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778B1 -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4778B1 KR101634778B1 KR1020140108645A KR20140108645A KR101634778B1 KR 101634778 B1 KR101634778 B1 KR 101634778B1 KR 1020140108645 A KR1020140108645 A KR 1020140108645A KR 20140108645 A KR20140108645 A KR 20140108645A KR 101634778 B1 KR101634778 B1 KR 1016347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hose
- management server
- event information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2—Containers with provisions for hanging, e.g. integral adaptations of th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2—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with means for metering the amount of flu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의 위치에너지에 의한 낙하방식에 의하여 주사되는 약액/수액의 량을 컨트롤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공된 제1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함체와, 상기 제1수용부와 연장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공된 제2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함체를 힌지결합시켜 절첩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제1함체 또는 제2함체에는 호스의 구경을 가압하여 떨어지는 약물의 양을 조절하는 구동부와, 절첩시 상기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 안쪽에 수용되어 있는 챔버의 떨어지는 약물의 횟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확보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구동부를 컨트롤하여 균일한 속도와 양으로 약액이 낙하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병원에 장기 또는 단기로 입원하게 되는 환자들에게 수액을 주사(일명:링겔주사)할 경우, 수액의 위치에너지에 의한 낙하방식에 의하여 주사되는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낙하방식에 의해 주입되는 수액의 양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주입되도록 컨트롤하고, 더불어 복수개로 사용될 경우에도 적정한 수액량의 주입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병원의 입원환자들에게는 통상 수액을 주사할 경우에 대부분의 주사방식이 자연낙하에 의한 방식이기 때문에 간호사들이 자연낙하하게 되는 횟수를 맞춘후에 수시로 이러한 낙하 횟수의 변화에 따라 조절을 하게 되는 것이다.
통상 이러한 낙하되는 량은 한방울의 량이 동일하기 때문에 낙하되는 횟수에 따라 정확한 수액의 주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병원에서 대부분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낙하횟수가 20회일 경우에 1㎖라고 알려져 있어 대부분 주사량이 200㎖를 2시간에 주사할 경우에는 적정한 낙하횟수를 간호사들이 조절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낙하 횟수는 속도에 따라 변화되어지는데 속도는 통상 수액팩의 크기(용적)에 따라 또는 수액팩이 걸려 있는 위치에 따라 수압이 변화되면서 낙하 횟수가 빨라지거나 느려지게 됨으로 간호사들은 대부분 환자에게 주사되어지는 약액호스에 로라방식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약액호스의 열린상태를 조절함으로서 주입되는 수액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등록번호:10-0813381)
그러나 이렇게 클램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수액팩에 담겨져 있는 양이 점점 소진되면서 수압이 변화하게 되어 버리려 낙하는 횟수가 느려지게 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이러한 문제점과 함께 정밀한 약액의 주입을 요구할 경우 간호사들이 이러한 낙하량의 조절을 적정한 시간에 맞춰 조절이 어긋날 경우에는 환자들에게 의사들의 적정한 처방에 의한 주사량을 맞추지 못하게 됨으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별도로 수액의 양을 컨트롤할 수 있는 자동주입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의 문제점은 주입기와 조절기가 세트로 이루어져 그 장비가 비싸다라는 것이고, 그러면서도 주입량이 정해진 상태에서 호스의 굵기나 전원의 전하량에 따라 주사되는 수액의 량이 변화되어질 수 있다라는 것이어서 이러한 것들도 결국에는 충분한 효과를 발생시키지 못한다라는 것이다. (등록번호:10-0530848, 공개번호:10-2010-0027806)
또한 이러한 주사가 병원에서 많은 환자들에게 주사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의 단속이 대부분 간호사의 개인의 노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을 돌보게 되는 간호사들이 항상 정밀하게 단속한다라는 것은 힘들고 어려운 일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낙하방식을 사용하면서도 정확한 주사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클램프와,
그 조절이 복수 개가 사용될 경우에도 한곳에서 단속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자연 낙하되는 횟수를 감지하여 그 횟수에 따라 정해진 양을 비교토록 한 횟수보다 많고 적음에 따라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요소에 의하여 약액호스의 개폐 정도를 컨트롤함으로써 환자에게 주사되는 양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법의 구현을 위한 장치로는 수액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를 수용토록 하는 수용케이스와, 상기 수용케이스에는 연결부로 낙하되는 횟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비교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약액호스의 유로를 개폐토록 하는 구동요소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장치에는 각각의 통신부를 장착하여 개별적으로 부여된 일련번호에 의하여 각각의 장치에 대한 작동정보를 메인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메인서버에서는 전송된 정보를 표출토록 하여 간호사들이 확인가능토록 하고, 더불어 상기 메인서버는 변경을 요청하는 정보를 각각의 장치로 전송하여 수신토록 하고 제어부가 이를 바탕으로 구동요소를 컨트롤하여 주입 량을 변화시켜 줌으로서 복수개의 장치를 한곳에서 단속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액의 위치에너지에 의한 낙하방식에 의하여 주사될지라도 자동으로 컨트롤되면서 균일하게 수액이 환자에게 공급되어 지게 되었다.