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148B1 -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148B1
KR101632148B1 KR1020150048527A KR20150048527A KR101632148B1 KR 101632148 B1 KR101632148 B1 KR 101632148B1 KR 1020150048527 A KR1020150048527 A KR 1020150048527A KR 20150048527 A KR20150048527 A KR 20150048527A KR 101632148 B1 KR101632148 B1 KR 101632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iler
information
unit
vehicle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석
최종일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8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일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비게이션에 의해 안내되고 있는 주행경로상의 도로상태와 차량에 대한 차량주행상태정보에 의해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자동 조절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spoiler using navigation}
본 발명은 스포일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비게이션에 의해 안내되고 있는 주행경로상의 도로상태와 차량에 대한 차량주행상태정보에 의해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자동 조절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행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일부 자동차에는 주행 시 차체 주위를 흐르는 공기를 이용하여 차체를 아래로 누르게 하는 스포일러가 장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 차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향력은 제동성능, 조향성능 등을 좋게 하며, 이러한 힘의 크기는 측풍에 의한 밀림현상에 대한 불안정성의 완화에도 도움을 준다.
따라서 공기역학적 항력을 감소시키고, 하향력을 증가시켜 자동차의 주행 성능 및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스포일러들이 생산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초기 자동차의 스포일러는 대부분 스포일러의 경사각이 고정된 고정식이기 때문에 주행속도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는 하향력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고속 주행 시에는 상대적으로 주행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통상, 자동차는 주행속도가 증가할수록 공기 흐름에 의한 양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타이어와 지면 간의 마찰력이 현저히 감소하여 안정성이 현격히 저하되고, 곡선도로에서 코너링 시 차량이 일측으로 쏠리는 쏠림 현상 및 이에 의한 일측 타이어와 지면 간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안정성이 현격히 저하된다. 심지어는 회전 시의 속도를 견디지 못하고 자동차가 전복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속도 및 곡선도로의 곡선각도에 따라 자동차 스포일러의 경사각이 자동으로 변동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23730호(2014.07.16.)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8-073747(1998.11.05.) [자동차의 속도 및 조향 감응식 가변 스포일러 및 그 제어 방법](이하 "선행특허"라 함) 등에서는 자동차의 속도, 속도 및 조향 각도에 따라 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자동 조절하는 자동차의 리어 스포일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들은 현재의 차량주행상태에 따라서만 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자동 조절함으로써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 대해 빠르게 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직선도로에서 곡선도로로 진입 시 선행특허들은 곡선도로 진입에 따른 조향 각도 및 속도에 따라 리어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므로, 곡선도로 진입 이후 일정 시간 후에나 곡선도로의 곡선 및 속도를 반영하여 경사각을 조절하므로 곡선도로 초기 구간에서 여전히 차량에 불안정성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의 과신에 의한 차량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직선도로에서 곡선도로로 진입하기 직전에 곡선도로의 곡선 및 속도에 따라 스포일러의 경사각이 조절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427730호 공개특허 특1998-07374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비게이션에 의해 안내되고 있는 주행경로상의 도로상태와 차량에 대한 차량주행상태정보에 의해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자동 조절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은: 현재 주행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경로를 지도데이터에 맵핑하여 표시하며, 상기 경로상에 직선도로에서 곡선도로로 진입하기 직전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코너링 포인트를 안내하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를 출력하는 내비게이션; 및 경사도가 조절되는 스포일러를 포함하며,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의해 곡선도로 진입 직전에 상기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따라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스포일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포일러 구동부는, 상기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를 통해 차량주행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곡선도로의 곡선정도 및 상기 차량주행상태정보에 따라 스포일러 각도 조절부를 통해 상기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는, 