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187B1 - 흡입용 젖꼭지 유닛 - Google Patents

흡입용 젖꼭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187B1
KR101630187B1 KR1020107027781A KR20107027781A KR101630187B1 KR 101630187 B1 KR101630187 B1 KR 101630187B1 KR 1020107027781 A KR1020107027781 A KR 1020107027781A KR 20107027781 A KR20107027781 A KR 20107027781A KR 101630187 B1 KR101630187 B1 KR 101630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head
nipple
base
head portion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247A (ko
Inventor
에리히 페니게르
마리오 리게르트
알렉스 스투쯔
페터 피셔
Original Assignee
메델라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델라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메델라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1002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1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 A61J11/0015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by size or shape of th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1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 A61J11/002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by us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6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for improv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Teats having orthodontic properties, e.g. for promoting correct teeth develo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용 젖꼭지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젖꼭지 유닛은 가요성 흡입용 젖꼭지부(4), 수용 헤드부(3) 및 고정형 베이스부(2)를 포함한다. 젖꼭지부(4)는 상기 수용 헤드부(3) 상에 배치된다. 수용 헤드부(3)와 베이스부(2)는 탈착가능한 플러그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수용 헤드부(3)는 젖꼭지 유닛을 음료 용기(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요소(301)를 포함한다. 상기 젖꼭지 유닛은 개별 부품에 대한 다수의 구성 가능성을 가능하게 하여, 개별 부품의 개별 기능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흡입용 젖꼭지 유닛{SUCTION TEAT UNIT}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젖꼭지 유닛 및 특허청구범위 제15항의 전제부에 따른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가장 잘 알려진 유아용 젖병을 위한 젖꼭지 유닛이 암나산을 가진 링(ring) 및 이 링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젖꼭지부를 포함한다. 젖꼭지부는 실질적으로 원뿔형의 본체를 포함하며, 이 본체의 좁은 단부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마우스피스부에 삽입된다. 상기 본체의 넓은 단부 상에는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는 이 플랜지의 나사산 링에 의해 젖병의 네크부 상에 밀봉식으로 맞닿는다. 이러한 젖꼭지 유닛은 세척이 용이하고 저렴하며, 사용하기도 용이하지만, 젖꼭지 유닛의 가능한 변형예에 관해 매우 제한적이어서, 특히 마시기에 어려움을 갖는 미숙아 또는 유아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
US 5 553 726에서는, 밸브가 마우스피스부에서 본체까지 이어지는 영역 내에 삽입된다.
WO 2007/053894는 유아용 젖병을 위한 3개 부품으로 구성된 젖꼭지 유닛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도, 나사산 링 및 젖꼭지부가 제공된다. 제3의 부품은 젖병의 네크부 상에 체결되는 플레이트(plate)이다. 젖꼭지부는 그 플레이트 위에 배치되고, 나머지 두 부품은 나사산 링에 의해 제위치에 고정된다. 플레이트는, 나사산 링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젖꼭지부의 통로를 형성하거나 나사산 링에 의해 차단되는 개구를 포함한다.
US 5 791 503에서는, 유사한 장치가, 아기가 빨지 않을 때의 잠시 쉬는 동안, 젖병 안으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데 사용된다.
US 2004/0035815는 유아용 젖꼭지부를 구비한 음료컵을 기술하고 있다. 젖꼭지부 및 밸브 요소가 나사산 링에 의해 컵의 뚜껑 내에 고정되고, 상기 나사산 링은 외부로부터 젖꼭지부의 플랜지에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의 내측면은 밸브 요소 상에 맞닿는다. 그러면, 밸브 요소는 뚜껑의 숄더부 상에 장착된다.
또한, US 2005/0224444, US 2 584 359, EP 0 384 394 및 EP 1 416 900은 나사산 링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나사산 링에 의해 유아용 젖병 상에 밀봉식으로 고정되는 젖꼭지부를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제3의 부품은 밸브체인데, 이 밸브체는 밸브체의 플랜지가 젖병의 네크부 상에 맞닿으며, 젖꼭지부의 내부로 연장하고, 마찬가지로 나사산 링에 의해 밀봉 위치로 고정된다.
WO 97/04735에서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젖꼭지 유닛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도, 젖꼭지부는 일체형 나사산 링에 의해 젖병에 고정된다.
WO 2007/137440은 일체형 또는 2부분으로 구성된 젖꼭지부 및 젖꼭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치수적으로 안정된 수용 헤드부를 포함하는 젖꼭지 유닛을 개시하고 있다. 일체형 수용 헤드부는 나사산 링을 구비하고 있어서, 수용 헤드부는 유아용 젖병 또는 음료용 컵의 네크부 상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젖꼭지부는 반구형 수용 헤드부 상에 체결되고, 나사산 링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다.
US 1 605 427에서는 젖꼭지부는 젖병의 네크부 상에 직접, 즉 중간 링없이 체결된다. 젖꼭지부의 마우스피스부는 삽입 부품에 의해 보강된다. BE 381 523에서도, 젖꼭지부는 젖병의 네크부 상에 직접 체결된다.
US 7 225 938은 밸브를 포함하는 중간 챔버가 유아용 젖병 상에 나사체결되는 젖꼭지 유닛을 개시하고 있다. 젖꼭지부가 관통하여 연장하는 공지된 나사산 링은 상기 중간 챔버 상에 나사체결된다.
WO 99/22693은 나사산 링 및 나사산 링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2부분으로 구성된 흡입체를 포함하는 젖꼭지 유닛을 개시하고 있다. 나사산 링은 암나사산에 의해 어댑터 부품(adapter part) 상에 나사체결되며, 이 어댑터 부품은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을 가지며, 암나사산에 의해 유아용 젖병의 네크부 상에 고정된다.
각각의 경우, 이들 공지된 해결수단은 다음의 5가지 기능 중 하나를 최적화시키지만, 이들은 동시에 나머지 다른 4가지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손상시킨다.
- 최적의 우유의 유동,
- 밸브가 사용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특정 압력에서의 확실한 밀폐 및 개방,
- 아기가 빨지 않는 휴지기 동안의 최적의 통기,
- 젖꼭지부의 간단한 고정 및 젖꼭지 유닛의 나머지 부분과 젖병으로부터 젖꼭지부의 간단한 제거, 및 간단한 세척, 및
- 젖꼭지 유닛의 적절한 탄성으로 인한 유아의 입과의 최적의 상호작용.
또한, 공지된 해결수단은 다음의 단점의 하나 이상을 갖는다.
- 본 해결수단은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제조 비용이 고가이고,
- 젖꼭지부는 비교적 두꺼운 벽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는 제조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비용을 증가시키며,
- 본 해결수단은 단일 구성으로만 사용될 수 있고, 어떠한 변형예를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젖꼭지 유닛 및 음료 용기의 구성에 있어서 가요성을 더 크게 하여, 앞서 언급된 5가지 기능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젖꼭지 유닛 및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따른 젖꼭지 유닛 및 특허청구범위 제15항의 특징부에 따른 음료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 유닛은 가요성 젖꼭지부, 수용 헤드부(receiving head) 및 치수적으로 안정된 베이스부(base part)를 포함한다. 젖꼭지부는 수용 헤드부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 헤드부 및 베이스부는 탈착가능한 플러그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수용 헤드부는 음료 용기 상에 젖꼭지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 요소 또는 고정 요소, 예컨대 나사산을 포함한다.
이 기본적 개념, 즉 젖꼭지 유닛을 3개의 부품으로 나눔으로써 얻어지는 모듈 구조,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플러그식 연결, 및 음료 용기에 고정 연결시키는 부품으로써의 수용 헤드부의 선택을 통해, 젖꼭지 유닛은 매우 탄력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젖꼭지 유닛의 일 영역의 변화가 바로 또 다른 영역 또는 모든 영역의 변화를 필연적으로 동반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젖꼭지 유닛의 다양한 목적물 및 기능물이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다르게 형성된 젖꼭지부,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된 젖꼭지부가 수용 헤드부 및 베이스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르게 형성된 수용 헤드부가 상기 젖꼭지부 및 베이스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의 모양은 변경될 수도 있다. 이는, 어떠한 경우에도 새로운 고려 사항을 충족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젖꼭지 유닛의 개발 및 개량을 촉진한다. 그 대신에, 개발자는, 그렇게 하여 설계의 자유라는 관점에서 매우 제한받는 것없이, 이 기본 개념에 따를 수 있다. 또한, 다이, 특히 사출 성형 캐비티의 다이가 재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새료운 제품에 대한 개발 및 제조 비용을 줄인다.
