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007B1 -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007B1
KR102051007B1 KR1020190087179A KR20190087179A KR102051007B1 KR 102051007 B1 KR102051007 B1 KR 102051007B1 KR 1020190087179 A KR1020190087179 A KR 1020190087179A KR 20190087179 A KR20190087179 A KR 20190087179A KR 102051007 B1 KR102051007 B1 KR 102051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sorting
cup
measuring cup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이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우 filed Critical 이창우
Priority to KR1020190087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착포트에 과일을 낱개씩 안착하여 견인 체인부의 견인작용에 의해 선별구간을 따라 견인하여 이동되면서, 안착된 과일의 중량값에 따라 해당 선별구간에 계측컵부이 일시적으로 기울어져 안착된 과일을 중량값을 기준으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Sorting apparatus in fruit sorting system of weight measurement type}
본 발명은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착포트에 과일을 낱개씩 안착하여 견인 체인부의 견인작용에 의해 선별구간을 따라 견인하여 이동되면서, 안착된 과일의 중량값에 따라 해당 선별구간에 계측컵부이 일시적으로 기울어져 안착된 과일을 중량값을 기준으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과, 배, 감등의 과일은 중량별로 구분되어 포장되며, 과일의 크기 및 중량별로 구분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수작업, 천칭저울을 이용한 반자동식, 또는 중량감지센서인 로드셀등을 이용한 자동중량 측정방법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종래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은, 선별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선별공간부에 환형 배치되는 안내 가이드부; 및 견인 체인부와; 및 상기 견인 체인부에 일지점에 고정되어, 견인 체인부의 견인 작용에 의해 안내 가이드부를 따라 환형 이동하는 선별 배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 배출장치는 상부에 선별을 요하는 과일의 안착공간이 형성된 계측컵부와; 상부에 조립된 계측컵부에 안착되는 중량에 따라 상하 신축하여 높이가 증감되는 중량 계측부와; 상기 중량 계측부와 계측컵부 사이에 배치되며 힌지핀을 통해 중량 계측부에 계측컵부를 상하 틸팅구조로 조립하고, 수평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힌지핀을 통해 일지점이 힌지 조립된 계측컵부의 이지점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회동 구속레버를 갖는 틸팅 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각 선별 배출장치는 견인 체인부의 견인 작용에 의해 안내 가이드부를 따라 선별 공간부에 마련된 선별구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각 선별구간에 마련된 계측핀과의 간섭에 의해 계측컵부가 외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안착공간 내에 안착된 과일을 해당 선별구간으로 배출하게 된다.
즉, 상기 선별 배출장치는 계측컵부에 안착되는 과일의 중량에 따라 계측컵부 및 틸팅 구속부의 높이가 조절되고, 선별구간 중 틸팅 구속부의 높이 보다 높은 계측핀이 형성되면, 틸팅 구속부의 회동 구속레버는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계측컵부의 이지점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계측컵부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면서, 안착된 과일을 해당 선별구간으로 배출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선별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야기되어, 중량별로 과일을 정교하게 선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종래 선별 배출장치는 계측컵부에 안착되는 과일을 완충되게 지지하는 구조가 마련되지 아니하여, 안착 및 이동과정에 진동에 의해 과일이 물리적으로 손상되는 현상이 지적되고 잇다.
둘째, 종래 선별 배출장치는 계측컵부가 외측으로 기울어져 안착공간 내에 안착된 과일을 배출함에 있어, 과일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깔대기 형상의 계측컵부의 안착공간 내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과일이 안착될 경우, 계측컵부가 설정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해당 과일이 배출되지 아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셋째, 종래 선별 배출장치는 안내 가이드부를 통해 구름 마찰상태로 지지됨에 있어, 평면롤러를 통해 평면구조로 지지된 관계로 이동과정에 좌우 균형이 흐트러지는 현상이 야기되었고, 특히 계측컵부가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선별 배출과정에 안내 가이드부의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확보되지 아니하여서 안내 가이드부나 계측컵부의 물리적인 손상이 야기되기도 하였다.