차량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차량 회전 각도 검출부;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속도 측정부; 액셀러레이터의 눌림 여부 및 눌림 세기에 따른 가속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가속정보 수집부; 및 브레이크의 눌림 여부 및 눌림 세기에 따른 감속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감속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비게이션은, 상기 곡선도로의 곡선정도 정보를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더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스포일러 구동부는, 상기 곡선도로의 곡선정도 정보에 따라 스포일러 각도 조절부를 제어하여 스포일러 각도를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스포일러 구동부 및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는 제어 영역 네트워크(Control Area Network: CAN)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비게이션은, 상기 경로상에서 현재 위치가 곡선도로에서 직선도로로 전환되는 직선도로 복귀 위치이면 직선도로 복귀 포인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스포일러 구동부는,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직선도로 복귀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면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직선도로에 따른 경사 각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방법은: 스포일러 구동부가 내비게이션으로부터 경로 안내가 개시되는지를 검사하는 경로 안내 개시 모니터링 과정; 경로 안내가 개시되면 스포일러 구동부가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상기 안내되는 경로 상에서 직선 도로에서 곡선도로로 진행하는 코너링 위치 및 곡선도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코너링 포인트 수신 모니터링 과정; 및 상기 코너링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면 스포일러 구동부가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따라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스포일러 경사 각도 조절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스포일러 구동부가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를 통해 차량주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포일러 구동부는, 상기 스포일러 경사 각도 조절 과정에서 상기 코너링 포인트 정보와 함께 차량주행상태 정보를 더 반영하여 상기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 과정은, 차량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수집하는 차량 회전 각도 정보 수집 단계;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주행속도 수집 단계; 액셀러레이터의 눌림 여부 및 누림 세기에 따른 가속정보를 수집하는 가속정보 수집단계; 및 브레이크의 눌림 여부 및 눌림 세기에 따른 감속정보를 수집하는 감속정보 수집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너링 포인 정보는 상기 코너링 포인트 통지 정보 및 곡선도로의 곡선정도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일러 경사 각도 조절 과정에서 상기 스포일러 구동부는 상기 코너링 포인트 정보의 수신 시 상기 곡선도로의 곡선 정도에 따라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스포일러 구동부가 상기 곡선도로의 진입 후,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직선도로 복귀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직선도로 복귀 모니터링 과정; 및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직선도로 복구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면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직선도로에 따른 경사 각도로 조정하는 직선도로 복귀 스포일러 조정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안내되고 있는 경로상에서 직선 도로에서 곡선도로 진행하는 코너링 포인트(위치)의 검출 시 현재의 차량주행상태 및 상기 곡선도로에 따라 스포일러 경사각을 결정하고, 상기 곡선도로 진입 직전에 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곡선도로의 전체 구간에 대해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행(코너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곡선도로의 진입 후 변동되는 차량주행상태를 반영하여 스포일러의 경사각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코너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를 수행하는 코너링 포인트를 가지는 내비게이션 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의 스포일러 구동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차량의 리어 스포일러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스포일러 자동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를 수행하는 코너링 포인트를 가지는 내비게이션 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은 스포일러 구동부(10) 및 내비게이션(20)을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30)를 더 포함한다.
내비게이션(20)은 대한민국, 미국, 중국, 일본 또는 전세계 등과 같은 임의의 지역에 대한 도로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며, 적어도 셋 이상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들로부터 각각의 위치데이터 및 절대 시각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를 지도데이터의 해당 위치의 도로에 맵핑하여 표시하고, 경로 안내 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며, 탐색된 경로를 지도데이터에 맵핑하여 표시 후, 상기 측정되는 현재 위치 및 탐색된 경로에 기반하여 목적지까지의 길안내를 수행한다.
