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256B1 -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256B1
KR101638256B1 KR1020140172342A KR20140172342A KR101638256B1 KR 101638256 B1 KR101638256 B1 KR 101638256B1 KR 1020140172342 A KR1020140172342 A KR 1020140172342A KR 20140172342 A KR20140172342 A KR 20140172342A KR 101638256 B1 KR101638256 B1 KR 10163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usoidal signal
signal
peak value
sinusoidal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923A (ko
Inventor
노영삼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2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using a variable number of pulses in a tra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orque ripple, e.g. providing reduced torque ripp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2Monitoring commutation; Providing indication of commutation fail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장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위상을 갖는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구형파 신호를 필터링하여 제1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제2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부, 상기 제1 정현파 신호 및 상기 제2 정현파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 및 증폭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 및 증폭된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을 검출하여 상기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증폭된 정현파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피드백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하 임피던스 변화 및 동작 온도 변화와 같은 차량 내외부적인 요인에 발생한 경우일 지라도, 변동이 낮은 정현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RESOLVER EXCITITION SIGNAL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은 일반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기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모터는 제어시 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속도센서를 부착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속도센서로는 광학식 또는 자기식 증분 인코더와 레졸버(Resolver)가 있다.
특히, 레졸버는 주로 군사용과 같이 신뢰성이 중요한 곳에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전기자동차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레졸버는 스테이터, 로터 및 회전 트랜스를 포함하며, 레졸버를 속도센서로 사용하는 경우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에 정현파가 생성되도록 권선들이 존재한다. 이때, 레졸버 1차 측 권선에 여자전압을 인가하고, 레졸버 2차 측에 인가된 전압 정보로부터 로터의 위치를 측정한다. 즉, 전기 모터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전기 모터에서 로터의 회전각 속도 및 회전각을 센싱하여 로터의 절대위치를 측정한다.
레졸버는 일종의 회전형 변압기로 볼 수 있으므로, 각각의 레졸버마다 정격 전압과 주파수가 규정되어 있다. 즉, 레졸버 생산 업체나 종류에 따라 파라미터가 다르므로 사용하는 레졸버에 따라 레졸버 여자전압의 크기와 주파수를 조절해야 한다. 이에, 종래의 레졸버 여자회로는 여자전압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가변저항을 조정하거나 또는 제작시 적절한 저항으로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레졸버를 변경하거나 시스템에서 레졸버 부하 사양을 변경할 때마다 레졸버 여자회로의 소자 값(저항값)을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레졸버는 저역 통과 필터로만 구성되어 출력 신호에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오실레이션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레졸버는 부하 임피던스 변동, 동작 온도 변화 등의 차량 내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출력 신호의 값이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신호의 값이 변동된 레졸버는 고정된 출력 신호 값을 갖지 못하므로 고장 진단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0-0019326호
본 발명은 부하 임피던스 변화 및 동작 온도 변화와 같은 차량 내외부적인 요인에 발생한 경우일 지라도 변동이 낮은 정현파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는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시 구성들의 특성이 명확하여, 레졸버의 사양 변경 또는 시스템에서 정현파 신호의 크기를 변경 요청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변경하여 설계할 수 있고, 정현파 신호의 주파수 범위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고장 진단시 제한된 정현파 신호를 신뢰할 수 있는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위상을 갖는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구형파 신호를 필터링하여 제1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제2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부, 상기 제1 정현파 신호 및 상기 제2 정현파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 및 증폭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및 증폭된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을 검출하여 상기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증폭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이득과 증폭된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피드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위상을 갖는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구형파 신호의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제1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제2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정현파 신호 및 상기 제2 