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006B1 - 기기의 설치 방법과 앵커 부재 지지 기구 및 앵커 볼트 유닛 - Google Patents

기기의 설치 방법과 앵커 부재 지지 기구 및 앵커 볼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006B1
KR101632006B1 KR1020117003896A KR20117003896A KR101632006B1 KR 101632006 B1 KR101632006 B1 KR 101632006B1 KR 1020117003896 A KR1020117003896 A KR 1020117003896A KR 20117003896 A KR20117003896 A KR 20117003896A KR 101632006 B1 KR101632006 B1 KR 10163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container
frame
p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811A (ko
Inventor
이사오 호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플랜트 시스템즈 앤드 서비시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플랜트 시스템즈 앤드 서비시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도시바 플랜트 시스템즈 앤드 서비시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49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4Foundations for machines, engines or ordn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5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229Prime mover or fluid pump making
    • Y10T29/49236Fluid pump or compressor making
    • Y10T29/49238Repairing, converting, servicing or salv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16Structural member making
    • Y10T29/49623Static structure, e.g., a building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Foundation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ECCS 펌프 등의 기기의 설치 작업의 효율을 높인다. 기기의 설치 방법은, 상부측 프레임, 피트 캔, 이들을 주위로부터 보강하는 종 보강근을 포함하는 각종 철근, 및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가 일체화된 피트 캔 유닛을 미리 제작해 두고, 피트 캔 유닛을 MMR 상에 하부측 프레임을 통해서 설치한다. 또한, 1차 콘크리트의 타설 후, 앵커 볼트 유닛을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 상에 배치하고, 다음으로, 피트 캔에 대한 각 기초 볼트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템플릿을 이용해서 보정하고, 이 위치 관계를 보정한 상태에서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 후, 피트 캔 내에 ECCS 펌프를 반입하고, 반입한 이 ECCS 펌프를, 저부측이 매설된 각 기초 볼트를 통해서 고정함으로써, ECCS 펌프의 설치를 완료시킨다.

Description

기기의 설치 방법과 앵커 부재 지지 기구 및 앵커 볼트 유닛{INSTALLATION METHOD OF EQUIPMENT AND ANCHOR MEMBER SUPPORTING MECHANISM AND ANCHOR BOLT UNI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원자력 발전 플랜트에서 이용되는 종형(縱型) 펌프 등의 기기의 설치 방법, 및 이 기기의 설치 방법을 실시할 때에 사용하는 앵커 부재 지지 기구 및 앵커 볼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자력 발전 플랜트 등에 있어서, 피트 캔(pit can)이라고 칭하는 강판(鋼板)제의 유저(有底)원통 형상 용기는, 예를 들면 대형의 종형 펌프의 설치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종형 펌프 등은, 기초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피트 캔의 안에, 펌프 본체의 하방측을 삽입한 상태에서, 기초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술한 피트 캔을 효율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설치 공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즉, 이 설치 공법에서는, 종형 펌프 등의 기기의 설치용 앵커 볼트는, 미리 제작 공장에서, 피트 캔의 주위에 부착된다. 또한, 피트 캔의 저부(低部)에 연결 부재가 부착된다. 이 후, 이 설치 공법에서는, 피트 캔의 주위에 보강용의 철근을 부착하여 피트 캔 모듈이 형성된다. 또한, 이 설치 공법에서는, 종형 펌프 등의 설치 현장의 기초 위에 설치한 피연결 부재 상에,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서 피트 캔 모듈이 탑재된다. 이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피트 캔 본체의 설치가 완료가 된다.
