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290B1 -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290B1
KR101637290B1 KR1020140175098A KR20140175098A KR101637290B1 KR 101637290 B1 KR101637290 B1 KR 101637290B1 KR 1020140175098 A KR1020140175098 A KR 1020140175098A KR 20140175098 A KR20140175098 A KR 20140175098A KR 101637290 B1 KR101637290 B1 KR 101637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external device
voice command
databas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308A (ko
Inventor
예성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29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제어시스템은, 통신부,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신호로부터 음성명령어를 인식하는 음성인식엔진, 그리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기기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음성명령어 및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어메시지를 포함하는 음성명령어 세트를 수신하며, 상기 복수의 제어메시지 중 상기 음성인식엔진에 의해 인식된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CONTROL SYSTEM I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EXTERNAL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장치간 인터페이스(Man Machine Interface, MMI)는 컴퓨터 등의 기계장치와 그것을 이용하는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의 시각, 청각, 촉각을 사용하는 모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최근 주행 중 운전자의 주의 분산을 최소화하고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차량 내 MMI 수단으로 음성인식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차량 내 음성인식 시스템은 운전자가 발화한 음성 명령을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고, 음성인식 엔진을 통해 이를 분석하여 명령어를 인지함으로써, 운전자가 손쉽게 원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스마트폰 등 이동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차량 내 조작 수단을 통해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기능이 탑재된 차량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 중 외부기기의 조작은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켜 안전 운전에 큰 방해 요소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 내에서 운전자의 주의 분산을 최소화하도록 음성을 이용하여 외부기기의 조작이 가능한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시스템은, 통신부,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신호로부터 음성명령어를 인식하는 음성인식엔진, 그리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기기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음성명령어 및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어메시지를 포함하는 음성명령어 세트를 수신하며, 상기 복수의 제어메시지 중 상기 음성인식엔진에 의해 인식된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은,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외부기기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음성명령어 및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음성인식엔진을 통해 상기 음성신호로부터 음성명령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어메시지 중 상기 음성인식엔진에 의해 인식된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차량용 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명령어를 인식함으로써, 차량 내에서 운전자의 주의 분산을 최소화하도록 음성을 이용하여 외부기기의 조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명령어 세트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 내 외부기기(20)와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파이어와이어(Firewire) 등 유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기기(20)와 연결할 수 있다.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30)와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을 통해 서버(30)와 연결할 수 있다.
외부기기(2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 내비게이션 등의 이동 단말기 또는 심박 측정기, 스마트 워치 등의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기기(2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어를 인식하는 음성인식엔진을 탑재한 단말일 수 있다.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은 외부기기(20)와 연결됨에 따라, 외부기기(20)에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음성명령어, 그리고 각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포함하는 음성명령어 세트(set)를 외부기기(20) 또는 서버(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은 외부기기 제어모드인 경우, 차량용 제어시스템(10) 내부의 음성인식엔진을 이용하여 음성인식을 수행하고, 음성인식결과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외부기기(20)로 전달하여 외부기기(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외부기기 제어모드인 경우, 차량용 제어시스템(10) 내부의 음성인식엔진은 외부기기(20)의 음성명령어 세트를 토대로 음성명령어를 인식하며, 제어부(170)는 음성인식엔진을 통해 인식된 음성명령어에 대응하여 외부기기(20)의 음성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프로토콜 제어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외부기기(20)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명령어 세트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은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음성 입력부(130), 디스플레이(140), 음성인식엔진(150), 저장부(160), 제어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 내 외부기기(20)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USB, 파이어와이어 등 유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기기(20)와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30)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으로 서버(30)와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의 제어를 위한 제어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노브(Knob),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30)는 마이크 등 음향입력수단을 포함하며, 음향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40)는 차량용 제어시스템(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0)는 외부기기(20)를 제어 가능한 음성명령어 리스트를 출력할 표시할 수 있다.
