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816B1 -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816B1
KR101626816B1 KR1020140186227A KR20140186227A KR101626816B1 KR 101626816 B1 KR101626816 B1 KR 101626816B1 KR 1020140186227 A KR1020140186227 A KR 1020140186227A KR 20140186227 A KR20140186227 A KR 20140186227A KR 101626816 B1 KR101626816 B1 KR 101626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astening protrusion
truck
intermediate truck
tow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6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14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2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upling articulated trains, locomotives and tenders or the bogies of a vehicle; Coupling by means of a single coupling bar; Couplings preventing or limiting relative lateral move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3/00Shunting or short-distance haulage devices; Similar devices for hauling trains on steep gradients or as starting aids; Car propelling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료가 장입된 용기를 운반하는 대차를 이동시키는 견인장치로서, 주행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견인차와, 상기 견인차에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상기 대차와의 연결을 위한 체결돌기가 구비되는 체결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주행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예컨대 중량(重量)의 원료가 장입된 버켓을 탑재하고 있는 중간트럭과의 체결 및 체결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견인장치{Traverser}
본 발명은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견인체와 충돌에 의한 손상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는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Coke Dry Quenching; CDQ, 이하 CDQ 라 함)하는 코크스 오븐에서 압출된 적열 코크스를 질소 가스 등을 이용한 건식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설비이다.
적열 코크스는 코크스 오븐(cokes oven)의 여러 탄화실에 석탄을 장입한 후 가열하여 건류시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적열 코크스는 코크스 오븐 탄화실의 도어 개방시에 진입되는 압출기 램에 의해 탄화실에서 그 반대편의 버켓(bucket)에 장입된다.
적열 코크스가 장입된 버켓은 중간트럭 상부에 탑재된 상태로 전차(Loco)와 연결된 운반차(carriage car) 상부에 다시 탑재되어 APS(Auto Position System)로 이송된다. APS에서는 견인장치에 의해 버켓이 탑재된 중간트럭을 CDQ 대기 위치로 견인한 후, 크레인에 의해 버켓을 소화탑으로 상승시켜 챔버 내의 적열 코크스를 챔버로 장입한다.
APS에서 버켓은 전차와 운반차에 의해 CDQ로 이송되기 전 APS(Auto Position System)까지 이동되고, APS에서 일시 정지한 다음 중간트럭에 의해 CDQ 대기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APS까지의 운반차가 이동하는 주행경로를 제1구간이라 하고, APS에서 CDQ 대기 위치까지 중간트럭이 이동하는 주행경로를 제2구간으로 할 때 제1구간과 제2구간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제1구간에서 제2구간으로 중간트럭을 이동시킬 때 운반차를 정지시킨 후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중간트럭을 제2구간으로 견인하여 중간트럭을 제1구간에서 제2구간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견인장치에는 체결기(ducking)가 구비되어 운반차와 견인차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체결기에는 운반차와 연결을 위한 체결 돌기(ducking teeth)가 구비되어 있고, 운반차의 견인 시에는 체결 돌기를 상승시켜 체결 돌기를 운반차에 체결시키고 운반차를 견인한 이후에는 하강하여 체결 돌기를 운반차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그런데 체결 장치가 고장나거나 체결 돌기가 운반차로부터 분리되기 이전에 운반차가 이동하는 경우 체결 돌기가 파손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체결기의 보수를 위해 조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KR 10-0784146 B KR 10-1053319 B KR2003-0010161A
본 발명은 피견인체와의 연결 및 연결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견인체와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는, 원료가 장입된 용기를 운반하는 대차를 이동시키는 견인장치로서, 주행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견인차와, 상기 견인차에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상기 대차와의 연결을 위한 체결돌기가 구비되는 체결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주행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견인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의 회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견인차에 연결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축과, 상기 일단은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지지축 및
상기 제1프레임 내부에 구비되어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는, 중량(重量)의 원료가 장입된 버켓을 탑재하고 있는 중간트럭과의 체결 및 체결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중간트럭과 견인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체결기의 체결돌기를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체결기가 고장나거나 중간트럭과 체결기 간의 체결이 해제되기 전 중간트럭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체결돌기가 중간트럭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기의 손상에 의한 조업 지연 및 조업 사고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로 버켓을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운반차가 APS 대기 위치에서 건식소화설비의 이동 경로로 이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체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체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체결기와 중간트럭 간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장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원료가 장입된 용기를 운반하는 대차를 견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견인장치를 코크스 오븐(coke oven)에서 압출된 적열 코크스가 장입된 버켓을 탑재하는 중간트럭을 APS(Auto Position system)에서 CDQ 대기 위치로 견인하는 과정에서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원료는 적열 코크스일 수 있고, 용기는 버켓일 수 있으며, 대차는 상부에 버켓을 탑재하여 운반하는 중간트럭일 수 있다.
