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688B1 -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688B1
KR101628688B1 KR1020140173824A KR20140173824A KR101628688B1 KR 101628688 B1 KR101628688 B1 KR 101628688B1 KR 1020140173824 A KR1020140173824 A KR 1020140173824A KR 20140173824 A KR20140173824 A KR 20140173824A KR 101628688 B1 KR101628688 B1 KR 101628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head
display image
output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병직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3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센서부가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메모리부로부터 현재 설정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추출하고, 출력 위치에 대응하여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장애물과의 거리와 출력 거리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HEAD UP DISPLAY IMAG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오버랩(Overlap)을 방지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은 전자장치의 발달로 차량의 성능이나 안전에 대한 기능이 발전함과 더불어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장치들도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차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운행 정보가 차량이나 비행기의 전면 유리에 나타나도록 설계된 장치로서, 초기에는 비행기 조종사의 전방 시야를 확보해 주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최근에는 사고 감소를 위해 차량에도 도입되고 있다.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내비게이션과 연동하여 경로 변경을 안내하는 화살표 정보, 속도 등을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 등의 다양한 차량 정보를 윈드실드 글래스(Windshield Glass) 상에 또는 윈드실드 글래스 너머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차량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운전자는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방향으로 시선을 옮길 필요가 없고,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된 전방을 바라보면서 주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에 도움이 된다.
또한,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장치들이 차량에 부가되면서 늘어나는 차량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별도의 표시 수단이 필요해짐에 따라서, 이러한 수단들을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요구됨에 따라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59846호(2012.06.11.공개, 발명의 명칭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은, 프로젝터를 통해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을 투사하고 투사된 영상이 거울에 의해서 반사됨에 따라서 운전자가 볼 수 있는 위치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종래에는 왜곡없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서 차량으로부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 이내로 장애물이 접근한 경우에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은 기존과 동일한 거리에 출력되었기 때문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장애물에 오버랩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운전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기 힘들기 때문에, 차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 시선을 옮겨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장애물과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오버랩(Overlap)을 방지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은 센서부가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메모리부로부터 현재 설정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출력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와 상기 출력 거리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영상 촬영부가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되는 장애물 영상을 반영하여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미리 설정된 운전자의 눈높이와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상단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 대응되는 차량 전방의 노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출력 거리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상대적으로 하향된 위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에 대응하여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현재 설정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출력 위치에 대응하는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추출하며,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와 상기 출력 거리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되는 장애물 영상을 반영하여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미리 설정된 운전자의 눈높이와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상단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 대응되는 차량 전방의 노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출력 거리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상대적으로 하향된 위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장애물과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오버랩(Overlap)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자의 혼란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는 센서부(10), 제어부(20), 메모리부(50)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70)를 포함한다.
센서부(10)는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후술하는 제어부(2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0)는 레이더(미도시)나 초음파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재하지 않은 기타 다양한 장치를 통해서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20)는 차량 전방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70)를 제어하되,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되는 차량 전방의 위치와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반영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센서부(10)에 의해 측정되는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되는 위치를 비교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장애물과 오버랩(Overlap)되어 출력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즉, 차량으로부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되는 거리 이내에 보행자나 또 다른 차량과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장애물에 표시되어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되는 위치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메모리부(50)로부터 현재 설정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출력 위치에 대응하여 메모리부(50)에 저장된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추출하며, 장애물과의 거리와 상기 출력 거리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도록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70)를 제어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달리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기 때문에, 제어부(20)는 우선 이전의 변경으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현재 출력되는 위치를 추출한다.
이 때, 출력 거리는 미리 설정된 운전자의 눈높이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상단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 대응되는, 차량 전방의 노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운전자의 눈높이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을 가상으로 연결하였을 때,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상단부와 운전자의 눈높이를 연결한 선이 차량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장 먼 전방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출력 거리는 운전자의 눈높이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상단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 대응되는 차량 전방의 노면까지의 거리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메모리부(50)로부터 추출되는 출력 거리와 장애물과의 거리를 비교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한다.
