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727B1 -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727B1
KR101630727B1 KR1020140180961A KR20140180961A KR101630727B1 KR 101630727 B1 KR101630727 B1 KR 101630727B1 KR 1020140180961 A KR1020140180961 A KR 1020140180961A KR 20140180961 A KR20140180961 A KR 20140180961A KR 101630727 B1 KR101630727 B1 KR 101630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larm
wearable device
information
predetermin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0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727B1/ko
Priority to US14/752,948 priority patent/US966607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3Conjoint control of differen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보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무선 통신부와, 충돌 위험, 차량의 속도 및 차선 이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를 위한 기 설정된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WARN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한 경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주행 중 위험을 감지하기 위한 전방 센서, 후방 센서, 카메라 등이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충돌 위험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청각적인 경고를 주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음악을 듣는 경우나 졸음 운전을 하는 상황에는 청각적인 경고 만으로는 확실한 위험을 전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트, 스티어링 휠, 페달 등을 활용하여 촉각적인 경고를 주는 수단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모두 원가 상승 요소를 가지고 있거나 운전을 하는데 오히려 방해를 줄 수 있어, 일부 사용자들에게 불만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원가 상승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는 새로운 경고 보조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 중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과 페어링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경보 방식을 달리할 수 있는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 상황의 긴급도에 따라 경보 방식을 달리할 수 있는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보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무선 통신부와, 충돌 위험, 차량의 속도 및 차선 이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를 위한 기 설정된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보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충돌 위험, 차량의 속도 및 차선 이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를 위한 기 설정된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중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험 상황의 긴급도에 따라 경보 방식을 달리할 수 있는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되는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험 경보 시스템에서 경보의 긴급도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경보 방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험 경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험 경보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보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는 메시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는 메시지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되는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구성 모듈들 중 일부는, 차량(100)에 처음부터 내장되어 있던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추가된 외부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모듈들 중에서, 본 발명에 따라, 주행 중 발생한 위험 상황에 대한 경보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구성 모듈들을 합하여 경보 시스템이라 칭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정보 수집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무선 통신부(140), 메모리(150) 및 방향 지시등(1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이보다 더 적은 구성 모듈들을 포함하거나, 이보다 더 많은 구성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두 개 이상의 구성 모듈이 하나의 구성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구성 모듈이 둘 이상의 구성 모듈에 걸쳐 구현될 수도 있다.
정보 수집부(110)는 차량의 상태,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정보 수집부(110)는 충돌 감지부(111), 속도 감지부(112) 및 차선 이탈 감지부(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충돌 감지부(111)는, 외부에 있는 물체, 사람과 차량(100)과의 충돌 위험을 감지하며, 전방 충돌 감지 센서, 후방 충돌 감지 센서, 측방 충돌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속도 감지부(112)는 차량(100)의 속도를 감지한다. 차선 이탈 감지부(113)는, 전방 또는/및 후방에 위치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차선 이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정보 수집부(110)는, 충돌 위험, 속도 감지 및 차선 이탈 여부 이외의 안전 관련 정보를 더 수집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3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차량(100)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40)는,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란, 차량(100)의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차량(100)에 내장되어 있지 않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40)는 무선 인터넷 모듈(14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4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41)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등이 있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42)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부(140)는 무선 통신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근거리 통신일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기존에 무선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자동으로 무선 통신 연결(예를 들어,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차량(100)의 구동 및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알고리즘,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방향 지시등(160)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점멸되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방향 지시등(160)의 온/오프 및 차선 이탈 감지부(113)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방향 지시등(160)을 켜지 않고 차선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각 구성 모듈들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가 필요한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경보의 긴급도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위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및 경보의 긴급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의류, 스마트 신발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제어부(230) 및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보다 더 적은 구성 모듈들을 포함하거나, 이보다 더 많은 구성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두 개 이상의 구성 모듈이 하나의 구성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구성 모듈이 둘 이상의 구성 모듈에 걸쳐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무선 인터넷 모듈(211) 및 근거리 통신 모듈(21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1) 및 근거리 통신 모듈(212)에 대한 설명은 도 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2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알고리즘,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230)는, 각 구성 모듈들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제어부(23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디스플레이부(241), 진동 모듈(242), 음향 출력부(243) 및 광 출력부(244)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종류에 따라 출력부(240)에 포함되는 모듈의 종류 및 개수가 달라질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41)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 모듈(242)은 이벤트 발생 시 소정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음향 출력부(243)는, 이벤트 발생 시 이를 알리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22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광 출력부(244)는 이벤트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경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차량(10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것으로 가정한다. 차량(100)의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 명령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100)의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경보를 위한 기 설정된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한다.
