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369B1 - 맨홀뚜껑 인상공법 - Google Patents

맨홀뚜껑 인상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369B1
KR101635369B1 KR1020150138897A KR20150138897A KR101635369B1 KR 101635369 B1 KR101635369 B1 KR 101635369B1 KR 1020150138897 A KR1020150138897 A KR 1020150138897A KR 20150138897 A KR20150138897 A KR 20150138897A KR 101635369 B1 KR101635369 B1 KR 101635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manhole cover
adjusting member
height adjust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미애
이동균
Original Assignee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조미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조미애 filed Critical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8Repairs of manhole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5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ning of th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7/00Repair of damaged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링형 높이조절 부재와 사출된 일회성 거푸집을 이용함으로써 맨홀하우징과 맨홀뚜껑 간에 형성되는 단차 크기의 보수시간 신속성 및 간편성을 극대화한 맨홀뚜껑 인상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맨홀 하우징(200)과 맨홀뚜껑(100) 간의 발생된 단차 크기(d)를 없애도록 상기 맨홀뚜껑(100)을 인상하여 보수하는 맨홀뚜껑 인상공법에 있어서,
상기 맨홀 하우징(200)과 맨홀뚜껑(100) 간의 단차 크기를 측정한 후 상기 맨홀뚜껑(100)을 분리한 후에 상기 단차 크기(d)에 맞는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를 상기 맨홀 하우징(200)의 걸림턱(210)에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맨홀 하우징(200)의 내부구멍(220) 크기에 맞게 성형 된 탄성재질을 갖는 합성고무재 거푸집(400)을 끼움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고무재 거푸집(400)의 돌출높이로 상기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를 고정하는 고정액(500)을 상기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의 최상점까지 충전하는 단계 및 분리된 상기 맨홀뚜껑(100)을 덮은 상태로 상기 고정액(500)을 양생함과 동시에 보수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인상공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맨홀뚜껑 인상공법{HEIGHT ADJUSTMENT METHOD FOR MANHOL COVER}
본 발명은 맨홀뚜껑의 인상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를 보완하여 보수작업의 작업공수를 극소화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신속한 맨홀뚜껑 인상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지하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각종 시설물인 상,하수관, 전력 또는 통신케이블의 보수를 위해 시공된 구조물이다.
이러한 맨홀은 지면과 동일높이로 매설되며 하수도의 맨홀입구에 고정 설치되는 맨홀하우징과, 상기 맨홀하우징의 상부에서 안착 되는 맨홀뚜껑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맨홀은 통행차량의 충격하중으로 상부구조인 맨홀하우징이 유동 되면서 한쪽으로 밀리거나 또는 내려앉는 경우나 맨홀뚜껑이나 맨홀하우징이 마모되는 현상에 기인하여 노면이 맨홀 표면, 즉 맨홀 하우징의 상단 표면보다 높아지거나 하면서 노면과 맨홀 표면 사이에 높이 편차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맨홀표면과 노면 사이에 발생한 높이 편차는 차량통행에 지장을 주면서 차량의 쾌속성을 떨어뜨리므로, 맨홀하우징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맨홀 상단표면과 노면의 높이를 동일하게 만들기 위해 맨홀을 보수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맨홀 보수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맨홀뚜껑 인상공법"에 대해 특허등록 제10-1524115호(특허문헌 1)로 선등록 받은 바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은 맨홀 하우징과 맨홀뚜껑 간의 단차 크기를 보수하기 위하여 다수의 자석이 구비된 높이조절 부재를 단차 크기에 맞게 설치한 후, 맨홀하우징의 내부구멍에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 부재의 상면높이까지 고정액을 충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리했던 맨홀 뚜껑을 다시 맨홀하우징에 닫은 상태에서 충전된 고정액을 양생하고 맨홀 뚜껑을 들어올리고 거푸집을 제거하고 다시 맨홀 뚜껑을 다시 닫아 완료하는 과정으로 맨홀하우징과 맨홀뚜껑 간에 형성된 단차 크기를 보수하게 된다.
