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662B1 -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 - Google Patents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662B1
KR101564662B1 KR1020150025893A KR20150025893A KR101564662B1 KR 101564662 B1 KR101564662 B1 KR 101564662B1 KR 1020150025893 A KR1020150025893 A KR 1020150025893A KR 20150025893 A KR20150025893 A KR 20150025893A KR 101564662 B1 KR101564662 B1 KR 101564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huttle needle
fixed
compresso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현
김준일
Original Assignee
김경현
김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현, 김준일 filed Critical 김경현
Priority to KR102015002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0Means for compressing or compacting bundles prior to bu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2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forming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100)는,
파지(W)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110)와, 상기 챔버(110) 내부에서 파지(W)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피스톤(130)과, 상기 챔버(110)의 일측과 상대측방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측방홀(113, 113')과, 상기 측방홀(113)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셔틀침(140)과, 상기 셔틀침(140)을 상기 측방홀(113, 113')로 출입시키도록 상기 챔버(110)의 일측방에 배치된 구동부(150)와, 상기 구동부(150)에 대응되도록 상기 챔버(110)의 상대측방에 배치되어 노끈(S)을 결속하도록 구성된 결속기(160)를 포함하고, 상기 셔틀침(140)은 외측방으로 둥글게 만곡된 라운드(round)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셔틀침(140)을 회동시켜서 상기 측방홀(113, 113')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셔틀침(140) 및 상부레일(159)과 하부레일(153)이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므로 구동부(150)가 측방으로 튀어나오는 정도를 배경기술에 비해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130)으로 파지(W)를 압축한 상태에서 노끈(S)으로 파지(W)를 압축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파지(W)를 결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셔틀침(140)이 일측의 측방홀(113)을 통과한 상태에서 피스톤(130)의 관통구(135)를 통과하기 때문에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대측 측방홀(113')에 정확하게 통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 {Wastepaper compressor of round type drive system}
본 발명은 라운드형(round 形) 구동방식의 파지(破紙)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라운드형의 셔틀침이 라운드형의 궤적을 따라 폐지수납실을 출입하도록 하므로 사용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파지압축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파지압축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파지압축기로서 셔틀침 왕복부에 의해서 셔틀침이 파지수납실을 관통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파지압축기(1)는 파지를 압축하여 둘레를 노끈으로 묶어서 배출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폐지수납실(15)이 형성된 챔버(10)가 구성되며, 상기 챔버(10)에 수용되어 상기 폐지를 압축하는 피스톤(20)이 전후방으로 왕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폐지수납실(15)은 양측에 측방홀(17, 18)이 관통되어 구성되고, 상기 폐지수납실(15)의 일측방에는 상기 측방홀(17, 18)로 출입하는 직선형의 셔틀침(30)이 배치되고, 상기 셔틀침(30)은 구동부(40)에 의해 출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셔틀침(30)의 맞은편에는 측방홀(17, 18)을 관통한 셔틀침(30)으로부터 노끈(S)을 공급받아서 결속 기능을 하는 결속기(50)가 구성된다. 또한, 챔버(10)의 후방 상부에는 폐지를 수납하는 호퍼(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되고, 상기 챔버(10)의 후방 양측면에는 노끈(S)이 감긴 보빈(B, B')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챔버(10)의 전방 종단부는 도 1 및 도 2에서처럼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문헌 2에서처럼 챔버(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10)를 압축하는 압축기(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되며 이때 챔버(10)는 전방부가 오므라들 수 있도록 상하좌우가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파지압축기(1)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노끈(S)이 일측방의 보빈(B)에서 풀려나와 상기 셔틀침(30)의 선단을 통과한 후 상기 측방홀(17, 18)을 통해서 상기 결속기(50)에 걸린다. 이때 노끈(S)은 상대측방의 보빈(B')에서 풀려난 노끈(S)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호퍼(도시하지 않음)에 파지를 공급한 후 상기 피스톤(20)을 전진하도록 한다. 그러면 파지는 상기 노끈(S)에 걸린 상태로 전방으로 이송하게 되고 노끈(S)은 계속 보빈(B, B')에서 풀려나게 된다.