상기 기 설정된 신호는, 진동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이미지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오디오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및 광 출력 경보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는, 진동 패턴에 대한 데이터, 진동 세기에 대한 데이터, 진동 시간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는 각 위험 상황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 패턴에 대한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 시간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는, 각 위험 상황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시간에 대한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세기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는, 각 위험 상황에 대응하는 광 데이터, 광 데이터의 출력 패턴에 대한 데이터, 광 데이터의 출력 세기에 대한 데이터 및 광 데이터의 출력 시간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경보를 위한 기 설정된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의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경보의 긴급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경보의 긴급도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신호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의 유무 및 각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의 긴급도가 높을수록 상기 기 설정된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커지거나 종류가 증가하고, 경보의 긴급도가 낮을수록 상기 기 설정된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종류가 감소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이 임박한 경우이거나 충돌 우려가 있음에도 차량(100)의 차선 이탈이 감지된 경우, 경보의 긴급도를 제1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경보의 긴급도가 제1 수준으로 판단된 경우, 오디오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와 연속 진동 패턴 및 기 설정된 정도 이상의 진동 세기에 대응하는 진동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경보의 긴급도가 제1 수준으로 판단된 경우, 기 설정된 정도 이상의 크기를 갖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및/또는 기 설정된 정도 이상의 밝기에 대응하는 광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속도가 기 설정된 정도 이상인 경우, 경보의 긴급도를 상기 제1 수준보다 낮은 제2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경보의 긴급도가 제2 수준으로 판단된 경우, 이산적인 진동 패턴 및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진동 세기에 대응하는 진동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경보의 긴급도가 제2 수준으로 판단된 경우, 기 설정된 정도 이하의 크기를 갖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및/또는 기 설정된 정도 이하의 밝기에 대응하는 광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차선 이탈이 감지되었으나 방향 지시등(160)이 꺼져있는 경우, 경보의 긴급도를 상기 제2 수준보다 낮은 제3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경보의 긴급도가 제3 수준으로 판단된 경우, 기 설정된 정도 이하의 진동 세기에 대응하는 진동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의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신호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이름, 모델 명, 버전 정보, 사양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종류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종류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워치 타입의 디바이스인지, 글래스 타입의 디바이스인지, 의류 타입의 디바이스인지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30)는,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워치 타입의 디바이스로 판단된 경우, 진동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및 오디오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30)는,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글래스 타입의 디바이스로 판단된 경우, 이미지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오디오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및 광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제어부(130)는,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의류 타입의 디바이스로 판단된 경우, 진동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의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경보의 긴급도 및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종류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신호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의 유무 및 각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험 경보 시스템에서 경보의 긴급도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경보 방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100)의 메모리(150)는, 경보의 긴급도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경보 방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제어부(130)는, 경보의 긴급도가 제1 수준(상)이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종류가 제1 종류(워치 타입)로 판단된 경우, 기 설정된 정도 이상의 진동 세기에 대응하는 진동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및 오디오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경보의 긴급도가 제3 수준(하)이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종류가 제2 종류(글래스 타입)로 판단된 경우, 기 설정된 정도 이하의 크기를 갖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위험 경보 방법의 일 예시를 구체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험 경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차량(100)의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가 필요한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경보가 필요한 위험 상황인 경우 경보의 긴급도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충돌 감지부(111)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이 있음에도 차선 이탈 감지부(113)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이 차선을 이탈하려고 하는 경우, 경보의 긴급도를 제1 수준(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종류를 판단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워치 타입의 디바이스(410)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강한 진동+소리" 경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강한 진동+소리" 경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 모듈(242)을 제어하고 소정의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음향 출력부(24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글래스 타입의 디바이스(420)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이미지/빛+소리" 경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는 충돌 위험 상황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이미지(421)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이미지/빛+소리" 경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421)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1)를 제어하고 소정의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음향 출력부(24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의 (d)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의류 타입의 디바이스(430)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강한 진동" 경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강한 진동" 경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 모듈(242)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험 경보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차량(100)의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가 필요한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경보가 필요한 위험 상황인 경우 경보의 긴급도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차선 이탈 감지부(113)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이 차선을 이탈하였으니 방향 지시등(160)이 꺼져 있는 경우, 정보의 긴급도를 제3 수준(하)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종류를 판단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워치 타입의 디바이스(410)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약한 진동" 경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 약한 진동 " 경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 모듈(242)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글래스 타입의 디바이스(420)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이미지" 경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는 차선 이탈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이미지(422)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이미지" 경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422)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의류 타입의 디바이스(430)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약한 진동" 경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약한 진동" 경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 모듈(242)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보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차량(100)의 정보 수집부(110)는, 안전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S610). 