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023B1 - 굴착 클로 및 굴착 클로용 보디 - Google Patents

굴착 클로 및 굴착 클로용 보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023B1
KR101634023B1 KR1020147020774A KR20147020774A KR101634023B1 KR 101634023 B1 KR101634023 B1 KR 101634023B1 KR 1020147020774 A KR1020147020774 A KR 1020147020774A KR 20147020774 A KR20147020774 A KR 20147020774A KR 101634023 B1 KR101634023 B1 KR 101634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t layer
face
pair
claw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151A (ko
Inventor
에이지 아마다
다카노리 나가타
겐이치 다나카
다이지로 이토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11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58Teeth characterised by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5Teeth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Abstract

굴착 클로(100)는, 보디(10)와, 내마모층(20)을 구비하고 있다. 내마모층(20)은 보디(10)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다. 보디(10)는, 선단면(11)과, 제1 면(12) 및 제2 면(13)과, 한 쌍의 제1 경사면(14)과,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을 포함하고 있다. 내마모층(20)은, 제1 내마모층부(21)와, 제2 내마모층부(2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내마모층부(21)는 선단면(11)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내마모층부(22)는 한 쌍의 제1 경사면(14) 및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의 각각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굴착물에의 날끝의 관입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굴착 클로 및 굴착 클로용 보디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굴착 클로 및 굴착 클로용 보디{EXCAVATOR CLAW AND BODY FOR EXCAVATOR CLAW}
본 발명은, 그라운드·인게이징·툴인 굴착 클로, 및 그 굴착 클로를 위한 보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압 셔블 등의 굴착 토공을 행하는 작업 기계에 있어서, 예컨대 버킷의 선단에 굴착용의 클로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클로 부재의 날끝은, 굴착 시에 지면 및 암반 등의 피굴착물에 관입한다. 관입 시의 피굴착물과의 마찰에 의해 클로 부재는 마모된다.
그래서, 부재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굴착 클로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92208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굴착 클로의 상면 및 바닥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 내마모층을 형성함으로써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굴착 클로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92208호 공보
그런데, 굴착 클로는, 전체로서 쐐기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날끝은 굴착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직선부를 갖는다. 이 직선부가 "날"로서 피굴착물을 "절단"하기 때문에, 관입력이 생긴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굴착 클로에서는, 굴착 작업에 따른 전체로서의 마모량은 억제되지만, 날끝의 양 측부의 마모가 진행되기 때문에, 날끝의 직선 부분의 길이가 짧아진다. 단적으로 말하면, 굴착함에 따라서, 굴착 클로의 날끝의 형상이 둥그레진다. 이 결과, 날끝의 마모량이 적어짐에도 불구하고 피굴착물에의 날끝의 관입력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피굴착물에의 날끝의 관입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굴착 클로 및 굴착 클로용 보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굴착 클로는, 보디와, 내마모층을 구비하고 있다. 보디는 일단 및 타단을 갖는다. 내마모층은 보디 상에 형성되며, 보디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다. 보디는, 선단면과, 제1 면 및 제2 면과, 한 쌍의 제1 경사면과, 한 쌍의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있다. 선단면은 일단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면 및 제2 면은 각각이 선단면으로부터 타단측까지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 쌍의 제1 경사면은 각각이 선단면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선단면에 있어서 제1 면과의 사이에서 둔각을 구성한다. 한 쌍의 제2 경사면은 각각이 선단면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선단면에 있어서 제2 면과의 사이에서 둔각을 구성한다. 내마모층은, 제1 내마모층부와, 제2 내마모층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내마모층부는 선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내마모층부는 한 쌍의 제1 경사면 및 한 쌍의 제2 경사면의 각각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굴착 클로에 따르면, 선단면과 그 선단면의 측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경사면과 제1 및 제2 내마모층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날끝의 선단과 그 측부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굴착 클로의 날끝의 형상이 둥그레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날끝의 직선부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피굴착물에의 날끝의 관입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굴착 클로에 있어서는, 선단면은 6각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선단면이 4각 형상인 경우에 비해서 선단면의 각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선단면의 각이 마모에 의해 마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모에 의해 선단면의 형상이 둥글게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굴착 클로에 있어서는, 내마모층은,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3 내마모층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마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굴착에 따르는 굴착 클로 전체로서의 마모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굴착 클로에 있어서는, 제2 및 제3 내마모층부가 보디의 일단측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날끝측의 보디의 주위가 마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굴착 클로의 날끝 형상이 둥그레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초기의 날끝 형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관입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굴착 클로는, 보디와, 내마모층을 구비하고 있다. 