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330B1 -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330B1
KR101629330B1 KR1020140146256A KR20140146256A KR101629330B1 KR 101629330 B1 KR101629330 B1 KR 101629330B1 KR 1020140146256 A KR1020140146256 A KR 1020140146256A KR 20140146256 A KR20140146256 A KR 20140146256A KR 101629330 B1 KR101629330 B1 KR 101629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data
sensor
sensing inform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611A (ko
Inventor
박재훈
Original Assignee
(주)비이인터렉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이인터렉티브 filed Critical (주)비이인터렉티브
Priority to KR1020140146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3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는 복수의 뷰를 촬영하여 상기 복수의 뷰에 상응하는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영상데이터의 촬영 시점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센싱부,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영상데이터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OF CAPTURING IMAGE}
본 발명은 각종 센서 기능을 구비하여 촬영 당시의 음성과 영상뿐만 아니라, 현장의 온도, 습도, 조도, 고도 및 촬영자의 가속도, 기울기, 방위 등을 같이 기록하고 이 데이터를 실시간 저장 및 전송 하는 웨어러블 장비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캠코더의 용도를 보면, 취미용으로 외부 활동을 녹화하고자 하는 경우이거나, 신변안전 및 방범목적으로 보안요원 등이 자신들의 활동 및 현장을 녹화하고자 하는 경우, 치안 및 불법 주차 단속목적을 위한 증거 확보 목적 등이 있다.
캠코더는 손으로 직접 파지하여 녹화하는 방식으로부터 카메라와 배터리가 경량화 되면서 헬멧, 어깨, 가슴 등에 부착하거나, 안경 등의 형상으로 제품을 만들어 영상 또는 음성을 녹화하는 방식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사설 방범 요원이 웨어러블 캠코더를 착용하고, 사건 현장에 출동하여 현장의 영상을 녹화하는 경우 전방의 영상과 음성을 녹화하고 있어 전방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해당한다.
안전과 보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로 볼 때 전방 이외의 사각 지대를 관측하여 기록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는 복수의 뷰를 촬영하여 상기 복수의 뷰에 상응하는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영상데이터의 촬영 시점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센싱부,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영상데이터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싱부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기압센서, 가속도센서, 기울기센서, 및 방위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정보, 습도정보, 조도정보, 기압정보, 가속도정보, 기울기정보, 및 방위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는 서버측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영상데이터 및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는 근거리통신 가능 거리에 위치한 통신단말기와 유무선 연결하고, 상기 통신단말기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 및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뷰를 촬영하여 상기 복수의 뷰에 상응하는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촬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영상데이터의 촬영 시점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수집하도록 센싱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영상데이터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도록 저장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수단을 제어하여 서버측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영상데이터 및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수단을 제어하여, 근거리통신 가능 거리에 위치한 통신단말기와 유무선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통신단말기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 및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뷰를 촬영하여 상기 복수의 뷰에 상응하는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영상데이터의 촬영 시점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영상데이터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기압센서, 가속도센서, 기울기센서, 및 방위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온도정보, 습도정보, 조도정보, 기압정보, 가속도정보, 기울기정보, 및 방위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버측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 및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은 근거리통신 가능 거리에 위치한 통신단말기와 유무선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통신단말기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 및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방의 영상과 함께 후방의 영상을 녹화함으로써 영상 사각지역을 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뿐만 아니라 영상데이터의 촬영 시간에 온도, 습도, 조도, 고도, 가속도, 기울기, 기자기 등의 센싱정보를 수집함으로써, 현장 기록을 보다 생생하게 기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장 상황을 원격지에서 보다 생생하게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300)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저장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통신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모자나 사용자의 신체 등에 장착되어 복수의 뷰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의 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복수의 뷰를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전후방 측면의 뷰를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뿐만 아니라,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영상데이터의 생성과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서 현장의 상황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전후방 측면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함과 동시에 현장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조도정보, 기압정보, 가속도정보, 기울기정보, 및 방위정보 등의 센싱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생성한 영상데이터와 수집된 센싱정보를 저장수단에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들을 원격지에 위치한 관제센터의 서버측 단말기(이하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생성한 영상데이터와 수집된 센싱정보의 저장과 전송은 서로 독립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생성한 영상데이터와 수집된 센싱정보를 저장수단에 저장하지 않고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고,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하지 않고 저장수단에만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생성한 영상데이터와 수집된 센싱정보를 서버측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필요가 없다면,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통신 채널의 부하가 적은 시간대나 요일에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통신단말기(110)를 통해서 생성한 영상데이터와 수집된 센싱정보를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단말기와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 간에는 사전에 등록 및 승인 등의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는 별도의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통신단말기(110)를 경유하지 않고 통신수단을 이용해서 직접 서버측 단말기로 생성한 영상데이터와 수집된 센싱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를 이용하면, 현장의 전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녹화 할 수 있고, 또한 현장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제 센터로 전동도 가능하며, 온도, 습도, 조도, 고도, 가속도, 기울기, 지자기 센서를 통하여 현장의 각종 데이터의 생생한 기록 보관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200)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촬영부(220), 저장부(230), 센싱부(240), 