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512B1 -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4512B1 KR101634512B1 KR1020157022838A KR20157022838A KR101634512B1 KR 101634512 B1 KR101634512 B1 KR 101634512B1 KR 1020157022838 A KR1020157022838 A KR 1020157022838A KR 20157022838 A KR20157022838 A KR 20157022838A KR 101634512 B1 KR101634512 B1 KR 1016345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member
- insertion hole
- shaft
- steel material
- existing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는 기설 건물에 제1 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축재(22)와, 복수의 축재(22)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한 복수의 삽입 통공(28)을 갖는 강재(23)와, 삽입 통공(28A)에 삽입된 제1 축재(22A)의 제2 단부에 설치되어 강재(23)를 협지하는 협지부(31)와, 삽입 통공(28B)에 삽입된 제2 축재(22B)의 제2 단부에 강재(23)를 중심으로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설치된 이탈 방지부(34)와, 강재(23)를 내부에 포함하여 기설 건물과 일체화된 콘크리트체(2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으로 기설 건물의 기둥이나 대들보에 복수의 앵커 볼트들을 연결하여 상기 앵커 볼트에 긴 강판을 너트로 양 면측들로부터 끼워 준비하도록 고정한 후 상기 강판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강판들이 콘크리트체를 기설 건물에 접합시키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문헌1 : 일본 특개평10-152997호 공보
그런데, 기설 건물에는 기둥이나 대들보의 위치가 설계도와 다르거나 철근 등이 내장되어 있어 앵커 볼트를 끼울 수 없는 위치가 있음으로써 상기 앵커 볼트를 예정 위치에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정 위치에 앵커 볼트를 끼울 경우 꽂은 앵커 볼트가 기둥이나 대들보의 외면에 대하여 경사지고, 너트를 설치하는 제2 단부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강판에 앵커 볼트를 삽입하여 관통하는 삽입 통공을 형성할 때 삽입 통공을 크게 형성하면, 현장에서 앵커 볼트를 삽입 위치가 어긋나거나 앵커 볼트에 경사가 생긴다고 하더라도 강판에 미리 형성된 삽입 통공으로 앵커 볼트의 제2 단부를 쉽게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좋다.
하지만 삽입 통공을 앵커 볼트의 직경보다 지나치게 크게 형성하면 너트로 협지하고 콘크리트 타설할 때에 삽입 통공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아 공동(cavity)이 잔류하여, 앵커 볼트 및 강재의 콘크리트체와의 일체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은 기설 건물에 삽입된 복수의 축재(軸材)에 강재를 설치할 때의 시공성을 양호하게 확보하면서 축재 및 강재의 콘크리트 본체와의 일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는, 기설 건물에 제1 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축재와, 상기 복수의 축재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한 복수의 삽입 통공을 갖는 강재와,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상기 축재들 중의 일부인 제1 축재의 상기 제2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강재를 협지하는 협지부와,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 중 일부인 제2 축재의 상기 제2 단부에는 상기 강재를 중심으로 상기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이탈 방지부와, 상기 강재를 내부에 포함하여 상기 기설 건물과 일체화된 콘크리트체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어느 축재에 설치된 협지부로 강재를 협지하여 강재의 위치를 적절하게 함과 동시에 제2 축재에서 강재를 중심으로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설치된 이탈 방지부에 의해 강재의 기설 건물의 반대편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협지부에 협지되는 강재의 삽입 통공 내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는 반면에, 이탈 방지부를 설치한 제2 축재의 삽입 통공 내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되므로, 삽입 통공을 크게 형성한 경우에도, 모든 축재에 협지부를 설치하는 경우보다 축재 및 강재의 콘크리트체와의 일체성 저하가 억제된다. 따라서 축재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한 정도로 삽입 통공을 크게 함으로써, 기설 건물에 삽입된 복수의 축재에 강재를 설치할 때의 시공성을 양호하게 확보하면서, 축재 및 강재의 콘크리트체 와의 일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설 건물은 3 이상의 상기 축재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강재는 3 이상의 상기 삽입 통공을 가지며, 상기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는 상기 제2 축재의 수가 상기 협지부가 장착되는 상기 제1 축재의 수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는 제2 축재의 수를 협지부가 장착되는 제1 축재의 수보다 많게 함으로써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삽입 통공의 수를 많게 하여, 축재 및 강재의 콘크리트체와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는 기설 건물에 제1 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축재와, 상기 축재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한 복수의 삽입 통공을 갖는 강재와, 상기 강재를 내부에 포함하여 상기 기설 건물과 일체화된 콘크리트체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하고 관통된 축재들 중 일부인 제1 축재는 상기 제2 단부에 설치된 협지부에 의해 상기 강재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중 다른 일부인 제3 축재는 상기 삽입 통공 내에 충전된 상기 콘크리트체에 의해 상기 강재와 연결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축재에 설치된 협지부에서 강재를 협지하여 강재의 위치를 적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협지부에 협지되는 강재의 삽입 통공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는 반면에, 협지부를 마련하지 않는 제3 축재가 삽입된 삽입 통공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되므로, 삽입 통공 내에 충전된 콘크리트체에 의해 제3 축재와 강재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축재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할 정도로 삽입 통공을 크게 하여 기설 건물에 삽입된 복수의 축재를 강재를 설치할 때, 시공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축재 및 강재의 콘크리트체와의 일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는 기설 건물에 제1 단부가 끼워진 3 이상의 축재와, 상기 축재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하게 형성된 3 이상의 삽입 통공을 갖는 강재와, 상기 강재를 내부에 포함하여 상기 기설 건물과 일체화된 콘크리트체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상기 3 이상의 축재들은, 상기 강재를 협지하는 협지부가 상기 제2 단부에 장착되는 제1 축재와,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강재를 중심으로 기설 건물의 반대편 위치에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는 제2 축재와, 상기 이탈 방지부 및 상기 협지부가 설치되지 않는 제3 축재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어느 축재에 설치된 협지부로 강재를 협지하여 강재의 위치를 적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협지부에 협지된 강재의 삽입 통공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는 반면에 협지부를 마련하지 않는 제2 축재 및 제3 축재가 삽입되는 삽입 통공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되기 때문에 삽입 통공 내에 충전된 콘크리트체로 제2 축재 및 