일본국 특개2004-309406 공보 일본국 특개2002-147392 공보
그렇지만, 상술한 설치 공법은, 피트 캔 모듈의 제작시에, 피트 캔 본체의 주위에 기기 설치용의 앵커 볼트가 부착된다. 또한, 이 설치 공법은, 이 후, 피트 캔 본체의 주위에 보강용의 철근을 부착하는 작업 공정을 거친다. 따라서, 이 설치 공법에서는, 앵커 볼트와의 부품 레이아웃상의 간섭을 피하면서 피트 캔 둘레에 철근을 설치하는 등의 비교적 어려운 작업이 필요해진다. 그래서, 피트 캔의 설치를 포함하는 기기의 설치 작업에 대해서, 작업 효율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기기의 설치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기의 설치 방법과 앵커 부재 지지 기구 및 앵커 볼트 유닛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기기의 설치 방법은, 기기의 설치 장소와 상이한 위치에 제 1 프레임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프레임 및 이 제 1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야 할 유저원통 형상의 피트 용기를 그들의 주위로부터 보강하기 위한 철근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철근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프레임 상에 상기 피트 용기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피트 용기의 외주측에서 링 형상의 앵커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와, 중심 구멍을 갖고 상기 피트 용기의 외주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를 보강하면서 상기 중심 구멍과 상기 피트 용기의 외주 부분 사이에 구성되는 간극으로부터 상기 철근의 일부를 삽입통과시키는 링 형상의 보강 부재를 구비한 앵커 부재 지지 기구를, 상기 피트 용기에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기기의 설치 장소로 되는 기초 위에 제 2 프레임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프레임, 상기 철근, 상기 피트 용기 및 상기 앵커 부재 지지 기구가 일체화된 피트 용기 유닛을, 상기 제 1 프레임을 통해서 상기 제 2 프레임 상에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피트 용기 유닛에서의 상기 앵커 부재 지지 기구보다 하방측의 부위를 상기 제 2 프레임과 함께 1차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하는 공정과, 상기 1차 콘크리트에 의한 매설 공정 후, 기기 설치용의 복수의 기초 볼트의 각 저부측이 상기 앵커 부재에 각각 고정된 앵커 볼트 유닛을, 상기 앵커 부재 지지 기구 상에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앵커 볼트 유닛 상의 상기 복수의 기초 볼트를 그 상단부측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삽입 가능한 복수의 위치결정 구멍을 갖는 템플릿(template) 부재를 이용해서, 상기 피트 용기에 대한 상기 각 기초 볼트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보정하는 공정과, 상기 위치 관계를 보정한 상태의 상기 템플릿 부재 및 상기 피트 용기의 상방의 개구 부분 및 상기 복수의 기초 볼트의 상단부측을 제외하고, 상기 피트 용기 유닛 및 상기 앵커 볼트 유닛을 2차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하는 공정과, 상기 템플릿 부재를 철거한 후, 상기 피트 용기 내에 상기 기기를 반입하고, 반입한 이 기기를, 저부측이 매설된 상기 각 기초 볼트를 통해서 고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설치 방법은, 제 1 프레임, 피트 용기, 이들을 주위로부터 보강하는 철근, 및 앵커 부재 지지 기구가 일체화된 피트 용기 유닛을 미리 제작해 두고, 이 피트 용기 유닛을 기기의 설치 장소로 되는 기초 위에 제 1 및 제 2 프레임을 통해서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이 설치 방법에서는, 피트 용기 유닛에서의 앵커 부재 지지 기구보다 하방측의 부위를 1차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 후, 앵커 볼트 유닛을 앵커 부재 지지 기구 상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이 설치 방법에서는, 앵커 볼트 유닛 상의 각 기초 볼트의 피트 용기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템플릿 부재를 이용해서 보정한다. 또한, 이 설치 방법에서는, 각 기초 볼트의 상기 위치 관계를 보정한 상태에서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 후, 이 설치 방법에서는, 피트 용기 내에 기기를 반입하고, 반입한 이 기기를, 저부측이 매설된 각 기초 볼트를 통해서 고정함으로써, 종형 펌프 등의 기기의 설치를 완료시킨다.
즉, 이 태양에 따른 기기의 설치 방법은, 복수의 기초 볼트가 고정된 앵커 볼트 유닛을, 피트 용기측에 배치하기 전에, 제 1 프레임과 함께 피트 용기를 그들의 주위로부터 보강하기 위한 철근을 배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설치 방법에 의하면, 기초 볼트 등과의 부품 레이아웃 상의 간섭을 걱정할 일 없이, 피트 용기 둘레의 철근의 배치 작업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설치 방법에 의하면, 앵커 부재 지지 기구가 구비하는 링 형상의 보강 부재의 중심 구멍과 피트 용기의 외주 부분 사이에 구성되는 간극으로부터 철근의 일부를 삽입통과시킨 상태(즉 철근의 위치를 규제한 상태)에서, 앵커 부재 지지 기구 상에 앵커 볼트 유닛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설치 방법에 의하면, 부품 배치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앵커 부재 지지 기구의 지지 부재는, 예를 들면, 피트 용기의 외주 부분으로부터 각각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판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링 형상의 보강 부재는, 복수의 판 형상의 부재를 저부측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앵커 볼트 유닛은, 기기의 케이싱에 미리 천공되어 있는 복수의 설치용의 구멍의 위치 및 템플릿 부재 상의 복수의 위치결정 구멍의 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앵커 부재 상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기초 볼트의 각 저부측을 각각 용접하는 것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렇게 복수의 기초 볼트와 앵커 부재를 미리 일체화한 앵커 볼트 유닛을 적용함으로써, 기기 설치시의 작업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의 설치 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기기의 설치 방법과 앵커 부재 지지 기구 및 앵커 볼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의 설치 방법에 의해, ECCS 펌프를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피트 캔 유닛의 제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은 하부측 프레임의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도 1의 ECCS 펌프의 설치에 이용되는 피트 캔 유닛의 설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1의 ECCS 펌프의 설치 장소와 상이한 다른 지반면(地盤面) 위에, 정반(定盤) 및 비계(足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정반 상에 상부측 프레임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상부측 프레임의 주변에 종(縱) 보강근(補强筋)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상부측 프레임에 대하여 피트 캔을 임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a는 피트 캔의 주위에 배치된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b는 도 8의 피트 캔의 주위에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c는 도 9b의 A부 확대도.
