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105B1 -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 Google Patents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105B1
KR101636105B1 KR1020117023877A KR20117023877A KR101636105B1 KR 101636105 B1 KR101636105 B1 KR 101636105B1 KR 1020117023877 A KR1020117023877 A KR 1020117023877A KR 20117023877 A KR20117023877 A KR 20117023877A KR 101636105 B1 KR101636105 B1 KR 101636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pin
ring
link assembly
track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4556A (ko
Inventor
알레싼드로 기우스티
Original Assignee
유에스씨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에스씨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유에스씨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2001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means to exclude or remove foreign matter, e.g. sealing means, self-cleaning track links or sprockets, deflector plate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5Connections between track links
    • B62D55/21Links connected by transverse pivot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트랙형 차량의 트랙(1)을 위한 트랙 부재(2)는, 핀(3)과, 상기 핀(3)에 연결되며 상기 핀(3)에 대해 회전가능한 부싱(4)과, 상기 부싱(4)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핀에 연결되고 상기 핀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 및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와, 상기 핀(3)에 연결되며 상기 핀과 일체로 회전가능한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 및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는 상기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와 상기 부싱(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는 상기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와 상기 부싱(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핀(5)은 상기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와 상기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가 각기 접합하는 제1 접합면(9')과 제2 접합면(9'')을 규정하는 연장부(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TRACK MEMBER FOR A TRACK OF A TRACKED VEHICLE}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이다.
예를 들어 유압 굴삭기, 불도저 등과 같은 트랙형 차량에는, 당해 차량이 갈라지거나 급준한 지면 상에서 쉽게, 그리고 제어성을 갖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합한 핸들링 트랙이 구비된다.
트랙은, 이너 및 아웃터 트랙 링크들, 또는 이너 및 아웃터 오프셋 트랙 링크들의 부분들이 양 트랙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상호 연결되고 지면 접촉측에 배열된 개개의 트랙 슈즈에 조립된 트랙의 관절을 포함한다. 이너 및 아웃터 트랙 링크들은, 연결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트랙 부재에 의해 무한하게 상호 연결된다.
트랙 링크들 사이에 위에서 언급한 연결을 실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유형의 트랙 부재들이 알려져 있다.
미국특허 제5,183,318호에는 트랙 부재의 일례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트랙 부재는 핀과, 이러한 트랙에 대해 회전가능한 부싱을 포함한다. 이너 트랙 링크들은 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너 링들을 포함하며, 당해 트랙 링크들은 이들 링에 예를 들어 압력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된다. 대신에, 아웃터 트랙 링크들은 핀의 외부 위치에서 핀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된다.
이너 트랙 링크들과 핀 사이에는 제1 가스켓을 수용하는 제1 이너 가스켓 시트가 규정되고, 아웃터 트랙 링크들과 핀 사이에는 제2 가스켓을 수용하는 제2 가스켓 시트가 규정된다. 이들 가스켓은 핀에 대한 부싱의 회전 및 핀에 대한 링의 감소된 마모로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필요한 윤활 재료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링과 부싱 사이에 작용하는 이너 스페이서 부재들은 이너 가스켓 시트에 배치되며, 링과 아웃터 트랙 링크들 사이에 작용하는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는 아웃터 가스켓 시트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랙 부재들은 결함을 갖는다.
사용 중에, 트랙 부재들은 통상 매우 높은 하중을 받는다. 그들의 구성으로 인해,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랙 부재에 있어서는, 이너 트랙 링크와 아웃터 트랙 링크에 의해 사용 중에 발생된 축방향 하중이 부싱과 링 사이에서 작용하는 이너 스페이서 부재에 온전히 분배된다. 그러므로, 이너 스페이서 부재는 이러한 높은 하중을 감당할 수 있도록 치수 결정되어야 한다. 이는, 이너 가스켓 시트에 수용되는 이너 스페이서 부재의 치수 정립으로 인해, 스페이서 부재의 치수를 고려하면서, 전체 치수가 치수 결정되어야 하는 것을 수반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랙 부재의 또 다른 결함은, 사용 중에 핀이 트랙 링크로부터 빠져나오려 한다는 점에 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리테이닝 링, 펙(peg) 등의 추가적인 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을 참조하여 언급한 결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트랙 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중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의 분배가 개선된 트랙 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핀 빠짐 현상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트랙 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트랙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고 그 이점을 인식하기 위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여러 예시적이며 비제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목적은, 트랙형 차량의 트랙(1)을 위한 트랙 부재(2)로서,
핀(3)과; 상기 핀(3)에 연결되며 상기 핀에 대해 회전가능한 부싱(4)과;
상기 부싱(4)의 양측에 제각기 배치되는, 상기 핀(3)에 연결되며 상기 핀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 및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와, 상기 핀(5)에 연결되며 상기 핀과 일체로 회전가능한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 및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는 상기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와 상기 부싱(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는 상기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와 상기 부싱(4)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핀(3)은 상기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와 상기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가 각기 접합하는 제1 접합면(9')과 제2 접합면(9'')을 규정하는 연장부(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중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의 분배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핀 빠짐 현상이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a는 오프셋형 트랙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b는 대칭형 트랙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 부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 부재의 구성요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 부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오프셋 트랙 링크를 구비하는 부분적으로 절단된 트랙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트랙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 부분의 부분적으로 절단된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가능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 부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트랙 부재의 상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가능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 10b의 트랙 부재의 상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랙은 참조 부호 "1"로 통상 지칭되어 있다.