상기 지도정보는 둘 이상의 길로 갈라지는 링크(분기점, 교차로 등등) 및 링크와 링크 사이의 노드, 임의 노드의 특정 위치의 특징 정보(사고 다발 구간, 과속 단속 구간, 요철 안내 구간, 등등)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지도정보에는 도로 상에서 직선경로에서 곡선경로로 변환되는 위치(이하 "코너링 포인트" 또는 "코너링 위치"라 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도정보에는 곡선도로에서 직선도로 변경되는 위치(이하 "직선도로 복귀 위치"라 함)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직선도로 복귀 위치는 직선도로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20)은 목적지 입력 후 경로 안내 요청 시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지도데이터에 맵핑한 후 경로 안내가 개시되었음을 스포일러 구동부(10)로 통지하고, 경로 안내 중 현재 위치가 코너링 위치이면, 코너링 포인트 정보를 스포일러 구동부(10)로 제공한다. 상기 코너링 위치는 도 2의 (가)의 지도에서와 같이 101 위치가 될 수 있으며, 도 2의 (나)에서와 같이 101-1, 101-2, 101-3, 101-4, 101-5 및 101-6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코너링 포인트 정보는 현재 위치가 코너링 포인트임을 통지하는 코너링 포인트 통지 정보 및 코너링 포인트의 코너링 위치 이후로 진입하는 곡선도로의 곡선정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곡선정도 정보는 정밀하게 측정된 곡선도로의 곡선률 정보가 될 수도 있고, 곡선률 정도에 따라 일정 레벨로 분류된 레벨정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레벨정보를 예를 들면 곡선도로의 곡선률이 10도이면 1레벨, 20도이면 2레벨, 30도이면 3레벨 등등으로 180도까지 18레벨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내비게이션(20)은 현재 위치가 곡선도로에서 직선도로로 전환되는 직선도로 복귀 위치이면 직선도로 복귀 포인트 정보를 스포일러 구동부(10)로 제공한다.
스포일러 구동부(10)는 경사 각도가 조절되는 스포일러를 구비하고, 상기 내비게이션(20)으로부터 수신되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따라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스포일러 구동부(10)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단순하게 곡선도로가 나옴을 알리는 코너링 포인트임을 통지하는 신호만 포함되어 있으면, 스포일러의 각도를 최대 경사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거나 미리 설정된 경사 각도가 되도록 조절할 것이다.
다른 예로서,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곡선률 정보가 포함되어 있거나, 다수의 레벨로 분류된 곡선 레벨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스포일러 구동부(10)는 곡선 레벨 또는 곡선률에 따라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것이다. 즉, 곡선레벨이 1레벨이변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5도로 조절하고, 2레벨이면 경사 각도를 10도 등으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포일러 구동부(10)는 내비게이션(20)으로부터 직선도로 복귀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면 스포일러를 경사각도를 최소로 조정하거나 접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30)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측정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른 정보(이하 "차랑주행상태 정보"라 함)를 수집하여 스포일러 구동부(10)로 제공한다.
상기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30)는 선회정보 수집부(31), 속도 측정부(32), 가속정보 수집부(33) 및 감속정보 수집부(3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선회정보 수집부(31)는 스티어링휠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스티어링휠 회전 각도 측정 수단 및 조향각을 측정하는 조향각 측정 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회전에 따른 상기 스티어링휠 회전 각도 및 조향각 등과 같은 선회정보를 수집한다.
속도 측정부(31)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한다.
가속정보 수집부(33)는 차량의 액셀러레이터의 눌림 여부 및 눌림 세기 및 속도에 따른 가속신호의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가속정보를 수집한다.
감속정보 수집부(34)는 브레이크의 눌림 여부 및 브레이크 눌림 세기 또는 누름 속도에 따른 브레이크 신호의 세기정보를 포함하는 감속정보를 수집한다.
즉,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30)는 상기 선회정보 수집부(31), 속도 측정부(32), 가속정보 수집부(33) 및 감속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포함된 구성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차량주행상태 정보를 스포일러 구동부(10)로 출력한다.
