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919B1 -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919B1
KR101629919B1 KR1020140170767A KR20140170767A KR101629919B1 KR 101629919 B1 KR101629919 B1 KR 101629919B1 KR 1020140170767 A KR1020140170767 A KR 1020140170767A KR 20140170767 A KR20140170767 A KR 20140170767A KR 101629919 B1 KR101629919 B1 KR 101629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terminal
recep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418A (ko
Inventor
박병선
김동수
강희전
Original Assignee
스마트비투엠 주식회사
주식회사제이엘텍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비투엠 주식회사, 주식회사제이엘텍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스마트비투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9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장치, 수신 불가 상태에서 발신단말기로부터 수신 전화를 전송받는 경우,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태정보가 전송되면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관제서버, 및 제3자의 대표번호를 발신번호로 이용하여 상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자 발송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 불가 상태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공간에서 수신 전화를 자동적으로 차단하고, 신뢰도 높은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Location based system and service for providing call interception notification messages}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장소에 위치한 휴대단말기에 대한 수신 전화를 자동적으로 차단하고,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발신단말기로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휴대하고 있고, 통신망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어느 장소에서나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점점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 예를 들면, 차량을 운행 중이거나,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는 경우에도 전화가 걸려와, 집중력을 방해하거나 주변 사람들에게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수신자는 임의로 전화를 받지 않거나, 전화를 끄거나, 관용적인 메시지, 예를 들어, "회의중입니다" 등과 같은 안내 문구를 전송하는데, 이러한 경우, 발신자는 수신자가 전화를 받지 않은 이유를 정확히 알 수 없고, 수신자가 임의로 발신자에게 수신 거부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므로 발신자가 전송받은 안내 문구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5157호가 있으나, 종래 기술 또한 수신자가 미리 저장된 문구를 자동적으로 전송하는 것이므로, 전화를 받지 못하는 수신자의 상태를 명확히 알릴 수 없고 메시지의 신뢰도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신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임을 발신자에게 객관적으로 알릴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5157호
본 발명은 통화가 불가능한 특정 장소에서 수신 전화를 자동 차단하고, 광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3자의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발신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발신단말기로 전송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제3자와 관련된 광고 효과도 증대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장치, 수신 불가 상태에서 발신단말기로부터 수신 전화를 전송받는 경우,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태정보가 전송되면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관제서버, 및 제3자의 대표번호를 발신번호로 이용하여 상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자 발송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 불가 상태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장치가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휴대단말기가 수신 불가 상태에서 발신단말기로부터 수신 전화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관제서버가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문자 발송 서버가 제3자의 대표번호를 발신번호로 이용하여 상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 불가 상태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가 불가능한 장소에서 휴대단말기에 대한 수신 전화를 차단함으로써, 휴대단말기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운전 중, 회의 중 또는 식사 중과 같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수신 전화를 받아야 하는 부담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 차단된 휴대단말기 번호가 아닌 제3자의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발신단말기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므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메시지를 포함하는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증가시키고, 추가 광고메시지를 통해 기부금을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휴대단말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특정 장소에 위치한 휴대단말기에 대한 수신 전화를 차단하고, 발신단말기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장소에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제3자의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발신단말기 사용자에게 수신 차단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기반 시스템은 근거리 통신장치(10), 휴대단말기(20), 관제서버(30), 문자 발송 서버(35) 및 발신단말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장치(10)는 주기적으로 휴대단말기(20)로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로서, 근거리에서 휴대단말기(2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통신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콘(Beacon), 블루투스 장치, 와이파이(Wi-Fi) 통신장치, 적외선 통신장치 등이 있다. 근거리 통신장치(10)는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휴대 단말기(20)로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며, 차량 내부, 회의실, 식당, 강의실, 사무실, 종교 관련 장소, 영화관, 공연장 등과 같은 특정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20)가 근거리 통신장치(10)가 설치된 특정 공간 안에 위치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장치(10)로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20)는 발신단말기(40)와 전화를 송수신하고, 근거리 통신장치(10) 및 관제서버(30)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장치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20)는 근거리 통신장치(10) 및 관제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마켓(예를 들어, 앱스토어, 안드로이드마켓)으로부터 제공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관제서버(30)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으며, 휴대단말기(20) 자체에 내장된 통신모듈 또는 제어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단말기(20)는 근거리 통신장치(10)로부터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상태를 인식할 수도 있고, 관제서버(30)로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휴대단말기(20)가 특정 공간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장치(10)로부터 최초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초기 데이터를 관제서버(30)로 전송하고, 관제서버(30)로부터 상기 초기 데이터가 지시하는 특정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가 영화관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장치와 최초로 신호를 송수신하면, 휴대단말기는 관제서버로 초기 데이터를 전송하고, 관제서버는 상기 초기 데이터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가 영화관 내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영화관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영화시작시간, 영화종료시간, 영화관의 위치 등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기(20)가 위치한 특정 공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20)가 특정 공간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장치(10)로부터 마지막으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3분, 5분 또는 10분 등)이 경과하면, 상기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마지막 데이터를 관제서버(3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20)가 상기 특정 공간을 벗어났음을 관제서버(30)로 알릴 수 있다.