음성인식엔진(150)은 음성인식을 수행하여 음성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로부터 음성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음성인식엔진(150)는 음성 입력부(130)를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이로부터 특징패턴을 검출하고, 검출한 특징패턴을 토대로 음성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6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기기(20)의 음성명령어 세트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저장부(160)는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는, 그 사용 용도에 따라서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의 제어용과, 외부기기(20)의 제어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가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의 제어용인 경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는, 차량용 제어시스템(10)에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음성명령어와, 각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음성신호 또는 특징패턴, 그리고 각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가 외부기기(20)의 제어용인 경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는 외부기기(20)에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음성명령어에 대해 각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음성신호 또는 특징패턴, 그리고 각 음성명령어에 대응하여 외부기기(20)로 전달되는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입력을 토대로, 외부기기(20) 또는 서버(30)와 연결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기기(20)와 연결되면, 외부기기(20)에서 사용 가능한 음성명령어 세트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기기(20)의 내부 메모리에 음성명령어 세트가 저장된 경우, 외부기기(20)로부터 음성명령어 세트를 수신한다. 반면에, 외부기기(20)의 내부 메모리에 음성명령어 세트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외부기기(20)로부터 음성명령어 세트가 저장된 서버(30)의 웹 어드레스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서버(30)로부터 외부기기(20)의 음성명령어 세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외부기기(20)의 음성명령어 세트는, 외부기기(20)에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명령어와, 각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는, 통신 프로토콜 상에서 각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제어메시지로서,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외부기기(20)를 제어하기 위해,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기기(20)로 전달되는 제어메시지를 나타낸다.
도 3을 예로 들면, 외부기기(20)에서 음성명령어 'play'에 대응하는 기능 즉, 음악 재생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프로토콜 제어메시지'AVRCP_play'가 외부기기(20)로 전달되어야 한다. 또한, 외부기기(20)에서 음성명령어'take picture'에 대응하는 기능 즉, 사진 촬영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프로토콜 제어메시지'camera_short'이 외부기기(20)로 전달되어야 한다. 또한, 외부기기(20)에서 음성명령어'Recording'에 대응하는 기능 즉, 녹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프로토콜 제어메시지'Camera_rec'이 외부기기(20)로 전달되어야 한다. 또한, 외부기기(20)에서 음성명령어'Check blood pressure'에 대응하는 기능 즉, 혈압 체크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프로토콜 제어메시지'Check_BP'이 외부기기(20)로 전달되어야 한다. 또한, 외부기기(20)에서 음성명령어'Download Picture'에 대응하는 기능 즉, 사진 다운로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프로토콜 제어메시지'Download_pic'이 외부기기(20)로 전달되어야 한다.
제어부(170)는 음성명령어 세트가 서버(30)에 저장된 경우, 서버(30)에 저장된 음성명령어 세트의 편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서버(30)에 접속하여 음성명령어 세트를 수신하고, 이를 편집 가능한 텍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표시한다. 즉, 제어부(170)는 서버(30)로부터 음성명령어 세트가 수신됨에 따라, 음성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음성명령어 리스트와, 각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제어메시지를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음성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음성명령어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음성명령어를 추가하기 위한 제어입력이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음성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음성명령어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음성명령어를 음성명령어 세트에 추가하여 음성명령어 세트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음성명령어 세트에서 음악재생기능에 대응하는 음성명령어가 'play'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play'를 'gogo'로 수정하는 제어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음성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음성명령어 'play'를 'gogo'로 수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음성명령어 세트가 갱신됨에 따라, 갱신된 음성명령어 세트를 서버(30)로 전송하여, 서버(30)에 저장된 음성명령어 세트를 갱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기기(20)의 음성명령어 세트가 수신됨에 따라, 이로부터 외부기기(20) 제어용 음성인식에 사용되는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20)의 음성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음성명령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되는 음성명령어 리스트를 토대로, 사용자는 외부기기(20)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명령어를 인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기기(20) 제어용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는, 외부기기(20)의 음성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각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음성신호 또는 특징패턴과, 각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예로 들면, 외부기기(20) 제어용 음성인식에 사용되는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는, 외부기기(20)에서 사용 가능한 음성명령어 각각에 대응하는 음성신호와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성신호는, 음성인식엔진(150)에서 대응하는 음성명령어로 인식하는 음성신호이고,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는 외부기기(20)의 음성명령어 세트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기기(20) 제어용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면,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이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20)가 내비게이션과 같이 안전 또는 주행 관련 기기인 경우, 외부기기(20) 제어용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상시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20)가 심박 측정기 등 건강 보조 기기인 경우, 외부기기(20)가 헬스(health)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외부기기(20) 제어용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외부기기(20) 제어용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가 활성화되는 경우, 음성인식엔진(150)은 이를 토대로 외부기기(20)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명령어를 인식한다. 즉, 외부기기(20) 제어용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신호로부터 외부기기(20)에서 사용 가능한 음성명령어를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음성인식엔진(150)에서 인식한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외부기기(20)로 전달하여 외부기기(20)를 제어하는 외부기기 제어모드로 동작한다.