트랙(1)은, 예를 들어 유압 굴삭기, 불도저 등과 같은 트랙형 차량(도시하지 않음)에 적용되어, 당해 차량이 갈라지거나 급준한 지면 상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트랙, 또는 체인은 오프셋 즉 "오프셋형"과, 대칭 즉 "대칭형"의 두 가지 유형일 수 있다.
오프셋형 트랙은, 경면 대칭적으로 동일하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트랙의 길이를 형성하며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대칭적인 트랙 링크(6, 7)를 구비한다. 각 트랙 링크는 각각의 트랙 링크가 이너 시트, 또는 부싱 시트 및 아웃터 시트, 또는 핀 시트를 갖고 서로 오프셋되어 그 트랙 링크의 아웃터 또는 핀 시트가, 핀의 동일측에 배치된 연이어지는 트랙 링크의 이너 또는 부싱 시트에 대해 외측 또는 외부에 있는 형상으로 된다(도 1a).
대칭형 트랙은 이너 트랙 링크(6', 6'') 및 아웃터 트랙 링크(7', 7'')을 가지며, 이들 양자는 경면 대칭적으로 동일하며 트랙의 길이의 평행한 부분을 형성한다. 아웃터 트랙 링크는 두 개의 아웃터 또는 핀 시트를 가지며, 이너 트랙 링크는 두 개의 부싱 또는 이너 시트를 갖는다(도 1b).
이하, 이너 트랙 링크(6', 6'')라는 용어는 오프셋 트랙을 위한 트랙 링크의 내측 부분, 또는 대칭 트랙의 이너 트랙 링크를 의미한다. 아웃터 트랙 링크(7', 7'')라는 용어는 오프셋 트랙을 위한 트랙 링크의 외측 부분, 또는 대칭 트랙의 아웃터 트랙 링크를 의미한다.
트랙(1)은 이너 트랙 링크(6) 및 아웃터 트랙 링크(7)가 제공된 트랙의 관절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너 트랙 링크(6) 및 아웃터 트랙 링크(7)는 트랙(1)의 양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상호 연결되며, 지면과 접촉하도록 된 개별적인 트랙 슈즈(20)에 조립되어 지면에 대한 효율적인 그립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너 트랙 링크 및 아웃터 트랙 링크는, 트랙 링크를 위한 연결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 부재(2)의 사용에 의해 무한하게 상호 접속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 부재(2)는 핀(3)과, 핀(3)에 연결되는 부싱(4)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부싱(4)은, 핀(3) 자체를 간극을 가지고 수용하기 적합한 부싱 핀 시트(21)를 내부에 규정하는 관형체(tubular body)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부싱(4)은 핀의 축 A을 중심으로 한 핀(3)에 대한 회전을 행할 수 있다.
트랙 부재(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너 트랙 링크(6)를 구현하는)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 및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를 더 포함하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들은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 및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도 핀에 대해 전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핀(3)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들은, 간극을 갖고서 핀(3)이 삽입되는, 제1 이너 트랙 링크 핀 시트(22') 및 제2 이너 트랙 링크 핀 시트(22'')를 제각기 규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 및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도 또한 핀의 축 A를 중심으로하여 핀(3)에 대한 회전을 행할 수 있다.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 및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는 부싱(3)의 양측면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부싱은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 및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된다.