예를 들면, 수용 헤드부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그 표면 구조는, 젖꼭지부와의 상호작용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매우 탄력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 헤드부는 강성을 띨 수 있으며, 치수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다. 그러나, 수용 헤드부는 강성 재료로 이루어진 본체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연성 영역 또는 상기 본체보다 더 연성인 영역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르게 형성된 지지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지지체는 둘레에, 중앙에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체와 공기 갭의 적절한 결합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가능성에 의할 경우, 유아의 입과의 접촉 영역, 특히 젖꼭지 유닛의 탄성은 매우 유연하게 구성되어, 최적화될 수 있다.
밸브 및 통기 개구가 다양한 지점, 예를 들면 젖꼭지부와 수용 헤드부 사이, 그리고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우유를 위한 관통 개구는, 예를 들면 밸브 격판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밸브가 다양한 지점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확실한 밀폐 및 개방이 가능해진다.
공동 플러그 연결부를 제외하고, 어떠한 식으로든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는 서로 상호작용할 수 없다. 그러나,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는, 예를 들면 공동 통기실 또는 우유 수집 챔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들 가능한 변형예에 의할 경우, 우유의 유동은 최적화될 수 있고, 아기가 빨지 않는 휴지기 동안 최적의 통기가 보장된다.
젖꼭지부가 수용 헤드부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젖꼭지부는 제위치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다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가 서로에게만 체결되기 때문에, 모든 부품의 세척이 용이하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젖꼭지부는 두꺼운 벽부를 가질 필요없거나, 비교적 얇은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는 점이다.
수용 헤드부는 바람직하게 베이스부에 체결된다.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플러그 연결부는 고정 요소 상이 아닌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수용 헤드부는 바람직하게 베이스부로의 플러그식 연결을 위한 1개 이상의 돌출형 플러그 요소를 포함하고, 고정 요소 또는 수단, 특히 나사산은 상기 1개 이상의 플러그 요소 상에 배치된다. 플러그 요소는 전체 둘레를 따라 원형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여러개의 개별 플러그 요소가 서로 이격된 방식으로 수용 헤드부의 둘레를 따라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상기 개별 플러그 요소는 공동원을 형성하고, 만일 나사산이 고정 요소로 사용된다면, 공동 나사산을 형성한다.
플러그 요소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기 개구의 외경보다 작은 공동 내경을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플러그 요소는 체결 동안 바깥쪽으로 밀려져, 베이스부를 누른다. 이는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의 서로에 대한 고정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는 1개 이상의 슬릿을 포함하며, 이 슬릿으로, 수용 헤드부, 특히 플러그 요소가 삽입될 수 있다.
플러그 연결부는 바람직하게 잠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조립 상태에 있지 않을 때에도, 부품들은 함께 체결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어서, 부서지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수용 헤드부는, 주변에 배치되고 수용 헤드부의 둘레를 따라 균등하게 분포되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젖꼭지부와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식으로, 젖꼭지 유닛의 탄성은, 젖꼭지부 자체가 매우 복잡한 구조 형태를 가질 필요없이, 용이하게 최적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 헤드부는 일체로 구성되며, 치수적으로 안정적이다. 수용 헤드부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사출 성형 작업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 비용은 최소화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 헤드부는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베이스체 및 이 베이스체보다 더 연한 재료로 이루어진 부착 요소를 포함한다. 베이스체 또한 사출 성형 작업을 통해 저렴하게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더 연한 영역은 바람직하게 2부품으로 이루어진 사출 성형법에 의해 사출되거나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영역은 바람직하게 실리콘,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젖꼭지부의 원주방향 에지는, 유닛이 음료 용기의 사용상 정확한 위치에 체결될 때,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 사이에서 조여진다. 이러한 식으로, 젖꼭지부의 원주방향 에지는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제위치에 쉽게 고정되고 제거될 수 있다. 젖꼭지부는 용기와 젖꼭지 유닛 사이에서 조여지는 것이 아니라, 젖꼭지 유닛 자체의 내부에 조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임은 유닛이 음료 용기 상에 장착되기 전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조임은, 젖꼭지 유닛이, 예를 들면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를 서로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서 고정시킴으로써, 음료 용기 상에 고정될 때에만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젖꼭지부는 바람직하게 수용 헤드부으로 밀려지며, 젖꼭지부의 원주방향 에지는 수용 헤드부의 원주방향 고정 에지 주변에 맞물리고, 수용 헤드부의 원주방향 밀봉면 상에 맞닿는다. 베이스부는 젖꼭지부와 상호작용하는 원주방향 밀봉면을 가지며, 젖꼭지부는, 음료 용기의 사용상 정확한 위치에 체결될 때, 상기 두 밀봉면 사이에서 조여진다. 따라서, 조임은,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고정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으로는, 젖꼭지부는, 만일 젖꼭지부가 고정되기 전에 충분히 이용될 수 있다면,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플러그식 연결이 이미 형성된 후에라도 체결될 수 있다는 점이다.
2가지 기능, 즉 "젖꼭지부의 고정" 및 젖꼭지부와 수용 유닛 사이의 기밀식 연결"은 두 상이한 위치에서 서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스커트부(skirt)는 밀봉을 초래하며, 원주방향 플랜지는 고정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젖꼭지부와 유아용 젖병 사이의 고정 연결에 대한 일반적인 실행이 간단해진다.
만일, 고정 요소가, 고정 요소가 음료 용기 상에 위치될 때 음료 용기의 대응하는 나사산과 맞물리게 되는 나사산이라면,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는 서로가 나사산 연결의 형성에 의해 간단히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수용 헤드부는 암나사산을 가지며, 용기의 네크부는 수나사산을 갖는다. 베이스부는 용기에 대해 베이스부의 추가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맞대기부를 포함한다. 맞대기부는, 예컨대 베이스부의 상부 베어링면의 형태를 취하여, 이 베어링면에 의해, 베이스부는 용기 개구의 상부 에지에 맞닿는다.
바람직하게, 베이스부는 관통 개구를 포함하는 링 형태의 본체를 포함한다. 이는 세척을 더 용이하게 하고, 제조를 단순화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와 수용 헤드부 사이에는 통기실이 있으며, 통기실은 하나 이상의 유입 개구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며, 사용상 정확한 위치에 있을 때,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를 통해 음료 용기의 내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식으로, 통기는 영구적으로 보장된다. 또한, 1개 이상의 밸브가 통기를 최적화 시키기 위해 상기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 및 밀폐 캡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부, 수용 헤드부 및 젖꼭지부가 조립될 수 있고, 양 측면으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본 젖꼭지 유닛은 위생적으로 포장되어 판매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해 젖꼭지 유닛은 각각 세척된 후 위생적으로 밀봉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뚜껑은 젖꼭지부로 밀려지고, 밀폐 캡은 베이스부와 수용 헤드부의 양쪽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 유닛은, 용기의 개구가 젖꼭지 유닛의 고정 요소에 맞는 한, 모든 형태의 음료 용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적용 분야로는 아기용 젖병 또는 음료컵 또는 유아용 컵이다. 기타 다른 적용 분야로는 간호학, 노인병학, 체육학에서 사용되는 종류의 음료 용기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속청구항에서 설명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대상물이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되고, 상기 첨부 도면에서는, 동일한 부품이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어진다.
