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487B1 - Ct 및 zct를 내장하는 전기 모듈 - Google Patents

Ct 및 zct를 내장하는 전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487B1
KR101636487B1 KR1020150029129A KR20150029129A KR101636487B1 KR 101636487 B1 KR101636487 B1 KR 101636487B1 KR 1020150029129 A KR1020150029129 A KR 1020150029129A KR 20150029129 A KR20150029129 A KR 20150029129A KR 101636487 B1 KR101636487 B1 KR 101636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ct
case
power line
electrical modul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복
김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텍
Priority to KR1020150029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17/062Toroidal core with turns of coil around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모듈은, 코일이 권선된 환형의 코어를 구비하고 길이방향 중심축이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 코일이 권선된 환형의 코어를 구비하고 3 상의 전력선로가 관통하는 관통구을 구비한 ZCT(40); 적어도 상기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상기 제 3 CT(30) 및 상기 ZCT(40)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3 상의 전력 선로에 대한 계측 기능을 적어도 가지는 전기 모듈로서, 상기 ZCT(40)는 세 모서리가 둥글게 된 삼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선로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전기 모듈의 크기를 대폭 저감하며, ZCT에서의 평형 특성을 일정하게 하면서도 전력 선로들을 조밀하게 모을 수 있어 랙 또는 함체내에서의 공간 효율성을 크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CT 및 ZCT를 내장하는 전기 모듈{Electric Module Including CT and ZCT}
본 발명은 CT 및 ZCT를 일체로 내장하는 전기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기적 특성 및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킨 CT 및 ZCT를 일체로 내장하는 전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배선용 차단기 등의 전기 장치에 사용되기 위하여 각 상에 대한 3개의 변류기(CT : Current Transformer, 이하 'CT'라고도 한다)와 영상 변류기(ZCT : Zero phase sequence Current Transformer, 이하 'ZCT'라고도 한다)를 일체로 내장하는 변류기 '일체형 영상변류기'가 알려져 있다.
통상 사용되는 ZCT는 원형의 도넛 모양(환형)이지만, 변류기 일체형 영상변류기에서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자 원형 대신 트랙형의 모양을 가진 것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대한 민국 실용신안 제445999호로 공지된 변류기 일체형 영상변류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A)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B)는 조립후의 사시도이다.
메인케이스(10)에는 상·하 실드케이스(22, 22')로 감싼 영상변류기(ZCT : 20)와 3 개의 변류기(CT : 30)가 설치되며, 합성수지본체로서 3 상 간격으로 관통구(12, 14, 16)가 형성되어 있다.
상·하 실드케이스(22, 22')에는 영상변류기(20)를 덮을 타원 홈(24, 24')이 형성되는 한편 중앙으로 타원 개구부(26, 26')가 형성되고, 상 실드케이스(22)에만 코일 인출부(23)가 상부 좌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케이스(10)의 관통구(12, 14, 16)를 감싸는 영상변류기(20)는 트랙형(타원형) 코어를 구비하며, 코어에 권선된 코일 끝은 외부 인출선(21)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3 상용 영상변류기(20)를 결합한 상·하 실드케이스(22, 22')는 메인케이스(10)의 개구부에 적층되고 각 관통구(12, 14, 16)마다에 변류기(30)를 결합하게 된다. 변류기(30)는 코어로서 환형 자심에 코일을 권선하여 외부 인출선(31)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메인케이스(10)의 관통구(12, 14, 16)를 중앙에 두고 상·하 실드케이스(22, 22')의 영상변류기(20)와 변류기(30)순으로 결합되고 덮개(35)를 덮어 영상변류기(20)의 인출선(21)과 변류기(30)들의 인출선(31)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되어 있다. 덮개(35)는 중앙의 각 관통구가 형성되는 한편 상부로 인출선들이 빠져나가는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종래의 변류기 일체형 영상변류기는 메인케이스 내에 영상변류기와 각 변류기를 일체화시킴으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 이전의 ZCT는 원형이므로(도 7(B) 참조) 케이스에 내장할 경우, 장치의 부피가 상당히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바, 상기한 종래기술과 같이 ZCT를 트랙형으로 하여 케이스에 내장하였으나, 이러한 트랙형 ZCT를 내장한 장치에서는 장치의 외곽이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지므로, 분전반 또는 모터제어반(MCC : Motor Control Center)과 같이 많은 전기 모듈이 밀집해서 설치되는 곳에서는 설치상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트랙형 ZCT는 1차 도체(전력선로)에 대한 ZCT의 위치관계에 따라 평형 특성이 크게 변화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4459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CT 및 ZCT를 일체로 내장하는 전기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형 특성이 일정한, CT 및 ZCT를 일체로 내장하는 전기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기 모듈은, 코일이 권선된 환형의 코어를 구비하고 길이방향 중심축이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 코일이 권선된 환형의 코어를 구비하고 3 상의 전력선로가 관통하는 관통구을 구비한 ZCT(40); 적어도 상기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상기 제 3 CT(30) 및 상기 ZCT(40)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3 상의 전력 선로에 대한 계측 기능을 적어도 가지는 전기 모듈로서, 상기 ZCT(40)는 세 모서리가 둥글게 된 삼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기 모듈은, 코일이 권선된 환형의 코어를 구비하고 길이방향 중심축이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 