제3 축재와 강재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축재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할 정도로 삽입 통공을 크게 하여 기설 건물에 삽입된 복수의 축재에 강재를 설치할 때, 시공성을 양호하게 확보하면서 축재 및 강재의 콘크리트체와의 일체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축재는 상기 기설 건물의 기둥체 및 대들보체에 제1 단부가 끼워져 상기 기둥체와 상기 대들보체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축재에 상기 협지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둥체와 대들보체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 축재에 협지부을 끼워 강재를 협지하여 콘크리트 타설 전에 강재를 축재에 효율적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상기 기설 건물의 기둥체 및 대들보체를 따르는 위치에 배치되어 프레임 바디를 구성하고, 상기 협지부는 적어도 상기 프레임 바디의 각진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강재가 기설 건물의 기둥체 및 대들보체에 따르는 위치에 배치되어 프레임 바디를 구성할 경우 그 프레임 바디의 각진 부분에 협지부를 배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전에 강재를 축재에 효율적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은 기설 건물에 복수의 축재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축재 설치 공정과, 강재에 설치된 복수의 삽입 통공에 상기 복수의 축재의 제2 단부를 각각 삽입 관통시키는 삽통 공정과,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 중 일부인 제1 축재의 제2 단부에 설치된 협지부에 의해 상기 강재를 협지하는 협지 공정과,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 중 다른 일부인 제3 축재의 제2 단부에 있어서, 상기 강재를 중심으로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이탈 방지부를 설치하는 이탈 방지 공정과, 상기 기설 건물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강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 공정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은 기설 건물에 복수의 축재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축재 설치 공정과, 강재에 설치된 복수의 삽입 통공에 상기 복수의 축재의 제2 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관통시키는 삽통 공정과,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 중 제1 축재의 제2 단부에 설치된 협지부에 의해 상기 강재를 협지하는 협지 공정과, 상기 기설 건물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강재 주위를 둘러싸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축재가 삽입된 상기 삽입 통공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타설 공정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은 기설 건물에 3 이상의 축재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축재 설치 공정과, 강재에 마련된 3 이상의 삽입 통공에 상기 3 이상의 축재의 제2 단부를 각각 삽입 관통하는 삽통 공정과,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 중 일부인 제1 축재의 제2 단부에 설치된 협지부에 의해 상기 강재를 협지하는 협지 공정과, 상기 협지부가 장착된 상기 제1 축재와 다른 제2 축재의 제2 단부에 있어서, 상기 강재를 중심으로 상기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이탈 방지부를 설치하는 이탈 방지 공정과, 상기 3 이상의 축재들 중 또다른 일부에 상기 이탈 방지부 및 상기 협지부를 마련하지 않는 제3 축재를 남긴 상태에서, 상기 기설 건물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강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협지부에 끼워지지 않는 상기 삽입 통공에 콘크리트를 충전할 타설 공정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의 측면에 의하면, 기설 건물에 삽입된 복수의 축재에 강재를 설치할 때의 시공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축재 및 강재의 콘크리트체와의 일체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기설 건물에 설치된 보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기설 건물에 설치된 보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보강부를 구성하는 측재, 강재, 이탈 방지부 및 협지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모습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보강부의 제1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a), 보강부의 제2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b) 및 보강부의 제3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c)이다.
도 7은 보강부의 제4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기설 건물에 설치된 보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기설 건물에 설치된 보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보강부를 구성하는 측재, 강재, 이탈 방지부 및 협지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모습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보강부의 제1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a), 보강부의 제2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b) 및 보강부의 제3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c)이다.
도 7은 보강부의 제4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의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 건물(11)을 지지하는 구조체인 기둥체(12)와 대들보체(13)에는 내진 보강을 위한 보강부(21)가 연결된다. 보강부(21)는 예를 들면, 기설 건물(11)에 설치된 창문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14)를 막지 않도록 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보강부(21)는, 예를 들어 도 1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 건물(11)의 층수와 기둥체(12)의 위치에 따라 임의로 증설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21)는 기설 건물(11)의 기둥체(12)와 대들보체(13)에 제1 단부가 연결되는 복수의 축재(22)와, 축재(22)의 제2 단부에 설치되는 강재(23)와, 강재(23)를 내부에 포함되어 기설 건물(11)과 일체화되는 콘크리트체(24)를 포함한다. 즉, 보강부(21)는 강재가 들어가 있는 콘크리트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강재(23)는 예를 들어 긴 강판이며, 기둥체(12) 및 대들보체(13)의 배치에 따라 적절히 접합됨으로써 기설 건물(11)의 기둥체(12)와 대들보체(13)에 따라 그 위치를 배치시키고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또한 강재(23)의 접합은 용접하여 수행될 수 있고, 볼트 및 너트에 끼워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21)는 도 2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체(12) 및 대들보체(13)에 대각선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경사형 보강 부재(2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형 보강 부재(25)는, 예를 들면 강재(23)에 연결되는 양 단부를 제외하고 콘크리트 피복된 기성(프리캐스트; precast) 콘크리트체 라도 좋고, 신축 가능한 막대 모양의 오일 댐퍼 등 제진 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재(22)는, 축재(22)보다 전장(도 3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이 짧아지도록 기설 건물(11)의 기둥체(12)(또는 대들보체(13))에 형성된 삽입공(15)에 제1 단부(도 3에서 왼쪽 부분)가 삽입된다. 이 때, 축재(22)의 제2 단부(도 3에서 오른쪽 부분)는 기설 건물(11)의 기둥체(12)(또는 대들보체(13))에서 돌출하는 형태가 된다.