이러한 특허문헌은 다수의 높이조절 부재를 이용하여 단차 크기에 맞게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높이조절 부재의 고정을 위한 고정액의 양생을 위하여 맨홀하우징의 내부구멍에 거푸집의 설치한 하고 상기 고정액의 양생 후에 다시 거푸집의 분리에 따른 보수시간이 떨어지는 단점과, 단차 크기에 맞는 다수의 높이조절 부재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은 물론이고 제조원가의 증가를 불러온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24115호(등록일자 : 2015. 05. 22) 한국 등록특허 제10-0872554호(등록일자 : 2008. 12. 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원기술에서 문제된 단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단일의 링형 높이조절 부재와 사출된 일회성 거푸집을 이용함으로써 맨홀하우징과 맨홀뚜껑 간에 형성되는 단차 크기의 보수시간 신속성 및 간편성을 극대화한 맨홀뚜껑 인상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맨홀뚜껑 인상공법은,
a) 맨홀 하우징과 맨홀뚜껑의 단차 크기를 측정한 후 상기 맨홀뚜껑을 분리한 후에 단차 크기에 맞는 링형 높이조절 부재를 맨홀 하우징의 걸림턱에 안착하는 단계;
b) 상기 맨홀 하우징의 내부 구멍 크기에 맞게 성형 된 합성고무재 거푸집을 끼움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합성고무재 거푸집의 돌출높이로 상기 링형 높이조절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액을 상기 링형 높이조절 부재의 최상점까지 충전하는 단계; 및,
d) 분리된 상기 맨홀뚜껑을 덮은 상태로 상기 고정액을 양생함과 동시에 보수를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는 맨홀하우징의 걸림턱에 결합하는 맨홀뚜껑를 분리한 후에 걸림턱을 그라인딩에 의해 평활화한 후에 링형 높이조절 부재를 상기 걸림턱에 안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링형 높이조절 부재는 강철재질의 환봉을 벤딩한 후에 양측 끝단을 밀착하거나 용접에 의해 연결한 링형 높이조절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형 높이조절 부재는 주물성형으로 제작된 링형 높이조절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맨홀뚜껑의 인상공법에서 작업공수의 대폭 축소로 더욱 신속한 작업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단순작업으로 맨홀뚜껑의 인상작업이 제공됨으로서 작업의 편리성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회성 거푸집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거푸집 분리작업이 없어지고, 맨홀뚜껑의 인상작업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맨홀뚜껑의 인상공법의 시공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링형 높이조절 부재의 실시예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링형 높이조절 부재의 치수별 크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도면 제시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크기는 발명의 설명에 문제되지 않는 한 단순화되거나 간략화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맨홀뚜껑의 인상공법의 시공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 기술의 다수의 자석이 구비된 높이조절재를 배제하여 단일의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출원인의 선등록 기술은 맨홀하우징(200)과 맨홀뚜껑(100)의 단차 크기(d)를 보수하기 위해 다수의 자석이 구비된 높이조절 부재를 배제하여 단일의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와 맨홀하우징(200)의 내부구멍(220)에 맞게 성형 된 합성고무재 거푸집(400)을 이용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 기술과 같은 방법으로 통행차량의 충격하중으로 상부구조인 맨홀하우징(200)이 유동 되면서 한쪽으로 밀리거나 또는 내려앉는 경우나 맨홀뚜껑(100)이나 맨홀하우징(200)이 마모되는 현상에 기인하여 노면이 맨홀 표면, 즉 맨홀 하우징(200)의 상단 표면보다 높아지거나 하면서 노면과 맨홀 표면 사이에 발생한 높이 편차 중 가장 큰 단차 크기(d)를 측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맨홀하우징(200)에 결합한 맨홀뚜껑(100)을 들어서 분리하고, 상기 맨홀뚜껑(100)이 안착 되는 걸림턱(210)을 그라인더와 같은 절삭도구를 이용하여 동일 높이로 평탄(평활)화 작업을 취한다.
그리고 이미 측정한 단차 크기(d)에 맞는 지름을 갖는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을 선택하여 상기 걸림턱(210)에 얹어 놓는다.
상기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수하고자 하는 맨홀이 원형이거나 사각형에 맞게 환봉을 벤딩에 의해 끝단을 밀착하거나 용접에 의해 부착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2mm, 4mm, 5mm, 7mm, 10mm, 15mm, 20mm의 직경을 갖는 사이즈별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 중 단차 크기(d)에 맞는 것을 선택해서 사용한다.