트랙 부재(2)는 핀(3)에 연결되는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 및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들은, 간섭을 갖고서 핀(3)이 삽입되는(즉, 어느 경우나 고정됨),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핀 시트(23') 및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핀 시트(23'')를 제각기 포함하여,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 및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는 핀(3)과 일체로 회전하며, 따라서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 및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에 상대적임과 함께, 부싱(3)에 상대적인 축 A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행할 수 있다.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 7''),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 6'') 및 부싱(4)은 핀(3)에 연결되며,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가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와 부싱(3)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가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와 부싱(3) 사이에 배치되도록 서로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핀(3)은,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 및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가 제각기 접합하는 제1 접합면(9') 및 제2 접합면(9'')을 규정하는 연장부(8)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핀(3) 연장부(8),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접합면(9', 9'')은 축 A를 따른 핀에 상대적인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 6'')의 미끄럼 운동을 방지하도록 축방향 구속을 시행한다. 실제로,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의 외측 방향으로의(즉, 부싱으로부터 멀어지는) 운동에 대응하는,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의 내측 방향으로의(즉, 부싱측으로의) 운동은 제1 접합면(9')에 의해 방지되고,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의 외측 방향으로의(즉, 부싱으로부터 멀어지는) 운동에 대응하는,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의 내측 방향으로의 (즉, 부싱측으로의) 운동은 제2 접합면(9'')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연장부(8)의 존재 덕분에, 트랙 링크로부터의 핀의 인출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것이 명확하다. 그러므로, 리테이닝 링 또는 펙과 같은 보조 부재의 존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연장부(8)의 존재의 추가적인 이로운 효과는 핀(3)이 증가된 내변형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싱 핀 시트(21)내에서 핀(3)의 변형이 감소되고, 부싱(4) 강도에 제한적인 방법으로 영향을 끼친다.
연장부(8)의 존재와 관련된 또 다른 이점은 트랙 링크로부터 유래된 축방향 하중이 핀(3)에 부분적으로 배분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트랙 링크의 전체 하중을 거의 받았던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랙 부재(예를 들어, 이너 스페이서 부재)에 있어서 트랙 부재에 추가의 구성요소가 제공되는 경우 하중의 보다 양호한 분포를 가져온다. 이 양태는,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때에 더 자세히 설명한다.
가능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핀(3)의 연장부(8) 및 핀(3) 자체는 원통형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핀(3) 연장부(8)는 핀(3)과 거의 동축 상에 있으며(따라서, 이들은 축 A을 공유함), 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접합면(9')과 제2 접합면(9'')은 환형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와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는, 차례로, 제1 접합면(9') 및 제2 접합면(9'')과 전적으로 접촉하는 환형의 표면부를 포함하는 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유리하게는,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는 제1 접합면(9')와 전적으로 접촉하는 제1 환형 접촉면(24')을 포함하고,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는 제2 접합면(9'')와 전적으로 접촉하는 제2 환형 접촉면(2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면, 트랙 링크로부터 유래하는 축방향 하중이 핀(3)에 충분히 균일하게 분배되는 것이 보장되고, 따라서 그 변형을 제한한다.
트랙 부재(2)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는 제1 링(10') 및 제1 이너 트랙 링크(11')를 포함하고,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는 제2 링(10') 및 제2 이너 트랙 링크(11'')를 포함한다.
제1 링(10') 및 제2 링(10'')은 핀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제1 링(10') 및 제2 링(10'')은 전술한 각 이너 트랙 링크 핀 시트(22', 22'')를 규정한다.
제1 이너 트랙 링크(11') 및 제2 이너 트랙 링크(11'')는, 차례로, 제1 링(10') 및 제2 링(10'')에 각각 연결되고, 그와 일체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제1 이너 트랙 링크(11')는 제1 링(10')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제1 링 시트(25')를 규정할 수 있고, 제2 이너 트랙 링크(11'')는 제2 링(10'')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제2 링 시트(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10') 및 제2 링(10'')은, 예를 들어 간섭 접속에 의해 링 시트(25', 25'')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제1 링(10') 및 제2 링(10'')은 양호한 마감(finishing) 및 높은 표면 경도를 요구하는 유일한 부재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면, 트랙 부재(2)에 대한 제조 비용이 억제되어 진다.