도 10a는 도 9b의 피트 캔 및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를, 종 보강근을 포함하는 각종 보강근에 의해 보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B부 확대도.
도 11a는 도 1의 ECCS 펌프의 설치 장소로 되는 머메이드 록(mermaid rock) 상에 하부측 프레임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b는 도 11a의 C-C 단면도.
도 12는 도 11a의 하부측 프레임에 하단 보강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a는 도 12의 하부측 프레임의 주변에 하단근(下端筋)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b는 도 13a의 D-D 단면도.
도 14는 하부측 프레임의 주변에 나머지의 하단근 및 철근 프레임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도 10의 피트 캔 유닛을 도 14의 하부측 프레임 상에 반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반입된 피트 캔 유닛을 하부측 프레임 상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피트 캔 유닛의 주위에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피트 캔 유닛으로부터 스테이재(stay material), 서스펜디드 피스(suspended pieces)를 철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a는 앵커 플레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b는 도 19a에 나타내는 앵커 플레이트 유닛의 단면도.
도 20은 도 19에 나타내는 앵커 플레이트 유닛을, 피트 캔 유닛측의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 상에 탑재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a는 피트 캔 유닛측에 템플릿을 임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b는 도 21a의 E-E 단면도.
도 22는 피트 캔 유닛의 상방 부분에 상단근(上端筋)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은 상방 부분에 상단근을 배치한 피트 캔 유닛측에 템플릿을 다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피트 캔 유닛의 상측 부분의 주위에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의 설치 방법에 의해, ECCS(Emergency Core Cooling System(비상용 노심 냉각 계통)) 펌프(71)를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이 ECCS 펌프(71)의 매설 부분의 주변 구조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CCS 펌프(71)는, 원자력 발전 플랜트 내 등에 설치되는 기기의 하나이다. ECCS 펌프(71)는, 비상시에 냉각수를 노심에 공급하기 위한 종형 펌프이다. ECCS 펌프(71)는, 케이싱 부분(배럴(barrel)이라고도 칭하는 펌프 본체의 케이싱)을 구성하는 베이스부(74)나 하부 케이싱(75), 물이 입수되는 입수부(72), 물의 배수측으로 되는 출수부(73) 등을 구비한다.
ECCS 펌프(71)는, 2차 콘크리트(콘크리트 몸체)(61) 내에 매설된 후술하는 피트 캔 유닛(20)의 피트 캔(20a) 내에 하부 케이싱(75)이 수용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술하면, 베이스부(74)에는, 기기 설치용의 복수의 설치 구멍(74a)이 미리 천공되어 있다. ECCS 펌프(71)는, 이들 설치 구멍(74a) 내에, 저부측이 매설된 각 기초 볼트(54)를 삽입해서 너트(54a)에 의해 체결한 상태로, 2차 콘크리트(61) 상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기기의 설치 방법을, 도 2∼도 4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및 상기 도 1 및 도 5∼도 24의 각 작업 공정을 기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2∼도 4 중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작업 공정은, 건축측 공사(건축 시공에 관한 공사)를 나타내고, 한편, 실선으로 나타내는 작업 공정은, 상기 건축측 공사 이외의 기계측 공사(각종 부품류의 부착에 관한 공사)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CCS 펌프(71)의 최종적인 설치 장소와 상이한 다른 장소(제작 공장 등)에 있어서, 건축측 공사에 의해 G. L(Ground Lind: 지반면)(12) 상에 정반(지반 조립 정반)(15)을 설치한다. 또한, 이 정반(15) 상에 임시 수용 구조물(14)을 설치한다. 또한, G. L(12) 상에, 비계(지반 조립 비계)(16)를 설치한다(S[스텝]1).
다음으로,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시 수용 구조물(14)을 통해서 정반(15) 상에 피트 캔(20a)을 설치하기 위한 예를 들면 강재(鋼材)로 이루어진 상부측 프레임(제 1 프레임)(17)을 탑재해서 높이 방향의 레벨 조정을 행한다(S2).
또한, 이 상부측 프레임(17) 상에 피트 캔(20a)을 설치(임시 설정)하기 전에, 도 2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축측 공사에 의해, 상부측 프레임(17) 및 피트 캔(20a)을 그들의 주위로부터 보강하기 위한 철근이 되는 종 보강근(18)을, 그 상부측이 연직 방향으로 기립한 자세가 되도록 배치(삽입 및 임시 배치)한다(S3).
다음으로, 도 2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디드 피스(매달기 걸쇠)(46)를 부착한 피트 캔(20a)을, 기기측 공사에 의해, 상부측 프레임(17) 상에 매달아서 임시 설치(임시 설정)를 행한다(S4). 여기에서, 피트 캔(Pit Can)(20a)은, 도 1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CCS 펌프(71)의 하부 케이싱(75)을 상부측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는 예를 들면 강판제의 유저원통 형상의 피트 용기로 구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9a∼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로서 기능하는 앵커 플레이트 지지 부재(앵커 플레이트 수용 빔이라고도 칭함)(22)와, 보강 부재로서 기능하는 링 형상의 더미(dummy) 앵커 플레이트(22a)를 구비하는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앵커 부재 지지 기구)(21)를 피트 캔(20a)측에 부착한다(S5). 여기에서, 앵커 플레이트 지지 부재(22)는, 피트 캔(20a)의 외주 부분으로부터 각각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판 형상(또는 각재(角材)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앵커 플레이트 지지 부재(22)는, 후술하는 링 형상의 앵커 플레이트(58)(도 20 참조)를 피트 캔(20a)의 외주측에서 지지한다.
