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016B1 -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016B1
KR101629016B1 KR1020090136371A KR20090136371A KR101629016B1 KR 101629016 B1 KR101629016 B1 KR 101629016B1 KR 1020090136371 A KR1020090136371 A KR 1020090136371A KR 20090136371 A KR20090136371 A KR 20090136371A KR 101629016 B1 KR101629016 B1 KR 101629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housing
locking member
door
opening
banknote depos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9353A (ko
Inventor
조지윤
정윤석
김경수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6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01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9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25Secure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입출금모듈에 장착된 보충회수박스의 인위적인 탈착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부에 설치된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입출금모듈의 내부에 장착되고 지폐가 투입/배출되는 개구부를 슬라이딩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도어의 개폐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된 도어의 일측을 구속하여 위치를 고정해주는 제1락킹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와 연동작동되며 상기 몸체하우징을 상기 지폐입출금모듈에 고정/해제시켜주는 제2락킹부재; 상기 제1, 2락킹부재가 양단에 제각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부가 힌지결합되는 선회부재; 상기 선회부재를 일정각도 회전시켜가며 상기 제1, 2락킹부재를 직선왕복이동시켜주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융자동화기기, 보충회수박스, 탈착방지, 링크

Description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Position fixing device for bill stacking box}
본 발명은 지폐저장박스의 이탈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입출금모듈에 장착된 보충회수박스의 인위적인 탈착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부에 설치된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금융서비스 메뉴 및 거래상황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부와 함께 고객이 입출금거래를 위해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할 수 있는 지폐입출금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폐입출금장치를 통해 고객이 현금 입출금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보충회수박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는 고객이 입출금을 위하여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10)와, 상기 입출금부(10)를 통해 입출금되 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20)와, 상기 반송로(20) 상에 설치되어 지폐의 이상 유무를 감별하는 감별부(30)와, 상기 감별부(30)를 거친 후 입금된 지폐가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일시저장부(40)와, 고객으로부터 입금된 지폐가 적재되고 적재된 지폐가 출금됨으로써 환류기능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리사이클박스(50)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리사이클박스(50)와는 별도로 보충회수박스(60)가 구비된다. 상기 보충회수박스(60)는 리사이클박스(50)에 필요한 지폐를 보충하거나, 리사이클박스(50)에 저장된 지폐를 회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보충회수박스(60)의 내부 상측에는 픽업롤러, 피드롤러, 가이드롤러로 이루어진 지폐분리부(61)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보충회수박스(60)의 상면에는 개구부(60a)를 개폐시키는 도어(63)가 구비되어, 보충회수박스(60)를 지폐입출금모듈(1)에 장착한 후 도어(63)를 개방시켜줌으로써 개구부(60a)를 통해 지폐의 투입/배출 등의 해당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보충회수박스(60)는 지폐입출금모듈(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기기가 운용되고 있는 도중에 보충회수박스(60)가 인위적으로 탈착되거나 슬라이딩 개방된 도어(63)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율적인 잠금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지폐입출금모듈에 장착된 보충회수박스의 인위적인 탈착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부에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 지폐입출금모듈의 내부에 장착되고 지폐가 투입/배출되는 개구부를 슬라이딩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도어의 개폐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된 도어의 일측을 구속하여 위치를 고정해주는 제1락킹부재; 상기 제1락킹부재와 연동작동되며 상기 몸체하우징을 상기 지폐입출금모듈에 고정/해제시켜주는 제2락킹부재; 상기 제1, 2락킹부재가 양단에 제각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부가 힌지결합되는 선회부재; 상기 선회부재를 일정각도 회전시켜가며 상기 제1, 2락킹부재를 직선왕복이동시켜주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락킹부재와 제2락킹부재 중 어느 한곳에는 당김 작동되었던 솔레노이드의 작동축을 원상복귀시킬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락킹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하우징에 구비된 지폐분리부의 종동기어를 통해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차단시킬 수 있도록 중계기어가 구비된 클러치수단이 연동 작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이 상기 지폐입출금모듈에 장착된 경우에 링크부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지폐입출금모듈에 장착된 몸체하우징 및 개방된 도어의 위치를 고정해줌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가 운용되고 있는 도중에 보충회수박스가 인위적으로 탈착되거나, 슬라이딩 개방된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기를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의 측면도 및 작동상태도 이 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는, 몸체하우징(110), 링크부(130), 구동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하우징(110)은 보충회수박스(100)의 주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몸체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지폐가 투입/배출되는 개구부(110a)를 슬라이딩 개폐하는 도어(111)가 구비된다. 