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816B1 -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816B1
KR101630816B1 KR1020150055825A KR20150055825A KR101630816B1 KR 101630816 B1 KR101630816 B1 KR 101630816B1 KR 1020150055825 A KR1020150055825 A KR 1020150055825A KR 20150055825 A KR20150055825 A KR 20150055825A KR 101630816 B1 KR101630816 B1 KR 101630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mpound
melanin
present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영
김금숙
이승은
김영창
김승유
안영섭
김기홍
이재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055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합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종래 합성 약학적 조성물보다 인체에 무해하며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백효과뿐만 아니라 염증 저해 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보다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멜라닌 세포에서 멜라닌의 생합성을 억제하여 미백 활성을 가지는 인삼 잎 추출물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 분리된 것으로 인체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
멜라닌 색소는 멜라닌형성(melanogenesis)이라고 불리는 과정을 통해 멜라닌세포(melanocyte)의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합성되고 상피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분산됨으로써, 피부색을 형성하고 피부를 태양의 자외선광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멜라닌 생합성에 대한 생화학적 경로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가 촉매하는 2개의 특징적 반응인, L-티로신의 수산화반응과 3,4-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3,4-dihydroxyphenylalanine, dopa)의 산화반응을 통해 시작되며, 생성된 도파퀴논(dopaquinone)은 멜라노좀에서 시스테인(cysteine) 또는 글루타티온(glutathione)과 같은 티올 물질과 쉽게 반응하여 황색/적색 피오멜라닌(pheomelanin)을 생성한다. 티올 물질이 고갈되면, 과량의 도파퀴논은 자발적으로 도파크롬(dopachcrome)으로 변환되고 종국적으로 흑색/갈색 유멜라닌(eumelanin)을 형성한다. 피부색이 멜라닌색소의 혼합에 의해 결정이 되지만, 티로시나아제는 피오멜라닌과 유멜라닌 모두의 생합성에 반드시 필요하다 (Slominski A, et al ., Physiol Rev ., 84:1155, 2004; Hearing VJ and Tsukamoto K., FASEB J., 5:2902, 1991; Le Pape E el al., Pigment Cell Melanoma Res ., 21:477, 2008).
피부의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로부터 분비되는 파라크린 인자(paracrine factor)는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의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들 인자들 중에서 α-MSH(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은 멜라노사이트상의 MC1R (melanocortin type 1 receptor)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아제(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cAMP의 세포내 농도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곧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발현이 유도된다. 따라서, 파라크린 인자들 간의 균형은 멜라노사이트 활성화의 세밀한 조절을 통해 피부의 색소화를 조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멜라닌 색소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면, 기미(melasma), 주근깨(freckle), 노인성흑자(senile lentigen)과 같은 색소과다침작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Busca R and Ballotti R., Pigment Cell Res ., 13:60, 2000).
상기와 같이 멜라닌 색소 침착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미용적 요구에 의해 미백성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C(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 등이 미백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 성분들은 피부 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기존의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백 활성을 지닌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한편,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가피과 인삼 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2,000 여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생약이며, 경험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지금까지 알려진 인삼의 효능 및 효과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항발암 작용, 항암활성, 면역기능 조절작용, 항당뇨 작용, 간기능 항진효능, 심혈관 장해개선, 항동맥경화 작용, 혈압조절 작용, 갱년기 장애 개선,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 항스트레스 및 항피로 작용, 항산화 활성 및 노화억제 효능 등이 있다(최신고려인삼 '성분 및 효능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56-112, 1996).
인삼의 대표적 생리활성 성분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인삼의 지상 및 지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인삼 근(뿌리), 인삼엽 및 인삼 열매 등 부위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함량뿐만 아니라 조성도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Attele AS et al , Biochem. Pharmacol ., 58; 1685-1693, 1999).
종래의 기술에서는 인삼 유래 다양한 진세노사이드가 항산화, 항염증, 미백 및 보습 등의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었으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064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31988호), 진세노사이드 이외의 인삼 유래 물질의 항염증 및 미백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안전하고 미백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선별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인삼 잎에서 진세노사이드 이외의 화합물을 추출, 분리하였으며, 상기 분리된 화합물은 세포 독성이 없으며, 멜라닌 생합성 저해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능을 가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38593558-pat00001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0 내지 5개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C12 내지 C25의 카복실기(carboxylic group)이고, 다만, R1 및 R2가 모두 수소원자인 경우는 제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38593558-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5038593558-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5038593558-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15038593558-pat00005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인삼 유래일 수 있으며, 특히 인삼 잎 유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삼은 다단 재배, 수경재배 또는 유기농 재배로 수득된 인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총 조성물에 20 내지 100 μM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항염 활성을 가질수 있으며,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발생억제; 및 종양괴사 인자-α (TNF-α; tumor necrosis factor-alpha), 인터루킨-1β(IL-1β: interleukin-1β) 및 인터루킨-6(IL-6: interleukin-6)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작을 통해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또는 일광흑색증(solar lentigine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파우더, 젤, 연고, 크림, 로션, 액제 또는 에어로졸 제형의 피부외용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합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종래 합성 약학적 조성물보다 인체에 무해하며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백효과뿐만 아니라 염증 저해 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보다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저해 활성을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2는 제브라피시(zebrafish) 모델을 이용한 멜라닌 저해활성 측정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제브라피시(zebrafish) 모델에서 멜라닌 저해 활성을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일산화질소양(A) 및 세포 생존율(B)을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처리농도에 따른 종양괴사 인자-α (TNF-α; tumor necrosis factor-alpha), 인터루킨-1β(IL-1β: interleukin-1β) 및 인터루킨-6(IL-6: interleukin-6)의 mRNA 발현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멜라닌 색소 침착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미용적 요구에 의해 미백성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은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종래 합성 미백 성분보다 인체에 무해하며 부작용이 거의 없어 장기간 사용하는데 인체 부작용이 거의 없고, 멜라닌 생합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항염증 활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15038593558-pat00006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0 내지 5개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C12 내지 C25의 카복실기(carboxylic group)이고, 다만, R1 및 R2가 모두 수소원자인 경우는 제외한다.