도 1a는 젖병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 유닛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젖꼭지 유닛 및 젖병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c는 도 1a에 따른 젖꼭지 유닛 및 젖병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젖병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 유닛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도 2a에 따른 젖꼭지 유닛 및 젖병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c는 도 2a에 따른 젖꼭지 유닛 및 젖병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젖병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 유닛의 제3 실시예의 분해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에 따른 젖꼭지 유닛 및 젖병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c는 도 3a에 다른 젖꼭지 유닛 및 젖병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젖병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 유닛의 제4 실시예의 분해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에 따른 젖꼭지 유닛 및 젖병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c는 도 4a에 따른 젖꼭지 유닛 및 젖병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젖병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 유닛의 제5 실시예의 분해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젖병 및 뚜껑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 유닛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밀폐 캡을 포함한 도 6에 따른 젖꼭지 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밀폐 캡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c는 유아용 젖병(1)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 유닛(2, 3, 4)의 제1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젖병(1)은 단지 일 예시로서만 나타내어진다. 또한, 다른 형태 및 모양의 음료 용기가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 유닛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음료 용기는 바람직하게 수나사산을 가진 용기 네크부(container neck)를 포함한다.
상기 젖병은 음용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본체(1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10)는 직경이 작은 네크부(11)로 좁혀진다. 수나사산(12)이 상기 네크부(11)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 유닛은 기본적으로 3개의 부품, 즉 베이스부(base part)(2), 수용 헤드부(receiving head)(3) 및 흡입체, 즉 젖꼭지부(4)로 구성된다. 베이스부(2)는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아미드로 제조되고, 수용 헤드부(3)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미드와 실리콘, 고무 또는 TPE의 조합으로 제조된다. 젖꼭지부(4)에 대해서는, 실리콘, 실리콘계 플라스틱, 고무 또는 TPE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베이스부(2)는 치수적으로 안정적이며, 강성 재료로 제조된다. 베이스부는 주로 원주방향의 밀폐형 외측 재킷(circumferential, closed outer jacket)으로 이루어진 환상체(20)로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이 환상체는, 젖꼭지 유닛을 용기(1) 상에 체결하고 용기로부터 제거할 때, 회전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파지력을 제공한다.
이들 예에서, 환상체(20)는 링의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반경방향 두께를 갖는다. 이 예에서, 관통 개구(24)가 환상체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서, 용기(1)의 내부를 외부에 연결시킨다.
하나 이상의 슬릿(slit)(21)이 환상체(20)의 원주방향 에지 내에 배치된다. 여기서는, 3개의 슬릿(21)이 존재하며, 이들 슬릿은 환상체(20)의 둘레를 따라 그 주변 영역 내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슬릿은 환상체(20)의 반경에 대응하여 만곡되어 있다.
슬릿(21)은 환상체(20)의 내벽까지 연장되며, 두 슬릿 사이에는 두꺼운 벽 영역(22)이 형성된다. 대향하는 벽 영역 사이의 거리(환상체의 중심점을 통해 측정됨)는 용기(1)의 수나사산(1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는 그 보다 더 크다. 이들 두꺼운 벽 영역(22)의 내면의 평면이 바람직하게 용기 네크부(11)을 향해 보내진다. 특히, 이들 벽 영역은 나사산을 갖지 않는다. 슬릿(21)에 의해 얇아진 벽 영역은 적어도 한 지점에서 일체로 라운딩된 록킹 리브(locking rib)을 포함한다.
용기 네크부(11)로부터 먼 쪽에서 향해지는 베이스 링(2)의 상부면 상에는 상향 돌출된 원주방향 외측 밀봉 에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밀봉 에지는 바람직하게 베이스 링(2)의 최상부 외주 에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외측 밀봉 에지는 원주방향의 평면형 및 리세스형 외측 밀봉면(270)에 접해진다. 상기 외측 밀봉면(270)은 바람직하게 베이스 링(2)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거의 수직하게 연장한다. 외측 밀봉면(270)은 바람직하게 반경방향과 또한 슬릿(21)에 대한 접선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외측 밀봉면(270)은 또한 반경방향으로 두 슬릿(21) 사이의 영역을 적어도 일부 메운다.
마찬가지로 상향 돌출된 원주방향 내측 밀봉 에지(28)가 상기 외측 밀봉면(270)에 인접하거나 그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슬릿(21)은 제1 밀봉 에지(27)와 제2 밀봉 에지(28) 사이에 위치된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내측 밀봉 에지(28)는 관통 개구(24)를 제한한다. 이 내측 밀봉 에지(28)는 바람직하게 외부로 통하고 있는 1개 이상의 통기구(281)에 의해 차단된다. 외부로 통하는 수단은, 예를 들면 나사산이 형성된 비밀봉식 연결부를 통해 젖병(1)으로 안내할 수 있다.
통기 밸브(23), 여기서는 오리부리형 밸브(duckbill valve)가 바람직하게 관통 개구(24) 내에 배치된다. 통기 밸브(23) 또한 베이부(2)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통기 밸브는 바람직하게 단일 성분 또는 다성분 사출 성형 작업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리테이너(retainer)일 뿐이며, 밸브 플랩(valve flap) 또는 밸브 튜브(valve tube)는 박막으로 이루어져, 부착된다. 그러나, 통기 밸브는 2성분 사출 성형 작업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통기 밸브(23)는 용기 네크부(11)의 안쪽으로 돌출되며, 통기 밸브의 길이가 밀봉 링(2)의 폭보다는 크지 않으므로, 통기 밸브는 밀봉 링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 베이스부(2)는 용기 네크부(11) 상에 위치될 수 있지만, 베이스부는 용기 네크부에 대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도, 특히 회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부 맞대기부(lower abutment)(29)가 있어서, 용기 네크부(11)가 베이스부(2)를 통과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데, 즉 이 하부 맞대기부에 의해, 베이스부(2)가 용기 네크부(11)의 표면에서 아래로 어느 정도까지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다. 여기에 보여지는 예시에서, 하부 맞대기부는 베이스 링(2)의 상부 영역에서의 내측 베어링면(29)이다. 이 베어링면(29)은 내측 밀봉 에지(28)와 두꺼운 벽 영역(22)의 연결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다른 종류의 맞대기부, 예를 들면 돌출형 러그(lugs) 또는 리브(ribs)가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수용 헤드부(3)도 환상형으로, 바람직하게 회전 대칭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 관통 개구(32)를 포함한다. 수용 헤드부는 기본적으로 2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그 하부 영역은 1개 이상의 플러그 요소(plug element), 본 경우에서는 3개의 플러그 요소(30)에 의해 형성되며, 이 플러그 요소는 둘레를 따라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공동 재킷 부분을 형성한다. 플러그 요소의 내측면에는 공동 암나사산(301)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플러그 요소(30)의 외측면에는 록킹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음료 용기(1)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면, 암나사산 대신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 헤드부(3)는 베이스부(2)에 삽입되어, 플러그 요소(30)가 슬릿(21)에 맞물린다. 그렇게 해서, 2개의 록킹 리브(210, 33)가 서로 맞물려, 그 결과 수용 헤드부(3)가 베이스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플러그 요소(30)의 길이는 플러그 요소가 거의 베이스부(2)의 하부 에지까지 연장하지만 이 하부 에지를 넘어 돌출되지 않을 정도로 길다.
그러나,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2)를 이들의 공동 길이방향 중심축 방향으로 약간 떼어내면, 록킹 리브(210, 33)의 저항력이 압도되어,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는 서로 지나간다. 만일, 플러그 요소(30)가 약간의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다면, 그 분리는 더 쉬워진다. 탄성은, 예를 들면 플러그 요소(30)의 두께, 즉 재료 두께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두 부품은 용기(1) 상에 나사 체결되지 않은 때에만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수용 헤드부(3)의 상부 영역은 원하는 모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영역은, 주변에 및/또는 중심에 배치되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흡입체, 즉 젖꼭지부(4)와 상호 작용하는, 지지체 또는 구조물(34, 36)을 포함한다. 본 예시에서는, 외주의 지지 구조물(34)이 지지 윙(supporting wings)(340)에 의해 형성되며, 이 지지 윙은 둘레를 따라 균등하게 분포되고, 주변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 윙은 상향으로 꽃잎처럼 안쪽으로 경사져 돌출되어 있다. 본 예시에서의 상기 지지 윙은 각각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을 가지며, 이들의 에지는 라운딩되어 있다. 상기 지지 윙(340)은 바람직하게 강성을 띤다. 지지 윙은 탄성, 비탄성 또는 단지 약간 탄성을 띨 수 있다. 특히, 지지 윙은 사출 성형 작업 또는 또 다른 적절한 제조 방법에 의해 수용 헤드부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제조된다. 그러나, 지지 윙(30)은 플러그 요소(30)보다 더 연성인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지지 윙이 비교적 연성을 띤다하더라도, 지지 윙은 바람직하게 치수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다.