그러면 스포일러 구동부(10)는 상기 내비게이션(20)으로부터 수신되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상기 차량주행상태 정보를 더 반영하여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스포일러 구동부(10)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의 곡선도로 곡선정도(레벨)가 2레벨이고, 속도가 50Km인 경우,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10도로 조절했다면, 곡선도로가 곡선정도가 2레벨이고 속도가 60Km인 경우,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11도 내지 15도 사이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곡선정도가 2레벨이고 속도가 40Km인 경우 스포일러 경사각도는 5도로 조절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예를 들면, 스포일러 구동부(10)는 곡선도로의 곡선정도가 2레벨이고 감속정보 0이면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10도로 조절하고, 동일 레벨에 감속정보가 0.5이면 급감속이므로 10도+(10도*0.5)=15도 등으로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감속정보는 0이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로 브레이크가 눌린 경우이고, 0.5는 미리 설정된 속도의 1.5배의 속도 눌린 경우를 나타내며, 1인 경우는 2배 이상의 속도로 브레이크가 눌린 경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감속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더 곱하여 스포일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가중치는 실험에 의해 구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의 스포일러 구동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차량의 리어 스포일러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포일러 구동부(10)는 제어부(11), 저장부(12), 통신부(15) 및 스포일러 각도 조절부(16)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3) 및 표시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 구동부(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용자 설정 데이터는 자동 스포일러 각도 조절 모드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각도 설정 모드에 따른 레벨별 스포일러 경사 각도 설정 정보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표시부(14)는 스포일러 구동부(10)의 동작상태 및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 정보 등을 표시하고, 사용자 설정모드 및 사용자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등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표시부(14)는 차량의 계기판 부분에 구성될 수도 있고, 센터페시아에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표시부(14)는 구성되지 않고, 표시부(14)에 표시되는 정보들은 차량의 다른 시스템(BCM, 트립 컴퓨터 등)을 통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입력부(13)는 스포일러 구동부(10)를 온/오프 하기 위한 구동버튼, 각종 기능 및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들을 구비하고, 눌린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신호를 제어부(11)로 출력한다.
통신부(15)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내비게이션(20) 및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30) 등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차량 네트워크는 제어 영역 네트워크(Control Area Network: CAN) 및 로컬상호연결네트워크(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CAN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스포일러 각도 조절부(16)는 도 4의 (가)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스포일러의 삽입하고 (나)와 같이 돌출시키고, 돌출 시 높이 및 경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텝모터 및/또는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스포일러 각도 조절부(16) 자체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어부(11)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 구동부(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의 동작은 하기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포일러 구동부(10)의 제어부(11)는 입력부(13)로부터 구동 버튼 신호가 입력되거나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30)의 속도 측정부(32)를 통해 차량의 주행이 개시되는지를 검사하여 구동 버튼 신호 및 차량 주행 개시 통지에 따른 스포일러 자동 구동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11).
상기 스포일러 자동 구동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1)는 내비게이션(2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경로 안내 개시 통지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112).
경로 안내 개시 신호가 통지되면 제어부(11)는 내비게이션(20)으로부터 코너링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13).
물론 내비게이션(20)은 현재 위치 및 경로에 대한 모든 정보를 스포일러 구동부(10)로 제공하고, 스포일러 구동부(10)의 제어부(11)가 상기 정보들을 분석하고 내비게이션(20)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안내되고 있는 경로상에 도 2의 (가) 및 (나)와 같이 코너링 위치(101)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스포일러 구동부(10)의 제어부(11)는 코너링 위치(101)의 발생 시 해당 코너링 위치(101) 직후에 있는 곡선도로(곡선구간)에 대한 곡선정도 정보를 로드하여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차량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량이 많아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코너링 포인트 정보의 수신 모니터링 중 코너링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1)는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검사하여 차량주차상태에 따른 스포일러 자동 조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고(S115), 차량주행상태 정보에 따른 스포일러 자동 조절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30)를 통해 수집하고(S117), 수집된 차량주행상태 정보에 따라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한다(S119).
반면, 코너링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1)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곡선정도 정보에 따라 스포일러 각도 조절부(16)를 제어하여 스포일러의 각도를 조절한다(S121).
상기 곡선정도 정보에 따라 스포일러의 각도가 조절되면, 제어부(11)는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30)를 통해 차량주행상태정보를 수집하고(S125), 상기 곡선정도 정보에 따라 조절된 스포일러를 수집된 상기 차량주행상태에 따른 각도를 더 추가적으로 조절한다(S127).
