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860B1 -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 Google Patents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860B1
KR101440860B1 KR1020120114451A KR20120114451A KR101440860B1 KR 101440860 B1 KR101440860 B1 KR 101440860B1 KR 1020120114451 A KR1020120114451 A KR 1020120114451A KR 20120114451 A KR20120114451 A KR 20120114451A KR 101440860 B1 KR101440860 B1 KR 101440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ube
chamber
pressing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8000A (ko
Inventor
이종우
Original Assignee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860B1/ko
Priority to JP2015536718A priority patent/JP6376411B2/ja
Priority to PCT/KR2013/009139 priority patent/WO2014061947A1/ko
Priority to EP13846386.4A priority patent/EP2907536A4/en
Priority to CN201380053712.3A priority patent/CN105025953B/zh
Publication of KR2014004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860B1/ko
Priority to US14/685,004 priority patent/US1018311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공된 제1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함체와, 상기 제1수용부와 연장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공된 제2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함체를 힌지결합시켜 절첩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제1함체 또는 제2함체에는 튜브의 구경을 가압하여 떨어지는 약물의 양을 조절하는 구동부와, 절첩시 상기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 안쪽에 수용되어 있는 챔버의 떨어지는 약물의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절첩시 상기 제1함체의 일측면과 제2함체의 타측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 있도록 하는 락수단과, 상기 제1함체의 일측면 상단을 절개하여 제1수용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2함체의 타측면 상단을 절개하여 제1연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2수용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수용부 또는 제2수용부에 챔버의 튜브가 끼워지는 내입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복잡한 배선이나 연결 없이 상기 튜브의 챔버와 결합되어 지면서 용이하게 주입되는 약물의 양을 컨트롤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Auto-clamp}
본 발명은 링거 혹은 약액팩과 연결되어 있는 튜브의 직경을 가압하여 주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복잡한 배선이나 연결 없이 상기 튜브의 챔버와 결합되어 지면서 용이하게 주입되는 약물의 양을 컨트롤하고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실에는 다수개의 링거대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링거대 마다 약물을 내장한 수액팩이나 링거용기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링거대에 걸려 있는 수액팩이나 링거용기에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는 약물을 일정량 이상 담아두는 챔버와 튜브가 연결되어 있게 되고. 특히 챔버 하부에는 롤러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튜브를 가압하여 직경을 조절하는 클램프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는 의사나 간호사는 직접 챔버 내로 떨어지는 링거액을 확인하고 클램프의 롤러로 튜브의 직경을 가압하여 떨어지는 약물의 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클램프는 링거나 약액팩이 수용하고 있는 약물이 70%이상 소지하게 되면 압력이 줄어들면서 약물의 주입속도가 느려지게 되기 때문에 약물이 많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링거나 수액팩으로 교체하여 주어야만 하였던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낭비를 막고자 챔버주변에 떨어지는 약물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편심체가 회전하면서 튜브의 직경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퓨전 장치나 약액 주입기 등이 개발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부피가 크고 무거울 뿐만 아니라, 링거대에 다수개의 수액팩과 함께 별도의 인퓨전 장치나 약액주입기의 설치되면서, 종래의 수액팩이나 링거 함께 제공되었던 클램프나 튜브 그리고 챔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버려야만 하였으며, 특히 확장하여 사용할 때에는 더욱 복잡한 연결이 이루어져야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연결로 인해 타 장소로 이동하는 데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었다.
