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226B1 -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226B1
KR101634226B1 KR1020140091330A KR20140091330A KR101634226B1 KR 101634226 B1 KR101634226 B1 KR 101634226B1 KR 1020140091330 A KR1020140091330 A KR 1020140091330A KR 20140091330 A KR20140091330 A KR 20140091330A KR 101634226 B1 KR101634226 B1 KR 101634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surfactant
callus
chitos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0224A (ko
Inventor
나희자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1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2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3Free of surfact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페이스트상의 치약에 미세하게 분쇄한 탄산수소나트륨을 함유시켜 치아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계면활성제와 연마제의 역할을 대신함과 동시에 구강위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은 1 내지 20㎛의 탄산수소나트륨 분말, 키토산, 은 용액, 풍란 캘러스를 함유한다.

Description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toothpaste composition of non-surfacta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페이스트상의 치약에 미세하게 분쇄한 탄산수소나트륨을 함유시켜 치아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계면활성제와 연마제의 역할을 대신함과 동시에 구강위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질환과 잇몸질환들은 대개의 경우 음식물 섭취 후 치아세정을 소홀히 하여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음식물을 먹은 후 일정시간 내에 치아를 세정(洗淨)하는 것은 치아 및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적인 요소이다.
치아 세정을 위해 누구나 치약을 이용하여 칫솔질을 한다.
치약은 페이스트 상태, 액체 상태 그리고 분말 형태의 치약이 나와 있으나 주로 페이스트 상태의 치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약은 치석 제거, 심미 효과, 이를 하얗게 하는 기능, 충치 예방, 구취 제거, 치은염 예방 등의 효능 및 효과를 나타내고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된다.
통상적으로 페이스트 상태의 치약은 치석을 제거하기 위한 연마재와, 치약의 형태를 페이스트로 유지하는 점도조절제 및 기포제, 감미제, 치주질환예방제, 습윤제, 보존제, 착향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77981호에는 페이스트상의 치아 미백용 치약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치약 조성물은 연마재로 실리카를 사용하고, 기포제로 폴리옥시에칠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알킬올아미드, 알킬글루코시드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나 N-알킬디아미노 에틸글리신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페이스트 치약의 경우 반드시 실리카나 탄산칼슘과 같은 연마재를 첨가하게 되는데 이는 칫솔질에 의해 치아 법랑질을 손상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식물은 찌꺼기나 기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로 화학적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있어서 구강세포 자극과 독성 문제로 인해 소비자로 하여금 불안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한 치약으로는 액상치약이 공개된 바 있으나 음식물 찌꺼기 제거에 페이스트상 치약보다 효과가 떨어지고 계면활성제 역시 보다 순한 원료를 채택하지만 이 역시 소비자의 기대치에 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77981호: 페이스트상의 치아 미백용 치약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계면활성제와 연마재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탄산수소나트륨 분말을 페이스트 상의 치약에 함유시킴으로써 화학적 계면활성제와 광물 소재의 연마재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는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은 1 내지 20㎛의 탄산수소나트륨 분말, 키토산, 은 용액, 풍란 캘러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치현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과 병풀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탄산수소나트륨을 1 내지 20㎛ 크기로 미세하게 분쇄하여 탄산수소나트륨 분말을 수득하는 미분단계와; 교반기에 상기 탄산수소나트륨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키토산 0.05 내지 5중량부, 은 용액 0.05 내지 3중량부, 풍란 캘러스 0.05 내지 3중량부, 용제 30 내지 300중량부, 습윤제 2 내지 25중량부, 점도조절제 0.2 내지 3중량부, 감미제 0.04 내지 5중량부, 불소화합물 0.08 내지 15중량부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혼합하는 1차교반단계와; 상기 1차 교반 후 혼합물을 가열하여 35 내지 45℃에서 교반하여 혼합하는 2차교반단계와; 상기 2차 교반 후 혼합물을 진공상태에서 탈기시키는 진공탈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교반단계는 상기 교반기에 마치현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과 병풀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더 투입하여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교반단계의 풍란 캘러스는 절단한 풍란의 잎을 배지에서 배양하여 유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세하게 분쇄된 탄산수소나트륨이 계면활성제와 연마재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계면활성제나 연마재를 첨가할 필요가 없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토산, 은 용액, 풍란 캘러스를 첨가하여 구강위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페이스트 상태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탄산수소나트륨 분말, 키토산, 은 용액, 풍란 캘러스를 함유한다. 가령, 탄산수소나트륨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키토산 0.05 내지 5중량부, 은 용액 0.05 내지 3중량부, 풍란 캘러스 0.05 내지 3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용제, 습윤제, 점도조절제, 감미제, 불소화합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탄산의 일수소나트륨염으로서, 백색의 단사정계 결정이다. 탄산수소나트륨은 중조, 산성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소다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서 탄산수소나트륨은 연마재와 기포제의 역할을 한다.