그리고 몸체하우징(110)의 전면에는 내부의 지폐저장공간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전면도어(113)가 힌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몸체하우징(110)이 지폐입출금모듈(1)에 장착되는 보충회수박스(100)의 인위적인 탈착을 방지함과 아울러 개구부(110a)를 개방시키는 도어(111)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하우징(110)의 일측에는 복수의 부재가 연동설치되어 작동되는 링크부(130)가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링크부(130)는 제1락킹부재(131), 제2락킹부재(133), 선회부재(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락킹부재(131)는 몸체하우징(110)의 일측에 도어(111)의 개폐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선단에 형성된 걸림부(131a)가 슬라이딩 개방된 도어(111)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111a)를 구속해줌으로써 그 위치를 고정해주게 된다. 이에 따라 금융자동화기기의 작동중에는 상기 도어(111)가 닫히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락킹부재(131)에는 후술할 선회부재(135)를 매개로 제2락킹부재(133)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락킹부재(133)는 지폐입출금모듈(1) 에 장착된 몸체하우징(110)의 위치를 고정/해제시켜주는 것으로, 상기 제2락킹부재(133)의 끝단이 몸체하우징(110)의 하측으로 전진 작동되면서 그 선단에 형성된 걸림부(133a)가 지폐입출금모듈(1)내에 구비된 결합홈(3)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몸체하우징(110)의 위치를 고정해주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 2락킹부재(131)(133)은 선회부재(135)의 양단에 제각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회부재(135)는 중심부가 힌지축(135a)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선회부재(135)의 선회작동에 의해 제1, 2락킹부재(131)(133)의 연동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링크부(13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50)의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왕복이 이루어지면서 작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150)는 솔레노이드(15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151)는 선회부재(135)의 일측에 작동축(153)이 연결되어 당김 작동시 제1락킹부재(131)와 제2락킹부재(133)가 전진작동되면서 상기 도어(111) 및 몸체하우징(110)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락킹부재(131)와 제2락킹부재(133) 중 어느 한곳에는 당김 작동되었던 솔레노이드(151)의 작동축(153)을 원상복귀시킬 수 있도록 탄성부재(155)가 연결 설치된다. 즉, 구동부(150)의 동력이 차단되면 전진작동되었던 제1락킹부재(131)와 제2락킹부재(133)는 탄성부재(15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퇴하게 되면서 도어(111) 및 몸체하우징(110)의 위치고정이 해제된다.
한편, 상기 몸체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지폐의 투입/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 도록 또 다른 지폐분리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지폐분리부(170)는 구동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종동기어(171)가 회전되면서 작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지폐분리부(170)가 몸체하우징(110)이 지폐입출금모듈(1)에 장착 고정된 상태에서만 작동 즉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2락킹부재(133)의 일측에는 복수의 링크부재에 의해 연동 작동가능하게 설치된 클러치수단(190)이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러치수단(190)은 지폐분리부(170)의 종동기어(171)를 통해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차단시킬 수 있도록 작동부재(191)가 힌지축(191a)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작동부재(191)에는 중계기어(193)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151)의 작동에 의해 링크부(130)가 작동되어 몸체하우징(110) 및 도어(111)가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2락킹부재(133)와 연동가능하게 설치된 중계기어(193)가 지폐분리부(170)의 종동기어(171)와 치합되면서 구동모터의 동력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150)는 몸체하우징(110)이 지폐입출금모듈(1)에 장착된 경우에 링크부(130)와 연결되어 작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는, 복수의 링크부(130)와 구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몸체하우징(110) 및 개방된 도어(111)의 위치를 고정해줌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가 운용되고 있는 도중에 보충회수박스(100)가 인위적으로 탈착되거나, 슬라이딩 개방된 도어(111)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보충회수박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의 측면도 및 작동상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충회수박스 110 : 몸체하우징
130 : 링크부 131 : 제1락킹부재
133 : 제2락킹부재 135 : 선회부재
150 : 구동부 151 : 솔레노이드
170 : 지폐분리부 190 : 클러치수단
191 : 작동부재 193 : 중계기어