유리하게는, 제1 링(10') 및 제2 링(10'')은 제각기 제1 접합면(9') 및 제2 접합면(9'')과 접합하도록 위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제1 접촉면(24') 및 제2 접촉면(24'')은 제1 링(10') 및 제2 링(10'')의 내측 측면부(제각기 제1 링(10')의 제1 내측 측면(26') 및 제2 링(10'')의 제2 내측 측면(26''))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6', 6'')와 핀(3) 사이의 상대 회전과 함께, 부싱(4)과 핀(3) 사이의 상대 회전을 돕기 위해, 트랙 부재(2)는 특수한 윤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능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러한 윤활 수단은 예를 들어 오일 등의 윤활 재료가 삽입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폐색 수단(27')에 의해 폐색되는 핀(3)에 포함된 리세스(27)를 포함한다. 핀(3)에는, 상대 회전으로 인한 미끄럼 운동이 있는 구역에 윤활 재료를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덕트(28)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8)(들)은 부싱(4) 아래의 핀(3) 연장부(8)의 외측면(33) 상에서 개방될 수 있다. 부싱(4)과 핀(3)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으로 인해, 윤활 재료는 미끄럼 운동이 존재하는 다른 구역, 구체적으로는, 핀(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링(10', 10'')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덕트(28')는, 핀 연장부(8)와는 다른 핀(3) 외측면 상에서 개방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덕트(28')는 링(10') 또는 링(10'')의 적어도 하나에서 핀(3) 외측면 상에서 개방된다. 유리하게는, 링(10') 또는 링(10'')에 접속된 부분에서 덕트(28')가 존재하는 것은, 핀을 그 중앙부에서 일체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최대의 스트레스를 받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핀(3)내의 리세스(27)를, 링(10', 10'')과 핀(3) 사이에 존재하는 통로들과 연통시키며, 핀(3)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덕트(28')가 제공된다.
가능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윤활 재료 순환을 보다 증진시키기 위해서, 제1 링(10') 및 제2 링(10'')은 이러한 윤활 재료의 통로를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12)을 핀(3)과의 경계부에 포함한다(도 3).
채널(12)은 여러 가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은 축 A에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직선의 것이어도 된다. 혹은, 채널(12)은 예컨대 나선 형상이어도 된다.
채널(12)은 제1 링(10') 및 제2 링(10'')에 있어서 그 내측면(29)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트랙 부재(2)는 제1 이너 가스켓 시트(13') 및 제2 이너 가스켓 시트(13'')를 포함한다. 제1 이너 가스켓 시트(13')는 제1 링(10'), 핀(3) 및 부싱(4)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이너 가스켓 시트(13'')는 제2 링(10''), 핀(3) 및 부싱(4)에 의해 규정된다. 각각의 이너 가스켓 시트(13', 13'')는, 트랙 부재(2)로부터의 윤활 재료의 누출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피하도록 작용하는 대응하는 이너 가스켓을 수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이너 가스켓 시트(13')는 제1 이너 가스켓(14')을 수용하고, 제2 가스켓 시트(13'')는 제2 이너 가스켓(14'')을 수용한다.
제1 이너 가스켓(14') 및 제2 이너 가스켓(14'')은 립(lip) 형태의 가스켓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립이, 링(10', 10'')의 제1 내측면 및 제2 내측면(26', 26'')에 대해 각각 작용하도록 배향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유리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이너 가스켓 시트(13')는 부싱(4) 제1 리세스부(15')에 의해 부분적으로 규정되고, 마찬가지로, 제2 이너 가스켓 시트(13'')는 부싱(4) 제2 리세스부(15'')에 의해 부분적으로 규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부싱(4)은 돌출부(30', 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너 트랙 링크(11', 11'')의 리세스부(31', 31'')에 삽입된다(도 2).
이너 가스켓 시트(13', 13'')는 접합면(9', 9'') 근처에서, 핀 연장부(8)의 단부 구역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 구성에 따르면, 이너 가스켓 시트(13', 13'')는 핀(3) 연장부(8), 링(10', 10''), 이너 트랙 링크(10', 10''), 부싱(4) 돌출부(30) 및 부싱(4) 리세스부(15)에 의해 규정된다.
유리하게는, 트랙 부재(2)는 제1 이너 스페이서 부재(16')와 제2 이너 스페이서 부재(16'')를 포함한다. 제1 이너 스페이서 부재(16')는 부싱(4), 특히 그 리세스부(15')와 제1 링(10') 사이에서 제1 이너 가스켓 시트(13')에 배치되고, 제2 스페이서 부재(16'')는 부싱(4), 특히 그 리세스부(15'')와 제2 링(10'') 사이에서 제2 이너 가스켓 시트(13'')에 배치된다. 이너 스페이서 부재(16', 16'')는 예를 들어 환형 구성을 갖는다. 이들은 이너 가스켓(14', 14'')의 올바른 조립 치수를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핀(3) 연장부(8)의 존재로 인해, 트랙 링크에 의해 전달되는 축방향 하중의 일부만이 이너 스페이서 부재(16', 16'') 상에 분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면, 이너 스페이서 부재(16', 16'') 및 이너 가스켓(14', 14'')의 치수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트랙 부재(2)는 제1 아웃터 가스켓 시트(17') 및 제2 아웃터 가스켓 시트(17'')를 더 포함한다.
