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999B1 - 발광 수단 및 용도 - Google Patents

발광 수단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999B1
KR101630999B1 KR1020147009142A KR20147009142A KR101630999B1 KR 101630999 B1 KR101630999 B1 KR 101630999B1 KR 1020147009142 A KR1020147009142 A KR 1020147009142A KR 20147009142 A KR20147009142 A KR 20147009142A KR 101630999 B1 KR101630999 B1 KR 101630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means
external electrical
hou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1503A (ko
Inventor
카르스텐 디크만
브리타 괴에츠
슈테펜 로스바흐
속 겍 베
속 ? 베
마나프 샤롤 이짠니 압둘
카리드 마르디아나 빈티
콕 엥 응
분 리앙 얍
Original Assignee
오스람 오엘이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오엘이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오스람 오엘이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6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F21V7/0016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on lighting devices that also provide for direct lighting, e.g. by means of independent light sources, by splitting of the light beam, by switching between both lighting m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A47F11/10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2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2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making direct electrical contact, e.g. by pier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5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shop-windows or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복사 출력면(2)을 구비한 발광 수단(1)이 제안되고, 이 경우 발광 수단은 수용부(9)를 가진 하우징부(3), 수용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광전 소자(5) 및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4)를 포함하고, 커버부와 하우징부 사이에 소자가 지지된다. 또한, 유기 광전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수단의 외부 전기 접속부로서 래칭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의 용도가 제안된다.

Description

발광 수단 및 용도{LIGHT-EMITTING MEANS AND USE}
본 발명은 발광 수단 및 발광 수단을 위한 부재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발광 수단은 특히 일반 조명과 관련해서, 예를 들어 램프와 같은 조명등에 복사 생성 소자로서 발광 수단의 장착의 경우에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새로운 발광 수단, 특히 개선된 발광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발광 수단에서 이용 시 특수한 장점들을 제공하는 발광 수단을 위한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특히 독립 청구항의 대상들에 의해 해결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공개 내용은 청구된 교리 외에, 경우에 따라서 전술한 과제들 중 하나의 과제를 해결하는 다른 교리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공개 내용은 청구항의 대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복사 출력면을 구비한 발광 수단이 제공된다. 발광 수단에서 생성된, 바람직하게는 가시 복사는 복사 출력면을 통해 발광 수단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발광 수단은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하우징부는 수용부를 갖는다. 수용부에 발광 수단을 위한 복사 생성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는 특히 환형으로, 경계가 한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우징부는 발광 수단의 내측 부재, 예컨대 복사 생성 소자의 전기 콘택을 유해한 외부 영향에 대해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부는 발광 수단의 외부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발광 수단은 커버부를 포함한다. 커버부는 바람직하게 하우징부에 예를 들어 분리 가능하게 또는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부는 발광 수단의 외부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발광 수단은 복사 방출 또는 광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소자는 바람직하게 복사를 생성하는데 적합하다. 소자는 타일(tile)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소자는 유기 소자, 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일 수 있다. 유기 소자는 바람직하게 유기 기능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는 전력의 적절한 공급 시 바람직하게 가시 스펙트럼 범위의 전자기 복사를 생성한다. 소자는 복사 출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사 출력면은 발광 수단의 복사 출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소자의 복사 출력면은 발광 수단의 외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부의 수용부에 소자가 배치된다. 소자는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부의 수용부는 소자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는, 수용부 내에 소자가 배치된 경우, 하우징부와 소자 사이의 상대 운동, 특히 상대 회전이 제한 또는 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소자의 형상과 일치하는 수용부의 적절한 형상에 의해, 예를 들어 수용부를 제한하는 가장자리에서 상응하는 에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소자는 커버부와 하우징부 사이에 지지된다. 커버부가 하우징부에 결합되면, 커버부와 하우징부 사이에 지지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 공간에 소자의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와 커버부 사이에 지지 홈이 지지 공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공간은 환형으로 소자의 전체 원주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커버부가 분리 가능하게 하우징부 결합되면, 커버부는 하우징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소자는 경우에 따라서 하우징부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간단한 방식으로 결함 있는 소자가 대체될 수 있다.
커버부는 예컨대 수용부에서 노출될 수 있는 발광 수단의 고정부 또는 전기 라인 같은 전기 및/또는 기계적 부재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된 부재들은 유해한 외부 영향, 예컨대 기계적 부하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전기 및 기계적 부재들은 대개 미관상 그리 보기 좋지 않다. 따라서 커버부는 발광 수단의 미관적 가치를 높인다. 커버부는 소자의 복사 출력면을 제외하고 전체 수용부 및 바람직하게는 수용부 주변으로 연장되어 돌출한 하우징부의 가장자리를 커버할 수도 있다. 커버부는 외측면으로 하우징부와 동일 평면으로 끝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발광 수단은 8 mm 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 두께를 갖는다. 커버부와 하우징부 사이에서 소자의 지지에 의해 특히 납작한 발광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발광 수단은 특히 발광 수단의 복사 출력면의 가로방향 치수의, 예컨대 직경의 1/4 보다 작거나 같은, 바람직하게는 1/5 보다 작거나 같은, 대략 1/6 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발광 수단은 평면 발광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는 복사 통과 영역에서 컷아웃된다(recessed). 따라서 커버부는 발광 수단에서 생성된 복사와 관련해서 광학 특성과 무관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복사 통과 영역에서 복사는 방해받지 않고 커버부를 통과할 수 있다. 커버부는 중앙 컷아웃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는 평면도에서 볼 때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부는 컷아웃된다. 하우징부는 수용부의 영역에서 컷아웃될 수 있다. 하우징부는 바람직하게는 커버부의 복사 통과 영역과 중첩하는 또는 상기 커버부에 의해 특히 완전히 커버되는 영역에서 컷아웃된다. 하우징부 및 커버부가 컷아웃된 경우에, 복사 출력면을 구비한 발광 수단의 전면 및 예컨대 복사 방출 소자 또는 상기 소자에 결합된 부재의 후면이 노출될 수 있는 후면으로부터 컷아웃가 보일 수 있다. 특히 스위치 오프된 상태에서도 발광 수단의 외부 외형은 소자 또는 상기 소자에 결합된 부재에 의해 함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부는, 특히 수용부의 영역에서 컷아웃를 포함하지 않는다. 하우징부가 컷아웃되지 않으면, 상기 하우징부는 하우징부보다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다른 소자들을 가릴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는 도전성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는 열전도성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부는 소자로부터 열을 방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는 자성으로, 특히 강자성으로 형성된다. 커버부는 자력에 의해 하우징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부는 전기 절연성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부는 커버부에 결합을 위한 그리고 특히 커버부의 고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각각의 결합 수단은 분리 가능한 또는 분리 불가능한 결합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결합 수단은 바람직하게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자력에 의해 특히 분리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결합 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자석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하우징부의 원주에 걸쳐 가장자리 측에 분포될 수 있다. 분리 불가능한 결합을 위해 결합 수단으로서 커버부 및 하우징부에 서로 상응하는 록킹 장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록킹 장치 사이에 형성된 록킹 결합은 분리 불가능한 결합, 즉 결합 수단들 중 하나의 결합 수단을 파괴하지 않고 분리될 수 없는 결합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발광 수단은 하나 또는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외부 전기 접속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속부는 외부 전원에 대한 발광 수단의 도전 접속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접속부에 의해 소자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각각의 접속부는 직류 전압원에 접속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접속부는 하우징부에서 지지되고, 외부에서 액세스할 수 있다. 각각의 접속부는 바람직하게 소자의 전기 콘택에 도전 접속된다. 