즉, 환자들은 가만히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침대 위에서 잠시 팔을 움직이거나 혹은 잠을 자다가 뒤척이는 등의 움직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튜브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바닥면에 길게 튜브를 늘어뜨려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튜브의 길이는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링거와 약액주입기가 설치되면서 주렁주렁 많은 튜브와 호스가 늘어져 링거대 주변은 항상 복잡하고 지저분하였으며, 이로 인해 이동시 제약이 따르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주입되는 양을 확인하고 설정된 량만큼의 링거액이 주입되도록 하면서, 종래의 튜브와 어울려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링거대에 다수개의 수액팩이나 링거가 설치되더라도 복잡한 배선이나 연결이 요구되지 않아, 위급한 상황에도 바로 연결관계를 확인하고 약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 오토 클램프(Auto-Clamp)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용부와 내입골이 형성되어 있는 함체 안쪽에 챔버와 튜브가 상기 수용부와 내입골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튜브의 구경을 가압하여 떨어지는 약물의 양을 조절하는 구동부와, 챔버로 떨어지는 약물의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는 내입골 안쪽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입홀을 형성하여, 함체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대의 돌출부가 내입홀 안팎을 출몰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가압대는 일측에 받침편의 돌부에 끼워져 있는 탄성체를 수용하고 있는 상태로 함체 안쪽에 내장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내입골 안쪽에 끼워져 있는 튜브의 외경이 가압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가압대의 타측에는 한 쌍의 직립된 걸림편이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안쪽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대가 설치되어, 상기 이동대의 결합홀에 구동모터의 이동축이 끼워져 상기 이동대가 이동축의 나사산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면서 가압대를 일측으로 당겨주거나 혹은 타측으로 밀어줌으로써,
내입골 안쪽에 끼워져 있는 튜브의 외경을 가압하고 있는 가압체를 일측으로 혹은 타측으로 움직이면서 튜브의 벌림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접첩되는 제1함체와 제2함체가 튜브와 챔버 감싼 상태로 걸쳐져 고정되면서 종래의 튜브와 어울려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링거대에 다수개의 수액팩이나 링거가 설치되더라도 복잡한 배선이나 연결이 요구되지 않게 되었고, 더불어 이로 인해 위급한 상황에도 바로 연결관계를 확인하고 필요한 약물을 약액을 추가로 주입하거나 컨트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클램프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상기 도 1의 오토 클램프가 펼쳐져 있을 때 챔버(1)가 수용되기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공된 제1수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제1함체(10)와, 상기 제1수용부(12)와 연장되어 통공된 제2수용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제2함체(20)를 절첩되도록 통상의 힌지결합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함체(10)와 제2함체(20)에는 튜브(2)의 구경을 가압하여 떨어지는 약물의 양을 조절하는 구동부(30)와, 절첩시 상기 제1수용부(12) 및 제2수용부(22) 안쪽에 수용되는 챔버(1)의 떨어지는 약물의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절첩시 상기 제1함체(10)와 제2함체(20)의 일측면(11)과 타측면(21)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 있도록 고정하는 락수단(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함체(10)와 제2함체(20)의 일측면(11)과 타측면(21) 상단에는 각각 제1수용부(12) 또는 제2수용부(22)와 연장되어 있는 절개된 제1연결부(13)와 제2연결부(23)가 형성되어 있게 되고,
특히 상기 제1연결부(13) 또는 제2연결부(23)는 일측면(11) 혹은 타측면(21)의 상단 일부를 절개하여 외측으로 확장된 받침턱(23a)을 형성한 상태에서 관통홀(23b)이 형성되어 있는 제1함체(10)와 제2함체(20)를 밀착시켜 조립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함체(10)와 제2함체(20)에 각각 일측면(11)과 타측면(21)을 결합시켜 조립을 완성한 상태에서 절첩시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22) 안쪽으로 챔버(1)를 위치시킨 후 일측면(11)과 타측면(21)을 밀착시키고 락장치로 고정하게 되면,
