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315B1 -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315B1
KR102403315B1 KR1020170022993A KR20170022993A KR102403315B1 KR 102403315 B1 KR102403315 B1 KR 102403315B1 KR 1020170022993 A KR1020170022993 A KR 1020170022993A KR 20170022993 A KR20170022993 A KR 20170022993A KR 102403315 B1 KR102403315 B1 KR 102403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base
command
control function
vo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369A (ko
Inventor
황도연
오태안
민경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비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to KR102017002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3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6Creation of reference templates; Training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e.g.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B60K2350/1044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있어서, 음성 입력부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정보 및 상기 명령어마다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 정보를 가짐 - 에서 검색하는 제1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해당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는,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차량 제어를 위한 명령어를 직접 설정하고, 다양한 제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 계정별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차량에서도 동일한 명령어를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VOICE RECOGNITION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본 발명은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입력부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정보 및 상기 명령어마다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 정보를 가짐 - 에서 검색하는 제1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해당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는,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음성 인식 시스템은, 음성 인식 동작을 위한 명령어 키워드가 미리 저장되어있는 상태에서 기 저장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음성 인식을 수행한다. 이 명령어 키워드는 차량 제조 공정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키워드를 추가 및 삭제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복수의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탑승하는 차량이 바뀔 때마다 차량에 탑재되어있는 음성 인식 시스템의 명령어 형태도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 방식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 제어를 위한 명령어를 직접 설정하고, 다양한 제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 계정별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차량에서도 동일한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있어서, 음성 입력부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정보 및 상기 명령어마다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 정보를 가짐 - 에서 검색하는 제1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해당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는,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차량 제어를 위한 명령어를 직접 설정하고, 다양한 제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 계정별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차량에서도 동일한 명령어를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이 포함된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방법의 예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100)이 포함된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100), 클라우드 서버(200), 차량(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100)은 모드 선택부(110), 제1 음성 처리부(120), 제2 음성 처리부(130), 제어부(140), 사용자 인증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100)은 제어 장치(가령, 제어 컴퓨터, 제어 서버, 제어 단말 등으로 불리울 수도 있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드 선택부(110)는 제1 음성 처리부(120)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제1 모드 및 제2 음성 처리부(130)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시적으로, 모드 선택부(110)는 물리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버튼이나, 소정의 표시부에 마련되는 터치 버튼일 수 있는데, 사용자가 이 버튼을 짧게 누르는 경우 제1 모드가 선택되고, 길게 누르는 경우 제2 모드가 선택되는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드 선택부(110)는 음성 인식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1 모드', 'mode one', '로컬 모드' 등의 명령어를 말할 때는 제1 모드가 선택되고, '2 모드', 'mode two', '클라우드 모드' 등의 명령어를 말할 때는 제2 모드가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1 음성 처리부(120)는 음성 입력부(미도시)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125)에서 검색하고, 해당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후술할 제어부(140)가 해당 제어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해당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제1 데이터베이스(125)에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해당 미등록 명령어 및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125)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의 추가뿐만 아니라, 이용하지 않는 명령어의 삭제, 기존 명령어의 키워드 수정 등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의 설정을 사용자가 직접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제1 데이터베이스(125)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시점에 수행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명령어 설정을 하고자 하는 어느 시점에라도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제1 데이터베이스(125)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시점에는 해당 명령어를 처리할 수 없다는 음성 메시지만을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데이터베이스(1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정보 및 명령어마다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 정보를 가지는데, 도면 상에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100)에 포함되지 않고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100)과 연동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100)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고, 제1 데이터베이스(125)는 차량(300)의 헤드유닛에 내장되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음성 처리부(130)는 클라우드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200)에 의해 관리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210)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서 검색하고, 해당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제어부(140)가 해당 제어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해당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해당 미등록 명령어 및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제1 음성 처리부(120)와 마찬가지로,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의 추가뿐만 아니라, 이용하지 않는 명령어의 삭제, 기존 명령어의 키워드 수정 등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의 설정을 사용자가 직접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데이터베이스(210)는 사용자의 계정별로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을 관리하는데, 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존에 이용하던 차량(300)이 아닌 다른 차량(300)에서도 사용자 계정 인증을 통해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복수의 차량(300)에서 제2 데이터베이스(210)를 이용하여 동일한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베이스(125) 및 제2 데이터베이스(210)는, 차량(300)의 차종 정보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차종 