제1 아웃터 가스켓 시트(17')는 핀(3), 제1 링(10') 및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에 의해 규정된다. 대신에, 제2 아웃터 가스켓 시트(17'')는 핀(3), 제2 링(10'') 및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에 의해 규정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 및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는 핀에 직접 장착되는 아웃터 트랙 링크만을 포함한다(즉, 환언하면,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의 경우처럼 링이 제공되지 않음).
아웃터 가스켓 시트(17', 17'') 각각은, 이너 가스켓 시트(13', 13'')로부터 오는 트랙(2) 부재 밖으로의 윤활 재료의 누출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피하도록 작용하는 대응하는 아웃터 가스켓을 수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아웃터 가스켓 시트(17')는 제1 아웃터 가스켓(18')을 수용하고, 제2 아웃터 가스켓 시트(17'')는 제2 아웃터 가스켓(17'')을 수용한다(도 2 및 도 4).
제1 아웃터 가스켓(18') 및 제2 아웃터 가스켓(18'')은 립 형태의 가스켓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립이, (제1 내측면(26')에 대향하는) 제1 링(10')의 제1 외측면(32') 및 (제2 내측면(26'')에 대향하는) 제2 링(10'')의 제2 외측면(32'')에 대해 각각 작용하도록 배향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트랙 부재(2)는 제1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19') 및 제2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19'')를 포함한다. 제1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19')는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와 제1 링(10') 사이에서 제1 아웃터 가스켓 시트(17')에 배치되고, 제2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19'')는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와 제2 링(10'') 사이에서 제2 아웃터 가스켓 시트(17'')에 배치된다. 제1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19')와 제2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19'')는 예를 들어 환형 구성을 가져도 된다. 이들은 아웃터 가스켓(18', 18'')의 올바른 조립 치수를 보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른 가능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아웃터 가스켓(18') 및 제2 아웃터 가스켓(18'')은, 제각기, 제1 리테이닝 링(35') 및 제2 리테이닝 링(35'')에 제각기 형성되는 제1 보조 아웃터 가스켓 시트(34') 및 제2 보조 아웃터 가스켓 시트(34'')내에 수용된다(도 10 및 도 11). 제1 보조 아웃터 가스켓 시트(34') 및 제2 보조 아웃터 가스켓 시트(34'')는 부싱(4)과 면하고,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일한 모드에 따라 제1 아웃터 가스켓(18') 및 제2 아웃터 가스켓(18'')이 운용된다.
리테이닝 링(35', 35'')은 간섭에 의해 핀(3)에 접속되는 것이 유리하다. 보다 유리하게는, 리테이닝 링(35', 35'')은, 트랙 부재(2)의 조립 조건 하에서, 제각기,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 및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에 대해 축방향으로 접합되어진다.
가능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리테이닝 링(35', 35'') 자신은, 제각기,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와 제1 링(10') 사이, 그리고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와 제2 링(10'') 사이에서 스페이서 부재(19', 19'')로서 작용한다(도 10a 내지 도 10b).
또 다른 가능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19') 및 제2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19'')는, 제각기, 리테이닝 링(35', 35'')의 제1 보조 아웃터 가스켓 시트(34') 및 제2 보조 아웃터 가스켓 시트(34'')내에 배치된다(도 11).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스페이서 부재(19', 19'')가, 제각기, (차례로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에 대해 접합되는) 제1 리테이닝 링(35')과 제1 링(10') 사이, 그리고 (차례로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7'')에 대해 접합되는) 제2 리테이닝 링(35'')과 제2 링(10'') 사이에서 작용한다.
도 10 및 도 11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이상 설명한 해결방안은 다수의 이점을 갖는다.