여기에서, 앵커 플레이트 지지 부재(22)의 부착에 대해서 더 상술한다.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트 캔(20a)에 부착한 앵글 부재(23)의 마킹(marking)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 앵글 부재(23)에 있어서의 마킹의 위치(앵글 부재(23)의 예를 들면 원주 방향으로 30°씩 간격을 둔 위치)에, 예를 들면 12개의 앵커 플레이트 지지 부재(22)를 용접한다. 이 때, 앵커 플레이트 지지 부재(22)와 피트 캔(20a)을 직접 용접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측 프레임(17)에 대하여, 서스펜디드 피스(매달기 걸쇠)(24)를 부착한다.
도 9a∼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 형상의 더미 앵커 플레이트(22a)는, 예를 들면, 피트 캔(20a)의 외경보다 큰 내경 P1로 형성된 중심 구멍(22b)을 갖는다. 더미 앵커 플레이트(22a)의 상면이, 피트 캔(20a)의 외주측에 있어서, 복수 개의 앵커 플레이트 지지 부재(22)의 저부를 하방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그 결과, 더미 앵커 플레이트(22a)는 앵커 플레이트 지지 부재(22)를 보강한다. 더미 앵커 플레이트(22a)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구멍(22b)과 피트 캔(20a)의 외주 부분 사이에 구성되는 간극으로부터 종 보강근(18)의 일부(선단 부분)를 삽입통과시킨다.
다음으로, 도 2,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트 캔(20a) 둘레의 보강용의 철근의 지반 조립을 행한다. 즉, 원주 보강근(26), 헤어핀근(hairpin reinforcements)(27), 및 셋업근(setup reinforcements)(25)을 설치한다(S6). 원주 보강근(26)은, 종 보강근(18)의 외주측 보강용의 철근이다. 헤어핀근(27)은, 종 보강근(18)의 내측과 피트 캔(20a)의 하방측 사이를 보강하기 위한 철근이다. 셋업근(25)은, 종 보강근(18)의 내측과 앵커 플레이트 지지 부재(22)의 사이나, 종 보강근(18)의 내측과 헤어핀근(27)의 사이를, 보강하기 위한 철근이다.
이러한 보강용의 철근을 설치할 때,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미 앵커 플레이트(22a)의 내경(P1)을 고려하고, 이간 거리 P2가 허용치 내에 들어가도록 피트 캔(20a) 둘레의 보강근의 지반 조립을 행함으로써, 종 보강근(18)을 영구 설치한다. 이간 거리(P2)는, 피트 캔(20a)의 외경 부분과 종 보강근(18)의 내측 부분 사이의 거리이다. 이것에 의해, 상부측 프레임(17), 피트 캔(20a),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21), 및 종 보강근(18)을 포함하는 피트 캔(20a) 둘레의 보강근(종 보강근(18), 원주 보강근(26), 헤어핀근(27) 및 셋업근(25))이 유닛화(사전제작(prefabricated))된 피트 캔 유닛(피트 용기 유닛)(20)이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기기의 설치 방법에서는, 후술하는 기초 볼트(54)가 고정된 앵커 볼트 유닛(57)을, 피트 캔(20a) 측에 배치하기 전에,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트 캔(20a) 둘레의 철근(종 보강근(18)이나 원주 보강근(26) 등)을 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기기의 설치 방법에 따르면, 기초 볼트(54)와의 부품 레이아웃상의 간섭을 걱정할 일 없이, 피트 캔(20a) 둘레의 철근의 배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ECCS 펌프(71)의 설치 장소에 있어서, 암반이 노출할 때까지 지반을 파내려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출한 암반의 검사를 행한다(S11). 다음으로, 검사를 마친 암반 상에 양생을 행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S12),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위 인공 암반인 MMR(머메이드 록(MerMaid Rock))(11)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도 11a,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MR(11) 상에 있어서, 피트 캔 유닛(20) 설치용의 강재 등으로 구성한 하부측 프레임(제 2 프레임)(30)의 설치 위치의 마킹 후, 후타(後打; post cast) 플레이트(32)를 메탈 앵커 등을 통해서 MMR(11) 상에 설치한다.
