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760B1 -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보다 높은 속도 통신을 회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보다 높은 속도 통신을 회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760B1
KR101638760B1 KR1020157033357A KR20157033357A KR101638760B1 KR 101638760 B1 KR101638760 B1 KR 101638760B1 KR 1020157033357 A KR1020157033357 A KR 1020157033357A KR 20157033357 A KR20157033357 A KR 20157033357A KR 101638760 B1 KR101638760 B1 KR 101638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e
higher speed
speed mod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615A (ko
Inventor
구린더 싱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5013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6Bus impedance matching, e.g. termination

Abstract

디바이스(54)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디바이스(54)와 별개의 접속 디바이스(64) 사이에서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시도는 제1 저항을 이용하고(70), 통신이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72). 통신이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 제1 저항을 사용해, 통신이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계속된다. 통신이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없는 경우, 제2 저항을 통한 다른 시도가 이루어진다(74). 방법은 다시 통신이 제2 저항을 통해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76). 통신이 제2 저항을 통해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 통신은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계속된다. 통신이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없는 경우, 통신은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유지한다(82).

Description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보다 높은 속도 통신을 회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HIGHER SPEE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본 개시 내용은 대체로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높은 속도 통신을 유지하거나 회복하기 위해 통신 속도의 변화들에 응답하여 전환하는 가변 저항 말단 경로(variable resistance termination path)들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본 기술들의 다양한 양태에 관련될 수 있는 다양한 양태의 기술에 대하여 독자에게 소개하도록 의도되며, 이는 하기에 설명 및/또는 청구된다. 이 논의는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양태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독자에게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들 진술은 이러한 관점에서 읽혀져야 하며 종래 기술을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디바이스들 사이의 전자 통신은 텔레비전, DVD 재생기와 다른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비, 컴퓨터, 전화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에서 흔히 있다. 특히 컴퓨터들은 여러 디바이스들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 컴퓨터 마우스,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로폰,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드라이브, 및 다른 디바이스들이 단일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다.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 및 통신 형태들이, 호스트 디바이스들을 이들 다른 디바이스와 접속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많은 형태들이 디바이스들이 직렬로 접속되는 것을 허용하여, 하나 초과의 디바이스가 컴퓨터 또는 다른 호스트 디바이스 상의 입력/출력 포트를 통해 라우팅되게 한다. 이들 및 다른 상황들에서, 호스트 디바이스의 온도가 증가할 수 있고, 이는 호스트 디바이스의 전자 컴포넌트들의 특성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디바이스 내의 내부 접속부들의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호스트 디바이스들은 접속해제 트리거 이벤트(disconnect trigger event)가 일어날 때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 속도의 하락을 겪을 수 있다. 접속해제 이벤트는, 예를 들어, 호스트 디바이스가 저항의 증가를 겪을 때 일어날 수 있다. 저항은 호스트 디바이스의 온도의 상승에 의해, 또는 호스트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추가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호스트 디바이스는 호스트 디바이스로 하여금 고속(Hi-Speed) 대신에 전속(Full-Speed)에서 통신하게 하는 고속 접속해제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속도의 하락은 사용자에게 불편할 수 있고, 사용자가 디바이스-관련 태스크들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소정 실시예들의 개요가 아래에 제시된다. 이러한 양태들은 단지 이러한 소정 실시예들의 간단한 개요를 독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제시되며, 이들 양태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사실상, 본 개시 내용은 아래에 제시되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은 호스트 디바이스의 동작 동안 전자 특성들의 변화들에 의해 야기되는 신호 속도의 하락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정 예에서, USB 호스트 디바이스는 고속 접속해제를 겪을 수 있으며, 이는 하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그로부터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가변 직렬 저항 경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다수의 전력 레벨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특징부들의 다양한 개선은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양태에 관련하여 존재할 수 있다. 추가의 특징부들이 또한 이들 다양한 양태에도 포함될 수 있다. 이들 개선 및 추가의 특징부는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하기에 논의되는 다양한 특징부는 본 개시 내용의 전술된 양태들 중 임의의 양태에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제시된 간단한 개요는 청구된 주제에 대한 제한 없이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의 소정 양태들 및 상황들을 독자에게 숙지시키도록 의도될 뿐이다.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양태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그리고 도면들을 참조할 때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통신 제어기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노트북 컴퓨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디바이스(connecting device)와 통신하는 도 1의 전자 호스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디바이스와의 호스트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디바이스와의 USB 접속을 채용하는 호스트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디바이스와의 USB 호스트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가된 신호 강도 및 전력을 사용해 신호 속도의 하락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호스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 내용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설명되는 이들 실시예는 현재 개시된 기술들의 예들일 뿐이다. 추가적으로, 이들 실시예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려는 노력으로, 실제 구현의 모든 특징부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는 않을 수 있다. 임의의 엔지니어링 또는 설계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임의의 그러한 실제 구현의 개발에 있어서, 구현마다 다를 수 있는 시스템 관련 및 사업 관련 제약들의 준수와 같은, 개발자의 특정 목표들을 실현하기 위해 많은 구현-특정 결정들이 이루어져야 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그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것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 내용의 이익을 갖는 당업자에게는 설계, 제조 및 제작의 일상적인 과제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소들을 소개할 때,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있음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 및 "갖는(having)"은 포괄적인 것이고 열거된 요소들 이외의 추가 요소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 내용의 "하나의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에 대한 언급은 언급된 특징부들을 또한 포함하는 추가 실시예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호스트 디바이스의 동작 동안에 변화하는 전자 특성들은 호스트 디바이스가 접속 디바이스와 통신할 때 통신 속도의 감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속도의 감소는 각각의 디바이스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따라서 이 감소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이 더 낮은 속도로 하락했을 때를 검출하고, 그 감소가 약간의 저항 증가로 인해 일어났다고 가정하고,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 중 하나에 의해 공급된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속도의 감소가 회복 및/또는 개선될 수 있다. 