정현파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증폭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및 증폭된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을 검출하여 상기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증폭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이득과 증폭된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부하 임피던스 변화 및 동작 온도 변화와 같은 차량 내외부적인 요인에 발생한 경우일 지라도, 변동이 낮은 정현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설계시 구성들의 특성이 명확하여, 레졸버의 사양 변경 또는 시스템에서 정현파 신호의 크기를 변경 요청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변경하여 설계할 수 있고, 정현파 신호의 주파수 범위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고장 진단시 정현파 신호를 신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필터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전력 증폭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피드백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방법을 나타낸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100)는 신호 발생부(30), 필터부(40), 전력 증폭부(50), 피드백 제어부(90)를 포함한다.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100)는 구형파 신호(30-1)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형파 신호(30-1)를 제1 정현파 신호(40-1) 및 제2 정현파 신호(40-2)로 변환하고, 제1 출력 버퍼부(61)와 제2 출력 버퍼부(62)를 통해 레졸버(200)의 1차 측 권선(200-1)의 양단에 제1 정현파 신호(40-1) 및 제2 정현파 신호(40-2)를 인가할 수 있다. 속도 제어 장치(300)는 2차 측 제1 권선(200-2)으로부터 인가된 제1 정현파 신호(40-1)와 2차 측 제2 권선(200-3)으로부터 인가된 제2 정현파 신호(40-2)를 분석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나 속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신호 발생부(30)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위상을 갖는 구형파 신호(30-1)를 생성하여 필터부(40)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신호 발생부(30)는 마이크로 제어 유닛(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필터부(40)는 신호 발생부(30)로부터 출력된 구형파 신호(30-1)를 필터링하여 제1 정현파 신호(40-1)를 출력하고, 제1 정현파 신호(40-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제2 정현파 신호(40-2)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력 증폭부(50)는 필터부(40)로부터 출력된 제1 정현파 신호(40-1) 및 제2 정현파 신호(40-2)를 증폭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된 제1 정현파 신호(40-3)와 제2 정현파 신호(40-4)를 출력 버퍼부(6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버퍼부(60)는 전력 증폭부(50)로부터 출력된 제1 정현파 신호(40-3)와 제2 정현파 신호(40-4)를 레졸버(200)의 1차 측 권선(200-1)의 양단에 인가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제어부(90)는 전력 증폭부(50)에서 출력 버퍼부(60)로 출력된 도 3에 도시된 제1 정현파 신호(40-3)의 피크 값 및 제2 정현파 신호(40-4)의 피크 값을 검출하고, 제1 정현파 신호(40-3)의 피크 값 및 제2 정현파 신호(40-4)의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제1 정현파 신호(40-3)의 이득 및 제2 정현파 신호(40-4)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에서 필터부(40), 전력 증폭부(50), 피드백 제어부(9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필터부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필터부(40)는 대역 통과 필터부(41), 버퍼부(42) 및 인버터(43)를 포함한다.
대역 통과 필터부(41)는 신호 발생부(30)로부터 출력된 구형파 신호(30-1) 의 특정 대역 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제1 정현파 신호(40-1)를 출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 분야에서 구형파 신호(30-1)는 일정 주파수를 갖는 기본 정현파와 일정 주파수에 대한 정수배의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고조파의 합일 수 있다. 따라서, 대역 통과 필터부(41)는 신호 발생부(30)로부터 출력된 일정 주파수를 갖는 기본 정현파와 일정 주파수에 대한 정수배의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고조파의 합인 구형파 신호(30-1)를 필터링하여 특정 대역 주파수를 갖는 제1 정현파 신호(40-1)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대역 통과 필터부(41)는 필터링 시 발생되는 제1 정현파 신호(40-1)와 제2 정현파 신호(40-2)의 왜곡을 제거하기 위한 고차 능동 대역 통과 필터일 수 있다. 예컨대, 대역 통과 필터부(41)는 2차 능동 대역 통과 필터일 수 있다.
그리고, 버퍼부(42)는 출력 측인 전력 증폭부(50)에서 증폭된 신호에 대한 신호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역통과 필터부(41)로부터 출력된 제1 정현파 신호(40-1)를 버퍼링하여 전력 증폭부(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인버터(43)는 버퍼링된 제1 정현파 신호(40-1)의 위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제2 정현파 신호(40-2)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위상차는 0도 내지 180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버터(43)를 통해 레졸버(200)의 1차 측 권선(200-1)에 인가되는 여자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버퍼부(42)로부터 버퍼링된 제1 정현파 신호(40-1)는 제1 정현파 신호(40-1)의 위상에 대한 미리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제2 정현파 신호(40-2)와 동일한 주기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정현파 신호(40-1)와 제2 정현파 신호(40-2)의 위상 차이는 레졸버(200)의 1차 측 권선(200-1)의 양단에 인가될 여자 신호의 크기(차동 전압)에 대응되므로, 인버터(43)는 미리 설정된 위상차에 따라 출력 버퍼부(60)를 통해 레졸버(200)의 1차 측 권선(200-1)에 인가될 여자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인버터(43)에 미리 설정된 위상차가 180도인 경우에 레졸버(200)의 1차 측 권선(200-1)에 인가될 여자신호의 크기는 최대 크기이고, 인버터(43)에 미리 설정된 위상차가 90도인 경우에 레졸버(200)의 1차 측 권선(200-1)에 인가될 여자신호의 크기는 중간 크기이며, 미리 설정된 위상차가 0도(동상)인 경우에 레졸버(200)의 1차 측 권선(200-1)에 인가될 여자신호의 크기는 최소 크기일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전력 증폭부(50)를 설명한다.