물론,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는 강철재질의 환봉을 이용하여 벤딩에 의해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주조에 의해 사이즈별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 맨홀뚜껑(100)의 인상 보수에 사용되는 상기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는 직경이 20mm 이상은 불필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맨홀하우징(200)과 맨홀뚜껑(100)과의 단차 크기(d)가 20mm 이상일 경우에는 그 차이가 너무 커서 보수에 의해 해결하기가 어려운 교체대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치된 맨홀의 규격에 맞게 맨홀하우징(200)의 내부구멍(220)에 결합하도록 사출 성형 된 링형상의 거푸집(400)을 끼워서 고정한다. 물론 이러한 거푸집(400)의 설치는 상기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의 직경 크기보다 그 이상으로 상기 걸림턱(210)에 돌출시킨 상태로 고정 설치한다.
상기 거푸집(400)은 높이가 50~70mm 크기로서 탄성고무계열의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성형 됨으로써, 상기 내부구멍(220)과 약간의 편차에도 억지 끼움으로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없이 일회성으로 견고한 고정이 제공된다.
이러한 거푸집(400)도 맨홀하우징(200)의 내부구멍(220)의 형상에 맞는 원형이거나 사각형으로 성형 된 것을 사용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거푸집(400)에 의해 상기 맨홀하우징(200)의 걸림턱(210)에 형성된 공간에 고정액(500)을 충전하되, 상기 걸림턱(210)에 안착된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의 최상점까지 충전한다. 상기 고정액(500)은 용융된 점착력과 탄성력이 있는 프라이머(primer)를 충전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고정액은 본 발명의 선등록 기술에서 상세히 서술된 것을 그대로 이용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리된 맨홀뚜껑(100)을 다시 닫아 충전된 고정액(500)을 양생하는 단계를 취한다.
이러한 양생단계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기술에서와는 달리 일회성으로 성형된 합성고무재의 거푸집(400)의 분리가 필요없이 분리된 맨홀뚜껑(100)을 닫아 충전된 고정액(500)의 양생에 의해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의 고정으로 완료하여 보수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 고정액(500)의 양생 시간은 10분 정도 소요됨으로 차량의 주행이 빈번한 도로에서 짧은 시간에 맨홀뚜껑(100)과 맨홀하우징(200) 간의 발생된 단차 크기(d)를 없애서 수평면으로 형성하여 보수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빈번하게 발생하는 도로의 맨홀 보수작업에 간소한 절차에 의해 신속한 보수작업이 제공되어 산업상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 맨홀뚜껑 200 : 맨홀하우징
210 : 걸림턱 220 : 내부구멍
300 : 링형 높이조절 부재 400 : 합성고무재 거푸집
500 : 고정액

Claims (4)

  1. 맨홀 하우징(200)과 맨홀뚜껑(100) 간의 단차 크기(d)를 없애도록 상기 맨홀뚜껑(100)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단차크기에 맞는 높이조절부재를 상기 맨홀뚜껑(100)이 지지되는 맨홀하우징(200)의 걸림턱(210)에 안착한 다음, 상기 맨홀하우징(200)의 내부구멍에 크기에 맞게 거푸집(400)을 끼움하고 상기 단차크기(d) 만큼 고정액(500)을 충전한 상태에서 상기 맨홀뚜껑(100)을 덮고 상기 고정액(500)을 양생한 후에 다시 맨홀뚜껑(100)을 들어올리고 상기 거푸집(400)을 분리 제거한 후에 다시 맨홀뚜껑(100)을 덮어 보수하는 맨홀뚜껑 인상공법에 있어서,
    상기 맨홀 하우징(200)과 맨홀뚜껑(100) 간의 단차 크기(D)에 맞게 설치되는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링형 높이조절부재(300)로 대체하여 맨홀 하우징(200)의 걸림턱(210)을 그라인딩에 의한 평활한 후에 안착한 다음, 상기 링형 높이조절부재(300)의 최상점까지 돌출하도록 상기 맨홀 하우징(200)의 내부구멍 크기에 맞는 탄성재질의 합성고무재 거푸집(400)을 끼움 한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400)상기 고정액(500)을 충전하고 분리된 상기 맨홀뚜껑(100)을 다시 덮어 상기 고정액을 양생함과 동시에 보수를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인상공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는 강철재질의 환봉을 벤딩한 후에 양측 끝단을 밀착하거나 용접에 의해 연결한 링형 높이조절 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맨홀뚜껑 인상공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높이조절 부재(300)는 주물성형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인상공법.