보디는 일단과, 일단에 마주하는 타단을 가지며, 타단의 단부면에 구멍을 갖는다. 내마모층은 보디 상에 형성되며, 보디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다. 선단면은 일단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면 및 제2 면은 각각이 선단면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 쌍의 제1 경사면은 각각이 선단면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제1 면과의 사이에서 둔각을 구성하도록 제1 면의 선단면을 따르는 변의 양 단부의 각각에 연결된다. 한 쌍의 제2 경사면은 각각이 선단면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제2 면과의 사이에서 둔각을 구성하도록 제2 면의 선단면을 따르는 변의 양 단부의 각각에 연결된다. 선단면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경사면과 한 쌍의 제2 경사면은 서로 연결된다. 내마모층은, 제1 내마모층부와, 제2 내마모층부와, 제3 내마모층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내마모층부는 선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내마모층부는 한 쌍의 제1 경사면 및 한 쌍의 제2 경사면의 각각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3 내마모층부는 제1 면 및 제2 면의 각각의 일단측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굴착 클로에 따르면, 선단면과 그 선단면의 측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경사면과 제1 및 제2 내마모층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날끝의 선단과 그 측부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굴착 클로의 날끝의 형상이 마모에 의해 둥그레지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피굴착물에의 날끝의 관입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내마모층부가 제1 및 제2 면의 각각의 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면 및 제2 면이 마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굴착 클로의 날끝의 마모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선단면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경사면과 한 쌍의 제2 경사면은 서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면은 6각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선단면의 각의 마모를 억제하여, 선단면의 형상을 초기와 닮은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굴착 클로용 보디는, 일단 및 타단과, 평탄한 선단면과, 제1 면 및 제2 면과, 한 쌍의 평탄한 제1 경사면과, 한 쌍의 평탄한 제2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선단면은 일단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면 및 제2 면은 각각이 선단면으로부터 타단측까지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 쌍의 제1 경사면은 각각이 선단면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선단면에 있어서 제1 면과의 사이에서 둔각을 구성한다. 한 쌍의 제2 경사면은 각각이 선단면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선단면에 있어서 제2 면과의 사이에서 둔각을 구성한다. 제1 면 및 제2 면 및 한 쌍의 제1 경사면 및 한 쌍의 제2 경사면으로 둘러싸인 선단면은 6각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굴착 클로용 보디에 따르면, 선단면과 그 선단면의 측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경사면이 평탄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내마모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내마모층을 형성함으로써 날끝의 선단과 그 측부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굴착 클로의 날끝의 형상이 둥그레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피굴착물에의 날끝의 관입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단면이 6각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마모층을 형성하면, 선단면의 각의 마모를 억제하여, 선단면의 형상을 초기와 유사한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굴착물에의 날끝의 관입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셔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버킷의 굴착 클로의 부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굴착 클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일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굴착 클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타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굴착 클로용 보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선을 따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VII-VII선을 따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보디와 내마모층의 접합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버킷의 굴착 클로 간(間) 프로텍터 및 굴착 클로의 부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 가능한 작업 기계의 일례인 유압 셔블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굴착 클로를 구비한 작업 기계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압 셔블(1)은,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와, 작업기(4)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하부 주행체(2)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벨트(2a)가 회전함으로써 자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4)는,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에 기복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이 작업기(4)는, 붐(4a), 아암(4b), 버킷(4c), 유압 실린더(4d) 등을 갖는다.
상기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로, 작업 차량 본체가 주로 구성된다. 상부 선회체(3)는, 전방 좌측(차량 전측)에 캡(5)을 가지고, 후방측(차량 후측)에 엔진을 수납하는 엔진 룸(6)이나, 카운터 웨이트(7)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의 전후·좌우는, 캡(5) 내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버킷(4c)의 굴착 클로(100)의 부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버킷(4c)의 일단에 복수의 굴착 클로(100)가 부착되어 있다. 굴착 클로(100)는 작업기(4)의 아암(4b)의 선단에 장착된 버킷(4c)에 의해 굴착을 행하기 위해 버킷(4c)의 굴착 부분의 선단에 부착된 클로형의 부재이다.