제2 가변 직렬 말단 경로로의 제1 변화가 더 높은 속도 통신을 생성하지 않는 경우, 더 낮은 공급된 저항으로의 후속적인 추가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각각의 변화는 저항이 실제로 얼마나 변화되었는지에 대한 테스트 없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을 염두에 두고, 많은 적합한 전자 디바이스가 통신 속도의 감소를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가변 말단 경로들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그러한 가변 말단 경로들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전자 디바이스에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접속 디바이스에 접속된 적합한 전자 호스트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디바이스들은, 예시한 바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즉, 호스트 디바이스)와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즉, 접속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1로 먼저 돌아가면, 전자 디바이스(10)는 앞서 언급된 호스트 디바이스 또는 접속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2), 메모리(14), 비휘발성 저장소(16), 디스플레이(18), 입력 구조물들(22),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24), I/O 인터페이스(24) 내의 포트들 중 하나로서 포함된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2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26), 전원(28), 및/또는 카메라(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요소들(회로 포함), 소프트웨어 요소들(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코드 포함),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요소들 둘 모두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단지 특정 구현의 하나의 예이고 전자 디바이스(10)에 존재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의 유형들을 예시하도록 의도되는 것임을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는 도 2에 도시된 노트북 컴퓨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의 블록도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들)(12) 및/또는 다른 데이터 처리 회로는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처리 회로"로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 회로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 회로는 단일의 내장된 처리 모듈이거나 전자 디바이스(10) 내의 임의의 다른 요소들 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 회로는 I/O 인터페이스(24)와 접속된 가변 저항 말단 경로들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의 전자 디바이스(10)에서, 프로세서(들)(12) 및/또는 다른 데이터 처리 회로는 명령어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메모리(14) 및 비휘발성 저장소(16)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12)에 의해 실행되는 그러한 프로그램들 또는 명령어들은 명령어들 또는 루틴들을 적어도 집합적으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유형(tangible)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예를 들어 메모리(14) 및 비휘발성 저장소(16)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제조 물품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4) 및 비휘발성 저장소(16)는 데이터 및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제조 물품들, 예컨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 재기록가능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및 광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상에 인코딩된 프로그램들(예를 들어, 운영 체제)은 또한 프로세서(들)(1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는 터치 스크린 액정 디스플레이(LCD)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것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스플레이(18)는 한번에 다중 터치를 검출할 수 있는 멀티터치(MultiTouch™)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의 입력 구조물들(22)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와 상호작용하게 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음량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버튼을 누르는 것).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26)은 전자 디바이스(10)가 다양한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싱하게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블루투스 네트워크와 같은 PAN(personal area network), 802.11x Wi-Fi 네트워크와 같은 LAN(local area network), 및/또는 3G 또는 4G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WAN(wide area network)을 위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의 전원(28)은 재충전가능 리튬 폴리머(Li-poly) 배터리 및/또는 교류(AC) 전력 변환기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전원일 수 있다. 카메라(들)(30)는 이미지들을 캡처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4)는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26)이 그럴 수 있는 것처럼, 전자 디바이스(10)가 다양한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싱하게 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4)는 USB 커넥터(25), 마우스 커넥터, 키보드 커넥터, FireWire™ 커넥터, 직렬 포트 커넥터, 오디오 잭들, 전매(proprietary) 커넥터들, 또는 다른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컴퓨터 또는 다른 유형의 전자 디바이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들은 일반적으로 휴대가능한 컴퓨터들(예컨대, 랩톱, 노트북, 및 태블릿 컴퓨터)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한 장소에서 사용되는 컴퓨터들(예컨대, 종래의 데스크톱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및/또는 서버)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10)는 애플사(Apple Inc.)에서 입수가능한 맥북(MacBook®), 맥북 프로(MacBook® Pro), 맥북 에어(MacBook Air®), 아이맥(iMac®), 맥 미니(Mac® mini), 또는 맥 프로(Mac Pro®) 중에 한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32)의 형태를 취하는 전자 디바이스(10)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예시된다. 도시된 컴퓨터(32)는 하우징(34), 디스플레이(18), 입력 구조물들(22), 및 I/O 인터페이스(24)의 포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구조물들(22)(예컨대, 키보드 및/또는 터치패드)은, 컴퓨터(32)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예컨대 컴퓨터(32)에서 실행되는 GUI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을 개시하거나, 제어하거나 또는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30)는 비디오 또는 정지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I/O 인터페이스(24)를 통해 노트북 컴퓨터(32)에 접속되는 핸드헬드 디바이스(36)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핸드헬드 디바이스(36)는 노트북 컴퓨터(32)를 위한 접속 디바이스일 수 있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핸드헬드 디바이스(36)는 상이한 접속 디바이스를 위한 호스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핸드헬드 디바이스(36)는, 예를 들어, 휴대용 전화, 미디어 재생기, 개인용 데이터 오거나이저, 핸드헬드 게임 플랫폼, 또는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헬드 디바이스(36)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소재의 애플사에서 입수가능한 아이팟(iPod®) 또는 아이폰(iPhone®) 중의 한 모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핸드헬드 디바이스(36)는 태블릿 사이즈의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10)일 수 있고, 그것은, 예를 들어, 애플사부터 입수가능한 아이패드(iPad®)의 한 모델일 수 있다.