상기 카복실기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6에서 n은 2 내지 5이고, R3는 C7 내지 C18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0 내지 5개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C7 내지 C18의 직쇄형 알킬기이다.
[화학식 6]
Figure 112015038593558-pat00007
상기 카복실기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7 내지 화학식 1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112015038593558-pat00008
[화학식 8]
Figure 112015038593558-pat00009
[화학식 9]
Figure 112015038593558-pat00010
[화학식 10]
Figure 112015038593558-pat00011
[화학식 11]
Figure 112015038593558-pat00012
[화학식 12]
Figure 112015038593558-pat00013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38593558-pat00014
[화학식 3]
Figure 112015038593558-pat00015
[화학식 4]
Figure 112015038593558-pat00016
[화학식 5]
Figure 112015038593558-pat00017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화학 합성에 의해 수득되거나, 천연물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삼에서 유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으며,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아황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산, 퓨마르산, 글루코산, 메탈설폰산, 아세트산, 글리콜산, 석신산, 타타르산, 4-톨루엔 설폰산, 갈락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시트르산, 아스파르탄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즉,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당량 또는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하거나, 또는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하거나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인삼에서 추출하여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 인삼 잎 추출물에서 정제할 수 있다. 상기 인삼은 품종 및 재배 방법에 상관없이 모든 인삼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다단 재배, 수경재배 또는 유기농 재배로 수득된 인삼으로, 더바람직하게는 수경재배된 인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삼 유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리 정제 방법은, 인삼 잎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한 후 감압농축하는 단계;
감압농축한 추출물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액체 분배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액체 분배추출물을 분리 정제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인삼 잎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한 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추출은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추출용매는 통상적으로 천연물 추출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C1 ~ C5 알코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천연물에서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감압농축한 추출물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액체 분배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유기 용매는 통상적으로 추출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C1 ~ C5 알코올, 물,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및/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체 분배추출물은 통상적인 액체 분배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액체 분배추출법은 추출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극성 물질부터 비극성 물질까지 다량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다음 단계인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를 이용한 정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량의 불순물은 용매에 대한 용해도 및 용매와 용매의 섞임성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액체 분배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통상적으로 성분 분리에 사용되는 크로마토그래피법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18 column chromatography), 이산화규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O2 column chromatography),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thin-layer chromatography) 또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 일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통상적으로 성분들을 각각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조건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크로마토그래피는 1회 내지 수회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회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회 이상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회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할 경우, 수득하는 분획물의 순도를 증가시켜 순도 높은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는 바람직하게, 동결건조된 인삼 잎을 메탄올에 침지시켜 추출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인삼 잎 메탄올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EtOAc)/물(H2O)을 이용하여 분배 추출한 다음, 물층을 수득하여 부탄올(n-buOH)로 분배추출하는 단계; 상기 물층 및 부탄올층을 각각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및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역상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하기 화학식 2 내지 5로 표시되는 4종의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각각 파낙세롤 A(panaxcerol A, 화학식 2), 파낙세롤 B(panaxcerol B, 화학식 3), 파낙세롤 C(panaxcerol C, 화학식 4) 및 파낙세롤 D(panaxcerol D, 화학식 5)로 명명하였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38593558-pat00018
[화학식 3]
Figure 112015038593558-pat00019
[화학식 4]
Figure 112015038593558-pat00020
[화학식 5]
Figure 112015038593558-pat00021
본 발명의 화합물은 미백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는, 본 발명에서 수득한 화합물에 의해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이 저해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멜란-A(melan-A) 세포에 파낙세롤 A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같이, 80 μM 농도에서 35.5%로 높은 멜라닌 합성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체내(in vivo) 환경에서 미백활성을 검증하기 위해 제브라피쉬(zebrafish) 모델에서 멜라닌 저해 활성을 도 2에 나타난 그림과 같이 수행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브라피쉬 배아(embryo)의 요크(yolk)부분의 색소 침착이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제브라피쉬 요크의 변형이나 부풀어오름 같은 기형은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독성이 없거나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미백용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총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100μM 농도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μM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용매로는 화합물의 미백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DMSO 등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의 농도가 20 μM 미만일 경우 미백효과가 미흡할 수 있다. 또한, 100μM 보다 높은 양의 화합물이 포함되면 농도 증가로 인한 효능의 향상이 적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알킬기 종류에 따라 세포독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미백 활성뿐만 아니라, 추가로 항염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및
종양괴사 인자-α (TNF-α; tumor necrosis factor-alpha), 인터루킨-1β(IL-1β: interleukin-1β) 및 인터루킨-6(IL-6: interleukin-6)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작을 통해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는, 파낙세롤 A, 파낙세롤 B, 파낙세롤 C 및 파낙세롤 D 각각의 항염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LPS로 BV2세포를 자극시켜 LPS 자극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매개성 물질들의 생성 억제 효능 및 세포독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내독소로 잘 알려진 LPS(lipopolysaccharide)는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가장 잘 알려진 외부인자로서, 특히 RAW 264.7 세포와 같은 대식세포나 단핵세포에서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 IL-6(interleukin-6), IL-1β(interleukin-1 beta)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분비하여 염증부위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LPS가 대식세포를 자극하게 되면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라는 효소에 의해 L-알기닌이 L-시트룰린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일산화질소(NO)가 생성됨으로써 대식세포로부터 NO가 생성된다. 포유동물에서 NO는 세 가지 종류의 NO 합성효소(NOS, nitric oxide synthase), 즉 nNOS(neuronal NOS), eNOS(endothelial NOS) 및 iNOS(inducible NOS)에 의해 합성된다. 이 중에서 nNOS와 eNOS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정상적인 생체기능을 위해 생성되며, 조직 내에서의 농도는 일정수준으로 낮게 유지된다. 그러나 iNOS에 의해 생성된 NO는 과도하게 생성되어 병리적인 혈관확장, 세포독성, 조직 손상 등과 같은 생체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낸다.