KR 10-0749797 B1 KR 20-1998-046018 U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착컵에 과일을 낱개씩 안착하여 견인체인의 견인작용에 의해 선별구간을 따라 견인하여 이동되면서, 안착된 과일의 중량값에 따라 해당 선별구간에 안착캡이 일시적으로 기울어져 안착된 과일을 중량값을 기준으로 선별하여 배출함에 있어,
과일이 안착되는 안착컵부를 개량하여 안착되는 과일이 안착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선별 배출과정에 낙하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선별에 따른 과일의 물리적인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한 개량된 안착 지지구조를 갖는 과일 선별시스템용 중량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는,
상부에 선별을 요하는 과일의 안착공간이 형성된 계측컵부와;
상부에 조립된 계측컵부에 안착되는 중량에 따라 상하 신축하여 높이가 증감되는 중량 계측부와;
상기 중량 계측부와 계측컵부 사이에 배치되며 힌지핀을 통해 중량 계측부에 계측컵부를 상하 틸팅구조로 조립하고, 수평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힌지핀을 통해 일지점이 힌지 조립된 계측컵부의 이지점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구속레버를 갖는 틸팅 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계측컵부는, 깔대기 형상의 컵포트와; 상기 컵포트의 상부에 적층되게 덧씌워져, 안착공간 내에 안착되는 과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댐핑슈트를 포함하되,
상기 컵포트의 상부면과, 댐핑슈트에 마련된 안착공간의 저면은 상하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핑슈트에 마련된 안착공간의 가장자리부에는 만곡지게 상향 절곡된 단면을 갖는 환형의 완충리브를 형성하여, 댐핑슈트의 안착공간은 완충리브의 탄력적인 변형에 의해 보다 안정적인 완충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핑슈트가 배치된 컵몸체의 외측에는, 댐핑슈트의 안착공간에 안착된 과일을 거상하여 외측으로 안내하는 배출하는 거상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상 배출부는, 컵포트 외측 일지점에 형성된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를 통해 컵포트 외측 일지점에 중앙부를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하여, 외측으로 기울어진 컵몸체의 외측에서 상하로 회전하는 거상 취출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계측컵부를 구성하는 컵포트에 완충을 도모하는 완충슈트를 부가하여 완충슈트에 의해 안착된 과일의 손상이 최소화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충슈트와 컵포트 사이에 완충공간을 형성하고, 또 상기 완충슈트의 가장자리에 완충리브를 부가하여 완충슈트의 탄성 지지력을 보강함으로써, 안착된 과일은 완충슈트를 통해 제공되는 완충구조에 의해 외부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충슈트 내에 안착된 과일을 물리적으로 거상하고, 거상된 과일을 외측으로 밀어서 배출하는 거상 배출부를 계측컵부에 부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직경이 작은 과일도 안정적으로 거상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선별 배출장치와 안내 가이드부 사이에 독특한 지지구조를 마련하여, 선별 배출장치는 안내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함에 있어, 항시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로 이동하고, 또 안착된 과일을 선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과일을 중량별로 선별 배출함에 따른 향상된 정밀도가 확보되고, 장치의 향상된 내구성과 작동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를 통한 계측컵부의 틸팅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에 있어, 환형 이송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에 있어, 거상 취출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를 통한 계측컵부의 틸팅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에 있어, 환형 이송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에 있어, 거상 취출부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중량 측정형 선별 배출장치(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선별구간(20)을 경유하는 안내 가이드부(210)와 견인체인부(300)가 마련된 선별 공간부(10)을 갖는 과일 선별 시스템(1)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 가이드부(210)와 견인 체인부(300)에 의해 선별 공간부(10)를 경유하여 이동하면서 낱개씩 안착된 과일을 중량값에 따라 요하는 선별구간(20)으로 배출하는 전용장치이다.
