)과 고정블럭(173) 사이에서 압축되는 탄성체(174) 역시도 지지바(175a)와 더불어 고정블럭(173)의 중공관(173a) 내로 삽입되어 압축됨으로써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탄성체(174)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그 일단부는 고정블럭(173)의 중공관(173a)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지지블럭(175)의 지지바(175a)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탄성체(174)는 그 양단부가 중공관(173a)과 지지바(175a)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제 2 압착드럼(130)의 이동시 압축되거나 인장된다. 이때, 탄성체(174)의 탄성력(압축력)은 양 압착드럼(120)(130)이 캔을 충분히 압착시킬 수 있는 지지력을 갖는다.
또한, 본체(11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압착드럼(130)의 이동시 간격조절수단(170)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변위조절수단(180)이 더 구비되고, 변위조절수단(180)은 제 2 연결휠(150)의 변위를 조절한다.
이러한 변위조절수단(180)은 본체(110)에 그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회전블럭(181)과, 회전블럭(181)의 타단부에 대향되는 본체(1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블럭(184)과, 고정블럭(184)과 회전블럭(181)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는 탄성체(185)를 포함한다.
회전블럭(181)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부(상단부)에는 본체(110)에 힌지된 힌지부(181a)가 형성되고, 타단부(하단부)에는 고정블럭(184)과 대향되는 지지바(181b)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블럭(181)은 그 상단부의 힌지부(181a)를 축으로 하단부의 지지바(181b)가 제 2 압착드럼(130)의 이동(간격조절수단(170)의 작동)시 진자운동을 하게 된다.
게다가, 회전블럭(181)의 일측에는 고정핀(182)이 돌출 형성되고, 이 고정핀(182)의 외주면에는 베어링(183)이 삽입되어 구비되며, 베어링(183)의 외주면에는 제 2 연결휠(150)이 삽입되어 구비됨으로써 제 2 연결휠(150)은 회전블럭(181)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 2 연결휠(150)은 회전블럭(181) 상에서 회전되면서 회전블럭(181)과 같이 진자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블럭(184)은 회전블럭(181)의 지지바(181b)와 대향되는 일면에 중공관(184a)이 돌출 형성되고, 탄성체(185)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그 일단부는 고정블럭(184)의 중공관(184a)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회전블럭(181)의 지지바(181b)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탄성체(185)는 그 양단부가 중공관(184a)과 지지바(181b)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블럭(181)의 진자운동시 압축되거나 인장된다.
이때, 회전블럭(181)과 고정블럭(184) 사이에서 압축되는 탄성체(185)는 압축시 회전블럭(181)의 지지바(181b)가 끼워진 상태로 지지바(181b)와 같이 고정블럭(184)의 중공관(184a) 내로 삽입되어 압축됨으로써 탄성체(185)의 압축 및 인장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캔 압착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캔 압착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190)를 작동시키면, 모터풀리(191)가 회전되고, 이에 벨트(192)로 연결된 제 1 압착드럼(120)의 구동풀리(123)가 연동되어 회전된다.
그리고, 구동풀리(123)의 회전에 의해 제 1 압착드럼(120)의 제 1 연동휠(122)이 구동풀리(123)와 같이 회전되고, 제 1 연동휠(122)에 체인(160)으로 연결된 제 1,2 연결휠(140)(150)과 제 2 압착드럼(130)의 제 2 연동휠(132) 역시도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때, 제 2 연동휠(132)이 체인(160)에 내접하여 구비되는 반면에 제 1 연동휠(122)은 체인(160)에 외접하여 구비됨으로써 제 1 연동휠(122)과 제 2 연동휠(13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러한 제 1 연동휠(122) 및 제 2 연동휠(132)의 회전에 의해 제 1 압착드럼(120)과 제 2 압착드럼(130)은 서로 반대방향(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즉, 도 4를 기준으로 하여, 제 1 압착드럼(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2 압착드럼(1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본체(110)의 호퍼(111)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투입된 캔은 서로 반대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1 압착드럼(120)과 제 2 압착드럼(130) 사이에서 압착되고, 양 압착드럼(120)(130) 사이에서 압착된 캔은 하부의 수납부(113)로 배출되어 수납 보관된다.