또한, 사전제작(사전 부품 가공 및 임시 조립) 완료된 상기 하부측 프레임(30)을 크레인 등을 이용해서 반입한다. 반입한 이 하부측 프레임(30)의 위치결정 및 레벨 조정(높이 조정) 후, 후타 플레이트(32) 상에 하부측 프레임(30)의 각 다리부를 용접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도 3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측 프레임(30)의 각 다리부에 실링재(sealing material)로서의 스팬 시일(span seal)(31)을 부착한다. 또한, 하부측 프레임(30)의 이웃하는 다리부끼리의 하방측에 하단 보강 부재(33)를 건너질러서 하부측 프레임(30)을 보강한다(S13).
하부측 프레임(30)의 설치 후, 도 3,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근(하단부 보강용의 철근)(34)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한다. 다음으로, 이 격자 형상으로 배치한 하단근(34)의 유닛을 3단분 포개고, 하부측 프레임(30)의 이웃하는 다리부끼리의 상방측에 상단 보강 부재(35)를 건너질러서, 하부측 프레임(30)을 더욱 보강한다(S14). 다음으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 보강 부재(35)의 더욱 상부에 하단근(철근)(36)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한다. 계속해서, 이 하단근(36) 상에 있어서의 하부측 프레임(30)의 근방에 작업용의 철근 프레임(37)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근 프레임(37)을 이용해서 작업용의 비계(40)를 설치한다. 이 후, 임시 조립 장소로부터 운반해온 피트 캔 유닛(20)에 와이어(41, 43) 및 매달기 천칭(42)을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 도 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트 캔 유닛(20)을 하부측 프레임(30)의 상면에 매달아 넣어(반입), 상부측 프레임(17)을 통해서 하부측 프레임(30) 상에 피트 캔 유닛(20)을 설치한다(S21). 상세하게는, 하부측 프레임(30) 상에 미리 표시된, 마킹 라인 등에 맞춰서, 상부측 프레임(17)을 용접하여 피트 캔 유닛(20)을 설치한다.
또한,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상의 시멘트나 모르타르에 대하여, 피트 캔(20a)의 부상(浮上) 및 전도(轉倒)를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스테이재)(45)를, 피트 캔(20a) 측의 서스펜디드 피스(46)와 상부측 프레임(17)의 서스펜디드 피스(24) 사이에 접속한다. 여기에서, 피트 캔(20a)의 평면 방향의 설치 위치, 높이 방향의 레벨, 수직도(및 진원도)가, 허용치 내에 들어있는 지를 확인한다.
이 후, 도 4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트 캔 유닛(20)에 있어서의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21)보다 하방측의 부위를 하부측 프레임(30)과 함께 1차 콘크리트(51)에 의해 매설(도 15에 나타내는 1차 콘크리트 타설 가상면(51a)까지 1차 콘크리트(51)를 타설)한다(S22).
1차 콘크리트(51)에 의한 매설 공정 후, 도 4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재로서의 와이어(45) 및 피트 캔(20a)의 서스펜디드 피스(46)를 철거한다(S23). 다음으로, 도 19a∼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 설치용의 복수의 기초 볼트(앵커 볼트라고도 칭함)(54)의 각 저부측이 앵커 플레이트(58)에 각각 고정된 앵커 볼트 유닛(57)을,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트 캔 유닛(20)의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21) 상에 배치한다(S24).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기기의 설치 방법에서는,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21)가 구비하는 링 형상의 더미 앵커 플레이트(22a)의 중심 구멍(22b)과 피트 캔(20a)의 외주 부분 사이에 구성되는 간극으로부터 종 보강근(18)의 선단부를 삽입통과시킨 상태(피트 캔(20a) 둘레의 철근의 위치를 규제한 상태)에서,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21) 상에 앵커 볼트 유닛(57)을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부품 배치시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9a,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앵커 볼트 유닛(57) 상의 복수의 기초 볼트(54)는, ECCS 펌프(71)의 베이스부(74)에 미리 천공되어 있는 복수의 설치 구멍(74a)의 위치 및 후술하는 템플릿(템플릿 부재)(53) 상의 복수의 위치결정 구멍(53a)의 위치(도 21a 참조)와 각각 대응하는 앵커 플레이트(58) 상의 소정 위치에, 당해 기초 볼트 본체의 각 저부측이 각각(너트(54b, 54c)에 의해 체결되고 또한) 용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템플릿(53) 상의 각 위치결정 구멍(53a)은, 기초 볼트(54)를 고정밀도로 설치하기 위해서, 베이스부(74) 상의 설치 구멍(74a)의 천공 공정과 예를 들면 동일 스텝으로 천공(동축 가공)된다.
또한, 도 21a,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앵커 볼트 유닛(57) 상의 복수의 기초 볼트(54)를 그 상단부측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삽입 가능한 상기 복수의 위치결정 구멍(53a)을 갖는 예를 들면 강판제의 템플릿(53)을 이용해서, 피트 캔(20a)에 대한 각 기초 볼트(5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보정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템플릿(53) 상에 미리 표시된 마크의 위치와 피트 캔(20a) 상에 미리 표시된 마크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당해 템플릿(53)을 위치결정한다.