정보 수집부(110)는, 충돌 위험, 차량의 속도 및 차선 이탈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정부 수집부(110)는 안전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데 있어서 방향 지시등(160)의 상태(온/오프)에 대한 정보도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경보의 긴급도를 판단한다(S620). 메모리(150)는, 경보의 긴급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 설정된 기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유무를 감지한다(S630). 그리고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존재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긴급도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종류에 따라, 경보의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S640). 경보의 방식이란, 진동 출력 경보, 이미지 출력 경보, 오디오 출력 경보 및 광 출력 경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경보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경보의 세기 및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한 경보를 받을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도 있다. 이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는 메시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100)의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무선 통신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해 경보를 받을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700)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700) 내 '예 버튼'(710)을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해 경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700) 내 '아니오 버튼'(720)을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한 경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무선 통신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한 경보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를 통해 원하는 경보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는 메시지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100)의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이 연결되었을 때 이미 그 전에 무선 통신이 연결되어 있는 또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존재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시지(800)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미 무선 통신이 연결되어 있는 또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Smart glass), 지금 무선 통신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Smart watch)라 칭하기로 한다. 즉,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두 개 이상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시지(800)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800)를 통해,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어느 디바이스로 경보를 받을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800)는, 제1,2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두로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1 메뉴(810),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만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 메뉴(820),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만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3 메뉴(830) 및 제1,2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두에 경보를 제공하지 않기 위한 제4 메뉴(8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메시지(800)는 무선 통신이 연결된 각 웨어러블 디바이스 별로 사용자가 경보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중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과 페어링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경보 방식을 달리할 수 있는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험 상황의 긴급도에 따라 경보 방식을 달리할 수 있는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무선 통신부;
    충돌 위험, 차량의 속도 및 차선 이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를 위한 기 설정된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달리하는, 경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신호는, 진동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이미지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오디오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및 광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경보의 긴급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경보의 긴급도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신호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의 유무 및 각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경보 시스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경보의 긴급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경보의 긴급도 및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신호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의 유무 및 각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경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워치 타입의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신호는, 진동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및 오디오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글래스 타입의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신호는, 이미지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오디오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및 광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기 설정된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와 다른 제2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기 설정된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경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근거리 통신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부와 연결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경보를 받을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경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부에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경보를 받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경보 시스템.
  1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충돌 위험, 차량의 속도 및 차선 이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를 위한 기 설정된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달라지는, 경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신호는, 진동 경보 출력을 위한 데이터, 이미지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오디오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및 광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경보의 긴급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경보의 긴급도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신호에 포함될 각 데이터의 유무 및 각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보 방법.
  14. 삭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경보의 긴급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경보의 긴급도 및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신호에 포함될 각 데이터의 유무 및 각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워치 타입의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신호는, 진동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및 오디오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글래스 타입의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신호는, 이미지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오디오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및 광 출력 경보를 위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를 위한 기 설정된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기 설정된 신호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와 다른 제2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기 설정된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보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경보를 받을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보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경보를 받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보 방법.
