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882B1 - 선별기용 계량컵 - Google Patents

선별기용 계량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882B1
KR101626882B1 KR1020140185804A KR20140185804A KR101626882B1 KR 101626882 B1 KR101626882 B1 KR 101626882B1 KR 1020140185804 A KR1020140185804 A KR 1020140185804A KR 20140185804 A KR20140185804 A KR 20140185804A KR 101626882 B1 KR101626882 B1 KR 101626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assembled
lower base
cup
measur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영자
백운하
Original Assignee
백영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자 filed Critical 백영자
Priority to KR1020140185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2Weigh pans or other weighing receptacles; Weigh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16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22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by tilting or rotating the weigh recepta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77/00Weighing scales
    • Y10S177/09Scale bea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 계량컵은 하부 베이스(10), 계량부(20), 및 절곡부(30)로 이루어지는 계량컵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10)는 세로 방향 한 단부에 돌출부(15)를 일체로 형성하고, 반대쪽 단부에는 볼트구멍(16)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15)가 삽입되는 홈(45)을 형성하도록 절곡된 단부(44)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16)과 일치되도록 볼트구멍(46)이 형성되며, 체인(50)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대(51a, 51b) 사이에 삽입되도록 결합부(49)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9)에는 볼트구멍(52a, 52b)과 일치하도록 볼트구멍(41)이 형성되는 결합부재(40)를 포함한다. 선별기 체인(50) 위에 결합부재(40)만을 조립한다. 결합부재(40)의 결합부(49)를 한 쌍의 지지대(51a, 51b) 사이에 삽입시킨 후, 볼트구멍(41, 52a, 52b)을 통하여 볼트(42)로써 조립한다. 결합부재(40)를 체인(50) 위에 조립한 후, 하부 베이스(10)의 돌출부(15)를 결합부재(40)의 홈(45)에 삽입시키고, 반대쪽에서 볼트구멍(16, 46)을 통하여 볼트(17)로써 조립시킨다.