복수의 굴착 클로(100)의 각각은 버킷(4c)의 어댑터(42)에 부착핀 조립체(43)로 부착되어 있다. 부착핀 조립체(43)는 굴착 클로(100)가 어댑터(42)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부착하기 위한 부재이다. 부착핀 조립체(43)는, 부착핀 유닛과, 볼트와, 와셔와, 부시를 갖는다. 어댑터(42)의 폭 방향으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과 후술하는 굴착 클로(100)의 관통 구멍(17)에 부착핀 조립체(43)가 연통함으로써 굴착 클로(100)는 어댑터(42)에 유지되어 있다.
도 3∼도 5를 참조하면, 굴착 클로(100)는, 보디(10)와, 내마모층(20)을 주로 갖는다. 보디(10)는 일단(10a) 및 타단(10b)을 갖는다. 일단(10a)은 굴착 클로(100)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타단(10b)은 굴착 클로(100)의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타단(10b)은 일단(10a)에 마주하고 있다. 굴착 클로(100)는 선단을 향하여 얇아지도록 쐐기형의 외형을 갖는다.
보디(10)는, 선단면(11)과, 제1 면(12) 및 제2 면(13)과, 한 쌍의 제1 경사면(14)과, 한 쌍의 제2 경사면(15)과, 한 쌍의 측면(16)과, 한 쌍의 관통 구멍(17)과, 구멍(18)을 갖는다. 제1 경사면(14)과 제2 경사면(15)과 측면(16)에 의해, 굴착 클로(100), 혹은 보디(10)의 측부가 형성된다.
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면(11)은 일단(10a)에 위치하고 있다. 선단면(11)은 평탄한 평면 형상을 갖는다. 선단면(11)은 6각 형상을 갖는다. 선단면(11)은 제1 면(12) 및 제2 면(13) 및 한 쌍의 제1 경사면(14) 및 한 쌍의 제2 경사면(15)으로 둘러싸여 있다. 전술한 6각 형상은, 각 변이 직선형이며, 제1 면(12)과 연결되는 변과 제2 면(13)과 연결되는 변의 간격이 좁은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제1 면(12)과 연결되는 변과 제2 면(13)이 연결되는 변은 길이가 동일하며, 제1·제2 경사면과 연결되는 4변은, 길이가 같고, 그 길이는 제1 면(12)과 연결되는 변의 길이보다 짧다.
제1 면(12) 및 제2 면(13)은, 각각이 선단면(11)[일단(10a)]으로부터 타단(10b)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면(12) 및 제2 면(13)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1 면(12)과 제2 면(13)의 간격은, 일단(10a)으로부터 타단(10b)을 향하여, 대략 확대되어 있다. 제1 면(12) 및 제2 면(13)의 일단측은,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경사면(14)은, 각각이 선단면(11)으로부터 타단(10b)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경사면(14)은, 제1 면(12)과의 사이에서 둔각을 구성하도록 제1 면(12)의 선단면(11)을 따르는 변의 양 단부의 각각에 연결된다. 한 쌍의 제1 경사면(14)은, 직사각형에 가까운 오각형 형상을 갖는 평탄한 면이다. 한 쌍의 제1 경사면(14)의 일단(10a)으로부터 타단(10b)을 향하는 방향의 길이는, 굴착 클로(100)의 길이의 약 40%이다.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은, 한 쌍의 제1 경사면(14)과 대칭인 평탄한 면이다.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은, 각각이 선단면(11)으로부터 타단(10b)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은, 선단면에 있어서 제2 면(13)과의 사이에서 둔각을 구성하도록 제2 면(13)의 선단면(11)을 따르는 변의 양 단부의 각각에 연결된다. 선단면(11) 및 선단면(11)에 근접하는 부위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경사면(14)과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은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1 경사면(14)과 제2 경사면(15)이 직접 연결되지 않는 부위에서는, 양자는, 후술하는 측면(16)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면(12) 및 제2 면(13)의 각각과 교차하도록 보디(10)의 양측에 측면(16)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16)은 대략 평탄한 면이며, 일부는 제1 경사면(14)과 제2 경사면(15) 사이에 위치한다. 양측의 측면(16)에는 각각 관통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타단(10b)의 단부면에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18)은 타단(10b)으로부터 일단(10a) 방향을 향하여 보디(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7)은 구멍(18)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멍(18)에 어댑터(42)가 삽입된 상태로 부착핀 조립체(43)가 관통 구멍(17)에 삽입됨으로써 굴착 클로(100)는 버킷(4c)에 장착된다.