소자는 발광 수단이 가지고 있는 외부 전기 접속부보다 많은 콘택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소자는 발광 수단이 가지고 있는 애노드 또는 캐소드 극성을 위한 외부 접속부보다 많은 단극성의 - 애노드 또는 캐소드 - 콘택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수단 내의 적절한 전기 접속에 의해 특히 단극성의 2개의 전기 콘택이 공통의 접속부에 안내되고, 상기 접속부에 도전 접속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외부 전기 접속부는 전기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한 결합부로서 형성된다. 접속부들 중 하나의 접속부는 전기 플러그 타입 결합의 수형 결합부로서, 예를 들어 커넥터로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접속부는 암형 결합부로서, 예를 들어 소켓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 예컨대 최종 소비자에게도 익숙하고, 상기 소비자에 의해 간단하게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는 특히 조명등에 발광 수단을 도전접속하는데 적합하다. 각각의 접속부는 예를 들어 래칭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한 결합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한 각각의 결합부는 단극 결합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접속부는 바람직하게 단극성을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2개의 극성을 하나의 결합부에, 예를 들어 2극 잭 플러그(jack plug)에 통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상이한 극성을 위한 2개의 상이한 결합부들은, 아직 배치되지 않은 최종 접속부들이 전원에 접속되기 전에, 다수의 발광 수단을 접속부를 통해 서로 전기 및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도 서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외부 전기 접속부는 발광 수단의 복사 출력면의 평면도에서 볼 때 대향 배치된, 바람직하게 서로 직경 방향으로 반대의 2개의 위치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접속부는 하나의 축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축은 2개의 접속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접속부와 플러그 타입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플러그 인 방향은 상기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2개의 접속부들은 축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접속부들이 하나의 축을 따라 정렬되면, 조명등 내에 배치되고 조명등의 단자에 접속된 2개의 접속부를 가진 발광 수단은 상기 축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고, 특히 회전될 수 있다. 이로써 접속부들은 조명등 내의 발광 수단을 위한 피봇 베어링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래칭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한 길게 연장된 결합부들은 특히 축을 따른 정렬에 적합하다. 잭 플러그는 회전 배리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회전 가능성도 보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발광 수단은 지지 장치를 포함한다. 지지 장치와 접속부는 하나의 공통 축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축은 지지 장치와 접속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접속부와 지지 장치는 발광 수단의 복사 출력면의 평면도에서 볼 때 대향 배치된, 바람직하게는 서로 직경 방향으로 반대의 2개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접속부는 플러그 타입 결합, 예를 들어 래칭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한 2극 결합부로서, 예컨대 커넥터 또는 소켓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장치는 조명등의 지지 부재와 결합을 위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발광 수단이 조명등에서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이러한 결합은 지지 부재와 지지 장치가 서로 결합될 때,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장치 사이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복사 방출 소자는 동일한 극성의 복수의 전기 콘택을 포함한다. 또한, 소자는 바람직하게 상이한 극성의 적어도 2개의 콘택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발광 수단은 도체부를 포함한다. 도체부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또는 다수의 접속 도체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속 도체는 소자의 콘택을 발광 수단의 외부 전기 접속부에 접속시킬 있다. 동일한 극성의 다수의 콘택은 도체부의 접속 도체를 통해 발광 수단의 공통의 외부 전기 접속부에 접속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일한 극성의 콘택들이 공통의 접속부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접촉에 필요한 단자의 개수는 각각의 콘택이 별도로 외부에서 접촉되어야 하는 발광 수단에 비해 바람직하게 감소한다.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이한 극성을 위한 도체부의 접속 도체들은 바람직하게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도체부는 결합층을 통해 소자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결합층은 예를 들어 전기 절연성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도체부는 도전층, 바람직하게는 이방성 도전층을 통해 소자에 도전 접속된다. 전술한 결합층은 도전층과 다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외부 전기 접속부는 특히 땜납을 통해 도체부에 도전 접속되고,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납땜 접속은 특히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도체부는 가요성 회로기판과 같은 가요성 도체부이거나 또는 그러한 것을 포함한다. 특히 회로기판의 도체의 캐리어로서 박막을 포함하는 가요성 회로기판은 박막 발광 수단을 형성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 특히 커버부가 하우징부에 결합될 때, 하우징부에 대한 접속부들 중 하나의 접속부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고 배치된다. 각각의 고정 부재는 커버부의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부재는 고정부와 하우징부 사이에 배치된 접속부의 부분보다 하우징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더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는 고정 부재와 하우징부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 접속부가 예를 들어 플러그 인에 의해 조명등에 결합 시 하우징부의 수용부 내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저지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접속부에 고정 부재가 할당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는 하나 이상의 열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커버부는 각각의 열접촉 부재를 통해 소자에 열전도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커버부에 소자의 폐열이 제공될 수 있고, 커버부를 통해 주변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자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소자에 열전도 부재, 예를 들어 열전도 박막이 배치되고, 상기 소자에 열전도 결합된다. 열전도 부재는 열 접속면을 가질 수 있다. 열 접속면은 복사 출력면의 평면도에서 볼 때 복사 출력면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열 접속면은 커버부의 열접촉 부재에 열전도 결합될 수 있다. 열전도 부재는 대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부재는 소자를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열전도 부재에 의해 열은 균일하게 소자의 표면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측 휘도 분포에서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복사 출력면의 평면도에서 볼 때 소자에 걸친 온도 변화는 감소하거나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 및/또는 하우징부는 불투명하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래칭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의 용도가 제안된다. 결합부는 바람직하게 발광 수단의 외부 전기 접속부로서 사용되고, 상기 발광 수단은 바람직하게 유기 광전 소자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칭 플러그 타입 결합은 특히 OLED와 같은 평면 소자에서 특수한 장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복사 출력면을 구비한 발광 수단이 제안되고, 이 경우 발광 수단은,
- 수용부를 가진 하우징부,
- 수용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광전 소자 및,
-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를 포함하고, 이 경우 커버부와 하우징부 사이에 소자가 지지된다.
다른 장점들, 바람직한 실시예 및 합목적성은 도면과 관련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에 제시된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 수단을 상이하게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발광 수단을 위한 하우징부를 상이하게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 수단의 커버부를 상이하게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광전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수단의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소자를 상이하게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도체부에 고정을 위한 모듈의 전기 접속부 및 모듈의 도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열전도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발광 수단의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참고로 실시예에 따른 소자와 커버부 사이의 열 접속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발광 수단의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참고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수단에서 전기 접속부의 고정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가 제거된 상태의 발광 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하우징부와 커버부 사이의 분리 불가능한 결합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 내지 도 16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동일한, 동일한 종류의 그리고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재들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발광 수단(1)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은 복사 출력면(2)을 가진 발광 수단(1)의 한 측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측면은 이 경우 전면이라고도 한다. 도 2는 여기에서 후면이라고도 하는 복사 출력면(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발광 수단(1)의 측면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발광 수단(1)은 하우징부(3)와 커버부(4)를 포함한다. 또한, 발광 수단(1)은 광전 소자(5)를 포함한다. 광전 소자(5)는 바람직하게 유기 전기 발광 소자로서, 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서 형성된다. 유기 전기 발광 소자는 바람직하게 유기 기능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는 전력의 적절한 공급 시 복사, 바람직하게 가시 스펙트럼 범위의 복사를 방출한다.