특히, 본체(110) 내부로 투입된 캔은 제 1 압착드럼(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121)의 수직부(121a)가 제 2 압착드럼(130)을 향하여 회전됨으로써 기어부(121)가 캔을 찍어 물은 상태로 회전되어 제 2 압착드럼(130)의 기어홈(131)으로 삽입되어 통과하게 되므로 본체(110) 내로 투입된 캔들을 연속하여 신속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양 압착드럼(120)(130) 사이로 공급되는 캔의 크기에 따라 제 2 압착드럼(130)이 제 1 압착드럼(120)을 기준으로 하여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면서 양 압착드럼(120)(13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캔을 신속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 1 압착드럼(120)의 기어부(121)에 의해 캔이 강제적으로 양 압착드럼(120)(130) 사이로 유입되어 압착될 때, 최초 투입되는 캔의 직경이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제 2 압착드럼(130)이 지지블럭(175)과 고정블럭(173) 사이의 탄성체(174)를 압축시키며 일시적으로 후진 이동되었다가 압착되는 캔의 크기(부피)가 줄어듦에 따라 탄성체(174)의 복원력에 의해 제 2 압착드럼(130)이 전진 이동되면서 원상태로 복귀된다(도 8 참조).
또한, 상기와 같은 제 2 압착드럼(130)의 이동시는 제 2 연동휠(132)과 체인(160)으로 연결된 제 2 연결휠(150)이 제 2 압착드럼(130)과 연동되어 이동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압착드럼(130)이 후진 이동되면, 제 2 연동휠(132)이 제 2 압착드럼(130)과 같이 후진 이동되어 체인(160)을 통해 제 2 연결휠(150)을 당기게 된다.
그러면, 제 2 연결휠(150)을 당기는 힘에 의해 회전블럭(181)이 그 상단부의 힌지부(181a)를 축으로 제 2 연결휠(150)과 하단부의 지지바(181b)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와 같은 지지바(181b)의 회전에 의해 회전블럭(181)과 고정블럭(184) 사이의 탄성체(185)는 압축된다. 이후, 다시 제 2 압착드럼(130)이 전진 이동됨에 따라 회전블럭(181)과 고정블럭(184)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던 탄성체(185)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블럭(181)이 역회전 되면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도 9 참조).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캔 압착장치(100)에 의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다량의 캔을 연속하여 신속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100 : 압착장치 10a,110 : 본체
11,111 : 호퍼 12,112 : 압착부
13,113 : 수납부 14 : 고정핀
20,120 : 제 1 압착드럼 21,121 : 기어부
21a,121a : 수직부 21b,121b : 경사부
22,122 : 제 1 연동휠 23 : 중심축
24 : 회전판 25 : 안내공
123 : 구동풀리 30,130 : 제 2 압착드럼
31,131 : 기어홈 32,132 : 제 2 연동휠
133 : 지지판 133a : 가이드홈
40,50 : 전달휠 41 : 전달풀리
60 : 모터 61 : 변속기
62 : 모터풀리 63 : 벨트
140,150 : 연결휠 160 : 체인
70,170 : 간격조절수단 71 : 회전통체
72 : 탄성체 73 : 로드
171,172 : 가이더 171a,172a : 가이드돌부
173 : 고정블럭 173a : 중공관
174 : 탄성체 175 : 지지블럭
175a : 지지바 180 : 변위조절수단
181 : 회전블럭 181a : 힌지부
181b : 지지바 182 : 고정핀
183 : 베어링 184 : 고정블럭
184a : 중공관 185 : 탄성체
190 : 모터 191 : 모터풀리
192 : 벨트

Claims (6)

  1. 금속 및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캔을 압착하는 캔 압착장치로서,
    압착장치는, 캔이 투입되는 호퍼와, 투입된 캔을 압착하는 압착부와, 압착된 캔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갖는 본체;
    본체의 압착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사이로 투입되는 캔을 압착하는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 및
    제 1 압착드럼을 회전시켜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본체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전달휠과, 제 1 전달휠에 연결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2 전달휠이 구비되고,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에는 해당 압착드럼과 같이 회전되는 한편 각각 제 1 전달휠과 제 2 전달휠에 연결되는 제 1 연동휠과 제 2 연동휠이 구비되어,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캔 압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압착드럼 또는 제 2 압착드럼의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압착드럼에는 기어부가 삽입될 수 있는 기어홈이 형성되어, 캔을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 사이에서 압착시킬 수 있는 캔 압착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에 제 1 전달휠을 회전가능하게 구비하는 중심축; 및
    중심축에 그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제 2 압착드럼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제 2 압착드럼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캔 압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본체에는 본체 상에서 회전되는 제 1 압착드럼과 제 2 압착드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되,
    간격조절수단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통체;
    회전통체에 삽입되어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단부는 회전판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 및
    로드와 회전통체 사이에 구비되어 인출된 로드를 회전통체 내로 삽입시켜 복귀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캔 압착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회전판에는 회전판의 회전 곡률에 대응한 안내공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본체에는 안내공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고정핀이 돌출 형성되는 캔 압착장치.
