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632B1 -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632B1
KR101627632B1 KR1020140039607A KR20140039607A KR101627632B1 KR 101627632 B1 KR101627632 B1 KR 101627632B1 KR 1020140039607 A KR1020140039607 A KR 1020140039607A KR 20140039607 A KR20140039607 A KR 20140039607A KR 101627632 B1 KR101627632 B1 KR 101627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cameras
signal
video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132A (ko
Inventor
주흥로
전정은
이인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엘
Priority to KR1020140039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63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는 비디오 신호와 제1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카메라, 그리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파장을 통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비디오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하나의 파장을 통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하나의 파장을 통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 제2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UNCOMPRESSED MULTIPLEXING VIDEO AND CONTROL SIGNAL}
본 발명은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HD(high definition)급 카메라와 같이 고해상도 카메라를 사용하는 고해상도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으며,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진료를 하거나 고해상도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직접 확인하면서 원하는 기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그런데 HD급 카메라로 촬영된 고화질 비디오 신호(video signal)를 압축하지 않고 전송하기 위해서는, 1.5Gbps ~ 3Gbps의 전송 속도가 필요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기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는 100kbs 이하의 전송 속도를 갖고 있다.
따라서, 고속의 전송 속도를 갖는 고화질 비디오 신호와 저속의 제어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하지만, 저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 저해상도 카메라의 촬영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저화질 비디오 신호는 해상도가 높지 않으므로 비디오 신호의 용량이 크지 않다.
이럴 경우, 저화질 비디오 신호와 저속의 제어 신호는 전기적으로 다중화된 후, 하나의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복수의 비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수십 내지 수백 Mbps의 전기 신호를 만들어 하나의 동축 케이블을 이용해 전송한다.
그러나 압축되지 않은 비압축 고화질 비디오 신호와 저속의 제어 신호는 위에 기재한 방식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전송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전송할 경우, 그 전송 거리는 대략 100미터 정도로 매우 한정적이므로, 장거리로 신호 전송을 위해서는 비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에 대한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한 후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지까지 복수의 비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전송하였다.
다음,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종래의 비디오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각각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카메라(camera)(11-1n), 복수의 카메라(11-1n)에 연결되어 제어부(20), 그리고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모니터(monitor)(31-3n)를 구비한다.
이때, 복수의 카메라(11-1n)는 HD급 카메라로서 고해상도 CCTV 등에 설치된 카메라일 수 있고, 제어 신호에 의해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 상태의 비디오 신호(V1-Vn)를 각각 생성해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제어부(20)는 복수의 카메라(11-1n)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V1-Vn)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모니터(31-3n)로 출력하여 해당 카메라(11-1n)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해당 카메라(11-1n)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각각 해당 카메라(11-1n)로 전송하고 또한 해당 카메라(11-1n)로부터 제어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어부(20)는 도 1과 같이 하나의 제어부(20)를 이용하여 복수의 카메라(11-1n)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지만, 이와는 달리 각 카메라(11-1n) 별로 별개의 제어부가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11-1n)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각 카메라(11-1n)마다 각각 비디오 신호(V1-Vn)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의 전송선, 해당 카메라(11-1n)로 제어 신호(CT11-CT1n)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의 전송선 및 해당 카메라(11-1n)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CR11-CR1n)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전송선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비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기 신호인 비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해야 하므로, 각 카메라(11-1n)와 제어부(20) 사이에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도시하지 않음)이 존재한다.
따라서, 광 신호로 변환된 비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가 광 신호로 변환되면,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광 먹스(MUX)-디먹스(DEMUX)(51, 52)를 통해 다중화한 후 단일 모드 광케이블(single mode fiber, SMF) 등과 같은 광케이블(53)을 통해 해당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처럼 광신호로 각 카메라(11-1n)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각 비디오 신호를 제어부(20)로 전송하기 위한 하나의 파장(λV1-λVn), 해당 카메라(11-1n)에서 제어부(20)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 전송용 파장(λCT11-λCT1n) 및 제어부(20)에서 해당 카메라(11-1n)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 전송용 파장(λCR11- λCR1n)을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카메라(11-1n) 하나가 설치될 때마다 비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의 전송을 위해서는 모두 세 개의 파장(λV1- λVn, λCT11-λCT1n, λCR11-λCR1n)이 필요하게 된다.