지지 윙(340) 아래에, 즉 수용 헤드부(3)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어지는 영역에, 주변의 외측 밀봉면(310)을 포함한 돌출된 원주방향 고정 에지(31)가 베이스부(2) 및 용기(1)에 향해지는 밑면에 형성된다. 상기 밀봉면(310)은 평탄하며, 수용 헤드부(3)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연장된다.
젖꼭지부(4)는 원추형 본체(40) 및 이에 일체로 형성된 마이스피스부(mouthpiece)(42)를 포함한다. 마우스피스부(42)는 상기 본체(40)에 비해 점점 가늘어지는 외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마우스피스부(42)는 중공형 원통, 반구, 칼로트(calotte) 또는 원뿔대와 같은 공지된 형태로 구성된다. 내부 및/또는 외부 돌출부, 예컨대 노브(knobs) 또는 리브(ribs), 및 리세스(recesses), 예컨대 오목부 또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내측 및/또는 외측면은 평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방향 연장 리브, 반경방향 연장 리브, 경사져 연장되는 리브, 또는 치형 휠의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는 리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홈의 경우에도 같다. 여기에 보여지는 예시에서는, 리브 형태의 내부 구조물(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40)의 외측면 및/또는 내측면 또한 평탄하거나 구성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부(42), 바람직하게는 이의 자유 단부의 최상단 팁부에는 흡입 개구(43)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이 흡입 개구(43)는 수용 헤드부(3)의 관통 개구(32)와 베이스부(2)의 관통 개구(24)를 통해 용기의 내부에 연결되어, 유아 스스로가 이 흡입 개구를 통해 음료, 예컨대 차, 물 또는 우유를 마실 수 있다.
상기 본체(40)의 하부 에지는 방사상 안쪽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41)를 제공하기 위해 안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젖꼭지부(4)의 본체(40)가 수용 헤드부(3)의 지지 윙(340) 상에 밀착되어, 수용 헤드부(3)의 상부가 젖꼭지부(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플랜지(41)는 수용 헤드부(3)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의 돌출 에지를 맞물어, 돌출 에지의 외측 밀봉면(310)의 평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젖꼭지부(4)는 수용 헤드부(3) 상에 체결되어 수용 헤드부에 일부 밀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수용 헤드부(3)는 베이스부(2)에 삽입될 수 있다. 수용 헤드부(3)는, 베이스부가 자유로울 때, 베이스부(2)에 삽입될 수 있지만, 베이스부가 이미 용기 네크부(11) 상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도, 베이스부에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부(2)가 여전히 수용 헤드부(3)에 대해 축방향으로 좀더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대안적으로 젖꼭지부(4)는, 수용 헤드부(3)와 베이스부(2)가 결합되었을 때에만, 수용 헤드부(3) 상에 밀착될 수 있다.
용기 네크부(11)에 대해 베이스부(2)나 수용 헤드부(3)를 돌리면, 2개의 나사산, 즉 수나사산(12)과 암나사산(301)이 서로 맞물린다. 수용 헤드부(3)는 그 나사산을 따라 아래로 내려간다. 이와 함께, 베이스부는 베이스부의 하부 맞대기부까지 끌어내려간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베이스부의 상부 내측 베어링면(29)이 용기 네크부(11)의 상부 에지에 맞닿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 베이스부(2) 및 수용 헤드부(3)는 용기(1) 상에 고정되고, 회전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베이스부(2)의 외측 밀봉면(270)은 수용 헤드부(3)의 외측 밀봉면(310)에 대해 가압된다. 이들은 젖꼭지부(4)의 플랜지(41)를 조여, 젖꼭지부(4), 수용 헤드부(3) 및 베이스부(2) 사이의 액밀식 및 기밀식 연결을 보장한다. 설계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된 젖꼭지부(4)의 하부 에지(41)가 베이스부(2)와 수용 헤드부(3) 사이에서 밀봉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젖병(1)이 더이상 사용되지 않을 때, 베이스부(2)는 베이스부(2)와 수용 헤드부(3) 사이의 회전 방지 록(anti-rotation lock) 또한 해제되도록 다시 회전될 수 있다. 베이스부(2)가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기 때문에, 플랜지(41)는 자유로워져, 젖꼭지부(4)는 수용 헤드부(3)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러면, 수용 헤드부(3)와 베이스부(2) 사이의 플러그식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3개의 부품은 개별 부품으로서 세척될 수 있고, 해당된다면, 살균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지므로, 세척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2a 내지 도 2c는 젖꼭지 유닛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 실시예는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 젖꼭지 유닛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여기서 더 자세히 언급하거나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의 경우에도 같다.
제1 예시적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수용 헤드부(3) 및 베이스부(2)의 관통 개구(32, 24)의 직경은 작다. 베이스부(2)의 내측 원뿔대(25)가 베이스부의 상부 영역에서 내측 밀봉 에지(28) 내에 일체로 형성된다. 내측 원뿔대의 측면은 직선형 또는 만곡형일 수 있다. 내측 원뿔대는 환상체(20) 위로 돌출되어, 수용 헤드부(3)의 위쪽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 관통 개구(24)는 최상부 영역에, 바람직하게 평탄한 팁부에 배치된다. 이 팁부는 원통형 재킷을 포함하고, 관통 개구(24)보다 위로 연장하여, 상부 밀봉 에지(240)를 형성한다. 이 밀봉 에지(240)의 안쪽에는 평탄면(241)이 위치된다.
내측 밀봉 에지(28)에 인접하는 내측 원뿔대(25)의 하부 영역에는 원주방향의 내측 밀봉면(280)이 존재한다. 내측 밀봉면은 바람직하게 베이스부(2)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내측 원뿔대(25)의 측면에는 통기 밸브(23), 여기서 또 다시 오리부리형 밸브가 배치되며, 이 통기 밸브는 용기의 내부 안쪽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용 헤드부(3)의 내부는 젖꼭지부(4)를 향해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외측 원뿔대(35)를 포함하고, 이 외측 원뿔대의 평탄한 팁부에는 관통 개구(32)가 배치된다. 원뿔대(35)의 최상부 영역은 원주방향 홈(350)의 경계를 형성하는 비드(bead)에 둘러싸인다.
밸브, 본 경우에서는 격판(diaphragm)(320)이 외측 원뿔대(35)의 팁부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 격판(320)은 관통 개구(32)를 차단한다.
젖꼭지부(4)는, 안쪽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부 영역에서 방사상 안쪽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460) 또는 대응하는 비드로 끝나는, 스커트부(skirt)(46)를 포함한다. 스커트부(46)는 마우스피스부(42)에서 젖꼭지부의 본체(40)로 이어지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마우스피스부(42)는 안쪽으로 향해지는 노브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마우스피스부는 평탄면을 가지거나, 다르게 구성된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다음, 만일 젖꼭지부(4)가 수용 헤드부(3) 상으로 밀려지면, 단지 젖꼭지부의 하부 플랜지(41)만이 수용 헤드부(3)의 상부 영역 주위에 맞물리지 않는다. 스커트부(46)가 추가로 외측 원뿔대(35)의 상부 영역을 둘러싸고, 스커트부의 플랜지(460)가 홈(350) 내에 맞물려 액밀식 연결을 형성한다.