강재(23)는, 복수의 축재(22)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하도록 복수의 삽입 통공(28)을 가진다. 삽입 통공(28)은 축재(22)가 삽입되기 전에, 기설 건물(11)의 설계도 등에 따라 미리 위치가 결정되고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축재(22)가 삽입되는 삽입공(15)은 강재(23)의 삽입 통공(28)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 현장에서 형성되는 것이지만, 기설 건물(11)의 실제 구조 설계도와 다르거나 철근 등이 내장되어 있으면 삽입공(15)의 형성 위치가 예정된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삽입공(15)의 형성 각도가 벽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우에는 삽입공(15)에 삽입된 축재(22)가 기울어져 그 제2 단부의 위치에 삽입 통공(28)에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삽입 통공(28)은, 삽입공(15)의 형성 위치가 어긋나거나 축재(22)가 경사지게 된 경우에도 축재(22)를 삽입시켜 통과할 수 있도록, 축재(22)의 축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축재(22)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삽입 통공(28)의 직경을 D1, 축재(22)의 축경을 D2라 할 때, D1 = D2 + 2mm 정도의 틈(clearance)으로 축재(22)의 삽입 통공(28)에 삽입 관통할 수 있는 경우에, D1 = D2 + 20mm 정도의 틈(clearance)을 확보한다. 이 경우, 복수의 축재(22)의 제2 단부의 위치가 어긋나더라도 강재(23)의 설치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삽입 통공(28)중 일부인 삽입 통공(28A)에 삽입된 제1 축재(22 또는 (22A))의 제2 단부에는 강재(23)를 협지하도록 협지부(31)가 장착된다. 협지부(31)는, 예를 들어, 두 쌍의 와셔(32)와 너트(33)로 구성된다. 또한, 협지부(31)를 와셔(32)와 너트(33)로 구성하는 경우, 제1 축재(22A)는, 너트(33)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대응되도록 그 제2 단부에 수나사부를 갖는 앵커 볼트일 수도 있다. 또한 와셔(32)는 삽입 통공(28)의 개구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삽입 통공(28) 중 일부인 삽입 통공(28B)에 삽입된 제1 축재(22A)와는 다른 제2 축재(22 (22B))의 제2 단부에는 강재(23)를 중심으로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위치한 이탈 방지부(34)가 설치된다. 이탈 방지부(34)는 예를 들어 한 쌍의 와셔(32)와 너트(33)로 구성된다. 또한 이탈 방지부(34)를 와셔(32)와 너트(33)로 구성하는 경우, 축재(22B)는 너트(33)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대응되도록 그 제2 단부에 수나사부를 갖는 앵커 볼트일 수도 있다.
이탈 방지부(34)가 장착되는 제2 축재(22B)의 개수는 협지부(31)가 장착되는 제1 축재(22A)의 개수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강재(23)가 접합됨으로써 기설 건물(11)의 기둥체(12)와 대들보체(13)에 따르는 위치에 배치되어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 모양의 프레임 바디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바디의 각진 부분에만 협지부(31)를 배치한다. 또 다른 예로서 그 프레임 바디의 각진 부분 이외에 기둥체(12) 또는 대들보체(13)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축재(22) 중 일부에 협지부(31)를 설치한다. 이러한 강재(23)가 프레임 바디를 구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162개의 축재(22) 중 58개의 제1 축재(22A)에 협지부(31)를 마련하는 등 시공상의 적절한 위치 결정을 통해 축재(22) 전체의 10 내지 40 % 정도의 비율로 협지부(31)를 장착한 제1 축재(22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통공(28) 내에 삽입 관통된 축재(22) 중 일부에는 와셔(32)와 너트(33)가 설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와셔(32)와 너트(33)에 의해 강재(23)와 연결되지 않는 축재(22)를 제3 축재(22C)라 하고, 제3 축재(22C)가 삽입된 삽입 통공(28)을 삽입 통공(28C)이라고 한다. 또한, 제3 축재(22C)에는 나사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제1 및 제2 축재(22A, 22B)와 부품을 공통화하기 위해 제1 및 제2 축재(22A, 22B)와 동일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삽입 통공(28)에 삽입 통과된 3개 이상의 축재(22)는, 강재(23)를 협지하는 협지부(31)가 제2 단부에 설치되는 제1 축재(22A)와, 제2 단부에 강재(23)를 중심으로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위치한 이탈 방지부(34)가 설치되는 제2 축재(22B)와, 이탈 방지부(34) 및 협지부(31)가 설치되지 않는 제 3 축재(22C)를 포함한다.
강재(23)가 강판인 경우에는 강판의 외주에 연결 부재(26)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띠철근(27)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와셔(32) 및 너트(33)가 장착되는 축재(22)의 제2 단부는 띠철근(27)에 감싸질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어서, 기설 건물(11)의 내진 보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보강부(21)를 형성함에 있어서, 먼저 기설 건물(11)의 기둥체(12)와 대들보체(13)에 세 개 이상의 삽입공(15)을 형성한다. 또한 강재(23)에는 미리 소정의 위치에 세 개 이상의 삽입 통공(28 (28A, 28B, 28C))을 형성하여야 하고, 연결 부재(26)를 통해 띠철근(27)을 강재(23)에 장착해 둔다.