그로 인해, 카메라의 설치 대수가 증가할수록 필요한 파장의 개수 역시 3개씩 증가게 되어, 카메라 설치에 많은 부담이 발생하고 원하는 개수만큼의 카메라를 설치하지 못하여 원하는 지역을 효율적으로 감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디오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위한 파장의 개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는 비디오 신호와 제1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카메라, 그리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파장을 통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비디오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하나의 파장을 통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하나의 파장을 통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 제2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카메라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비디오 신호,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광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전 변환부, 상기 제1 광전 변환부에 연결되어 광 신호로 변환된 상기 비디오 신호,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다중하는 제1 광 먹스-디먹스, 상기 제1 광 먹스-디먹스에 연결되어 있는 광 케이블, 상기 광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고 다중화된 상기 비디오 신호,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역다중화하는 제2 광 먹스-디먹스, 그리고 상기 제2 광 먹스-디먹스에 연결되어 있고 역다중화된 상기 비디오 신호,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하나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 광전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특징에 따른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복수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경우 하나의 파장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반대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 역시 하나의 파장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로 인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파장의 개수는 카메라의 개수에 무관하게 2개만 있으면 되므로, 카메라가 추가되더라고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파장의 수는 증가되지 않아도 되므로,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의 설계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송 장치에서 비디오 신호를 위한 파장과 제어 신호를 위한 파장의 전송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전송 장치에서 비디오 신호를 위한 파장과 제어 신호를 위한 파장의 전송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는 각각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카메라(11-1n), 복수의 카메라(11-1n)에 연결되어 제어부(21), 제어부(21)에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 조작부(22), 그리고 제어부(21)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모니터(31-3n)를 구비한다.
복수의 카메라(11-1n)는 HD급 카메라로서 고해상도 CCTV 등에 설치된 카메라일 수 있고, 제어 신호에 의해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 상태의 비디오 신호(V1-Vn)를 각각 생성해 제어부(21)로 출력한다.
제어부(21)는 복수의 카메라(11-1n)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V1-Vn)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모니터(31-3n)로 출력하여 해당 카메라(11-1n)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해당 카메라(11-1n)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카메라 조작부(22)로 입력되면, 입력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카메라(11-1n)로 전송하고 또한 해당 카메라(11-1n)로부터 제어 동작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카메라(11-1n)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다.
이처럼, 각 카메라(11-1n)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비디오 신호(V1-Vn)을 수신하기 위해 각 카메라(11-1n)는 각 전송선을 통해 해당 비디오 신호(V1-Vn)를 제어부(21)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부(21)와 복수의 카메라(11-1n) 사이에는 해당 비디오 신호(V1-Vn)를 전송하는 복수의 전송선이 존재한다.
반면, 각 카메라(11-1n)로부터 제어부(21)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위해서는 하나의 전송선(L1)이 존재하며, 제어부(21)로부터 해당 카메라(11-1n)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전송선(L2)이 존재한다.
따라서, 모든 카메라(11-1n)는 하나의 전송선(L1)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다른 전송선(L2)에도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어, 모든 카메라(11-1n)는 동일한 전송선(L1)을 통해 해당 제어 신호를 제어부(21)로 출력하고, 제어부(21) 역시 유사하게 동일한 전송선(L2)를 이용하여 해당 제어 신호는 해당 카메라(11-1n)로 전송한다.
이미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복수의 카메라(11-1n)와 제어부(21) 사이는 광 통신을 통해 비디오 신호(V1-Vn)와 제어 신호(CT21, CR22)의 전송이 행해진다.
따라서, 카메라(11-1n)에서 출력되고 전기 신호인 비디오 신호(V1-Vn)와 제어 신호(CT21)를 광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전 변환부(도시하지 않음), 제1 광전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V1-Vn)와 해당 제어 신호(CT21)를 다중화하는 제1 광 먹스-디먹스(51), 제1 광 먹스-디먹스(51)와 연결된 광케이블(53), 광 케이블(53)에 연결되어 광 케이블(53)를 통해 전송된 다중화된 신호를 원래 상태로 역다중화하여 복원하는 제2 광 먹스-디먹스(52), 제2 광 먹스-디먹스(52)에 연결되어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로 출력하는 제2 광전 변환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때, 광 케이블(53)은 단일 모드 광케이블일 수 있다.