그 다음, 만일 수용 헤드부(3)가 베이스부(2)에 삽입되면, 외측 원뿔대(35)는 내측 원뿔대(25)를 둘러싸고, 2개의 관통 개구(24, 32)는 바람직하게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서로 맞닿는다. 평탄면(241)은 격판(320)을 위한 밸브 시트를 형성한다. 통기 밸브(23)는 상기 두 원뿔대(25, 35) 사이의 원주방향 갭(5) 내로 안내되고, 갭(5)은 상기 두 원뿔대(25, 35)가 동일한 경사각을 갖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해 형성된다. 이 갭은 통기실을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통기 개구 또는 배출 개구(281)가 바람직하게 상기 통기실(5)로부터 외부로 통해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마우스피스부(42)를 향해 돌출된 중앙 지지체, 즉 외측 원뿔대(35)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마우스피스부는 최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는 다양한 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밸브의 장착은 선택적이지 의무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두 밸브 중 단지 하나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 구성된 밸브도 사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원뿔대(25)는 베이스부(1)의 내부 영역에 위치되지만, 이 경우에, 내측 원뿔대(25)의 상부는 원통형 지지 젖꼭지부(26)의 끝을 이룬다. 관통 개구(24)는 상기 지지 젖꼭지부(26)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관통 개구는 내측 원뿔대의 상부나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밀봉 에지 및 밀봉면이, 이미 설명한 두 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 존재하며, 전부는 아니지만, 여기서는 참조 번호로 나타내어진다.
강성 지지 윙(340) 대신에, 수용 헤드부(3)는 지지 쿠션부(341)를 포함한다. 이 지지 쿠션부 또한 외주 영역에서 둘레를 따라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위쪽으로 향해진다. 중간에는 중앙 지지 구조물(36)이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중앙 지지 구조물의 베이스, 여기서는 핑거형 베이스(360)가 중공형 쿠션부이다. 기다란 요소, 여기서는 즉 라멜라(lamellae) 또는 지지 핑거부(361)가 핑거형 베이스(36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 쿠션부(341), 핑거형 베이스(360) 및 지지 핑거부(361)는 플러그 요소(30) 및 수용 헤드부(3)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연성인 재료로 제조된다. 이들은 바람직하게 실리콘, 고무 또는 TPE로 제조된다. 수용 헤드부(3)의 제조 동안, 이들은 수용 헤드부(3)의 본체 상에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2 예시적 실시예에서 외측 원뿔대(35)의 평탄한 팁부와 마찬가지로, 핑거형 베이스(360)에는 젖꼭지부(4)의 스커트부(46)의 플랜지(460)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핑거형 베이스(360) 내에는 밸브 격판(320)이 지지 핑거부(36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밸브 격판(320)의 밸브 시트가 베이스부(2)의 지지 젖꼭지부(26)에 의해 형성된다.
젖꼭지부(4)의 마우스피스부(41)의 내부는 오목부 또는 노브(44)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다른 내부 구조물 또는 평탄면도 가능하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수용 헤드부(3)와 젖꼭지부(4) 사이의 상호작용은 마우스피스부(31) 내에서 전부 일어난다. 또한, 더 부드럽고 둥근 지지 쿠션부(341)는 상기 두 제1 실시예의 지지 윙(340)에 비하여 아기의 입술에 또 다른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제4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베이스부(2)는 도 2a 내지 도 2c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베이스부와 동일하지만, 오리부리형 밸브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강성 내측 원뿔대(25)의 일 측면에는 삽입 개구(2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 개구를 통해 통기 밸브(38)가 삽입될 수 있어, 제위치에 고정된다. 통기 밸브(38)는 이 경우에 또 다시 역류 방지 밸브, 예컨대 오리부리형 밸브이다.
여기서 또 다시, 전술한 예시적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밀봉 에지 및 밀봉면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부는 아니지만 참조 번호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도 수용 헤드부(3)는 강성 지지 윙(340)을 포함한다. 또한, 강성 외측 원뿔대(35)가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여기서는 상향 돌출된 침니형(chimney-shaped) 내측 지지물(362)을 포함한 중앙 지지 구조물(36) 내로 삽입된다. 이 내측 지지물(362)은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길이방향 슬릿(363)을 포함한다.
여기서도, 밸브 격판(320)이 길이방향 슬릿(363) 아래의 내측 지지물(362) 내에 배치된다.
흡입체(4)의 마우스피스부(41)의 내부는 구조가 없고 평탄하다. 젖꼭지부(4)는 스커트부(46) 및 플랜지(460)를 포함한다.
젖꼭지부(4)가 수용 헤드부(3) 상에 밀려질 때, 스커트부(46)의 플랜지(460)가 내측 지지물(362)의 베이스 상에 밀봉식으로 맞닿는다.
도 5는 제5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수용 헤드부(3)는 단일의 플러그 요소(30)를 포함한다. 직경상 대향 측면에는, 베이스부(2)의 대응하는 절개부 내에 맞물리는 힌지(302)가 배치된다. 따라서, 수용 헤드부(3)와 베이스부(2)를 서로 완전히 분리할 필요없이, 탈착가능한 플러그식 연결이 이루어진다.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는 개방 위치에서 함께 세척될 수 있다.
이들 구성에서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젖꼭지부(4)는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플랜지는 수용 헤드부(3)의 관통 개구(32) 내에 걸려질 수 있다.
상술한 젖꼭지 유닛에는 뚜껑 및 밀폐 캡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뚜껑(7)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그러한 젖꼭지 유닛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뚜껑(7)은 젖꼭지부(4)를 덮으며, 확실한 맞물림 방식으로 베이스부(2)를 에워싼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밀폐된 바닥부(80)와 보이지 않는 암나사산을 포함한 밀폐 캡(8)을 나타내고 있다. 밀폐 캡(8)은, 한편으로는, 유아용 젖병을 위한 밀폐 캡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젖병 쪽의 베이스부(2)의 단부에 삽입되어, 수용 헤드부(3)의 플러그 요소(30) 상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젖꼭지 유닛은 빈틈없이 밀폐된다. 이에 따라, 젖꼭지 유닛은 위생적으로 포장되도록 하기 위해 저장 및 운반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 수용 헤드부 및 젖꼭지부는 매우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단지 소그룹의 변형예 가능성을 포함하는데, 이들 변형예 모두는 조합가능한 3개의 부품 구조의 발명적 개념, 수용 헤드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탈착가능한 플러그식 연결, 및 수용 헤드부에 의한 용기로의 고정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보여지는 상술한 지지 구조물 및 젖꼭지부는 종래 기술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 젖꼭지 유닛에 서로 결합거나 분리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상술한 지지 구조물 및 젖꼭지부는 어떠한 개별 베이스부와 수용 헤드부도 체결되지 않은 젖꼭지 유닛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들 지지 구조물 및 젖꼭지부는 독립청구항으로서 주장된다. 또한, 다른 젖꼭지 유닛은 밀폐형 유닛으로 저장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캡 및 뚜껑에 의해 밀폐될 수도 있다. 이는 또한, 본 발명에서 종속청구항으로서 주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 유닛은 개별 부품의 매우 다양한 구성 가능성을 가능하게 하여, 이들 개별 부품의 개별 기능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1 용기 10 용기의 본체
11 용기 네크부 12 수나사산
2 베이스부 20 환상체
21 슬릿 210 록킹 리브(locking rib)
22 두꺼운 벽 영역 23 통기 밸브
24 관통 개구 240 상부 밀봉 에지
241 평탄면 25 내측 원뿔대
250 림부(rim) 251 삽입 개구
26 지지 젖꼭지부 27 외측 밀봉 에지
270 외측 밀봉면 28 내측 밀봉 에지
280 내측 밀봉면 281 통기 개구
29 하부 맞대기부 3 수용 헤드부
30 플러그 요소(plug elements) 301 암나사산
302 힌지 31 고정 에지
310 외측 밀봉면 32 관통 개구
320 밸브 격판(valve diaphragm) 321 플랜지(flange)
322 밸브 개구 33 록킹 리브
34 외주의 지지 구조물 340 지지 윙(supporting wing)
341 지지 쿠션부(supporting cushion) 35 외측 원뿔대
350 홈 36 중앙 지지 구조물
360 핑거형 베이스(finger base) 361 지지 핑거부(support finger)
362 침니형 내측 지지물(chimney-shaped inner support)
363 길이방향 슬릿 38 통기 밸브
4 젖꼭지부 40 본체
41 플랜지 42 마우스피스부(mouthpiece)
43 흡입 개구 44 내부 구조물
46 스커트부(skirt) 460 플랜지
7 뚜껑 8 밀폐 캡
80 바닥부

Claims (15)

  1. 가요성 젖꼭지부(4), 수용 헤드부(receiving head)(3) 및 강성의 베이스부(base part)(2)를 포함하는 젖꼭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부(4)는 상기 수용 헤드부(3) 상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헤드부(3)와 상기 베이스부(2)는 탈착가능한 플러그식 연결(releasable plug connection)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수용 헤드부(3)는 음료 용기(1) 상에 상기 젖꼭지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요소(301)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헤드부(3)는 상기 베이스부(2)로의 플러그식 연결을 위한 1개 이상의 돌출형 플러그 요소(3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요소(301)는 상기 1개 이상의 플러그 요소(30) 상에 배치되는,