도 4A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낙세롤 A 내지 파낙세롤 D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성 질환의 염증유발물질 중 하나인 일산화질소(NO) 생성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NO 생성을 50% 저해하는 농도인 IC50 값은 파낙세롤 A, 파낙세롤 B, 파낙세롤 C 및 파낙세롤 D 각각 63.8 μM, 59.4 μM, 7.7 μM 및 8.0 μM인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 독성의 경우,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낙세롤 A 및 파낙세롤 B는 100 μM 농도 이상에서도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파낙세롤 C 및 파낙세롤 D는 20 μM 농도에서 약간의 독성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상기 화합물의 IC50 값은 모두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 범위로, 유효한 범위 내에서는 독성 없이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처리에 따른 종양괴사 인자-α (TNF-α; tumor necrosis factor-alpha), 인터루킨-1β(IL-1β: interleukin-1β) 및 인터루킨-6(IL-6: interleukin-6)의 mRNA 발현정도를 확인한 데이터로, 4종류의 화합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IL-1β, IL-6 및 TNF-α mRNA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멜라닌 생합성 저해를 통한 미백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염증성 매개물질인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및 종양괴사 인자-α (TNF-α; tumor necrosis factor-alpha), 인터루킨-1β(IL-1β: interleukin-1β) 및 인터루킨-6(IL-6: interleukin-6)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작을 통해 염증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형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부에 대하여 0.00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화 제형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상기 가용화 제형으로는 유연화장수 등이 있다. 적합한 제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바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화장품에 첨가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및 일광흑색증(solar lentigine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약학적 조성물은 파우더, 젤, 연고, 크림, 로션, 액제 또는 에어로졸 제형의 피부외용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동일한 효능을 나타내는 용매화물, 수화물 및 입체 이성질체도 모두 발명의 범주 내로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은 동결건조되어 있고, 정맥 내, 근육 내 또는 피하 주사에 의해서와 같이 투여를 위한 약제학상 허용되는 제제를 형성하도록 재구성될 수 있는 그러한 약제 또는 그의 염이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기술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은 고체로서 경구로 또는 흡입을 통해 투여될 수 있거나,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으로서 근육 내 또는 정맥 내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포좀 현탁액으로서 흡액, 정맥 내 또는 근육 내로 투여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로서 흡입에 의해 투여하기 적당한 약제학적 제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 외용제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파우더(power), 젤(gel), 연고(ointment), 크림(cream), 액체(liquid), 에어로졸(aerosol)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의 적용가능한 다른 하나의 형태는 의약 국소제제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 개선 효과를 갖기 위하여, 유효성분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의약 국소제제로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연고, 크림, 젤, 피부 유화액, 피부 현탁액, 패치 또는 분무제 등의 국소제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형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일일 투여량은 0.01 내지 300 ㎎/㎠ 일 수 있으며, 하루 1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 분리
1-1 : 인삼 잎 추출물 제조
수경재배 조건에서 재배 후 수확하고, 상기 수확 90일 후 수경재배 인삼 잎 6.2 ㎏를 동결 건조기로 건조하여 인삼 잎 시료를 수득하였다. 상기 인삼 잎 시료를 25 ℃, 80% 메탄올 수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하고, 이후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고 감압농축하여 감압농축 추출물 1(1.06 ㎏)을 수득하였다. 이후 상술한 추출을 2번 반복 수행하고, 반복 추출로 수득한 여액을 합쳐 감압 농축하여 감압농축 추출물 2(382 g)를 수득하였다.
상기 감압농축 추출물 1 및 2를 합쳐 총 1.44 ㎏의 감압농축 추출물을 얻었다.
1-2 : 인삼 잎 분획물 제조 및 화합물 분리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감압농축 추출물을 에틸 아세테이트(EtOAc, 3 ℓ)와 물(3 ℓ)로 4회 분배 추출하였고, 다시 상기 물 층을 부탄올(n-BuOH, 2.7 ℓ)로 4회 분배 추출하였다. 각 층(에틸아세테이트, 물, 부탄올)을 감압 농축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분배추출물(75 g), 부탄올 분배추출물(470 g) 및 물 분배추출물(855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에틸 아세테이트 분배추출물을 이산화 규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O2 column chromatography, 이하 'SiO2 c.c.'로 표기)(φ 14 × 16 ㎝, CHCl3-MeOH = 30:1, 60 ℓ → CHCl3-MeOH-H2O = 15:3:1, 136 ℓ)를 실시하여 150 ㎖씩 분취하여 분취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취액을 TLC(CHCl3-MeOH-H2O = 25ℓ:3ℓ:1ℓ, 13ℓ:3ℓ:1ℓ, 7ℓ:3ℓ:1ℓ)로 확인하여, 유사한 부분을 함께 모으고,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여 24개의 분획물(HPE 1 내지 HPE 24)을 수득하였다.
이후, 상기 24개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1) 상기 24개 분획물 중 15번째 분획물(HPE 15, 5.49 g; Ve/Vt = 0.34-0.36)에 대하여 옥타데실실레인화된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Octadecylsilanized Silicas column chromatography; ODS c.c., Waters사 제품; Φ 4×9 ㎝, MeOH-H2O = 3:2, 1.0ℓ → 2:1, 2.5ℓ → 3:1, 5.2ℓ → 5:1, 2.0ℓ)를 실시하여 총 25개의 분획물(HPE 15-1 내지 HPE 15-25)를 수득하였다.