이때, 챔버(10)의 전방 종단부는 폐색된 상태가 되고 피스톤(20)은 파지 덩어리(W)를 전방으로 압축하여 부피를 최대한 줄이게 된다. 또는, 상기 압축기(도시하지 않음)가 챔버(10)의 전방부를 압축하여 피스톤(20)이 파지 덩어리(W)를 전방으로 밀어낼수록 압축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파지 덩어리(W)가 결속기(50) 전방에 배치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20)은 후진하게 되고, 상기 셔틀침(30)은 구동부(40)에 의해 측방홀(17, 18)을 관통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결속기(50)는 셔틀침(30)으로부터 노끈(S)을 공급받아서 파지덩어리(W)를 결속한 후 절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절단된 노끈(S)은 다시 결속하여 일측 보빈(B)에서 셔틀침(30), 결속기(50)를 거쳐서 상대측 보빈(B')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셔틀침(30)은 후진하여 측방홀(17, 18)을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한 파지압축기(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셔틀침(30)은 직선형이고 상기 구동부(40)는 셔틀침(30)을 직선 궤적을 따라 챔버(10)의 측방에서 출입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셔틀침(30)과 구동부(40)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피스톤(20)이 후진한 상태에서 노끈(S)을 결속하게 되는데 이때 파지 덩어리(W)가 후방으로 팽창하면서 흐트러지게 되어 파지 덩어리(W)를 제대로 압축하여 결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셔틀침(30)이 일측 측방홀(17)을 관통할 때 중량에 의해서 하방으로 처지게 되어 상대측 측방홀(18)로 관통하지 못하므로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 특허등록 10-1407613호 (2014년 06월 09일) (문헌 2) 한국 특허공개 10-2001-0044503호 (2001년 06월 05일)
본 발명에 의한 파지압축기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상기 셔틀침 및 구동부가 챔버이 측방에 직선 궤적을 따라 출입하도록 구성되므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피스톤이 파지 덩어리를 압축한 상태에서 노끈으로 결속하므로 파지 압축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셋째, 상기 셔틀침이 측방홀을 통과할 때 하방으로 처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양측 측방홀을 정확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는,
파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서 파지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피스톤과, 상기 챔버의 일측과 상대측방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측방홀과, 상기 측방홀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셔틀침과, 상기 셔틀침을 상기 측방홀로 출입시키도록 상기 챔버의 일측방에 배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챔버의 상대측방에 배치되어 노끈을 결속하도록 구성된 결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셔틀침은 외측방으로 둥글게 만곡된 라운드(round)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틀침을 회동시켜서 상기 측방홀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틀침이 고정되고 상하방으로 세워진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의 하단부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외측방으로 둥글게 만곡된 하부레일과, 상기 수직축에 대향하도록 상기 챔버의 한쪽 측면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대응하도록 상기 챔버의 한쪽 측면에 고정된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종동 스프로킷과 구동 스프로킷 사이에 배치되고 외측방으로 둥글게 만곡되고 상기 챔버의 측면에 지지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와 상기 종동 스프로킷, 구동 스프로킷에 감긴 체인과, 상기 체인과 상기 수직축에 고정된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축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레일에 안착된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축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챔버의 상면에 회전하도록 장착된 수평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챔버에 지지되어 상기 수평축을 지지하고 외측방으로 둥글게 만곡된 상부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측방홀에 대응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셔틀침 및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이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므로 구동부가 측방으로 튀어나오는 정도를 배경기술에 비해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피스톤으로 파지를 압축한 상태에서 노끈으로 파지를 압축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파지를 결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셔틀침이 일측의 측방홀을 통과한 상태에서 피스톤의 관통구를 통과하기 때문에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대측 측방홀에 정확하게 통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파지압축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파지압축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파지압축기로서 셔틀침 왕복부에 의해서 셔틀침이 파지수납실을 관통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로부터 셔틀침 왕복부를 발췌한 것으로서 셔틀침이 후진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로부터 셔틀침 왕복부를 발췌한 것으로서 셔틀침이 파지수납실로 진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에서 셔틀침의 반대측에 장착된 