반면에, 외부기기(20) 제어용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가 비활성화된 경우, 음성인식엔진(150)은 외부기기(20) 제어용이 아닌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의 제어용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음성명령어를 인식한다. 즉,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의 제어용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신호로부터 외부기기(20)에서 사용 가능한 음성명령어를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음성인식엔진(150)에서의 음성인식결과에 따라서, 대응하는 제어메시지를 전달하여 차량용 제어시스템(1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일반모드로 동작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외부기기(20)와의 연결이 요청됨에 따라,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기기(20)와 연결한다(S100).
외부기기(20)와 연결됨에 따라, 제어부(170)는 외부기기(20)에서사용 가능한 복수의 음성명령어와, 각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포함하는 음성명령어 세트를 획득한다(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외부기기(20)가 내부 메모리에 음성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는 경우,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기기(20)로부터 음성명령어 세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S110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외부기기(20)의 음성명령어 세트가 저장된 서버(30)의 웹 어드레스를 외부기기(2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수신된 웹 어드레스를 토대로 서버(30)와 연결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고,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30)로부터 외부기기(20)의 음성명령어 세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S110 단계를 통해 외부기기(20)의 음성명령어 세트를 수신함에 따라, 이를 토대로 외부기기(20)의 제어용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120).
또한, 제어부(17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외부기기 제어모드로 동작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 S130 단계에서, 외부기기 제어모드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70)는 외부기기(20) 제어용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비활성화한다(S140). 반면에, 상기 S130 단계에서, 외부기기 제어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외부기기(20) 제어용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활성화한다(S150).
외부기기 제어모드로 동작하여, 외부기기(20) 제어용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가 활성화되면, 음성인식엔진(150)은 이를 토대로 음성인식을 수행한다(S160). 또한, 제어부(170)는 음성인식엔진(150)의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하여 외부기기(20)로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외부기기(20)를 제어한다(S170).
상기 S130 단계 내지 S170 단계는 외부기기(20)와의 연결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S180).
