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600B1 -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600B1
KR101442600B1 KR1020070113746A KR20070113746A KR101442600B1 KR 101442600 B1 KR101442600 B1 KR 101442600B1 KR 1020070113746 A KR1020070113746 A KR 1020070113746A KR 20070113746 A KR20070113746 A KR 20070113746A KR 101442600 B1 KR101442600 B1 KR 101442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ined area
photograph
time
stored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742A (ko
Inventor
조덕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6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5Printing by reference, e.g. retrieving document/image data for a job from a source mentioned in the j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정의 영역에 소정의 프린트 정보를 저장하여, 사진의 인화 및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프린트 이력을 읽어들이는 독출부;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사용자 정의 영역에, 프린트 이력을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이 프린트되도록 하고, 상기 독출부가 상기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프린트 이력을 읽어들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록부가 상기 사용자 정의 영역에 프린트 이력을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프린트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 정의 영역에 소정의 프린트 정보를 저장하여, 사진의 인화 및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란,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동작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원하는 영상을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을 영상 표시소자에 표시하여 보여주고, 사용자의 촬영 선택에 의하여 영상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프린트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보급에 수반하여,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PC에 끼우지 않고도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또는 메모리 카드(memory card)로부터 직접 프린터로 출력하는 제안이 행하여지고 있다. 한편, 화상의 처리 방법 등을 파일로 관리하지 않고,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규격처럼 화상 데이터 그 자체에 화상의 정보 태그를 설치하여 화상의 관리를 단순화하는 제안도 행하여지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종래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사진을 프린트할 경우, 그 사진을 이전에 프린트한 적이 있는지, 프린트하였다면 몇 번이나 프린트하였는지, 언제 프린트하였는지, 프린트한 사진 파일을 어디에 보관하였는지 등의 정보를 알 수 없었다. 따라서, 같은 사진을 불필요하게 여러 번 프린트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사진을 프린트하고도 그 사진을 어느 앨범에 저장하여 두었는지를 기억하지 못하여, 이를 검색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기존에 프린트하여 앨범에 저장하여 둔 사진 이외에, 추가로 다른 사진을 프린트하여 앨범에 저장하고자 할 때, 어느 사진을 추가로 프린트하여야 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기존에 프린트하여 앨범에 저장하여 둔 사진과 사진 파일들을 일일이 비교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사용자 정의 영역에 소정의 프린트 정보를 저장하여, 사진의 인화 및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프린트 이력을 읽어들이 는 독출부;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사용자 정의 영역에, 프린트 이력을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이 프린트되도록 하고, 상기 독출부가 상기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프린트 이력을 읽어들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록부가 상기 사용자 정의 영역에 프린트 이력을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프린트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프린트 이력을 독출하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사용자 정의 영역에, 프린트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 및 (d) 프린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프린트 이력이 포함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검색 조건이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프린트 이력을 독출하는 단계; (c) 상기 독출된 프린트 이력으로부터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사진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사진의 인화 및 검색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 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셔터-릴리즈 버튼(10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0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13)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신호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여 영상을 캡쳐한다.
전원 버튼(103)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10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보조광(10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
렌즈부(10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로서, 광각-줌 버튼(111w), 망원-줌 버튼(111t), 디스플레이부(113) 및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입력 버튼들(B1~B14)(이하 버튼들(B1~B14)이라 표기함)을 구비한다.
광각-줌 버튼(111w) 또는 망원-줌 버튼(11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111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111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버튼들(B1~B14)은 디스플레이부(11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1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1~B14)은 터치 센서(도시되지 않음) 또는 접점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즉, 버튼들(B1~B14)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가로 열의 버튼들(B1~B7) 또는 세로 열의 버튼들(B8~B14)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틀(B1~B14)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 점식 스위치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지만, 접점식 스위치 입력은 터치 센서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113), 사용자 입력부(121), 촬상부(123), 영상 처리부(125), 저장부(12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2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릴리즈 버튼(10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10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111w) 및 망원-줌 버튼(111t)과, 문자 또는 메뉴 설정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13) 주변의 가로 및 세로열에 구비된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버튼들 버튼틀(B1~B14)이 있다.