커버부(4)는 특히 전면을, 바람직하게는 하우징부(3) 내에 배치된 발광 수단(1)의 부재들을 바람직하게 광전 소자(5)의 복사 출력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복사 출력면(2)을 제외하고 커버한다. 커버부(4)는 중앙 컷아웃를 포함하는 복사 출력면의 평면도에서 볼 때 예컨대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4)의 횡단면은 컷아웃를 향해 테이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4)는 컷아웃를 향해 라운드될 수 있다. 따라서 미관적인 전체적인 인상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4)의 횡단면은 외측을 향해 테이퍼링될 수 있다(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
하우징부(3)의 횡단면은 외측을 향해 테이퍼링될 수 있다. 이는, 발광 수단(1)의 전체적인 인상을 더 얇아 보이게 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하우징부(3)는 커버부(4)와 마찬가지로 컷아웃될 수 있고, 특히 평면도에서 볼 때 링처럼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버부(4)의 컷아웃는 하우징부(3)의 컷아웃를 완전히 커버한다. 따라서 후면측 컷아웃는 전면측 컷아웃보다 작을 수 있다. 조명등이 스위치 오프된 경우에도 크기 비율은 사용자에게, 작동 시 복사가 2개의 컷아웃들 중 더크 큰 컷아웃를 통과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복사 출력면의 부정확한 방향 설정으로 인한 바람직하지 않은 애퍼처가 방지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2개의 컷아웃는 평면도에서 볼 때 일치할 수 있다.
하우징부(3)의 컷아웃를 향해 상기 하우징부의 횡단면이 테이퍼링될 수 있고, 컷아웃를 향한 곡률 증가는 커버부(4)의 외부 가장자리를 향한 곡률 증가보다 크다. 외부 가장자리를 향해 라운드된 하우징부(3)의 프로파일에 의해 발광 수단(1)의 더 얇은 전체적인 인상이 구현될 수 있다.
발광 수단(1)은 8 mm 보다 작거나 같은, 예를 들어 약 6 mm의 최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부(3) 및 바람직하게는 커버부(4)의 전술한 형상에 의해 발광 수단이 더욱 얇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
커버부(4)는 외측면으로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납작하게 구현된다. 하우징부(3)에는 외측면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부(6)가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6)들은 바람직하게 하나의 공통 축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축은 상기 부재들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하나의 돌출부(6)는 외부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영역에서 접속부(아래 참조)가 하우징부(3)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부의 내부로부터 밖으로 안내된다.
또한, 발광 수단(1)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기 접속부(7)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발광 수단은 2개의 전기 접속부를 포함한다. 외부 전기 접속부(7) 외에 다른 접속부(8)도 제공된다.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은 바람직하게 상이한 극성을 위해 제공된다. 상기 접속부들 중 하나의 접속부는 광전 소자(5)의 전기 콘택의 접촉을 위한 애노드 접속부로서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접속부는 캐소드 접속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을 통해 광전 소자(5)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각각의 외부 전기 접속부(7, 8)는 직류 전압원에 접속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외부 전기 접속부(7 또는 8)는 전기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한 결합부로서 형성된다. 각각의 접속부는 표준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전기 접속부(7)는 이 경우에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한 수형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한편, 외부 전기 접속부(8)는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한 암형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다른 외부 전기 접속부(8)는, 외부 전기 접속부(7)에 따라 형성된 다른 발광 수단의 다른 접속부와의 플러그 타입 결합에 관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다수의 발광 수단(1)의 직렬 접속이 간단해진다.
도시된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은 래칭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해 형성되고, 이 경우 외부 전기 접속부(7)는 플러그이고, 외부 전기 접속부(8)는 소켓이다. 래칭 플러그 타입 결합은, 래칭 플러그 타입 결합이 형성되면, 발광 수단은 여전히 플러그 타입 결합에 의해 접촉되는 부재들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은 축에 일직선으로 배치되고, 따라서 장착된 상태에서 발광 수단의 회전이 간단해진다.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은 서로에 대해 180°오프셋 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접속부들은 발광 수단의 직경 방향으로 반대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수단(1)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을 제외하고, 평면도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갖는다. 발광 수단이 실질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갖지 않는 경우, 최대 직경을 갖는 발광 수단의 영역에서 직경 방향으로 서로 반대 위치에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의 배치는 장착된 상태에서 발광 수단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2개의 외부 전기 접속부(7, 8)로 구현에 대한 대안으로서 경우에 따라서 하나의 외부 전기 접속부(7)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접속부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은 단극성으로 형성되고, 이는 OLED와 같은 다이오드의 2개의 극의 접촉을 위해 충분하다. 외부 전기 접속부(7 또는 8)가 생략되면, 나머지 접속부는 다극성으로, 예컨대 2극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발광 수단(1)은 평면 발광 수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수단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발광 수단(1)의 복사 출력면(2)의 최대 또는 최소 가로방향 치수보다 바람직하게 훨씬 작다. 가로방향 치수는 복사 출력면의 직경, 복사 출력면의 길이 또는 복사 출력면의 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께는 최대 또는 최소 가로방향 치수의 1/4보다 작을 수 있고, 최대 또는 최소 가로방향 치수의 1/5 또는 1/6보다 작을 수 있다.
커버부(4)는 하우징부(3)에 결합된다. 상기 부분들은, 하우징부(3)와 커버부(4) 사이에 광전 소자(5)가 기계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부(3)와 커버부(4) 사이에 지지 공간, 예를 들어 지지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 공간에 광전 소자(5)의 부분, 예를 들어 광전 소자(5)의 가장자리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복사 출력면과 나란히 연장된다. 지지 공간은 바람직하게 환형으로 배치된다.
커버부(4)와 하우징부(3)는 바람직하게 기계적으로 안정적으로, 예를 들어 자기 지지 방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부(4)와 하우징부(3)는 발광 수단(1)의 소자를 위한 하우징과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민감한 소자, 예를 들어 전기 도체를 유해한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한다. 동시에 이렇게 형성된 하우징은 발광 수단의 미관적인 전체적 인상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은 광전 소자(5) 자체보다 미관상 더 보기좋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발광 수단의 하우징부(3)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하우징부 내의 컷아웃를 통해 폐열이 소자로부터 주변으로 방출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열은 하우징부(3)의 재료를 통해 안내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하우징부(3)의 열 부하가 감소할 수 있다.