상기 25개 분획물 중 12번째 분획물(HPE 15-12, 135.2 ㎎; Ve/Vt = 0.34-0.40)에 대하여 옥타데실실레인화된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Φ 2.5×7 ㎝, MeOH-H2O = 3:1, 800 ㎖)을 실시하여 총 8개의 분획물(HPE 15-12-1 내지 HPE 15-12-8)을 수득하였으며, 이 중 6번째 분획물(HPE 15-12-6, 29.4 ㎎; Ve/Vt = 0.14-0.28)에서 최종적으로 화합물 1(compound 1)을 수득하였다 [TLC Rf = 0.30 (RP-18 F254S, MeOH-H2O = 4:1), Rf = 0.50 (Kieselgel 60 F254, CHCl3-MeOH-H2O = 10:3:1)].
(2) 그 다음, 상기 25개 분획물 중 18번째 분획물(HPE 15-18, 142.7 ㎎; Ve/Vt = 0.50-0.58)에 대하여 옥타데실실레인화된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Φ 3×8 ㎝, MeOH-H2O = 4:1, 900 ㎖)을 실시하여 총 7개의 분획물(HPE 15-18-1 내지 HPE 15-18-7)을 수득하였으며, 이 중 5번째 분획물(HPE 15-18-5, 34.5 ㎎; Ve/Vt = 0.46-0.59)에서 최종적으로 화합물 2(compound 2)를 수득하였다 [TLC Rf = 0.50 (RP-18 F254S, MeOH-H2O = 6:1), Rf = 0.40 (Kieselgel 60 F254, CHCl3-MeOH-H2O = 10:3:1)].
(3) 최초 24개 분획물 중 9번째 분획물(HPE 9, 9.28 g; Ve/Vt = 0.10-0.16)에 대하여 SiO2 c.c.(Φ 7×15 ㎝, n-hexane-EtOAc = 1:2, 28 ℓ)를 실시하여 총 13개의 분획물(HPE 9-1 내지 HPE 9-13)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13개의 분획물 중 10번째 분획물(HPE 9-10, 4.47 g; Ve/Vt = 0.24-0.98)에 대하여 옥타데실실레인화된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Φ 4×9 ㎝, MeOH-H2O=15:1, 4ℓ)를 실시하여 총 9개의 분획물(HPE 9-10-1 내지 HPE 9-10-9)를 수득하였다.
상기 9개의 분획물 중 2번째 분획물((HPE 9-10-2, 3.14 g; Ve/Vt = 0.06-0.14)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옥타데실실레인화된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Φ 4×6 ㎝, acetone-acetonitrile-H2O = 2:2:1, 3.6ℓ)를 실시하여 총 10개의 분획물(HPE 9-10-2-1 내지 HPE 9-10-2-10)를 수득하였으며, 10개의 분획물 중 9번째 분획물(HPE 9-10-2-9, 446.0 mg; Ve/Vt = 0.38-0.55)에서 최종적으로 화합물 3(compound 3)을 수득하였다 [TLC Rf = 0.50 (RP-18 F254S, acetone-acetonitrile-H2O = 7:3:1), Rf = 0.55 (Kieselgel 60 F254, CH2Cl2-MeOH = 10:1)].
(4) 상기 화합물 3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수득한 9개의 분획물(HPE 9-10-1 내지 HPE 9-10-9) 중, 4번째 분획물(HPE 9-10-4, 141.6 ㎎; Ve/Vt = 0.24-0.29)에서 최종적으로 화합물 4(compound 4)를 수득하였다 [TLC Rf = 0.25 (RP-18 F254S, MeOH-H2O = 50:1), Rf = 0.50 (Kieselgel 60 F254, n-hexane-EtOAc = 1:30)].
화합물 구조 분석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에 대한 구조분석을 수행하였다.
선광성(Optical rotations)은 JASCO P-1010 디지털 선광계(JASCO P-1010 digital polarimeter; Jasco,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MS)는 시마즈 GCMS-QP2010 플러스 질량분석계(Shimadzu GCMS-QP2010 Plus mass spectrometer; Shimadzu, 일본)을 사용하였다.
팹-질량분석 스펙트럼(Fast atom bombardment spectrum, (FAB)/MS)은 분광기(spectrometer; JMS-700, JEOL, 일본)을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적외선 분광(IR spectra)은 퍼킨엘머사 제품(PerkinElmer spectrum one Fourier transform-IR spectrometer; PerkinElmer, 영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MR은 400 MHz FT-NMR 스펙트로미터(Varian Inova AS 400; Palo Alto, 미국)를 사용하였고, NMR용 용매로는 피리딘-d 5 (Merck, Germany)의 시약을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화합물의 구조 분석을 하였다.
상기 분석을 통해 화합물 1 내지 화합물 4가 각각 하기의 화학식 2 내지 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임을 결정하였다.