(참고로, 이때 낙하하는 수액은 수액에 한정하지 않고, 링거에 걸쳐지는 수액팩이나 약물병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약액일 수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오토 클램프를 약액호스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연결이나 필요없고, 특히 서로 다른 직경의 호스가 끼워지더라도 상기 호스의 직경에 상관없이 다양한 종류의 약액호스에 끼워 범용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장치와 관리서버를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오토클램프를 한곳에서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이들을 한곳에서 관리감독 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가 내장하고 있는 이동대의 확대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탈착레버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가 내장하고 있는 이동대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킹부에 고정암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와 오토클램프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와 오토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와 오토클램프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와 오토클램프의 작동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클램프의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클램프의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클램프의 순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클램프의 순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순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가 내장하고 있는 이동대의 확대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탈착레버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가 내장하고 있는 이동대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킹부에 고정암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와 오토클램프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와 오토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와 오토클램프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와 오토클램프의 작동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클램프의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클램프의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클램프의 순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클램프의 순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순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상기 도 1의 오토 클램프가 펼쳐져 있을 때 수액팩의 챔버(1)가 수용되기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공된 제1수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제1함체(10)와,
상기 제1수용부(12)와 연장되어 챔버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제2함체(20)를 힌지결합시켜 절첩시 일측면과 타측면을 서로 맞닿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1함체(10) 또는 제2함체(20)의 일측면 혹은 타측면에는 내입골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골 안쪽에 끼워져 있는 호스(2)의 벌림정도를 조절하여 챔버로 떨어지는 약물의 속도를 컨트롤하는 구동부(30)와,
상기 제1수용부(12) 및 제2수용부(22) 안쪽에 수용되어져 있는 챔버(1)의 낙하하는 약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34)와,
버튼 조작시 혹은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사실을 보고받아 구동부를 컨트롤하여 낙하하는 약물의 속도를 조절하는 한편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패널로 확인된 사실을 표출하여 안내해 주는 제어부(35)와,
절첩시 상기 제1함체(10)와 제2함체(20)의 일측면(11)과 타측면(21)이 서로 밀착되어 있도록 고정하는 락수단(40)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때의 감지부(34)는 제1수용부(12) 혹은 제2수용부(22)의 일측 외벽에 절개된 홈(34a)을 형성하고 대응하는 타측의 외벽에도 절개된 홈(34b)을 하나 더 형성하여 안쪽에 챔버를 수용하였을 때, 내장된 센서(34c)가 절개된 홈(34a, 34b) 사이를 가로질러 챔버 안쪽으로 떨어지는 약물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제1함체와 제2함체의 상부에는, 제1수용부(12) 또는 제2수용부(22)와 연장되어 챔버의 상부를 감싸는 제1연결부(13)와 제2연결부(23)를 각각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13) 또는 제2연결부(23)는, 일측면(11)과 타측면(21)의 상단 일부를 외측으로 확장하여 절개함으로써 챔버의 상단이 걸쳐지는 받침턱(23a)과, 절첩시 상기 챔버의 상단 테두리를 감싸는 관통홀(23b)을 형성하여,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챔버를 고정하여 주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락수단(40)은 제1함체(10)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대응하는 타측 제2함체(20)에는 절곡된 결합편(40a)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편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제1함체(1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40b)에 걸리면서 제1함체(10)와 제2함체(20)가 서로 밀착되어 있도록 고정한다. 이때의 락수단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2함체에 조립되어져 있는 타측면(21)에는, 제2수용부(22)의 하단에서부터 제2함체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있고 안쪽으로 만곡되어 있는 내입골(21a)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내입골(21a) 안쪽에는, 챔버의 호스가 내입골 안쪽에 끼워져 있을 때 호스(2)를 가압하여 구경의 개폐 정도를 결정하는 구동부(30)를 형성한다.
즉,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는 탈착레버(29)와 가압대(31)와 이동대(28)와 구동모터(2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제2함체(20)의 타측면에, 레버(29)가 장착되어 있는 조립판과 가압대가 안착되는 안착홈(21C)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21C)과 내입골(21a)을 연결하는 내입홀(21b)을 형성하여 가압대(31)의 돌출부(31a)가 레버(29)의 움직임에 따라 내입홀(21b) 안팎을 출몰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안착홈(21c) 안쪽의 제2함체(20) 내부에는, 구동모터(27)의 동작에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혹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움직이는 이동대(28)를 설치하고, 절개된 공간을 중심으로 상부에 위치해 있는 가압대(31)와 하부에 위치해 있는 이동대(28)를 결합시켜 줌으로써,