하우징부(3)는 수용부(9)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광전 소자(5)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다. 수용부(9)는 바람직하게 광전 소자(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10)을 포함한다. 지지면(10)은 하우징부의 컷아웃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3)는 가장자리 또는 프레임(11)을 포함한다. 가장자리(11)는 지지면(10) 위에 솟아 있다. 바람직하게 가장자리(11)는 수용부(9)에 삽입된 광전 소자(5)의 복사 출력면을 지나 돌출한다. 가장자리(11)는 지지면(10)을 외부로 제한한다. 가장자리(11)는 수용부(9)를 가로방향으로 그리고 특히 환형으로 제한할 수 있다. 수용부(9)는 광전 소자(5)의 형태에 맞게 조정된 형태를 갖는다. 특히 광전 소자(5) 및 바람직하게는 수용부도 각형, 예를 들어 평면도에서 볼 때 예를 들어 다각형, 예컨대 실질적으로 육각형 또는 팔각형일 수 있다(도 8 및 도 9의 소자 참조). 수용부(9)는 상응하는 모서리를 가질 수 있으므로, 수용부(9)에 삽입된 광전 소자(5)는 하우징부(3)에 대한 소자의 회전에 대해 회전 방지된다. 커버부가 하우징부(3)에 결합되면, 지지면(10)과 커버부(4)의 내측면 사이에 전술한 지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면(10)으로부터 외부로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을 위한 관통부가 안내된다. 각각의 관통부(12)는 가장자리(11)를 관통한다. 각각의 관통부를 통해 외부 전기 접속부(7 또는 8)가 수용부(9)로부터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관통부의 영역에서 하우징부(3)는 공동부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관통부(12)는 지지면(10)에 대해 내려가 있다. 각각의 관통부(12)는 예를 들어 기울어져 연장된 결합 영역을 통해 지지면(10)에 결합될 수 있다. 관통부의 하강된 배치는 접속부를 위한 플러그 커넥터와 같은 비교적 공간 집약적인 부재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수용부(9)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오목부(13; dent)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바람직하게 외측으로, 예를 들어 방사방향 외측으로 향한다. 각각의 오목부는 지지면(10)에 바람직하게 결합된다. 각각의 오목부(13)의 위치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관통부(12)에 대해 오프셋 되고, 예컨대 90°오프셋 된다.
수용부에 광전 소자(5)가 삽입된 경우에 각각의 오목부(13)에는 바람직하게 소자가 할당되지 않는다. 오히려 열전도 부재(이하 열전도 부재(19) 참조)가 바람직하게 오목부 내로 돌출하고, 커버부(4)가 하우징부(3)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 거기에 부분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하우징부(3)는 바람직하게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다. 하우징부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클리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지지면(10)과 가장자리(11) 사이의 이행부에 추가 스테이지(14)가 제공된다. 각각의 스테이지는 바람직하게 수용부의 영역에 배치되고, 광전 소자(5)가 삽입된 경우에 상기 영역에 소자의 전기 콘택이 배치된다(이하 소자의 설명 참조). 소자가 수용부(9) 내에 배치되는 경우에, 각각의 콘택은 스테이지(14)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가장자리(11)는 바람직하게 하우징부(3)와 커버부(4) 사이의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가장자리(11)에 결합 수단(15)이 제공된다. 결합 수단(15)은 가장자리(11)의 원주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이로써 원주에 걸쳐 균일한 안정적인 기계적 고정이 간단해진다.
바람직하게 커버부(4)는 분리 가능하게 하우징부(3)에 결합된다. 따라서 광전 소자(5)의 결함 시 필요한 광전 소자(5)의 교체가 간단해진다. 결합 수단(15)은 분리 가능한 결합을 위해 예컨대 영구자석과 같은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자석은 하우징부(3)의 가장자리(11)에 삽입되므로, 발광 수단의 높이를 불필요하게 높이지 않을 수 있다. 커버부(4)는 바람직하게 환형으로 자성 재료, 특히 강자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자성 결합 수단에 의한 하우징부(3) 상에 고정이 간단해진다.
도 5 및 도 6은 하나는 발광 수단(1)의 외부면의 부분을 형성하는 전면(도 5)으로 하나는 발광 수단 내부에 배치된 후면(도 6)으로 각각 커버부(4)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커버부(4)는 특히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열접촉 부재(16)를 포함한다. 각각의 열접촉 부재는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열접촉 부재(16)는 커버부(4)의 지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커버부가 하우징부에 결합된 경우에, 커버부는 상기 지지면에 의해 하우징부의 가장자리(11)에 지지한다. 2개의 열접촉 부재(16)는 바람직하게 커버부(4)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반대 위치에 배치된다. 커버부(4)가 하우징부(3)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면, 각각의 열접촉 부재(16)는 바람직하게 오목부(13)의 영역에 배치된다. 하우징부가 커버부에 결합되면, 각각의 열접촉 부재는 예를 들어 열전도 부재를 통해 소자에 열전도 결합된다. 각각의 열접촉 부재를 통해 열이 소자로부터 방출되고, 커버부(4)에 공급된다. 열은 커버부를 통해 주변으로 방출된다.
바람직하게 커버부는 강자성 및/또는 양호한 열전도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으로 이루어진다. 양호한 열전도성 및 강자성 재료는 예를 들어 철 또는 저합금 강이다.
커버부(4)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17)를 포함한다. 각각의 고정 부재(17)는 전기 절연성이다. 각각의 고정 부재는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부재(17)는 커버부(4)의 지지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커버부가 하우징부에 결합될 때, 상기 커버부는 상기 지지면에 의해 하우징부(3)의 가장자리(11)에에 지지한다. 각각의 고정 부재(17)는 바람직하게, 커버부(4)가 하우징부(3)에 결합될 때, 외부 전기 접속부들 중 하나의 외부 전기 접속부(7 또는 8)가 하우징부에 대해서 특히 수용부(9) 내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배치되고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외부 전기 접속부(7 또는 8)는 한편으로는 고정 부재(17)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하우징부의 영역에 의해 예를 들어 억지 끼워맞춤(force fit)으로 지지될 수 있다. 고정 부재(17)는 바람직하게 직경 방향으로 서로 반대 위치에 제공된다.
커버부(4)가 하우징부(3)에 결합되면, 각각의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관통부(12)의 영역에 배치된다. 각각의 고정 부재(17)와 달리 각각의 열접촉 부재(16)는 바람직하게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열 접속을 위해 더 큰 면적은 상당히 바람직하다. 각각의 접속부의 기계적인 안정화는 더 작은 고정 부재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광전 소자(5)와 하나 이상의 다른 부재를 포함하는 모듈(18)을 도시한다. 모듈은 도시된 모든 부재와 함께 예비 제조될 수 있고, 커버부(4)가 하우징부에 결합되기 전에, 예비 제조된 모듈로서 하우징부(3)의 수용부(9)에 삽입될 수 있다.