결속기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에 구성되는 피스톤에 셔틀침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로부터 셔틀침 왕복부를 발췌한 것으로서 셔틀침이 후진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로부터 셔틀침 왕복부를 발췌한 것으로서 셔틀침이 파지수납실로 진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에서 셔틀침의 반대측에 장착된 결속기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에 구성되는 피스톤에 셔틀침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파지(W)를 수납하여 압축한 후 노끈(S)으로 결속하는 일반적인 파지 압축기의 구성을 도 4 및 도 7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파지(W)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110)가 구성되고, 상기 챔버(110) 내부에서 파지(W)를 압축하도록 구성되고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1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챔버(110)의 일측과 상대측방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측방홀(113, 11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챔버(110)의 후방 상부에는 파지(W)를 수납하는 호퍼(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방홀(113)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바(BAR) 형상의 셔틀침(140)이 구성되는데, 전방에는 노끈(S)이 관통될 수 있도록 홀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셔틀침(140)을 상기 측방홀(113, 113')로 출입시키도록 상기 챔버(110)의 일측방에 배치된 구동부(150)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150)에 대응되도록 상기 챔버(110)의 상대측방에 배치되어 노끈(S)을 결속하도록 구성된 결속기(160)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기(160)는 구매품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챔버(110)는 바닥판(117)과 상판(119)이 구성되고, 좌우측에 측판(115)이 분리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상판(119)에 장착되어 측판(115)을 내측으로 가압하는 압축기(120)가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20) 또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챔버(110)의 양쪽 측면에는 노끈(S)을 공급하는 보빈(도시하지 않음)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지 압축기의 설치 공간을 배경기술에 비해서 줄일 수 있고, 파지(W)를 압축한 상태에서 노끈(S)으로 결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처럼, 상기 셔틀침(140)은 활처럼 외측방으로 둥글게 만곡된 라운드(round)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셔틀침(140)을 회동시켜서 상기 측방홀(113, 113')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셔틀침(140)이 고정되고 상하방으로 세워진 수직축(15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축(151)의 하단부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외측방으로 둥글게 만곡된 하부레일(153)이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축(151)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레일(153)에 안착된 캐스터(152)가 구성되므로 수직축(151)은 하부레일(153)을 따라 용이하게 왕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축(151)에 대향하도록 상기 챔버(110)의 한쪽 측면에 고정된 모터(M)가 구성되는데, 회전축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하도록 세워져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M)의 회전축에 구동 스프로킷(154)이 고정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154)에 대응하도록 상기 챔버(110)의 한쪽 측면에 종동 스프로킷(155)이 고정된다. 일례로 상기 모터(M)는 셔틀침(140)이 후진하는 방향에 배치되고 종동 스프로킷(155)은 셔틀침(140)이 전진하는 방향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종동 스프로킷(155)과 구동 스프로킷(154) 사이에 배치되고 외측방으로 둥글게 만곡되고 상기 챔버(110)의 측면에 지지된 판상의 가이더(156)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더(156)와 상기 종동 스프로킷(155), 구동 스프로킷(154)에 감긴 체인(C)이 구성되고, 상기 체인(C)과 상기 수직축(151)에 고정된 연결바(157)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M)의 정역 회전에 따라서 수직축(151)은 전후방으로 왕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축(151)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챔버(110)의 상면에 회전하도록 장착된 수평축(158)이 더 구성되고, 상기 챔버(110)에 지지되어 상기 수평축(158)을 지지하고 외측방으로 둥글게 만곡된 상부레일(159)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130)은 상기 측방홀(113, 113')에 대응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관통구(135)가 형성되므로 상기 셔틀칩14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전방으로 노끈(S)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100)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 보빈에서 풀려난 노끈(S)이 상기 셔틀침(140)의 선단을 관통한 상태에서 측방홀(113, 113')을 통과하여 결속기(160)를 거쳐서 상대측 보빈에서 풀려난 노끈(S)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130)이 전방으로 파지(W)를 압축하도록 한다. 그러면, 파지(W) 덩어리는 노끈(S)에 걸린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송하게 되고 상기 압축기(120)에 의해서 내측방으로 오므라지는 측판(115)에 의해서 압축된다.