Description

선별기용 계량컵{Measuring Cup for Sorter}
본 발명은 과일이나 농산물을 크기(중량)에 따라 선별하기 위한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선별기의 콘베이어 체인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는 계량컵에 관한 것이다.
사과, 배, 감 등과 같은 과일이나 참외, 토마토, 감자 등과 같은 농산물은 중량에 따라 분류하여 상품화된다. 과일이나 농산물을 중량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하는 선별기는 여러 형태로 개발되어 많은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선별기는 공통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계량컵이 부착된 콘베이어 벨트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계량컵에 놓인 물체의 중량을 측정하여 중량별로 분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계량컵에는 과일이나 농산물 같은 물체가 낱개씩 공급되어 중량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된다. 즉 계량컵에 놓인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세팅된 무게에 따라 계량컵이 자동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면, 물체를 무게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분류장치는 선별기 분야에서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선별기의 콘베이어 체인에 부착되는 계량컵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선별기 콘베이어 체인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계량컵(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2도는 선별기의 콘베이어 체인(50)에 조립된 한 쌍의 지지대(51a, 51b)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지지대(51) 사이에 계량컵(100)이 조립되어 고정된다. 지지대(51)는 콘베이어 체인(50)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결국 계량컵(100)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계량컵(100)이라 함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10), 계량부(20), 및 절곡부(30)로 크게 구성된다.
하부 베이스(10)에는 결합부(11)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결합부(11)가 체인(50)에 고정된 지지대(51)에 결합된다.
계량부(20)는 소정의 유격을 갖고 하부 베이스(10)에 조립되기 때문에 상하로 그 유격만큼 이동이 가능하다. 계량부(20)의 하부는 로드셀(load cell)(62)에 조립된 로드셀 베이스(61)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계량부(20)의 상부에는 절곡부(30)가 나사축(33)에 의하여 조립된다.
절곡부(30)는 컵(31)과 레버(32)를 포함한다. 레버(32)를 선별기의 작동에 따라 작동시키면 컵(31)과 절곡부(30)는 나사축(33)을 중심으로 기울어진다. 이때 컵(31)에 위치하였던 물체가 낙하한다. 레버(32)를 선별기의 작동에 따라 원위치시키면 기울어졌던 컵(31)과 절곡부(30)는 정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선별기의 구성과 작동원리는 본 발명자의 선특허인 특허 제749797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특허 제749797호에 기재된 계량컵이 체인(50)에 결합된 구조는 제3도에 도시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 제749797호의 계량컵(100)은 하부 베이스(10)의 한 측부에 결합부(11)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계량컵(100)이 한 측부에 의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종래의 선별기는 작업 중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우선 선별하고자 하는 물체가 컵(31)에 놓이는 경우, 계량컵(100)의 안정성이 미흡하여 떨림현상이 발생한다. 떨림현상이 발생하면 로드셀(62)에 의해 감지되는 물체의 무게가 정확하지 않게 되어 기계에서 오작동이 발생한다. 오작동이 발생하면 선별하고자 하는 물체를 중량별로 정확히 선별할 수 없다. 또한 계량컵(100)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조립되기 때문에 반복되는 물체의 하중에 의하여 계량컵(100)이 고장날 확률이 높아진다.
나아가, 종래의 계량컵(100)은 조립부(11)가 하부 베이스(10)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분해나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계량컵(100)이 고장나서 교체해야 하는 경우 A/S 시간이 길어진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계량컵(100)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계량컵(100)의 중앙부가 체인(50) 위에 결합되도록 한 본 발명의 새로운 계량컵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선별기 계량컵(100)이 한 측부에 의하여 체인(50)과 결합하기 때문에 선별작업 중에 발생하는 떨림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새로운 계량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선별기 계량컵(100)이 한 측부에 의하여 체인(50)과 결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잦은 고장을 제거하기 위하여 선별기 계량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분해나 조립이 용이하여, 결국 제조비용과 A/S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계량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 계량컵은 하부 베이스(10), 계량부(20), 및 절곡부(30)로 이루어지는 계량컵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10)는 세로 방향 한 단부에 돌출부(15)를 일체로 형성하고, 반대쪽 단부에는 볼트구멍(16)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15)가 삽입되는 홈(45)을 형성하도록 절곡된 단부(44)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16)과 일치되도록 볼트구멍(46)이 형성되며, 체인(50)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대(51a, 51b) 사이에 삽입되도록 결합부(49)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9)에는 볼트구멍(52a, 52b)과 일치하도록 볼트구멍(41)이 형성되는 결합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과 같이 계량컵(100)의 하단 중앙부가 체인(50)과 조립되기 위해서는 선별기 본체에 설치된 로드셀 베이스(61)도 제3도의 "─"자형에서 제4도의 “
Figure 112014124205665-pat00001
"자형으로 변형되어야 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컵을 선별기 체인(50)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선별기 체인(50) 위에 결합부재(40)만을 조립한다. 결합부재(40)의 결합부(49)를 한 쌍의 지지대(51a, 51b) 사이에 삽입시킨 후, 볼트구멍(41, 52a, 52b)을 통하여 볼트(42)로써 조립한다.