및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는 중앙처리장치로도 해석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220)는 복수의 뷰를 촬영하여 상기 복수의 뷰에 상응하는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어도 두 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220)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는 전방 촬영용 카메라와, 사용자의 후방을 촬영할 수 있는 후방 촬영용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두 방향, 특히 전후방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해서 촬영부(220)를 설명하나, 촬영부(220)는 전후방 및 좌우방 측면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등 다양한 뷰를 촬영할 수 있는 멀티채널을 기반으로 하는 촬영수단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촬영부(220)가 촬영하는 영상은 정지화상, 동영상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230)는 생성된 복수의 영상데이터의 촬영 시점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30)는 전후방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들을 생성하면서, 촬영하는 주변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조도정보를 함께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관제 센터 측에서는 보다 생생한 현장의 정보를 관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230)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기압센서, 가속도센서, 기울기센서, 및 방위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온도정보, 습도정보, 조도정보, 기압정보, 가속도정보, 기울기정보, 및 방위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관제 센터에서는 수집된 센싱정보와 현장의 영상데이터를 함께 해석하여 현장의 상황을 보다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40)는 생성된 영상데이터 및 수집된 센싱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저장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2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저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에 생성된 영상데이터 및 수집된 센싱정보가 저장되는 흐름은 이하 도 3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50)는 서버측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고, 영상데이터 및 센싱정보를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250)는 유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서 서버측 단말기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50)는 영상데이터 및 센싱정보를 서버측 단말기에 직접 전송하지 않고, 통신단말기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즉,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50)는 근거리통신 가능 거리에 위치한 통신단말기와 유무선 연결하고, 상기 통신단말기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 및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단말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이 이동통신사 망을 통해 서버측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250)가 통신단말기를 제어하여 서버측 단말기에 영상데이터 및 센싱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사전에 통신단말기로의 등록 및 승인 등의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통신부(250)는 서버측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통신단말기를 인접한 다른 통신단말기와 구별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50)는 등록 및 승인 등의 과정을 통해 통신단말기만에 할당된 전화번호, 기기 시리얼번호 등을 이용하여 통신단말기를 고유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단말기는 억세스포인트로 해석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250)는 와이파이 방식의 통신기술을 이용해서 억세스포인트에 접속하고, 접속된 억세스포인트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측 단말기에 영상데이터 및 센싱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300)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저장부(34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310)는 촬영부(320)가 복수의 뷰를 촬영하여 생성한 영상데이터들과 센싱부(330)가 주변의 환경에 대해 수집한 센싱정보를 저장부(340)에 기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촬영부(320)는 2채널 카메라를 통해 Full HD 품질의 전방 영상데이터와, HD 화질의 후방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수집된 전방 영상데이터 및 후방 영상데이터의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H.264 형식으로 압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 압축된 영상을 저장부(340)에 포함된 SD카드에 저장하고 이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330)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기압센서, 가속도센서, 기울기센서, 및 방위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해서, 온도정보, 습도정보, 조도정보, 기압정보, 가속도정보, 기울기정보, 및 방위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10)는 수집된 센싱정보를 압축된 영상데이터와 연관지어 SD카드에 저장하고 이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400)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통신부(44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440)는 2채널 카메라를 통해 Full HD 품질의 전방 영상데이터 및 HD 화질의 후방 영상데이터와 함께 현장에서 수집된 센싱정보를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440)는 별도의 통신모듈을 이용해서 영상데이터들과 센싱정보를 서버측 단말기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통신부(440)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단말기를 제어하여 영상데이터들과 센싱정보를 서버측 단말기로 간접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5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500)는 온도센서(501), 습도센서(502), 조도센서(503), 기압센서(504), 가속도센서(505), 기울기센서(506), 및 방위센서(50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500)는 이러한 센서들을 이용해서 온도정보, 습도정보, 조도정보, 기압정보, 가속도정보, 기울기정보, 및 방위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센싱정보들로서 온도정보, 습도정보, 조도정보, 기압정보, 가속도정보, 기울기정보, 및 방위정보를 이용하나, 다양한 센싱정보들이 수집 및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60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600)는 도 1의 영상 촬영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는 ARM Subsystem, MJCP Co-Processor, Video Processing Subsystem, DMA Data & Configuration Bus, Peripherals I2C SPI UART, Connectivity USB, Storage DDR3/NAND/MMC, System RTC Voice Code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USB로 연결되는 WIFI나 GPS를 포함할 수 있고, 촬영부는 전후방의 2채널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각각 생성할 수 있는 Front Camera, Rear Camera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기압센서, 가속도센서, 기울기센서, 및 방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저장부는 NAND Memory나 Optional SD Car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600)는 전력 공급을 위한 battery 및 power controller, 빠른 연산을 위한 DDR3 Memory, 확장포트를 위한 USB포트, 스피커, 마이크로폰 등의 내외부 입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뷰에 상응하는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701). 복수의 뷰로서, 전방 및 후방의 뷰를 촬영하고, 전후방의 뷰에 해당하는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생성된 복수의 영상데이터의 촬영 시점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단계 702).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기압센서, 가속도센서, 기울기센서, 및 방위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정보, 습도정보, 조도정보, 기압정보, 가속도정보, 기울기정보, 및 방위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생성된 복수의 영상데이터와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단계 703).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데이터와 센싱정보를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704).