종래의 치약이 실리카나 탄산칼슘과 같은 광물 소재의 연마재를 사용하는 반면에 본 발명은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한다. 또한, 종래의 치약이 기포제로 화학적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반면에 본 발명은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연마재와 기포제로서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산수소나트륨을 미세하게 분쇄한 분말형태로 이용한다. 가령, 탄산수소나트륨은 1 내지 20㎛ 입도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탄산수소나트륨의 입자가 크면(약 200㎛ 이상) 양치시 이물감이 심하고 버석거리는 느낌이 나서 사용감을 저하시킨다. 또한 타액과 만났을 때 탄산수소나트륨이 쉽게 용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탄산수소나트륨의 입자를 1~20㎛로 미세하게 분쇄하여 사용한다.
1~20㎛로 미세하게 분쇄된 탄산수소나트륨은 양치시 구강 내의 타액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물 그리고 나트륨으로 분해가 되면서 열과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된 기포가 계면활성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양치 후 헹굼 시 잔존하는 탄산수소나트륨은 다량의 물과 접촉하면서 완전 분해되어 구강의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키며 개운한 느낌을 향상시킨다.
키토산(chitosan)은 게, 새우 등 갑각류의 껍질에 존재하는 키틴(chitin)을 고온, 강알칼리로 처리하여 탈아세틸화시킨 천연 고분자 물질이다. 키토산은 항균작용(윤영선, 김공수, 이영남 : 키토산의 항세균 및 항진균 활성,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4(1), 8-14, 1999), 면역활성 증강작용(Suzuki, S., Okawa. Y., et al : Immunoadjuvant effect of chitin and chitosan, p.210-212. in Hirano, S. and Tokura, S. (eds), chitin and chitosan, The Japanese Society of Chitin and Chitosan, Tottori University, Tottori.)등의 다양한 생리 기능성을 갖는 물질이다.
키토산은 구강세균의 생육을 억제하여 잇몸 질환을 예방함과 동시에 키토산의 흡착,응집작용에 의하여 구강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키토산으로 수용성 키토산을 이용할 수 있다. 가령, 분자량 10,000~30,000Da의 수용성 키토산을 이용할 수 있다.
키틴을 탈아세틸화시켜 얻은 통상적인 키토산은 분자 내에 수소결합이 매우 강한 아세틸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어서, 물에 용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물에 용해되는 키토산으로 저분자량의 키토산이나 키토올리고당이 있으나, 저분자량의 키토산은 효능이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에 용해가 가능한 수용성 키토산이면서 효과가 우수한 고분자량의 키토산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성 키토산의 일 예로 키틴을 탈아세틸화시켜 얻은 통상적인 키토산(비수용성 키토산)에 카르복실에틸(Carboxyethyl) 그룹을 겹합시킨 카르복실에틸키토산(N-Carboxyethyl Chitosan)이다.
은 용액으로 은 입자가 분산된 은 콜로이드 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은 입자는 마이크로미터 내지는 나노미터 크기이다. 가령, 은 입자는 0.001 내지 0.015㎛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은 용액은 상업화된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류수에서 은 막대를 전기분해시켜 은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은(Ag)은 구강 내에서의 살균력을 강화시켜 세균증식을 억제하여 프라그 제거와 구강 내 질환을 예방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은은 세포 재생 기능을 활성화해 손상된 잇몸 세포를 회복하는데 기여한다.
풍란 캘러스는 절단한 풍란의 잎을 배지에서 배양하여 유도시킨 것이다. 캘러스(callus)는 식물체에서 잘라낸 조직을 옥신을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하거나, 어떤 종류의 식물에 상처를 냈을 때 생긴다. 캘러스는 분화되지 않은 부정형의 세포덩어리로 상처가 났을 때 상처 주변에 생기는 분열조직을 일컫는다.