구동모터(27)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대(28)와 함께 조립되어 있는 가압대(31)도 역시 같이 일체로 움직이면서 돌출부(31a)가 내입홀(21b) 안팎을 출몰하면서 호스의 개폐정도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이때 탈착레버(29)는, 평평한 조립판(29a)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판(29a) 하부에는 절개된 부위(29c)를 가지고 있는 매립부(29b)를 형성하여, 상기 탈착레버가 회동하도록 결합되었을 때,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29d)이 절개된 부위(29c) 안팎을 출몰하면서 안착홈 안쪽에 위치해 있는 가압대(31)를 움직여주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가압대(31)는 평평한 가이드판(31c)과, 상기 가이드 판의 일단에 상기 가이드판의 두께보다 높이 형성된 돌출부(31a)와, 가로로 길게 절개되어 있는 가이드 홈(31d) 및,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결합홀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조립판(29a)이 안착홈(21c) 상부에 안착되어 있을 때 절개된 공간(29b)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탈착레버(29)의 돌출편(29d)이 상기 가이드 홈(31d)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탈착레버(이하, 레버라고도 함)를 당겨주게되면 가이드홈(31d) 안쪽에 있는 돌출편(29d)이 하방향으로 내려와 회전하게 되면서 가압대(31)를 외측으로 당겨주게 되고, 이때 가압대(31)가 당겨지게 되면서 호스의 구경을 가압하고 있는 돌출부(31a)가 내입홀(21b) 안쪽으로 움직이게 되어 내입골(21a) 안쪽에 있는 호스와 챔버를 새로 교체하여 끼워 넣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더불어 이때 상기 돌출부(31a)에는 내입골(21a) 안쪽에 끼워져 있는 호스(2)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살(31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살(31b)에 의해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호스(2)의 직경을 정밀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레버(29)와 가압대(31)가 탑재되는 안착홈(21c)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21d)를 형성하고 있고, 이웃한 두 가이드 사이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공간(21e)을 형성하여, 상기 가압대(31)가 가이드(21d)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특히 절개된 공간(21e)을 사이에 두고 하부에 위치해 있는 이동대(28)와 나사로 결합되어져, 상기 이동대(28) 동작시 가압대(31)도 역시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이동대(28)는, 상부에 절개된 공간(21e) 안쪽에 위치하여 체결시 가압대(31)와 이동대(28)를 연결하는 결합부(28a)와, 상기 결합부와 하부의 수용홀(28b)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는 각각 일측이 막혀 있는 관체의 수용관(28c)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수용관(28c)에는 안쪽에 돌출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관(28c)의 외측에는 좌우로 길게 절개되어 있는 절개 라인(28d)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용관(28c)에는 돌부(33a)에 탄성체(33c)가 끼워져 있는 받침편(33)이 끼워지게 되고, 이때 상기 돌부(33a)에는 절개 라인(28d) 안쪽에 위치하여 이동대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턱(33b)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대(28)에 받침편(33)이 끼워져 조립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대(28)의 하단에는 돌출된 이동살(28e)을 형성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는 제2함체(20)의 내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홈(20a)과, 상기 가이드홈의 양 끝에는 높이 세워진 가이드 고정편(20b)과 가이드 걸림편(20c)을 형성하여, 이동대(28)가 가이드 홈(20a)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대(28)를 움직여 주는 구동모터에(27)는, 일측의 회전축에 나사산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약액호스의 오픈여부와 닫침사실을 보고토록 하는 스토퍼(32)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32)는, 원형의 기둥(32a)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면에는 한 쌍의 윙(32b)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윙 중 어느 하나의 윙에는 돌출된 걸림편(32c)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구동 모터(27)의 회전축에 끼워져 있는 원형의 기둥(32a)이 이동대의 수용홀(28b)에 어느정도 여유를 두고 삽입되게 되면, 좌우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윙(32b)이 이동대(28)의 수용관(28c) 후단에 위치하게 되어 이동대(28)를 외측으로 밀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윙(32b)의 걸림편(32c)은 제어보드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32d, 32e)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기둥(32a)이 정해진 범위 안쪽에서 움직이도록 제한하는 한편 상기 리미트 스위치(32d, 32e)를 터치시 호스의 열고 닫침 사실을 보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약물을 양을 늘려 주도록 지시하면, 상기 구동모터(27)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구동모터(27)의 회전축에 끼워져 있는 스토퍼(32)가 나사산을 따라 움직이면서 조금씩 선단에 위치한 이동대(28)를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대(28)의 수용관(28ㅊ) 안쪽에 있는 탄성체(33c)는 수축하게 되고, 만일 계속해서 구동모터(27)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32)의 걸림편(32c)이 일측의 리미트 스위치(32d)를 터치하게 되어 제어부로 호스가 완전히 열렸다는 사실을 보고하도록 한 것이다.
반대로, 주입되는 약물의 양을 줄이도록 지시하면, 상기 구동모터(27)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구동모터(27)의 회전축에 끼워져 있는 스토퍼(32)는 나사산을 따라 움직이면서 조금씩 구동모터(27)와 스토퍼(32)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32)의 선단에 위치해 있는 이동대(28)는 수용관(28a) 안쪽에 수축되어 있는 탄성체(33c)가 팽창하게 되면서 이동대(28)를 구동모터(27) 쪽으로 움직여 주게 되고, 이때 만일 계속해서 상기 구동모터(27)가 회전하게 되면, 스토퍼(32)의 걸림편(32c)이 타측의 리미트 스위치(32e)를 터치하여 제어부로 호스의 구경이 닫혔다는 사실을 보고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챔버를 중심으로 제1함체(10)와 제2함체(20)를 절첩시켜 일측면(11)과 타측면(21)을 밀착시켜 주게 되면, 받침턱(23a)과 관통홀(23b)이 챔버의 상단을 감싸면서 챔버의 하단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 안쪽에 위치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제1수용부 또는 제2수용부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부가, 절개된 홈을 가로질러 챔버 안쪽으로 낙하는 약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보고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를 컨트롤하여 내입골 안쪽에 끼워져 가압대의 돌출부를 움직여 호스의 개폐 정도를 컨트롤함으로써, 낙하방식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약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2함체의 후단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함체의 후단 일부를 절개하여 안쪽에 내입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 공간에는 충전 배터리를 삽입한 후 덮개(39)로 오픈된 공간을 막아 준다. 이때 상기 덮개(39)는 제2함체와 분리된 것일 수도 있으나, 상기 함체의 후단 일측에 덮개(39)를 회동하도록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함체 후단에는 도킹부(41)를 형성하고 고정장치나 고정암(42)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도킹부(41)는 제2함체 후단에 안쪽으로 내입된 공간과 걸림턱을 형성하여 고정장치가 내입공간 안쪽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한 것이나, 살시 예에 따라서는 별도로 내입공간과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는 도킹부(41)가 조립되어 질 수도 있다.