휴대단말기(20)의 사용자가 수신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수신 전화를 받지 말아야 하는 경우를 휴대단말기(20)의 수신 불가 상태라고 정의한다. 일실시예로서, 휴대단말기(20)가 특정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하기 위해, 상기 특정 공간 내에 근거리 통신장치(10)를 설치하고, 상기 휴대단말기(20)가 근거리 통신장치(10)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휴대단말기(20)가 수신 불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 불가 상태란, 휴대단말기(20)가 특정 공간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장치(10)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뿐 아니라,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 거부"를 설정한 경우, 또는 휴대단말기(20)가 통신망 내에서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20)가 근거리 통신장치(10)가 설치된 특정 공간에 위치하여, 근거리 통신장치(10)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기(20)의 상태를 수신 불가 상태로 인식한다.
수신 불가 상태에서 휴대단말기(20)로 수신 전화가 전송되는 경우,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수신 전화를 차단하고,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관제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는 휴대 단말기(20)로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장치(10)의 정보를 포함하므로, 휴대단말기(20)의 사용자가 임의로 상태정보를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장치(10)가 비콘 또는 블루투스 장치인 경우, 근거리 통신장치(10)가 송신하는 신호에 특정 패킷, 예를 들어,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코드와 같은 유효 확인 코드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장치(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휴대단말기(20)는 조작이 불가능한 특정 패킷, 즉, 근거리 통신장치(10)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관제 서버(30)로 전송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의 신뢰성이 보장될 것이다.
또한, 휴대단말기(20)는 수신 전화를 차단한 후,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형태로 수신 전화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발신단말기의 번호, 수신 시간 등을 표시하거나 알릴 수 있다. 휴대단말기(20)의 사용자는 상기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여 발신단말기(40)로 전화를 걸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 불가 상태가 종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시간 또는 수신 불가 상태가 종료될 때까지 예상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의실에서 30분간 회의가 예상되는 경우, 강의실에서 오전 11시까지 강의가 예상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상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관제서버(30)로부터 전송된 특정 공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수신 불가 상태가 종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시간 또는 수신 불가 상태가 종료될 때까지 예상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가 영화관에 대한 정보로서, 영화시작시간 및 영화종료시간을 관제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영화종료시간이 예상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불가 상태에서 휴대단말기(20)로 수신 전화가 전송되는 경우,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관제서버(30)로 설정된 예상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불가 상태에서 휴대단말기(20)로 수신 전화가 전송되는 경우, 설정에 따라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수신 전화를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발신번호를 설정한 경우, 휴대단말기(20)는 상기 특정 발신번호로부터 전송된 수신 전화를 차단하지 않는다. 또한, 소정 시간(예를 들어, 2분, 5분)내에 동일한 번호로 수신 전화가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휴대단말기(20)는 긴급 통화로 인식하여 수신 전화를 차단하지 않는다. 상기 특정 발신번호나 소정 시간은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관제서버(30)는 휴대단말기(20)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문자 발송 서버(35)로 전송한다. 상기 상태정보는 수신 불가 상태에서 휴대단말기(20)로 수신 전화가 전송되는 경우, 휴대단말기(20)로부터 관제서버(30)로 전송된다. 상기 상태정보는 휴대 단말기(20)로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장치(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휴대단말기(20)의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생성되거나 변경될 수 없다. 관제서버(30)는 문자 발송 서버(35)가 이용할 제3자의 대표번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와 함께 문자 발송 서버(35)로 전송할 수 있다.