주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마모층(20)은 보디(10)보다 높은 경도와 내마모성을 갖는다. 보디(10)의 재질은, 예컨대 탄소 함유량이 0.2 중량% 이상 0.4 중량% 이하의 저합금강(망간강이나 크롬몰리브덴강 등)이며, 담금질 뜨임에 의해 경도를 HRC 45 이상 50 이하 정도로 한 것이 이용된다. 내마모층(20)의 경도는, 층 내에 분산되는 경질 입자(20b)에 의존하여, 대략 HRC 80 내지 100이다.
내마모층(20)은, 제1 내마모층부(21)와, 제2 내마모층부(22)와, 제3 내마모층부(23)를 갖는다. 또한, 내마모층(20)은 적어도 제1 내마모층부(21) 및 제2 내마모층부(22)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 내마모층(20)은, 보디(10) 상에 오버레이 용접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내마모층부(21)는 선단면(11)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내마모층부(21)는 선단면(11)을 따라 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내마모층부(21)는 선단면(11)에 맞추어 6각 형상을 갖는다.
제2 내마모층부(22)는 한 쌍의 제1 경사면(14) 및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의 각각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내마모층부(22)의 각각은, 제1 경사면(14) 및 제2 경사면(15)의 각각을 따라 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내마모층부(22)의 각각은, 날끝에 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제2 내마모층부(22)는, 선단면(11)으로부터 1 ㎜ 이상 3 ㎜ 이하 떨어져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라도 제2 내마모층부(22)는 날끝에 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1 내마모층부(21)의 제1 면(12)과 제2 면(13)이 대향하는 방향(짧은 방향)의 폭 및 제2 내마모층부(22)의 선단면(11)으로부터 타단(10b)측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짧은 방향)의 폭은 10 ㎜ 이상 50 ㎜ 이하의 치수를 갖는다. 또한, 이들 폭은 15 ㎜ 이상 35 ㎜ 이하의 치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3 내마모층부(23)는 제1 면(12) 및 제2 면(13)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제3 내마모층부(23)는 제1 면(12) 및 제2 면(13)의 각각에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제3 내마모층부(23)는 제1 면(12) 및 제2 면(13)의 선단면(11)에 가까운 부위에, 일단(10a)을 따라 각각 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내마모층부(23)의 각각은, 날끝에 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내마모층부(23)는, 선단면(11)으로부터 1 ㎜ 이상 3 ㎜ 이하 떨어져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라도 제3 내마모층부(23)는 날끝에 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내마모층부(23)는 제1 면(12) 및 제2 면(13)의 양면에 형성되지만,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혹은 제3 내마모층부(23)는, 생략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면, 제1 및 제2 면의 일단측, 제1 및 제2 경사면은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지만, 기하적으로 완전하게 평탄한 면일 필요는 없다. 후술하는 내마모층 형성에 문제점이 없을 정도로 평탄하면 좋다.
또한, 제1 내마모층부(21)와, 제2 내마모층부(22)와, 제3 내마모층부(23)는 각각 예컨대 4 ㎜ 이상 7 ㎜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내마모층부(22) 및 제3 내마모층부(23)는 보디(10)의 일단(10a)측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내마모층부(22) 및 제3 내마모층부(23)는 보디(1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제2 내마모층부(22) 및 제3 내마모층부(23)에 의해, 대략 보디(10)의 주위가 둘러싸여 있는 것을 의미하며, 제2 내마모층부(22)와 제3 내마모층부(23) 사이에 간극이 생겨도 좋다. 이 간극의 치수는 예컨대 1 ㎜ 이상 3 ㎜ 이하여도 좋다. 제2 내마모층부(22)와 제3 내마모층부(23)가 단속적으로 보디(10)의 주위를 둘러싸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보디(10)의 각에 제2 내마모층부(22)와 제3 내마모층부(23)를 용접 가능하면, 제2 내마모층부(22)와 제3 내마모층부(23)가 보디(10)의 주위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내마모층부(21)와 제2 내마모층부(22) 사이에 간극이 생겨도 좋다. 또한, 제1 면(12)에 있어서 2개의 제2 내마모층부(22)는 서로의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 면(13)에 있어서 2개의 제2 내마모층부(22)는 서로의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제3 내마모층부(21∼23)의 각각은 외주연부에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경사면(14)은 측면(16)에 대하여 각도 θ로 경사져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경사면(15)은 측면(16)에 대하여 각도 θ로 경사져 있다. 각도(θ)는 예컨대 45도이다. 또한, 제2 내마모층부(22)의 각각은, 제1 면(12) 및 제2 면(13)보다 외방으로 뻗어 있다.