촬상부(12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렌즈부, 조리개,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포함한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에 의해 제어된다.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 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디지털 변환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CCD 및 CFA 필터에 사용되는 소자는 온도의 변화에 민감하여 그 변화되는 온도에 따라 암 전류를 발생하며, 이는 영상신호에 원하지 않는 블랙레벨(Black level)이 포함된다. 영상 처리부(125)는 이와 같이 암 전류에 의해 발생된 블랙레벨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또한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인간의 시각은 베버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한정된 비트 심도(Bit depth)가 주어졌을 때,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비트 심도 하에서 최대한의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부호화해야 한다. 이와 같이,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감마 보정이라고 한다. 영상 처리부(125)의 감마 보정은 감마커브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감마 보정 하여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12 비트 영상신호의 입력 휘도 레벨을 8비트 휘도 레벨로 보정 하여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25)의 CFA 보간은 R 또는 B 채널 값만 존재하는 화소들에서 G 채널을 먼저 복원한 후, B 채널, R 채널 순서로 또는 R 채널, B 채널 순서로 비어있는 값들을 채워 R, G, B 세 개의 채널을 복원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Exif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Exif 파일은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되고, 저장부(12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12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본원 발명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는 사용자 정의 영역에 소정의 프린트 정보를 저장하여, 사진의 인화 및 검색을 용이하게 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화상에 관한 정보를 격납한 태그(tag)를 가지는 화상 포맷(format)으로서 Exif를 예시한다.
여기서,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교환이미지 파일형식)는, 디지털카메라의 이미지 파일 안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파일 형식을 뜻한다. 이는 일 본전자공업진흥협회(JEIDA)에 의해 만들어졌다.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려면 Exif 규격을 지원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있어야 하며, 원본 이미지를 수정하면 기록된 부가정보는 사라진다.
Exif에는 화상 데이터와 함께 카메라 제조사(Maker), 카메라 모델(Model), 이미지 에디터(Software), 사진을 보정한 날짜(Datetime), Exif 버전(Exif Version), 촬영한 날짜(Shoot Datetime), 웹에 올려진 사진의 실제 크기(Image Size), 노출 시간(Exposure Time:셔터 스피드), 촬영 프로그램(Exposure Program), 렌즈 초점 길이(Focal Length), 조리개 개방 수치(F-Number), 플래시 사용 여부 등 세부적인 부가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Exif 데이터 내부에는, 제조사 별로 각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영역으로서의 MakerNote data 영역이 있는데, 본원 발명에서는 이 MakerNote data 영역에 프린트 횟수, 프린트 날짜 및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되는 앨범명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본원 발명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는, 사용자 정의 영역에 소정의 프린트 정보를 기록 및 추출하기 위하여, 독출부(129-1), 기록부(129-2), 검색부(129-3) 및 제어부(129-4)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 입력부(121)로부터 프린트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독출부(129-1)는 제어부(129-4)의 제어 하에, 저장부(127)에 저장되어 있는 각 사진의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으로부터 프린트 횟수, 프린트된 날짜/시간 및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되는 앨범명 등의 정보를 읽어들인다.
제어부(129-4)는 독출부(129-1)가 읽어 들인 상기 프린트 정보를 확인하여, 프린트 횟수가 1 이상인 경우, 즉 기존에 이미 한 번 이상 프린트된 적이 있는 사진의 경우, 프린트 횟수 및 프린트된 날짜/시간을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하여, 프린트 이력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프린트 횟수가 1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이 사진을 다시 프린트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린트가 수행되면, 기록부(129-2)는 제어부(129-4)의 제어 하에, 프린트 횟수를 1만큼 증분하여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하고, 프린트가 수행된 시점의 날짜 및/또는 시간을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되는 앨범명을 사용자 입력부(121)로부터 입력받아서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기존에 프린트된 사진을 사용자가 실수로 다시 프린트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검색부(129-3)는 제어부(129-4)의 제어 하에, 사용자 입력부(121)로부터 프린트 횟수, 프린트된 날짜/시간 또는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된 앨범명 등의 검색 조건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진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3회 이상 프린트된 사진, 또는 2007년 9월에 프린트된 사진, 또는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된 앨범명이 "aaa"인 사진 등의 소정의 검색 조건을 입력하면, 검색부(129-3)는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된 프린트 이력을 검색하여,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 사 진들을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프린트 횟수, 프린트 날짜/시간 및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된 앨범명 등과 같은 조건으로 사진을 검색하는 것이 가능해 짐으로써, 사용자가 사진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장치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저장되어 있는 사진 파일의 재생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S110 단계), 프린트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S120 단계), 프린트 이력을 독출하는 단계(S130 단계), 이전에 한 번 이상 프린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 단계), 상기 판단 결과 한 번 이상 프린트되었을 경우 프린트 이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50 단계), 다시 프린트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60 단계), 상기 선택 결과 다시 프린트할 경우 프린트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S170 단계) 및 프린트를 실행하는 단계(S180 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히, 사진을 프린트하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 입력부(121)의 입력에 의해, 제어부(129-4)는 저장되어 있는 사진 파일의 재생 모드에 진입(S110 단계)한 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121)로부터 프린트하기를 원하는 사진 파일이 선택되어 프린트 실행 명령이 입력(S120 단계)되면, 상기 선택된 사진 파일의 사용자 정의 영역으로서의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프린트 이력이 독출(S130 단계)된다. 상세히, 독출부(129-1)는 제어부(129-4)의 제어 하에, 저장부(127)에 저장되어 있는 각 사진의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으로부터 프린트 횟수, 프린트된 날짜/시간 및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되는 앨범명 등의 정보를 읽어들인다.