핸드헬드 디바이스(36)는 내부 컴포넌트들을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전자기 간섭으로부터 차폐시키기 위한 인클로저(enclosure)(3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38)는 디스플레이(18)를 에워쌀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4)는 인클로저(38)를 통해 개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들에 접속하기 위한 애플사의 전매 I/O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4)는 호스트 디바이스 또는 접속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있어서 속도 감소를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가변 저항 경로들을 채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구조물들(40, 42, 44, 46)은 디스플레이(18)와 조합되어 사용자가 핸드헬드 디바이스(36)를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구조물(40)은 핸드헬드 디바이스(36)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고, 입력 구조물(4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홈 스크린, 사용자 구성가능 애플리케이션 스크린으로 안내하고/하거나 핸드헬드 디바이스(36)의 음성인식 특징부를 활성화할 수 있고, 입력 구조물들(44)은 음량 제어를 제공할 수 있고, 입력 구조물(46)은 진동 모드와 벨소리 모드 사이에서 토글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폰(48)은 다양한 음성 관련 특징들을 위해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스피커(50)는 오디오 재생 및/또는 특정 전화 기능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헤드폰 입력(52)은 외부 스피커들 및/또는 헤드폰들에 대한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전방을 향하는 카메라(30)는 정지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를 캡처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는 호스트 디바이스(54)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디바이스(54)는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를 포함한다.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58) 및 송신-수신 회로(60)뿐만 아니라 모드 기반 선택 로직(62)을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58, 60, 62)는 협력하여, 접속 디바이스(64)로 I/O 인터페이스(24)를 통한 통신 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접속 디바이스(64)는 또한, 예시된 바와 같이, I/O 인터페이스(24)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접속 디바이스(64)는 호스트 디바이스(54)로부터의 유입 신호들을 판독하고 그에 응답하는 디바이스 통신 제어기(66)를 포함한다.
호스트 디바이스(54)는 여러 통신 속도들 중 하나에서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할 수도 있다. 통신 속도들은, 예를 들어, 전송의 데이터 전송 속도, 전압, 전류, 또는 일부 다른 파라미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USB 속도들은, 예를 들어, 주로 데이터 전송 속도들에 기초하여 구별된다. USB "저속(Low Speed)"은 1.5 Mbit/s에서의 USB 케이블을 통한 전송을 명시하는 데 사용된다. USB "전속(Full Speed)"은 12 Mbit/s에서의 USB 케이블을 통한 전송을 명시하는 데 사용되고, USB "고속(Hi-Speed)"은 280 Mbit/s에서의 USB 케이블을 통한 전송을 명시하는 데 사용된다.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많은 인자에 기초하여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하는 통신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호스트 디바이스(54)가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할 때 직면할 수 있는 하나의 제한 인자는, 호스트 디바이스(10)의 내부 컴포넌트들에서의 온도 상승 및 저항 증가이다. 저항의 증가는 접속해제를 트리거할 수 있는데, 이때 통신 속도는 더 높은 속도에서 더 낮은 속도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USB 접속과 관련하여, 접속해제는 신호가 고속에서 전속으로 전환하게 할 수 있다.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호스트 디바이스(10)의 회로 내 다른 곳에서의 증가된 저항을 보상하기 위해, 통신 경로와 일직선인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58)을 포함한다.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58)은 저항들의 계층을 갖는 많은 저항기들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합한 수의 저항기들이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58)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58)은 더 높거나 더 낮은 저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저항기를 선택함으로써,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하는 회로로의, 호스트 통신 제어기(56)에 의해 공급되는 저항을 조정할 수 있다.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아래의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저항기를 선택한다. 저항이 선택되면,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모드 기반 선택 로직(62) 및 송신-수신 제어기(60)를 사용하여 적절한 속도에서 접속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모드 기반 선택 로직(62)은 호스트 통신 제어기(56)가 현재 통신하고 있는 통신 모드에 응답한다. 호스트 통신 제어기(56)가 하나의 속도 모드(예를 들어, 더 높은 속도)에서 통신할 때 로직(62)이 하나의 방식으로 응답하는 한편, 상이한 속도 모드(예를 들어, 더 낮은 속도)에서의 통신은 로직(62)으로 하여금 상이하게 응답하게 할 수 있다. 모드 기반 로직(62)에 대한 가능한 로직 응답들이 하기에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송신-수신 제어기(60)는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되는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한다.