이하, 또한, 도 9 내지 11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장치(100)는 오토클램프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다 큰 위치에너지를 확보하는 한편, 다수 개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의 고정장치(100)는, 링거대의 봉과 밀착되어 있는 파지대(110)와, 제2함체가 걸쳐져 고정되는 있는 걸이대(120), 그리고 상기 걸이대와 파지대를 연결하여 주는 연결대(130)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때의 연결대(130)는 파지대의 외측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걸이대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고로, 파지대(110)는 안쪽으로 만곡된 내입부(111)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외측으로는 좌우로 벌어진 한 쌍의 걸림턱(112, 112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두 걸림턱 사이에는 안쪽으로 내입된 슬라이딩 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때의 상기 슬라이딩 홈(113)에는, 결합대(114)가 끼워져 고정되며, 특히 상기 결합대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내입공간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복수 개의 나사산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110)의 외측에는 고정나사(115)가 체결되어 있어, 내입홈 안쪽에 링거대의 봉이 삽입되어 있을 경우 상기 고정나사가 나사방식으로 조여지면서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걸이대(120)는, 중앙에 형성된 몸체(123)를 중심으로 전방에는 직립된 걸림편(121)과 돌출된 걸이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는 상기 몸체와 이어져 있고 후단이 만곡되어 있는 결합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의 결합부(124)에는 연결대와 축결합되는 결합홈(125) 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각도 이내에서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이대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대(130)에는, 상하로 길게 절개되어 있는 내입구(131)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돌출된 한 쌍의 결합편(132,132a)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파지대(110)의 슬라이딩 홈(113)과 걸림턱(112,112a)의 외면을 감싸는 가이드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는 두 결합편(132,132a) 사이의 공간에는 걸이대(120)의 결합부(124)가 내입되어 축결합되고, 더불어 타측에는 가이드부(133)가 파지대(110)의 외측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져 걸림턱(112,112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의 가이드부(133) 안쪽에는, 상하로 한 쌍의 고정돌기(133a,133b)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두 고정돌기(133a,133b) 사이에는 이동편(134)이 끼워져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때의 이동편(134)은 좌우측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탄지편(134a,134b)이 이격된 공간을 형성한 채 직립되어 있고, 상기 탄지편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돌기(134c, 134d)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의 이동편(134)은 상기 연결대(13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파지대(110)의 슬라이드 홈(113) 안쪽에 위치되게 되고, 특히 상기 탄지편(134a, 134b)이 벌어졌다 오무라들었다 하면서 결합대(114)의 나사산에 맞물려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연결대(130)의 전면에는 돌출부(135a)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135)가 내입구(131)에 안쪽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특히 상기 고정구(135)의 이면에는 내입구(131)를 관통하는 이동돌기(135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의 이동돌기(135b)는 후방에 위치해 있는 두 탄지편(134a, 134b)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구(135)는 세로로 길게 절개 되어 있는 내입구(13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후방에 위치해 있는 이동돌기(135b)가 두 탄지편(134a,134b)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돌기(135b)가 두 탄지편(134a, 134b)의 오무라듬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2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연결대30)의 고정구(135)를 위로 올려지게 되면, 두 탄지편(134a, 134b) 사이에 있는 이동돌기(135b)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돌기(135b)가 위로 올라감에 따라 두 탄지편은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되고, 이후 연결대(135)를 아래로 내려주게 되면 두 탄지편(134a,134b)이 나사산과 돌기(134c,134d)에 의해 텐션을 먹으면서 안쪽으로 오무라들게 되고, 상기 이동편(134)은 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후, 상기 고정구(135)를 아래로 내려 주게 되면, 위에 있던 이동돌기(135b)가 아래로 내려와 두 탄지편(134a,134b)의 오무라듬을 제한하면서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134c,134d)가 나사산 밖을 빠져나오지 못하게 됨으로, 더 이상 연결대(130)가 아래로 내려오는 것을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장치(100)가 오토클램프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보다 큰 위치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다수개의 오토클램프를 링거대에 설치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실시 예에 따라 중계단말기(200)와 관리서버(2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질 수도 있다.
이때의 오토클램프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부로 식별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특히 낙하하는 약물의 양이 변하였을 때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주변에 검색된 중계단말기(200)와 채널을 형성한 후 관리서버(210)로 전송하도록 한다.
먼저, 중계단말기(200)는 각각의 병실 혹은 복도의 분기점이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하고, 식별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중계단말기(200)는 식별정보 전송시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 정보나 식별정보도 같이 전송하여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관리서버(210)는 각각의 환자마다 할당되어 있는 오토클램프의 식별정보와 환자의 고유정보를 데이테베이스화하고 있고, 특히 각각의 룸마다 어떠한 중계단말기(200)가 설치되어 있는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다.
따라서 관리서버(210)에서는, 중계단말기로부터 전송 위치정보와 오토클램프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어떠한 환자가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해당 환자의 약물 주입상태가 어떠한지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오토클램프의 내부구성을 살펴보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함체 또는 제1함체 내부에 감지부와 제어부와, 충전배터리와, 구동모터와, 디스플레이 패널과, 조작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감지부(34)는 제1수용부(12) 혹은 제2수용부(22)의 일측에 절개된 홈(34a)을 형성하고 대응하는 타측에 절개된 홈(34b)을 하나 더 형성하여 안쪽에 내장된 한 쌍의 센서(34c)가 절개된 홈(34a, 34b) 사이를 가로질러 떨어지는 약물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감지된 사실을 제어부로 보고하며,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센서(34c)는 한 쌍 송신부와 수신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나 적외선 센서 혹은 초음파 센서나 레이저 센서 등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5)는 감지부(34)를 통해 전달된 사실을 바탕으로 낙하하는 방울의 횟수를 카운트하고, 이때 카운트된 횟수를 바탕으로 주입되는 약물 또는 수액의 양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패널 상에 표출하여 주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5)는 설정된 시간 동안 낙하는 약물의 횟수를 카운트하여, 이전에 주입되는 약물의 양과 현재 주입되는 약물의 양을 비교하여 서로 다를 때에는, 구동모터를 컨트롤하여 낙하하는 약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지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35)는 상당한 시간이 흘러 수압이 변할지라도 낙하하는 약물의 양이 계속 일정하게 환자에게 주입되도록 컨트롤하여 하여 주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패널(14)과 조작패널(15)은 제2함체(20)에 형성할 수 있으나, 제1함체(10)와 제2함체(20)게 절첩되도록 구성하면서 상기 제1함체(10)에 디스플레이패널(14)과 조작패널(15)을 형성하고 제2함체는 제어보드와 연성보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성보드는 제2함체(20)와 타측면(21)의 일측 끝에 내입홈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부(21g)와, 상기 연결부 상단에 절개부(21f)를 형성한다. 또한, 제1함체와 일측면에도 대응하는 연결부와 절개부를 형성하여 힌지축 설치시 절개부 밖으로 제2함체의 연성보드가 나와 제1함체 내측으로 들어가 서브 제어보드와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연결 구성된 제어패널(15)은 다수개의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실시 예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전원버튼과, 눌러지는 시간에 따라 주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Up/Down버튼, 설정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1함체(10)와 제2함체(20)는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함체(20)의 외측에는 충전케이블 혹은 데이터 케이블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에 따라 제1함체 또는 제2함체 안쪽에 서브제어부나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의 서브제어부(37)는 제어부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있다가, 정해진 대로 구동모터가 동작하였는지 확인한다. 또한, 상기 서브제어부(37)는 실시 예에 따라 감지부를 통해 카운트된 횟수와 설정된 횟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차액에 해당하는 횟수만큼의 보정값을 생성하고, 상기 보정값을 제어부(35)로 보고하여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떨어지는 약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무선통신모듈(36)은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주변에 있는 중계단말기를 검색하고, 해당 중계단말기와 채널을 형성을 요청하게 되면 인증절차를 거친 후 인증된 채널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의 무선통신모듈(36)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IEEE 802.15.4를 기반으로 10-20m내에서 250kbps의 속도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저전력 지그비통신모듈을 기본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함체 안쪽에 삽입되어 구성되나, 실시 예에 따라 모듈화되어 있는 단말기가 인터페이스에 끼워져 외부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서버(210)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정보를 토대로 통신모듈(211)과, 위치확인모듈(212), 식별모듈(213), 출력모듈(214), 제어모듈(21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게 된다. 이때의 각각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한다.