이렇게 해서 결속기(160)를 피스톤(130)이 통과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상기 측방홀(113, 113')과 관통구(135)가 일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M)를 구동시켜서 상기 체인(C)을 회동시켜서 상기 수직축(151)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러면, 만곡된 하부레일(153)을 따라서 후진하게 되므로 셔틀침(140)은 챔버(110)의 일측 측방홀(113)을 통해서 피스톤(130)의 관통구(135)를 통과하여 상대측 측방홀(113')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기(160)가 노끈(S)을 당겨서 결속하게 되는데 피스톤(130)의 관통구(135)의 전방을 통과하여 파지(W)를 압박하여 죄게 된다. 이 상태에서 결속기(160)는 노끈(S)을 절단한 후 양측 보빈에서 풀려난 노끈(S)을 다시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일측 보빈에서 풀려난 노끈(S)이 셔틀침(140)과 일측의 측방홀(113), 관통구(135), 상대측의 측방홀(113'), 상대측 보빈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M)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수직축(151)이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상기 셔틀침(140)은 챔버(110)를 빠져나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130)은 후진하여 다음 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셔틀침(140) 및 상부레일(159)과 하부레일(153)이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므로 구동부(150)가 측방으로 튀어나오는 정도를 배경기술에 비해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130)으로 파지(W)를 압축한 상태에서 노끈(S)으로 파지(W)를 압축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파지(W)를 결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셔틀침(140)이 일측의 측방홀(113)을 통과한 상태에서 피스톤(130)의 관통구(135)를 통과하기 때문에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대측 측방홀(113')에 정확하게 통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 110: 챔버
113, 113': 측방홀 115: 측판
117: 바닥판 119: 상판
130: 피스톤 135: 관통구
140: 셔틀침 150: 구동부
151: 수직축 152: 캐스터
153: 하부레일 154: 구동 스프로킷
155: 종동 스프로킷 156: 가이더
157: 연결바 160: 결속기
C: 체인

Claims (6)

  1. 삭제
  2. 파지(W)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110)와,
    상기 챔버(110) 내부에서 파지(W)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피스톤(130)과,
    상기 챔버(110)의 일측과 상대측방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측방홀(113, 113')과,
    상기 측방홀(113, 113') 중 일측의 측방홀(113)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셔틀침(140)과,
    상기 셔틀침(140)을 상기 측방홀(113, 113')로 출입시키도록 상기 챔버(110)의 일측방에 배치된 구동부(150)와,
    상기 구동부(150)에 대응되도록 상기 챔버(110)의 상대측방에 배치되어 노끈(S)을 결속하도록 구성된 결속기(160)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130)은 상기 측방홀(113, 113')에 대응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관통구(135)가 형성되고,
    상기 셔틀침(140)은 외측방으로 둥글게 만곡된 것이고,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셔틀침(140)을 회동시켜서 상기 측방홀(113, 113')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셔틀침(140)이 고정되고 상하방으로 세워진 수직축(151)과,
    상기 수직축(151)의 하단부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외측방으로 둥글게 만곡된 하부레일(153)과,
    상기 수직축(151)에 대향하도록 상기 챔버(110)의 한쪽 측면에 고정된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 스프로킷(154)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154)에 대응하도록 상기 챔버(110)의 한쪽 측면에 고정된 종동 스프로킷(155)과,