상기의 내용을 염두에 두고서, 도 4는 호스트 통신 제어기(56)가 어떻게 접속해제 상황을 개선하고 호스트 디바이스(54)와 접속 디바이스(64) 사이의 접속의 통신 속도를 관리하는지를 설명한다. 즉, 도 4는 저항의 변화들로 인한 통신의 속도 감소를 줄이거나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68)을 설명한다. 방법(68)은 (즉,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58)로부터의) 공급된 저항을 반복하여 낮추고 통신이 더 높은 속도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 여부를 질의한다. 방법은 통신이 더 높은 속도에서 일어나거나, 선택할 더 낮은 저항들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계속된다. 방법(68)은 블록(70)에서 시작하며, 이때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58)의 제1 저항을 통해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하려고 시도한다. 저항은, 예를 들어, 통신 속도의 표준 및/또는 디폴트 저항(예를 들어, 45 옴(Ohm))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블록(72)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송신-수신 제어기(60)가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통신 모드는 모드 기반 선택 로직(62)으로 전달된다. 모드 기반 로직(62)이 더 높은 속도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의 통신을 나타내는 네거티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어서 블록(74)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이번에는 제2 저항을 통해 통신을 다시 시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저항은 제1 저항보다 낮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저항기 또는 저항기들의 조합이 허용오차 레벨들의 정확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예를 들어, 60 옴 ±20%의 저항이 60 옴 ±10%의 저항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2 시도 후에, 블록(76)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블록(72)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 모드를 다시 검출한다. 통신이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나지 않는 경우,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임의의 수의 추가 저항들을 통해 접속 디바이스에 질의를 계속할 수 있다. 추가 저항들은 그들 각자의 저항 값들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트 통신 제어기(56)가 통신하려고 시도하는 각각의 순차적 저항은 이전에 시도된 저항보다 낮을 수 있다. 저항들은 20 옴, 10 옴, 5 옴, 2 옴, 또는 어떤 다른 양만큼 더 낮을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처음에는 20 옴만큼 그리고 그 다음에는 10 옴만큼 저항을 낮춤으로써) 일정하지 않은 양만큼 변화할 수 있다. 작은 양(예컨대, 5 옴 이하)만큼 저항을 변화시키는 것은 원하는 저항의 오버슈팅을 방지할 수 있다(예를 들어, 과열이 저항을 3 옴만 상승시킨 경우, 가변 직렬 말단 경로는 저항을 약 3 옴 낮추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블록(78)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n번째 저항을 통해 통신하려고 시도한다. 이 실시예에서, n번째 저항은 호스트 통신 제어기(56)에 가능한 모든 저항들 중 마지막 저항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블록(78)에서의 n번째 저항은 호스트 통신 제어기(56)가 이용가능한 저항들의 서브섹션 중 마지막 저항을 나타낼 수 있다. n번째 저항이 더 높은 속도 모드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 이어서 블록(80)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기 전에 모든 질의들의 끝까지 대기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접속 디바이스(64)에 질의를 계속하는 동안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블록(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의 절차 동안 임의의 단계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가 더 높은 속도에서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하면, 모든 후속 통신이 더 높은 속도에서 일어날 것이고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는 것을 중단할 것이다.