다음으로, 제어부(129-4)는 독출부(129-1)가 읽어 들인 프린트 이력 정보로부터, 선택된 사진이 이전에 한 번 이상 프린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140 단계)한다.
이와 같이 선택된 사진이 이전에 한 번 이상 프린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 결과, 프린트 횟수가 1 이상인 경우, 즉 기존에 이미 한 번 이상 프린트된 적이 있는 사진의 경우, 프린트 횟수 및 프린트된 날짜/시간을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하여, 프린트 이력을 사용자에게 알리고(S150 단계), 사용자에게 이 사진을 다시 프린트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한다(S160 단계).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된 사진을 다시 프린트하지 않는다면, 다시 저장되어 있는 사진 파일의 재생 모드로 돌아간다.
반면에, 사용자가 선택된 사진을 다시 프린트하도록 선택한다면, 기록부(129-2)는 프린트 이력을 저장(S170 단계)하고, 프린트를 실행(S180 단계)한다. 상세히, 기록부(129-2)는 제어부(129-4)의 제어 하에, 프린트 횟수를 1만큼 증분하여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하고, 프린트가 수행된 시점의 날짜 및/또는 시간을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되는 앨범명을 사용자 입력부(121)로부터 입력받아서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린트가 수행된 시점의 날짜 및/또는 시간은, 기존에 있던 데이터를 갱신하여 기존의 프린트 수행 시점의 날짜 및/또는 시간에 업데이트(update) 될 수 있다. 이 경우,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에는 항상 최신의 프린트 정보만이 기록되어 있게 된다. 또는, 기존에 있던 데이터는 그대로 두고 프린트가 수행된 시점의 날짜 및/또는 시간이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에 추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사진이 여러 번에 걸쳐 프린트되었을 경우, 그 히스토리(history)가 모두 확인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되는 앨범명이란, 사용자가 프린트된 사진을 보관하여 두기 위한 앨범을 복수 개 가지고 있을 경우, 그 각각의 앨범의 이름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실제 그러한 이름의 앨범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사진 파일을 소정의 기준으로 분류할 때, 그 분류의 기준이 되는 키워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주도", "설악산" 이라는 이름의 두 개의 앨범을 가지고 있을 경우, "제주도" 앨범에 보관할 사진의 앨범명에는 "제주도"라고 입력하여 두고, "설악산" 앨범에 보관할 사진의 앨범명에는 "설악산"이라고 입력하여 둘 수 있다. 또는, 실제로 사용자가 "제주도", "설악산" 이라는 이름의 앨범을 가지고 있지 아니 하더라도, 사용자가 "제주도" 또는 "설악산"이라는 키워드로 해당 사진을 검색 및 분류할 수 있도록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에 키워드를 설정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선택된 사진이 이전에 한 번 이상 프린트된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S140 단계)한 결과, 상기 선택된 사진이 이전에 프린트된 적이 없다면, 프린트 이력을 저장(S170 단계)하고, 프린트를 실행(S180 단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기존에 프린트된 사진을 사용자가 실수로 다시 프린트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진을 프린트할 때 이전의 프린트 여부, 프린트한 날짜/시간,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되는 앨범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린트한 사진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저장되어 있는 사진 파일의 검색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S210 단계), 검색 조건이 입력되는 단계(S220 단계), 프린트 이력을 독출하는 단계(S230 단계), 독출된 프린트 이력으로부터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사진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S240 단계) 및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50 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히, 사진을 검색하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 입력부(121)의 입력에 의해, 제어부(129-4)는 저장되어 있는 사진 파일의 검색 모드에 진입(S210 단계)한다.