치약에 첨가된 풍란 캘러스는 세포 증식을 통해 손상된 잇몸의 세포 재생을 촉진시킨다. 추출용매를 가해 추출하는 통상적인 추출물에 비해 풍란 캘러스는 높은 농도의 유용 성분을 함유한다는 점에서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풍란(風蘭; Neofinetia falcata)은 한국(남부제주도), 일본(중부 이서)에 자생하며 소엽(小葉)풍란이라고도 한다. 햇빛이 잘 드는 숲속의 습기가 많은 나무나 암벽에 붙어사는 착생란이다. 자생지의 환경에 따라 잎의 생김새에 변이가 많다. 풍란은 산 속의 물가의 노목이나 바닷가 암벽에 붙어살던 안그레컴(Angreacum) 무리의 난과 상록 다년초로서 바람이 잘 통하는 곳을 좋아한다는 점에서 풍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
캘러스를 유도하기 위한 세포 배양 방법은 공지의 고체배양법이다. 차아염소산 나트륨과 에틸알코올로 표면 살균 처리한 풍란의 잎을 적당한 크기로 자르고 고체 배양용 배지 위에서 무균적으로 배양한다. 배양 수주 후에 잎의 절단면에서 캘러스가 형성되어 자라기 시작하면, 캘러스를 연속적으로 계대배양하여 안정된 캘러스를 확보할 수 있다.
캘러스 유도에 사용되는 고체 배지는 통상적인 캘러스 배양 배지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MS(Murashige & Skoogs) 배지를 기초로 한다. 일 예로, MS배지의 조성(1L 기준시)은 NH4NO3 1650mg, KNO3 1900mg, CaCl2ㆍ2H2O 440mg, MgSO4ㆍ7H2O 370 mg, KH2PO4 170mg, KI 0.83mg, H3BO3 6.2mg, MnSO4ㆍ4H2O 22.3mg, ZnSO4ㆍ7H2O 8.6mg, Na2MoO4ㆍ2H2O 0.25mg, CuSO4ㆍ5H2O 0.025mg, CoCl2ㆍ6H2O 0.025mg, FeSO4ㆍ7H2O 27.8mg, Na2EDTAㆍ2H2O 37.3mg, Myoinositol 100mg, Nicotinic acid 0.5mg, Pyridoxine-HCl 0.5mg, Thiamine-HCl 0.5mg, Glycine 2mg, Sucrose 30000mg 이다.
그리고 상기 MS 배지에 한천(5~10.0g/L), 생장 조절제로서 식물 호르몬 옥신을 첨가하여 고체배지를 조성한다. 옥신으로는 1-나프탈렌아세트산(1-naphthalene acetic acid, NAA)을 사용할 수 있다. 생장 조절제는 0.1~3mg/L 사이의 농도로 적절하게 조절하여 첨가될 수 있다.
배양 온도는 20~25℃가 적당하고, 빛이 있는 명조건 보다 암조건 하에서 세포의 생장이 우수하다. 이러한 조건에서 고체 배지에서 생장하는 캘러스 세포를 4 내지 5주마다 새로운 고체 배지에 계대배양하여 세포의 양을 늘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양하여 수득한 풍란 캘러스는 액체질소 상에서 곱게 갈아서 분쇄한 형태로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풍란 캘러스 분쇄물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용매를 가해 추출한 추출물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시중에서 상업화된 풍란 캘러스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용제로 정제수와 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용제는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300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습윤제로 D-솔비톨, 글리세린, 펜틸렌글리콜, 1.3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습윤제는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25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점도조절제로 카르복시 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잔탄검,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구아검, 카보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점도조절제는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2 내지 3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감미제로 자일리톨, 사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 아스파탐, 아세셜팜K, L-멘톨, 스테비오사이드, 모노소듐글루타메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감미제는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4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불소화합물로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불소화합물은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8 내지 15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그리고 불소화합물 대신 염화세틸피리디늄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통상적인 치주질환 예방제, 치석 침착 예방제, 잇몸출혈 방지제, 구취 예방제, 보존제, 착향제 등이 더 첨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치주질환 예방제는 알란토인, 알란토인 클로르히드록시 알루미늄, 클리칠리친산디칼륨, 트라넥사믹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치주질환 예방제는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8 내지 8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치석 침착 예방제는 피로인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치석 침작 예방제는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8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잇몸출혈 방지제는ε-아미노카프론산을 사용할 수 있다. 잇몸출혈 방지제는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8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구취 예방제는 히노끼치올,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라이소자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구취 예방제는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3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착향제는 페파민트유, 스피아민트유, 애플민트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착향제는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8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보존제는 안식향산나트륨, 벤조산메칠, 벤조산프로필,자몽종자추출물, 페녹시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보존제는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8 내지 3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치약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마치현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과 병풀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다. 이경우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추출물 1 내지 15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마치현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과 병풀 추출물 중 둘 이상을 동일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5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추출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추출방법 중의 하나로 추출대상식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얻을 수 있다. 추출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가 알코올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추출의 일 예로 추출대상식물에 대하여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한 후 10 내지 15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 또는 온침 추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환류냉각추출, 초음파 추출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 분무건조 방식 등을 통해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치현은 갖가지 악창(惡瘡)과 종기를 치료하는 데 효능이 있는 약초이다. 마치현 추출물은 항균, 잇몸 출혈 억제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감초 추출물은 구강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병풀 추출물은 상처 회복 촉진, 염증 완화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예로서 갓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산수소나트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갓 추출물 2 내지 6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갓 추출물은 항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치약의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갓 특유의 맛에 의해 양치 후 입안을 개운하게 한다.