이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공(15)에 축재(22)의 제1 단부를 연결하여 축재(22)의 제2 단부가 기둥체(12)와 대들보체(13)에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축재(22)를 설치한다(축재 설치 공정). 그리고 축재(22) 중 일부인 제1 축재(22A)에는 한 쌍의 와셔(32) 및 너트(33)를 장착해 둔다.
이어서, 강재(23)를 크레인 등으로 매달고 강재(23)에 설치된 복수의 삽입 통공(28 (28A, 28B, 28C))에 복수의 축재(22 (22A, 22B, 22C))의 제2 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통과시킨다(삽통 공정).
그리고 제1 축재(22A)에는 또 다른 한 쌍의 와셔(32) 및 너트(33)를 설치하여 강재(23)를 사이에 두고 쌍을 이루는 너트(33)를 조여서 삽입 통공(28)에 삽입 관통된 제1 축재(22A)의 제2 단부에 설치된 협지부(31)에 의해 강재(23)를 협지하여(협지 공정) 제1 축재(22A)와 강재(23)를 연결한다. 이때, 강재(23)는 기둥체(12) 및 대들보체(1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협지부(31)를 구성하는 와셔(32) 및 너트(33)에 의해 축재(22)의 제2 단부에 고정된다.
또한 제2 축재(22B)에는 강재(23)를 중심으로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한 쌍의 와셔(32) 및 너트(33)를 설치한다. 즉, 삽입 통공(28)에 삽입 관통된 제2 축재(22B)의 제2 단부에서, 강재(23)를 중심으로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이탈 방지부(34)를 설치한다(이탈 방지 공정). 이는, 강재(23)가 이탈 방지부(34)를 구성하는 와셔(32) 및 너트(33)에 의해 축재(22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제3 축재(22C)에는 와셔(32) 및 너트(33)를 장착하지 않는다. 또한 축재(22)에 복수의 강재(23)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강재(23)를 동일하게 와셔(32) 및 너트(33)에 의해 축재(22)에 연결하고, 강재들(23)을 맞대어 접합한다.
모든 강재(23)의 설치가 종료하면, 도 5와 같이 강재(23) 및 띠철근(27)을 감싸듯이 기둥체(12(또는 대들보체(13))의 외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16)을 설치한다. 또한, 도 5의 이점 쇄선과 같이 세 개 이상의 축재(22) 중 일부에 이탈 방지부(34) 및 협지부(31)가 설치되지 않는 제3 축재(22C)를 남긴 상태에서 거푸집(16)안에 콘크리트를 부어 기설 건물(11)과 접하는 위치에 강재(23)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다(타설 공정).
이때, 기설 건물(11)의 외면과 강재(23)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용 호스(17)의 선단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거푸집(16) 내에 공급하여 삽입 통공(28B, 28C)의 와셔(32) 및 너트(3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쪽의 입구에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삽입 통공(28) 내에도 콘크리트가 충전된다. 도 3의 예에서는, 제2 축재(22B)가 삽입된 삽입 통공(28B)에 대해서는, 삽입 통공(28B)의 기설 건물 측으로 개방된 개구를 통해 삽입 통공(28B) 및 제2 축재(22B) 사이에 콘크리트가 충전된다. 협지부(31)가 설치되지 않는 축 재(22C)가 삽입된 삽입 통공(28C)에 대해서는, 삽입 통공(28C)의 개방된 두 개의 개구를 통해 상기 삽입 통공(28C) 및 제3 축재(22C) 사이에 콘크리트가 충전된다. 협지부(31)가 장착된 제1 축재(22A)가 삽입된 삽입 통공(28A)에 대해서는, 해당 삽입 통공(28A)과 제1 축재(22A) 사이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지 않는다. 삽입 통공(28)의 직경은 삽입 통공(28)과 상기 삽입 통공(28) 내에 삽입 관통된 축재(22)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할 수 있는 틈이 생기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굳어 콘크리트체(24)가 형성된 후, 거푸집(16)을 제거한다. 그러면 제2 및 제3 축재(22B, 22C)는 삽입 통공(28B, 28C) 내에 충전된 콘크리트체(24)를 통해 강재(23)와 연결된다. 그 후, 필요에 따라 외장재의 분사 등 콘크리트체(24)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 보강부(21)를 완성시킨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기설 건물(11)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의 작용을 설명한다.
삽입 통공(28)의 직경을 D1, 축재(22)의 축경을 D2 라고 할 경우, 예를 들어 D1-D2 ≥ 20mm 되도록 삽입 통공(28)을 크게 형성해 둠으로써 삽입 공정에서 강재(23) 설치된 삽입 통공(28)에 축재(22)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특히, 기설 건물(11)에 보강부(21)를 설치할 때 설계도를 바탕으로 배치된 삽입 통공(28)의 위치와 현장에서 설치된 축재(22)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삽입 통공(28)의 개수가 길이 방향으로 세 개 이상으로 배열된 경우에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고, 또한 삽입 통공(28)의 개수가 네 개 이상 등 다수에 이르는 경우에는 그 삽입 통공(28)의 각 위치의 오차를 2mm 정도의 간격으로 조정하는 것은 어려워지게 된다.
이런 점에서 강재(23)에 축재(22)를 삽입할 삽입 통공(28)을 형성할 때 축 재(22)의 직경보다 크게 삽입 통공(28)을 형성함으로써, 축재(22)를 삽입 위치가 어긋나거나 축재(22)가 벽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되더라도 복수의 삽입 통공(28)에 축재(22)가 삽입하여 통과될 수 있다.