계속해서, 도 8을 참조하면, 보디(10)와 내마모층(20)의 접합 부분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는, 보디(10)의 선단면(11)에 내마모층(20)이 형성된 상태의 시료가 나타나 있다. 내마모층(20)은, 용접재(20a)와, 경질 입자(20b)를 갖는다. 경질입자(20b)는 용접재(20a) 내의 전체에 분포되어 있다.
내마모층(20)은, 예컨대 아크 전극에 의한 용접재(20a)의 용융지에 입경 0.5 ㎜∼4 ㎜의 WC-7% Co 입자로 이루어지는 경질 입자(20b)를 공급하여 표면 경화된다. 용접재(20a)로서는 예컨대 연철이 이용된다. 경질 입자(20b)로서는 탄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탄화물로서는, TiC, ZrC, HfC(IVB족) VC, NbC, TaC(VB족) Mo2C, W2C, WC(VIB족) 등을 들 수 있다.
선단면(11)은 본래, 평면(도 8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마모층(20)은 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선단면(11)에 용접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면(11)은 용접 시에 용융하며, 내마모층(20)과 혼합된다. 이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마모층(20)이 형성된 후의 선단면(11)은 내마모층(20)측을 향하여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유압 셔블의 버킷(4c)에 굴착 클로(100)가 이용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불도저나 휠 로더 등의 작업 기계의 프론트 부분에 장착되는 버킷에 굴착 클로(100)가 이용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버킷(50)은, 굴착 부분에 있어서의 선단에, 복수의 굴착 클로(100)와, 복수의 굴착 클로 간 프로텍터(보호 부재, 굴착구)(5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분해된 굴착 클로(100) 이외는 간략화하여 도시되어 있다.
버킷(50)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에 형성된 삽입부(50a)가 굴착 클로(100)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굴착 클로(100)의 관통 구멍(17)과 삽입부(50a)의 관통 구멍(50aa)에 부착핀 조립체(53)가 삽입됨으로써, 굴착 클로(100)가 삽입부(50a)에 대하여 유지된다.
굴착 클로 간 프로텍터(52)는, 복수의 굴착 클로(100) 사이에 각각 부착되어 있고, 버킷(50)의 엣지 부분을 보호하는 부재로서, 상기 굴착 클로(10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공동부(구멍)를 갖는다. 그리고, 버킷(50)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에 형성된 삽입부(50b)가, 굴착 클로 간 프로텍터(52) 내부의 공동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굴착 클로 간 프로텍터(52)의 관통 구멍(52a)과 삽입부(50b)의 관통 구멍(50ba)에 부착핀 조립체(54)가 삽입됨으로써, 굴착 클로 간 프로텍터(52)가 삽입부(50b)에 대하여 유지된다. 부착핀 조립체(53, 54)는, 상기 부착핀 조립체(43)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굴착 클로(100)에 따르면, 선단면(11)과 그 선단면(11)의 측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경사면(14, 15)과 제1 및 제2 내마모층부(21, 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날끝의 선단과 그 측부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굴착 클로(100)의 날끝의 형상이 둥그레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날끝의 직선부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피굴착물에의 날끝의 관입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굴착 클로에 있어서는, 선단면(11)은 6각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선단면(11)이 4각 형상인 경우에 비해서 선단면(11)의 측부의 각에 가해지는 압력을 내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선단면의 각이 마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2 내마모층부(22)가 한 쌍의 제1 경사면(14) 및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의 각각의 위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굴착 클로(100)에 있어서는, 제1 면(12) 및 제2 면(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3 내마모층부(2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면(12) 및 제2 면(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마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굴착 클로(100)의 일단(10a)으로부터 타단(10b)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굴착 클로(100)에 있어서는, 제2 내마모층부(22) 및 제3 내마모층부(23)가 