    젖꼭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헤드부(3)는 상기 베이스부(2)에 삽입될 수 있는, 젖꼭지 유닛.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요소(30)는 서로 이격된 식으로 상기 수용 헤드부(3)의 둘레를 따라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젖꼭지 유닛.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는 하나 이상의 슬릿(slit)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으로 상기 수용 헤드부(3)가 삽입될 수 있는, 젖꼭지 유닛.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식 연결은 잠금될 수 있는, 젖꼭지 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헤드부(3)는, 중앙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용 헤드부의 둘레를 따라 균등하게 분포되는 식으로 주변에 배치되는, 지지체 또는 구조물(34, 36)을 포함한, 젖꼭지 유닛.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헤드부(3)는 일체로 구성되고, 강성인, 젖꼭지 유닛.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헤드부(3)는 강성의 베이스체(base body) 및 상기 베이스체보다 더 연성인 재료로 이루어진 부착 요소를 포함한, 젖꼭지 유닛.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부(4)의 원주방향 에지(41)가 상기 음료 용기(1)의 사용상 정확한 위치에 체결될 때 상기 수용 헤드부(3)와 상기 베이스부(2) 사이에서 조여지는, 젖꼭지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부(4)는 상기 수용 헤드부(3)로 밀려지며,
    상기 젖꼭지부의 원주방향 에지(41)가 상기 수용 헤드부(3)의 원주방향 에지(31)의 주변에 맞물리고, 상기 수용 헤드부(3)의 원주방향 밀봉면(310)에 맞닿으며,
    상기 베이스부(2)는 상기 수용 헤드부(3)의 원주방향 밀봉면(310)과 상호작용하는 원주방향 밀봉면(270)을 포함하고,
    상기 젖꼭지부(4)는 상기 음료 용기의 사용상 정확한 위치에 체결될 때 상기 두 밀봉면(310, 270) 사이에서 조여지는, 젖꼭지 유닛.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는 나사산(301)인, 젖꼭지 유닛.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는, 상기 음료 용기(1)의 사용상 정확한 위치에 체결될 때 상기 음료 용기(1) 상의 상기 베이스부(2)의 위치에 대한 맞대기부의 역할을 하는, 맞대기부(29)를 포함한, 젖꼭지 유닛.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는 상기 베이스부의 본체로서 링(2)을 포함한, 젖꼭지 유닛.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젖꼭지 유닛을 포함한 음료 용기.
KR1020107027781A 2008-06-12 2009-06-09 흡입용 젖꼭지 유닛 KR101630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8972008 2008-06-12
CH897/08 2008-06-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324A Division KR101644420B1 (ko) 2008-06-12 2009-06-09 흡입용 젖꼭지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247A KR20110020247A (ko) 2011-03-02
KR101630187B1 true KR101630187B1 (ko) 2016-06-14

Family

ID=4058092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898A KR101630188B1 (ko) 2008-06-12 2009-06-09 흡입용 젖꼭지 유닛
KR1020107027781A KR101630187B1 (ko) 2008-06-12 2009-06-09 흡입용 젖꼭지 유닛
KR1020157032324A KR101644420B1 (ko) 2008-06-12 2009-06-09 흡입용 젖꼭지 유닛
KR1020147024025A KR101611382B1 (ko) 2008-06-12 2009-06-09 흡입용 젖꼭지 유닛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898A KR101630188B1 (ko) 2008-06-12 2009-06-09 흡입용 젖꼭지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324A KR101644420B1 (ko) 2008-06-12 2009-06-09 흡입용 젖꼭지 유닛
KR1020147024025A KR101611382B1 (ko) 2008-06-12 2009-06-09 흡입용 젖꼭지 유닛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6) US8616391B2 (ko)
EP (4) EP2285338B1 (ko)
JP (4) JP5395898B2 (ko)
KR (4) KR101630188B1 (ko)
CN (3) CN102065820B (ko)
AU (3) AU2009257161B2 (ko)
BR (2) BRPI0909900A2 (ko)
CA (2) CA2727183A1 (ko)
CH (1) CH698956A1 (ko)
ES (2) ES2661900T3 (ko)
HK (2) HK1153121A1 (ko)
IL (1) IL209905A (ko)
MX (2) MX2010013620A (ko)
MY (2) MY174344A (ko)
PL (4) PL2285338T3 (ko)
RU (2) RU2485931C2 (ko)
TW (5) TWI453010B (ko)
WO (3) WO2009149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7696A1 (en) * 2008-03-20 2011-01-27 Physionip Ltd. Nursing Bottle Feeding Nipple
USD617508S1 (en) * 2009-02-12 2010-06-08 West Agro Inc. Animal feeding nipple
USD617057S1 (en) * 2009-02-12 2010-06-01 West Agro Inc. Animal feeding nipple
US8371464B2 (en) 2010-10-27 2013-02-12 Medela Holding Ag Container with adjustable date indicium
CH704758A1 (de) * 2011-03-29 2012-10-15 Medela Holding Ag Saugnippeleinheit.
US8689988B2 (en) * 2012-05-07 2014-04-08 Tao Xu Bottle cap having removal tracking indicia
US8678228B2 (en) * 2012-06-28 2014-03-25 Zak Designs, Inc. Liquid metering assembly
US9789988B2 (en) * 2013-12-16 2017-10-17 Kiley Steven Wilson Squeezable leak proof feeding bottle
US11235900B2 (en) 2013-12-16 2022-02-01 Kiley Steven Wilson Flowable food feeding device
USD794781S1 (en) 2015-04-13 2017-08-15 Medela Holding Ag Valve component for a breastmilk collection system
USD776803S1 (en) 2015-04-13 2017-01-17 Medela Holding Ag Breast shield connector for breast pump
US9662275B2 (en) * 2015-07-02 2017-05-30 Sue S. Lee Oral devices
RU170367U1 (ru) * 2016-06-08 2017-04-24 Витал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Веселов Насадка на контейнер для кормления
US9913780B2 (en) * 2016-07-21 2018-03-13 Carr Lane Quackenbush Bite-safe artificial teat
USD831201S1 (en) 2016-08-29 2018-10-16 Medela Holding Ag Safety valve component for a breastmilk collection system
GB2560342A (en) * 2017-03-08 2018-09-12 Product4 Ltd Valve
EP3372218A1 (en) * 2017-03-09 2018-09-12 Koninklijke Philips N.V. Feeding bottle device
EP3372219A1 (en) * 2017-03-09 2018-09-12 Koninklijke Philips N.V. Partitioning component for a feeding bottle device and feeding bottle device
USD846394S1 (en) * 2017-08-28 2019-04-23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Container
US20190117518A1 (en) * 2017-10-23 2019-04-25 Khoa Tho Le Air-free, flow-control feeding bottle
EP3494953A1 (en) * 2017-12-08 2019-06-12 Koninklijke Philips N.V. Teat for use with a container for containing a fluid
CN108357775B (zh) * 2018-01-26 2024-02-09 惠州市凯瑞科技有限公司 一种无螺纹插扣式容器盖
JP6640282B2 (ja) * 2018-06-08 2020-02-05 ピジョン株式会社 電動搾乳器、電動搾乳器の制御方法及び電動搾乳器の制御プログラム
US10932991B2 (en) * 2018-08-31 2021-03-02 Wong Hau Plastic Works & Trading Co., Ltd. Feeding bottle
US20200077623A1 (en) * 2018-09-10 2020-03-12 Bertrand Dumont Nipple System for Delivering Fluid to an Animal
CN109549855B (zh) * 2019-01-22 2021-06-04 郁峦 一种儿科消化感染护理用喂药装置
GB2586819A (en) * 2019-09-04 2021-03-10 Tarsia Antonio A teat
EP3878426A1 (en) * 2020-03-13 2021-09-15 Koninklijke Philips N.V. Internal element for a feeding bottle
EP3878425A1 (en) * 2020-03-13 2021-09-15 Koninklijke Philips N.V. Arrangement for a feeding bottle
CN114312149A (zh) * 2022-01-26 2022-04-12 张宪法 一种多容积轮胎内胎及轮胎

Family Cites Families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4665A (en) * 1956-02-14 Device for discharging liquids from
DE507836C (de) * 1930-09-20 Gustav Bermann Kindersaugflasche mit Ventilvorrichtung
US633343A (en) * 1899-01-24 1899-09-19 William W R Hanley Nipple.