상기 중량 측정형 선별 배출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선별을 요하는 과일의 안착공간이 형성된 계측컵부(110)와; 상부에 조립된 계측컵부(110)에 안착되는 중량에 따라 상하 신축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중량 계측부(120); 및 상기 중량 계측부(120)와 계측컵부(110) 사이에 배치되며 힌지핀(131)을 통해 중량 계측부(120)에 계측컵부(110)의 일지점(P1)을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하고, 상기 힌지핀(131)을 통해 일지점(P1)이 힌지 조립된 계측컵부(110)의 이지점(P2)을 지지단(132a)을 통해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회동 구속레버(132)를 갖는 틸팅 구속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중량 계측부(120)는 고정 지지대(121)와; 상기 고정 지지대(121)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며, 상부에 틸팅 구속부(130)와 계측컵부(110)가 배치된 승강 지지대(122); 및 상기 고정 지지대(121)와 승강 지지대(122) 사이에 배치되어, 승강 지지대(122)를 상향 견인하는 견인 스프링(123)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계측컵부(110)의 안착공간 내에 설정 중량의 과일이 안착되면, 상기 중량 계측부(120)의 승강 지지대(122)는 과일의 중량값만큼 하강하고, 결과적으로 계측컵부(110) 및 회동 구속레버(132)를 포함하는 틸팅 구속부(130)도 함께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계측컵부(110)의 이지점(P2)을 지지하여 계측컵부(110)의 수평상태를 유지한 회동 구속레버(132)는,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과하는 선별구간(20) 상에 설정높이로 돌출된 계측핀(21)에 의해 간섭되어 수평 회전하면 계측컵부(110)의 이지점(P2)의 지지상태를 해제하고, 결과적으로 계측컵부(110)는 힌지핀(13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선회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져서, 안착공간 내에 안착된 과일을 해당 선별구간(20)의 외측으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틸팅 구속부(130)를 통해 계측컵부(110)를 조립한 중량 계측부(120)에는, 도 2와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과일 선별 시스템(1)에 마련된 안내 가이드부(210)에, 안내롤러(221, 222)를 통해 구름상태로 지지하며 견인 체인부(300)에 고정되는 안내 롤러부(220)가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계측컵부(110)에 고정되는 안내 롤러부(220)와 상기 안내 롤러부(220)를 지지하는 안내 가이드부(210)를 포함하는 환형 이송부(300)를 개량하여, 계측컵부(110)가 선별 공간부(10)를 따라 환형 이동하는 과정에 계측컵부(110)의 유동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계측컵부(110)가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하로 신축되면서 과일 중량의 계측에 따른 정밀도를 훼손하고, 또 시스템 자체의 진동에 의해 내구성과 작동 안정성이 훼손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다.
상기 안내 가이드부(210)는, 상하 이격하여 배치된 상부 가이드 레일(211)과, 하부 가이드 레일(212)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롤러부(220)는 상부 가이드 레일(211)에 외접하여 지지되는 상부 안내롤러(221)와; 하부 가이드 레일에 외접하는 하부롤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211)의 중앙부에 "
Figure 112019073924379-pat00001
"형의 안내홈부(211a)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와 마주하는 하부 가이드 레일(212)의 중앙부에는
Figure 112019073924379-pat00002
"형의 안내돌기부(212a)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안내롤러(221)는 중앙부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211)의 중앙부에 형성된 "
Figure 112019073924379-pat00003
"형의 안내홈부(211a)의 양측벽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
Figure 112019073924379-pat00004
"형의 지지림(221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안내롤러(222)의 중앙부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 레일(212)의 중앙부에 형성된 "
Figure 112019073924379-pat00005
"형의 안내돌출부(212a)의 양측벽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
Figure 112019073924379-pat00006
"형의 지지홈(222a)이 형성된다.
이때, 상호 규합된 상부 안내롤러(221)와 하부 안내롤러(222)는 상하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아니하고, 상부 안내롤러(221)가 하부 안내롤러(222) 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안내롤러(221)에 형성된 "
Figure 112019073924379-pat00007
"형의 지지림(221a)과 하부 안내롤러(222)에 형성된 "
Figure 112019073924379-pat00008
"형의 지지홈(222a)은 상호 상하 규합되어, 상부 가이드 레일(211)과 하부 가이드 레일(212)에 양측벽을 지지한 상부 안내롤러(221)와 하부 안내롤러(222)는 상호 규합되어서 좌우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호 규합된 상부 안내롤러(221)와 하부 안내롤러(222)는 상부 가이드 레일(211)과 하부 가이드 레일(212)에 양측벽이 각각 경사지게 지지된 상태로, 견인 체인부의 견인작용에 의해 상부 가이드 레일(211)과 하부 가이드 레일(212)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견인하여 이동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211)에 마련된 "
Figure 112019073924379-pat00009
"형의 안내홈부(211a)와, 하부 가이드 레일(212)에 마련된 "
Figure 112019073924379-pat00010
"형의 안내돌출부(212a)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211b, 212b)를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안내롤러(221)에는 절개로(211b)를 관통하여 "
Figure 112019073924379-pat00011
"형의 안내홈부(211a)의 이면에 회동구조로 지지되는 이면 지지구(230)를 회동구조로 배치하고, 상기 하부 안내롤러(222)에는 절개로(212b)를 관통하여 "
Figure 112019073924379-pat00012
"형의 안내돌출부(212a)의 이면에 회동구조로 지지되는 이면 지지구(230)를 회동구조로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이면 지지구(230)는 상부 안내롤러(221)와 하부 안내롤러(222)의 회동축에 일단을 회동구조로 고정하고, 타단을 이면 지지구(230)에 회동구조로 고정한 연결대(2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각 가이드 레일(211, 212)에 절개로(211b, 212b)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이와 양면을 경사지게 지지한 각 안내롤러(221, 222)에, 상기 가이드 레일(211, 212)의 이면을 지지하는 이면 지지구(230)를 각각 마련하여 안내롤러(221, 222)의 이면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면, 각 가이드 레일(211, 212)과 안내롤러(221, 222) 사이의 안정적인 밀착상태가 형성되므로 안내 롤러부(220)를 포함하는 선별 배출장치의 정형화된 견인 이송이 도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측컵부(110)의 안착공간에 낱개의 과일을 안착한 선별 배출장치(1)는, 견인 체인부(300)의 견인작용과, 독특하게 조립된 안내 가이드부(210)와 안내 롤러부(220)를 포함하는 환형 이송부(200)에 의해 과도한 진동이나 흔들림없이 선별 공간부(10)를 경유하면서 선별구간(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때, 상기 선별 공간부(10)에 마련된 각 선별구간(20)에는 설정높이의 계측핀(21)들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낱개의 과일을 안착하여 각 선별구간(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선별 배출장치(100)의 회동 구속레버(132)는 계측핀(21)과의 간섭에 의해 일방향으로 수평 회전한다.