코일이 권선된 환형의 코어를 구비하고 3 상의 전력선로가 관통하는 ZCT(40); 적어도 상기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상기 제 3 CT(30) 및 상기 ZCT(40)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3 상의 전력 선로에 대한 계측 기능을 적어도 가지는 전기 모듈로서, 상기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및 상기 제 3 CT(30)는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며, 상기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측면에서 볼 때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상기 제 3 CT(30) 및 상기 ZCT(40)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전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및 상기 제 3 CT(30)는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며, 상기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측면에서 볼 때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상기 제 3 CT(30) 및 상기 ZCT(40)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전기 모듈에 있어서, 상기 ZCT(40)의 관통구(41)에서의 외곽 크기는 상기 제 1 CT(10)의 관통구(11), 상기 제 2 CT(20)의 관통구(21) 및 상기 제 3 CT(30)의 관통구(31)를 아우르는 외곽 크기에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전기 모듈에 있어서, 상기 ZCT(40)는 세 모서리가 둥글게 된 삼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전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 1 CT(10)가 끼워지는 제 1 프론트 파이프(71)와, 상기 제 1 CT(10)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 1 프론트 파이프(71)로부터 돌출되는 프론트 지지 리브(74)와, 상기 제 2 CT(20)가 끼워지는 제 2 프론트 파이프(72)를 구비하는 프론트 케이스(70); 상기 제 3 CT(30)가 끼워지는 제 3 리어 파이프(83)와, 상기 제 3 CT(30)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 3 리어 파이프(83)로부터 돌출하는 리어 지지 리브(84)를 구비하고 상기 ZCT(40)가 안착되는 리어 케이스(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전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 3 CT(30)와 상기 ZCT(40) 사이에는 전자기 차폐를 위한 ZCT 커버가 재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전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70) 및 상기 리어 케이스(80)의 상부에 PCB 모듈이 재치되는 내부 공간을 두고 탑 케이스(9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는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게 하고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측면에서 볼 때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케이스내에 배치함으로써, 전력 선로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전기 모듈의 크기를 대폭 저감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랙 또는 함체내에 설치되며, CT 및 ZCT를 일체로 내장하는 전기 모듈의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를 구비하며, ZCT(40)는 세 모서리가 둥글게 된 삼각형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ZCT에서의 평형 특성을 일정하게 하면서도 전력 선로들을 조밀하게 모을 수 있어 랙 또는 함체내에서의 공간 효율성을 크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대한 민국 실용신안 제445999호로 공지된 변류기 일체형 영상변류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A)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B)는 조립후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및 ZCT를 내장하는 전기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 2는 정면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후면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모듈에서 케이스내에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이 배치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측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4(C)는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전기모듈에서 케이스내에 내장되는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를 전력 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다르게 배치된 비교예 1이다.
도 6은 전기모듈에서 케이스내에 내장되는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를 전력 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다르게 ZCT가 원형인 비교예 2이다.
도 7은 전기모듈에서 케이스내에 내장되는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를 전력 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다르게 ZCT가 원형이고 CT가 서로 겹치지 않는 비교예 3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및 ZCT를 내장하는 전기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 2는 정면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후면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및 ZCT를 내장하는 전기 모듈은 3 상의 전력 선로에 대한 계측 기능을 적어도 가지는 것으로서, 전력 메타, 보호 계전기, 서킷 브레이커, 전력용 제어장치 등이거나 이를 구성하는 구성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및 ZCT를 내장하는 전기 모듈은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ZCT(40), ZCT 커버(50), PCB 모듈(60), 프론트 케이스(70), 리어 케이스(80) 및 탑케이스(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는 코일이 권선된 환형으로서 원형인 코어를 구비하며,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에서 길이 방향의 중심축은 삼각형, 바람직하게 정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각각 위치한다.