Claims (4)

  1. 지폐입출금모듈의 내부에 장착되고 지폐가 투입/배출되는 개구부를 슬라이딩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도어의 개폐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된 도어의 일측을 구속하여 위치를 고정해주는 제1락킹부재;
    상기 제1락킹부재와 연동작동되며 상기 몸체하우징을 상기 지폐입출금모듈에 고정/해제시켜주는 제2락킹부재;
    상기 제1, 2락킹부재가 양단에 제각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부가 힌지결합되는 선회부재;
    상기 선회부재를 일정각도 회전시켜가며 상기 제1, 2락킹부재를 직선왕복이동시켜주는 구동부;
    상기 몸체하우징에 구비된 지폐분리부의 종동기어를 통해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락킹부재의 일측에 연동 작동가능하게 설치된 중계기어가 구비된 클러치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락킹부재와 제2락킹부재 중 어느 한곳에는 당김 작동되었던 솔레노이드의 작동축을 원상복귀시킬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이 상기 지폐입출금모듈에 장착된 경우에 링크부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
KR1020090136371A 2009-12-31 2009-12-31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 KR101629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371A KR101629016B1 (ko) 2009-12-31 2009-12-31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371A KR101629016B1 (ko) 2009-12-31 2009-12-31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353A KR20110079353A (ko) 2011-07-07
KR101629016B1 true KR101629016B1 (ko) 2016-06-10

Family

ID=4491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371A KR101629016B1 (ko) 2009-12-31 2009-12-31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365A (ko)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보관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225B1 (ko) 2014-04-07 2016-02-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공압화학 이미턴스 분광법 및 공압화학 단속적정법을 이용하여 수소저장소재의 화학확산계수 및 반응속도론적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 및 분석시스템
KR101592230B1 (ko) 2015-12-11 2016-02-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공압화학 이미턴스 분광법 및 공압화학 단속적정법을 이용하여 수소저장소재의 화학확산계수 및 반응속도론적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 및 분석시스템
KR101592229B1 (ko) 2015-12-11 2016-02-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공압화학 이미턴스 분광법 및 공압화학 단속적정법을 이용하여 수소저장소재의 화학확산계수 및 반응속도론적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 및 분석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4483B2 (ja) * 1990-11-21 1999-03-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自動入出金機の紙幣収納カセット
KR960001411Y1 (ko) * 1993-09-09 1996-02-15 최복식 현금 자동지급기 보관 캐비닛
JPH1021443A (ja) * 1996-06-28 1998-01-23 Toshiba Corp 紙幣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365A (ko)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353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268B1 (ko) 지폐취급장치
KR101056808B1 (ko) 지폐 취급 장치
US6533261B2 (en) Bill receiving/dispensing box
JP5384278B2 (ja) 紙幣取扱装置
KR20000047974A (ko) 지폐입출금기
JP2011233084A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629016B1 (ko)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
EP3089124B1 (en) Financial device
KR100926856B1 (ko) 금융자동화기기용 회수함 구조
KR101046452B1 (ko) 지엽류 분리 집적 장치
WO2014087826A1 (ja) 媒体処理装置
JP3451988B2 (ja) 紙幣カセット
KR101016460B1 (ko) 회수기능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회수함
KR101046821B1 (ko) 카세트의 푸쉬플레이트 잠금장치
KR10154830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취출장치 및 방법
KR10103556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 장치 및 방법
CN103021075A (zh) 上锁装置和现金自动交易装置
KR10104132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푸쉬장치
KR20120078306A (ko) 지폐입출금부의 프론트 플레이트와 백 플레이트 구동장치
JPH058273Y2 (ko)
JP5487278B2 (ja) 紙幣入出金装置
KR101738819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JPH1027274A (ja) 紙幣自動入出金装置
WO2022176178A1 (ja) 紙葉類取扱装置
JP5670596B2 (ja) 紙幣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