따라서, 도 3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 구속레버(132)에 의해 이지점(P2)이 지지된 계측컵부(110)는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선회하여 기울어지고, 결과적으로 계측컵부(110)에 안착된 과일은 해당 선별구간(2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리하여, 상기 각 선별구간(20)에 형성된 계측핀(21)의 높이에 따라 해당 선별중량의 과일은 선별하여 배출되며, 이러한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과일을 중량별로 선별하여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계측컵부(1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의 컵포트(111)와; 상기 컵포트(111)의 상부에 적층되게 덧씌워져, 안착공간(112a) 내에 안착되는 과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댐핑슈트(1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컵포트(111)의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조립공(111a)들을 상하 관통되게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댐핑슈트(112)의 가장자리에는 조립공(111a)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핀(112b)들을 대응되게 형성하여서, 상기 컵포트(111)에 안착되어 덧씌워지는 댐핑슈트(112)는 고정핀(112b)을 조립공(111a)에 각각 삽입하여서 컵포트(111)의 상부에 덧씌워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댐핑슈트(112)는 고무, 실리콘 등의 완충성 재질로 제작되며, 컵포트(111)의 형상과 대응되는 깔대기 형상의 안착공간(11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컵포트(111)의 상부면과, 댐핑슈트(112)에 마련된 안착공간(112a)의 저면은 상호 밀착되지 아니하고, 도 2a와 같이 설정간격으로 상하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완충공간(112c)이 형성되어, 댐핑슈트(112c)는 완충공간(112c)의 완충작용에 의해 소정의 완충성을 갖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핑슈트(112)에 마련된 안착공간(112b)의 가장자리부에는 만곡지게 상향 절곡된 단면을 갖는 환형의 완충리브(112d)를 형성하여, 댐핑슈트(112)의 안착공간(112a)은 완충리브(112d)의 탄력적인 변형에 의해 보다 안정적인 완충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과일 선별시스템용 중량 측정형 선별 배출장치(100)를 구현함에 있어, 외측으로 기울어진 계측컵부(110)에서 과일이 배출되는 선별 배출과정에, 안착공간(112a)에서 과일이 외측으로 보다 신속히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핑슈트(112)가 배치된 컵몸체(111) 외측 상부에, 댐핑슈트(112)의 안착공간(112a)에 안착된 과일을 거상하여 외측으로 견인 배출하는 거상 배출부(140)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상 배출부(140)는, 컵포트(111) 외측 일지점에 형성된 힌지부재(141)와; 상기 힌지부재(141)를 통해 컵포트(111) 외측 일지점에 중앙부를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하는 거상 취출레버(142)를 포함한다.