상기 설명에서는 곡선도로의 곡선정도에 따른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 조절 후 바로 차량주행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따른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추가적으로 더 조절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곡선도로의 진입여부를 더 판단한(S123) 후 곡선도로 진입 시에만 차량주행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추가적으로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곡선도로 진입에 따른 차량주행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면, 제어부(11)는 내비게이션(20)으로부터 직선도로 복귀 포인트 정보의 입력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차량이 직선 도로로 진입하는지를 검사하고(S129), 직선도로의 진입 시 스포일러 자동조절모드 종료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131).
스포일러 자동조절모드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으면 제어부(11)는 상기 S113 이후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 시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스포일러 구동부 11: 제어부
12: 저장부 13: 입력부
14: 표시부 15: 통신부
16: 스포일러 각도 조절부 20: 내비게이션
30: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 31: 선회정보 수집부
32: 속도 측정부 33: 가속정보 수집부
34: 감속정보 수집부 101: 코너링 위치(코너링 포인트)

Claims (11)

  1. 현재 주행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경로를 지도데이터에 맵핑하여 표시하며, 상기 경로상에 직선도로에서 곡선도로로 진입하기 직전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코너링 포인트를 안내하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를 출력하는 내비게이션;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 및
    경사도가 조절되는 스포일러 및 상기 스포일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스포일러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를 통해 차량주행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를 획득하여, 곡선도로 진입 직전에 획득된 상기 코너링 포인트 정보, 곡선정도 및 차량주행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스포일러 각도 조절부를 통해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스포일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는,
    차량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차량 회전 각도 검출부;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속도 측정부;
    액셀러레이터의 눌림 여부 및 눌림 세기에 따른 가속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가속정보 수집부; 및
    브레이크의 눌림 여부 및 눌림 세기에 따른 감속정보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감속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4. 현재 주행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경로를 지도데이터에 맵핑하여 표시하며, 상기 경로상에 직선도로에서 곡선도로로 진입하기 직전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코너링 포인트를 안내하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를 출력하는 내비게이션; 및
    경사도가 조절되는 스포일러 및 상기 스포일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스포일러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의해 곡선도로 진입 직전에 상기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따라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스포일러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비게이션은,
    상기 곡선도로의 곡선정도 정보를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더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스포일러 구동부는,
    상기 곡선도로의 곡선정도 정보에 따라 상기 스포일러 각도 조절부를 제어하여 스포일러 각도를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스포일러 구동부 및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는 제어 영역 네트워크(Control Area Network: CAN)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6. 현재 주행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경로를 지도데이터에 맵핑하여 표시하며, 상기 경로상에 직선도로에서 곡선도로로 진입하기 직전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코너링 포인트를 안내하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를 출력하는 내비게이션; 및
    경사도가 조절되는 스포일러를 포함하며,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의해 곡선도로 진입 직전에 상기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따라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스포일러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비게이션은,
    상기 경로상에서 현재 위치가 곡선도로에서 직선도로로 전환되는 직선도로 복귀 위치이면 직선도로 복귀 포인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스포일러 구동부는,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직선도로 복귀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면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직선도로에 따른 경사 각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7. 스포일러 구동부가 내비게이션으로부터 경로 안내가 개시되는지를 검사하는 경로 안내 개시 모니터링 과정;
    경로 안내가 개시되면 스포일러 구동부가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상기 안내되는 경로 상에서 직선 도로에서 곡선도로로 진행하는 코너링 위치 및 곡선도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너링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코너링 포인트 수신 모니터링 과정; 및
    상기 코너링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면 스포일러 구동부가 코너링 포인트 정보에 따라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스포일러 경사 각도 조절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 구동부가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부를 통해 차량주행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포일러 구동부는,
    상기 스포일러 경사 각도 조절 과정에서 상기 코너링 포인트 정보와 함께 차량주행상태 정보를 더 반영하여 상기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주행상태 정보 수집 과정은,
    차량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수집하는 차량 회전 각도 정보 수집 단계;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주행속도 수집 단계;
    액셀러레이터의 눌림 여부 및 누림 세기에 따른 가속정보를 수집하는 가속정보 수집단계; 및
    브레이크의 눌림 여부 및 눌림 세기에 따른 감속정보를 수집하는 감속정보 수집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링 포인 정보는 상기 코너링 포인트 통지 정보 및 곡선도로의 곡선정도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일러 경사 각도 조절 과정에서 상기 스포일러 구동부는 상기 코너링 포인트 정보의 수신 시 상기 곡선도로의 곡선 정도에 따라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 구동부가 상기 곡선도로의 진입 후,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직선도로 복귀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직선도로 복귀 모니터링 과정; 및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직선도로 복구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면 스포일러의 경사 각도를 직선도로에 따른 경사 각도로 조정하는 직선도로 복귀 스포일러 조정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방법.