그러나 삽입 통공(28)을 축재(22)의 직경보다 지나치게 크게 형성할 경우, 와셔(32) 및 너트(33)에 협지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삽입 통공(28)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는 공동(空洞)이 남음으로써 강재(23) 및 콘크리트체(24)의 일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즉, 지진 등에 의해 기설 건물(11) 및 보강부(21)가 축재(22)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할 때 삽입 통공(28) 내에 공동이 있으면 협지부(31)에 의한 협지력을 초과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축재(22) 및 강재(23) 사이에 충분하게 힘을 전달받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는,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뿐만 아니라 축 방향에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이 포함된다.
이런 점에서 삽입 통공(28B, 28C)의 개구는 적어도 한쪽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타설 공정에서 삽입 통공(28B, 28C) 내에도 콘크리트가 충전된 콘크리트체(24)를 통해 제2 및 제3 축재(22B, 22C)와 강재(23)가 일체화된다. 즉, 삽입 통공(28B, 28C) 내에 충전된 콘크리트체(24)를 통해 제2 및 제3 축재(22B, 22C)에 대한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강재(23)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보강부(21)에 의한 보강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축재(22A)를 삽입/통과시킬 삽입 통공(28A)의 개수보다 제2 및 제3 축재(22B, 22C)를 삽입/통과시킬 삽입 통공(28B, 28C)의 개수를 많게 하면 내부가 공동이 형성된 삽입 통공(28)의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강재(23)와 콘크리트체(24)의 일체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서 좋다.
한편, 지진 등에 의해 기설 건물(11)이 축재(22)의 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기설 건물(11)의 변위는 축재(22)를 통해 강재(23)에 전달된다. 이 때, 제1 축재(22A)가 삽입 통공(28A) 내에서 여유있는 상태로 유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삽입 통공(28A)에 공동이 남아 있어도, 제1 축재(22A)에 대해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협지부(31)를 통해 강재(23)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 축재(22B)에서도 상기 축 방향을 따라 기설 건물(11)이 강재(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이탈 방지부(34)에 의해 강재(23)가 걸리게 되고, 강재(23)가 기설 건물(11)의 변위에 추종함에 따라 보강부(21)에 의한 내진 작용을 발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축재(22B)와 축재(22C)에는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내진 작용은 동등하지만, 제2 축재(22B)는 제3 축재(22C)보다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내진 작용이 높다. 따라서 만일 제2 축재(22B)를 설치하지 않거나 제2 축재(22B)의 개수를 줄일 경우, 축 방향의 내진 작용을 보완하기 위해 제2 축재(22B)를 대체하는 제1 축재(22A)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1 축재(22A)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강재(23)를 축재(22)에 대응되도록 위치 결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적어도 강재(23)의 장방향의 단부와 강재(23)끼리의 접합 부분 등 위치 결정의 요소가 되는 장소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삽입 통공(28B)은 강재(23)의 이탈 방지 역할을 하는 와셔(32) 및 너트(33)에 의해 하나의 개구가 막혀 있기 때문에 막혀 있지 않는 쪽의 입구측(기설 건물(11) 쪽)에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면 삽입 통공(28B)에 콘크리트가 들어가기 용이하다. 그리고 이러한 강재(23)측보다 기설 건물(11) 측에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면 유동하는 콘크리트에 의해 강재(23)가 축재(22)의 제2 단부를 향해 밀리지만 제1 및 제2 축재(22A, 22B)의 제2 단부에 설치된 너트(33)에 의해 강재(23)의 제2 단부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축재(22) 중 일부에만 협지부(31)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강재(23)가 제1 단부로 이동하여 축재(22)로부터 이탈되는 사태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제2 및 제3 축재(22B, 22C)에서는 제1 축재(22A)보다 와셔(32) 및 너트(33)의 설치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와셔(32) 및 너트(33)를 설치하는 작업 수고가 절감된다. 특히 와셔(32) 및 너트(33)가 장착되는 축재(22)의 제2 단부는 띠철근(27)에 감싸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그 작업이 어려우므로, 와셔(32)및 너트(33)의 설치수가 감소되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협지부(31) 및 이탈 방지부(34)를 마련하지 않는 제3 축재(22C)의 수를 협지부(31)를 구비한 제1 축재(22A)의 수 및 이탈 방지부(34)를 구비한 제2 축재(22B)의 수보다 많거나 제3 축재(22C)의 수를 제1 축재(22A)와 제2 축재(22B)의 합보다 많게 하면 보다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1) 일부의 축재(22A)에 설치된 협지부(31)로 강재(23)를 협지하여 강재(23)의 위치를 적절하게 함과 동시에 다른 축재(22B)에서 강재(23)를 중심으로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구비된 이탈 방지부(34)에 의해 강재(23)의 축재 제2 단부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협지부(31)에 협지되는 강재(23)의 삽입 통공(28A) 내로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는 반면 이탈 방지부(34)를 마련한 축재(22)의 삽입 통공(28B)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된다. 따라서 삽입 통공(28)을 크게 한 경우에도 모든 축재(22)에 협지부(31)를 설치하는 경우보다 축재(22) 및 강재(23)의 콘크리트체(24)와의 일체성의 저하가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축재(22)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한 정도로 삽입 통공(28)을 크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기설 건물(11)에 삽입 된 여러 축재(22)에 강재(23)를 설치할 때의 시공성을 양호하게 확보하면서 축재(22) 및 강재(23)의 콘크리트체(24)와의 일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2) 이탈 방지부(34)가 설치되는 제2 축재(22B)의 수를 협지부(31)가 장착되는 제1 축재(22A)의 수보다 많게 함으로써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삽입 통공(28)의 수를 많게 함으로써 축재(22) 및 강재(23)의 콘크리트체(24)와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다.