모듈(18)은 소자 외에 열전도 부재(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듈(18)은 도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듈(18)은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을 포함한다. 도체부(20)는 열전도 부재(19)와 광전 소자(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체부(20)에 바람직하게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이 고정되고, 도체부에 제공되지만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접속 도체를 통해 광전 소자(5)의 전기 콘택에 도전 접속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모듈(18)의 개별 부재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광전 소자(5)는 도 8 및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광전 소자(5)는 예를 들어 OLED-타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광전 소자(5)는 제 1 극성, 예컨대 애노드 또는 캐소드의 다수의 외부 콘택(21)을 포함한다. 소자는 제 2 극성, 예컨대 캐소드 또는 애노드의 복수의 전기 콘택을 포함한다. 각각의 콘택은 광전 소자(5)에 제공된 외부 콘택 스트립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콘택 스트립은 바람직하게 길게 구현된다. 각각의 콘택은 방사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콘택(21, 22)은 도 8 및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동일한 극성의 다수의 콘택들은 소자의 유기 기능 재료로 전하 캐리어 엠보싱을 균일화할 수 있다. 더 균일한 전하 캐리어 엠보싱은 복사 출력면(2) 상에서 균일화된 휘도 분포를 제공할 수 있다. 광전 소자(5)는 확산 필름 또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와 같은 광학 아웃 커플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 또한, 소자 또는 상기 소자의 유기 기능 재료는 바람직하게 박막 봉지(thin-film encapsulation)에 의해 외부 영향, 예컨대 습도에 대해 보호된다. 예를 들어 증착에 의해 제조된 박막 봉지는 두꺼운 봉지와 달리 대개 유기 기능 재료로부터 열 전달을 위한 더 낮은 저항을 갖는다.
도 10은 도체부(20)와 거기에 아직 고정되지 않은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을 도시한다. 도체부(20)는, 하우징부(3)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중앙 영역에서 컷아웃될 수도 있다. 이로써 일반적으로 미관상 좋지 않은 도체부(20)는 발광 수단(1)의 후면으로부터 열전도 부재(19)가 배치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보이지 않는다. 또한, 컷아웃된 도체부(20)는 미약하지만 열전도 부재(19)를 통해 외부로 열 방출 시 열 저항에 기여한다. 열전도 부재(19)는 발광 수단(1)의 외부면, 특히 후면 외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체부(20)는 다수의 접촉 영역(23, 24)을 포함한다. 또한, 도체부는 접속 도체 가이드 면(25)을 포함한다. 접촉 영역(23)은 바람직하게 제 1 극성(21)의 콘택에 도전 접속을 위해 제공되고, 접촉 영역(24)들은 제 2 극성(22)의 콘택에 도전 접속을 위해 제공된다. 접촉 영역(23, 24)에 도전 접속되지만, 도체부 상에서 바람직하게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도체부(20)의 접속 도체 가이드 면(25) 상의 접속 도체를 통해(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 동일한 극성을 갖는 광전 소자(5)의 콘택(21, 22)들은 공통의 외부 전기 접속부(7 또는 8)에 접속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 전기 접속부의 개수는 소자의 전기 콘택의 개수와 비교해서 감소할 수 있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에서 2개로 감소할 수 있다.
접촉 영역(23, 24)은 도체부(20)의 접속 도체 가이드 면(25)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접속 도체 가이드 면(25)은 도체부(20)의 컷아웃를 환형으로 제한할 수 있다. 각각의 접촉 영역은 접속 도체 가이드 면(25)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 되어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테이지형으로 오프셋 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접촉 영역은 방사방향 외측으로 정렬된다. 모듈(18)이 수용부에 삽입되면, 각각의 접촉 영역(23, 24)은 바람직하게 스테이지(14) 위에 배치되고, 상기 스테이지 상에 지지할 수 있다.
모듈(18)에서 도체부(20)는 결합층(35;도 12 참조)을 통해 소자에 특히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층은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층은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결합층은 바람직하게 전기 절연성이고, 따라서 도체부(20) 상에서 연장되는 접속 도체는 단락되지 않는다. 결합층(35)에 의해 도체부(20)의 넓은 면이 광전 소자(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체부(20)의 접속 도체 가이드 면(25)은 결합층(35)에 의해 광전 소자(5)에 기계적으로, 예컨대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접촉 영역(23 또는 24)은 이방성 도전층에 의해 소자에 전기 접속될 수 있다(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 상기 층은 대부분의 영역에서 도전성이고, 다른 영역에서는 전기 절연성일 수 있다. 광전 소자(5)의 콘택(21, 22)에 대한 접촉 영역(23, 24)에서 상기 층은 바람직하게 도전성이므로, 소자와 도체부(20) 사이의 전기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 영역(23, 24) 외부에서 상기 층은 바람직하게 전기 절연성이다.
각각의 접촉 영역(23 또는 24)은 ACF-공정에 의해 광전 소자에 결합될 수 있다(이 경우 "본딩"이라고도 함). ACF-공정(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이방성 도전 필름)에서 도전성 입자와 혼합되지만 비도전성 접착제와 같은, 기본적으로 전기 절연성 결합 수단은 선택적인 압력 및/또는 작동 온도에 의해 선택적인 범위에서, 예를 들어 도전성 입자의 밀도가 증가함으로써 도전성이 되는 한편, 압력 또는 온도가 작용하지 않는 다른 영역에서는 전기 절연성으로 유지된다.
또한, 도체부(20)는 하나 이상의 접속면(26, 27)들을 갖는다. 접속면은 모듈(18)에서 간접적으로만 광전 소자(5)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접속면들은 결합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접속면(26, 27)들은 평면도에서 볼 때 광전 소자(5)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접속면(26, 27)들은 평면도에서 볼 때 방사방향 외부로 접속 도체 가이드 면(25)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접속면(26, 27)들은 접속 도체 가이드 면(25)에 대해, 특히 발광 수단(1)의 후면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 될 수 있다. 접속면(26, 27)들의 영역에서 외부 전기 접속부(7 또는 8)들은 도체부(20)에 도전 접속되고, 예컨대 납땜된다.
도체부(20)는 가요성으로, 예컨대 가요성 인쇄 회로기판으로서, 소위 플렉스 회로기판(Flexboard) 또는 플렉스-PCB(PCB: printed circuit board; 인쇄 회로기판)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모듈(18)에서 고정된 외부 전기 접속부(7 또는 8)들을 포함하는 도체부(20)의 접속면(26, 27)들은 바람직하게 가요성으로 형성되고, 이는 관통부(12) 내로 접속부들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도체부(20)에 ESD-보호 소자(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 예컨대 보호 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다. 보호 다이오드는 바람직하게 광전 소자에 대해 역평행하게 접속되고, 바람직하게는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에 도전 접속된다.
도체부(20)는 도체부의 도체용 캐리어로서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은 캡톤(kapton)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은 바람직하게 얇게, 예컨대 350 ㎛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로, 바람직하게는 200 ㎛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로 구현된다. 도체부(20)는 전체적으로 350 ㎛보다 작거나 같고, 바람직하게는 200 ㎛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체부(20)의 형태, 특히 윤곽은 광전 소자(5)의 윤곽에 맞게 조정될 수 있고, 이때 경우에 따라서 접촉 영역(23, 24)과 접속면(26, 27)들의 영역에서처럼 약간의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모듈(18)의 열전도 부재(19)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열전도 부재(19)는 결합면(28)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면에서 모듈(18) 내의 열전도 부재(19)가 광전 소자(5)에 바람직하게 열전도 결합되고, 예를 들어 접착된다. 소자에 대한 결합 영역의 외부에서, 특히 결합면(28)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하여 열전도 부재(19)의 하나 이상의 열 접속면(29)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열 접속면(29)은 모듈(18)에서 바람직하게 하우징부(3)의 오목부(13)의 영역에 배치되고, 커버부(4)의 관련된 열접촉 부재(16)에 예컨대 열전도 페이스트에 의해 열 전도 결합된다.