다음으로, 검색부(129-3)는 제어부(129-4)의 제어 하에, 사용자 입력부(121)로부터 프린트 횟수, 프린트된 날짜/시간 또는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된 앨범명 등의 검색 조건을 입력(S220 단계)받아, 상기 입력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진을 검색(S230~S240 단계)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S250 단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3회 이상 프린트된 사진, 또는 2007년 9월에 프린트된 사진, 또는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된 앨범명이 "aaa"인 사진 등의 소정의 검색 조건을 입력하면, 검색부(129-3)는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된 프린트 이력을 검색하여,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 사진들을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프린트 횟수, 프린트 날짜/시간 및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된 앨범명 등과 같은 조건으로 사진을 검색하는 것이 가능해 짐으로써, 사용자가 사진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21: 사용자 입력부
123: 촬상부 125: 영상 처리부
127: 저장부 129: 디지털 신호 처리부
129-1: 독출부 129-2: 기록부
129-3: 검색부 129-4: 제어부

Claims (19)

  1.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프린트 이력을 읽어들이는 독출부;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사용자 정의 영역에, 프린트 이력을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이 프린트되도록 하고, 상기 독출부가 상기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프린트 이력을 읽어들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록부가 상기 사용자 정의 영역에 프린트 이력을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프린트 이력은,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되는 앨범명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의 상기 사용자 정의 영역은,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는 프린트 이력은, 프린트 횟수 및 프린트된 날짜/시간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독출부에서 읽어들인 상기 프린트 이력으로부터 사진의 프린트 횟수를 판단하고, 프린트 횟수가 1 이상인 경우 프린트 횟수 및 프린트된 날짜/시간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이 프린트되면, 상기 기록부는 프린트 횟수를 1만큼 증분하여 사용자 정의 영역에 저장하고, 프린트가 수행된 시점의 날짜/시간을 사용자 정의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이 프린트되면, 상기 기록부는 프린트 된 사진이 저장되는 앨범명을 사용자 정의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프린트 횟수, 프린트된 날짜/시간 및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된 앨범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조건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진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9.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프린트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프린트 이력을 독출하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사용자 정의 영역에, 프린트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 및
    (d) 프린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되는 앨범명을 사용자 정의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의 상기 사용자 정의 영역은,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는 프린트 이력은, 프린트 횟수 및 프린트된 날짜/시간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는,
    상기 독출부에서 읽어들인 상기 프린트 이력으로부터 사진의 프린트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프린트 횟수가 1 이상인 경우 프린트 횟수 및 프린트된 날짜/시간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다시 프린트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프린트 횟수를 1만큼 증분하여 사용자 정의 영역에 저장하고, 프린트가 수행된 시점의 날짜/시간을 사용자 정의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가 수행된 시점의 날짜/시간을 사용자 정의 영역에 저장하는 단 계는, 기존의 프린트 수행 시점의 날짜 및/또는 시간에 업데이트(update) 되어 저장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가 수행된 시점의 날짜/시간을 사용자 정의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는, 기존의 프린트 수행 시점의 날짜/시간과는 별도로 프린트가 수행된 시점의 날짜/시간이 새로 추가되어 저장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6. 삭제
  17. 프린트 이력이 포함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검색 조건이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프린트 이력을 독출하는 단계;
    (c) 상기 독출된 프린트 이력으로부터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사진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의 상기 사용자 정의 영역은, Exif 데이터 내부의 MakerNote data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 영역에 기록되는 프린트 이력은, 프린트 횟수, 프린트된 날짜/시간 및 프린트된 사진이 저장된 앨범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70113746A 2007-11-08 2007-11-08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2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746A KR101442600B1 (ko) 2007-11-08 2007-11-08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746A KR101442600B1 (ko) 2007-11-08 2007-11-08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742A KR20090047742A (ko) 2009-05-13
KR101442600B1 true KR101442600B1 (ko) 2014-09-23

Family

ID=4085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746A KR101442600B1 (ko) 2007-11-08 2007-11-08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330B1 (ko) * 2014-10-27 2016-06-13 (주)비이인터렉티브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8696A (ja) 2001-11-20 2003-05-30 Olympus Optical Co Ltd プリントシステム、デジタルカメラ
JP2003196077A (ja) 2001-12-26 2003-07-11 Olympus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5178320A (ja) * 2003-12-24 2005-07-07 Canon Inc 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8696A (ja) 2001-11-20 2003-05-30 Olympus Optical Co Ltd プリントシステム、デジタルカメラ
JP2003196077A (ja) 2001-12-26 2003-07-11 Olympus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5178320A (ja) * 2003-12-24 2005-07-07 Canon Inc 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742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09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의 배경흐림 효과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822458B1 (ko) 썸네일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촬영 장치
KR10147568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 영상 개선 장치 및 방법
JP4725854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101168988B1 (ko) 구도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JP2009157242A (ja) 撮像装置
KR20100003918A (ko)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09033223A (ja) 撮像装置
JP4888711B2 (ja) シーン選択画面生成装置、シーン選択画面追加システム、シーン選択画面生成方法、シーン選択画面追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96355B1 (ko) 연사촬영된 영상들을 슬라이드쇼로 보여주는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442600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1619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imming
JP2006254278A (ja) 撮影装置
JP5157528B2 (ja) 撮影装置
KR10144560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08054128A (ja) 撮像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467870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11316B1 (ko) 메모영상을 추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5720988B2 (ja) 撮像装置
KR10147665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094089B2 (ja) 画像記録装置
KR10143683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780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에 따른 포커스조정장치 및 방법
KR101445610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6453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