여기서 통신모듈(211)은 통신부가 오토클램프의 접속요청을 확인하게 되면, 중계단말기(200)로부터 해당 오토클램프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제어모듈에 보고하고, 누가 어디서 식별정보를 전송하였는지 확인하도록 하고, 접속을 요청한 해당 오토클램프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전송받는다.
또한, 위치확인모듈(212)은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오토클램프의 식별정보를 전송한 중계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다.
더불어 식별모듈(213)은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어떠한 환자의 오토클램프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려는지 확인한다.
또한, 제어모듈(215)은 통신모듈을 통해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받계 되면, 이를 분서하고, 전달된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각각의 위치확인모듈과 식별모듈을 통해 확인토록 지시한다. 더불어 해당 환자의 고유정보와 위치를 확인하게 되면 이벤트 정보를 전송토록 요청하고, 더불어 출력모듈(214)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표출하여 주도록 지시한다.
더불어 상기 제어모듈(215)은 전송된 이벤트 정보를 확보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이벤트 정보를 표출하여 주도록 한다.
또한, 출력모듈(214)은 각각의 플렛폼에 따라 환자의 고유정보와 위치를 표출하여 주며, 일측에 전송받은 이벤트 정보도 표출하여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환자들 별로 주입되는 약물의 상태를 관리감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특정 병실에 있는 환자가 타지역으로 이동하더라도 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해당 오토클램프로 전송함으로써 주입되는 약물의 양을 단속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오토 클램프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링거대에 수액과 호스(2)를 설치한 상태에서 락장치를 풀고 제1함체(10)와 제2함체(20)를 펼친 상태에서 제1수용부(12) 및 제2수용부(22) 안쪽으로 호스(2)의 챔버(1)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챔버(1)의 상단은 제1연결부(13)와 제2연결부(23)에 의해 감싸여 지면서 제1수용부(12) 및 제2수용부(22)로 안쪽으로 챔버(1)의 하부가 노출되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2함체의 일측면(11) 혹은 타측면(21)에 형성되어 있는 탈착레버(29)를 회동시켜 주게 되면, 안착홈(21c)에 있는 가압대(31)가 이동하면서 내입홀(21b) 밖에 있던 돌출부(31a)가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참고로, 이때 상기 가압대(31) 하부에 있는 이동대(28) 역시 같이 움직이며, 동시에 수용관(28c) 안쪽에 내장하고 있는 탄성체(33c)는 수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입골(21a) 안쪽에 챔버의 호스(2)를 끼우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탈착레버(29)를 원상복귀시켜 주게 되면, 이동대(28) 안쪽에 수축되어 있던 탄성체(33c)가 팽창하기 시작하고, 이동대(28)를 원상복귀시켜 주게 된다.
이때 가압대(31) 역시 상기 이동대(28)와 같이 일체로 움직이면서 안쪽에 있던 돌출부(31a)를 밖으로 이동시켜 내입골에 끼워져 있는 호스(2)를 가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호스(2)는 가압대(31)에 의해 눌려지면서 떨어지는 약물이나 수액이 흐리지 않토록 하여, 평상시 약액의 흐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그리고 이후 펼쳐져 있는 제1함체(10)의 일측면(11)과 제2함체(20)의 타측면(21)을 밀착시키고 락장치로 고정하여 세팅을 완료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후 제1함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제어패널의 전원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기본모드로 운행되어 지면서 디스플레이패널(14) 상에 떨어지는 약액 방울 혹은 수액방울의 횟수와 주입된 시간 등이 표출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이후 사용자가 제어패널상에 형성되어 있는 Up버튼을 눌러 떨어지는 약액의 양을 설정하게 되면, 가압대(31)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모터(27)가 회전하면서 스토퍼(32)가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을 따라 전지 또는 후진 이동하고, 이와 밀착되어 있는 이동대(28)를 밀어주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이동대(28)의 수용관(28c) 안쪽에 있는 탄성체(33c)가 수축하게 되고, 더불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대(31) 역시 이동대(28)와 함께 일체로 움직이면서 가압대(31)의 돌출부(31a)가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호스의 구경을 점점 오픈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만일 계속해서 구동모터(27)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32)의 걸림편(32c)이 일측의 리미트 스위치(32d)를 터치하게 되어 제어부로 호스가 완전히 열렸다는 사실을 보고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만일 사용자가 제어패널상에 형성되어 있는 Down버튼을 눌러 떨어지는 약액의 양을 조절하게 되면, 구동모터(27)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구동모터(27)의 회전축에 끼워져 있는 스토퍼(32)는 회전축의 나사산을 따라 움직이면서 조금씩 구동모터(27)와 스토퍼(32)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의 선단에 위치해 있는 이동대(28)는 수용관(28c) 안쪽에 수축되어 있는 탄성체(33c)가 팽창하게 되면서 이동대(28)를 구동모터(27) 쪽으로 움직여 주게 되고, 더불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대(31) 역시 이동대(28)와 함께 일체로 움직이면서 가압대(31)의 돌출부(31a)가 내입홀(21c) 밖으로 출몰하게 되면 호스의 구경을 가압하여 떨어지는 약액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렇게 설정된 완료된 약액 주입기가 약액을 환자에게 공급하여 주게 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는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22)의 절개된 홈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통해 낙하하는 약액 방울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제어부(35)에 보고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는 감지부를 통해 설정된 시간 동안 떨어지는 약물의 양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동안 낙하한 약액/수액의 방울의 횟수가 설정된 값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가 확인한 결과가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동작을 반복해 수행한다.