각각의 함체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연결부(13)와 제2연결부(23)에 의해 챔버(1)의 상단 테두리가 감싸여 지면서 제1수용부(12) 및 제2수용부(22)로 챔버(1)의 하부가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게 됨으로, 별도의 호스나 튜브(2)의 연결이 추가로 요구되지 않은 상태에서 종래의 튜브(2) 및 챔버(1)와 어우러져 연결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함체(10)와 제2함체(20)의 일측면(11) 또는 타측면(21)에는 제1수용부(12) 혹은 제2수용부(22) 하단에서부터 각각의 함체 하단까지 안쪽으로 만곡된 내입골(21a)이 형성되어 있게 되고, 이때 내입골(21a)에는 수용부 안쪽에 위치되어 있는 챔버(1)의 튜브(2)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입골(21a) 안쪽에는, 튜브(2)의 직경을 가압하여 떨어지는 약물의 양을 조절하는 구동부(30)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구동부(30)는 실시 예에 따라 내입골(21a) 안쪽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입홀(21b)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함체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대(31)의 돌출부(31a)가 내입홀(21b) 안팎을 출몰하면서 튜브(2)의 직경을 가압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가압대(31)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32)를 수용한 상태에서 구동모터(27) 구동에 의해 가이드홈(26)를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돌출부(31a)가 내입홀(21b) 안팎을 출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가압대(31)는, 안쪽으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에는 탄성체(32)의 일측이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32)의 타측이 받침편(33)의 돌부(33a)에 끼워지면서, 상기 가압대가 함체 내측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가압대가 수용하고 있는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내입골 안쪽에 끼워져 있는 튜브의 외경을 가압하여 눌러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튜브의 외경을 가압하고 있는 가압대(31)를, 고정편(24)과 걸림편(25)이 형성되어 있는 제2함체(20) 안쪽으로 삽입하여 설치하고, 더불어 내입홀(21b)을 중심으로 타측에 구동모터(27)를 설치한 후 상기 가압대(31)와 구동모터(27)를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튜브의 외경을 가압하여 주고 있는 가압대가 구동모터에 의해 일측으로 혹은 타측으로 움직이면서 내입골 안쪽에 끼워져 있는 튜브의 벌림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7)의 이동축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가압대(31)의 결합홀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구동모터(27)가 회전하게 되면 가압대(31)가 이동축의 나사산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에 따라, 구동모터와 이동대 사이에, 한 쌍의 직립된 걸림편(28a,28b)이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안쪽으로는 결합홀(28c)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대(28)를 설치하여, 상기 걸림편(28a.28b) 안쪽에 가압대의 일면이 끼워지도록 조립한 후, 상기 가압대의 타측에 구동모터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이동대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면서 가압대(31)를 일측으로 밀어주거나 혹은 타측으로 당겨주어, 내입골 안쪽에 끼워져 있는 튜브의 벌림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출몰하는 돌출부(31a)에 의해 내입골(21a) 안쪽에 끼워져 있는 튜브(2)의 직경이 가압되어 떨어지는 약물의 양이 컨트롤 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대(31)에는 실시 예에 따라 구동모터(27) 구동이 아니라 축결합되어 있는 탈착레버(29)가 회동하면서 내입홀(21b) 안쪽으로 가압대(31)의 돌출부(31a)를 이동시켜 용이하게 내입골(21a) 안쪽에 튜브(2)를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입홀(21b)과 일정한 간격 두고, 제2함체(20)의 일측면(11)에 절개된 홈(29a)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홈에 한 쌍의 축(29b)을 형성하여 좌우로 회동하는 탈착레버(29)를 결합시키고,
더불어 이때 결합된 탈착레버(29)가 회동하면서 상기 탈착레버(29)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29c)가 제2함체(20) 안쪽에 위치해 있는 가압대(31)를 안쪽으로 당겨줌으로써 혹은 밀어줌으로써, 돌출부(31a)를 내입홀(21b) 안쪽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수액으로 교체할 때 튜브(2)를 용이하게 내입골(21a) 안쪽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이때 상기 돌출부(31a)에는 내입골(21a) 안쪽에 끼워져 있는 튜브(2)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살(31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살(31b)에 의해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튜브(2)의 직경을 정밀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2함체(20)에는,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22)가 