또한, 열전도 부재(19)는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측 컷아웃(30)를 포함한다. 상기 컷아웃(30)를 통해 모듈(18)에서 접속면(26, 27)들을 포함하는 도체부(20)의 영역이 연장될 수 있다.
열전도 부재(19)는 열 분산 박막, 예를 들어 금속 박막 또는 흑연 박막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박막은 바람직하게 얇게 구현된다. 박막은 500 ㎛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열전도 부재(19)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면 전체로 소자의 후면에 결합된다. 또한, 열전도 부재(19)는 열접촉 부재(16)를 통해 커버부(4) 및 발광 수단(1)의 전면에 열전도 결합된다. 커버부(4)를 통해 열이 주변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는 작동 시 소자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이로 인해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유기 소자의 경우에 작동 온도가 3℃더 낮아지면 수명은 10% 연장된다.
열전도 부재(19)는 발광 수단(1)의 외부면의 부분, 특히 후면 외부면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열전도 부재(19)는 이러한 경우에 하우징부(3)의 후면 컷아웃를 통해 외부에서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열전도 부재(19)에 다른 부재, 예컨대 박막 또는 코팅이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외부에서 볼 때 더 높은 품질의 미관적 인상을 형성한다.
도 12는 발광 수단(1)의 부분에 의해 열접촉 부재의 특성을 도시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소자 옆에서 커버부(4)로부터 열전도 부재(19)의 열 접속면(29)까지 연장되고, 거기에서 열전도 부재에 열 접속된다. 또한, 발광 수단(1)의 외부 가장자리 영역에서 하우징부(3)의 가장자리(11)의 테이퍼링을 볼 수 있고, 상기 테이퍼링은 더 납작한 전체적 인상을 제공한다.
도 13은 발광 수단(1)의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에 의해 외부 전기 접속부(7)의 상호 작용을 참고로 고정 부재(17)의 작동 방식을 더 정확히 도시한다. 외부 전기 접속부(8)의 실시예는 유사할 수 있다. 외부 전기 접속부(7)는 바람직하게 하우징부(3)의 측면에 배치된 관통부(12)를 통해 수용부(9)로부터 외부로 안내된다. 외부 전기 접속부(7)의 부분은 바람직하게 하우징부(3) 내에 남는다. 상기 부분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바람직하게 관통부의 치수보다 크다. 따라서 외부 전기 접속부(7)는 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빼내질 수 없다.
하우징부(3)에 외부 전기 접속부(7)의 돌출하는 부분 및 하우징부(3)의 부분에 의해 제한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스토퍼는 도 13에서 도면부호 31로 구현된다.
외부 전기 접속부(7)는 고정 부재(17)에 의해 하우징부(3) 내로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하우징부(3)에 대한 외부 전기 접속부(7)의 이동을 위한 제한 스토퍼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부(3)에 의해 형성된 제한 스토퍼(31) 및 고정 부재(17)에 의해 외부 전기 접속부(7)는 위치 안정적으로 발광 수단(1) 내에서 지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클램핑될 수 있다. 특히 외부 전기 접속부(7)의 축방향 변위가 저지될 수 있다. 외부 전기 접속부(7)가 접촉을 위해 외부 소켓에 삽입되면, 접속부는 하우징부(3) 내로 뒤로 슬라이딩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 접속부는 억지 끼워맞춤으로 지지되므로, 하우징에 대한 전기 접속부의 회전도 방지된다. 따라서 도체부(20)와 외부 전기 접속부(7) 사이의 납땜 접속부(32)의 손상이 감소할 수 있다.
도전성 외부 전기 접속부(7)는 바람직하게 커버부(4)로부터 전기 절연된다. 절연은 절연 재료(33), 예를 들어 절연 테이프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절연 테이프는 커버부(4)와 외부 전기 접속부(7)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4)에 의한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 사이의 단락 위험은 낮은 전체 높이에도 불구하고 증가하지 않는다.
도 14는 커버부(4)가 제거된 발광 수단(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모듈(18)은 수용부(9)에 삽입된다. 수용부(9)가 꼭 맞게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전체 모듈(18)은 광전 소자(5)가 배치되지 않은 오목부(13)에 의해 수용부(9) 내로 수동으로 결합될 수 있고, 수용부(9)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체부(20)의 가요성으로 인해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도 도체부의 변형 하에 상응하는 관통부(1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광전 소자(5)에 결함이 발생하면, 발광 수단은 간단한 플러그 타입 결합으로 인해 조명등으로부터 간단히 빼내질 수 있다. 커버부(4)와 하우징부(3) 사이의 분리 가능한 결합으로 인해 커버부(4)는 간단하게 하우징부(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커버부(4)의 제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커버부에 약간 돌출하거나 또는 약간 뒤로 들어간 제거 수단(34)이 제공될 수 있다(도 15 참조).
결함있는 모듈(18)은 최종 사용자에 의해 간단하게 교체되어 새로운 모듈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 모듈은 자세한 기술적 전문 지식을 이용하지 않고 수용부(9)에 삽입될 수 있고, 이 경우 접속부들은 외부로 안내된다. 커버부(4)가 후속해서 다시 배치되면,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이 고정되고 발광 수단(1)은 다시 조명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부(4)를 하우징부(3)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커버부(4) 내의 컷아웃의 내부 가장자리는 예컨대 손톱 또는 나사 드라이버를 위한 접근점을 제공한다. 즉, 제거 수단(34)은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는 전술한 실시예의 부재들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16에 따른 변형예에서 분리 가능한 결합을 위한 결합 수단이 제공되지 않는다. 오히려 분리 불가능한 결합에 관련된 결합 수단(15a, 15b)이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결합 수단(15a, 15b)은 록킹 결합을 위해, 예를 들어 록킹 후크로서 형성된다. 결합 수단(15a, 15b)은 하우징부(3) 및 커버부(4)의 원주에 걸쳐 다양한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가장자리 영역에 분포될 수 있다. 각각의 결합 수단(15a, 15b)은 커버부(4) 또는 하우징부(3)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다른 결합 수단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결합 수단은 하우징부(3) 또는 커버부(4)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로서 거기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불가능한 결합은 전술한 그리고 하기에 설명되는 발광 수단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전술한 발광 수단(1)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발광 수단은 차이점이 제시되지 않는 한, 실질적으로 선행하는 도면과 관련해서 설명된 발광 수단에 상응할 수 있다.
전술한 발광 수단처럼 하우징부(4)는 2개의 돌출부(6)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공통 축에 배치되고, 특히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돌출부들은 서로 180°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수단(1)은 외부 전기 접속부(7)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속부는 2극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한, 예를 들어 2극 래칭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한 결합부로서 형성된다. 외부 전기 접속부(7)는 예를 들어 소켓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소켓에 결합할 수 있는 조명등의 잭 플러그(38)는 도 1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외부 전기 접속부(7)는 바람직하게 돌출부(6)의 영역에 배치된다.