그러나 만일 상기 제어부가 확인한 결과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어부 또는 서브제어부가 보정값을 생성하게 되고, 구동모터를 컨트롤하여 호스를 가압하는 가압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떨어지는 약액 방울의 횟수가 일치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간이 흘러 압력이 줄어들지라도 낙하하는 약액/수액의 양이 계속 일정하게 환자에게 주입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함체에 나사조립된 걸림판을 걸이대의 돌출부에 끼워 걸쳐지도록 하고, 더불어 이동대의 고정구를 위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는 상승하면서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돌기 역시 같이 상승하게 된다. 더불어 두 탄지편 사이에 있던 이동돌기가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탄지편은 안쪽으로 오무라들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이동대를 위로 올리게 되면 두 탄지편이 텐션을 먹음으면서 안쪽으로 오무라 들게 되고, 위로 상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를 아래로 내리게 되면, 이동돌기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두 탄지편이 오무라드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더이상 이동대가 움직이지 않토록 고정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장치가 오토클램프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위치에너지를 변화시켜 주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다수개의 오토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챔버와 링거대 사이의 길이가 서로 다를 지라도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에 따라 외부에 있는 관리서버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 감독토록할 수 있다.
즉, 오토크램프의 제어부 또는 서브제어부가 보정값을 생성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 또는 서브 제어부는 구동모터를 컨트롤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무선통신모듈을 컨트롤하여 주변에 위치해 있는 중계 단말기를 검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해당 환자의 고유정보 혹은 오토클램프의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서버로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관리서버에서는 접속을 요청한 오토클램프의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한 중계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접속 연결을 승인하는 한편, 해당 오토클램프의 이벤트 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오토클램프가 이를 확인하고, 이벤트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는 전송된 이벤트정보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오토클램프가 각각 설치되어 있더라도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해당 환자의 주입되는 약물의 상태를 관리감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는 이벤트 정보를 설정된 횟수 이상 전송받아 해당 오토클램프가 설정된 값대로 약물이 주입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상기 관리서버는 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출하여 주고, 더불어 지시명령의 입력을 요청한다. 이때 표출되는 이벤트 정보는 실시 예에 따라 수액/약액 팩의 교체를 지시하는 호출정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후 상기 관리 서버는 버튼 조작에 따라 지시명령이 입력되게 되면, 상기 관리서버는 해당 오토클램프를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해당 오토클램프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토클램프는 전송받은 제어명령을 확인하고 제어부가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떨어지는 약물의 양을 변화시켜 주도록 지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리서버에서 각각의 호실마다 분산되어 설치되더라도 다수개의 오토클램프의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오토클램프가 정확하게 설정된 상태로 약액/수액이 주입되도록 단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오토클램프는 설정된 시간동안 낙하하는 약물의 횟수를 확인하고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이를 관리서버로 보고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혹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1:챔버 2:튜브
3:오토클램프 4:걸림판
10:제1함체 11:일측면
12:제1수용부 13:제1연결부
14:디스플레이패널 15:조작패널
20:제2함체 20a:가이드 홈
20b:가이드 고정편 20c:가이드 걸림편
21:타측면 21a:내입골
21b:내입홀 21c:안착홈
21d:가이드 21e:절개된 공간
21f:절개부 21g:연결부
22:제2수용부 23:제2연결부
23a:받침턱 23b:관통홀
24:고정편 25:걸림편
26:가이드 홈 27:구동모터
28:이동대 28a:결합부
28b:수용홀 28c:수용관
28d;절개라인 28e:이동살
29:탈착레버 29a:조립판
29b:절개된 부위 29c:매립부
29d:돌출편 30:구동부
31:가압대
31a:돌출부 31b:돌출살
31c:가이드판 31d:가이드 홈
32:스토퍼 32a:기둥
32b:윙 32c:걸림턱
32d, 32e:리미트 스위치 33:받침편
33a:돌부 33b:턱
33c:탄성체 34:감지부
34a.34b:절개된 홈 34c:센서
35:제어보드 36:지그비모듈
40:락수단 100:고정장치
110:파지대 111:내입홈
112,112a:걸림턱 113:슬라이드 홈
114:결합대 120:걸이대
121:걸림편 122:걸이부
123:몸체 124:결합부
125:결합홈 130:이동대
131:내입구 132,132a:결합편
133:가이드부 133a,133b:결합돌기
134:이동편 134a,134b:탄지편
134c,134d:돌기 135:고정구
135a:돌출부 135b:이동돌기
200:중계단말기
210:관리서버
3:오토클램프 4:걸림판
10:제1함체 11:일측면
12:제1수용부 13:제1연결부
14:디스플레이패널 15:조작패널
20:제2함체 20a:가이드 홈
20b:가이드 고정편 20c:가이드 걸림편
21:타측면 21a:내입골
21b:내입홀 21c:안착홈
21d:가이드 21e:절개된 공간
21f:절개부 21g:연결부
22:제2수용부 23:제2연결부
23a:받침턱 23b:관통홀
24:고정편 25:걸림편
26:가이드 홈 27:구동모터
28:이동대 28a:결합부
28b:수용홀 28c:수용관
28d;절개라인 28e:이동살
29:탈착레버 29a:조립판
29b:절개된 부위 29c:매립부
29d:돌출편 30:구동부
31:가압대
31a:돌출부 31b:돌출살
31c:가이드판 31d:가이드 홈
32:스토퍼 32a:기둥
32b:윙 32c:걸림턱
32d, 32e:리미트 스위치 33:받침편
33a:돌부 33b:턱
33c:탄성체 34:감지부
34a.34b:절개된 홈 34c:센서
35:제어보드 36:지그비모듈
40:락수단 100:고정장치
110:파지대 111:내입홈
112,112a:걸림턱 113:슬라이드 홈
114:결합대 120:걸이대
121:걸림편 122:걸이부
123:몸체 124:결합부
125:결합홈 130:이동대
131:내입구 132,132a:결합편
133:가이드부 133a,133b:결합돌기
134:이동편 134a,134b:탄지편
134c,134d:돌기 135:고정구
135a:돌출부 135b:이동돌기
200:중계단말기
210:관리서버
Claims (7)
- 호스의 구경을 컨트롤하여 낙하하는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오토클램프와,
각각의 병실 혹은 복도의 분기점이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고,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접속요청시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오토클램프의 식별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중계단말기와,