보디(1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디(10)의 주위가 마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굴착 클로(100)의 날끝의 폭 및 두께가 좁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굴착 클로(100)에 있어서는, 제3 내마모층부(23)가 제1 및 제2 면(12, 13)의 각각의 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면(12) 및 제2 면(13)이 마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굴착 클로(100)의 날끝의 두께가 좁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선단면(11)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경사면(14)과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은 서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면은 6각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제2 내마모층부(22)가 한 쌍의 제1 경사면(14) 및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의 각각의 위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굴착 클로용 보디(10)에 따르면, 선단면(11)과 그 선단면(11)의 측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경사면(14, 15)과 내마모층(20)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내마모층(20)을 형성함으로써 날끝의 선단과 그 측부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굴착 클로(100)의 날끝의 형상이 둥그레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날끝의 직선부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피굴착물에의 날끝의 관입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단면(11)이 6각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제1 경사면(14), 및 한 쌍의 제2 경사면(15)으로부터 내마모층(20)이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금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작업 기계에 이용되는 굴착 클로 및 그 보디에 특히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1 유압 셔블, 2 하부 주행체, 2a 크롤러 벨트, 3 상부 선회체, 4 작업기, 4a 붐, 4b 아암, 4c, 50 버킷, 4d 유압 실린더, 5 캡, 6 엔진 룸, 7 카운터 웨이트, 10 보디, 10a 일단, 10b 타단, 11 선단면, 12 제1 면, 13 제2 면, 14 제1 경사면, 15 제2 경사면, 16 측면, 17, 32a, 32c, 33a, 50aa, 50ba, 52a 관통 구멍, 18 구멍, 20 내마모층, 20a 용접재, 20b 경질 입자, 21 제1 내마모층부, 22 제2 내마모층부, 23 제3 내마모층부, 43, 53 부착핀 조립체, 42 어댑터, 43 핀 조립체, 50a, 50b 삽입부, 52 굴착 클로 간 프로텍터, 100 굴착 클로.

Claims (6)

  1. 일단(10a) 및 타단(10b)을 갖는 보디(10)와,
    상기 보디(10)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보디(10)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내마모층(20)을 구비하고,
    상기 보디(10)는,
    상기 일단(10a)에 위치하는 선단면(11)과,
    각각이 상기 선단면(11)으로부터 상기 타단(10b)까지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는 제1 면(12) 및 제2 면(13)과,
    각각이 상기 선단면(11)으로부터 상기 타단(10b)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선단면(11)에 있어서 각각 상기 제1 면(12)과 둔각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제1 경사면(14)과,
    각각이 상기 선단면(11)으로부터 상기 타단(10b)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상기 선단면(11)에 있어서 각각 상기 제2 면(13)과 둔각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을 포함하고,
    상기 내마모층(20)은,
    상기 선단면(11)에 형성된 제1 내마모층부(21)와,
    상기 한 쌍의 제1 경사면(14) 및 상기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의 각각의 위에 형성된 제2 내마모층부(22)를 포함하는 것인 굴착 클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면(11)이 6각 형상을 갖는 것인 굴착 클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층(20)은, 상기 제1 면(12) 및 제2 면(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3 내마모층부(23)를 포함하는 것인 굴착 클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내마모층부(22, 23)가 상기 보디(10)의 상기 일단(10a)측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굴착 클로.