또한, 상술하면, 도 4, 도 21a,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템플릿(53)의 임시 배치(임시 설정)를 행한다(S25). 구체적으로는, 각 기초 볼트(54)를 위치결정 구멍(53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템플릿(53)을 너트(54a)를 통해서 고정한다. 또한, 예를 들면 라이너(스페이서) 등을 이용해서, 템플릿(53)의 위치(높이 및 평면 방향의 위치)를 변위시켜서, 당해 위치 관계를 허용치 내에 들게 한 후,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21) 상의 앵커 플레이트 지지 부재(22)와 앵커 볼트 유닛(57)의 저부의 앵커 플레이트(58)를 점용접한다.
이 후, 도 4,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템플릿(53)을 일시적으로 철거하고(S26), 피트 캔 유닛(20)의 상부측의 주위를 보강하기 위한 철근인 상단근(55)을 예를 들면 2단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한다(S27). 또한, 이 후, 도 4,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템플릿(53)을 다시 설치(본(本) 배치)하고(S28), 템플릿(53)의 위치를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피트 캔(20a)에 대한 각 기초 볼트(5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최종 보정한다(S29).
다음으로, 상기 위치 관계를 최종 보정한 상태의 템플릿(53)과 피트 캔(20a) 상방의 개구 부분 및 각 기초 볼트(54)의 상단부측을 제외하고, 도 4,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트 캔 유닛(20) 및 앵커 볼트 유닛(57)을 2차 콘크리트(61)에 의해 매설(도 23에 나타내는 2차 콘크리트 타설 가상면(61a)까지 2차 콘크리트(61)를 타설)한다(S30).
2차 콘크리트(61)의 타설 후, 도 4,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템플릿(53)을 철거한 후, 각종 계측을 행한다(S31). 예를 들면, 템플릿(53)의 중심과 피트 캔(20a)의 중심의 동심도(同芯度)가 허용치 이내에 있는 지를 확인한다. 또한, 기초 볼트(54)의 상단의 높이 레벨이 허용치 이내에 있는 지 등을 확인한다.
또한, 도 4,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템플릿(53)의 철거된 피트 캔(20a)의 수용 공간 내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CCS 펌프(71)를 반입하고, 반입한 ECCS 펌프(71)를, 저부측이 매설된 각 기초 볼트(54) 및 너트(54a)를 통해서 고정한다(S32).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기의 설치 방법에서는, 상부측 프레임(17), 피트 캔(20a), 이들을 주위로부터 보강하는 종 보강근(18)을 포함하는 각종 철근, 및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21)가 일체화된 피트 캔 유닛(20)을 미리 제작해 둔다. 또한, 제작한 이 피트 캔 유닛(20)을 기기의 설치 장소로 되는 MMR(11) 상에 하부측 프레임(30) 및 상부측 프레임(17)을 통해서 설치한다. 또한, 피트 캔 유닛(20)에 있어서의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21)보다 하방측의 부위를 1차 콘크리트(51)에 의해 매설 후, 앵커 볼트 유닛(57)을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21) 상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앵커 볼트 유닛(57) 상의 각 기초 볼트(54)의 피트 캔(20a)에 대한 위치 관계를 템플릿(53)을 이용해서 보정한다. 또한, 각 기초 볼트(54)의 상기 위치 관계를 보정한 상태에서 2차 콘크리트(61)를 타설한다. 이 후, 피트 캔(20a) 내에 ECCS 펌프(71)를 반입하고, 반입한 이 ECCS 펌프(71)를, 저부측이 매설된 각 기초 볼트(54)를 통해서 고정함으로써, ECCS 펌프(71)의 설치를 완료시킨다.
즉, 본 실시형태의 기기의 설치 방법은, 복수의 기초 볼트가 고정된 앵커 볼트 유닛(57)을, 피트 캔(20a) 측에 배치하기 전에,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 보강근(18)이나 원주 보강근(26) 등의 피트 캔(20a) 둘레의 철근을 배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기기의 설치 방법에 따르면, 기초 볼트(54)와의 부품 레이아웃상의 간섭을 걱정할 일 없이, 피트 캔(20a) 둘레의 철근의 배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기의 설치 방법에서는,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21)가 구비하는 링 형상의 더미 앵커 플레이트(22a)의 중심 구멍(22b)과 피트 캔(20a)의 외주 부분 사이에 구성되는 간극으로부터 종 보강근(18)의 선단부를 삽입통과시킨 상태(즉, 피트 캔(20a) 둘레의 철근의 위치를 규제한 상태)에서, 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21) 상에 앵커 볼트 유닛(57)을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기기의 설치 방법에 따르면, 부품 배치시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더미 앵커 플레이트(22a)는, 앵커 플레이트 지지 부재(22)를 보강하는 기능과, 종 보강근(18)을 포함하는 피트 캔(20a) 둘레의 철근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능을 단일의 부재로 실현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ECCS 펌프 등의 종형 펌프의 설치에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섬프(sump) 탱크 등의 기기를 설치할 경우에 있어서도 유용하다.