KR1020150048527A 2015-04-06 2015-04-06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3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527A KR101632148B1 (ko) 2015-04-06 2015-04-06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527A KR101632148B1 (ko) 2015-04-06 2015-04-06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148B1 true KR101632148B1 (ko) 2016-06-21

Family

ID=5635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527A KR101632148B1 (ko) 2015-04-06 2015-04-06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1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6484A (zh) * 2018-12-17 2019-04-12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行车稳定装置、电路控制系统、控制方法及交通用具
CN115027581A (zh) * 2021-03-08 2022-09-09 保时捷股份公司 带空气导流元件的车辆及调节车辆上空气导流元件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747A (ko) 1997-03-19 1998-11-05 임경춘 자동차의 속도 및 조향 감응식 가변 스포일러 및 그 제어방법
JP3094759U (ja) * 2001-11-09 2003-07-04 行毅科技股▲ふん▼有限公司 簡易型衛星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70012915A (ko) * 2005-07-25 2007-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경사 조절 스포일러
KR101427730B1 (ko) 2012-05-25 2014-09-23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수술용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증강현실을 위한 카메라 레지스트레이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747A (ko) 1997-03-19 1998-11-05 임경춘 자동차의 속도 및 조향 감응식 가변 스포일러 및 그 제어방법
JP3094759U (ja) * 2001-11-09 2003-07-04 行毅科技股▲ふん▼有限公司 簡易型衛星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70012915A (ko) * 2005-07-25 2007-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경사 조절 스포일러
KR101427730B1 (ko) 2012-05-25 2014-09-23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수술용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증강현실을 위한 카메라 레지스트레이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6484A (zh) * 2018-12-17 2019-04-12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行车稳定装置、电路控制系统、控制方法及交通用具
CN115027581A (zh) * 2021-03-08 2022-09-09 保时捷股份公司 带空气导流元件的车辆及调节车辆上空气导流元件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7002B2 (ja) 車両のクルーズコントロールの改善
JP6360855B2 (ja) 車両のドライバ勧告システム
CN105799824B (zh) 两轮车的驾驶员信息系统
KR101245101B1 (ko) 순항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83835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dapting acceleration in a motor vehicle
EP2561502B1 (en) Assessment method and system pertaining to acceleration
JP5177105B2 (ja) 運転支援表示装置
EP2040238A2 (en) Statistical processing server, probe information statistical method and probe information statistical program
US20120215377A1 (en) Vehicle Controller
CN110650877A (zh) 车辆控制装置
KR20190123654A (ko) 차량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동작 가능 범위 자동 변경 방법
US201401638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peed of a vehicle in a speed bump area
WO2012137355A1 (ja) 運転支援システム
CN104736409A (zh) 用于促使驾驶风格统一的方法和系统
JP2021020475A (ja) 車両の自動運転支援装置
US20200242938A1 (en)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US20160304093A1 (en) Distance regulating system, motor vehicl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1186287B2 (en) Cant estimating method, cant estimat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01097072A (ja) トラック安全走行システム
JP2011196346A (ja) 車載器
JP5302095B2 (ja) 車両の燃料消費率向上支援装置
KR101632148B1 (ko)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스포일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7168788A (ja) 自動車の走行制御装置
CN115743298A (zh) 一种限制自动驾驶转向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05100206A (ja) 車両情報処理装置、車両情報処理方法および車両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