갓(Brassica juncea )은 겨자과에 속하는 경엽채소류 중의 하나로서, 갓의 잎은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김치의 재료로 식용되고 있고 그 씨는 향신료로 사용되고 있다. 갓 잎은 특유의 매운 맛과 향을 낸다. 갓은 생갓을 이용하거나 끓는 물에 데친 갓을 이용할 수 있다. 데친 갓은 갓의 강한 향과 맛을 감소시킨다.
갓 추출물은 상술한 마치현 추출물, 감초 추출물, 병풀 추출물의 추출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가령, 데친 갓에 대하여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한 후 10 내지 15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 또는 온침 추출 방법을 적용하여 추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계면활성제와 연마재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탄산수소나트륨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에 사용되던 화학적 계면활성제와 광물 소재의 연마재가 함유되어 있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탄산수소나트륨을 1 내지 20㎛ 크기로 미세하게 분쇄하여 탄산수소나트륨 분말을 수득한다. 분쇄시 볼 밀이나 에어제트 밀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반기에 탄산수소나트륨 분말과 기타 재료들을 투입하여 1차 교반한다.
교반기에 탄산수소나트륨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키토산 0.05 내지 5중량부, 은 용액 0.05 내지 3중량부, 풍란 캘러스 0.05 내지 3중량부, 용제 30 내지 300중량부, 습윤제 2 내지 25중량부, 점도조절제 0.2 내지 3중량부, 감미제 0.04 내지 5중량부, 불소화합물 0.08 내지 15중량부를 투입한다.
교반기에 투입 후 10 내지 30분 동안 골고루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1차 교반 후, 교반기 내부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35 내지 45℃로 승온시킨 상태에서 2차로 교반한다. 상기 온도범위 이내의 가열은 재료들의 혼합을 촉진시킨다. 45℃를 초과하면 재료들의 산패가 급격히 빨라지기 때문에 2차 교반시 온도는 45℃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 교반시간은 40 내지 80분이 바람직하다. 교반시간이 40분 미만이면 원료의 균일한 혼합이 어렵고, 80분을 초과하면 열이 발생해 원료의 변질이 우려된다.
2차 교반 후 혼합물을 진공상태에서 탈기시킨다. 교반과정에서 발생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변질을 막는다.
이를 위해 패들믹서에 혼합물을 투입한 후 100rpm 속도로 교반하면서 압력 720mmHg, 온도 40℃, 시간 60분의 조건으로 진공 탈기시킨다.