정보가 서로 같은 복수의 차량(300)에서 동일한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가령, 유사한 계열의 차량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거나, 차량 모델이 같은 경우, 사용자가 동일한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제1 데이터베이스(125) 또는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해당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차량(300)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령,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300)으로 전달함으로써 차량(300)이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거나, 제어부(140)가 직접 차량(300)을 제어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차량(3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제어 기능으로는, 예시적으로 내비게이션 제어, 음악 재생, 볼륨 조절, 라디오, 블루투스 및 USB 연결, 뉴스나 문자 등을 읽어주는 기능 등의 다양한 보조 기능과, 와이퍼 작동, 경적 울림, 문 잠금, 방향등, 시트 각도 조절, 공조기 제어 등의 차량(300) 본연의 기능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으로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300)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 인증부는 사용자가 계정을 등록하고 인증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계정의 인증은,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거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증부는, 차량(300)을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때, 복수의 계정을 동시에 로그인하도록 하여, 복수의 계정을 번갈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령, 사용자 A 및 사용자 B가 있다고 할 때, 사용자 A의 계정을 이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 변경'과 같은 음성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B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인증부는, 제1 데이터베이스(125)를 통해 복수의 계정별로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이 각각 관리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200) 및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 접속하지 않고도, 사용자들이 각각 계정을 생성하여 사용자별로 다른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 인증부는, 차량(300)을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때, 복수의 계정을 동시에 로그인하도록 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 기록되어 있는 각 계정별로 이에 대응되는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을 참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령, 사용자 A 및 사용자 B가 있다고 할 때, 사용자 A의 명령어 및 제어 기능과 사용자 B의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을 동시에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A의 계정에 '자동잠금 해제'라는 명령어는 존재하고 '블루투스 연결'이라는 명령어는 존재하지 않으며, 사용자 B의 계정에는 '블루투스 연결'이라는 명령어는 존재하고 '자동잠금 해제'라는 명령어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로그인된 사용자 A의 계정 및 사용자 B의 계정 모두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잠금 해제' 및 '블루투스 연결'이라는 명령어를 모두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음성 처리부(130)는, 사용자 인증부에서 계정의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 제1 데이터베이스(125) 값과 인증된 사용자 계정의 제2 데이터베이스(210) 값을 비교하여 두 값이 서로 다르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1 데이터베이스(125) 값을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 추가하거나, 제2 데이터베이스(210)를 대체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정에 따라, 제1 데이터베이스(125)를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2 데이터베이스(210) 값으로 대체하거나, 제1 데이터베이스(125) 또는 제2 데이터베이스(210)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기준으로 자동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의 음성 특성마다 다른 인식률을 갖는 복수의 음성 인식 엔진(220)을 더 구비하거나, 복수의 음성 인식 엔진(220)에 접근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복수의 음성 인식 엔진(2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음성 인식 엔진(220)은 사용자의 성별이나 나이, 목소리 톤 등의 특성에 따라 다른 인식률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에 따라 음성 인식률이 더 높은 음성 인식 엔진(220)을 선택하여 이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음성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률을 보이는 음성 인식 엔진(220)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음성 처리부(120) 및 제2 음성 처리부(130)는,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에서 복수의 명령어가 추출되면, 제어부(140)가 각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을 복수의 명령어가 추출되는 순서대로 실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1 음성 처리부(120) 및 제2 음성 처리부(130)는, 사용자가 미등록 명령어 및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125) 또는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 추가할 때, 음성 명령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시적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새로운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을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 추가하는 경우, 소정의 디스플레이에 사용자가 이용 중인 차량(300)에서 제공되는 명령어 및 제어 가능한 기능의 목록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능에 직접 명령어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명령어를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100)은, 차량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또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방법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방법은, (a) 음성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제1 음성 처리부(120)가 입력된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125)에서 검색하는 단계(S215), (b) 제1 데이터베이스(125)에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S220), 해당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차량(300)을 제어하는 단계(S225) 및 (c) 제1 데이터베이스(125)에 해당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S220),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1 데이터베이스(125)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미등록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125)에 추가하는 단계(S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S215 단계 이전에, 사용자의 계정을 인증하는 단계(S205), 또는 (a0) 사용자에 의해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S210)를 더 포함하거나, S205 단계 및 S210 단계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210 단계에서 제1 모드가 선택되면, 제1 음성 처리부(120)를 통해 음성 인식이 수행되고, 제2 모드가 선택되면 제2 음성 처리부(130)를 통해 음성 인식이 수행된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제2 음성 처리부(130)가 입력된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클라우드 서버(200)에 의해 관리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서 검색하는 단계(S235),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S240), 해당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차량(300)을 제어하는 단계(S245), 및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S240),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등록 명령어 및 미등록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을 제2 데이터베이스(210)에 추가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205 단계는 S210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S215 단계 이전 또는 S235 단계 이전에 수행되거나, S215 단계 및 S235 단계의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S205 단계에서의 사용자 계정 인증은, 예시적으로, 차량(300) 시동 시 '운전자를 선택해주세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가 안내되면, 사용자의 응답이 없을 경우 마지막으로 로그인되었던 사용자의 계정이 자동 로그인되며, 사용자가 등록된 계정 중 하나의 계정 이름 또는 계정 아이디로 응답하는 경우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110 : 모드 선택부 120 : 제1 음성 처리부