(3) 제1 축재(22A)에 설치된 협지부(31)로 강재(23)를 협지하여 강재(23)의 위치를 적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협지부(31)로 협지되는 강재(23)의 삽입 통공(28A) 내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는 반면 협지부(31)를 마련하지 않는 축재(22B, 22C)가 삽입되는 삽입 통공(28B, 28C)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된다. 따라서 삽입 통공(28B, 28C) 내에 충전된 콘크리트체(24)에 의해 축재(22B, 22C)와 강재(23)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축재(22)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한 정도로 삽입 통공(28)을 확대하여 기설 건물(11)에 삽입된 여러 축재(22)에 강재(23)를 설치할 때의 시공성을 양호하게 확보 하면서 축재(22) 및 강재(23)의 콘크리트체(24)와의 일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4) 기둥(12)과 대들보체(13)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 축재(22)에 협지부(31)를 설치하여 강재(23)를 협지하여 콘크리트 타설 전에 강재(23)를 축재(22)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5) 강재(23)가 기설 건물(11)의 기둥체(12)와 대들보체(13)에 따르는 위치에 배치되어 프레임 바디를 구성할 때 상기 프레임 바디의 각진 부분에 협지부(31)를 배치하여 콘크리트 타설 전에 강재(23)를 축재(22)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변경예)
또한,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ㅇ보강부(21)에 마련된 경사형 보강 부재(25)의 수와 배치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되는 제1 변경예와 같이 보강부(21)에서 두 개의 경사형 보강 부재(25)의 배치를 변경하여도 좋고, 도 6(b)에 나타내는 제2 변경예 같이 보강부(21)에 마련된 경사형 보강 부재(25)를 한 개로 배치되어도 좋고, 도 6(c)에 나타낸 제3 변경예와 같이 개구부(14)에 있는 출입구를 노출시키도록 경사형 보강 부재(25)를 배치하여도 좋다.
ㅇ보강부(21)에 내장된 강재(23)는 강판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H형 강, I형 강, 홈형 강, 산형강 등 임의로 변경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제4 변경예와 같이 강재(23)로 H형 강을 이용하면 인장 굽힘, 압축 등의 응력에 대해 높은 내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강재(23)로 H형 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사형 보강 부재(25) 및 띠철근(27)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콘크리트체(24)에 비닐론 섬유와 스테인리스 섬유 등의 섬유를 첨가해도 좋다.
ㅇ제1 축재(22A)를 삽입하는 삽입 통공(28A)의 직경을 제2 및 제3 축재(22B, 22C)를 삽입하는 삽입 통공(28B, 28C)의 직경보다 작게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협지부(31)에 협지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삽입 통공(28) 내에 형성되는 공동을 작게 할 수 있다.
ㅇ삽입 통공(28)의 직경(D1)은 삽입 통공(28) 및 축재(22)의 몇 등급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mm ≤ (D1-D2)에 두면, 삽입 통공(28) 내에 콘크리트가 충전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D1-D2) ≤ 30mm 정도로 해두면 대체로 삽입 통공(28)의 위치 오차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10mm ≤ (D1-D2) ≤ 30m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같이, 기설 건물(11)에 내진 보강을 위해 설치되는 후시공 앵커 등의 축재(22)들 간의 배치 간격은 대체로 그 축경의 5.5 배 정도 되며 축경이 20mm일 경우 두 축재들(22) 사이의 거리가 90mm 정도가 된다. 따라서 인접한 두 개의 축재(22)가 삽입되는 두개의 삽입 통공(28)이 간섭하지 않기 위해서 D1 ≤ 100mm 정도로 할 필요가 있다.
ㅇ축재(22C) 및 삽입 통공(28C)을 마련하지 않고 모든 축재(22)에 협지부(31) 또는 이탈 방지부(34)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삽입 통공(28) 및 축재(22)의 수는 두 개 이상의 임의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ㅇ축재(22B) 및 삽입 통공(28B)을 형성하고, 삽입 통공(28)에 삽입 통과된 제1 축재(22A)를 제2 단부에 설치된 협지부(31)에 의해 강재(23)와 연결하고, 삽입 통공(28C)에 삽입된 다른 축재(22C)를 삽입 통공(28C) 내에 충전된 콘크리트체(24)에 의해 강재(23)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 경우 삽입 통공(28) 및 축재(22)의 수는 2 이상의 임의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상술한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에 있어서, 이탈 방지 공정을 생략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축재(22A)에 설치된 협지부(31)로 강재(23)를 협지하여 강재(23)의 위치를 적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협지부(31)에 협지되는 강재(23)의 삽입 통공(28A)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는 반면, 협지부(31)를 마련하지 않는 축재(22C)가 삽입된 삽입 통공(28C)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된다. 따라서 삽입 통공(28C) 내에 충전된 콘크리트체(24)에 의해 축재(22C)와 강재(23)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축재(22)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한 정도로 삽입 통공(28)을 확대하여 기설 건물(11)에 삽입된 여러 축재(22)에 강재를 설치할 때의 시공성을 용이하게 확보하면서 축재(22) 및 강재(23)의 콘크리트체(24)와의 일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ㅇ 보강부(21)는 반드시 한 쌍의 기둥체(12)와 한 쌍의 대들보체(13)를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 바디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기둥체(12)만 또는 대들보체(13) 만 따르도록 긴 형상을 가져도 좋고, 기둥체(12)와 대들보체(13)가 교차하는 교차 부분을 하나 갖도록 십자 모양 또는 L 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보강부(21)는 기둥체(12)와 대들보체(13)가 교차하는 교차 부분을 2 내지 3 개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보강부(21)가 긴 형상을 이루는 경우에는 적어도 그 양 단부에 위치하는 축재(22)에 협지부(31)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강부(21)가 기둥체(12)와 대들보체(13)가 교차하는 교차 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그 기둥체(12)와 대들보체(13)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한 축재(22)에는 협지부(3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ㅇ강재(23)에 축재(22)를 삽입하지 않은 관통 구멍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관통 구멍에 콘크리트를 충전함으로써 강재(23)의 콘크리트체(24)와의 일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ㅇ협지부(31) 및 이탈 방지부(34)는 와셔(32)와 너트(33) 이외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셔(32)와 너트(33)를 일체화한 전용 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축재(22)의 제2 단부에 캡(모자) 모양의 이탈 방지부를 설치하여도 좋고, 축재(22)의 제2 단부를 절곡함으로써 이탈 방지부로 하여도 좋다.