수용하고 있는 챔버(1)의 떨어지는 약물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부(34)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의 감지부(34)는 제1수용부(12) 혹은 제2수용부(22)의 일측에 절개된 홈(34a)을 형성하고 대응하는 타측에 절개된 홈(34b)을 하나 더 형성하여 안쪽에 내장된 센서(34c)가 절개된 홈(34a, 34b) 사이를 가로질러 떨어지는 챔버(1)의 약물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센서(34c)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튜브(2)의 챔버(1)가 제1수용부(12) 또는 제2수용부(22) 안쪽에 위치되었을 때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34c)를 가로질러 떨어지는 약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제어보드(35)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의 제어보드(35)는 감지부(34)를 통해 전달된 사실을 바탕으로 떨어지는 약물의 속도와 양을 계산하고, 이때 계산된 값을 디스플레이패널(14)에 표출하여 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4)과 조작패널(15)은 제2함체(20)에 형성할 수 있으나, 제1함체(10)와 제2함체(20)게 절첩되도록 구성하면서 상기 제1함체(10)에 디스플레이패널(14)과 조작패널(15)을 형성하고, 힌지축과 수평한 절개된 라인(16)을 일측면(11)과 타측면(21)에 형성하여 이격된 제어보드(35)와 제어패널을 연성보드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함체(10) 또는 제2함체(20)는 외부로 자신의 위치를 보고할 수 있는 지그비모듈(36)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어보드(35)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의 지그비모듈(36)은 간호사나 관리인에 의해 갱신된 식별번호와 환자의 고유정보가 입력되어져 관리되고, 특히 튜브(2)와 함께 설치되어 링거대 이동시 혹은 설정량 변경시 환자의 위치와 주입상태를 관제센터에 보고하여 항시 감시토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연결 구성된 제어패널은 다수개의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실시 예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전원버튼과, 눌러지는 시간에 따라 주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Up/Down버튼, 설정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1함체(10)와 제2함체(20)는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함체(20)의 외측에는 충전케이블 혹은 데이터 케이블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락수단(40)은 제1함체(10)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대응하는 타측 제2함체(20)에는 절곡된 결합편(40a)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편이 작동되어 제1함체(1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40b)에 걸리면서 제1함체(10)와 제2함체(20)가 서로 밀착되어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오토 클램프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링거대에 수액과 튜브(2)를 설치한 상태에서 락장치를 풀고 제1함체(10)와 제2함체(20)를 펼친 상태에서 제1수용부(12) 및 제2수용부(22) 안쪽으로 튜브(2)의 챔버(1)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챔버(1)의 상단은 제1연결부(13)와 제2연결부(23)에 의해 감싸여 지면서 제1수용부(12) 및 제2수용부(22)로 안쪽으로 챔버(1)의 하부가 노출되도록 연결되어 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1함체(10) 또는 제2함체(20)의 일측면(11) 혹은 타측면(21)에 형성되어 있는 탈착레버(29)를 회동시켜 주게 되면, 하단이 함체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대(31)를 일측으로 당겨주면서 혹은 밀어주면서 내입골(21a)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가압대(31)의 돌출부(31a)를 안쪽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내입골(21a) 안쪽으로 튜브(2)를 끼우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탈착레버(29)를 원상복귀시켜 가압대(31)의 돌출부(31a)가 튜브(2)를 가압하여 고정시켜 주도록 한다.
이때, 상기 튜브(2)는 가압대(31)에 의해 눌려지면서 떨어지는 약물이나 수액이 흐르지 않토록 하여, 평상시 약액의 흐름이 정지된 상태에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후 펼쳐져 있는 제1함체(10)의 일측면(11)과 제2함체(20)의 타측면(21)을 밀착시키고 락장치로 고정함으로써, 별도의 설치없이 종래의 튜브(2) 및 챔버(1)와 어우러져 연결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후 제1함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제어패널의 전원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기본모드로 운행되어 지면서 디스플레이패널(14) 상에 떨어지는 약액의 량과 시간 등이 표출되게 된다.
