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154B1 -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연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2154B1 KR101632154B1 KR1020150128501A KR20150128501A KR101632154B1 KR 101632154 B1 KR101632154 B1 KR 101632154B1 KR 1020150128501 A KR1020150128501 A KR 1020150128501A KR 20150128501 A KR20150128501 A KR 20150128501A KR 101632154 B1 KR101632154 B1 KR 101632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rner
- combustion
- heating
- determination condition
- hot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3—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combustion gas properties
-
- F23N2037/02—
-
- F23N2037/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과제) 복수의 버너에 대한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1개의 급기팬으로 실행함과 아울러, 각 버너의 연소배기가스를 1개의 배기통로를 통하여 배출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버너의 불완전연소의 검출 정밀도를 높인다.
(해결 수단)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급탕버너(31)가 소화상태이며 난방버너 (41)가 연소상태인 난방단독운전시에, CO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에 의거하는 불완전연소의 제 2 판정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는 난방버너(41)를 일단 소화한 후에 재점화하여 재점화시부터 CO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에 의거하는 불완전연소의 제 3 판정조건의 성립의 유무를 감시하고, 제 3 판정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는 난방버너(41)를 소화한다.
(해결 수단)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급탕버너(31)가 소화상태이며 난방버너 (41)가 연소상태인 난방단독운전시에, CO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에 의거하는 불완전연소의 제 2 판정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는 난방버너(41)를 일단 소화한 후에 재점화하여 재점화시부터 CO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에 의거하는 불완전연소의 제 3 판정조건의 성립의 유무를 감시하고, 제 3 판정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는 난방버너(41)를 소화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불완전연소를 검지하여 연소를 정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옥내에 설치된 강제 배기 타입의 연소장치에 있어서, 배기통로로부터의 연소배기가스의 누설이 발생하면, 연소배기가스의 유출에 의해서 옥내의 산소농도가 점차 저하된다. 그 결과, 버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 중의 산소의 부족에 의해, 버너가 불완전연소상태로 되어 연소배기가스 중의 CO(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한다.
그래서, 버너의 배기통로에 CO센서를 설치하여 버너연소중에 연소배기가스 중의 CO농도를 감시하도록 한 연소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소장치에 있어서는, CO센서에 의해 검출된 CO농도를 판정값과 비교하여, CO농도가 판정값 이상으로 된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계속되었을 때에, 버너를 소화(消火)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소장치에 따르면, 연소배기가스 중의 CO농도의 상승에 의해 버너의 불완전연소를 검지하여 버너를 소화함으로써, 버너의 불완전연소가 계속되는 것의 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는 복수의 버너에 대해서 1개의 팬에 의해 연소용 공기를 공급함과 아울러, 각 버너의 연소배기가스를 1개의 배기통로를 통하여 배출하는 구성으로 한 연소장치에 있어서는, 배기통로에 설치한 CO센서에 의해 버너의 불완전연소를 검지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는 것을 지견(知見)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수의 버너에 대한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1개의 팬으로 실행함과 아울러, 각 버너의 연소배기가스를 1개의 배기통로를 통하여 배출하는 구성으로 한 연소장치에 있어서, 버너의 불완전연소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제 1 버너 및 당해 제 1 버너보다도 최대 연소량이 작은 제 2 버너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버너와,
상기 복수의 버너에 대해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단일의 팬과,
상기 복수의 버너의 연소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단일의 배기통로와,
상기 배기통로에 설치된 CO센서와,