도면상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는 두께를 가진 원통 형상으로 간략히 표현되었으나, 환형 코어에 보빈을 개재하여 코일이 권선된 것이거나 이러한 것에 절연 피복층이 부가된 것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ZCT(40)는 3 상의 전력선로가 모두 관통하는 관통구을 구비하며, 환형의 코어, 특히 세 모서리가 둥글게 된 삼각형 형상의 환형 코어에 보빈을 개재하여 코일이 권선된 것이거나, 여기에 절연층이나 쉴드 케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 등일 수 있다. ZCT(40)는 세 모서리가 둥글게 된 삼각형의 형상으로서, 특히 정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ZCT 커버(50)는 ZCT(40)와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 사이, 특히 ZCT(50)와 제 3 CT(30) 사이를 분리하고 완충하며 전자기 차폐한다.
케이스는 적어도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를 내장하는 것으로서, 프론트 케이스(70), 리어 케이스(80) 및 탑케이스(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론트 케이스(70)는 제 1 CT(10)가 끼워지는 제 1 프론트 파이프(71)와, 제 2 CT(20)가 끼워지는 제 2 프론트 파이프(72)와, 재 3 프론트 파이프(73)를 구비하며, 프론트 지지 리브(74)는 제 1 CT(10)의 일측을 지지하고 제 1 프론트 파이프(71)로부터 돌출되거나, 제 2 CT(20)의 일측을 지지하고 제 2 프론트 파이프(72)로부터 돌출된다.
리어 케이스(80)는 제 3 CT(30)가 끼워지는 제 3 리어 파이프(83)와, 제 3 CT(30)의 일측을 지지하고 제 3 리어 파이프(83)로부터 돌출하는 리어 지지 리브(84)를 구비하며, 리어 케이스(80)에는 ZCT(40)가 안착된다.
제 1 프론트 파이프(71), 제 2 프론트 파이프(72) 및 제 3 프론트 파이프(73)는 각각 제 1 리어 파이프(81), 제 2 리어 파이프(82) 및 제 3 리어 파이프(83)과 일대일 대응되어 서로 맞대기하거나 서로 결합된다.
프론트 케이스(70) 및 리어 케이스(80)의 상부에 PCB 모듈이 재치되는 내부 공간을 두고 탑 케이스(90)가 결합되며, 탑 케이스(9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스위치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LCD 및 LED 등의 표시수단이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모듈에서 케이스내에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가 배치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측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4(C)는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에서 길이 방향의 중심축(c1, c2, c3)은 삼각형, 바람직하게 정삼각형(S)의 세 꼭지점에 각각 위치하며, ZCT(40)의 관통구에서의 외곽 크기는 제 1 CT(10)의 관통구(11), 제 2 CT(20)의 관통구(21) 및 제 3 CT(30)의 관통구(31)를 아우르는 외곽 크기에 맞추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듈의 일 특징은,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측면에서 볼 때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상기 제 3 CT(30) 및 상기 ZCT(40)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점과,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는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는 점이다.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측면에서 볼 때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으나,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z축 방향)에서 볼 때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의 환형의 모양에서 환의 굵기, 즉 원통의 두께(t)만큼 서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도 5는 전기모듈에서 케이스내에 내장되는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를 전력 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다르게 배치된 비교예 1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따르면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가 서로 겹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이웃하는 CT 사이의 거리(d2)는 두께 t만큼 더 멀게 되며, 그만큼 전력선로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전기 모듈의 크기를 더 크게 한다.
반대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웃하는 CT 사이의 거리(d1)는 두께 t만큼 더 줄일 수 있으므로, 전력선로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전기 모듈의 크기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도 6은 전기모듈에서 케이스내에 내장되는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를 전력 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다르게 ZCT가 원형인 비교예 2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듈의 일 특징은, ZCT(40)는 세 모서리가 둥글게 된 삼각형의 형상으로서 ZCT(40)의 코어와 ZCT(40)의 외형 등이 세 모서리가 둥글게 된 삼각형의 형상이다.
도 5(B)의 비교예 2에서는 ZCT가 원형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ZCT가 원형인 경우의 높이(y3)는 ZCT가 삼각형인 경우의 높이(y1)와 비교하여, 그 높이에 있어서 y31 만큼 더 크게 된다.