문자 발송 서버(35)는 관제서버(30)로부터 전송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발신단말기(40)로 전송한다. 문자 발송 서버(35)는 휴대단말기(20)의 번호가 아닌 제3자의 대표번호를 발신번호로 이용하여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3자의 대표번호에 관한 정보는 관제서버(30)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자란, 관제서버(30) 또는 근거리 통신장치(10)를 소유하거나 운용하는 업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기업, 공공기관, 보험회사, 통신회사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3자는 근거리 통신장치(10)가 설치된 특정 공간을 생산하거나, 소유하거나, 또는 운용하는 업체가 될 수도 있으므로, 예를 들어, 자동차회사, 철도회사, 기업체, 식당, 학교, 영화관, 공연장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휴대단말기(20)의 사용자가 발신번호를 변경할 수 없고, 제3자의 대표번호가 발신번호로 이용되므로, 발신단말기(40)의 사용자는 휴대단말기(30)가 수신 불가 상태라는 사실을 공신력 있는 제3자의 메시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발신단말기(40)의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라 전송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에 대해 높은 신뢰도를 가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20)의 사용자도 수신 전화를 받지 못하는 상태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는 휴대단말기(20)의 수신 불가 상태를 안내하는 메시지 및 상기 제3자가 안내하는 광고 메시지를 포함한다. 상기 광고 메시지는 업체명, 업체에서 제공하는 상품명/서비스명, 업체의 공지사항, 또는 업체의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메시지는 제3자 스스로를 홍보하기 위한 광고 뿐 아니라, 제3자가 광고하고자 하는 모든 컨텐츠를 포함한다. 상기 광고 메시지와 수신 불가 상태를 안내하는 메시지가 함께 발신단말기(40)로 전송되므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통해 제3자가 안내하는 광고 메시지에 대한 광고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는 2차 광고 메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차 광고 메시지는 웹사이트나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한다. 발신단말기(40)의 사용자에 의해 2차 광고메시지의 링크가 선택됨으로써 발생하는 수익의 일부는 기부금으로 관제서버(30)에 적립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문자 발송 서버(35)는 제3자의 대표번호를 발신번호로 이용하여 광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발신단말기(40)로 전송한다. 따라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가 전송될 때마다, 제3자는 제3자가 지정한 광고 메시지를 발신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제3자에 대한 광고 효과가 높아진다. 관제서버(30)는 제3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광고 효과, 즉 광고 메시지에 대한 비용을 청구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관제서버(30)는 광고 메시지에 대한 비용을 제3자에게 미리 청구할 수도 있고,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는 횟수에 비례하여 청구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 불가 상태가 종료되는 예상시간이 휴대단말기(20)로부터 관제서버(30)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는 수신 불가 상태가 종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시간 또는 수신 불가 상태가 종료될 때까지 예상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상시간은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으며, 관제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공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발신단말기(40)의 사용자는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통해 휴대단말기(20)가 언제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예상하여 휴대단말기(20)로 다시 전화를 걸 수 있다.
수신 불가 상태에서 휴대단말기(20)가 발신 전화를 전송하는 경우,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발신 전화에 대한 발신 시각, 총 시간 또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관제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제서버(30)는 수신 불가 상태에서 생성된 휴대단말기(20)의 발신 전화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발신 전화에 관한 정보는 관제서버(30) 또는 근거리 통신장치(10)를 소유하거나 운용하는 업체 또는 근거리 통신장치(10)가 설치된 특정 공간을 생산, 소유 또는 운용하는 업체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근거리 통신장치(10)가 설치된 특정 장소에 있는 휴대단말기(20)의 부적절한 발신 전화를 감시할 수 있다.