US689987A (en) * 1901-06-17 1901-12-31 David Pick Nursing-nipple.
US981072A (en) * 1909-09-28 1911-01-10 William More Decker Nursing-nipple.
GB191307179A (en) * 1913-03-26 1913-12-04 Cyril James Mansfield Improvements in Teats for Feeding Bottles.
US1605427A (en) 1923-10-16 1926-11-02 Anna M Delmas Nursing nipple
US1569693A (en) * 1924-11-07 1926-01-12 Llewellyn C Young Nursing nipple
US1656157A (en) * 1926-03-27 1928-01-17 Josephine L Correnti Nipple for nursing bottles
GB347368A (en) * 1930-02-24 1931-04-30 Leslie Read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eats for feeding bottles and the like
US1904710A (en) * 1931-08-19 1933-04-18 Barkan Irving Nipple
BE381523A (ko) 1932-04-30
US1937278A (en) * 1932-05-23 1933-11-28 Walter G Kleine Vent for nursing bottles
US2133411A (en) * 1934-02-27 1938-10-18 Zohe Ludwig Alvine Baby nurser
US2039373A (en) * 1934-12-08 1936-05-05 Wittmann Marie Nipple for nursing bottles
US2584359A (en) 1947-10-03 1952-02-05 Lawrence D Miles Nipple and dispensing device
US2597483A (en) * 1949-10-19 1952-05-20 Joseph Stell Nipple valve construction
US2661001A (en) * 1951-07-09 1953-12-01 Alstadt Benjamin Infant feeding means
US2769665A (en) * 1954-02-15 1956-11-06 Scovill Manufacturing Co Oscillating sprinkler
US2760665A (en) * 1955-05-06 1956-08-28 Raymond O Zenker Reversible container cap
US2812764A (en) * 1955-12-12 1957-11-12 Crisp Lonnie Ray Nursing bottle and nipple construction
US2774500A (en) * 1956-01-18 1956-12-18 Deno J Budiani Infant nursing device
US2987209A (en) * 1957-01-02 1961-06-06 Leonard Royal Nursing bottle
GB934534A (en) * 1960-06-23 1963-08-21 Shozaburo Yanase Improvements in teats for feeding-bottles and the like
US3266910A (en) * 1963-06-12 1966-08-16 Owens Illinois Glass Co Liquid nourishment dispensing package
US3207349A (en) * 1963-12-18 1965-09-21 George B Rabe Nursing bottle
US3220588A (en) * 1964-09-17 1965-11-30 Lipari Michael Compartmental dispensing receptacle with accessories
US3339771A (en) * 1967-05-17 1967-09-05 Ballin Gene Infant feeding container and cap assembly
GB1216385A (en) * 1967-07-26 1970-12-23 Michael Caesar Ritsi Liquid or solids bottle feeder
US3650270A (en) * 1970-02-18 1972-03-21 West Co Nipple-retaining ring assembly
JPS6028440Y2 (ja) * 1979-07-26 1985-08-28 ピジョン株式会社 哺乳びん用流出入制御機構
JPS5623138A (en) 1979-07-31 1981-03-04 Toshiba Mach Co Lt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in plate
DE3336612A1 (de) 1983-10-07 1985-04-25 Milupa Ag, 6382 Friedrichsdorf Oeffnungs- und entnahmekappe
US4548157A (en) * 1984-02-10 1985-10-22 Timothy L. Chrisman Sanitary scheduling device for dispenser closures
GB2169210B (en) * 1984-12-17 1989-01-05 Mandy Nicola Haberman Baby's feeding apparatus
GB8503140D0 (en) * 1985-02-07 1985-03-13 Wyeth John & Brother Ltd Teat unit
CA1271165A (en) * 1986-03-11 1990-07-03 Jackel International Pty. Ltd. Drinking cup
US4867324A (en) * 1988-06-03 1989-09-19 John Rogosich Nursing attachment for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s
JPH02161950A (ja) * 1988-12-15 1990-06-21 Jiekusu Kk 乳首
AU625111B2 (en) 1989-02-20 1992-07-02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Nipple for a nursing bottle
US5747083A (en) * 1990-07-20 1998-05-05 Raymond; Jean-Louis Device of the feeding-bottle type
US5295597A (en) * 1993-01-21 1994-03-22 Green Richard D Infant's bottle with valved cap
KR960002845Y1 (ko) * 1993-06-07 1996-04-09 박경옥 유아용 젖병
US5553726A (en) 1993-11-08 1996-09-10 Park; Ki H. Dripless feeder nipple system with detachable valve
GB2297317B (en) * 1995-01-30 1998-04-22 Chen Fu Hsiang A solution feeder with a nipple
AUPN439595A0 (en) 1995-07-25 1995-08-17 Jott Australia Pty. Ltd. Nursing teat and teat and bottle combination
US5758786A (en) * 1995-11-13 1998-06-02 John; Nigel H. Multi-compartment baby bottle
US5791503A (en) 1996-02-05 1998-08-11 Lyons; Richard A. Nursing bottle with anti-air ingestion valve
US5897007A (en) * 1996-05-13 1999-04-27 Schein; Douglas Nursing bottle
US5704505A (en) * 1996-08-05 1998-01-06 Singh; Hemchandre Infant bottle feeding system
US6045254A (en) * 1996-12-26 2000-04-04 M.L.I.S. Projects Ltd. Container having two or more compartments
US6161710A (en) * 1997-11-03 2000-12-19 Dieringer; Mary F. Natural nipple baby feeding apparatus
US7172084B1 (en) * 1998-02-21 2007-02-06 Stephen James Williams Feed bottles for babies
US6112919A (en) * 1998-07-13 2000-09-05 Ho; Shu-E Leakage preventive device for milk bottles or the like
US6126679A (en) * 1999-04-12 2000-10-03 Botts; Lynne Marie Nipple for use with liquid and medicine dispensing bottle
US20020063103A1 (en) * 1999-12-13 2002-05-30 Kathleen Kiernan Nipple for nursing bottle
CN2418872Y (zh) * 2000-03-24 2001-02-14 戴利收 流量自动调节婴儿奶嘴
US6354449B1 (en) * 2000-05-31 2002-03-12 Louis F. Smith Nipple adapter
GB0022345D0 (en) 2000-09-12 2000-10-25 Jackel Int Ltd A drinking vessel
US20020162816A1 (en) * 2001-04-06 2002-11-07 Walsh Derek James Bottle-feeding babies
US6554023B2 (en) * 2001-06-13 2003-04-29 Baxter International Inc. Vacuum demand flow valve
CA2456542C (en) * 2001-08-09 2010-10-19 The First Years Inc. Nipple for a baby bottle
US6851565B2 (en) * 2001-08-10 2005-02-08 Gerard Stephan Nipple adapter for a standard narrow-mouthed beverage bottle
US6499615B1 (en) * 2001-09-11 2002-12-31 William K. Szieff Angled cap and vent for use with a baby bottle
US20030085193A1 (en) * 2001-11-06 2003-05-08 Shen-Kwang Hsu Feeding bottle assembly
JP3992478B2 (ja) * 2001-11-09 2007-10-17 ピジョン株式会社 人工乳首、哺乳器及びおしゃぶり
DE20119917U1 (de) * 2001-11-21 2002-06-06 Mapa Gmbh Gummi Plastikwerke Auslaufgeschützte Flasche für Kindernahrung
GB0215006D0 (en) * 2002-06-28 2002-08-07 Jackel Int Ltd A drinking vessel
US7150370B2 (en) * 2002-10-21 2006-12-19 Sung-Hwan Pyun Air venting apparatus for milk bottle
US7712617B2 (en) * 2002-11-08 2010-05-11 Medela Holding Ag Artificial nipple
US7320678B2 (en) * 2003-03-31 2008-01-22 Ruth Anthony M Feeding device for infants
US7044316B1 (en) * 2003-10-28 2006-05-16 Tung Ling Industrial Co., Ltd Straw set with a ventilating structure
BE1015792A5 (fr) * 2003-11-19 2005-09-06 Belgian Diagnostic Company S A Tetine de biberon.