상기 복수의 버너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소중일 때에, 연소중인 버너에 대해서 연소량에 대응한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연소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버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소중일 때에, 연소중인 버너의 점화시부터 제 l 소정시간이 경과될 때까지의 검출금지기간을 제외하고, 상기 CO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에 의거하는 불완전연소의 제 1 판정조건의 성립의 유무를 감시하며, 당해 제 1 판정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는 연소중인 버너를 소화하는 불완전연소대처부를 구비한 연소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불완전연소대처부는, 상기 제 2 버너만이 연소중일 때는 상기 CO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에 의거하는 불완전연소의 제 2 판정조건의 성립의 유무를 감시하고, 당해 제 2 판정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2 버너를 일단 소화한 후에 재점화하며, 당해 재점화시부터 상기 CO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에 의거하는 제 3 판정조건의 성립의 유무를 감시하고, 당해 제 3 판정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2 버너를 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연소장치는 상기 복수의 버너에 대해서 단일의 상기 팬에 의해 연소용 공기가 공급됨과 아울러, 각 버너의 연소배기가스가 단일의 상기 배기통로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연소장치가 옥내에 설치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버너로부터 배출되는 연소배기가스가 상기 배기통로에서 옥외로 배출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옥내로 연소배기가스가 흘러드는 일은 없다. 그러나 상기 배기통로의 문제점에 의해 연소배기가스의 일부가 옥내로 유출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옥내로 유출된 연소배기가스에 의해서, 옥내의 산소농도가 저하된다. 그 결과, 상기 팬에 의해 옥내로부터 받아들여져 상기 팬으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저하되어 상기 버너의 불완전연소가 발생하는 상황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제어부에 의해, 연소중인 버너에 대해서 연소량에 대응한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팬의 회전속도가 제어되기 때문에, 상기 제 l 버너가 소화상태이며 상기 제 2 버너가 연소중일 때에는, 상기 제 1 버너측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도 고려하여 팬의 회전속도가 결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 2 버너의 불완전연소가 발생해도, 상기 제 2 버너의 연소배기가스가 상기 제 1 버너측을 유통한 공기에 의해서 희석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버너의 연소배기가스 중의 CO농도가 낮아져, CO농도에 의거하는 상기 제 2 버너의 불완전연소의 검지가 어렵게 된다.
그래서, 상기 불완전연소대처부는, 상기 제 2 버너만이 연소중일 때는 CO농도에 의거하는 불완전연소의 제 2 판정조건의 성립의 유무를 감시한다. 이 경우, 상기 제 2 판정조건은 상기 제 2 버너만이 연소중이라고 하는 상황에 맞추어서 상기 제 2 버너의 불완전연소를 검지하기 쉬운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완전연소대처부는, 상기 제 2 판정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2 버너를 일단 소화한 후에 재점화하여 재점화시부터 CO농도에 의거하는 제 3 판정조건의 성립의 유무를 감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버너를 일단 소화한 후에 재점화할 경우에는, 상기 제 2 버너의 연소배기가스 중에 미연소가스가 혼입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연소배기가스 중의 CO농도가 상승한다. 그 결과, 상기 제 3 판정조건이 성립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제 2 버너가 불완전연소로 된 것을 정밀도 좋게 검지하여 상기 버너를 소화할 수 있다.
또, 상기 불완전연소대처부는, 상기 제 2 버너만이 연소중일 때의 상기 제 2 판정조건의 성립의 유무의 감시를, 상기 제 2 버너만이 연소중인 상태로 되고 나서 제 2 소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에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2 버너만이 연소중인 상태로 되고 나서 상기 제 2 소정시간 이상이 경과되는 것을 기다림으로써, 상기 제 2 버너 이외의 버너의 연소배기가스의 영향을 배제하여 상기 제 2 버너의 불완전연소를 더욱 정밀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도 1은 열원장치의 구성도.
도 2는 CO농도감시처리의 흐름도.
도 3은 버너점화시의 CO농도의 변화의 설명도.
도 2는 CO농도감시처리의 흐름도.
도 3은 버너점화시의 CO농도의 변화의 설명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도 1∼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열원장치(1, 본 발명의 연소장치에 상당함)는 급수관(35)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급탕관(36)으로부터 출탕하는 급탕기능과, 난방공급관(45) 및 난방복귀관(46)을 경유하여 도시하지 않는 난방단말(마루난방기, 온풍난방기 등)에 온수를 순환 공급하는 난방기능을 가지는 복합 타입의 열원장치이다.
열원장치(1)는 하우징(10) 내에 연소실을 형성하는 보일러체(2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일러체(20) 내에는 급수관(35) 및 급탕관(36)에 접속되어 내부를 유통하는 물을 가열하는 급탕 열교환기(30)와, 난방공급관(45) 및 난방복귀관(46)에 접속되어 내부를 유통하는 물을 가열하는 난방 열교환기(40)가 구비되어 있다.