  5. 일단(10a)과, 상기 일단에 마주하는 타단(10b)을 갖고, 상기 타단의 단부면에 구멍을 갖는 보디(10)와,
    상기 보디(10)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보디(10)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내마모층(20)을 구비하고,
    상기 보디(10)는,
    상기 일단(10a)에 위치하는 선단면(11)과,
    각각이 상기 선단면(11)으로부터 상기 타단(10b)까지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는 제1 면(12) 및 제2 면(13)과,
    각각이 상기 선단면(11)으로부터 상기 타단(10b)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각각이 상기 제1 면(12)과 둔각을 구성하도록 상기 제1 면(12)의 상기 선단면(11)을 따르는 변의 양 단부의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경사면(14)과,
    각각이 상기 선단면(11)으로부터 상기 타단(10b)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각각이 상기 제2 면(13)과 둔각을 구성하도록 상기 제2 면(13)의 상기 선단면(11)을 따르는 변의 양 단부의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을 포함하고,
    상기 선단면(1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경사면(14)과 상기 한 쌍의 상기 제2 경사면(15)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내마모층(20)은,
    상기 선단면(11)에 형성된 제1 내마모층부(21)와,
    상기 한 쌍의 제1 경사면(14) 및 상기 한 쌍의 제2 경사면(15)의 각각의 위에 형성된 제2 내마모층부(22)와,
    상기 제1 면(12) 및 제2 면(13)의 각각의 일단측 상에 형성된 제3 내마모층부(23)를 포함하는 것인 굴착 클로.
  6. 일단(10a) 및 타단(10b)을 가지고,
    상기 일단(10a)에 위치하는 평탄한 선단면(11)과,
    각각이 상기 선단면(11)으로부터 상기 타단(10b)까지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는 제1 면(12) 및 제2 면(13)과,
    각각이 상기 선단면(11)으로부터 상기 타단(10b)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선단면(11)에 있어서 각각 상기 제1 면(12)과 둔각을 구성하는 한 쌍의 평탄한 제1 경사면(14)과,
    각각이 상기 선단면(11)으로부터 상기 타단(10b)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상기 선단면(11)에 있어서 각각 상기 제2 면(13)과 둔각을 구성하는 한 쌍의 평탄한 제2 경사면(15)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면(12) 및 제2 면(13) 및 상기 한 쌍의 제1 경사면(14) 및 상기 한 쌍의 제2 경사면(15)으로 둘러싸인 상기 선단면(11)은 6각 형상을 갖는 것인 굴착 클로용 보디.
KR1020147020774A 2012-10-10 2013-01-29 굴착 클로 및 굴착 클로용 보디 KR101634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24943A JP5373169B1 (ja) 2012-10-10 2012-10-10 掘削爪および掘削爪用ボディ
JPJP-P-2012-224943 2012-10-10
PCT/JP2013/051854 WO2014057693A1 (ja) 2012-10-10 2013-01-29 掘削爪および掘削爪用ボディ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151A KR20140116151A (ko) 2014-10-01
KR101634023B1 true KR101634023B1 (ko) 2016-06-27

Family

ID=4995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774A KR101634023B1 (ko) 2012-10-10 2013-01-29 굴착 클로 및 굴착 클로용 보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09996B2 (ko)
JP (1) JP5373169B1 (ko)
KR (1) KR101634023B1 (ko)
CN (1) CN103874808B (ko)
DE (1) DE112013000307B4 (ko)
IN (1) IN2014DN06527A (ko)
WO (1) WO20140576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3880B1 (fr) * 2011-12-08 2014-11-21 Afe Metal Systeme mecanique comprenant une piece d'usure et un support, et godet comprenant au moins un tel systeme mecanique
CN104631542A (zh) * 2014-12-24 2015-05-20 常熟市康达电器有限公司 用于矿用挖掘机铲斗上的铲齿
JP5898368B1 (ja) * 2015-10-17 2016-04-06 有限会社功和工業 道床崩し工法
JP6804143B2 (ja) * 2016-09-30 2020-12-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耐土砂摩耗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745891B2 (en) * 2018-02-27 2020-08-18 Komatsu Ltd. Tooth adapter and bucket
US11821178B2 (en) 2018-03-09 2023-11-21 Makuri Technology Pte. Ltd. Edge wear protector system
US11401685B2 (en) * 2018-04-13 2022-08-02 Caterpillar Inc. Serrated blade assembly using differently configured components
US11882777B2 (en) 2020-07-21 2024-01-30 Osmundson Mfg. Co. Agricultural sweep with wear resistant coat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1352A1 (en) 1998-07-03 2001-05-24 Metalogenia, S.A. Coupling for the teeth of excavators and the like