125 : 제1 데이터베이스 130 : 제2 음성 처리부
140 : 제어부 200 : 클라우드 서버
210 : 제2 데이터베이스 220 : 음성 인식 엔진
300 : 차량

Claims (15)

  1.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입력부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정보 및 상기 명령어마다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 정보를 가짐 - 에서 검색하는 제1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해당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는,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되,
    상기 사용자가 계정을 등록하고 인증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증부;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계정별로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을 관리함 - 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2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제어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부에서 상기 계정의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값과 상기 계정의 제2 데이터베이스 값을 비교하여 두 값이 서로 다르면,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값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거나,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를 대체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입력부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정보 및 상기 명령어마다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 정보를 가짐 - 에서 검색하는 제1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해당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는,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되,
    상기 사용자가 계정을 등록하고 인증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증부;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계정별로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을 관리함 - 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2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제어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사용자가 복수의 차량에서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동일한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5.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입력부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정보 및 상기 명령어마다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 정보를 가짐 - 에서 검색하는 제1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해당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는,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되,
    상기 사용자가 계정을 등록하고 인증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증부;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계정별로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을 관리함 - 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2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제어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차량의 차종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종 정보가 서로 같은 복수의 차량에서 동일한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부에서 상기 계정의 인증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거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7.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입력부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정보 및 상기 명령어마다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 정보를 가짐 - 에서 검색하는 제1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해당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는,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되,
    상기 사용자가 계정을 등록하고 인증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증부;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계정별로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을 관리함 - 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2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제어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차량을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때, 복수의 계정을 동시에 로그인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계정을 번갈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계정별로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이 각각 관리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9.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입력부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 정보 및 상기 명령어마다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 정보를 가짐 - 에서 검색하는 제1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해당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는,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되,
    상기 사용자가 계정을 등록하고 인증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증부;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계정별로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을 관리함 - 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2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가 해당 제어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차량을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때, 복수의 계정을 동시에 로그인하도록 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각 계정별로 이에 대응되는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을 참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특성마다 다른 인식률을 갖는 복수의 음성 인식 엔진을 더 구비하거나 상기 복수의 음성 인식 엔진에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성 인식 엔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에서 복수의 명령어가 추출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을 상기 복수의 명령어가 추출되는 순서대로 실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때, 음성 명령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은, 차량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또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14.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방법에 있어서,
    (a) 음성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제1 음성 처리부가 입력된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b)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해당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 -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의 계정별로 명령어 및 제어 기능을 관리함 - 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주체를 제2 음성 처리부라고 할 때,
    상기 (a) 단계 이전에,
    (a0)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제1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음성에서 소정의 명령어를 추출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기능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면, 해당 제어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소정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미등록 명령어 및 상기 미등록 명령어로 실행하고자 하는 제어 기능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2 음성 처리부는, 사용자 인증부에서 상기 계정의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값과 상기 계정의 제2 데이터베이스 값을 비교하여 두 값이 서로 다르면,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값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거나,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를 대체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방법.