급탕 열교환기(30)의 하방에 급탕버너(31, 본 발명의 제 1 버너에 상당함)가 설치되고, 난방 열교환기(40)의 하방에 난방버너(41, 본 발명의 제 2 버너에 상당함)가 설치되어 있다. 난방버너(41)의 최대 연소량(예를 들면, 14㎾)은 급탕버너 (31)의 최대 연소량(예를 들면, 30㎾)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급탕 열교환기(30)는 급탕버너(31)의 연소배기가스로부터 주로 현열을 흡열하는 급탕 메인 열교환기(30a)와, 급탕버너(31)의 연소배기가스로부터 주로 잠열을 흡열하는 급탕 서브 열교환기(3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난방 열교환기(40)는 난방버너(41)의 연소배기가스로부터 주로 현열을 흡열하는 난방 메인 열교환기 (40a)와 난방버너(41)의 연소배기가스로부터 주로 잠열을 흡열하는 난방 서브 열교환기(4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급탕버너(31)는 큰 버너(31a)와 중간 버너(31b)와 작은 버너(3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난방버너(41)는 큰 버너(41a)와 작은 버너(4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열원장치(1)는 큰 버너(31a)로의 연료가스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급탕 가스전자밸브(32), 중간 버너(31b)로의 연료가스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급탕 가스전자밸브(33), 작은 버너(31c)로의 연료가스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급탕 가스전자밸브(34), 큰 버너(41a)로의 연료가스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난방 가스전자밸브(42), 작은 버너(41b)로의 연료가스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난방 가스전자밸브(43), 급탕버너(31)와 난방버너(41)로의 연료가스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메인 가스전자밸브(52), 급탕버너(31)와 난방버너(41)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유량을 조절하는 가스비례밸브(51), 급탕버너(31)와 난방버너(41)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팬(50) 및 난방순환로[난방공급관(45), 난방복귀관(46)] 내의 온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8)를 구비하고 있다.
보일러체(20)의 상부에는 집합배기관(11, 본 발명의 배기통로에 상당함)이 접속되어 있으며, 급탕버너(31)와 난방버너(41)의 연소배기가스는 집합배기관(11)을 경유하여 옥외로 배출된다. 또, 하우징(10)의 상부에는 급기관(13)이 접속되어 있다. 팬(50)의 작동에 의해, 급기관(13)을 통하여 옥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하우징(10)의 개구부를 통하여 옥내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연소용 공기로서 급탕버너(31) 및 난방버너(41)로 공급된다. 이 구성에 의해, 열원장치(1)는 강제배기형 (FE: Forced Exhaust형)으로 되어 있다.
집합배기관(11)의 입구부에는 CO농도를 검출하는 CO센서(12)가 설치되어 있다. 또, 급탕관(36)에는 급탕관(36)으로부터 출탕되는 탕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급탕온도센서(37)가 설치되고, 난방공급관(45)에는 난방공급관(45)으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난방단말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난방온도센서(4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열원장치(1)에는 열원장치(1)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60)와, 열원장치(1)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리모컨(70)이 구비되어 있다. 컨트롤러 (60)는 도시하지 않는 CPU,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에 의해 구성된 전자회로유닛이다. 컨트롤러(60)는 메모리에 보관 유지된 열원장치(1)의 제어용 프로그램을 CPU에서 실행함으로써, 연소제어부(61) 및 불완전연소대처부(62)로서 기능한다.
컨트롤러(60)에는 급탕온도센서(37) 및 난방온도센서(47)의 온도검출신호와, CO센서(12)의 CO농도검출신호가 입력된다. 또, 컨트롤러(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급탕 가스전자밸브(32, 33, 34), 난방 가스전자밸브(42, 43), 메인 가스전자밸브(52), 가스비례밸브(51), 팬(50) 및 순환펌프(48)의 작동이 제어된다.