특히 다른 돌출부(6)의 영역에 외부 전기 접속부(7)에 대향 배치되도록 지지 장치(36)가 제공되고, 상기 지지 장치는 하우징부 내로 삽입되는 공동부로서 형성된다. 공동부는 바람직하게 수용부 내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축방향으로 단부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다. 지지 장치(36)는 조명등의 지지 부재, 예컨대 지지 핀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부재와 지지 장치 사이에 형성된 지지 결합은 바람직하게 안정적으로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 장치는 바람직하게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지지 장치(36)와 외부 전기 접속부(7)는 상기 부재들을 통해 연장되는 공통 축을 따라 정렬되기 때문에, - 선행하는 도면의 발광 수단과 유사하게 - 지지 장치(36) 및 외부 전기 접속부(7)에 의해 조명등 내에서 지지되는 발광 수단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이 경우 외부 전기 접속부(8)는 지지 장치에 의해 대체된다.
도 18은 조명등에 장착된 발광 수단(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상기 발광 수단은 지지 장치(36)에 삽입된, 예를 들어 지지 핀으로 구현된 지지 부재(37)에 의해 조명등에 고정된다. 지지 부재(37)는 바람직하게 지지 장치(36)에 대한 축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지지 장치(36)의 수용부측 한계는 지지 부재(37)용 단부 스토퍼를 형성한다.
도 19는 발광 수단(1)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이 경우 커버부(4), 모듈(18) 및 하우징부(3)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16에 따른 발광 수단과 달리, 여기에 도시된 변형예에 따른 발광 수단은 지지 장치(36)와 상기 지지 장치에 대향 배치되고 특히 공통 축에 배치된 관통부(12)를 포함한다. 수용부(9)에 삽입된 모듈의 경우 모둘(18)의 외부 전기 접속부(7)는 관통부(12)를 통해 외부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부(3)는 컷아웃되지 않는다. 모듈(18)의 후면은 이로 인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넓은 면적의 열분산 층이 예컨대 Cu-박막과 같은 Cu-층 또는 Cu-면으로서 가요성인 도체부(20)에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체부는 넓은 면으로 구현될 수 있고, 통합된 열전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체부(20)는 일반적으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으므로, 도체부(2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하우징부(3)는 연속해서 컷아웃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도체부(20) 내의 넓은 면의 열 분산층을 통한 열 분산에 의해서도 광전 소자(5)의 복사 출력면에 걸쳐 균일한 휘도 분포가 달성될 수 있다. 열접촉 부재(16)가 다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공될 수 있지만,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다른 부재들도, 명시적으로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실시예의 본 변형예에 제공될 수 있다. 도체부(20)의 열 분산층은 접속부의 극, 예를 들어 캐소드에 열 접속 및 경우에 따라서 도전 접속될 수 있다. 열 접촉 부재가 제공되지 않더라도, 외부 전기 접속부(7)를 통해 작동 시 소자로부터 소정의 열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 제안된 컨셉은 다른 콘택 레이아웃을 갖는 광전 소자(5)의 다른 형상에도 전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잭 플러그는 조명등에서 이용 시 기계적인 지지 기능도 담당할 수 있으므로, 발광 수단(1)을 위한 추가 지지 장치는 생략될 수 있다. 발광 수단의 전체 중량은 100 g보다 작거나 같고, 예컨대 80 g보다 작거나 같고, 대략 70 g일 수 있다. 이러한 중량은 플러그 잭에 의해서도 지지될 수 있다.
작동 시 보호 저전압 범위에서 공간- 및 연면 거리와 같은 안전 거리가 고려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을 통한 다수의 발광 수단(1)의 직렬 접속 시 보호 저전압이 초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하우징부(3)와 커버부(4)의 상응하는 형상에 의해 하우징은 발광 수단(1)의 냉각 상태, 즉 복사가 방출되지 않는 상태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자는 냉각 상태에서 경면으로(specular) 또는 확산 반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커버부 및 바람직하게 하우징부도 경면으로 또는 확산 반사형으로 형성된다. 전체 발광 수단은 조화된 디자인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발광 수단(1)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각각의 부재들의 상이한 채색도 가능하다.
가요성인 도체부(20)는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도체부는 예를 들어 초음파 본딩된 와이어, 리본 케이블 및/또는 커넥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는 소자의 특정 형상에 맞게 조정된 부품들의 제공을 저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조립 시 제조가 어려워질 수 있다. 가요성 도체부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교체될 수 있는 콤팩트한 모듈(18)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열전도 부재는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각 새로운 특징 및 특징들의 각 조합을 포함하고, 오히려 청구범위에 포함된 특징들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모든 새로운 특징 및 특징들의 모든 조합이 실시예 또는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은 이러한 특징들 및 특징들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1 발광 수단
2 복사 출력면
3 하우징부
4 커버부
5 광전 소자
6 돌출부
7, 8 전기 접속부
9 수용부
10 지지면
11 가장자리
12 관통부
13 오목부
14 스테이지
15 결합 수단
16 열접촉 부재
17 고정 부재
18 모듈
19 열전도 부재
20 도체부

Claims (15)

  1. 복사 출력면(2)을 구비한 발광 수단(1)에 있어서,
    - 수용부(9)를 가진 하우징부(3);
    -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광전 소자(5);
    -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4)로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상기 소자가 지지되는 것인 커버부(4); 및
    - 하나의 외부 전기 접속부(7, 8)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수단은,
    ⅰ) 상기 발광 수단이 지지 장치(36)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장치와 상기 외부 전기 접속부(7, 8)는 하나의 공통 축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공통 축은 상기 지지 장치와 상기 외부 전기 접속부를 통해 연장되는, i) 추가 특징과,
    ⅱ) 상기 유기 광전 소자(5)가 동일한 극성의 복수의 전기 콘택(21, 22)을 포함하고, 동일한 극성의 상기 콘택은 도체부(20)의 접속 도체를 통해 공통의 외부 전기 접속부(7, 8)에 접속되는, ii) 추가 특징
    중 어느 하나의 추가 특징을 포함하는 것인, 발광 수단.
  2. 복사 출력면(2)을 구비한 발광 수단(1)에 있어서,
    - 수용부(9)를 가진 하우징부(3);
    -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광전 소자(5);
    -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4)로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상기 소자가 지지되는 것인 커버부(4); 및
    - 복수의 외부 전기 접속부(7, 8)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수단은,
    ⅰ) 상기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의 2개의 접속부(7, 8)들이 이 2개의 접속부들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의 축을 따라 정렬되는, i) 추가 특징과,
    ⅱ) 상기 커버부(4)가 고정 부재(17)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하우징부(3)에 대한 상기 외부 전기 접속부(7, 8)들 중 하나의 접속부의 상대 운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배치되는, ii) 추가 특징
    중 어느 하나의 추가 특징을 포함하는 것인, 발광 수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8 mm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인, 발광 수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4)는 복사 통과 영역에서 컷아웃(cutout)되고, 상기 하우징부(3)는 복사 통과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서 컷아웃되는 것인, 발광 수단.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4)는 자성(磁性)으로 형성되고, 자기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3)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인, 발광 수단.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외부 전기 접속부(7, 8)는 래칭 플러그 타입 결합을 위한 결합부로서 형성되는 것인, 발광 수단.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7, 8)들 중 하나의 접속부는 전기 플러그 타입 결합의 수형 결합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7, 8)들 중 다른 접속부는 전기 플러그 타입 결합의 암형 결합부로서 형성되는 것인, 발광 수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ii) 추가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도체부(20)는 이방성 도전층을 통해 상기 소자(5)에 도전 접속되는 것인, 발광 수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ii) 추가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도체부(20)는 가요성 인쇄 회로기판인 것인, 발광 수단.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20)는 가요성 인쇄 회로기판인 것인, 발광 수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ii) 추가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전기 접속부(7, 8)는 땜납(32)을 통해 상기 도체부(20)에 도전 접속되는 것인, 발광 수단.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기 접속부(7, 8)는 땜납(32)을 통해 상기 도체부(20)에 도전 접속되는 것인, 발광 수단.