상기 중계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오토클램프의 위치정보와 각각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어떠한 환자가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해당 환자의 약물 주입상태가 어떠한지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있는 약액의 주입량 자동 조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토클램프의 구동부(30)는 함체의 일측면 혹은 타측면 중 어느 한 면에 안착홈(21c)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과 내입골(21a)을 관통하는 내입홀(21b)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함체 안쪽에는 탄성체(33c)를 수용하고 있는 이동대(28)를 설치하고, 안착홈에는 가압대(31)를 위치시킨 후 상하방향으로 이동대(28)와 가압대(31)를 연결하여 상기 이동대(28)가 수용하고 있는 탄성체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안착홈 안쪽에 위치해 있는 가압대(31)의 돌출부(31a)가 내입골 안쪽에 장착되어 있는 호스의 구경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33c)를 수용하고 있는 이동대(28)는 스토퍼(32)와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는 구동모터(27)와 연결되어, 이동대의 탄성체(33c)를 수축시켜 가압대(28)의 돌출부에 의해 눌려지고 있는 호스의 구경을 오픈하여 벌림 정도를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 자동 조절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통신부가 접속요청을 확인하게 되면, 중계단말기(200)로부터 해당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제어모듈에 보고하는 한편 접속을 요청한 이벤트 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모듈과,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식별정보를 전송한 중계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모듈(212)과,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어떠한 환자의 오토클램프가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려는지 확인하는 식별모듈(213)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받은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분석하고, 전달된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각각의 위치확인모듈과 식별모듈을 통해 확인하는 한편 해당 환자의 고유정보와 위치를 확인하게 되면 이벤트 정보를 전송토록 요청하고, 더불어 출력모듈(214)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표출하여 주도록 컨트롤하는 제어모듈과,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환자의 고유정보와 위치를 디스플레이장치상에 표출하여 주는 한편, 일측에 전송받은 이벤트 정보도 표출하여 주는 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 자동 조절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클램프는 내입골 안쪽에 끼워져 있는 호스를 가압하여 호스의 개폐 정도를 컨트롤하는 구동부(30)와,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22) 안쪽에 수용되어져 있는 챔버(1)로 낙하하는 약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34)와,
버튼 조작시 혹은 보고받은 사실을 바탕으로 구동부를 컨트롤하여 낙하하는 약물의 속도를 조절하는 한편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패널(14)로 확인된 사실을 표출하는 제어부(35)와,
구동모터(27) 동작시 약물의 주입상태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로드하여 지정된 관리센터로 보고하는 무선통신모듈(36)과,
상기 제어부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오작동 여부를 체크하고, 설정된 시간동안 감지부를 통해 카운트된 횟수가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차액에 해당하는 횟수만큼의 보정값을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에 보고하여 설정된 횟수만큼 약액이 낙하되도록 컨트롤하는 서브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 자동 조절시스템. - 오토클램프의 제1함체(10)와 제2함체(20)를 펼쳐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22) 안쪽으로 호스(2)와 챔버(1)를 수용시켜 세팅을 완료하는 단계와, 제어패널을 터치하여 주입되는 약물의 양을 설정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구동모터를 컨트롤하여 호스의 벌림정도를 컨트롤하는 단계와, 감지부가 센서를 통해 챔버 내로 낙하하는 약액 방울의 움직임(횟수)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구동모터를 컨트롤하여 호스의 벌림정도를 조절할 때마다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는 무선통신모듈을 컨트롤하여 주변에 위치한 중계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는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서버로 접속을 시도하는 한편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단말기는 위치정보를 로드하고 접속을 요청한 오토클램프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는 접속을 요청한 오토클램프의 식별정보와 중계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접속 연결을 승인하는 한편 해당 오토클램프의 이벤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오토클램프는 이에 대응하여 이벤트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서버는 전송받은 이벤트정보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토클램프의 제1함체(10)와 제2함체(20)를 펼쳐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22) 안쪽으로 호스(2)와 챔버(1)를 수용시켜 세팅을 완료하는 단계는,
탈착레버가 회동되면서 가압대(31)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방향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대의 탄성체가 수축되는 단계와, 상기 탈착레버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지면서 이동대 내측에 수축되어 있는 탄성체가 팽창되는 단계와, 상기 탄성체가 팽창되면서 이동대가 타측으로 이동되는 단계와, 상기 이동대와 함께 가압대가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돌출부가 내입골 안쪽으로 이동되면서 호스의 구경이 가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패널을 터치하여 주입되는 약물의 양을 설정하는 단계는,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구동모터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스토퍼가 이동대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동대가 수용하고 있는 탄성체(33c)가 수축되는 단계와, 상기 탄성체가 수축되면서 이동대와 함께 가압대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압대의 돌출부에 의해 눌려지고 있는 호스의 구경이 오픈되면서 낙하하는 약액이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클램프의 서브제어부는 제어부가 구동부를 컨트롤하여 낙하하는 