17…상부측 프레임, 18…종 보강근, 20…피트 캔 유닛, 20a …피트 캔, 21…앵커 플레이트 지지 기구, 22…앵커 플레이트 지지 부재, 22a …더미 앵커 플레이트, 22b…중심 구멍, 25…셋업근, 26…원주 보강근, 27…헤어핀근, 30…하부측 프레임, 51…1차 콘크리트, 53…템플릿, 53a…위치결정 구멍, 54…기초 볼트, 55…상단근, 57…앵커 볼트 유닛, 58…앵커 플레이트, 61…2차 콘크리트, 71…ECCS 펌프, 74…베이스부, 74a…설치 구멍, 75…하부 케이싱

Claims (6)

  1. 기기의 설치 장소와 상이한 위치에, 피트 용기를 설치하기 위한 제 1 프레임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프레임 및 이 제 1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야 할 유저(有底)원통 형상의 피트 용기를 그들의 주위로부터 보강하기 위한 철근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철근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프레임 상에 상기 피트 용기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피트 용기의 외주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복수 돌출하고 상기 피트 용기의 외주측에서 링 형상의 앵커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와, 상기 피트 용기의 외경보다도 큰 중심 구멍을 가져 상기 피트 용기의 외주측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일체적으로 지지하고, 또한 상기 중심 구멍과 상기 피트 용기의 외주 부분 사이에 구성되는 간극으로부터 상기 철근의 일부를 삽입통과시키는 링 형상의 보강 부재를 구비한 앵커 부재 지지 기구를, 상기 피트 용기에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기기의 설치 장소로 되는 기초 위에 상기 제 1 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한 제 2 프레임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프레임, 상기 철근, 상기 피트 용기 및 상기 앵커 부재 지지 기구가 일체화된 피트 용기 유닛을, 상기 제 1 프레임을 통해서 상기 제 2 프레임 상에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피트 용기 유닛에서의 상기 앵커 부재 지지 기구보다 하방측의 부위를 상기 제 2 프레임과 함께 1차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하는 공정과,
    상기 1차 콘크리트에 의한 매설 공정 후, 기기 설치용의 복수의 기초 볼트의 각 저부측이 상기 앵커 부재에 각각 고정된 앵커 볼트 유닛을, 상기 앵커 부재 지지 기구 상에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앵커 볼트 유닛 상의 상기 복수의 기초 볼트를 그 상단부측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삽입 가능한 복수의 위치결정 구멍을 갖는 템플릿(template) 부재를 이용해서, 상기 피트 용기에 대한 상기 각 기초 볼트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보정하는 공정과,
    상기 위치 관계를 보정한 상태의 상기 템플릿 부재 및 상기 피트 용기의 상방의 개구 부분 및 상기 복수의 기초 볼트의 상단부측을 제외하고, 상기 피트 용기 유닛 및 상기 앵커 볼트 유닛을 2차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하는 공정과,
    상기 템플릿 부재를 철거한 후, 상기 피트 용기 내에 상기 기기를 반입하고, 반입한 이 기기를, 저부측이 매설된 상기 각 기초 볼트를 통해서 고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설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 용기와 상기 각 기초 볼트의 위치 관계를 보정하는 공정은,
    상기 각 위치결정 구멍에, 대응하는 상기 각 기초 볼트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템플릿 부재의 위치를 변위시켜, 당해 위치 관계를 허용치 내에 들게 한 후, 상기 앵커 부재 지지 기구 상의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앵커 볼트 유닛의 저부의 상기 앵커 부재를 점용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설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설치 대상의 상기 기기는, 종형(縱型)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설치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 용기와 상기 각 기초 볼트의 위치 관계를 보정하는 공정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앵커 부재를 점용접한 후, 상기 템플릿 부재를 일시적으로 철거하고, 상기 피트 용기 유닛의 상부측의 주위를 보강하기 위한 철근을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설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피트 용기의 외주 부분으로부터 각각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판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링 형상의 보강 부재는, 상기 복수의 판 형상의 부재를 저부측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설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초 볼트는, 상기 기기의 케이싱에 미리 천공되어 있는 복수의 설치용의 구멍의 위치 및 상기 템플릿 부재 상의 상기 복수의 위치결정 구멍의 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앵커 부재 상의 소정 위치에, 당해 기초 볼트 본체의 저부측이 각각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설치 방법.