화합물 1
[화학식 2]
Figure 112015038593558-pat00022
1) 물성 : 연노랑 왁스(pale yellow wax)
2) IR (CaF2, ㎝-1) : 3,386, 2,932, 1,732, 1,610
3) positive FAB/MS m/z : 487 [M+H]+, C25H43O9
4) [α]D : -2.22°(c = 0.35, MeOH)
5) 1H-NMR : 5.37-5.46 (6H, m, overlapped, H-7'', 8'', 10'', 11'',
13'', 14''), 4.83 (1H, d, J = 7.6 Hz, H-1'), 4.46-4.50 (3H, br s, overlapped, H-1, 4'), 4.40-4.44 (2H, overlapped, H-2, 2'), 4.36 (2H, overlapped, H-6'a, H-6'b), 4.31 (1H, overlapped, H-3a), 4.11 (1H, br d, J = 9.6 Hz, H-3'), 4.05 (1H, overlapped, H-3b), 4.02 (1H, br. dd, J = 6.4, 6.0 Hz, H-5'), 2.87 (4H, br s, overlapped, H-9'', 12''), 2.27 (2H, t, J = 7.6 Hz, H-2''), 2.02 (2H, m, H-15''), 1.58 (2H, m, H-3''), 1.26 (4H,br s, H-4'', 5''), 0.88 (3H, t, J = 7.6 Hz, H-16''); 13C-NMR (100 MHz, pyridine-d5, dc) 173.4 (C-1''), 127.5, 128.2, 128.5, 128.6, 130.1, 132.1(C-7'', 8'', 10'', 11'', 13'', 14''), 105.8 (C-1'), 77.0 (C-5'), 75.2 (C-3'), 72.5(C-2'), 72.2 (C-3), 70.1 (C-4'), 69.0 (C-2), 66.5 (C-1), 62.3 (C-6'), 34.2(C-2''), 29.4 (C-6''), 28.9 (C-5''), 27.2 (C-4''), 25.9 (C-12''), 25.9 (C-9''), 25.0 (C-3''), 20.7 (C-15'') 및 14.3 (C-16'').
화합물 2
[화학식 3]
Figure 112015038593558-pat00023
1) 물성 : 연노랑 왁스(pale yellow wax)
2) IR (CaF2, ㎝-1) : 3,364, 2,931, 1,730, 1,585
3) positive FAB/MS m/z : 515 [M+H]+, C27H47O9
4) [α]D : +3.89°(c = 0.38, MeOH)
5) 1H-NMR : 5.39-5.46 (6H, m, overlapped, H-9'',10'',12'',13'',15'',16''), 4.82 (1H, d, J=7.6 Hz, H-1'), 4.51 (2H, d, J = 6.0 Hz, H-1), 4.50 (1H, overlapped, H-4'), 4.43 (1H, m, H-2), 4.42 (1H, overlapped, H-6'a), 4.36 (1H, overlapped, H-6'b), 4.33 (1H, dd, J = 10.0, 5.2 Hz, H-3a), 4.11 (1H, dd, J = 9.6, 3.2 Hz, H-3'), 4.06 (1H, dd, J = 10.0, 3.6 Hz, H-3b), 4.05 (1H, overlapped, H-5'), 2.86-2.89 (4H, m, overlapped, H-11'', 14''), 2.28 (2H, t, J = 7.6 Hz, H-2''), 2.03-2.06 (4H, m, overlapped, H-8'', 17''), 1.54-1.57 (4H, m, overlapped, H-3'', 4''), 1.04-1.27 (6H, m, overlapped, H-5'', 6'', 7''), 0.90 (3H, t, J = 7.6 Hz, H-18''); 13C-NMR (100 MHz, pyridine-d5, dC) 173.5 (C-1''),127.5,128.0,128.6,128.6,130.5,132.0 (C-9'', 10'', 12'', 13'', 15'', 16), 105.8 (C-1'), 77.0 (C-5'), 75.2 (C-3'), 72.5 (C-2'), 72.1 (C-3), 70.1 (C-2), 69.0 (C-4'), 66.5 (C-1), 62.3 (C-6'), 34.2 (C-2''), 29.8 (C-4''), 29.3 (C-5''), 29.2 (C-6''), 29.2 (C-7''), 27.4 (C-8''), 25.9 (C-14''), 25.8 (C-11''), 25.1 (C-3''), 20.8 (C-17'') 및 14.5 (C-18'')
화합물 3
[화학식 4]
Figure 112015038593558-pat00024
1) 물성 : 연노랑 왁스(pale yellow wax)
2) IR (CaF2, ㎝-1) : 3,399, 2,929, 1,737, 1,590
3) positive FAB/MS m/z : 775 [M+H]+, C45H75O10
4) [α]D : +11.6°(c = 0.34, MeOH)
5) 1H-NMR : 5.61 (1H, m, H-2), 5.37-5.49 (12H, m, overlapped, H-9'', 9''', 10'', 10''', 12'', 12, 13'', 13''', 15'', 15''', 16'', 16'''), 4.75 (1H, d, J = 7.6 Hz, H-1'), 4.64 (1H, dd, J = 11.6, 2.0, H-1a), 4.45-4.50 (2H, m, overlapped, H-1b, 4'), 4.37 (3H, m, H-2', 6'), 4.07 (1H, overlapped, H-3'), 4.03 (1H, overlapped, H-3), 3.99 (1H, dt, J = 11.6, 6.0 Hz, H-5'), 2.88 (8H, overlapped, H-11'', 11''', 14'', 14'''), 2.32 (4H, t, J = 6.8 Hz, overlapped, H-2'', 2'''), 2.05 (8H, m, overlapped, H-8'', 8''', 17'', 17'''), 1.61 (4H, m, overlapped, H-3'', 3'''), 1.30 (4H, m, overlapped, H-4'' , 4'''), 1.23 (12H, m, overlapped, H-5'', 5''', 6'', 6''', 7'', 7'''), 0.92 (6H, t, J = 7.6 Hz, H-18'', 18'''); 13C-NMR (100 MHz, pyridine-d5, dC) 172.6, 172.8 (C-1'', C-1'''), 127.2 × 2, 127.7 × 2, 128.2 × 2, 128.2 × 2, 130.2 × 2, 131.7 × 2 (C-9'', 9''', 10'', 10''', 12'', 12, 13'', 13''', 15'', 15''' , 16'', 16'''), 105.2 (C-1'), 76.7 (C-5'), 74.8 (C-3'), 71.9 (C-2'), 70.6 (C-2), 69.7 (C-4'), 67.7 (C-3), 62.9 (C-1), 61.9 (C-6'), 34.4 (C-2'''), 34.1 (C-2''), 29.8 × 2 (C-4'', 4'''), 29.4 × 2 (C-7'', 7'''), 29.3 × 2 (C-6'', 6'''), 29.2 × 2 (C-5'', 5'''), 27.4 × 2 (C-8'', 8'''), 25.9 × 2 (C-14'', 14'''), 25.8 × 2 (C-11'', 11'''), 25.1 × 2 (C-3'', 3'''), 20.7 × 2 (C-17'', 17''') 및 14.3 × 2 (C-18'', 18''').