호스트 디바이스(10)의 USB-특정 실시예가 도 5에 예시된다. USB 호스트 디바이스(86)는 USB 호스트 통신 제어기(88)를 포함하며, 이는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90), 송신-수신 제어기(94), 및 모드 기반 선택 로직(96)과 같은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90)의 USB 버전에 있어서, 45 옴의 디폴트 저항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이 USB 디바이스들 및 케이블들에 대한 표준 저항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USB 호스트 디바이스(86)가 막 부팅되었고, 예를 들어, 여전히 실온에 있는 경우, 호스트 통신 제어기(88)는 45 옴 저항기를 사용할 수 있다. USB 호스트 디바이스(86)가 데이터 처리 또는 다른 열전달로 인해 가열됨에 따라, 발생하는 증가된 저항은 전압이 접속해제 임계치(98)를 초과하게 할 수 있다. 접속해제 임계치(98)는 USB 호스트 디바이스(86) 내의 접속해제 이벤트를 트리거하는 전압 레벨 함수이다. 채널-당 저항에 따라 변화하는 접속해제 임계치(98)의 전압 레벨 함수는 조정 저항기들과 함께 변화한다. 접속해제 이벤트는 USB 호스트 디바이스(86)로 하여금 고속에서 접속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는 것으로부터 전속에서 접속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는 것으로 전환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호스트 통신 제어기(88)는 모드가 변했을 때를 검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송신-수신 제어기(94)는 모드 기반 선택 로직(96)으로 하여금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90) 중에서 상이한 저항으로 전환하도록 트리거하게 할 수 있는 모드 표시(102)를 출력한다.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90)을 갖는 저항들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은 도 6의 흐름도에 간략하게 설명된 방법(140)을 따를 수 있다. 호스트 통신 제어기(88)는, 블록(142)에서, 모드 기반 선택 로직(96)으로 하여금 제1 저항을 선택하면서 USB 고속에서 접속 디바이스(100)와의 통신을 시도하거나 유지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은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90) 내의 45 옴 저항 경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144)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88) 또는 임의의 다른 USB 호스트 디바이스 제어기는, 접속 디바이스(100)와의 통신이 USB 전속으로 감소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호스트 디바이스(86) 또는 접속 디바이스(100)는, 접속 디바이스(100) 내의 디바이스 통신 제어기(104)로부터, 또는 호스트 디바이스(86) 내의 송신-수신 제어기(94)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 기초하여 통신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호스트 디바이스(86)가 정보를 전송만 하고 있는 특정한 경우에서, 신호는 호스트 디바이스(86)로부터 정보가 오고 있는 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 통신 제어기(104)에 의해 수신된다. 디바이스 통신 제어기(104)는 이어서 신호를 호스트 디바이스(86)로 다시 보내고, 이는 통신 속도를 전달한다. 통신이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들 둘 모두를 수반하는 경우, 송신-수신 제어기(94)는 정보가 전달되고 있는 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속도의 검출은 통신이 일어나고 있는 동안 일어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송신-수신 제어기(94) 또는 디바이스 통신 제어기(104)로부터 전달된 검출 신호들은 디바이스들 사이에 전달되는 다른 통신 신호들과 함께 동시에 송신될 수 있다.
블록(144)에서 통신 속도가 감소된 경우, 이어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88)는, 방법(140)의 초기로 다시, 블록(142)으로 되돌아간다. 방법(140)의 시작과 유사하게, 호스트 통신 제어기(88)는 타이머, 또는 어떤 다른 트리거 기능에 기초하여 통신 속도가 감소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후속 질의들을 할 수 있다. 블록(144)에서, 통신 속도는 전속으로 감소되었고, 이어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88)는, 블록(146)에서, 저항을 낮추고 다시 한번 USB 고속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저항은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90)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저항 경로의 선택을 통해 낮춰질 수 있다. USB 고속에서 통신하기 위한 블록(146)에서의 시도 후에, 호스트 통신 제어기(88)는, 블록(148)에서, 통신 속도가 감소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통신이 감소되지 않은 경우, 블록(150)에서, 호스트 디바이스(86)와 접속 디바이스(100)는 USB 고속에서 통신을 계속한다. 통신 속도가 감소된 경우, 이어서 블록(152)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88)는 더 낮은 저항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호스트 통신 제어기(88)는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90), 또는 말단 경로들(90)의 병렬 조합 중 하나가 더 낮은 저항을 형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가능한 더 낮은 저항이 검출되는 경우, 이어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88)는, 블록(146)에서 다시, 저항을 낮추고 USB 고속 통신을 시도하여, 필요한 경우 블록들(148, 152)에서 질의들을 반복한다. 블록(152)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88)가 더 낮은 저항이 가능하다고 결정할 수 없는 경우, 이어서 블록(154)에서, 접속 디바이스(100)와의 통신은 USB 전속에서 계속될 것이다.