진공탈기 후 제조된 치약 조성물은 실온(20~30℃)에서 냉각시킨 다음 하루 정도 실온에서 저장하여 안정화시킨다. 안정화시킨 치약 조성물은 검사 후 포장용기에 충진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1차교반 과정에서 교반기에 치주질환 예방제, 치석 침착 예방제, 잇몸출혈 방지제, 구취 예방제, 보존제, 착향제를 더 투입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교반 과정에서 교반기에 마치현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과 병풀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더 투입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교반 과정에서 교반기에 갓 추출물을 더 투입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탄산수소나트륨을 1 내지 20㎛ 크기로 미세하게 분쇄하여 탄산수소나트륨 분말을 수득하는 미분단계와;
    교반기에 상기 탄산수소나트륨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인 카르복실에틸키토산 0.05 내지 5중량부, 은 용액 0.05 내지 3중량부, 풍란 캘러스 0.05 내지 3중량부, 용제 30 내지 300중량부, 습윤제 2 내지 25중량부, 점도조절제 0.2 내지 3중량부, 감미제 0.04 내지 5중량부, 불소화합물 0.08 내지 15중량부, 갓 추출물 2 내지 6중량부를 투입한 후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하는 1차교반단계와;
    상기 1차 교반 후 혼합물을 가열하여 35 내지 45℃에서 40 내지 8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하는 2차교반단계와;
    상기 2차 교반 후 혼합물을 온도 40℃ 및 압력 720mmHg에서 60분 동안 교반하여 탈기시키는 진공탈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교반단계의 풍란 캘러스는 절단한 풍란의 잎을 배지에서 배양하여 유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40091330A 2014-07-18 2014-07-18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634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330A KR101634226B1 (ko) 2014-07-18 2014-07-18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330A KR101634226B1 (ko) 2014-07-18 2014-07-18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224A KR20160010224A (ko) 2016-01-27
KR101634226B1 true KR101634226B1 (ko) 2016-06-28

Family

ID=5530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330A KR101634226B1 (ko) 2014-07-18 2014-07-18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2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451A (ko) * 2019-10-22 2021-04-30 (주)성원화장품 도꼬마리 및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내 염증 개선용 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22954B1 (ko) * 2023-09-13 2024-01-09 강병조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치약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170B1 (ko) * 2016-02-26 2021-11-08 (주)오케이바이오 치약조성물
KR102137733B1 (ko) * 2020-01-22 2020-07-24 김충국 순지트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CN111557877B (zh) * 2020-06-24 2021-05-11 三椒口腔健康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积雪草提取物的牙膏及其制备方法
CN111888308B (zh) * 2020-08-04 2022-05-03 北京华素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预防口腔溃疡和加速口腔粘膜修复的牙膏及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9437A (ja) * 2003-03-10 2004-09-30 Nissen Techno:Kk 歯磨き剤
KR100931768B1 (ko) * 2009-05-25 2009-12-14 (주)바이오에프디엔씨 난초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491A (ko) * 2002-08-10 2002-08-27 배병철 젤 은용액 치약
KR100877981B1 (ko) 2007-08-23 2009-01-12 (주)아모레퍼시픽 페이스트상의 치아 미백용 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9437A (ja) * 2003-03-10 2004-09-30 Nissen Techno:Kk 歯磨き剤
KR100931768B1 (ko) * 2009-05-25 2009-12-14 (주)바이오에프디엔씨 난초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451A (ko) * 2019-10-22 2021-04-30 (주)성원화장품 도꼬마리 및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내 염증 개선용 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64900B1 (ko) 2019-10-22 2022-02-17 (주)성원화장품 도꼬마리 및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내 염증 개선용 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22954B1 (ko) * 2023-09-13 2024-01-09 강병조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치약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224A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226B1 (ko) 무 계면활성제 치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N102764207B (zh) 普洱茶牙膏及其制备方法
US8435499B2 (en) Toothpowder composition containing wheat flour and bamboo salt
JP2006335698A (ja) 育毛剤
KR101544896B1 (ko) 천년초 분말과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997615A (zh) 一种天然可食性儿童漱口液及其制备方法
JP4286906B1 (ja) 伝統韓薬材を主成分とする粉末歯磨き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576961A (zh) 一种沉香牙膏及其制备方法
KR102299387B1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CN105596260A (zh) 椰子牙膏
KR102055301B1 (ko) 발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832614B (zh) 一种天然可食性儿童牙膏及制备方法
CN106265383A (zh) 一种儿童漱口水及其制备方法
KR101048760B1 (ko) 매스틱 수지 수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매스틱 수지 수용액 및 그의 용도
CN102335111B (zh) 含有银粒子的粉末牙膏组合物及其制造方法
JP5656375B2 (ja) 抗菌剤、及び抗菌性向上方法
JP7193788B2 (ja) 歯肉組織細胞への歯周病菌の侵入抑制剤
CN107737083A (zh) 一种儿童牙膏及其制备方法
CN109350556A (zh) 一种防龋齿牙膏及其制备方法
KR102230888B1 (ko) 치약 조성물
KR101423552B1 (ko) 건조트러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906023A (zh) 口腔牙齿清洁剂
JP2005179219A (ja) 皮膚外用剤
KR101627825B1 (ko) 갑오징어뼈를 이용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282840A (ja) 浄化水とその製造方法及び用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