전술한 바에 따르면, 차량용 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명령어를 인식함으로써, 차량 내에서 운전자의 주의 분산을 최소화하도록 음성을 이용하여 외부기기의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기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_ROM, DVD_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통신부,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신호로부터 음성명령어를 인식하는 음성인식엔진, 그리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기기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음성명령어 및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어메시지를 포함하는 음성명령어 세트를 수신하며, 상기 복수의 제어메시지 중 상기 음성인식엔진에 의해 인식된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 각각에 대응하는 음성신호 또는 특징패턴을 포함하는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음성인식을 수행하도록 상기 음성인식엔진을 제어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상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가 활성화되면, 상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음성인식을 수행하도록 상기 음성인식엔진을 제어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가 주행 또는 안전 관련기기이면 상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상시 활성화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가 건강 보조 기기이면, 상기 건강 보조 기기가 특정 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활성화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의 내부 메모리에 상기 음성명령어 세트가 저장된 경우,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음성명령어 세트를 수신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의 내부 메모리에 상기 음성명령어 세트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서버의 웹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웹주소를 토대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명령어 세트를 수신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명령어 세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음성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에 대한 수정을 요청하는 제어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어입력을 토대로 상기 리스트를 수정하고, 수정된 상기 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음성명령어 세트를 갱신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갱신된 상기 음성명령어 세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
  11.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외부기기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음성명령어 및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음성인식엔진을 통해 상기 음성신호로부터 음성명령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제어메시지 중 상기 음성인식엔진에 의해 인식된 음성명령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 각각에 대응하는 음성신호 또는 특징패턴을 포함하는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단계인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가 활성화되면, 상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단계인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기기가 주행 또는 안전 관련기기이면 상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상시 활성화하는 단계인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기기가 건강 보조 기기이면, 상기 건강 보조 기기가 특정 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음성명령어 데이터베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인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기기의 내부 메모리에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 및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제어메시지가 저장된 경우,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 및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기기의 내부 메모리에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 및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제어메시지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서버의 웹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웹주소를 토대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 및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제어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 및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제어메시지가 포함된 음성명령어 세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음성명령어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대한 수정을 요청하는 제어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어입력을 토대로 상기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 그리고
    수정된 상기 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음성명령어 세트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갱신된 상기 음성명령어 세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40175098A 2014-12-08 2014-12-08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KR101637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098A KR101637290B1 (ko) 2014-12-08 2014-12-08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098A KR101637290B1 (ko) 2014-12-08 2014-12-08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308A KR20160069308A (ko) 2016-06-16
KR101637290B1 true KR101637290B1 (ko) 2016-07-07

Family

ID=5635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098A KR101637290B1 (ko) 2014-12-08 2014-12-08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369A (ko) *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오비고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385B1 (ko) 2017-06-22 2018-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12269556A (zh) * 2020-09-21 2021-01-26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展示方法、装置、系统、设备、服务器及存储介质
WO2023090667A1 (ko) * 2021-11-17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발화 기반 퀵 커맨드 재구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7813A (ja) 2002-07-03 2004-02-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用音声認識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音声認識システム
JP2010033340A (ja) 2008-07-29 2010-02-12 Fujitsu Ltd 音声認識サーバ、通信システムおよび音声認識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7813A (ja) 2002-07-03 2004-02-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用音声認識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音声認識システム
JP2010033340A (ja) 2008-07-29 2010-02-12 Fujitsu Ltd 音声認識サーバ、通信システムおよび音声認識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369A (ko) *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오비고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3315B1 (ko) * 2017-02-21 2022-06-02 주식회사 오비고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308A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6601B2 (en) Voice assistant tracking and activation
US974322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637290B1 (ko)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EP3381176B1 (en) Media access control (mac) address identification
US96882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mobile device to emulate a vehicle human-machine interface
JP5494573B2 (ja) 表示装置、携帯通信端末および表示システム
BR102012022421B1 (pt) Método implementado por computador
US201403802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Human Machine Interface
US10553212B2 (en) Vehicle-based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10185390A1 (en) Mobile phone integration into driver information systems
US101042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application portability over multiple environments
US9868353B2 (en) In-vehicle configurable soft switches
JP2013546223A (ja) 車両において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を操作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5975350B (zh) 用于集成交通工具应用的方法和设备
JP5765290B2 (ja) 走行規制プログラム、携帯端末、車両用装置、車両用通信システム
US201501930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head unit application host
US10386853B2 (en) Method for accessing a vehicle-specific electronic device
CN106200894A (zh) 事件通知方法及其设备
CN112445404A (zh) 一种车载管理系统以及相应的车辆和方法
EP2890212B1 (en) Electronic in-vehicle apparatus and wireless device checking method
WO2013153804A1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車両用通信装置及び携帯通信端末
JP6033186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462912B1 (ko) 스마트폰용 앱을 차량의 avn장치에서 이용하기 위한 서비스 링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avn장치
US11209960B2 (en) Control method of terminal device
JP2012191349A (ja) 車載機器システム及び該車載機器システムを構成する車載機器及び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