도 7은 호스트 통신 제어기(56)가 통신 속도의 감소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채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예시한다. 도 7은 호스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호스트 디바이스(54))와 접속 디바이스(예를 들어, 접속 디바이스(64)) 사이의 통신의 속도 감소를 줄이거나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160)을 도시한다. 전술된 방법들(즉, 68 및 140)은 호스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54, 86) 내의 열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저항의 증가를 극복하기 위해 저항의 감소에 의존한다. 도 7의 방법(160)은 호스트 디바이스(54)와 접속 디바이스(64) 사이의 통신 신호의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저항의 증가를 극복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저항이 호스트 디바이스(54) 내의 열로 인해 증가한 정확한 양을 결정하지 않고, 전력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방법(160)의 첫번째 단계로서, 블록(162)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제1 전력 레벨에서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하려고 시도한다. 제1 전력 레벨은, 예를 들어, 송신-수신 제어기(60)에 최소 레벨의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호스트 통신 제어기(56)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전력 레벨은 호스트 디바이스(54)가 통신할 수 있는 최저의 가능한 레벨보다 더 높은 디폴트 레벨일 수 있다. 블록(164)에서, 모드 기반 선택 로직(62)은 송신-수신 제어기(60)가 더 높은 속도에서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질의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확인은 접속 디바이스(64)로부터의 응답의 수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접속 디바이스(64)의 디바이스 통신 제어기(66)로 하여금 그것이 더 높은 속도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응답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 통신 제어기(66)가 응답하지 않거나, 네거티브로 응답하는 경우, 또는 호스트 통신 제어기(56)가 통신 속도의 감소를 검출하는 경우, 이어서 블록(166)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두 번째로 통신을 시도하여, 제2 전력 레벨로 전력을 증가시킨다. 시도들 사이에서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은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로 하여금 더 높은 속도 통신이 일어날 수 있는 최소 전력 레벨을 식별하게 한다. 유익하게, 이것은, 호스트 디바이스(54) 내의 컴포넌트들의 저항의 변화들을 검출하는 추가된 회로 없이, 행해질 수 있다. 제2 시도 후에, 블록(168)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모드 기반 선택 로직(62)을 통해, 송신-수신 제어기(60)가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다시 결정한다. 통신이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나지 않는 경우, 이어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임의의 수의 전력 레벨들을 통해 접속 디바이스에 질의를 계속할 수 있다. 블록(170)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n번째 전력 레벨을 통해 통신을 시도한다. 이 실시예에서, n번째 전력 레벨은 호스트 통신 제어기(56)에 가능한 모든 전력 레벨들 중 마지막 및/또는 가장 높은 것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지막 및/또는 가장 높은 전력 레벨은 사용자-지정 설정 또는 다른 전력-절약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지막 전력 레벨은 호스트 디바이스(54)의 전자 컴포넌트들의 상한일 수 있다. n번째 전력 레벨이 더 높은 속도 모드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 블록(172)에서, 이어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할 것이다.
도 7의 블록(164, 168, 17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질의 절차 동안 임의의 단계에서 호스트 통신 제어기(56)가 동의하는 대답을 수신하고 더 높은 속도에서 접속 디바이스(64)와 통신하는 경우, 이어서 모든 후속 통신이 더 높은 속도에서 일어날 것이고 호스트 통신 제어기(56)는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는 것을 중단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방법(160)을 종료시킨다.
본 개시 내용의 기술적 효과들은 호스트 디바이스와 접속 디바이스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접속해제를 극복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을 포함한다. 접속해제는 USB 호스트 디바이스가 고속 접속해제를 겪을 때에서와 같은 통신 속도의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USB 호스트 디바이스의 특정 예가 전술되지만, 다른 통신 유형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똑같이 이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 내의 열이 컴포넌트들의 저항들을 증가시킬 때 그러한 접속해제들을 겪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호스트 디바이스의 저항을 감소시키거나, 통신에 사용되는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극복한다. 저항은, 호스트 디바이스가 호스트 통신 제어기 내의 다수의 말단 경로 중 하나에 의해 공급된 저항을 선택할 때, 감소될 수 있다. 말단 경로의 선택은, 열, 또는 다른 상황들로 인해 저항이 얼마나 많이 증가했는지를 결정하지 않고,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통신 제어기는 하나의 말단 경로를 선택하고 더 높은 속도에서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말단 경로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말단 경로가 선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신 신호의 전력은 유사한 방식으로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통신 제어기는 하나의 전력 레벨을 선택하고 더 높은 속도에서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그 전력 레벨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전력 레벨이 선택될 수 있다.
전술된 특정 실시예들은 예로서 도시되었으며, 이들 실시예는 다양한 수정 및 대안적인 형태들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청구항들은 개시된 특정 형태들로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본 개시 내용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들, 등가물들 및 대안들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2)

  1. 제1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 저항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접속 디바이스(connecting device) 사이에서 통신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통신이 상기 제1 저항을 통해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통신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는 단계;
    통신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없는 경우, 제2 저항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상기 접속 디바이스와 통신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통신이 상기 제2 저항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통신이 상기 제2 저항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을 때, 상기 제2 저항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항은 상기 제1 저항보다 낮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은, 제1 허용오차(tolerance)를 포함하는 제1 저항기 또는 제1 저항기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저항은, 제2 허용오차를 포함하는 제2 저항기 또는 제2 저항기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허용오차는 상기 제1 허용오차보다 낮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통신이 상기 제2 저항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없을 때, 상기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는 단계;
    상기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는 동안, 순차적으로 배열된 추가의 저항들을 통해 상기 접속 디바이스와 통신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상기 추가의 저항들 중 임의의 저항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추가의 저항들 중 임의의 저항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는 단계; 및
    통신이 상기 추가의 저항들 중 임의의 저항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없는 경우,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배열된 추가의 저항들은 저항을 감소하여 배열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의 저항은 상기 이전에 시도된 저항보다 5 옴(Ohm) 미만의 양만큼 낮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통신이 상기 제2 저항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없을 때, 상기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는 단계;
    상기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는 동안, 순차적으로 증가된 전력 레벨들을 통해 상기 접속 디바이스와 통신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레벨들 중 임의의 전력 레벨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력 레벨들 중 임의의 전력 레벨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고, 통신이 상기 전력 레벨들 중 임의의 전력 레벨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없는 경우,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최대 전력 레벨은 사용자-지정 설정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9.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가변 직렬 말단 경로(variable series termination path)의 제1 저항을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고속(Hi-Speed)에서 통신을 시도하거나 유지하는 단계;
    통신이 U.S.B. 전속(Full Speed)으로 감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통신이 U.S.B. 전속으로 감소되지 않은 경우, U.S.B. 고속에서 통신을 유지하는 단계; 및
    통신이 U.S.B. 전속으로 감소된 경우, 통신이 U.S.B. 전속으로 감소되지 않거나, 가능한 더 낮은 저항이 없을 때까지,
    더 낮은 저항을 갖는 가변 직렬 말단 경로를 선택하고 U.S.B. 고속에서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가변 직렬 말단 경로를 통한 통신이 U.S.B. 전속으로 감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이한 가변 직렬 말단 경로를 통해 더 낮은 저항이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더 낮은 저항은 이전 저항보다 20 옴 내지 1 옴의 저항 양만큼 작은, 방법.