보조 아웃터 가스켓 시트(34', 34'')는, 제1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19') 및 제2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19'')가 제1 이너 스페이서 부재(16') 및 제2 이너 스페이서 부재(16'')와 동일 및/또는 제1 아웃터 가스켓(18') 및 제2 아웃터 가스켓(18'')이 제1 이너 가스켓(14') 및 제2 이너 가스켓(14'')과 동일하도록 치수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트랙 부재의 전도(conduction) 및 조립에 대해 필요한 상이한 성격의 구성요소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리테이닝 링(35', 35'')이 트랙 부재(2)를 실질적으로 측방향으로 밀봉하기 때문에, 그 윤활을 위한 특별한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이미 완전하게 미리 조립되고 미리 윤활되어 있는 트랙(1)에 트랙 부재를 그 삽입을 위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트랙 부재는, 트랙에 대한 조립 및 해체에 있어서 특히 단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어진 모든 특징, 또는 그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지만, 핀(3)이 연장부(8)를 갖지 않는 트랙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랙 부재(2)의 가능한 일례를 도 4에 나타낸다.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 부재가 어떻게 사용 중에 하중의 효율적인 분배를 실현할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핀 연장부의 존재 덕분에, 실제로는, 트랙 링크의 하중이 핀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전달되고, 이에 의해, 동시에 보강되어져서 보다 변형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 부재에 있어서, 펙(peg) 혹은 리테이닝 링 등의 부가적인 부재에 의뢰하지 않고서, 어떻게 핀의 돌발적인 인출 위험이 실질적으로 회피되어지는가를 이해할 수 있다.
종국적으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라면, 핀 연장부의 존재 덕분에, 그들이 존재할 경우 어떻게 트랙 링크의 하중이 이너 스페이서 부재에 더 이상 일체적으로 분배되지 않으며, 이와는 반대로, 후자가 부싱 축방향의 진동만을 실질적으로 인출할 수 있어야만 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너 스페이서 부재, 이너 가스켓 시트 및 이너 가스켓의 치수를 제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는, 소정의 일시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려는 목적으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서, 다수의 변형, 추가 또는 기능적으로 균등한 다른 부재로의 부재의 치환를 행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형태에 속하는 것으로서 기술된 특징들 각각은, 다른 기술된 실시형태들과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8)

  1.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로서,
    세로축(longitudinal axis)을 갖는 핀과;
    상기 핀에 연결되며 상기 핀에 대해 회전가능한 부싱과;
    상기 부싱의 양측에 제각기 배치되는, 상기 핀에 연결되며 상기 핀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 및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와,
    상기 핀에 연결되며 상기 핀과 일체로 회전가능한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 및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와 상기 부싱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와 상기 부싱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핀은 상기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가 각기 접합하는 제1 접합면과 제2 접합면을 규정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면과 제2 접합면은 상기 핀의 세로축에 수직인,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연장부 및 상기 핀은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핀 연장부는 상기 핀과 실질적으로 동일 축선 상에 있으며 상기 핀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가져서, 상기 제1 접합면 및 상기 제2 접합면은 환형 구성을 갖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핀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1 링 및 상기 제1 링과 일체로 회전가능한 제1 이너 트랙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너 트랙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핀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2 링 및 상기 제2 링과 일체로 회전가능한 제2 이너 트랙 링크를 포함하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은 상기 제1 접합면과 접합하고, 상기 제2 링은 상기 제2 접합면과 접합하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 및 상기 제2 링은 윤활제의 통과를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은 직선적(longitudinal)이거나 나선 형상인,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7. 제3항에 있어서,