KR1020150138897A 2015-10-02 2015-10-02 맨홀뚜껑 인상공법 KR101635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897A KR101635369B1 (ko) 2015-10-02 2015-10-02 맨홀뚜껑 인상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897A KR101635369B1 (ko) 2015-10-02 2015-10-02 맨홀뚜껑 인상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369B1 true KR101635369B1 (ko) 2016-07-08

Family

ID=5650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897A KR101635369B1 (ko) 2015-10-02 2015-10-02 맨홀뚜껑 인상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3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791Y1 (ko) * 1991-02-09 1993-06-23 박재만 맨홀의 높이 조절장치
KR20060099872A (ko) * 2005-03-15 2006-09-20 미래피앤씨(주) 맨홀보수공법과 그 맨홀보수공법에 이용되는 열경화성 도로보수재
KR100872554B1 (ko) 2007-12-24 2008-12-08 삼서공업 주식회사 맨홀의 보수공법
KR101125089B1 (ko) * 2009-05-25 2012-03-27 (주) 시티이엔지 맨홀 보수공사용 거푸집 및 맨홀의 보수 시공방법
KR101524115B1 (ko) 2015-03-17 2015-06-01 조미애 맨홀뚜껑 인상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791Y1 (ko) * 1991-02-09 1993-06-23 박재만 맨홀의 높이 조절장치
KR20060099872A (ko) * 2005-03-15 2006-09-20 미래피앤씨(주) 맨홀보수공법과 그 맨홀보수공법에 이용되는 열경화성 도로보수재
KR100872554B1 (ko) 2007-12-24 2008-12-08 삼서공업 주식회사 맨홀의 보수공법
KR101125089B1 (ko) * 2009-05-25 2012-03-27 (주) 시티이엔지 맨홀 보수공사용 거푸집 및 맨홀의 보수 시공방법
KR101524115B1 (ko) 2015-03-17 2015-06-01 조미애 맨홀뚜껑 인상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537B1 (ko) 맨홀보수를 위한 맨홀하우징지지장치
WO2013040064A3 (en) Device for forming post sleeves, and method of use
KR101635369B1 (ko) 맨홀뚜껑 인상공법
KR101725330B1 (ko) 압력조절부재가 구비된 그라우팅 장치
KR101524115B1 (ko) 맨홀뚜껑 인상공법
KR101509480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고정 및 유동 방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시공법
KR102101268B1 (ko) 맨홀 하우징에 설치되는 패킹장치
US10228087B2 (en) Method for packing filler material
KR20090079617A (ko) 잠금식 이중 맨홀덮개
KR200478473Y1 (ko) 균열보수용 패커
KR101577194B1 (ko) 합성수지 맨홀의 덮개 안착부에 보강테의 고정장치
KR101561969B1 (ko)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KR101409777B1 (ko) 열풍을 이용한 맨홀보수방법
KR101639311B1 (ko) 맨홀철개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KR101554321B1 (ko) 맨홀 유지보수 장치
KR200461092Y1 (ko) 높이 조절식 맨홀
KR101053677B1 (ko) 관을 조립한 후 일체형을 성형하는 맨홀과 그 제조방법
KR20180084570A (ko) 바인딩 프레임이 구성된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 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되는 기둥 조립체
KR20160059720A (ko) 터널용 크랙유도 매립실런트
JP2011002432A (ja) 改良土の供試体をキャッピング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る補助具
KR102101269B1 (ko) 맨홀 하우징에 설치되는 패킹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KR20160022504A (ko) 맨홀 보조 몸통
KR200450274Y1 (ko) 쐐기를 이용한 산업용 맨홀의 철개
KR102588315B1 (ko) 콘크리트 파일 슬러지 차단용 고무마개
KR10129332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체결구 매립 설치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