KR1020150171527A 2015-12-03 2015-12-03 캔 압착장치 KR101639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527A KR101639177B1 (ko) 2015-12-03 2015-12-03 캔 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527A KR101639177B1 (ko) 2015-12-03 2015-12-03 캔 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177B1 true KR101639177B1 (ko) 2016-07-13

Family

ID=5650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527A KR101639177B1 (ko) 2015-12-03 2015-12-03 캔 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6609A (zh) * 2018-02-24 2018-12-18 杨尔坚 一种植物脱水的处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684A (ja) * 1989-07-22 1991-02-07 Hiroyuki Yonaha 空缶遊技プレス機
JPH04237598A (ja) * 1991-01-21 1992-08-26 Fuji Photo Film Co Ltd フィルム用パトローネ圧縮装置
JPH0780692A (ja) * 1993-09-14 1995-03-28 Shinei Seisakusho:Kk 缶処理装置
KR200353182Y1 (ko) 2004-03-30 2004-06-14 주식회사 이륜 캔 압착장치
KR200362512Y1 (ko) 2004-07-07 2004-09-18 주식회사 이륜 캔 압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684A (ja) * 1989-07-22 1991-02-07 Hiroyuki Yonaha 空缶遊技プレス機
JPH04237598A (ja) * 1991-01-21 1992-08-26 Fuji Photo Film Co Ltd フィルム用パトローネ圧縮装置
JPH0780692A (ja) * 1993-09-14 1995-03-28 Shinei Seisakusho:Kk 缶処理装置
KR200353182Y1 (ko) 2004-03-30 2004-06-14 주식회사 이륜 캔 압착장치
KR200362512Y1 (ko) 2004-07-07 2004-09-18 주식회사 이륜 캔 압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6609A (zh) * 2018-02-24 2018-12-18 杨尔坚 一种植物脱水的处理装置
CN109016609B (zh) * 2018-02-24 2024-04-12 杨尔坚 一种植物脱水的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75155B (zh) 双速钢筋调直切断机
KR101639177B1 (ko) 캔 압착장치
CN206798860U (zh) 一种纺织用快拆伸缩卷布辊
CN110116838A (zh) 一种半湿状态的富钾型有机肥料装包设备
CN105344917B (zh) 合页加工机
US4240339A (en) Bale pressing arrangement for cardboard wastes
CN106061876A (zh) 文件验证/堆垛装置
KR20110103744A (ko) 절삭칩 압축기용 호퍼 유닛
US20070261572A1 (en) Compacting Machine with Reduced Friction
CN113353384A (zh) 棉包连续打包设备
CN207679716U (zh) 卷艾机
WO2012075559A1 (en) Cigarette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268717B1 (ko) 담배 제조장치
CN207072605U (zh) 块状物料供料站
CN109892418A (zh) 一种茶叶成型设备
CN109964739A (zh) 一种堤坝岸边铺草装置
KR101564662B1 (ko)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
CN209226298U (zh) 收卷线装置
CN207903580U (zh) 一种退卷机
KR20200129950A (ko) 자동판매기용 픽업 핸들유닛
CN112520493A (zh) 塑料编织袋用丝线分切卷绕装置
EP1377431B1 (en) Machine for compacting deformable objects into bales
CN218520740U (zh) 全自动定量包装机的自动补料机构
KR100533798B1 (ko) 페트병 압착기
KR100303416B1 (ko) 캔 압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