KR1020140180961A 2014-12-16 2014-12-16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630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961A KR101630727B1 (ko) 2014-12-16 2014-12-16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4/752,948 US9666076B2 (en) 2014-12-16 2015-06-28 Warn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961A KR101630727B1 (ko) 2014-12-16 2014-12-16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727B1 true KR101630727B1 (ko) 2016-06-17

Family

ID=5611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961A KR101630727B1 (ko) 2014-12-16 2014-12-16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66076B2 (ko)
KR (1) KR1016307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5742A (zh) * 2016-07-22 2017-03-22 北京兴科迪科技有限公司 一种车道偏离预警方法及系统
KR20190008001A (ko) * 2017-07-14 2019-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WO2019050086A1 (ko) * 2017-09-08 2019-03-14 전자부품연구원 웨어러블 기기의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05691A (ko) * 2021-01-20 2022-07-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V2x 통신을 이용하는 경제 운전 유도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9511B4 (de) * 2015-10-08 2019-06-19 Zf Friedrichshafen Ag Tragbare Vorrichtung
US20170158130A1 (en) * 2015-12-03 2017-06-08 Dura Operating, Llc System to detect vehicle lamp performance
US9630555B1 (en) * 2016-01-25 2017-04-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river alert system for speed and acceleration thresholds
DE102017203785A1 (de) 2017-03-08 2018-09-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Überwachungssystem
DE112017007629T5 (de) 2017-06-27 2020-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trieb von haptischen vorrichtungen
US10229598B1 (en) * 2018-02-09 2019-03-1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ulnerable road user alert
CN108275073A (zh) * 2018-03-02 2018-07-13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变道辅助系统及方法
EP3650960A1 (fr) * 2018-11-07 2020-05-13 Tissot S.A. Procede de diffusion d'un message par une montre
JP2020154506A (ja) * 2019-03-19 2020-09-2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煽り運転警告装置、及び煽り運転警告プログラム
FR3107883B1 (fr) * 2020-03-05 2022-03-11 R Systems Système embarqué pour aéronef d'information de la détection d'obstacles
JP7276276B2 (ja) * 2020-07-31 2023-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危険運転検出装置、危険運転検出システム、及び危険運転検出プログラム
CN112315107A (zh) * 2020-10-15 2021-02-05 向维智联(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汽车安全装置的驾驶用智能鞋及其告警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8855A (ja) * 2010-04-30 2011-12-08 Denso Corp 車両用衝突警報装置
KR20120048981A (ko) * 2010-11-08 2012-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를 위한 다기능 신체착용 컴퓨터
JP2014151892A (ja) * 2013-02-14 2014-08-25 Hitachi Industry & Control Solutions Ltd 車両共有化システムにおける車内環境変更装置及び車内環境変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8073B2 (en) * 2001-06-26 2004-08-17 Medi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udio devices
KR100400945B1 (ko) 2001-08-10 2003-10-10 주식회사 텔사인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차량 데이터 수집 및 차량 진단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차량 편의장치 자동 설정 방법
JP2011225189A (ja) 2010-04-23 2011-11-10 Kanto Auto Works Ltd 車両故障警告装置及び車両故障警告システム
KR101109580B1 (ko) 2010-11-11 2012-01-31 (주) 아이테크코리아 룸미러형 av/블랙박스 장치와 운송 차량용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포함하는 운송 차량용 안전 운행 관리 시스템
KR101166351B1 (ko) 2011-01-31 2012-07-18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064152B2 (en) * 2011-12-01 2015-06-23 Elwha Llc Vehicular threat detection based on image analysis
KR102048582B1 (ko) 2012-09-27 2019-11-25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선 이탈 경고 및 블랙 박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KR101421529B1 (ko) 2012-10-18 2014-08-13 진성닷컴주식회사 차선 이탈 경고 안경
US9212926B2 (en) * 2013-11-22 2015-12-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vehicle path verific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8855A (ja) * 2010-04-30 2011-12-08 Denso Corp 車両用衝突警報装置
KR20120048981A (ko) * 2010-11-08 2012-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를 위한 다기능 신체착용 컴퓨터
JP2014151892A (ja) * 2013-02-14 2014-08-25 Hitachi Industry & Control Solutions Ltd 車両共有化システムにおける車内環境変更装置及び車内環境変更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5742A (zh) * 2016-07-22 2017-03-22 北京兴科迪科技有限公司 一种车道偏离预警方法及系统
CN106515742B (zh) * 2016-07-22 2019-04-26 北京兴科迪科技有限公司 一种车道偏离预警方法及系统
KR20190008001A (ko) * 2017-07-14 2019-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85832B1 (ko) * 2017-07-14 2019-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710611B2 (en) 2017-07-14 2020-07-14 Lg Electronics Inc.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WO2019050086A1 (ko) * 2017-09-08 2019-03-14 전자부품연구원 웨어러블 기기의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0747555B2 (en) 2017-09-08 2020-08-18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wearable device
KR20220105691A (ko) * 2021-01-20 2022-07-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V2x 통신을 이용하는 경제 운전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102546614B1 (ko) * 2021-01-20 2023-06-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V2x 통신을 이용하는 경제 운전 유도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67578A1 (en) 2016-06-16
US9666076B2 (en)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727B1 (ko)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06648108B (zh) 车辆-可穿戴装置界面及使用其的方法
EP3245093B1 (en) Cognitive load driving assistant
US10470131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ircuit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xterna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4593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head unit application host for a radar detector
JP6488394B2 (ja) 着用式通信アセンブリおよび通信アセンブリ
US99582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wearable smart device communications
US91977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riv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thereof
EP3048805A1 (en) Ear set device
CN108369267B (zh) 用于遗留移动装置的警告
CN103258403A (zh) 防瞌睡预警系统及方法
KR20210084749A (ko) 자율주행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 제어 방법
KR20170007001A (ko) 단말의 눈동자 인식 기능을 이용한 안전 운전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EP3659302B1 (en)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150133534A (ko) 차량간 의사 소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37378B1 (ko) 웨어러블 블루투스 기기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KR20190112973A (ko) 차량 간 통신 환경에서 취약 도로 사용자 보호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JP5821426B2 (ja) 車両接近報知装置および安全杖
US11887480B2 (en) Context aware safety alerts
JP2014136513A (ja) 物体接近報知システム
KR101276989B1 (ko)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태그를 이용한 경고 알람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경고 알람 시스템
KR20150043663A (ko)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76243A (ko)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CN113370990A (zh) 驾驶辅助方法和驾驶辅助装置
KR101845433B1 (ko) 소방 안내 시스템 및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