    제1 이너 가스켓 시트 및 제2 이너 가스켓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너 가스켓 시트는 상기 제1 링, 상기 핀 및 상기 부싱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2 이너 가스켓 시트는 상기 제2 링, 상기 핀 및 상기 부싱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1 이너 가스켓 시트는 제1 이너 가스켓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제2 이너 가스켓 시트는 제2 이너 가스켓을 내부에 수용하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너 가스켓 시트 및 상기 제2 이너 가스켓 시트는, 상기 부싱의 제1 리세스부 및 제2 리세스부에 제각기 부분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너 가스켓 시트 및 상기 제2 이너 가스켓 시트는, 상기 핀 연장부의 말단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과 상기 제1 링 사이에서 상기 제1 이너 가스켓 시트에 배치되는 제1 이너 스페이서 부재, 및 상기 부싱과 상기 제2 링 사이에서 상기 제2 이너 가스켓 시트에 배치되는 제2 이너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핀, 상기 제1 링 및 상기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에 의해 규정되는 제1 아웃터 가스켓 시트, 및 상기 핀, 상기 제2 링 및 상기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에 의해 규정되는 제2 아웃터 가스켓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아웃터 가스켓 시트는 제1 아웃터 가스켓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2 아웃터 가스켓 시트는 제2 아웃터 가스켓을 내부에 수용하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와 상기 제1 링 사이에서 상기 제1 아웃터 가스켓 시트에 배치되는 제1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 및 상기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링 사이에서 상기 제2 아웃터 가스켓 시트에 배치되는 제2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 상기 제1 링 및 상기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에 의해 규정되는 제1 아웃터 가스켓 시트, 및 상기 핀, 상기 제2 링 및 상기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에 의해 규정되는 제2 아웃터 가스켓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아웃터 가스켓 시트는, 제1 아웃터 가스켓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보조 아웃터 가스켓 시트를 갖는 제1 리테이닝 링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2 아웃터 가스켓 시트는, 제2 아웃터 가스켓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보조 아웃터 가스켓 시트를 갖는 제2 리테이닝 링을 내부에 수용하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닝 링 및 상기 제2 리테이닝 링은 간섭에 의해 상기 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에 축방향으로 제각기 접합하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닝 링 및 상기 제2 리테이닝 링은, 제각기, 상기 제1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와 상기 제1 링 사이, 및 상기 제2 아웃터 트랙 링크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링 사이의 스페이서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닝 링 및 상기 제2 리테이닝 링의 상기 제1 보조 아웃터 가스켓 시트 및 상기 제2 보조 아웃터 가스켓 시트 내에 배치된 제1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와 제2 아웃터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가스켓 및 상기 아웃터 가스켓은 상기 링들의 측면에 대해 작용하도록 배향된 가스켓인,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18. 제1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트랙 부재를 포함하는 트랙.
KR1020117023877A 2009-03-30 2009-07-02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KR101636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09A000503A IT1393543B1 (it) 2009-03-30 2009-03-30 Elemento di cingolo per un cingolo di un veicolo a cingoli
ITMI2009A000503 2009-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556A KR20120014556A (ko) 2012-02-17
KR101636105B1 true KR101636105B1 (ko) 2016-07-04

Family

ID=4112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877A KR101636105B1 (ko) 2009-03-30 2009-07-02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9061720B2 (ko)
EP (2) EP2607216B1 (ko)
KR (1) KR101636105B1 (ko)
CN (1) CN102369132B (ko)
AU (1) AU2009343639B2 (ko)
BR (1) BRPI0924759B1 (ko)
CA (1) CA2755211C (ko)
ES (2) ES2424792T3 (ko)
IT (1) IT1393543B1 (ko)
PL (2) PL2414215T3 (ko)
RU (1) RU2505444C2 (ko)
WO (1) WO2010113197A1 (ko)
ZA (1) ZA2011067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5556B2 (en) * 2011-10-17 2014-12-23 Deere & Company Track chain joint for a crawler type work vehicle
US9505453B2 (en) 2013-08-29 2016-11-29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ies
US20150061373A1 (en) * 2013-08-29 2015-03-05 Caterpillar Inc. Joint bushings for track joint assemblies
US9434425B2 (en) * 2013-08-29 2016-09-06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ies
US9623920B2 (en) * 2013-08-29 2017-04-18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ies
US9604681B2 (en) * 2013-08-29 2017-03-28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ies
US20150061369A1 (en) * 2013-08-29 2015-03-05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ies and thrust rings for same
BR102013030651A2 (pt) * 2013-11-28 2016-02-02 Undercarriage Partecipation S R L correia de transmissão
US20150197293A1 (en) * 2014-01-14 2015-07-16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ies
US9346501B2 (en) * 2014-05-13 2016-05-24 Caterpillar Inc. Elliptical bore pin retention system
US20160339974A1 (en) * 2015-05-21 2016-11-24 Caterpillar Inc. Chain assembly having a retention feature