US7225938B2 (en) 2003-12-11 2007-06-05 Ruchama Frisch Dual chamber nursing bottle
JP4035574B2 (ja) 2004-04-07 2008-01-23 株式会社パタカラ 哺乳瓶用の吸口
GB0410993D0 (en) * 2004-05-17 2004-06-23 Jackel Int Ltd Feeding bottle
ES2564047T3 (es) * 2004-06-29 2016-03-17 Jackel International Limited Tetina
JP4813777B2 (ja) * 2004-06-29 2011-11-09 ピジョン株式会社 人工乳首及び哺乳器
CN101001599B (zh) * 2004-07-29 2011-09-28 贝亲株式会社 奶嘴、喂奶器以及奶嘴的制造方法
DE202004013018U1 (de) 2004-08-19 2004-11-04 Taghavinia, Turadj, Dipl.-Ing. Adapter -bzw. Modulverschluss für Babytrinkflaschen
US8684201B2 (en) * 2004-10-08 2014-04-01 Coralinda Trading Corporation Drinking container, vent system and method
GB2418867A (en) * 2004-10-11 2006-04-12 Donna Compton Teat that replicates the breast
FR2883162B1 (fr) * 2005-03-17 2008-01-18 Ouvor Messanvi Vincent Mensah Dispositif de fermeture avec obturateur rotatif integre, concu pour biberon
AU2005329741B2 (en) * 2005-03-31 2011-02-24 Mayborn (Uk) Limited Vented teat
DE202005015828U1 (de) * 2005-10-08 2007-02-15 Mapa Gmbh Gummi- Und Plastikwerke Auslaufgeschützte Flasche für Kindernahrung
CA2629328C (en) * 2005-11-11 2012-09-25 Baby Bliss International Limited Closure assembly
WO2007137440A2 (de) * 2006-05-26 2007-12-06 Medela Holding Ag Saugnippel für milchflaschen
WO2007137436A1 (de) * 2006-05-26 2007-12-06 Medela Holding Ag Saugnippel für milchflaschen
US7556172B2 (en) * 2006-11-30 2009-07-07 Thermos, L.L.C. Spill resistant lid assembly for a drink container
US7975861B2 (en) * 2008-07-31 2011-07-12 Michele Rieppel Baby feeding bottle with enhanced flow characteri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22638A (ja) 2011-08-04
EP2808007A1 (de) 2014-12-03
MY155803A (en) 2015-11-30
RU2504358C2 (ru) 2014-01-20
BRPI0909882A2 (pt) 2015-10-06
TW201444549A (zh) 2014-12-01
EP2293759B1 (de) 2014-07-23
CN102056582B (zh) 2013-12-18
CN102065820B (zh) 2014-01-29
AU2009257121B2 (en) 2013-07-04
KR101644420B1 (ko) 2016-08-01
AU2009257121A1 (en) 2009-12-17
CN102065821B (zh) 2013-04-24
WO2009149576A1 (de) 2009-12-17
US8371462B2 (en) 2013-02-12
AU2009257122A1 (en) 2009-12-17
TW201002309A (en) 2010-01-16
HK1153121A1 (en) 2012-03-23
PL2293759T3 (pl) 2014-11-28
RU2010154176A (ru) 2012-07-20
WO2009149566A1 (de) 2009-12-17
JP5950972B2 (ja) 2016-07-13
EP2808007B1 (de) 2018-01-10
TW200950770A (en) 2009-12-16
TW201438707A (zh) 2014-10-16
TWI463976B (zh) 2014-12-11
CA2727183A1 (en) 2009-12-17
JP5395898B2 (ja) 2014-01-22
MY174344A (en) 2020-04-09
RU2485931C2 (ru) 2013-06-27
CN102065821A (zh) 2011-05-18
PL2285338T3 (pl) 2017-07-31
EP2293758A1 (de) 2011-03-16
EP2293759A1 (de) 2011-03-16
BRPI0909882B8 (pt) 2021-06-22
EP2293758B1 (de) 2017-08-02
US8602232B2 (en) 2013-12-10
WO2009149575A1 (de) 2009-12-17
JP2011522640A (ja) 2011-08-04
US20090314737A1 (en) 2009-12-24
BRPI0909882B1 (pt) 2019-12-17
CA2726466A1 (en) 2009-12-17
KR20110020247A (ko) 2011-03-02
US20090314734A1 (en) 2009-12-24
AU2009257161B2 (en) 2013-11-07
US20140061147A1 (en) 2014-03-06
JP2015013193A (ja) 2015-01-22
US8616391B2 (en) 2013-12-31
BRPI0909900A2 (pt) 2015-10-06
TWI546072B (zh) 2016-08-21
US20130048590A1 (en) 2013-02-28
JP2011522641A (ja) 2011-08-04
US20130119008A1 (en) 2013-05-16
US8960465B2 (en) 2015-02-24
US20090321377A1 (en) 2009-12-31
IL209905A (en) 2014-11-30
HK1202047A1 (en) 2015-09-18
PL2808007T3 (pl) 2018-06-29
RU2010154177A (ru) 2012-07-20
CN102065820A (zh) 2011-05-18
KR20140111052A (ko) 2014-09-17
PL2293758T3 (pl) 2017-12-29
CH698956A1 (de) 2009-12-15
EP2285338B1 (de) 2016-12-21
TWI532477B (zh) 2016-05-11
TW200950771A (en) 2009-12-16
US8800793B2 (en) 2014-08-12
JP5513493B2 (ja) 2014-06-04
ES2661900T3 (es) 2018-04-04
MX2010013620A (es) 2011-05-02
KR20110020248A (ko) 2011-03-02
KR20150131408A (ko) 2015-11-24
AU2009257122B2 (en) 2013-09-05
MX2010013457A (es) 2011-02-25
EP2285338A1 (de) 2011-02-23
ES2493020T3 (es) 2014-09-11
KR101611382B1 (ko) 2016-04-12
US8322546B2 (en) 2012-12-04
TWI453010B (zh) 2014-09-21
IL209905A0 (en) 2011-02-28
JP5612569B2 (ja) 2014-10-22
CN102056582A (zh) 2011-05-11
AU2009257161A1 (en) 2009-12-17
KR101630188B1 (ko) 201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187B1 (ko) 흡입용 젖꼭지 유닛
KR101940684B1 (ko) 젖꼭지 유닛
KR101745383B1 (ko) 젖꼭지 유닛
US20040256345A1 (en) Single use recyclable infant feeding bottle
CN107007475B (zh) 用于饮水瓶的饮用吸嘴和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