일례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버측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영상데이터 및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은 유무선 통신망(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서 서버측 단말기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버측 단말기와 직접 통신하지 않고,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간접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은 근거리통신 가능 거리에 위치한 통신단말기와 유무선 연결하고, 상기 통신단말기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 및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현장의 전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녹화 할 수 있고, 또한 현장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제 센터로 전동도 가능하며, 온도, 습도, 조도, 고도, 가속도, 기울기, 지자기 센서를 통하여 현장의 각종 데이터의 기록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영상 촬영 장치 210: 프로세서
220: 촬영부 230: 저장부
240: 센싱부 250: 통신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복수의 뷰를 촬영하여 상기 복수의 뷰에 상응하는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영상데이터의 촬영 시점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영상데이터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서버측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 및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서버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데이터는 멀티채널을 기반으로 하는 촬영수단으로 촬영된 것이고,
    상기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싱정보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기압센서, 가속도센서, 기울기센서, 및 방위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정보, 습도정보, 조도정보, 기압정보, 가속도정보, 기울기정보, 및 방위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
  4. 삭제
KR1020140146256A 2014-10-27 2014-10-27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629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256A KR101629330B1 (ko) 2014-10-27 2014-10-27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256A KR101629330B1 (ko) 2014-10-27 2014-10-27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611A KR20160049611A (ko) 2016-05-10
KR101629330B1 true KR101629330B1 (ko) 2016-06-13

Family

ID=5602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256A KR101629330B1 (ko) 2014-10-27 2014-10-27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3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046B1 (ko) * 2004-12-24 2009-05-25 파나소닉 주식회사 동영상 촬영 장치, 동영상 재생 장치, 동영상 촬영 방법, 부호화 영상 신호 재생 방법, 및 동영상 재생 방법
KR101442600B1 (ko) * 2007-11-08 2014-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611A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3915B2 (en) Camera peripheral device for supplemental audio capture and remote control of camera
JP6011833B1 (ja) ウェアラブルカメラシステム及び人物報知方法
US92453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11146722B2 (en) Wearable camera,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harging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10587847B2 (en) Content capture and transmission of data of a subject to a target device
US8478308B2 (en) Positioning system for add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etadata of an image and positioning method thereof
KR101850534B1 (ko) 적외선 카메라와 마커를 이용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CN110795187A (zh) 一种图像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180028701A (ko) 휴대용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JP2009152733A (ja) 人物特定システム、人物特定装置、人物特定方法および人物特定プログラム
KR20160096256A (ko)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9330B1 (ko)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672268B1 (ko) 전시공간 제어 시스템 및 전시공간 제어방법
KR102111758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JP2018037964A (ja) ウェアラブルカメラ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5876131B1 (ja) 監視カメラ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報知システム
JP2018139052A (ja) 通信端末、画像通信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315098B (zh) 智能头盔及系统
TW201725897A (zh) 拍照系統及方法
JP2012141942A (ja) 車両記録装置
JP2020188326A (ja) 撮像管理システム
KR20130067571A (ko) 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차량 손상 검출 장치 및 방법
US20240112422A1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JP7327792B2 (ja) 画像合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合成方法
JP2018037965A (ja) ウェアラブルカメラ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