제어부(21)에서 각 카메라(11-1n)로 해당 제어 신호의 전송이 행해질 경우엔 위의 경로와는 반대로, 제2광전 변환부-제2 광 먹스-디먹스(52)- 광케이블(53)-제1 광 먹스-디먹스(51)-제1 광전 변환부-카메라(11-1n)의 경로를 따라 해당 제어 신호(CR21)의 전송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광신호를 이용한 광통신을 통해 각 카메라(11-1n)와 제어부(21) 간의 비디오 신호(V1-Vn)와 제어 신호(CT21, CR21)의 전송이 행해질 때,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각 카메라(11-1n)에서 출력되는 각 비디오 신호(V1-Vn)를 위한 파장(λV1-λVn), 각 카메라(11-1n)에서 제어부(21)로의 제어 신호(CT21)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 전송용 파장(λCT21) 및 제어부(21)에서 각 카메라(11-1n)로 제어 신호(CR21)를 전송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 전송용 파장(λCR21)이 필요하다.
이때, 파장(λV1-λVn, λCT21, λCR21)의 크기는 각각 상이하다.
즉, 하나의 전송용 파장(λCT21)을 이용하여 모든 카메라(11-1n)에서 제어부(21)로의 해당 제어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고, 하나의 전송용 파장(λCR21)을 이용하여 제어부(21)에서 모든 카메라(11-1n)로의 해당 제어 신호의 전송이 행해진다.
따라서, 카메라가 추가되더라도 추가된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위한 새로운 파장만을 할당하면 되고, 추가된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파장은 기준에 할당된 파장(λCT21, λCR21)을 그대로 이용하여 해당 제어 신호(CT21, CR21)의 전송이 행해진다.
이로 인해, 새로운 카메라의 추가에 대한 부담이 없다.
복수의 모니터(31-3n)는 복수의 카메라(11-1n)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서로 대응되는 해당 카메라(11-1n)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각각 출력하는 출력장치이다.
이러한 복수의 모니터(31-3n)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예와 달라, 복수의 카메라(11-1n)에서 촬영된 영상은 하나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의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21)의 동작이 시작된다(S10).
따라서, 제어부(21)는 카메라 조작부(22)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11-1n) 중에서 하나의 카메라(11-1n)가 선택되는지를 판정한다(S11).
복수의 카메라(11-1n) 중 하나의 카메라(11-1n)가 선택되면, 제어부(2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11-1n)를 판정한다(S12).
따라서, 제어부(21)는 선택된 카메라(11-1n)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판독한 후(S13), 해당 모니터(31-3n)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선택된 카메라(11-1n)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한다(S14).
다음, 제어부(21)는 카메라 조작부(22)의 동작에 의해, 카메라 조작부(22)부터 선택된 해당 카메라(11-1n)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나 해당 카메라(11-1n)에 인접하게 부착된 스피커(speaker)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S15).
이처럼, 제어부(21)에서 해당 파장(λCR21)을 통해 해당 카메라(11-1n)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해당 카메라(11-1n)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해당 카메라(11-1n)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신호, 음성 신호 등일 수 있다.
카메라 조작부(22)로부터 제어 신호가 제어부(21)로 입력되면, 제어부(21)는 입력된 신호를 전송선(L2)를 통해 제어 신호(CR21)로서 해당 파장(λCR21)을 통해 해당 카메라(11)로 출력한다(S16).
이로 인해, 해당 카메라(11-1n)는 전송된 제어 신호(CR21)의 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21)는 해당 카메라(11-1n)로부터 피드백 신호와 같은 제어 신호(CR21)가 전송선(L1)을 통해 해장 파장(λCT21)에 실려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17).