발신단말기(40)는 휴대단말기(20)와 전화를 송수신하는 유/무선 장치로서, 스마트폰, 유선전화, 인터넷전화 등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이다. 발신단말기(40)는 문자 발송 서버(35)로부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전송받으며, 상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 것으로 나타나는 발신 번호는 휴대단말기(20)의 번호가 아닌 제3자의 대표번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시스템은, 휴대단말기가 수신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수신 전화를 받으면 안되는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근거리 통신장치와 지속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휴대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수신 불가 상태에서 수신 전화가 전송되는 경우, 휴대단말기가 상태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면, 관제서버가 광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문자 발송 서버가 제3자의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발신단말기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제3자와 관련된 광고 효과를 증가시키면서, 발신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신뢰도가 높은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휴대단말기(20)에 근거리 통신장치(10) 및 관제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S50).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기(20)가 근거리 통신장치(10)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웹사이트 또는 관제서버(30)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고, 휴대단말기(20) 자체에 내장된 통신모듈 또는 제어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 휴대단말기(20)는 근거리 통신장치(10)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한다(S51). 근거리 통신장치(10)는 비콘 또는 블루투스 장치일 수 있다. 휴대단말기(20)가 특정 공간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장치(10)로부터 최초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초기 데이터를 관제서버(30)로 전송하고, 관제서버(30)로부터 상기 초기 데이터가 지시하는 특정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공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수신 불가 상태가 종료되는 예상시간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신 불가 상태가 종료되는 예상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장치(10)는 차량, 영화관, 식당 등과 같은 특정 공간에 설치되어 있으며, 휴대단말기(20)가 상기 특정 공간에 위치하여 근거리 통신장치(10)와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휴대단말기(20)는 수신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수신 전화를 받으면 안되는 상태이므로,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기(20)를 수신 불가 상태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운송 트럭 내에 근거리 통신장치가 설치되고, 휴대단말기를 소유한 운전자가 운송 트럭에 탑승한 경우, 근거리 통신장치와 휴대단말기는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시작하고, 운전자가 트럭 운행 중에는 수신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이므로,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기를 수신 불가 상태로 인식한다.
다음, 수신 불가 상태에서 발신단말기(40)로부터 수신 전화가 전송되면(S52),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수신 전화를 차단한다(S53).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수신 전화에 대한 정보를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로 표시하거나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트럭을 운행하는 중 수신 전화가 전송되면, 어플리케이션이 수신 전화를 자동적으로 차단하고, 문자 메시지로 수신 전화에 대한 정보를 휴대단말기(20)에 표시한다. 그러나 특정 발신번호 또는 소정 시간 내에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수신 전화에 대해서는 차단하지 않도록 휴대단말기(20)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다음,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관제서버(30)로 전송한다(S54). 상태정보란, 휴대단말기(20)가 수신 불가 상태에서 수신 전화가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휴대 단말기(20)로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장치(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휴대단말기(20)의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생성되거나 변경될 수 없다. 추가적으로,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수신 불가 상태가 종료되는 예상시간을 관제서버(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태정보가 전송되면, 관제서버(30)는 광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S55), 문자 발송 서버(35)로 전송한다(S56). 관제서버(30)는 문자 발송 서버(35)가 이용할 제3자의 대표번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와 함께 문자 발송 서버(35)로 전송한다.