ㅇ기설 건물(11)에서 축재(22)를 삽입하는 대상으로 기둥체(12) 및 대들보체(13)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구조벽 등 구조 내력을 지지하는 것으로 설계된 임의의 구조체에 축재(22)를 꽂아 보강부(21)를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예시한 특징이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적이라고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주제는 공개된 특정의 실시예의 모든 특징보다 적은 특징에 존재할 수 있다.
11 ... 기설 건물, 12 ... 기둥체, 13 ... 대들보체, 22 ... 축재, 22A ... 제1 축재, 22B ... 제2 축재, 22C ... 제3 축재, 23 ... 강재, 24 ... 콘크리트체, 28,28A, 28B, 28C ... 삽입 통공, 31 ... 협지부, 34 ... 이탈 방지부
Claims (9)
- 기설 건물에 제1 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축재들과,
상기 복수의 축재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하도록 복수의 삽입 통공들을 갖는 강재와,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 중 일부인 제1 축재의 상기 제2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강재를 협지하는 협지부와,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 중 다른 일부인 제2 축재의 상기 제2 단부에, 상기 강재를 중심으로 상기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설치된 이탈 방지부와,
상기 강재를 그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기설 건물과 일체화된 콘크리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통공에는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상기 축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할 수 있는 틈이 생기도록, 상기 삽통 통공의 직경이 설정되고,
상기 제2 축재가 삽입된 상기 삽입 통공과 상기 제2 축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기설 건물 측으로 개방된 개구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 건물은 3 이상의 상기 축재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강재는 3 이상의 상기 삽입 통공들을 가지며,
상기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는 상기 제2 축재의 수가 상기 협지부가 장착되는 상기 제1 축재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 기설 건물에 제1 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축재들과,
상기 축재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하게 복수의 삽입 통공을 갖는 강재와,
상기 강재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기설 건물과 일체화된 콘크리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통공에는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상기 축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 가능한 틈이 생기도록, 상기 삽입 통공의 직경이 설정되고,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 중의 일부인 제1 축재는 상기 제2 단부에 설치된 협지부에 의해 상기 강재와 연결되고,
상기 축재들 중 다른 일부이며 상기 협지부가 설치되지 않는 제3 축재는, 상기 제3 축재가 삽입된 상기 삽입 통공과 상기 제3 축재 사이에 개방된 2개의 개구들을 통해 충전되는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상기 강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 기설 건물에 제1 단부가 끼워진 3 이상의 축재와,
상기 축재의 제2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관통 가능한 3 이상의 삽입 통공을 갖는 강재와,
상기 강재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기설 건물과 일체화된 콘크리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상기 3 이상의 축재들은, 상기 강재를 협지하는 협지부가 상기 제2 단부에 설치되는 제1 축재와, 상기 제2 단부에 상기 강재를 중심으로 상기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위치한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는 제2 축재와, 상기 이탈 방지부 및 상기 협지부가 설치되지 않는 제3 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재는 상기 기설 건물의 기둥체 및 대들보체에 제1 단부가 끼워져 있고
상기 기둥체와 상기 대들보체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1 축재에 상기 협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상기 기설 건물의 기둥체 및 대들보체에 따르는 위치에 배치되어 프레임 바디를 구성하고, 상기 협지부는 적어도 상기 프레임 바디의 각진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 기설 건물에 복수의 축재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축재 설치 공정과,
강재에 설치된 복수의 삽입 통공에 상기 복수의 축재의 제2 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관통시키는 삽통 공정과,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 중 일부인 제1 축재의 제2 단부에 설치된 협지부에 의해 상기 강재를 협지하는 협지 공정과,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 중 다른 일부인 제2 축재의 제2 단부에, 상기 강재를 중심으로 상기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이탈 방지부를 설치하는 이탈 방지 공정과,
상기 기설 건물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강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통공에는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상기 축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할 수 있는 틈이 생기도록, 상기 삽입 통공의 직경이 설정되어,
상기 타설 공정에서는, 상기 제2 축재가 삽입된 상기 삽입 통공과 상기 제2 축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기설 건물 측으로 개방된 개구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 - 기설 건물에 복수의 축재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축재 설치 공정과,
강재에 설치된 복수의 삽입 통공에 상기 복수의 축재의 제2 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관통시키는 삽통 공정과,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 중 일부인 제1 축재의 제2 단부에 설치된 협지부에 의해 상기 강재를 협지하는 협지 공정과,
상기 기설 건물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강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 중 다른 일부인 제3 축재가 삽입 된 상기 삽입 통공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타설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통공에는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상기 축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할 수 있는 틈이 생기도록, 상기 삽입 통공의 직경이 설정되며,
상기 타설 공정에서는, 상기 축재들 중 상기 협지부가 설치되지 않는 제3 축재가 삽입된 상기 삽입 통공과 상기 제3 축재 사이에 개방된 2개의 개구를 통해 콘크리트가 충전됨으로써, 상기 제3 축재와 상기 강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 - 기설 건물에 3 이상의 축재의 제1 단부를 연결하는 축재 설치 공정과,