도 3은 전력 증폭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력 증폭부(50)는 제1 전력 증폭부(51)와 제2 전력 증폭부(52)를 포함한다.
제1 전력 증폭부(51)는 버퍼부(42)로부터 버퍼링된 제1 정현파 신호(40-1)를 입력받아 제1 정현파 신호(40-1)의 크기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전력 증폭부(51)는 저역 통과 필터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저역 통과 필터부는 제1 정현파 신호(40-1)의 증폭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증폭된 제1 정현파 신호(40-3)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 증폭부(52)는 인버터(43)으로부터 출력된 제2 정현파 신호(40-2)를 입력받아 제2 정현파 신호(40-2)의 크기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 전력 증폭부(52)는 저역 통과 필터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저역 통과 필터부는 제2 정현파 신호(40-2)의 증폭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증폭된 제2 정현파 신호(40-4)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출력 버퍼부(60)는 전력 증폭부(50)로부터 증폭하여 출력된 제1 정현파 신호(40-3)와 제2 정현파 신호(40-4)를 레졸버(200)의 1차 측 권선(200-1)의 양단에 인가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제어부(90)는 전력 증폭부(50)로부터 출력 버퍼부(60)에 전달되는 증폭된 제1 정현파 신호(40-3)와 제2 정현파 신호(40-4)를 검출하여 제 1 정현파 신호(40-3)의 이득 및 제2 정현파 신호(40-4)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피드백 제어부(9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피드백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피드백 제어부(90)는 제1 피드백 제어부(70)와 제2 피드백 제어부(8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피드백 제어부(70)는 제1 피크 검출기(71), 제1 비교기(72), 제1 이득 제어부(74)를 포함하고, 제2 피드백 제어부(80)는 제2 피크 검출기(81), 제2 비교기(82), 제2 이득 제어부(84)를 포함한다.
제1 피드백 제어부(70)는 제1 전력 증폭부(51)로부터 출력된 제1 정현파 신호(40-3)의 피크 값을 검출하여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제1 정현파 신호(40-3)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피크 검출기(71)는 제1 전력 증폭부(51)로부터 증폭하여 출력된 제1 정현파 신호(40-3)의 피크 값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비교기(72)는 제1 피크 검출기(71)로부터 검출된 제1 정현파 신호(40-3)의 피크 값과 미리 설정된 상한값을 비교하고, 제1 피크 검출기(71)로부터 검출된 제1 정현파 신호(40-3)의 피크 값과 미리 설정된 하한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득 제어부(74)는 제1 비교기(72)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정현파 신호(40-3)의 이득을 조절하고, 제1 정현파 신호(40-3)의 이득을 제1 전력 증폭부(51)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득 제어부(74)는 제1 정현파 신호(40-3)의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상한값을 초과하면 제1 정현파 신호(40-3)의 이득을 감소시키고, 제1 정현파 신호(40-3)의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하한값 미만이면 제1 정현파 신호(40-3)의 이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후, 제1 전력 증폭부(51)는 제1 이득 제어부(74)에 의해 조절된 이득을 참조하여 제1 정현파 신호(40-3)를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피드백 제어부(80)는 제2 전력 증폭부(52)로부터 증폭하여 출력된 제2 정현파 신호(40-4)의 피크 값을 검출하여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제2 정현파 신호(40-4)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피드백 제어부(8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피드백 제어부(7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신호 발생부(30)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위상을 갖는 구형파 신호(30-1)를 생성하여 출력한다(S100). 이때, 필터부(40)는 신호 발생부(30)로부터 출력된 구형파 신호(30-1)의 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제1 정현파 신호(40-1)를 출력하고, 제1 정현파 신호(40-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제2 정현파 신호(40-2)를 출력한다(S110). 또한, 전력 증폭부(50)는 필터부(40)로부터 출력된 제1 정현파 신호(40-1) 및 제2 정현파 신호(40-2)를 증폭하여 제1 정현파 신호(40-3) 및 제2 정현파 신호(40-4)를 출력한다(S120). 그리고, 제1 피드백 제어부(70)와 제2 피드백 제어부(80)는 전력 증폭부(50)로부터 증폭된 제1 정현파 신호(40-3)의 피크 값과 제2 정현파 신호(20-4)의 피크 값을 검출하고(S130), 검출된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비교하고(S140), 검출된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제1 정현파 신호(40-3) 및 제2 정현파 신호(40-4)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을 조절하여 전력 증폭부(50)로 전송한다(S150).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2)

  1.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위상을 갖는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구형파 신호를 필터링하여 제1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제2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부;
    상기 제1 정현파 신호 및 상기 제2 정현파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 및
    증폭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및 증폭된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을 검출하여 상기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증폭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이득과 증폭된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피드백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구형파 신호의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1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는 대역통과 필터부; 및
    출력측으로부터 신호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대역통과 필터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부
    를 포함하는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버퍼링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위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상기 제2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를 더 포함하는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부는 고차 능동 대역 통과 필터인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부는,
    증폭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와 증폭된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저역통과 필터부
    를 포함하는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부는,
    증폭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을 검출하는 제1 피크 검출부, 상기 피크 값과 미리 설정된 상한값 및 상기 피크 값과 미리 설정된 하한값을 비교하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1 이득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피드백 제어부; 및
    증폭된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을 검출하는 제2 피크 검출부, 상기 피크 값과 미리 설정된 상한값 및 상기 피크 값과 미리 설정된 하한값을 비교하는 제2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2 이득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피드백 제어부