연소제어부(61)는 급탕관(36)으로부터 공급되는 탕수의 온도가 설정온도[리모컨(70)에 의해 설정됨)가 되도록 메인 가스전자밸브(52), 급탕 가스전자밸브 (32, 33, 34), 가스비례밸브(51)의 작동을 제어하여 급탕버너(31)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유량을 조절함과 아울러, 팬(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급탕버너(31)로의 연소용 공기의 공급유량을 조절해서 급탕버너(31)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급탕운전을 실행한다.
또, 연소제어부(61)는 난방공급관(45)으로부터 소정온도 및 유량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메인 가스전자밸브(52), 난방 가스전자밸브(42, 43), 가스비례밸브 (51)의 작동을 제어하여 난방버너(41)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유량을 조절함과 아울러, 팬(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난방버너(41)로의 연소용 공기의 공급유량을 조절해서 난방버너(41)의 연소량을 제어하고, 또, 순환펌프(48)의 작동을 제어하는 난방운전을 실행한다.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급탕버너(31)와 난방버너(41)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소중일 때에, CO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연소배기가스 중의 CO농도를 감시하여 버너[급탕버너(31),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를 검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 도 2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서 불완전연소대처부(62)에 의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열원장치(1)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에 컨트롤러(60)가 기동하고, 리모컨(70)에 구비된 운전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 열원장치(1)가 대기모드에서 운전모드(급탕운전 및 난방운전의 실행이 가능한 모드)로 전환된다. 운전모드에 있어서는 리모컨(70)의 조작에 대응하여 급탕운전 및 난방운전이 실행된다.
급탕운전 또는 난방운전의 운전조건[급탕전(給湯栓)의 개방에 의한 열원장치 (1)로의 급수개시, 리모컨(70)의 조작에 의한 난방개시지시 등]이 성립되었을 때에 STEPl로 진행하고, 연소제어부(61)는 운전조건에 대응하여 급탕버너(31) 또는 난방버너(41)의 점화처리를 실행한다.
STEP2에서,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STEPl에 있어서의 점화시(점화처리의 개시시)부터 10초(본 발명의 제 1 소정시간에 상당함)가 경과되는 것을 기다려 STEP3으로 진행한다. 또한, 점화처리가 실행되었을 때부터 10초가 경과될 때까지의 기간은 본 발명의 검출금지기간에 상당한다. 이 10초의 검출금지기간은 점화처리를 개시했을 때부터 당분간은 미연소가스의 배출 등에 의해서 CO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 동안의 CO농도에 의거하는 불완전연소의 검지를 금지하여 불완전연소의 오검지(誤檢知)를 방지하기 위해 설정되어 있다.
STEP3에서,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이하의 (1a)∼(4a)의 어느 하나의 판정조건(본 발명의 불완전연소의 제 1 판정조건에 상당함)의 성립의 유무를 판단한다.
(1a) 2000ppm<CO농도의 상태가 5초 이상 계속.
(2a) 1300ppm<CO농도의 상태가 20초 이상 계속.
(3a) 800ppm<CO농도의 상태가 40초 이상 계속.
(4a) 600ppm<CO농도의 상태가 200초 이상 계속.
그리고 (1a)∼(4a)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정조건이 성립하여 급탕버너 (31) 또는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을 때는 STEP20으로 분기하고,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급탕버너(31)와 난방버너(41) 중의 연소중인 버너를 소화하여 열원장치(1)의 운전을 정지한다.
이때,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리모컨(70)의 표시부에 불완전연소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에러표시를 한다. 이와 같이 불완전연소가 발생하고 있는 급탕버너 (31) 또는 난방버너(41)의 연소를 정지함으로써,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가 계속되어 옥내의 산소농도의 저하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1a)∼(4a)의 판정조건의 어느 것이나 성립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STEP4로 진행한다. STEP4∼STEP9 및 STEP30은 난방단독운전시(난방운전만이 실행되고, 급탕운전은 실행되고 있지 않을 때)에 있어서의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에 대처하기 위한 처리이다.
여기서, 난방단독운전시에는 도 1을 참조하여 팬(5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급탕버너(31)와 난방버너(41)의 양쪽으로 유통된다. 그리고 난방버너(41)로 공급되는 공기는 연소에 사용되지만, 급탕버너(31)로 공급되는 공기는 연소에 사용되지 않고 그대로 집합배기관(11)으로 유출된다.