결합부재(40)를 체인(50) 위에 조립한 후, 하부 베이스(10)의 돌출부(15)를 결합부재(40)의 홈(45)에 삽입시키고, 반대쪽에서 볼트구멍(16, 46)을 통하여 볼트(17)로써 조립시킨다. 제6도의 하부베이스(10) 상부에는 계량부(20)와 절곡부(30)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계량부(20)와 절곡부(30)가 모두 조립된 하부베이스(10)를 체인(50)에 조립한다.
계량컵(100)을 교체하고자 하여 분해하는 경우에는, 볼트(17)만을 해제하면 계량컵(100)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별기 계량컵(100)은 하부 베이스(10)의 중앙부가 체인(50)과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선별작업 중에 발생하는 떨림현상을 제거하고, 계량컵(100)을 안정적인 이동시킴으로써 잦은 고장을 제거하며, 분해나 조립이 용이하여, 결국 제조비용과 A/S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선별기 계량컵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제1도는 종래의 선별기 콘베이어 체인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계량컵(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2도는 선별기의 콘베이어 체인(50)에 조립된 한 쌍의 지지대(51a, 51b)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도는 종래 계량컵(100)의 하부 베이스(10) 한 측부에 형성된 결합부(11)가 체인(50)에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컵(100)의 하부 베이스(10) 중앙부가 체인(50)에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컵(100)의 하부 베이스(10)를 그 중앙부에서 체인(50)과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4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컵(100)을 선별기 체인(50)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과일이나 농산물을 크기(중량)에 따라 선별하기 위한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선별기의 콘베이어 체인(50)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되어 부착되는 계량컵(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의 선특허인 특허 제749797호에 따른 계량컵(100)은 하부 베이스(10) 한 측부에서 체인(50)과 조립된다. 이처럼 계량컵(100)이 하부 베이스(10)의 측부에서 조립되어 콘베이어 벨트와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과일이나 농산물의 선별작업 중에 떨림현상이 발생하고, 그 결과 잦은 고장을 일으키며, 나아가 분해나 조립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비용과 A/S 교체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다.
본 발명은 선별기 계량컵(100)의 하부 베이스(10) 중앙부가 체인(50)과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선별작업 중에 발생하는 떨림현상을 제거하고, 계량컵(100)을 안정적인 이동시킴으로써 잦은 고장을 제거하며, 분해나 조립이 용이하여, 결국 제조비용과 A/S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선별기 계량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선별기 계량컵(100)은, 제1도,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10), 계량부(20), 및 절곡부(30)로 크게 구성된다.
하부 베이스(10)는 그 상부쪽으로 계량부(20)와 절곡부(30)가 조립되고, 그 하부쪽으로는 체인(50)과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계량부(20)는 소정의 유격을 갖고 하부 베이스(10)에 조립되기 때문에 상하로 그 유격만큼 이동이 가능하다. 계량부(20)의 하부는 로드셀(load cell)(62)에 조립된 로드셀 베이스(61)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계량부(20)의 상부에는 절곡부(30)가 나사축(33)에 의하여 조립된다.
절곡부(30)는 컵(31)과 레버(32)를 포함한다. 레버(32)를 선별기의 작동에 따라 작동시키면 컵(31)과 절곡부(30)는 나사축(33)을 중심으로 기울어진다. 이때 컵(31)에 위치하였던 물체가 낙하한다. 레버(32)를 선별기의 작동에 따라 원위치시키면 기울어졌던 컵(31)과 절곡부(30)는 정위치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선별기 계량컵(100)에서 하부 베이스(10)를 개조한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4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결합부재는 상부에서는 하부 베이스(10)와 결합하고, 하부에서는 체인(50)과 결합한다. 이 결합부재는 하부 베이스와 같은 합성수지 성형물로 제조할 수 있다. 하부 베이스(10)는 결합부재(40)와 조립될 수 있도록 세로 방향 중앙 단부에 돌출부(15)를 일체로 형성하고, 반대쪽 단부에는 볼트구멍(16)을 형성한다.
결합부재(40)에는 상기 돌출부(15)가 삽입되는 홈(45)을 형성하도록 절곡된 단부(44)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16)과 일치되도록 볼트구멍(46)이 형성되며, 체인(50)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대(51a, 51b) 사이에 삽입되도록 결합부(49)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9)에는 볼트구멍(52a, 52b)과 일치하도록 볼트구멍(41)이 형성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컵(100)의 하부 베이스(10) 중앙부가 체인(50)에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컵(100)의 하단 중앙부가 체인(50)과 조립되기 위해서는 선별기 본체에 설치된 로드셀 베이스(61)도 제3도의 "─"자형에서 제4도의 “
Figure 112014124205665-pat00002
"자형으로 변형되어야 한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컵을 선별기 체인(50)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선별기 체인(50) 위에 결합부재(40)만을 조립한다. 결합부재(40)의 결합부(49)를 한 쌍의 지지대(51a, 51b) 사이에 삽입시킨 후, 볼트구멍(41, 52a, 52b)을 통하여 볼트(42)로써 조립한다. 결합부재(40)를 체인(50) 위에 조립한 후, 하부 베이스(10)의 돌출부(15)를 결합부재(40)의 홈(45)에 삽입시키고, 반대쪽에서 볼트구멍(16, 46)을 통하여 볼트(17)로써 조립시킨다.
제6도의 하부베이스(10) 상부에는 계량부(20)와 절곡부(30)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계량부(20)와 절곡부(30)가 모두 조립된 하부베이스(10)를 체인(50)에 조립한다. 계량컵(100)을 교체하고자 하여 분해하는 경우에는, 볼트(17)만을 해제하면 계량컵(100)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선별기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중량을 측정하는 선별기와 중량추를 이용하여 중량을 측정하는 선별기로 크게 구분된다. 본 발명의 계량컵은 이 두 종류의 선별기에 모두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하부 베이스 11: 결합부
15: 돌출부 16: 볼트구멍
17: 볼트 20: 계량부
30: 절곡부 31: 컵
32: 레버 33: 나사축
40: 결합부재 41: 볼트구멍
42, 43: 볼트 44: 단부
45: 홈 46: 볼트구멍
49: 결합부 50: 체인
51a, 51b: 지지대 52a, 52b: 볼트 구멍
53: 볼트 61: 로드셀(load cell) 베이스
62: 로드셀 100: 계량컵