    를 포함하는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부는,
    상기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상한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1 정현파 신호 및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이득을 감소시키고, 상기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하한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1 정현파 신호 및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의 이득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7. 미리 설정된 주파수 및 위상을 갖는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구형파 신호의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제1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제2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정현파 신호 및 상기 제2 정현파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증폭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및 증폭된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을 검출하여 상기 피크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증폭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이득과 증폭된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구형파 신호의 특정 대역 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1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출력측으로부터 신호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출력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를 버퍼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버퍼링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위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상기 제2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왜곡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 및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는,
    증폭된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및 제2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및 제2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중 어느 하나와 미리 설정된 상한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및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중 어느 하나와 미리 설정된 하한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이득 및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및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및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이득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및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1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및 상기 제2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 중 어느 하나의 이득을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방법.
KR1020140172342A 2014-12-03 2014-12-03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638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342A KR101638256B1 (ko) 2014-12-03 2014-12-03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342A KR101638256B1 (ko) 2014-12-03 2014-12-03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923A KR20160066923A (ko) 2016-06-13
KR101638256B1 true KR101638256B1 (ko) 2016-07-08

Family

ID=5619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342A KR101638256B1 (ko) 2014-12-03 2014-12-03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2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6716B (zh) * 2018-12-25 2021-03-19 岩联(武汉)科技有限公司 一种振弦式采集终端及其激发频段采集方法
US11566919B2 (en) * 2021-01-14 2023-01-31 Infineon Technologies Ag Resolver excitation using threshold band of voltages
US11662224B2 (en) * 2021-08-30 2023-05-30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il-safe resolver excit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4890A (ja) 2011-01-28 201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ゾルバ異常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9326A (ko) 1989-05-31 1990-12-24 정용문 교류서보 모터의 레졸버 여자신호 출력회로
KR940003926B1 (ko) * 1991-01-26 1994-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졸버 여자(勵磁)신호 발생장치.
JP3878625B2 (ja) * 2003-06-20 2007-02-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幅調整回路、モータ駆動制御装置、振幅調整方法、及びモータ駆動制御方法
KR100917549B1 (ko) * 2007-12-28 2009-09-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레졸버 여자 전압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4890A (ja) 2011-01-28 201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ゾルバ異常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923A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256B1 (ko) 레졸버 여자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20101348A (ko) 휠 모니터링 시스템용 트랙킹 필터 장치
KR101697975B1 (ko) 주파수 변조를 이용한 인덕턴스 방식의 변위센서
US20150276373A1 (en) Resolver excitation circuit
JP2002286503A (ja) 位置検出装置の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1850137B1 (en) Rotational position measuring device
JP2002311045A (ja) 加速度センサ
US20150153174A1 (en) Apparatus for driving gyro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50068B2 (en) Rotation angle detecting device
EP2108924B1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method
US9857496B2 (en) Positioning device
WO2019102591A1 (ja) 回転電機装置および回転電機装置の制御方法
JP424619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US9850945B2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AMB
JP2008293460A (ja) ループコイル式車両検知装置
KR20160133870A (ko) 세이프티 파워윈도우 제어장치 및 방법
JP6417921B2 (ja) 位置検出装置
JP7130091B1 (ja) 回転角度検出装置及びインバータ制御装置
JP4744565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温度検出装置
JP2007089277A (ja) 電気自動車のリーク検出装置
JP6174393B2 (ja) レゾルバ励磁装置
JP2006029889A (ja) 回転速度検出装置
WO2015145675A1 (ja) 電圧信号検出装置および電圧信号調整方法
JP4975082B2 (ja) 角度検出装置
KR101401474B1 (ko) 위치나 속도 센서가 없는 전동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