그리고 이 경우는 난방버너(41)의 연소배기가스가 급탕버너(31)측을 유통한 공기와의 혼합에 의해 희석되기 때문에,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가 발생해도 CO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가 상승하기 어려운 상태로 된다.
그래서,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난방단독운전시에는 상술한 STEP3에 있어서의 (1a)∼(4a)의 제 1 판정조건에 의한 처리와는 별도로 STEP4∼STEP9 및 STEP30에 의한 처리를 실행하여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에 대처하고 있다.
STEP4에서,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난방단독운전이 10초(본 발명의 제 2 소정시간에 상당함) 이상 계속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난방단독운전이 10초 이상 계속되고 있을 때는 STEP5로 진행하고, 난방단독운전이 10초 이상 계속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STEP3으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급탕운전 및 난방운전이 모두 실행된 상태에서 난방단독운전으로 전환된 직후는, 급탕버너(31)의 연소배기가스가 집합배기관(11)의 부근에 잔류하고 있기 때문에, 난방버너(41)의 연소배기가스 중의 CO농도를 정밀도 좋게 검출하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STEP4에서 난방단독운전이 10초 이상 계속되고 있을 때에 한정하여 STEP5 이하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급탕버너(31)의 연소배기가스의 영향을 배제하여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를 검지하고 있다.
STEP5에서,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300ppm<CO농도의 상태가 10초 이상 계속되고 있는지(본 발명의 불완전연소의 제 2 판정조건에 상당함)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 2 판정조건이 성립하여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을 때는 STEP6으로 진행하고, 제 2 판정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STEP3으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STEP5의 제 2 판정조건은 상기 (1a)∼(4a)의 제 1 판정조건보다도 낮은 CO농도환경에서 성립하는 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급탕버너 (31)측을 흐르는 공기에 의해, 난방버너(41)의 연소배기가스가 희석되는 난방단독운전시에 있어서,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의 검지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STEP6에서,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난방버너(41)를 소화하고, 계속되는 STEP7에서,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난방버너(41)를 재점화한다. 그리고 다음의 STEP8에서,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이하의 (1b)∼(4b)의 어느 하나의 판정조건(본 발명의 불완전연소의 제 3 판정조건에 상당함)의 성립의 유무를 판단한다.
(1b) 2000ppm<CO농도의 상태가 5초 이상 계속.
(2b) 1300ppm<CO농도의 상태가 8초 이상 계속.
(3b) 800ppm<CO농도의 상태가 10초 이상 계속.
(4b) 600ppm<CO농도의 상태가 200초 이상 계속.
이와 같이, 난방버너(41)를 일단 소화한 후에 재점화한 경우는, 난방버너 (41)의 연소배기가스에 미연소가스가 혼입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재점화시부터 당분간은 CO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가 높아진다.
여기서, 도 3은 난방버너(41)를 일단 소화한 후에 재점화를 실행한 경우에, CO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의 변화를 세로축을 CO농도(ppm)로 설정하고, 가로축을 시간(초)으로 설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α는 난방버너 (41)의 불완전연소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β는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α, β 모두 점화처리의 개시시(0초)부터 CO농도가 상승하고, 난방버너(41)가 연소를 개시했을 때(10초 부근)부터 CO농도가 점차 저하되고 있다. 그리고 불완전연소가 발생한 α에서는 5초 부근에서 CO농도가 800ppm을 초과하여 계속시간의 계시(計時)가 개시되고, CO농도가 800ppm을 초과한 상태가 10초 이상 계속된 15초 부근에서 상기 (3b)의 판정조건의 성립에 의해,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가 검지된다.