강재에 마련된 3 이상의 삽입 통공에 상기 3 이상의 축재의 제2 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관통시키는 삽통 공정과,
상기 삽입 통공에 삽입 관통된 축재들 중 일부인 제1 축재의 제2 단부에 설치된 협지부에 의해 상기 강재를 협지하는 협지 공정과,
상기 축재들 다른 일부이며 상기 협지부가 설치되지 않은 제2 축재의 제2 단부에, 상기 강재를 중심으로 상기 기설 건물의 반대편에 이탈 방지부를 설치하는 이탈 방지 공정과,
상기 3 이상의 축재들 중 또 다른 일부로서 상기 이탈 방지부 및 상기 협지부를 마련하지 않는 제3 축재를 남긴 상태에서, 상기 기설 건물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강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협지부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삽입 통공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타설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181482A JP5694596B1 (ja) | 2014-09-05 | 2014-09-05 | 既設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既設建物の耐震補強方法 |
JPJP-P-2014-181482 | 2014-09-05 | ||
PCT/JP2015/066904 WO2016035411A1 (ja) | 2014-09-05 | 2015-06-11 | 既設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既設建物の耐震補強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9143A KR20160039143A (ko) | 2016-04-08 |
KR101634512B1 true KR101634512B1 (ko) | 2016-06-28 |
Family
ID=5283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2838A KR101634512B1 (ko) | 2014-09-05 | 2015-06-11 |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694596B1 (ko) |
KR (1) | KR101634512B1 (ko) |
WO (1) | WO201603541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88552A (zh) * | 2017-05-19 | 2017-07-28 | 福州大学 | 基于brb的既有钢筋混凝土结构加固构造及其加固方法 |
JP7131952B2 (ja) * | 2018-04-26 | 2022-09-06 | 矢作建設工業株式会社 | 建物の耐震補強構造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45719A (ja) | 1999-06-07 | 2000-12-12 | Yahagi Construction Co Ltd | 既設耐力壁における透設開口部の補強工法 |
JP2006312859A (ja) | 2005-04-06 | 2006-11-16 | Toyohashi Univ Of Technology | 既設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工法 |
JP2011168955A (ja) | 2010-02-16 | 2011-09-01 | Kunimoto Co Ltd | 補強用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51071B2 (ja) | 1996-11-25 | 2000-06-12 | 矢作建設工業株式会社 | 既設建物の耐震補強工法 |
-
2014
- 2014-09-05 JP JP2014181482A patent/JP5694596B1/ja active Active
-
2015
- 2015-06-11 KR KR1020157022838A patent/KR10163451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11 WO PCT/JP2015/066904 patent/WO201603541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45719A (ja) | 1999-06-07 | 2000-12-12 | Yahagi Construction Co Ltd | 既設耐力壁における透設開口部の補強工法 |
JP2006312859A (ja) | 2005-04-06 | 2006-11-16 | Toyohashi Univ Of Technology | 既設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工法 |
JP2011168955A (ja) | 2010-02-16 | 2011-09-01 | Kunimoto Co Ltd | 補強用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9143A (ko) | 2016-04-08 |
JP2016056524A (ja) | 2016-04-21 |
JP5694596B1 (ja) | 2015-04-01 |
WO2016035411A1 (ja) | 2016-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59817A2 (en) | Adjustable system for embedded union of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for building structures,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 union of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
KR101058540B1 (ko) | 철근 볼트 접합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건식 연결부 개발 | |
KR100858963B1 (ko) |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용 연결블록, 그 연결블록이결합된 고강도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 제조방법 및그 연결블록이 결합된 고강도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보와 기둥의 접합 방법 | |
JP2010174474A (ja) |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杭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杭とフーチングとの連結構造 | |
KR101634512B1 (ko) |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 | |
JP2023106618A (ja) | 梁の構造、梁主筋配筋用の支持部材、および梁主筋の配筋方法 | |
JP2004285738A (ja) |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KR20060093889A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 건식 접합구조 | |
JP2008266910A (ja) | 緊張材の定着部または偏向部の突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101389044B1 (ko) | 교량용 강재거더 및 그 제작 방법과, 강재거더를 교각에 강결 설치하는 시공방법 | |
KR101458435B1 (ko) |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WO2015146907A1 (ja) | 梁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躯体 | |
JP4447632B2 (ja) | 梁、および梁と柱の接合構造ならびにその接合方法 | |
KR101530761B1 (ko) | 라멘교의 슬라브 연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1808058B1 (ko) | 정착 강도를 증강시킨 병렬 전단벽 커플링 보 | |
JP2016118013A (ja) | コンクリート構造物 | |
KR101518034B1 (ko) | 자기구속 기능을 가지는 콘크리트 기둥 형성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20140338A (ko) | 구근 형성 연결재를 구비한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JP6964407B2 (ja) | 柱脚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JP6114600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 | |
KR20210000926A (ko) | 기설 건물의 보강체 및 기설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 | |
JP5613465B2 (ja) | 合成梁構造 | |
KR101975561B1 (ko) | 강합성 거더의 모멘트 저감을 위한 보강 구조를 구비한 강거더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교량, 강거더 구조체 제조 방법 및 교량 시공 방법 | |
KR102296206B1 (ko) | 사변분리형 프리캐스트 암거 박스 | |
JP7270095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の混合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