도 7은 전기모듈에서 케이스내에 내장되는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를 전력 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다르게 ZCT가 원형이고 CT가 서로 겹치지 않는 비교예 3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ZCT가 원형이며 CT가 서로 겹치지 않는 비교예 3에서는, 전력 선로 중심 사이의 거리(d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선로 중심 사이의 거리(d1)에 비하여 CT의 원통 두께만큼 더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에 더하여 원형의 곡률에 따라 전술한 도 6(B)에서 살펴본 바와 비슷하게 ZCT의 외형 크기도 크진다.
나아가 이러한 2가지 효과가 중첩되어 비교예 3에서 ZCT의 외형 크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ZCT의 외형 크기에 비하여 상당히 크게 된다.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를 포함하는 부분의 외형 크기(x1,y1)는 비교예 3의 외형 크기(x4,y4)에 비하여 현저하게 그 크기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력 선로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의 크기와,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를 내장하는 전기 모듈의 크기를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력 선로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전기 모듈의 크기, 즉 전력 선로의 길이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기 모듈의 크기에 대한 축소가 매우 큰 의미를 지니게 됨을 발견하게 되었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력선로가 어레이로 배열되는 분전반 또는 모터제어반 등에 있어서,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력 선로가 어레이로 배열되는 랙 또는 함체 등에 있어서, 이같은 방향의 크기가 축소된 전기모듈은 큰 효용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는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게 하고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측면에서 볼 때 제 1 CT(10), 제 2 CT(20), 제 3 CT(30) 및 ZCT(40)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케이스내에 배치함으로써, 전력 선로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전기 모듈의 크기를 대폭 저감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분전반 또는 모터제어반이나 랙 또는 함체내에 설치되며, CT 및 ZCT를 일체로 내장하는 전기 모듈의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전기 모듈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원형 대신 트랙형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트랙형은 전력 선로를 좌우로 넓게 펼치게 하며, 평형 특성이 일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를 구비하며, ZCT(40)는 세 모서리가 둥글게 된 삼각형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ZCT에서의 평형 특성을 일정하게 하면서도 전력 선로들을 조밀하게 모을 수 있어 랙 또는 함체내에서의 공간 효율성을 크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10 : 제 1 CT 20 : 제 2 CT
30 : 제 3 CT 40 : ZCT
50 : ZCT 커버 60 : PCB 모듈
70 : 프론트 케이스 80 : 리어 케이스
90 : 탑 케이스

Claims (8)

  1. 코일이 권선된 환형의 코어를 구비하고 길이방향 중심축이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 코일이 권선된 환형의 코어를 구비하고 3 상의 전력선로가 관통하는 관통구을 구비한 ZCT(40); 적어도 상기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상기 제 3 CT(30) 및 상기 ZCT(40)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3 상의 전력 선로에 대한 계측 기능을 적어도 가지는 전기 모듈로서,
    상기 ZCT(40)는 세 모서리가 둥글게 된 삼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듈.
  2. 코일이 권선된 환형의 코어를 구비하고 길이방향 중심축이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CT(10), 제 2 CT(20) 및 제 3 CT(30); 코일이 권선된 환형의 코어를 구비하고 3 상의 전력선로가 관통하는 ZCT(40); 적어도 상기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상기 제 3 CT(30) 및 상기 ZCT(40)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3 상의 전력 선로에 대한 계측 기능을 적어도 가지는 전기 모듈로서,
    상기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및 상기 제 3 CT(30)는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며,
    상기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측면에서 볼 때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상기 제 3 CT(30) 및 상기 ZCT(40)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및 상기 제 3 CT(30)는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며,
    상기 전력선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측면에서 볼 때 제 1 CT(10), 상기 제 2 CT(20), 상기 제 3 CT(30) 및 상기 ZCT(40)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ZCT(40)의 관통구(41)에서의 외곽 크기는 상기 제 1 CT(10)의 관통구(11), 상기 제 2 CT(20)의 관통구(21) 및 상기 제 3 CT(30)의 관통구(31)를 아우르는 외곽 크기에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듈.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ZCT(40)는 세 모서리가 둥글게 된 삼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듈.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 1 CT(10)가 끼워지는 제 1 프론트 파이프(71)와, 상기 제 1 CT(10)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 1 프론트 파이프(71)로부터 돌출되는 프론트 지지 리브(74)와, 상기 제 2 CT(20)가 끼워지는 제 2 프론트 파이프(72)를 구비하는 프론트 케이스(70);
    상기 제 3 CT(30)가 끼워지는 제 3 리어 파이프(83)와, 상기 제 3 CT(30)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 3 리어 파이프(83)로부터 돌출하는 리어 지지 리브(84)를 구비하고 상기 ZCT(40)가 안착되는 리어 케이스(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3 CT(30)와 상기 ZCT(40) 사이에는 전자기 차폐를 위한 ZCT 커버가 재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듈.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70) 및 상기 리어 케이스(80)의 상부에 PCB 모듈이 재치되는 내부 공간을 두고 탑 케이스(9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듈.