즉,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되는 위치에 따라서 해당 영상이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응되는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부(50)를 포함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에 대응하여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저장해 둘 수 있다.
특히 출력 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산되어 메모리부(50)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격자무늬 바닥에 차량을 위치시키고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미리 설정된 운전자의 눈높이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이 차량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격자무늬와 접하는지 반복 실험을 통해 출력 거리를 연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운전자의 눈높이는 일반적인 성인의 눈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의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운전자의 눈을 감지하여 눈높이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미리 설정된 운전자의 눈높이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상단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 운전자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까지의 거리, 운전자의 눈높이 등을 반영한 삼각함수를 통해서 출력 거리를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기재하지 않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서도 출력 거리를 연산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전방의 장애물에 오버랩되어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현재 설정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 거리를 추출하고, 그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센서부(10)를 통해 측정되는 장애물과의 거리와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해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되는 출력 거리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가 추출된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한다.
즉,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가 추출된 출력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은 장애물보다 차량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출력되기 때문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장애물에 오버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가 추출된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가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상대적으로 하향된 위치로 변경하도록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70)를 제어함으로써,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과 장애물의 오버랩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0)는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짧을수록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에서는 센서부(10)에 의해 측정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반영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실시예는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3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20)는 영상 촬영부(30)에 의해 촬영되는 장애물 영상을 반영하여 센서부(10)에 의해 측정되는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영상 촬영부(30)를 통해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촬영하고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연산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상하 방향 흔들림으로 인해서 종방향에 대한 거리 연산값에는 어느 정도 오차가 포함된다.
한편, 레이저 등을 통해 직접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경우에는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가 돌아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통해 장애물과의 거리를 연산한다.
이 때, 레이저는 차량의 전방 범퍼에 장착되기 때문에 차량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영상 촬영부(30)에 비해서 장애물에 대한 종방향 측정값의 정확도가 높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연산할 때, 센서부(10)를 통해 측정되는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 중 종방향 정보, 및 영상 촬영부(30)를 통해 연산되는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 중 횡방향 정보를 종합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확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메모리부(50)는 현재 설정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에 대응하는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가 저장되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와 출력 거리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변경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메모리부(50)는 제어부(20)에 의해서 현재 설정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 및 전술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에 대응하는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0)는 메모리부(50)로부터 해당 출력 거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촬영부(70)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을 출력하고,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반영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70)의 프로젝터(72) 또는 거울(74)의 각도나 위치를 조절한다.
도 2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프로젝터(72)에서 투사된 영상의 경로가 거울(74)에서 변경되어 출력되는데, 프로젝터(72) 또는 거울(74)의 각도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거울(74)은 평면 거울(Plane Mirror)(74a)과 비구면거울(Aspherical Mirror)(74b)을 포함하고, 프로젝터(72)에서 투사된 영상의 경로가 평면 거울(74a)에 의해서 변경되고, 경로가 변경된 영상은 비구면 거울(74b)에서 다시 반사되어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공지 또는 기타 공지되지 않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70)는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72) 및 프로젝터(72)로부터 투사된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거울(74)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거울(74)은 평면 거울(74a)과 비구면 거울(74b)을 포함하는데, 평면 거울(74a)은 프로젝터(72)에서 투사된 영상의 경로를 변경하는 역할을 하고, 비구면 거울(74b)은 윈드실드 글래스의 굴곡을 반영하여 경로가 변경된 영상을 반사한다.
즉, 윈드실드 글래스는 완전 평면이 아닌 굴곡진 형태로 구성되어 통과하는 영상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구면 거울(74b)은 윈드실드 글래스의 굴곡을 반영하여 영상을 반사한다.
그리고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프로젝터(72) 또는 거울(74)의 각도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출력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센서부(10)는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한다(S10).
즉,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전방의 고정된 위치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를 반영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메모리부(50)로부터 현재 설정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추출하고(S20), 출력 위치에 대응하여 메모리부(50)에 미리 저장된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추출한다(S30).