JP2004218417A (ja) 2002-12-25 2004-08-05 Komatsu Ltd 掘削用切刃
JP2007505243A (ja) 2003-09-09 2007-03-08 エイチ アンド エル トゥース カンパニー 翼付きの掘削歯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8663B1 (ko) * 1966-11-18 1971-03-04
US3790353A (en) * 1972-02-22 1974-02-05 Servco Co Division Smith Int I Hard-facing article
US4903420A (en) 1988-10-20 1990-02-27 Esco Corporation Mining tooth point
JP2596106B2 (ja) * 1988-12-27 1997-04-02 住友重機械鋳鍛株式会社 複合掘削ツース
US5066546A (en) * 1989-03-23 1991-11-19 Kennametal Inc. Wear-resistant steel castings
US5111600A (en) * 1991-07-30 1992-05-12 Caterpillar Inc. Tooth with hard material applied to selected surfaces
JP2969613B2 (ja) * 1992-06-29 1999-11-0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平版印刷版用支持体の粗面化方法
US5502905A (en) * 1994-04-26 1996-04-02 Caterpillar Inc. Tooth having abrasion resistant material applied thereto
US5778572A (en) * 1996-12-11 1998-07-14 Caterpillar Inc. Wear resistant cutting edg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047487A (en) 1998-07-17 2000-04-11 H&L Tooth Co. Multipiece excavating tooth assembly
US6571493B2 (en) * 1999-12-27 2003-06-03 Komatsu Ltd. Cutting edge
JP2004092208A (ja) 2002-08-30 2004-03-25 Komatsu Ltd 耐摩耗複合切刃
JP4190271B2 (ja) 2002-12-06 2008-12-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掘削用切刃
BE1018127A3 (fr) * 2008-09-19 2010-05-04 Magotteaux Int Dent composite pour le travail du sol ou des roches.
ES2431270T3 (es) * 2009-05-29 2013-11-25 Metalogenia, S.A. Elemento de desgaste para operaciones de trabajo en tierra/roca con resistencia al desgaste mejorada
US7874085B1 (en) * 2010-03-16 2011-01-25 Winter Equipment Company Plow blade and moldboard shoe
CN102535577A (zh) 2011-12-02 2012-07-04 河南科技大学 一种仿生挖掘斗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1352A1 (en) 1998-07-03 2001-05-24 Metalogenia, S.A. Coupling for the teeth of excavators and the like
JP2004218417A (ja) 2002-12-25 2004-08-05 Komatsu Ltd 掘削用切刃
JP2007505243A (ja) 2003-09-09 2007-03-08 エイチ アンド エル トゥース カンパニー 翼付きの掘削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3000307B4 (de) 2015-08-13
DE112013000307T5 (de) 2014-10-02
JP5373169B1 (ja) 2013-12-18
KR20140116151A (ko) 2014-10-01
US9009996B2 (en) 2015-04-21
US20140215867A1 (en) 2014-08-07
JP2014077272A (ja) 2014-05-01
CN103874808B (zh) 2015-01-21
IN2014DN06527A (ko) 2015-06-12
WO2014057693A1 (ja) 2014-04-17
CN103874808A (zh)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023B1 (ko) 굴착 클로 및 굴착 클로용 보디
JP7446333B2 (ja) 機械用具に先端具を取り付けるためのアダプタを備えた地面係合工具アセンブリ
US8007049B2 (en) Breaking or excavating tool with cemented tungsten carbide insert and ring
US6457269B1 (en) Ground-engaging tool for an excavation bucket
CN110073062B (zh) 具有带有锥形固位通道的尖端的器具地面接合尖端组件
US7757778B2 (en) Ripper boot
AU2014296579B2 (en) Ground engaging tool assembly
RU2680620C1 (ru) Сменный режущий элемент землеройного орудия
JP2022530059A (ja) 地面係合先端具及び地面係合工具アセンブリ
CN110073063B (zh) 具有带有支承肋部的末端的器具末端组件
EP3027815B1 (en) Ground engaging tool assembly
EP3186448B1 (en) High performance implement wear member
CN111479968A (zh) 具有钎焊白口铸铁齿的工具切削刃
US9840825B2 (en) Implement end cutting-bit
RU2722637C2 (ru) Изнашиваемый элемент
CN110062832B (zh) 具有带磨损指示器的尖端的器具尖端组件
JP4439238B2 (ja) 掘削用切刃
KR100263532B1 (ko)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JP4190271B2 (ja) 掘削用切刃
AU2014296674A1 (en) Ground engaging tool assembly
AU3942600A (en) Ground-engaging tool for an excavation bu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