상기 거상 취출레버(142)는, 중앙부에 컵포트(111)의 외측 일지점에 형성된 힌지부재(141)에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되는 힌지축(142a)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아치형의 거상편(142b)이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아치형의 안내편(142c)이 일체로 형성된 판상 성형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재(141)는 상부에 절개구가 개방되게 형성된 탄성 압입홈을 갖는 탄성 압입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거상 취출레버(142)는 힌지축(142a)을 힌지부재(141)의 탄성 압입홈에 탄성 압입되어서, 컵포트(111)의 외측 일지점에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계측컵부(110)가 수평상태를 형성하면 도 7a와 같이 거상 취출레버(142)는 힌지축(142a)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선회하여, 댐핑슈트(112)의 안착공간(112a) 내에 안착된 과일과 간섭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도 7b와 같이 상기 과일을 안착한 계측컵부(120)가 외측으로 경사지면, 거상 취출레버(142)는 힌지축(142a)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선회하여서, 댐핑슈트(112)의 안착공간(112a) 내에 안착된 과일을 거상편(142b)을 통해 거상하고, 상기 거상된 과일은 굴곡진 안내편(142c)을 통해 일측으로 안내하여 배출된다.
이때, 상기 거상 취출레버(142)에는 복수의 장입구(142d)들이 형성되어, 작업자는 선별 배출을 요하는 과일의 중량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거상 취출레버(142)의 내외측 중심을 조절한다.
즉, 작업자는 상기 거상 취출레버(142)에 형성된 장입구(142d)에, 웨이트봉(142e)을 장입하여서, 거상 취출레버(142)의 내외측 무게 중심을 조절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기 거상 취출부(140)에, 거상 취출레버(142)에 의해 거상된 과일을 외측으로 밀어 과일의 보다 신속한 취출을 도모하는 피딩암(143)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딩암(143)은 컵포트(111)의 내측에 상단부를 힌지구조로 고정하여, 자중에 의해 중립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딩암에도 하나 이상의 장입구(143a)를 형성하고, 상기 장입구(143a)에 웨이트봉(143b)을 삽입하여서, 피딩암(143)의 가력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계측컵부(11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이동과정에서 피딩암(143)의 하단부는 안착공간(112a)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여, 댐핑슈트(112)의 안착공간(112a) 내에 안착된 과일을 외측으로 가력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상기 계측컵부(110)가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선별 배출과정에서는, 피디암(143)은 자중에 의해 내측으로 선회하면서 거상 취출레버(142)에 의해 거상된 과일을 하단부를 통해 외측으로 밀어서, 과일이 보다 신속하게 안착공간 내에서 취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거상 취출레버(142)와 피딩암(143)을 포함하는 거상 취출부(140)가 마련된 계측컵부(110)는, 운반과정에서는 안착공간 내에 진입되는 과일을 완충구조로 안정되게 지지하여 운반하고, 또 선별 배출과정에서는 안착공간(112a) 내에 위치된 과일을 겨상 취출레버(152)를 통해 거상하고, 또 피딩암(153) 거상된 과일을 외측으로 밀어 과일을 보다 신속하게 선별 배출한다.
1. 과일 선별 시스템
10. 선별 공간부 20. 선별구간
21. 계측핀
100. 중량 측정형 선별 배출장치
110. 계측컵부 111. 컵포트
111a. 조립공 112. 댐핑슈트
112a. 안착공간 112b. 고정핀
112c. 완충공간 112d. 완충리브
120. 중량 계측부 121. 고정 지지대
122. 승강 지지대 123. 견인 스프링
130. 틸팅 구속부 131. 힌지핀
132. 회동 구속레버 132a. 지지단
132b. 회동핀
140. 견인 배출부 141. 힌지부재
142. 거상 취출레버 142a. 힌지축
142b. 거상편 142c. 안내편
142d. 장입구 142e. 웨이트봉
143. 피딩암
200. 환형 이송부
210. 안내 가이드부 211. 상부 가이드 레일
211a. 안내홈부 211b. 절개로
212. 하부 가이드 레일 212a. 안내 돌출부
212b. 절개로
220. 안내 롤러부
221. 상부 안내롤러 221a. 지지림
222. 하부 안내롤러 222a. 지지홈
230. 이면 지지구 231. 회동 연결편
300. 견인 체인부

Claims (3)

  1. 상부에 선별을 요하는 과일의 안착공간이 형성된 계측컵부와;
    상부에 조립된 계측컵부에 안착되는 중량에 따라 상하 신축하여 높이가 증감되는 중량 계측부와;
    상기 중량 계측부와 계측컵부 사이에 배치되며 힌지핀을 통해 중량 계측부에 계측컵부를 상하 틸팅구조로 조립하고, 수평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힌지핀을 통해 일지점이 힌지 조립된 계측컵부의 이지점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구속레버를 갖는 틸팅 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계측컵부는, 깔대기 형상의 컵포트와; 상기 컵포트의 상부에 적층되게 덧씌워져, 안착공간 내에 안착되는 과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댐핑슈트를 포함하되,