화합물 4
[화학식 5]
Figure 112015038593558-pat00025
1) 물성 : 연노랑 왁스(pale yellow wax)
2) IR (CaF2, ㎝-1) : 3,417, 2,927, 1,736, 1,595
3) positive FAB/MS m/z : 779 [M+H]+, C45H79O10
4) [α]D : +0.70°(c = 0.40, MeOH)
5) 1H-NMR : 5.60 (1H, m, H-2), 5.40-5.50 (8H, m, overlapped, H-9'', 9''', 10'', 10''' , 12'', 12, 13'', 13'''), 4.77 (1H, d, J = 7.6 Hz, H-1'), 4.65 (1H, dd, J = 12.0, 3.2 Hz, H-1a), 4.46-4.51 (2H, overlapped, H-1b, 4'), 4.38 (3H, overlapped, H-2', 6'), 4.31 (1H, dd, J = 10.8, 5.2 Hz, H-3a), 4.08 (1H, dd, J = 9.6, 3.2 Hz, H-3'), 4.05 (1H, dd, J = 10.8, 5.6 Hz, H-3b), 4.00 (1H, m, overlapped, H-5'), 2.90 (4H, m, overlapped, H-11'',11'''), 2.30 (4H, t, J = 7.2 Hz, H-2'', 2'''), 2.08 (8H, m, overlapped, H-8'', 8''', 14'' , 14'''), 1.62 (4H, m, H-3'', 3'''), 1.24-1.35 (28H, m, overlapped, H-4'',4''', 5'', 5''', 6'', 6''', 7'', 7''', 15'', 15''', 16'', 16''', 17'', 17'''), 0.92 (3H, t, J = 7.6, H-18''), 0.84 (3H, t, J = 6.8, H-18'''); 13C-NMR (100 MHz, pyridine-d5, dC) 173.1, 173.2 (C-1'', C-1'''), 128.4 × 2, 128.7 × 2, 130.4 × 2, 130.5 × 2 (C-9'', 9''', 10'', 10''', 12'', 12, 13'', 13'''), 105.7 (C-1'), 77.1 (C-5'), 75.3 (C-3'), 72.3 (C-2'), 72.1 (C-2), 70.1 (C-4'), 68.1 (C-3), 63.3 (C-1), 62.3 (C-6'''4.5 (C-2'''), 34.2 (C-2''), 31.7 × 2 (C-16'', 16'''), 29.9 × 2 (C-15'', 15'''), 29.9 × 2 (C-8'', 8'''), 29.6 × 2 (C-4'', 4'''), 29.5 × 2 (C-14'', 14'''), 29.4 × 2 (C-7'', 7'''), 29.3 × 2 (C-6'' , 6'''), 29.3 × 2 (C-5'', 5'''), 26.1 × 2 (C-11'', 11'''), 25.2 × 2 (C-3'', 3'''), 22.8 × 2 (C-17'', 17''') 및 14.2 × 2 (C-18'', 18''').
화합물의 미백활성 측정
3-1 :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저해활성 확인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의 미백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저해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마우스(C57BL/6)의 정상 멜라닌 세포인 melan-a 세포(immortalized cell line; 구입처 정보)를 2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 x 105 세포/웰로 분주하여 RPMI 1640 배지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2에서 분석한 파낙세롤 A(panaxcerol A)가 20, 40 및 80 μM 이 되도록 각각 처리하여 4일동안 배양하였으며,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세포를 PBS(phosphate-buffered saline)로 세척하여 0.85N의 수산화칼륨(KOH) 250 ㎖씩 각 웰에 처리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용해된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00㎕/웰이 되도록 분주한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 Bio-Rad 3550, 미국)을 사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로 계산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낙세롤 A를 처리한 군에서 멜라닌 합성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80 μM 농도의 파낙세롤 A을 처리한 경우 35.5%로 높은 멜라닌 합성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3-2 : 제브라피쉬 ( zebrafish ) 모델에서 멜라닌 저해 활성 확인
생체내(in vivo) 환경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미백활성을 검증하기 위해 제브라피쉬(zebrafish) 모델을 이용한 멜라닌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성숙한 제브라피쉬(zebrafish; Zebrafish Resource Bank, 한국)는 5ℓ수조에 3 ~ 5 마리가 되도록 한 다음, 낮과 밤의 주기를 14시간 : 10시간으로 하여 28.5℃의 수온이 유지된 폐쇄 순환 여과 시스템을 갖춘 수조에서 사육하였으며, 살아있는 브라인 쉬림프(brine shrimp; San Francisco BayBrand, Inc., 미국)를 하루에 3번 식이하여 사육하였다 (Kimmel et al., 1995; Westerfield, 1993).