그에 대해서, 불완전연소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β에서는 CO농도가 600ppm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1b)∼(4b)의 판정조건은 어느 것이나 성립하지 않고,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는 검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STEP7에서 난방버너(41)의 재점화처리를 개시한 시점부터 STEP8의 (1b)∼(4b)의 판정조건의 성립의 유무의 감시를 개시함으로써, STEP3의 (la)∼(1d)의 판정조건에 의한 감시에서는 검지할 수 없는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를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1b)∼(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정조건이 성립하여 난방버너 (41)의 불완전연소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을 때는 STEP30으로 분기하고,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난방버너(41)를 소화하여 열원장치(1)의 운전을 정지한다. 이때,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리모컨(70)의 표시부에 불완전연소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에러표시를 한다. 이와 같이 난방버너(41)의 연소를 정지함으로써,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가 계속되어 옥내의 산소농도의 저하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1b)∼(4b)의 어느 것의 판정조건도 성립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STEP9로 진행하고, 불완전연소대처부(62)는 난방단독운전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난방단독운전중일 때는 STEP8로 되돌아가고, 난방단독운전중이 아닐 때 (급탕운전과 난방운전이 모두 실행중일 때, 또는 급탕운전만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는 STEP3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급탕운전 및 난방운전의 운전조건이 성립하지 않는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연소제어부(61)는 급탕버너(31) 및 난방버너(41)를 소화하여 운전조건의 성립을 기다리는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탕버너(31)와 급탕버너(31)보다도 최대 연소량이 작은 난방버너(41)를 구비한 열원장치(1)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대상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버너와 제 1 버너보다도 최대 연소량이 작은 제 2 버너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버너를 구비하고, 각 버너로의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단일의 팬에 의해 실행함과 아울러, 각 버너 연소배기가스를 단일의 집합배기관을 경유하여 배출하는 연소장치이면,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의 STEP4에서 난방단독운전이 10초 이상 계속되었을 때에 STEP5 이후의 난방단독운전시의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의 감시를 개시했지만, 난방단독운전이 개시되었을 때에, 즉시 난방버너(41)의 불완전연소의 감시를 개시하도록 해도 좋다.
1: 열원장치 11: 집합배기관
12: CO센서 30: 급탕 열교환기
31: 급탕버너 40: 난방 열교환기
41: 난방버너 50: 팬
60: 컨트롤러 61: 연소제어부
62: 불완전연소대처부
12: CO센서 30: 급탕 열교환기
31: 급탕버너 40: 난방 열교환기
41: 난방버너 50: 팬
60: 컨트롤러 61: 연소제어부
62: 불완전연소대처부
Claims (2)
- 제 l 버너 및 당해 제 1 버너보다도 최대 연소량이 작은 제 2 버너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버너와,
상기 복수의 버너에 대해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단일의 팬과,
상기 복수의 버너의 연소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단일의 배기통로와,
상기 배기통로에 설치된 CO센서와,
상기 복수의 버너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소중일 때에, 연소중인 버너에 대해서 연소량에 대응한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연소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버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소중일 때에, 연소중인 버너의 점화시부터 제1 소정시간이 경과될 때까지의 검출금지기간을 제외하고, 상기 CO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에 의거하는 불완전연소의 제 l 판정조건의 성립의 유무를 감시하며, 당해 제 1 판정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는 연소중인 버너를 소화하는 불완전연소대처부를 구비한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불완전연소대처부는, 상기 제 2 버너만이 연소중일 때는 상기 CO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에 의거하는 불완전연소의 제 2 판정조건의 성립의 유무를 감시하고, 당해 제 2 판정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2 버너를 일단 소화한 후에 재점화하며, 당해 재점화시부터 상기 CO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CO농도에 의거하는 제 3 판정조건의 성립의 유무를 감시하고, 당해 제 3 판정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2 버너를 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완전연소대처부는, 상기 제 2 버너만이 연소중일 때의 상기 제 2 판정조건의 성립의 유무의 감시를, 상기 제 2 버너만이 연소중인 상태로 되고 나서 제 2 소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에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186329 | 2014-09-12 | ||