  11. 디바이스로서,
    통신 경로를 통한 상기 디바이스와 접속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호스트 통신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통신 제어기는,
    상기 접속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신-수신 제어기;
    상기 디바이스의 복수의 가능한 통신 모드로부터의 모드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드 기반 로직; 및
    상기 통신 경로에 저항을 추가하도록 구성된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모드 기반 로직은 상기 모드 기반 로직에 의해 수신된 상기 모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저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 중에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기반 로직은 더 높은 속도 통신 모드 또는 더 낮은 속도 통신 모드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신 제어기는 상기 접속 디바이스 내의 디바이스 통신 제어기로부터 진단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신호는 상기 호스트 통신 제어기가 상기 통신 신호의 속도를 결정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5. 제11항에 있어서, U.S.B. 인터페이스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U.S.B. 고속에서 통신하는 것으로부터 U.S.B. 전속에서 통신하는 것으로 전환하는 접속해제를 야기하도록 구성된 접속해제 임계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직렬 말단 경로들은 20 옴 내지 1 옴의 양만큼 서로 상이한 저항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기반 로직은 상기 이전 가변 직렬 말단 경로의 저항보다 5 옴 이하의 양만큼 낮은 저항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9.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 전력 레벨을 통해 접속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
    통신이 상기 제1 전력 레벨을 통해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통신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는 단계;
    통신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없는 경우, 제2 전력 레벨을 통해 상기 접속 디바이스와 통신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통신이 상기 제2 전력 레벨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 상기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통신이 상기 제2 전력 레벨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 전력 레벨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고, 통신이 상기 제2 전력 레벨을 통해 상기 더 높은 속도에서 일어날 수 없는 경우, 상기 더 낮은 속도 모드에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최대 전력 레벨은 사용자-지정 설정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최대 전력 레벨은 상기 디바이스의 최대 가능한 전력 레벨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최대 전력 레벨은 U.S.B. 사양보다 높은, 방법.
KR1020157033357A 2013-06-20 2014-05-08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보다 높은 속도 통신을 회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638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23,151 2013-06-20
US13/923,151 US9740643B2 (en) 2013-06-20 2013-06-20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higher spee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PCT/US2014/037348 WO2014204589A1 (en) 2013-06-20 2014-05-08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higher spee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615A KR20150139615A (ko) 2015-12-11
KR101638760B1 true KR101638760B1 (ko) 2016-07-11

Family

ID=5106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357A KR101638760B1 (ko) 2013-06-20 2014-05-08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보다 높은 속도 통신을 회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40643B2 (ko)
JP (1) JP2016527742A (ko)
KR (1) KR101638760B1 (ko)
CN (1) CN105247499A (ko)
DE (1) DE112014002941T5 (ko)
TW (1) TWI533131B (ko)
WO (1) WO2014204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487B1 (ko) * 2019-01-02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5023903B (zh) * 2020-01-30 2023-12-05 东芝开利株式会社 通信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4316A1 (en) * 2004-06-01 2005-12-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us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151A (en) * 1991-07-26 1993-11-23 General Datacomm, Inc. Method of improving modem performance by controlling transmitted power of modem, and modem implementing the same
US6647058B1 (en) * 1997-06-23 2003-11-11 Paradyne Corporation Performance customization system and process for optimizing XDSL performance
US6418500B1 (en) 1999-02-12 2002-07-09 Fujitsu Limited Feedback control for termination adjustment
TW463484B (en) 1999-02-25 2001-11-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 bus system
JP3693877B2 (ja) * 1999-04-08 2005-09-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信号出力回路
JP2003518892A (ja) 1999-12-24 2003-06-1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装置の切断のエミュレーション
US6542946B1 (en) 2000-01-28 2003-04-01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Dual mode differential transceiver for a universal serial bus
US6757327B1 (en) 2000-10-02 2004-06-29 Lsi Logic Corporation Serial data communication receiver having adaptive termination resistors
US20050033996A1 (en) 2002-11-15 2005-02-10 Piau Fo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hub