그 다음, 제브라피쉬의 멜라닌 저해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에서 사육된 제브라피쉬 암수를 알 채취 전날, 알 채취용 수조에 넣고 음날 광주기 시기 1 ~ 2 시간 이후에 알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알은 제브라피쉬 엠브리오 배지(zebrafish embryo medium)에 넣고 24시간 동안 발생시킨 후, 실시예 2에서 분석한 파낙세롤 A(panaxcerol A)가 20, 40 및 80 μM 이 되도록 각각 처리하였다. 파낙세롤 A 처리시 코리온 (chorion)의 샘플 투과 정도를 알 수 없으므로, 각 알의 코리온에 구멍을 내어 처리하였으며, 샘플 처리 후 24시간 이후 샘플의 독성이 나타난 알은 제거하고, 나머지 알의 코리온을 완전히 제거한 후 2번째 샘플을 처리 하였다. 샘플 처리 48 시간 이후에 대조구 대비 샘플 처리구의 색소 발생 정도를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상기 방법은 도 2의 모식도에 나타내었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음성대조군(control)으로 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은 미백제로 사용되는 PTU (1-phenyl-2-thiourea)를 100 μM 농도로 첨가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브라피쉬 배아(embryo)의 요크(yolk)부분의 색소 침착이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제브라피쉬 요크의 변형이나 부풀어오름 같은 기형은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독성이 없거나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화합물의 세포독성 측정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의 세포독성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먼저, RAW264.7 세포(한국 세포주 은행, 한국)는 10% FBS(fetal bovine serum), 2mM 글루탐산(glutamate) , 100 units/mL 페니실린(penicillin) 및 100 m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WelGENE Inc., 한국)에서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4종류의 화합물을 각각 상기의 FBS가 첨가 되지 않은 DMEM 배지에 첨가하여 시료용액을 제조하였으며, 파낙세롤 A(화합물 1) 및 파낙세롤 B(화합물 2)는 각각 2, 5, 10, 20, 50, 100 μM이 되도록, 파낙세롤 C(화합물 3) 및 파낙세롤 (화합물 4)는 각각 0.5, 1, 2, 5, 10, 20 μM이 되도록 준비하였다.
그 다음, 상기 RAW264.7 세포를 1×104 개/웰(cell/well)이 되도록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분주한 다음, 12 내지 18 시간 동안 상기와 동일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그 후 배지를 제거하고 상기에서 준비한 4종류의 화합물에 대한 시료용액을 각각 처리한 후,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각 웰당 10 ㎍/㎖의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Aldrich, 미국) 시약을 10㎕씩 넣고 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여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웰(blank well)에는 처리하지 않음). 이후 상기 침전물에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Dimethyl sulfoxide) 100 ㎕를 첨가하여 상기 침전물에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을 녹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DMSO 첨가 30 내지 60분 후 상기 용액을 5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생존률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파낙세롤 A, 파낙세롤 B, 파낙세롤 C 및 파낙세롤 D를 각각 처리한 그룹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그룹 내에 있는 생존세포의 비율로써 측정하였다.
[수학식 1]
세포 생존률(%) =[(화합물 처리 세포수 OD 값- blank 웰 OD 값)/(대조군 OD 값 - blank 웰 OD 값)] × 100
그 결과,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낙세롤 A 및 파낙세롤 B는 100 μM 농도 이상에서도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파낙세롤 C 및 파낙세롤 D는 20 μM 농도에서 약간의 독성이 관찰되었지만,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LD50 값은 20 μM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LD50 값은 반수치사량(lethal dose for 50 percent kill; LD50)을 나타내는 값으로 일정한 조건하에서 시험동물의 50%를 사망시키는 물질의 양을 말하며, 수량적으로 독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널리 사용된다.
화합물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능 확인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의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RAW 264.7 세포로부터 생성된 NO의 양은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 의 형태로서 측정하였다.
먼저, 세포 및 시료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준비하였다.
그 다음, 상기 RAW264.7 세포를 1×104 개/웰(cell/well)이 되도록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분주한 다음, 12 내지 18 시간 동안 상기와 동일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그 후 배지를 제거하고 상기에서 준비한 4종류의 화합물에 대한 시료용액 및 1 ㎍/㎖ LPS(lipopolysaccharide)를 각각 처리한 후,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배양 상등액 100 ㎕ 및 Griess시약 100 ㎕를 혼합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Griess 시약은 1%(w/v) 설파닐아미드(sulfanilamide)에 5%(v/v) 인산(phosphoric acid) 및 0.1%(w/v) 나프틸에틸렌디아민-염화수소(naphtylethylenediamine-HCl)을 첨가한 시약이다.
화합물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
화합물
NO production and cell viability
IC50 (mM) LD50 (mM)
1 (파낙세롤 A) 63.8 ± 6.4 >100
2 (파낙세롤 B) 59.4 ± 6.8 >100
3 (파낙세롤 C) 7.7 ± 0.6 >20
4 (파낙세롤 D) 8.0 ± 0.9 >20
그 결과, 도 4A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낙세롤 A 내지 파낙세롤 D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성 질환의 염증유발물질 중 하나인 일산화질소(NO) 생성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NO 생성을 50% 저해하는 농도인 IC50 값은 파낙세롤 A, 파낙세롤 B, 파낙세롤 C 및 파낙세롤 D 각각 63.8 μM, 59.4 μM, 7.7 μM 및 8.0 μM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IC50 값은 모두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 범위로, 유효한 범위 내에서는 독성 없이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화합물의 다양한 염증성 매개인자 발현 억제 효능 확인
본 발명의 4종류의 화합물이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이외의 다른 염증성 매개인자의 발현 또는 생성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 처리에 따른 종양괴사 인자-α (TNF-α; tumor necrosis factor-alpha), 인터루킨-1β(IL-1β: interleukin-1β) 및 인터루킨-6(IL-6: interleukin-6)의 mRNA 발현정도를 확인하였다.