KR1020150029129A 2015-03-02 2015-03-02 Ct 및 zct를 내장하는 전기 모듈 KR101636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129A KR101636487B1 (ko) 2015-03-02 2015-03-02 Ct 및 zct를 내장하는 전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129A KR101636487B1 (ko) 2015-03-02 2015-03-02 Ct 및 zct를 내장하는 전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487B1 true KR101636487B1 (ko) 2016-07-05

Family

ID=5650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129A KR101636487B1 (ko) 2015-03-02 2015-03-02 Ct 및 zct를 내장하는 전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4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131B1 (ko) * 2016-11-14 2018-03-09 (주)일렉콤 통합모듈형 전자개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설비
KR20180123402A (ko) 2017-05-08 2018-11-16 송명근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모터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네트워크 시스템
KR102135565B1 (ko) * 2019-06-03 2020-07-20 주식회사 테스 부하와 차단기 사이의 전류량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KR102266313B1 (ko) 2021-03-05 2021-06-18 주식회사 월드인텍 분기회로 보호용 온도 과부하 및 과전압 감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3145A (ja) * 1993-12-21 1995-07-21 Tokin Corp 零相変流器
JP2001289884A (ja) * 2000-04-04 2001-10-1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流センサ
KR100445999B1 (ko) 2002-03-12 2004-08-25 김용래 보강 외장케이스로 이루어진 전해 콘덴서
KR20090007053U (ko) * 2008-01-08 2009-07-13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변류기 일체형 영상변류기
JP2014238313A (ja) * 2013-06-07 2014-12-18 三菱電機株式会社 漏洩電流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3145A (ja) * 1993-12-21 1995-07-21 Tokin Corp 零相変流器
JP2001289884A (ja) * 2000-04-04 2001-10-1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流センサ
KR100445999B1 (ko) 2002-03-12 2004-08-25 김용래 보강 외장케이스로 이루어진 전해 콘덴서
KR20090007053U (ko) * 2008-01-08 2009-07-13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변류기 일체형 영상변류기
JP2014238313A (ja) * 2013-06-07 2014-12-18 三菱電機株式会社 漏洩電流検知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131B1 (ko) * 2016-11-14 2018-03-09 (주)일렉콤 통합모듈형 전자개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설비
KR20180123402A (ko) 2017-05-08 2018-11-16 송명근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모터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네트워크 시스템
KR102135565B1 (ko) * 2019-06-03 2020-07-20 주식회사 테스 부하와 차단기 사이의 전류량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KR102266313B1 (ko) 2021-03-05 2021-06-18 주식회사 월드인텍 분기회로 보호용 온도 과부하 및 과전압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487B1 (ko) Ct 및 zct를 내장하는 전기 모듈
TWI387757B (zh) 電流測量裝置及包含此種測量裝置之電流感測器、電跳脫單元和斷路裝置
JP5893505B2 (ja) リアクトル
JP5940504B2 (ja) コイル部品
JP2013061329A (ja) 導体を流れる電流の感知に使用するセンサ装置および感知方法
JP6378385B1 (ja) 端子台を備えたacリアクトル
JP2013061326A (ja) 導体を通る電流を検知するのに使用されるセンサデバイスおよび方法
CN103035364A (zh) 一种电子变压器
CN104240918A (zh) 变压器结构
JP6378287B2 (ja) 外部機器と直接接続するコイルを備えた三相acリアク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23311A (ja) ノイズフィルタの絶縁ケースおよびコイル保持具、並びにノイズフィルタ
JP2017188202A (ja) コイル内蔵端子台
CN203300366U (zh) 一种共模滤波电感
JP5970164B2 (ja) トランスモジュール及びdc−dcコンバータ装置
JP2010232245A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6131636B2 (ja) コイル装置
JP2598308Y2 (ja) 誘導電磁器
JP5300572B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ノイズフィルタ
CN102832013B (zh) 一种电感器模块及其基座
TWI575542B (zh) Detachable transformer
US9263178B2 (en) Coil structure and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JP2003017347A (ja) 電流センサ
JP5464733B2 (ja) トランス
JP2001230136A (ja) 計器用変成器
JP6631389B2 (ja) ノイズフィルタ付き導電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