  13. 복사 출력면(2)을 구비한 발광 수단(1)에 있어서,
    - 수용부(9)를 가진 하우징부(3);
    -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광전 소자(5); 및
    -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4)로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상기 소자가 지지되는 것인 커버부(4)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4)는 하나 이상의 열접촉 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열접촉 부재를 통해 커버부는 상기 소자(5)에 열전도 결합되고, 열전도 부재(19)가 상기 소자에 배치되어 상기 소자에 열전도 결합되고, 상기 열전도 부재는 열 접속면(29)을 갖고, 상기 열 접속면은 복사 출력면(2) 상에서 볼 때 복사 출력면 옆에 배치되고, 상기 열 접속면은 커버부의 열접촉 부재에 열전도 결합되는 것인, 발광 수단.
  14. 삭제
  15. 삭제
KR1020147009142A 2011-09-06 2012-08-06 발광 수단 및 용도 KR101630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2209A DE102011082209A1 (de) 2011-09-06 2011-09-06 Leuchtmittel und verwendung
DE102011082209.7 2011-09-06
PCT/EP2012/065369 WO2013034381A2 (de) 2011-09-06 2012-08-06 Leuchtmittel und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503A KR20140061503A (ko) 2014-05-21
KR101630999B1 true KR101630999B1 (ko) 2016-06-15

Family

ID=46682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142A KR101630999B1 (ko) 2011-09-06 2012-08-06 발광 수단 및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41361B2 (ko)
KR (1) KR101630999B1 (ko)
CN (2) CN103782093B (ko)
DE (1) DE102011082209A1 (ko)
WO (1) WO20130343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0484B4 (de) 2012-06-21 2017-02-02 Osram Oled Gmbh Verfahren für ein schlüssiges Verbinden eines organischen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s mit einem Verbindungsstück, Verbindungsstruktur für ein kraftschlüssiges Verbinden und optoelektronische Bauelementevorrichtung
WO2014006006A1 (en) * 2012-07-02 2014-01-09 Osram Gmbh Process for equipping lighting sources, corresponding devices and assortment
BR112015024386A2 (pt) * 2013-03-27 2017-07-18 Koninklijke Philips Nv soquete para conectar eletricamente uma lâmina de oled, lâmina de oled, painel de lâmina de oled, e, fonte de luz
DE102013205998A1 (de) * 2013-04-04 2014-10-09 Osram Gmbh Optoelektronische Baugrupp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optoelektronischen Baugruppe
TWI598667B (zh) * 2016-11-21 2017-09-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直下式背光模組與液晶顯示器
CN115164132A (zh) * 2022-05-18 2022-10-11 赛尔富电子有限公司 一种互联条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3424A (ja) 2005-12-21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有機el照明装置
WO2011067093A1 (de) * 2009-12-04 2011-06-09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euchtvorrichtung und aufsatzelement zur befestigung an der leucht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9036B2 (en) 2002-05-28 2004-11-16 Eastman Kodak Company OLED lighting apparatus
KR200320726Y1 (ko) 2003-04-23 2003-07-23 유영춘 천정조명등의 조립구조
KR200378270Y1 (ko) 2004-12-15 2005-03-14 태주공업 주식회사 천정등
TWI268732B (en) 2004-12-16 2006-12-11 Au Optronics Corp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GB2423144B (en) * 2005-02-10 2009-08-05 Richard Liddle Lighting system
CN2795651Y (zh) * 2005-02-25 2006-07-12 光谱企业有限公司 防水灯
US8328375B2 (en) * 2006-09-29 2012-12-1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rganic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equipment
US8651711B2 (en) * 2009-02-02 2014-02-18 Apex Technologies, Inc. Modular light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loosely constrained magnetic structures
DE102009014514B4 (de) * 2009-03-23 2013-11-21 Insta Elektro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WO2010116301A1 (en) * 2009-04-08 2010-10-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Oled luminary with improved mounting means
KR100970504B1 (ko) 2009-12-03 2010-07-16 주식회사 포에프 다운 램프
TWM409543U (en) * 2010-01-13 2011-08-11 Molex Inc Holder assembly
US9177492B2 (en) * 2010-01-25 2015-11-03 Gt Biomescilt Light Limited Flexible LED display screens
DE102010014307A1 (de) * 2010-04-09 2011-10-1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US20110260598A1 (en) * 2010-04-23 2011-10-27 Hang-Wan Liu Led lamp tube
DE202010008324U1 (de) * 2010-08-10 2010-12-02 Novaled Ag Organische Leuchtvorrichtung und Beleuchtungsvorrichtung
DE102010038252A1 (de) 2010-10-18 2012-04-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assung für eine Leuchte mit OLED-Leuchtmittel
US8690389B2 (en) * 2011-05-16 2014-04-08 Molex Incorporated Illumination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3424A (ja) 2005-12-21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有機el照明装置
WO2011067093A1 (de) * 2009-12-04 2011-06-09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euchtvorrichtung und aufsatzelement zur befestigung an der leucht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82093A (zh) 2014-05-07
US20140293604A1 (en) 2014-10-02
CN107091410A (zh) 2017-08-25
US9341361B2 (en) 2016-05-17
CN107091410B (zh) 2020-08-11
WO2013034381A3 (de) 2013-05-02
WO2013034381A2 (de) 2013-03-14
KR20140061503A (ko) 2014-05-21
DE102011082209A1 (de) 2013-03-07
CN103782093B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999B1 (ko) 발광 수단 및 용도
US7800119B2 (en) Semiconductor lamp
EP2257730B1 (en) Integrated led driver for led socket
US7828557B2 (en) Connector for board-mounted LED
US7976335B2 (en) LED connector assembly with heat sink
EP2400214B1 (en) Lighting device
KR101007134B1 (ko) 조명 장치
US9153882B2 (en) Connector having a cylindrical section with a contact connected to an electrical wire therein
EP2224161A1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fixture
EP2578924B1 (en) Illumination apparatus
US10243292B2 (en) Holder assembly
JP2004535080A (ja) 照明装置のためのledモジュール
JP6326496B2 (ja) 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ledホルダ組立体
CN104254732A (zh) 灯和照明装置
JP2014503120A (ja) Ledコネクタ組立体
US10386026B2 (en) Light fixture
US10253929B2 (en) Lamp comprising a driver circuit board and a base
JP5370642B2 (ja) 照明器具
EP2986888B1 (en) Retrofi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light source
US20230280021A1 (en) Lighting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ing device
JP2022050692A (ja) 照明装置
US20200287113A1 (en) Lighting device with high flexibility in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KR200457461Y1 (ko)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