KR1020117003896A 2008-08-22 2009-08-20 기기의 설치 방법과 앵커 부재 지지 기구 및 앵커 볼트 유닛 KR101632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14389 2008-08-22
JP2008214389 2008-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811A KR20110049811A (ko) 2011-05-12
KR101632006B1 true KR101632006B1 (ko) 2016-06-21

Family

ID=4170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896A KR101632006B1 (ko) 2008-08-22 2009-08-20 기기의 설치 방법과 앵커 부재 지지 기구 및 앵커 볼트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671568B2 (ko)
EP (1) EP2320088A4 (ko)
JP (1) JP5449169B2 (ko)
KR (1) KR101632006B1 (ko)
WO (1) WO2010021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5396B2 (ja) * 2014-02-18 2018-09-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機器取付装置および機器取付方法
CN106499676A (zh) * 2016-12-06 2017-03-15 中国电建集团河南工程公司 海水直冷机组循环水泵安装工法
CN112832284B (zh) * 2021-02-25 2022-08-05 唐山港口实业集团有限公司 集装箱重箱堆场箱角基础及其施工方法
CN114753409B (zh) * 2022-05-12 2023-11-14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电力井预制装配组件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392A (ja) 2000-11-08 2002-05-22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ピットキャンの据付工法および据付ユニット
JP2004309406A (ja) 2003-04-10 2004-11-04 Toshiba Corp 原子力発電所の建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7085A (en) * 1956-06-29 1960-02-03 Atomic Energy Commission Nuclear reactors
US3755079A (en) * 1969-12-12 1973-08-28 Atomic Energy Commission Nuclear reactor plant with integral entombment
DE2528825C2 (de) * 1975-06-27 1982-12-16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Kernreaktoranlage
FR2469778A1 (fr) * 1979-11-14 1981-05-22 Framatome Sa Installation de centrale nucleaire, et procede pour l'edification d'une telle centrale
FR2501893B1 (fr) * 1981-03-13 1985-11-15 Framatome Sa Reacteur nucleaire a cloisonnement de coeur par tiges et plaques entretoises
JP2519317B2 (ja) * 1989-02-17 1996-07-31 株式会社東芝 ポンプ基礎ボルト設定方法
JP3002107B2 (ja) * 1994-12-19 2000-01-24 勤伍 内藤 柱脚構造及び柱脚工法
JP2966751B2 (ja) * 1995-03-17 1999-10-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原子炉格納容器の建設工法及び原子炉格納容器のダイヤフラムフロアの構造
US7618217B2 (en) * 2003-12-15 2009-11-17 Henderson Allan P Post-tension pile anchor foundation and method therefor
US7342989B2 (en) * 2005-06-23 2008-03-11 Nac International,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echanical shielding and cooling
JP2007232420A (ja) * 2006-02-28 2007-09-13 Hitachi Ltd 原子炉格納容器
US7677522B2 (en) * 2008-05-07 2010-03-16 Bakos Stephen M Support bracket for a colum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392A (ja) 2000-11-08 2002-05-22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ピットキャンの据付工法および据付ユニット
JP2004309406A (ja) 2003-04-10 2004-11-04 Toshiba Corp 原子力発電所の建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54644A1 (en) 2011-06-30
KR20110049811A (ko) 2011-05-12
JP5449169B2 (ja) 2014-03-19
US8806744B2 (en) 2014-08-19
US20140144025A1 (en) 2014-05-29
EP2320088A4 (en) 2017-08-30
WO2010021352A1 (ja) 2010-02-25
EP2320088A1 (en) 2011-05-11
US8671568B2 (en) 2014-03-18
JPWO2010021352A1 (ja)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3069B (zh) 用于能够通过可替换的贯穿螺栓将风轮机塔锚固到其处的基座
US8713892B2 (en) Method for assembling shell segments for forming tower sections of a hybrid wind turbine tower
EP2458094A1 (en) Installing method for anchor cage and installing method for industrial equipment
CN107806205B (zh) 一种无衬里钢制穹顶的安装结构及安装方法
CN105586833B (zh) 劲性骨架钢筋笼整体成型大型现浇薄壁高墩施工方法
KR101632006B1 (ko) 기기의 설치 방법과 앵커 부재 지지 기구 및 앵커 볼트 유닛
JP2009035884A (ja) 鉄塔のリフトアップ工法
CN209891234U (zh) 钢管柱混凝土基础预埋地脚螺栓精准定位机构
JP5183606B2 (ja) 機器の基礎施工に用いるアンカーボルトのユニット構造物とそれを用いた機器の基礎施工方法
CN114837474A (zh) 一种装配式体育场的安装方法
JP2006183266A (ja) 積層ゴム支承による免震構造物の建築構法
JP4095953B2 (ja) アンカ装置及びアンカ装置の使用方法
JP6688612B2 (ja) 杭構造及び杭の組立方法
JP7470009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CN113216591B (zh) 一种爬模爬升辅助钢结构及其施工方法
JP5597952B2 (ja) 柱と基礎の接続部の構築方法、リング筋の配筋方法
JP7053750B1 (ja) 鉄筋ユニット、及び、鉄筋の組立方法
JP7470011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吊り具
JP6251591B2 (ja) Lng地上式タンクの施工方法
CN116290535A (zh) 核电站双曲面免拆模原位安装施工方法
CN112030754A (zh) 钢结构桥梁的施工方法及钢结构桥梁
JP2003129502A (ja) 逆打ち工法における後挿入構真柱の施工装置及び施工方法
JP2012052389A (ja) アンカーボルトの据付治具および該据付治具を用いた杭基礎の施工方法
CN114108492A (zh) 一种用于现浇立柱钢筋笼临时定位的拼装骨架及施工方法
JP2008050957A (ja) タービンペデスタルおよびタービンペデスタル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