전송선(L1)을 통해 제어 신호(CR21)가 입력되면, 제어부(21)는 정상적으로 제어 신호(CT21)가 해당 카메라(11-1n)나 스피커로 전송된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이때, 제어 신호(CR21)는 전송 확인 신호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1n: 카메라 21: 제어부
22: 카메라 조작부 31-3n: 모니터

Claims (4)

  1. 비디오 신호와 제1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비디오 신호를 각각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전송선,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의 제2 전송선,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카메라 중 해당 카메라로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의 제3 전송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전송선, 상기 하나의 제2 전송선 및 상기 하나의 제3 전송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파장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복수의 비디오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제1 전송선을 통해 각각 수신하고, 하나의 제1 제어신호 전송용 파장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하나의 제2 제어신호 전송용 파장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 제2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카메라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비디오 신호,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광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전 변환부,
    상기 제1 광전 변환부에 연결되어 광 신호로 변환된 상기 비디오 신호,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다중하는 제1 광 먹스-디먹스,
    상기 제1 광 먹스-디먹스에 연결되어 있는 광 케이블,
    상기 광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고 다중화된 상기 비디오 신호,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역다중화하는 제2 광 먹스-디먹스, 그리고
    상기 제2 광 먹스-디먹스에 연결되어 있고 역다중화된 상기 비디오 신호,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 중 하나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 광전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파장, 상기 하나의 제1 제어신호 전송용 파장 및 상기 하나의 제2 제어신호 전송용 파장의 크기는 각각 상이한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
KR1020140039607A 2014-04-02 2014-04-02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 KR101627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607A KR101627632B1 (ko) 2014-04-02 2014-04-02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607A KR101627632B1 (ko) 2014-04-02 2014-04-02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132A KR20150115132A (ko) 2015-10-14
KR101627632B1 true KR101627632B1 (ko) 2016-06-08

Family

ID=5435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607A KR101627632B1 (ko) 2014-04-02 2014-04-02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6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019A (ja) 2000-03-14 2001-09-21 Toshiba Corp 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2002271776A (ja) 2001-03-08 2002-09-20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監視システム
JP2003298917A (ja) 2002-04-05 2003-10-17 Sony Corp 無線撮像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001B1 (ko) * 2011-03-23 2013-01-17 케이에스야나세산업 주식회사 다채널 다시선 파노라마 씨씨티브이를 이용하는 영상전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019A (ja) 2000-03-14 2001-09-21 Toshiba Corp 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2002271776A (ja) 2001-03-08 2002-09-20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監視システム
JP2003298917A (ja) 2002-04-05 2003-10-17 Sony Corp 無線撮像装置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132A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6863B2 (en) Imaging apparatus, phase control method, and synchronization method
KR101682982B1 (ko) Cctv 영상신호 ip 전송기 및 전송시스템
US8587678B2 (en) Head-separated camera device with switchable clocking
KR101594793B1 (ko) 광전송 시스템
JP6881711B2 (ja) 双方向信号伝送装置
KR101627632B1 (ko)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
CN206879009U (zh) 一种多路hd‑sdi压缩复用光端机及远程传输系统
KR20140115057A (ko) 동축케이블을 통해 압축된 고해상도 디지털 비디오 신호 전송이 가능한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
JP5162719B1 (ja) 光伝送システム
KR200419693Y1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광 비디오 전송시스템
JP4258778B2 (ja) 映像信号切換えシステム
JP2011182332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US8655141B2 (en) Video transmission apparatus, video receiving apparatus and video transmission system
JP4055456B2 (ja) カメラヘッドユニット、カメラ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WO2014046339A1 (ko) Cctv 영상촬영 카메라, cctv 영상압축 전송장치, cctv 영상관리 단말기, cctv 영상 중계 단말기, 그리고, cctv 영상관리 시스템
CN202551185U (zh) 光传输相机和图像光传输系统
KR20150079524A (ko) Cctv 영상 압축 전송장치, cctv 영상관리 단말기, 그리고, cctv 영상 전송 시스템
JP2008219223A (ja) 監視システム
KR101609876B1 (ko) Cctv 영상 및 제어신호 송수신 유닛, cctv 영상 및 제어신호 송수신 관리장치 및 cctv 영상 및 제어신호 송수신 방법
JP2006217387A (ja) 放送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3251675A (ja) カメラ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JPH09238278A (ja) 撮像装置システム
WO2014046338A1 (ko) Cctv 영상관리 단말기와 cctv 영상 관리 시스템
KR20140115058A (ko) 동축케이블을 통해 압축된 고해상도 디지털 비디오 신호 전송이 가능한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KR101054563B1 (ko) 효율적 utp 케이블 구성이 가능한 utp 영상전송 시스템, 그 제공방법, 및 utp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