즉, 현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어느 위치에 출력되는지에 따라서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의 오버랩 발생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어부(20)는 우선 현재 설정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추출한다.
그리고, 전술한 단계(S30)에서 제어부(20)는 메모리부(50)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운전자의 눈높이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상단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 대응되는, 차량 전방의 노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는 출력 거리를 추출한다.
즉,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되는 위치에 따라서 해당 영상이 차량 전방의 노면에 출력되는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부(50)를 포함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에 대응하여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저장해 둘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장애물과의 거리와 출력 거리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장애물과의 거리가 출력 거리 이하인지 판단하고(S40), 장애물과의 거리가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도록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70)를 제어한다(S50).
즉,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가 추출된 출력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은 장애물보다 차량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출력되기 때문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이 장애물에 오버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가 추출된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한다.
특히, 전술한 단계(S50)에서 제어부(20)는 차량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가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상대적으로 하향된 위치로 변경하도록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70)를 제어함으로써,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과 장애물의 오버랩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장애물과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오버랩(Overlap)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자의 혼란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센서부
20: 제어부
30: 영상 촬영부
50: 메모리부
70: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

Claims (10)

  1. 센서부가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영상 촬영부가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 중 종방향 정보, 및 상기 영상 촬영부를 통해 연산되는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 중 횡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메모리부로부터 현재 설정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출력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확정된 장애물과의 거리와 상기 출력 거리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미리 설정된 운전자의 눈높이와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상단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 대응되는 차량 전방의 노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출력 거리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정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정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상대적으로 하향된 위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6.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에 대응하여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 중 종방향 정보, 및 상기 영상 촬영부를 통해 연산되는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 중 횡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확정하며,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현재 설정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출력 위치에 대응하는 차량 전방의 노면에 대한 출력 거리를 추출하며, 상기 확정된 장애물과의 거리와 상기 출력 거리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미리 설정된 운전자의 눈높이와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상단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 대응되는 차량 전방의 노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출력 거리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정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정된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출력 거리 이하인 경우에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위치를 상대적으로 하향된 위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장치.
KR1020140173824A 2014-12-05 2014-12-05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628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24A KR101628688B1 (ko) 2014-12-05 2014-12-05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24A KR101628688B1 (ko) 2014-12-05 2014-12-05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688B1 true KR101628688B1 (ko) 2016-06-10

Family

ID=5619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824A KR101628688B1 (ko) 2014-12-05 2014-12-05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3063B2 (en) 2017-11-08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visualizing device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115A (ja) * 1993-02-01 1994-08-19 Toyota Motor Corp 車間距離検出装置
JP2004322680A (ja) * 2003-04-21 2004-11-18 Denso Corp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115A (ja) * 1993-02-01 1994-08-19 Toyota Motor Corp 車間距離検出装置
JP2004322680A (ja) * 2003-04-21 2004-11-18 Denso Corp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3063B2 (en) 2017-11-08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visualizing device and method
US11244497B2 (en) 2017-11-08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visualizing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027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a vehicle
US11181743B2 (en) Head up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US11181737B2 (en) Head-up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display items having movement attribute or fixed attribut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6528139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10261316B2 (en) Head-up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5723106B2 (ja) 車両用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車両用ディスプレイ方法
KR102463712B1 (ko) 가상 터치 인식 장치 및 그의 인식 오류 보정 방법
US10409062B2 (en) Vehicle display device
JP6459205B2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JP6225379B2 (ja) 車両情報投影システム
US1180305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non-transitory tangible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for
US10913355B2 (en) Head-up display
KR20180022374A (ko) 운전석과 보조석의 차선표시 hud와 그 방법
JP2018020779A (ja) 車両情報投影システム
KR101628688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826627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안전 운전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873350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628693B1 (ko) Hud 영상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6874769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7062038B2 (ja) 虚像表示装置
KR101637298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4280B1 (ko) 차량 주행방향 기반 hud 시스템
JP2016118859A (ja) 情報表示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519350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의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7436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