US20040177204A1 (en) * 2003-01-30 2004-09-09 Campbell David C. Bus interface with variable resistance coupling
JP3778291B2 (ja) 2004-05-24 2006-05-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信回路、データ転送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US7671630B2 (en) 2005-07-29 2010-03-02 Synopsys, Inc. USB 2.0 HS voltage-mode transmitter with tuned termination resistance
JP4957100B2 (ja) 2005-11-25 2012-06-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信回路、データ転送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JP5082309B2 (ja) 2005-11-25 2012-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集積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72160A (ja) 2005-12-20 2007-07-05 Seiko Epson Corp Usb通信装置、及び通信速度切り替えのための方法
KR100822798B1 (ko) 2006-01-16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에스비 장치 및 유에스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시스템
JP2008152533A (ja) 2006-12-18 2008-07-03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Usb機器及びusb接続システム及びusb機器の取り外し認識擬制方法及びusb機器の再認識方法
US20100082846A1 (en) * 2008-10-01 2010-04-01 Kyung Hwan Kim Usb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usb device with usb host
JP4668315B2 (ja) 2008-12-02 2011-04-13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87035A (ja) * 2009-06-11 2010-12-24 Fujitsu Semiconductor Ltd 通信制御方法及び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CN101630191B (zh) * 2009-08-26 2011-08-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通用串行总线调制解调器设备节电的装置及方法
JP5257343B2 (ja) 2009-12-03 2013-08-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Usbホスト装置
JP5306166B2 (ja) * 2009-12-21 2013-10-0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通信装置
JP2011134186A (ja) * 2009-12-25 2011-07-07 Seiko Epson Corp Usbデバイス装置
TWI408557B (zh) 2010-03-18 2013-09-11 Faraday Tech Corp 高速輸入輸出系統及其節能控制方法
US8924621B2 (en) 2010-11-05 2014-12-30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asserting bus speed condition in a USB isolating device
TWM444186U (zh) 2012-06-04 2013-01-01 Hong-Wei Wang 可實現電子裝置螢幕內容滾動的健身設備
US20130012357A1 (en) 2011-07-07 2013-01-10 Hong-Wei Wang Fitness equipment incorporated with content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CN202168062U (zh) 2011-07-20 2012-03-14 天津瑞发科半导体技术有限公司 片上终端电阻和校准环路
KR101268852B1 (ko) 2011-09-21 2013-05-2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에스비 주변 장치 및 그의 송신 전력 감소 방법
TWM443977U (en) 2012-06-18 2012-12-21 Mingood Entpr Ltd Charging anti-burglar system for electronic produ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4316A1 (en) * 2004-06-01 2005-12-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us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47499A (zh) 2016-01-13
US9740643B2 (en) 2017-08-22
KR20150139615A (ko) 2015-12-11
US20140379944A1 (en) 2014-12-25
TWI533131B (zh) 2016-05-11
DE112014002941T5 (de) 2016-03-10
JP2016527742A (ja) 2016-09-08
WO2014204589A1 (en) 2014-12-24
TW201500927A (zh)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6279B1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power adapter, and mobile terminal
US935646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fast battery charging with universal high power input source
US11314300B2 (en) Voltage transition control for USB power delivery sources
CN105811506B (zh) 用于为电子设备充电的方法和电子设备
KR102216484B1 (ko) 충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EP1912125B1 (en) Electronic machine, connected machine identifying method for electronic machine and control system
JP5766875B2 (ja) アクセサリと複数のデバイスとの相互動作を促進するための技術
JP2017525053A (ja) 迅速なusb充電のための方法、電子デバイス、および充電器装置
US20160350251A1 (en) Universal serial bus (usb) hub for connecting different port types and method thereof
US200900376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operation modes of an interface device
US11860805B2 (en) Terminal device, adapter, and charging method
US10025351B2 (en) System for controlling peripherals connected to a docking station
JP2012208897A (ja) 入出力回路
US10615622B2 (en) Charging detection and control apparatus
KR101638760B1 (ko)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보다 높은 속도 통신을 회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4871610A (zh) 一种控制发射功率的方法及装置
CN104485712A (zh) 一种充电方法和电子设备
WO2015123944A1 (zh) 一种自动调整功率需求等级的受电方法及受电设备
CN105762884B (zh) 用于为电子设备充电的方法和电子设备
WO2010108551A1 (en) Power management
CN109408418B (zh) 一种usb模式切换装置及方法、usb设备
EP3433702B1 (en) Computing devices with hot swapping prediction circuits
US11513978B2 (en) Dual data ports with shared detection line
JP2014532215A (ja) ユーエスビー周辺装置およびその送信電力低減方法
US20200210266A1 (en) Universal serial bus docking apparatus and error detec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