이때, 떨어지는 약액의 량과 시간은 제1수용부(12) 혹은 제2수용부(22)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부(34)를 통해 떨어지는 약액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보드(35)에 보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계산된 약액의 양과 속도 등이 표출되게 된다.
그리고 이후 사용자가 제어패널상에 형성되어 있는 Up 혹은 Down 버튼을 누르게 되면, 가압대(31)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모터(27)가 회전하면서 가압대(31)가 이동축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을 따라 전지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압대(31)의 돌출부(31a)가 내입홈 안팎을 출몰하면서 튜브(2)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입되는 양을 확인하고 설정된 량만큼의 링거액이 주입되도록 하면서, 종래의 튜브(2)와 어울려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링거대에 다수개의 수액팩이나 링거가 설치되더라도 복잡한 배선이나 연결이 요구되지 않아, 위급한 상황에도 바로 연결관계를 확인하고 약액을 주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챔버 2:튜브
10:제1함체 11:일측면
12:제1수용부 13:제1연결부
14:디스플레이패널 15:조작패널
16:절개된 라인
20:제2함체 21:타측면
21a:내입골 21b:내입홀
22:제2수용부 23:제2연결부
23a:받침턱 23b:관통홀
24:고정편 25:걸림편
26:가이드 홈 27:구동모터
28:이동대 28a,28b:걸림편
29:탈착레버 29a:절개된 홈
30:구동부 31:가압대
31a:돌출부 31b:돌출살
32:탄성체 33:받침편
33a:돌부 34:감지부
34a.34b:절개된 홈 34c:센서
35:제어보드 36:지그비모듈
40:락수단

Claims (9)

  1. 수용부와 내입골이 형성되어 있는 함체 안쪽에 챔버와 튜브가 상기 수용부와 내입골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튜브의 구경을 가압하여 떨어지는 약물의 양을 조절하는 구동부와, 챔버로 떨어지는 약물의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는 내입골 안쪽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입홀을 형성하여, 함체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대의 돌출부가 내입홀 안팎을 출몰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가압대는 일측에 받침편의 돌부에 끼워져 있는 탄성체를 수용하고 있는 상태로 함체 안쪽에 내장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내입골 안쪽에 끼워져 있는 튜브의 외경이 가압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가압대의 타측에는 한 쌍의 직립된 걸림편이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안쪽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대가 설치되어, 상기 이동대의 결합홀에 구동모터의 이동축이 끼워져 상기 이동대가 이동축의 나사산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면서 가압대를 일측으로 당겨주거나 혹은 타측으로 밀어줌으로써,
    내입골 안쪽에 끼워져 있는 튜브의 외경을 가압하고 있는 가압체를 일측으로 혹은 타측으로 움직이면서 튜브의 벌림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제1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함체와 제2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함체가 힌지결합되어 절첩시 일측면과 타측면이 서로 맞닿으면서 락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지는 한편,
    제1함체와 제2함체의 상부에는, 제1수용부 또는 제2수용부와 연장되어 챔버의 상부를 감싸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각각 형성하고,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일측면과 타측면의 상단 일부를 절개하여 외측으로 확장된 각각의 받침턱과, 절첩시 상기 챔버의 상단 테두리를 감싸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절첩시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에에는 챔버의 상단을 끼워져 장착하게 되면, 챔버의 하단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통해 노출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대의 돌출부에는 내입골 안쪽에 끼워져 있는 튜브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함체에는 내입홀과 일정한 간격 두고, 일측면에 절개된 홈(29a)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절개된 홈(29a) 안쪽에 한 쌍의 축(29b)을 형성하여 좌우로 회동하는 탈착레버(29)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탈착레버(29)가 회동하게 될 때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29c)가 제2함체 안쪽에 위치해 있는 가압대를 안쪽으로 당겨주거나 혹은 밀어줌으로써