  15. 삭제
KR1020170022993A 2017-02-21 2017-02-21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3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93A KR102403315B1 (ko) 2017-02-21 2017-02-21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93A KR102403315B1 (ko) 2017-02-21 2017-02-21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369A KR20180096369A (ko) 2018-08-29
KR102403315B1 true KR102403315B1 (ko) 2022-06-02

Family

ID=6343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993A KR102403315B1 (ko) 2017-02-21 2017-02-21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06A1 (ko) * 2020-07-08 2022-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테이너를 이용한 다중 프로파일 지원
KR20240052298A (ko) * 2022-10-14 2024-04-23 (주)펫펄스랩 자동차 반려동물 모드 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4982A (ja) * 2000-11-06 2002-05-22 Mazda Motor Corp 車載機器の操作方法、車載機器の操作システム及び車載機器制御装置
JP2003323192A (ja) 2002-05-08 2003-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単語辞書登録装置および単語辞書登録方法
JP2007225902A (ja) 2006-02-23 2007-09-06 Fujitsu Ten Ltd 車内音声操作システム
KR101637290B1 (ko) * 2014-12-08 2016-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KR101678087B1 (ko) * 2015-02-16 2016-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182B1 (ko) * 2012-04-08 2019-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4982A (ja) * 2000-11-06 2002-05-22 Mazda Motor Corp 車載機器の操作方法、車載機器の操作システム及び車載機器制御装置
JP2003323192A (ja) 2002-05-08 2003-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単語辞書登録装置および単語辞書登録方法
JP2007225902A (ja) 2006-02-23 2007-09-06 Fujitsu Ten Ltd 車内音声操作システム
KR101637290B1 (ko) * 2014-12-08 2016-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제어시스템 및 차량용 제어시스템의 외부기기 제어방법
KR101678087B1 (ko) * 2015-02-16 2016-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369A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3523B2 (en) Multi-sample conversational voice verification
US10771517B2 (en) Sharing user context and preferences
US10991374B2 (en) Request-response procedure based voice control method, voice contro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RU2699587C2 (ru) Обновление моделей классификаторов понимания языка на основе краудсорсинга
US89963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voice recognition database for a mobile device using image processing an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US9956939B2 (en) Platform for wireless interaction with vehicle
US10223512B2 (en) Voice-based liveness verification
EP3182316B1 (en) Fingerprint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and terminal supporting fingerprint authentication
WO2016110002A1 (zh) 屏幕界面的解锁方式和屏幕界面的解锁装置
US1097245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on assistant
US10964327B2 (en) Hub device, multi-device system including the hub device and plurality of devic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60021105A1 (en) Secure Voice Query Processing
US20120200391A1 (en) Method to identify user with security
US20220121767A1 (en) Row-level and column-level policy service
KR102403315B1 (ko) 차량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73456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354459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80182393A1 (en) Security enhanced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KR101944698B1 (ko) 컴퓨터 운영체제의 로그인 인증 결과를 이용한 싱글 사인 온 자동 로그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US9111133B2 (en) Use of unknown user data for identifying known users
KR20200100142A (ko) 음성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명령어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음성 처리 기능을 갖는 자동차, 및 사용자 단말기
KR102389179B1 (ko) 차량 AVN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이용한 차량앱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AI Service Agent
KR20170105867A (ko) 상황인식 기반의 로그인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