USD775239S1 (en) 2015-08-13 2016-12-27 Caterpillar Inc. Rail guide
US10065692B2 (en) 2015-08-13 2018-09-04 Caterpillar Inc. Track link structure and pin joint assembly
US9796436B2 (en) * 2015-11-09 2017-10-24 Caterpillar Inc. Undercarriage track link assembly having offset link gaps
US10046816B2 (en) * 2016-07-07 2018-08-14 Caterpillar Inc. Cartridge assembly with a flexible thrust ring assembly for a track chain
USD823349S1 (en) 2017-05-04 2018-07-17 Caterpillar Inc. Undercarriage track shoe for mobile earthmoving machine
US11312433B2 (en) * 2019-01-23 2022-04-26 Caterpillar Inc. Sealing system for a track
WO2020194353A1 (en) * 2019-03-25 2020-10-01 Italtractor Itm S.P.A. Coupling for links of tracks
CN110027641B (zh) * 2019-04-22 2020-07-10 中山安信通机器人制造有限公司 一种履带防松脱维修方法
US11858565B2 (en) 2019-12-13 2024-01-02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y for ground-engaging track having track pin with enlarged center section
CN111216817B (zh) * 2020-01-09 2021-10-08 元创科技股份有限公司 可快速应急修复的橡胶履带及其快速应急修复方法
GB202016569D0 (en) 2020-10-19 2020-12-02 Syngenta Crop Protection Ag Herbicidal compositions
GB202016568D0 (en) 2020-10-19 2020-12-02 Syngenta Crop Protection Ag Herbicidal composi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5667A1 (en) 2007-04-24 2008-10-30 Livesay Richard E Bolt together machine track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2054A (en) 1967-12-29 1970-01-27 Caterpillar Tractor Co Track hinge joints with rotating bushings
AU511836B2 (en) * 1975-12-12 1980-09-11 Fiatallis Construction Machinery, Inc Track link hinge joint lubricating system
US4150856A (en) * 1977-11-25 1979-04-24 Caterpillar Tractor Co. One-piece track pin
SU1323453A1 (ru) * 1986-01-30 1987-07-15 Челябинский Филиал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Союзног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Тракторного Института Гусениц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5183318A (en) * 1991-11-26 1993-02-02 Caterpillar Inc. Endless track chain for track-type vehicles
DE4307898A1 (de) * 1992-12-11 1994-09-15 Intertractor Ag Gleiskette für Kettenfahrzeuge
DE10114092A1 (de) 2001-03-22 2002-09-26 Deere & Co Geräteschnittstelle zwischen Arbeitsfahrzeug und Gerät
US7121555B2 (en) 2001-03-22 2006-10-17 Komatsu Ltd. Seal assembly and crawler-track connec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5667A1 (en) 2007-04-24 2008-10-30 Livesay Richard E Bolt together machine track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7216B1 (en) 2015-06-24
EP2414215B1 (en) 2013-05-08
BRPI0924759A2 (pt) 2016-01-26
AU2009343639B2 (en) 2015-03-26
ES2424792T3 (es) 2013-10-08
ZA201106700B (en) 2012-12-27
BRPI0924759B1 (pt) 2020-05-19
US20130241277A1 (en) 2013-09-19
PL2607216T3 (pl) 2015-11-30
WO2010113197A8 (en) 2011-11-10
KR20120014556A (ko) 2012-02-17
RU2011143810A (ru) 2013-05-10
RU2505444C2 (ru) 2014-01-27
ITMI20090503A1 (it) 2010-09-30
CA2755211A1 (en) 2010-10-07
CN102369132A (zh) 2012-03-07
ES2547896T3 (es) 2015-10-09
AU2009343639A1 (en) 2011-10-13
EP2607216A1 (en) 2013-06-26
IT1393543B1 (it) 2012-04-27
US9045179B2 (en) 2015-06-02
CN102369132B (zh) 2013-12-04
US20120019055A1 (en) 2012-01-26
WO2010113197A1 (en) 2010-10-07
PL2414215T3 (pl) 2013-10-31
EP2414215A1 (en) 2012-02-08
CA2755211C (en) 2017-03-21
US9061720B2 (en)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105B1 (ko) 트랙형 차량의 트랙을 위한 트랙 부재
RU2392164C2 (ru) Узел картриджа для гусеничной цепи рабочего устройства гусеничного типа и рабочее устройство, в котором он используется
KR101479050B1 (ko) 캐터필러 부시 및 캐터필러 링크 장치
KR101138913B1 (ko) 크롤러 벨트
EP3297897B1 (en) Track chain assembly for undercarriage system
JP2003301887A (ja) 摩損を防止する継手アセンブリ
US10889343B2 (en) Curved track pad ribs for a track chain
US10800019B2 (en) Track shoe geometry for a track chain
US11702157B2 (en) Roller path of a track pad for a track chain
US11807320B2 (en) Pin retention design for a track chain
KR20240050385A (ko) 고정식에서 회전식으로 사용 중 전환을 위해 구성된 부싱을 갖는 트랙 조인트 어셈블리
US20150197293A1 (en) Track joint assemblies
US20180319445A1 (en) Contoured double pass roller path for a track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