다음, 문자 발송 서버(35)는 관제서버(30)에 의해 생성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휴대단말기(20)의 번호가 아닌 제3자의 대표번호를 발신번호로 이용하여 발신단말기(40)로 전송한다(S57).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는 휴대단말기가 수신 불가 상태임을 안내하는 메시지와 제3자가 광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광고 메시지를 포함하며, 광고 메시지는 예를 들어, 운송 업체, 보험회사, 또는 웹사이트의 업체명, 광고, 공지사항, 서비스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 트럭을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전화를 걸었다가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받은 발신자는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통해 운송 업체의 광고를 볼 수 있다. 또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는 웹사이트나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2차 광고 메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는 운송 업체의 운송장 번호 확인 링크 또는 운송 업체가 광고하고자 하는 또 다른 업체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신자가 2차 광고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소정의 기부금이 발생하여 관제서버(30)에 적립될 수도 있다.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가 전송될 때마다, 광고 메시지 또는 2차 광고 메시지가 발신자단말기(40)로 전송되므로, 관제서버(30)는 제3자에게 광고 메시지 또는 2차 광고 메시지에 대한 비용을 청구한다. 예를 들어,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가 운송 업체의 대표번호로 전송되고, 상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에 운송 업체의 광고가 포함되는 경우, 관제서버(30)는 운송업체에게 광고에 대한 비용을 청구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는 수신 불가 상태가 종료되는 예상시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 트럭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행시간을 10시부터 2시간으로 설정하면, 운송 업체의 대표번호로 전송되는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는 "10시부터 2시간"이라는 메시지를 더 포함하여, 발신자가 12시 이후에 다시 전화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발신번호는 제3자의 대표번호로 고정되고, 휴대단말기(20)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상태정보가 전송되면, 관제 서버는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데, 운송 트럭을 소유한 운송 업체, 근거리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보험회사, 또는 관제서버를 운영하는 웹사이트의 대표번호를 발신번호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발신번호는 운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없다. 따라서 운전자에게 전화를 한 발신자는 운전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임을 제3자를 통해 알 수 있으므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객관적으로 신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신 불가 상태의 휴대단말기(20)로부터 발신 전화가 생성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발신 전화의 시각, 총 시간 및 횟수를 확인하여 관제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 및 관제서버(30)는 수신 불가 상태의 휴대단말기(20)로부터 발신 전화가 생성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 트럭을 운행 중인 운전자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 전화 건 시각, 횟수, 총 시간 등이 관제서버(30)로 전송되므로, 관제서버(30)를 운용하는 운송 업체는 운전자의 운행 중 휴대단말기 사용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휴대단말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근거리 통신장치(10) 및 관제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단말기(20)가 근거리 통신장치(10)가 설치된 특정 공간에 진입하고, 휴대단말기(20)가 근거리 통신장치(10)로부터 최초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초기 데이터를 관제서버(30)로 전송한다(S60). 관제서버(30)는 초기 데이터를 전송받음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20)가 상기 초기 데이터가 지시하는 특정 공간 내에 진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휴대단말기(20)는 관제서버(30)로부터 특정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다(S61). 예를 들어, 특정 공간의 위치, 특정 공간에서 수신 불가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 시간 등을 전송받을 수 있다. 특정 공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수신 불가 상태가 종료되는 예상시간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 휴대단말기(20)는 특정 공간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장치(10)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수신 불가 상태를 유지한다(S62).
다음, 수신 불가 상태에서 발신단말기(40)로부터 휴대단말기(20)로 수신 전화가 전송되는 경우(S63), 휴대단말기(20)는 수신 전화를 차단하고,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관제서버(30)로 전송한다(S64). 상기 상태정보는 휴대 단말기(20)로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장치(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휴대단말기(20)의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생성되거나 변경될 수 없다. 관제서버(30)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문자 발송 서버(35)로 전송하고, 문자 발송 서버(35)는 제3자의 대표번호를 발신번호로 이용하여 발신단말기(40)로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음, 휴대단말기(20)가 근거리 통신장치(10)가 설치된 특정 공간에서 벗어나는 경우(S65), 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마지막 데이터를 관제서버(30)로 전송한다(S66).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근거리 통신장치(10)로부터 마지막으로 신호를 수신한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3분, 5분 또는 10분 등)이 경과하면 휴대 단말기가 특정 공간으로부터 벗어났다고 판단하여 마지막 데이터를 관제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 데이터를 전송한 휴대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이 수신 불가 상태를 종료하고 수신 전화를 더 이상 차단하지 않음으로써, 휴대단말기(20)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신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받지 말아야 하는 특정 공간에 휴대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가 상기 특정 공간에 위치한 것을 인식하고, 수신 전화를 자동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수신 전화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휴대단말기 번호가 아닌 제3자의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에 광고 메시지를 포함시킴으로써, 제3자와 관련된 광고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근거리 통신장치
20 : 휴대단말기
30 : 관제서버
35 : 문자 발송 서버
40 : 발신단말기

Claims (22)

  1.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근거리 통신장치;
    상기 근거리 통신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 불가 상태로 인식하고, 상기 수신 불가 상태에서 발신단말기로부터 수신 전화를 전송받는 경우,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관제서버; 및