세포 및 시료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였으며, RAW264.7 세포를 1×105 개/웰(cell/well)이 되도록 6-웰 플레이트(6-well plate)에 분주한 다음, 12 내지 18 시간 동안 상기와 동일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그 후 배지를 제거하고 상기에서 준비한 4종류의 화합물에 대한 시료용액 및 1 ㎍/㎖ LPS(lipopolysaccharide)를 각각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회수한 다음, TRIzol Reagent kit (Invitrogen, 미국)를 이용하여 총 RNA(total RNA)를 수득하였다. MMLV 역전사 효소(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reverse transcriptase (Thermo Scientific, 미국)를 사용하여 수득된 총 RNA 5㎍으로부터 cDNA를 합성한 다음, 하기 표 2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프라이머 서열
mRNA sequence(5' -> 3') 서열번호
IL -1β Forward TTC ACA GAG GAT ACC ACT CC 서열번호 1
Reverse GAA GCT GTG GCA GCT ACC TAT GTC T 서열번호 2
IL -6 Forward GAG GAT ACC ACT CCC AAC AG 서열번호 3
Reverse TTC ACA GAG GAT ACC ACT CC 서열번호 4
TNF Forward ATG AGC ACA GAA AGC ATG ATC 서열번호 5
Reverse TAC AGG CTT GTC ACT CGA ATT 서열번호 6
GAPDH
Forward CGA CTT CAA CAG CAA CTC CCA CTC TTC C 서열번호 7
Reverse TGG GTG GTC CAG GGT TTC TTA CTC CTT 서열번호 8
상대적인 mRNA의 발현량은 ΔΔCT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각 유전자의 mRNA 레벨은 GAPDH를 이용하여 노멀라이제이션(normalization) 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4 종류의 화합물 처리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IL-1β, IL-6 및 TNF-α mRNA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멜라닌 생합성 저해를 통한 미백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염증성 매개물질의 발현 또는 생성을 저해하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하기, "화합물"로 기재함)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1. 산제의 제조
화합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정제의 제조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캡슐제의 제조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4. 환의 제조
화합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예 1-5. 과립의 제조
화합물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2: 화합물을 포함하는 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하기 "화합물"로 기재함)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크림의 제조는 하기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화합물 3㎖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4㎖
세테아릴알콜 4.5㎖
스테아린산 3㎖
밀납 1.5㎖
글리세린 3㎖
스쿠알란 8㎖
베타인 6㎖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5㎖
경화식물유 2㎖
폴리솔베이트60 3㎖
증류수 총 100㎖가 되도록 첨가
상기 조성비는 화장료 제형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조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130> 1041776 <160> 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 beta forward primer <400> 1 ttcacagagg ataccactcc 20 <210> 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 beta reverse primer <400> 2 gaagctgtgg cagctaccta tgtct 25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forward primer <400> 3 gaggatacca ctcccaacag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reverse primer <400> 4 ttcacagagg ataccactcc 20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 alpha forward primer <400> 5 atgagcacag aaagcatgat c 21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 alpha reverse primer <400> 6 tacaggcttg tcactcgaat t 21 <210> 7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primer <400> 7 cgacttcaac agcaactccc actcttcc 28 <210> 8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primer <400> 8 tgggtggtcc agggtttctt actcctt 27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6012833075-pat00041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인삼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인삼 잎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항염 활성을 가지며,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발생억제; 및
    종양괴사 인자-α (TNF-α; tumor necrosis factor-alpha), 인터루킨-1β(IL-1β: interleukin-1β) 및 인터루킨-6(IL-6: interleukin-6)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작을 통해 염증을 억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6012833075-pat00042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인삼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인삼 잎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항염 활성을 가지며,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발생억제; 및
    종양괴사 인자-α (TNF-α; tumor necrosis factor-alpha), 인터루킨-1β(IL-1β: interleukin-1β) 및 인터루킨-6(IL-6: interleukin-6)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작을 통해 염증을 억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및 일광흑색증(solar lentigine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150055825A 2015-04-21 2015-04-21 미백용 조성물 KR101630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825A KR101630816B1 (ko) 2015-04-21 2015-04-21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825A KR101630816B1 (ko) 2015-04-21 2015-04-21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816B1 true KR101630816B1 (ko) 2016-06-17

Family

ID=5634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825A KR101630816B1 (ko) 2015-04-21 2015-04-21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705A (ko) 2019-09-17 2021-03-25 주식회사 씨에이치하모니 고온진공증류 추출법으로 제조된 인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6301A1 (en) * 2013-06-04 2014-12-04 Academia Sinica Galactolipids-Enriched Plant Extracts And The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6301A1 (en) * 2013-06-04 2014-12-04 Academia Sinica Galactolipids-Enriched Plant Extracts And The Uses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705A (ko) 2019-09-17 2021-03-25 주식회사 씨에이치하모니 고온진공증류 추출법으로 제조된 인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2223B1 (ko) * 2019-09-17 2021-08-23 주식회사 씨에이치하모니 고온진공증류 추출법으로 제조된 인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8911A (ko) 로즈마리 이온성 액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946526B1 (ko) 하이드란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591499B1 (ko) 아마란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068721A (ko) 개머루덩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52377A (ko) 캠퍼롤 및 에티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0816B1 (ko) 미백용 조성물
KR101780939B1 (ko) 인삼 유래 화합물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KR101997805B1 (ko) 흑노호 유래 리그난 화합물 및 그의 수득 방법
KR101050484B1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92373B1 (ko) 고장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982435B1 (ko) (2z,8z)―매트리카리아산 메틸 에스테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21666B1 (ko) 선복화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36060A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4833854B2 (ja) ウリ科植物の抽出物から単離した抗脂肪生成および抗肥満活性を有するアルコール化合物から構成される組成物
KR101551106B1 (ko) 참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81884B1 (ko) 코보페놀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22584B1 (ko) 진세노사이드 Rh6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KR102094949B1 (ko) 흑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JP7028803B2 (ja) 美白剤
KR101945859B1 (ko) 신규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00069616A (ko) 올벚나무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11053B1 (ko)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40125937A (ko)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20210011255A (ko) 금목서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