Claims (2)

  1. 하부 베이스(10), 계량부(20), 및 절곡부(30)로 이루어지는 계량컵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10)는 세로 방향 중앙 단부에 돌출부(15)를 일체로 형성하고, 반대쪽 단부에는 볼트구멍(16)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15)가 삽입되는 홈(45)을 형성하도록 절곡된 단부(44)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16)과 일치되도록 볼트구멍(46)이 형성되며, 체인(50)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대(51a, 51b) 사이에 삽입되도록 결합부(49)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9)에는 볼트구멍(52a, 52b)과 일치하도록 볼트구멍(41)이 형성되는 결합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40)의 결합부(49)를 한 쌍의 지지대(51a, 51b) 사이에 삽입시킨 후, 볼트구멍(41, 52a, 52b)을 통하여 볼트(42)로써 조립하고, 결합부재(40)를 체인(50) 위에 조립한 후, 하부 베이스(10)의 돌출부(15)를 결합부재(40)의 홈(45)에 삽입시키고, 반대쪽에서 볼트구멍(16, 46)을 통하여 볼트(17)로써 조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 계량컵.

  2. 삭제
KR1020140185804A 2014-12-22 2014-12-22 선별기용 계량컵 KR101626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804A KR101626882B1 (ko) 2014-12-22 2014-12-22 선별기용 계량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804A KR101626882B1 (ko) 2014-12-22 2014-12-22 선별기용 계량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882B1 true KR101626882B1 (ko) 2016-06-03

Family

ID=5619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5804A KR101626882B1 (ko) 2014-12-22 2014-12-22 선별기용 계량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8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612A (ja) * 1984-09-06 1986-04-03 Iseki & Co Ltd 重量選別装置
KR200184677Y1 (ko) * 1999-12-28 2000-06-01 주식회사한성엔지니어링 과일선별기용 버킷
KR100749797B1 (ko) * 2006-06-02 2007-08-17 배명자 선별기용 계량컵
KR101004403B1 (ko) * 2010-05-27 2010-12-28 (주)청석엔지니어링 방음판용 프레임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612A (ja) * 1984-09-06 1986-04-03 Iseki & Co Ltd 重量選別装置
KR200184677Y1 (ko) * 1999-12-28 2000-06-01 주식회사한성엔지니어링 과일선별기용 버킷
KR100749797B1 (ko) * 2006-06-02 2007-08-17 배명자 선별기용 계량컵
KR101004403B1 (ko) * 2010-05-27 2010-12-28 (주)청석엔지니어링 방음판용 프레임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38098B (zh) 一种小型果蔬称重分选装置
CN207254771U (zh) 一种高效率重量自动分选装置
US9347607B2 (en) Seed processing device
KR101626882B1 (ko) 선별기용 계량컵
KR20150078718A (ko) 농산물 선별기
US2549316A (en) Sorting apparatus
US9987664B1 (en) Item size grader
KR102061279B1 (ko) 개량된 환형 이송구조를 갖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
KR101836444B1 (ko) 과일선별기
CA2989225C (en) A singulating vibration feeder
KR20190125044A (ko) 중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별 시스템
CN103424357A (zh) 检查装置、检查方法、光通过单元及安装构件
JP2019000770A (ja) 農産物の選別装置
KR102051007B1 (ko)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
CN111003269A (zh) 称重包装机
CN210972927U (zh) 一种拨盘传动装置
CN109834056B (zh) 一种全自动水果分拣方法
Adams ANP row sensitivity and the resulting influence analysis
KR200298866Y1 (ko)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US2433575A (en) Device for grading articles according to weight by step-by-step vibrationless advancement over a plurality of scales
JP6734530B2 (ja) 物品選別装置
JPH07284734A (ja) ウエイトサイザ−の受皿取付装置
US497599A (en) pease
CN218743263U (zh) 一种水果自动分拣一体机
CN209008935U (zh) 一种烟支端部传感器调节支架及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