    제3자의 대표번호를 발신번호로 이용하여 상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자 발송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번호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장치는 비콘(Beacon), 블루투스 장치 및 와이파이(Wi-Fi)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근거리 통신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는 상기 제3자와 관련된 업체명, 상품명, 서비스명, 공지사항 및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제3자에게 상기 광고 메시지에 대한 비용을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는 웹사이트 또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2차 광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장치는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공간은 차량 내부, 회의실, 식당, 강의실, 사무실, 종교 관련 장소, 영화관 및 공연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수신 불가 상태에서 발신 전화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발신 전화에 대한 발신 시각, 총 시간 또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 불가 상태가 종료되는 예상시간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는 상기 예상시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13. 근거리 통신장치가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통신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 불가 상태로 인식하고, 상기 수신 불가 상태에서 발신단말기로부터 수신 전화를 전송받는 경우, 휴대단말기가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관제서버가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문자 발송 서버가 제3자의 대표번호를 발신번호로 이용하여 상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번호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장치는 비콘(Beacon), 블루투스 장치 및 와이파이(Wi-Fi)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근거리 통신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는 상기 제3자와 관련된 업체명, 상품명, 서비스명, 공지사항 및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제3자에게 상기 광고 메시지에 대한 비용을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및 상기 근거리 통신장치는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공간은 차량 내부, 회의실, 식당, 강의실, 사무실, 종교 관련 장소, 영화관 및 공연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21. 삭제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수신 불가 상태에서 발신 전화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발신 전화에 대한 발신 시각, 총 시간 또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KR1020140170767A 2014-12-02 2014-12-02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 KR101629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67A KR101629919B1 (ko) 2014-12-02 2014-12-02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67A KR101629919B1 (ko) 2014-12-02 2014-12-02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18A KR20160066418A (ko) 2016-06-10
KR101629919B1 true KR101629919B1 (ko) 2016-06-21

Family

ID=5619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767A KR101629919B1 (ko) 2014-12-02 2014-12-02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9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146B1 (ko) * 2016-12-30 2018-10-11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거리에서 제어 가능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57B1 (ko) 2002-05-22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KR100664119B1 (ko) * 2004-03-18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51910A (ko) * 2006-12-07 2008-06-11 엘지노텔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불가 상태안내방송 방법
KR20090090872A (ko) * 2008-02-22 2009-08-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 가능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649363B1 (ko) * 2013-05-03 2016-08-18 쉬폰 인터내셔널 인코퍼레이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에서의 전화 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18A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0679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persons of an emergency telephone call
US7477889B2 (en) Message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359048B2 (en) Close proximity aler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US20050197096A1 (en) Emergency ca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267360A1 (en) Emergency Situation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s
CN100407806C (zh) 在移动通信系统中检查消息的始发者信息的装置和方法
KR1004203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상자의 현상태 표시 및 간편정보전송방법
KR101629919B1 (ko)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
KR102403328B1 (ko)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KR20180045443A (ko)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이용한 유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JP2006252017A (ja) 災害情報配信システム、災害情報配信装置、災害情報配信方法及び災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2014518472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JP2018046530A (ja) Sms配信装置及びsms配信方法
KR10145584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
JP5487642B2 (ja) 防犯情報通知方法、防犯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20170023659A (ko) 메시지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068938B1 (ko)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KR20120015240A (ko)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165906B1 (en) Prior caller location and identity as input into a public-safety answering point (PSAP)
RU2400819C1 (ru) Способ приема абонентом программы действий при чрезвычайной ситуации (варианты)
KR20130137423A (ko)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EP1843615A1 (en) System for contacting a destination device via intermediate devices in response to information from a source device
Niebla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public warning
US99988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delaying the delivery of an electronic message based on location
JP2010068184A (ja) 小型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