JP2014186329A JP6316150B2 (ja) | 2014-09-12 | 2014-09-12 | 燃焼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1432A KR20160031432A (ko) | 2016-03-22 |
KR101632154B1 true KR101632154B1 (ko) | 2016-06-20 |
Family
ID=5564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8501A KR101632154B1 (ko) | 2014-09-12 | 2015-09-10 | 연소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316150B2 (ko) |
KR (1) | KR1016321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54096B2 (ja) * | 2018-10-15 | 2022-10-17 | リンナイ株式会社 | 燃焼装置 |
KR102269039B1 (ko) * | 2019-09-27 | 2021-06-25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Co 농도 기반의 연소기기 자동 연소 정지 장치 |
KR102284327B1 (ko) * | 2020-07-31 | 2021-08-02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연소기기용 자동 연소 정지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11164B2 (ja) | 1996-05-21 | 2000-11-20 | 株式会社ハーマン | 燃焼機器の未燃成分濃度検出装置 |
JP3373936B2 (ja) | 1994-05-31 | 2003-02-04 | 株式会社ハーマンプロ | 燃焼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6439A (ja) * | 1991-07-19 | 1993-02-02 | Paloma Ind Ltd | 燃焼機器の不完全燃焼防止装置 |
JP2694890B2 (ja) * | 1993-09-30 | 1997-12-24 | リンナイ株式会社 | 燃焼機器の不完全燃焼時の燃焼停止装置 |
JP3562778B2 (ja) * | 1996-02-09 | 2004-09-08 | リンナイ株式会社 | 燃焼機器 |
US5797358A (en) * | 1996-07-08 | 1998-08-25 | Aos Holding Company | Control system for a water heater |
JP2008164202A (ja) * | 2006-12-27 | 2008-07-17 | Osaka Gas Co Ltd | 燃焼装置の異常検出装置 |
JP5274067B2 (ja) * | 2008-03-26 | 2013-08-28 | 株式会社パロマ | 湯沸器 |
JP5349983B2 (ja) * | 2009-01-19 | 2013-11-20 | リンナイ株式会社 | 燃焼装置 |
-
2014
- 2014-09-12 JP JP2014186329A patent/JP6316150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9-10 KR KR1020150128501A patent/KR1016321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73936B2 (ja) | 1994-05-31 | 2003-02-04 | 株式会社ハーマンプロ | 燃焼装置 |
JP3111164B2 (ja) | 1996-05-21 | 2000-11-20 | 株式会社ハーマン | 燃焼機器の未燃成分濃度検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1432A (ko) | 2016-03-22 |
JP2016057037A (ja) | 2016-04-21 |
JP6316150B2 (ja) | 2018-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2241B1 (ko) | 연소기기의 배기온도 검출센서 빠짐 검지방법 | |
KR101632154B1 (ko) | 연소장치 | |
JP6369677B2 (ja) | ボイラ | |
KR100679818B1 (ko) | 보일러의 과열방지 장치 및 방법 | |
JP2018031533A (ja) | 燃焼装置 | |
JP2016183807A (ja) | 燃焼機器 | |
JP5925224B2 (ja) | 給湯システム | |
JP2015210042A (ja) | ボイラ | |
EP3832224B1 (en) | Gas-fired heating appliance with harmful gas detection | |
KR100709581B1 (ko) | 보일러내 삼방밸브의 이상 감지방법 | |
JP5982939B2 (ja) | 給湯システム | |
JP2012097932A (ja) | 給湯器 | |
JP6173161B2 (ja) | 燃焼装置 | |
JP7253983B2 (ja) | 熱源装置 | |
KR20170046100A (ko) | 난방 시스템 | |
JP2013217604A (ja) | 温水暖房装置 | |
JP4858915B2 (ja) | ガス燃焼装置 | |
KR100302271B1 (ko) | 가스보일러에서 가스누설검지시 시스템 제어방법 | |
KR101635897B1 (ko) | 유량조절밸브를 가진 보일러 및 온수기의 온수누수 차단방법 | |
JP6851152B2 (ja) | 暖房装置 | |
KR102622111B1 (ko) | 연소기기 드레인 억제 제어 방법 | |
JP6301167B2 (ja) | パージ監視装置を持った燃焼装置 | |
JP2018013300A (ja) | 給湯装置 | |
KR101786551B1 (ko) | 온수기 및 보일러의 열교환기 내 결로방지방법 | |
JP5017249B2 (ja) | 不完全燃焼検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