    가압대의 돌출부를 내입홀 안쪽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함체에는 제2수용부의 일측에 절개된 홈(34a)을 형성하고, 대응하는 타측에 절개된 또 다른 홈(34b)을 형성하여, 안쪽에 내장된 센서(34c)가 절개된 홈(34a,34b) 사이를 가로질러 떨어지는 챔버의 약물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감지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를 통해 전달된 사실을 보고받아 떨어지는 약물의 속도와 양을 계산하고, 이때 계산된 값을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출하도록 하는 한편 가압대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나 회전수를 컨트롤하는 제어보드(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더불어 제1함체에는 절개된 라인을 통해 상기 제어보드와 연성보드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조작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함체는 구동모터 구동시 약물의 주입상태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지정된 관리센터로 보고하는 지그비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KR1020120114451A 2012-10-15 2012-10-15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KR101440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451A KR101440860B1 (ko) 2012-10-15 2012-10-15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JP2015536718A JP6376411B2 (ja) 2012-10-15 2013-10-14 落下方式による注入量の自動調節装置
PCT/KR2013/009139 WO2014061947A1 (ko) 2012-10-15 2013-10-14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13846386.4A EP2907536A4 (en) 2012-10-15 2013-10-14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A DRIP INJECTION QUANTITY AND DEVICE THEREFOR
CN201380053712.3A CN105025953B (zh) 2012-10-15 2013-10-14 以降落的输入方式输入时自动调节输入量的方法以及其专门装置
US14/685,004 US10183114B2 (en) 2012-10-15 2015-04-13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injection rate through fal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451A KR101440860B1 (ko) 2012-10-15 2012-10-15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000A KR20140048000A (ko) 2014-04-23
KR101440860B1 true KR101440860B1 (ko) 2014-09-17

Family

ID=5065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451A KR101440860B1 (ko) 2012-10-15 2012-10-15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183B1 (ko) * 2022-10-25 2023-09-07 에이스헬스케어(주) 정밀 유속 제어용 오토 클램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937B1 (ko) * 1997-09-08 2000-01-15 최희식 수액 및 주사액 정량 투입기
KR20050014908A (ko) * 2005-01-19 2005-02-07 강상욱 정맥 주사용 링거액 자동 유량 조절 장치
KR20120076604A (ko) * 2010-12-06 2012-07-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수액 조절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937B1 (ko) * 1997-09-08 2000-01-15 최희식 수액 및 주사액 정량 투입기
KR20050014908A (ko) * 2005-01-19 2005-02-07 강상욱 정맥 주사용 링거액 자동 유량 조절 장치
KR20120076604A (ko) * 2010-12-06 2012-07-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수액 조절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000A (ko)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0838B2 (en) Puncture device
JP5598903B2 (ja) 薬液用電動注射器
JP4708189B2 (ja) 薬液注入装置への薬液シリンジの着脱を検出する薬液注入システム
US101831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injection rate through falling
US8480630B2 (en) Modular injection device
CN107847665B (zh) 给药液装置
US11679205B2 (en) High precision syringe with removable pump unit
TW200307570A (en) Infusion pump
US11660388B2 (en) High precision syringe with removable pump unit
KR101440860B1 (ko) 복잡한 연결이 요구되지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 클램프.
US20190217008A1 (en) Drug solution administ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ug solution administration device
JPH09122237A (ja) シリンジポンプ
EP2883560B1 (en) Syringe pump
JP6240239B2 (ja) 携帯用輸液ポンプ
TW202402333A (zh) 電子控制之靜脈輸液泵
JP2012205866A (ja) 輸液ポンプ
JP2004024884A (ja) シリンジポンプ
KR101108656B1 (ko) 링거액 주입 제어장치
JP4464090B2 (ja) シリンジポンプ
KR101617636B1 (ko)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JP2016064014A (ja) 薬液充填装置
KR20140057149A (ko)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3070716A (ja) 薬液投与装置
EP4117754A1 (en) High precision syringe with removable pump unit
KR101634778B1 (ko) 낙하방식에 의한 주입량의 자동 조절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