    상기 컵포트의 상부면과, 댐핑슈트에 마련된 안착공간의 저면은 상하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댐핑슈트가 배치된 컵몸체의 외측에는, 댐핑슈트의 안착공간에 안착된 과일을 거상하여 외측으로 안내하는 배출하는 거상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상 배출부는, 컵포트 외측 일지점에 형성된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를 통해 컵포트 외측 일지점에 중앙부를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하여, 외측으로 기울어진 컵몸체의 외측에서 상하로 회전하는 거상 취출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슈트에 마련된 안착공간의 가장자리부에는 만곡지게 상향 절곡된 단면을 갖는 환형의 완충리브를 형성하여, 댐핑슈트의 안착공간은 완충리브의 탄력적인 변형에 의해 보다 안정적인 완충성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


  3. 삭제
KR1020190087179A 2019-07-18 2019-07-18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 KR102051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79A KR102051007B1 (ko) 2019-07-18 2019-07-18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79A KR102051007B1 (ko) 2019-07-18 2019-07-18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007B1 true KR102051007B1 (ko) 2019-12-02

Family

ID=6884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179A KR102051007B1 (ko) 2019-07-18 2019-07-18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0535A (zh) * 2022-07-27 2022-09-23 达莲食品(锦州)有限公司 海参自动分级和上料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018U (ko) 1996-12-27 1998-09-25 황연기 과일자동선별기의 선별저울장치
KR100749797B1 (ko) 2006-06-02 2007-08-17 배명자 선별기용 계량컵
KR20100071957A (ko) * 2010-06-09 2010-06-29 김윤호 선별물품을 터치방식으로 배출시키는 중량선별기
KR20100073755A (ko) * 2008-12-23 2010-07-01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과일 트레이
KR101133143B1 (ko) * 2008-03-06 2012-04-19 유춘열 선별기의 이송장치
KR20180081391A (ko) * 2017-01-06 2018-07-16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포도 트레이, 포도 품질 판정 유닛 및 이들을 구비한 포도 선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018U (ko) 1996-12-27 1998-09-25 황연기 과일자동선별기의 선별저울장치
KR100749797B1 (ko) 2006-06-02 2007-08-17 배명자 선별기용 계량컵
KR101133143B1 (ko) * 2008-03-06 2012-04-19 유춘열 선별기의 이송장치
KR20100073755A (ko) * 2008-12-23 2010-07-01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과일 트레이
KR20100071957A (ko) * 2010-06-09 2010-06-29 김윤호 선별물품을 터치방식으로 배출시키는 중량선별기
KR20180081391A (ko) * 2017-01-06 2018-07-16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포도 트레이, 포도 품질 판정 유닛 및 이들을 구비한 포도 선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0535A (zh) * 2022-07-27 2022-09-23 达莲食品(锦州)有限公司 海参自动分级和上料装置
CN115090535B (zh) * 2022-07-27 2023-09-01 达莲食品(锦州)有限公司 海参自动分级和上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2650B2 (en) Means for the conveyance of produce, particularly fruit
KR102061279B1 (ko) 개량된 환형 이송구조를 갖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
US52441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objects
AU656424B2 (en) Apparatus for sorting spherical products according to weight
KR101678423B1 (ko) 중량식 과일 야채 선별 장치
EP05807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objects
KR102051007B1 (ko)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
CN101356093A (zh) 用于装填容器的方法和装置
KR102148212B1 (ko) 과일류 중량 선별기
WO2023284096A1 (zh) 一种用于果蔬分选的滚轮式输送装置
CN105035713A (zh) 分选盘输送器的分选盘安装装置
CN214487875U (zh) 一种禽肉自动分级设备
JP4915686B2 (ja) ウエイトサイザの選別皿支持装置
KR101596929B1 (ko) 과일 선별기
US6003653A (en) Article grading apparatus
KR102123744B1 (ko) 중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별 시스템
US5611437A (en) Automatically openable and closable hopper set for a fruit weighing and sorting machine
KR102115081B1 (ko) 중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별 시스템
KR101024371B1 (ko) 과일선별기용 버켓
US2404373A (en) Commodity elevating and sampling apparatus
KR200476357Y1 (ko) 선별기의 이송장치용 브라켓
US6092640A (en) Article grading apparatus
CN209901740U (zh) 一种板材分类机
KR102236161B1 (ko) 컨베이어 이동식 과일선별장치
WO2023105505A1 (en)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sorting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