약액의 약액과 설정된 값과 일치요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 제어부는 확인한 결과가 일치할 경우에는 감지부를 통해 반복해서 낙하하는 약액 방울의 움직임을 감지토록 지시하고, 만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서브제어부가 차액에 해당하는 만큼의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제어부는 보정값을 제어부에 인가하여 보정값에 해당하는 만큼의 약액이 낙하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이벤트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출하여 주는 한편, 지시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서버는 입력된 지시명령을 바탕으로 해당 오토클램프를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중계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오토클램프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해당 오토클램프로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오토클램프의 제어부는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제어명령을 확인하고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호스의 벌림 정도를 컨트롤하여 떨어지는 약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한편, 설정된 시간동안 낙하하는 약액/수액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터가 동작하면서 갱신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서버는 갱신된 이벤트 정보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동작상태를 표출하여 주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가 이벤트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출하여 주고 지시명령의 입력을 요청할 때에는,
상기 관리서버가 특정 오토클램프로부터 설정된 횟수 이상 연속해서 이벤트 정보를 전송받았을 경우 지시명령의 입력을 요청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8645A KR101634778B1 (ko) | 2014-08-20 | 2014-08-20 |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8645A KR101634778B1 (ko) | 2014-08-20 | 2014-08-20 |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7441A Division KR101444752B1 (ko) | 2012-10-15 | 2013-10-01 |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9083A KR20150039083A (ko) | 2015-04-09 |
KR101634778B1 true KR101634778B1 (ko) | 2016-07-08 |
Family
ID=53029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8645A KR101634778B1 (ko) | 2014-08-20 | 2014-08-20 |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477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9791B1 (ko) | 2018-12-11 | 2020-07-31 | 폴스타헬스케어(주) |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9937B1 (ko) * | 1997-09-08 | 2000-01-15 | 최희식 | 수액 및 주사액 정량 투입기 |
JP2000167046A (ja) * | 1998-12-07 | 2000-06-20 | I'm Co Ltd | 点滴制御装置 |
JP2012070991A (ja) * | 2010-09-29 | 2012-04-12 | Terumo Corp | 医療用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医療用ポンプ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0824U (ko) | 1998-01-21 | 1998-03-30 | 수액 도관의 유량 제어 클램프 | |
US20030141981A1 (en) * | 2002-01-29 | 2003-07-31 | Tuan Bui |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edical devices |
KR100530848B1 (ko) | 2003-10-06 | 2005-11-23 |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 약액 공급량 조절기 |
EP1806156A4 (en) | 2004-08-25 | 2009-12-02 | Jms Co Ltd | PIPE NECKLACE |
KR101312556B1 (ko) | 2008-09-03 | 2013-09-30 |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 유로 조정방식의 약액 공급량 조절기 |
-
2014
- 2014-08-20 KR KR1020140108645A patent/KR1016347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9937B1 (ko) * | 1997-09-08 | 2000-01-15 | 최희식 | 수액 및 주사액 정량 투입기 |
JP2000167046A (ja) * | 1998-12-07 | 2000-06-20 | I'm Co Ltd | 点滴制御装置 |
JP2012070991A (ja) * | 2010-09-29 | 2012-04-12 | Terumo Corp | 医療用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医療用ポンプ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9083A (ko) | 2015-04-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76411B2 (ja) | 落下方式による注入量の自動調節装置 | |
JP6346237B2 (ja) | 複数の流体ラインを使用する医療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CN105188796B (zh) | 注射泵系统 | |
AU2015218864B2 (en) | Syringe pump having a pressure sensor assembly | |
CA3241595A1 (en) | Medical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using a plurality of fluid lines | |
JP4615926B2 (ja) | 無線自動認識デバイス(rfid)及び薬剤自動認識システム | |
US7976508B2 (en) | Medication safety system featuring a multiplexed RFID interrogator panel | |
EP2902048A1 (en) | Infusion pump | |
JP2020527417A (ja) | 輸液ポンプのためのハウジング構造 | |
JP2008080036A (ja) | 医療用ポンプ | |
US10130754B2 (en) | Modular medical pump system | |
US20110282277A1 (en) | Device for controlling injection of ringer's solution | |
KR101634778B1 (ko) |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
KR101617636B1 (ko) |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 |
KR101444752B1 (ko) |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 장치 | |
EP3107601B1 (en) | Syringe pump having a pressure sensor assembly | |
KR101614033B1 (ko) | 정밀한 약액 주입이 가능한 오토 클램프 | |
WO2014045324A1 (ja) | 医療用ポンプ | |
KR102452982B1 (ko) | 의료용 수액 주입량 확인장치 | |
BR122016030038B1 (pt) | Sistema e aparelho para fixar uma seringa à bomba de seringa | |
KR101440860B1 (ko) |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 |
KR20240107948A (ko) | 링거액 투여 모니터링장치 | |
JP2019170719A (ja) | 輸液バッグホルダ及び輸液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