    상기 종동 스프로킷(155)과 구동 스프로킷(154) 사이에 배치되고 외측방으로 둥글게 만곡되고 상기 챔버(110)의 측면에 지지된 가이더(156)와,
    상기 가이더(156)와 상기 종동 스프로킷(155), 구동 스프로킷(154)에 감긴 체인(C)과,
    상기 체인(C)과 상기 수직축(151)에 고정된 연결바(157)와,
    상기 수직축(151)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레일(153)에 안착된 캐스터(152)와,
    상기 수직축(151)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챔버(110)의 상면에 회전하도록 장착된 수평축(158)과,
    상기 챔버(110)에 지지되어 상기 수평축(158)을 지지하고 외측방으로 둥글게 만곡된 상부레일(15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25893A 2015-02-24 2015-02-24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 KR101564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893A KR101564662B1 (ko) 2015-02-24 2015-02-24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893A KR101564662B1 (ko) 2015-02-24 2015-02-24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662B1 true KR101564662B1 (ko) 2015-10-30

Family

ID=5443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893A KR101564662B1 (ko) 2015-02-24 2015-02-24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6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043B1 (ko) * 2016-03-11 2017-12-01 김경현 셔틀침의 걸림방지가 가능한 파지압축기
KR101804042B1 (ko) * 2016-03-11 2018-01-10 김경현 로프의 자동 결속이 가능한 파지 압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101B1 (ko) 2012-12-18 2013-07-10 이종호 합성수지재 결속부재를 이용한 파지결속장치
KR101352745B1 (ko) * 2012-05-16 2014-01-16 이종호 합성수지재 결속부재를 이용한 파지압축기용 결속장치
KR101407613B1 (ko) 2013-05-09 2014-06-13 김경현 폐지 압축기의 노끈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745B1 (ko) * 2012-05-16 2014-01-16 이종호 합성수지재 결속부재를 이용한 파지압축기용 결속장치
KR101284101B1 (ko) 2012-12-18 2013-07-10 이종호 합성수지재 결속부재를 이용한 파지결속장치
KR101407613B1 (ko) 2013-05-09 2014-06-13 김경현 폐지 압축기의 노끈 결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043B1 (ko) * 2016-03-11 2017-12-01 김경현 셔틀침의 걸림방지가 가능한 파지압축기
KR101804042B1 (ko) * 2016-03-11 2018-01-10 김경현 로프의 자동 결속이 가능한 파지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662B1 (ko) 라운드형 구동방식의 파지압축기
CN107309975A (zh) 一种刀锯移动式木板裁切拼接一体机
CN110304493A (zh) 一种纱线卷绕装置
CN105671930A (zh) 一种新型剖布装置
JP2002530208A (ja) 農業の収穫物からほぼ直方体状の圧縮梱を形成するためのプレス機
KR101804042B1 (ko) 로프의 자동 결속이 가능한 파지 압축기
CN107434183A (zh) 低压配电柜接地线制造线
CN101444324A (zh) 自动编绕器及带自动编绕器的编烟机
CN103924386B (zh) 一种无纺设备针刺机的上支点停车机构
KR20070092583A (ko) 폐지 압축기
KR101284101B1 (ko) 합성수지재 결속부재를 이용한 파지결속장치
KR101782876B1 (ko) 롤 컴팩터
US947039A (en) Baling-machine.
CN114290737A (zh) 一种自动压缩打包机
CN211443039U (zh) 一种压缩打包机械装置
CN104310117B (zh) 生丝自动束丝机
CN107776969A (zh) 棍棒外套膜袋设备
CN219904840U (zh) 一种基于涤纶梭织坯布用打包机
KR101352745B1 (ko) 합성수지재 결속부재를 이용한 파지압축기용 결속장치
CN109850221A (zh) 一种全自动带门打包机
CN1121523C (zh) 循环缝纫机
KR100938741B1 (ko) 라셀 편직물 적재장치
CN107095442B (zh) 一种毛刷砂布条全自动生产设备
CN210260197U (zh) 一种发箍绳缠绕编织机
CN217869363U (zh) 一种针织横机导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