도 1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로 버켓을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운반차가 APS 대기 위치에서 건식소화설비의 이동 경로로 이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적열 코크스가 장입된 버켓(40)의 이동경로를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코크스 오븐(미도시)에서 압출된 적열코크스는 중간트럭(30)에 탑재된 버켓(40)에 담겨지고, 중간트럭(30)은 다시 운반차(20)에 탑재된다. 운반차(20)는 다시 전차(10)에 연결되고, 전차(10)에 의해 제1주행경로(1, 제1구간)를 따라 이동하여 CDQ 설비로 이동한다. 이때, 전차(10)는 코크스 오븐과 CDQ 설비의 연결점인 APS(Auto Position System)까지 이동한 후 일시 정지하게 된다.
APS에는 제1주행경로(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주행경로(2)가 설치되어 있고, 제2주행경로(2)는 APS에서 CDQ 설비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PS에서는 운반차(20)에 탑재된 중간트럭(30)을 제2주행경로(2)로 이동시켜 중간트럭(30)을 CDQ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APS에는 중간트럭(30)을 제2주행경로(2)로 이동시키기 위한 견인장치(70, 80)가 구비되어 있다. 견인장치(70, 80)는 운반차(20) 상부에 탑재된 중간트럭(30) 즉, 상부에 버켓(40)이 탑재되어 있는 중간트럭(30) 운반차(20) 상부로부터 제2주행경로(2)로 견인하여 CDQ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크레인을 이용하여 중간트럭(30)에 탑재되어 있는 버켓(40)을 상승시켜 CDQ 챔버에 적열 코크스를 장입하고, 빈 버켓(40)을 다시 중간트럭(30)에 탑재하면 견인장치(70, 80)를 통해 중간트럭(30)을 APS로 이동시킨다.
다음, 중간트럭(30)을 운반차(20) 상부에 탑재시키면 전차(10)의 기동에 의해 운반차(10)를 코크스 오븐 설비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와 같이 버켓(40)을 탑재하고 있는 중간트럭(30)은 제1주행경로(1)와 제2주행경로(2)를 이동하는데, 중간트럭(30)에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없어 견인장치(70, 80)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체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체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체결기와 중간트럭 간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견인장치(70, 80)는 견인차(70)와, 중간트럭(30)과 견인차(70)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기(80)를 포함한다.
견인차(70)는 휠이 구비되어 APS와 CDQ 대기 위치를 연결하는 제2주행경로(2)를 따라 왕복 이동한다. 견인차(70)는 동력이 없는 중간트럭(30)을 견인하여 APS와 CDQ 대기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체결기(80)는 견인차(70)에 연결되며 상승 및 하강 가능한 프레임(81)과, 프레임(81)에 제2주행경로(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체결돌기(82)를 포함한다.
프레임(81)은 일단이 링크를 통해 견인차(70)에 연결되고,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기의 작동에 의해 링크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타단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프레임(81)은 일단이 링크를 통해 견인차(70)에 연결되는 제1프레임(81a)과, 제1프레임(81a)에 타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레임(81b) 및 제1프레임(81a)과 제2프레임(81b)을 연결하는 연결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81a)은 대략 'L'자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프레임(81b)은 제1프레임(81a)의 타단에 제1프레임(81a)의 연장방향으로, 즉 수평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800)는 제1프레임(81a)과 제2프레임(81b)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프레임(81a)과 제2프레임(81b)을 연결한다. 이때, 연결부재(800)는 제1프레임(81a)에 제2프레임(81b)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제2프레임(81b)이 연결되는 제1프레임(81a)의 타단에는 내부에 연결부재(800)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81a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프레임(81a)에 연결되는 제2프레임(81b)의 일단에는 중궁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부재(800)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81bb)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81aa)는 제1프레임(81a) 내부에 제1프레임(81a)의 타단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연결부재(800)는 중공부(81aa) 내부에 수용되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연결부재(800)는 제2프레임(81b)의 삽입홈(81bb)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제1프레임(81a)과 제2프레임(81b)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800)는 제1프레임(81a)과 제2프레임(81b)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회전축(85)일 수 있다. 회전축(85)은 일단이 제1프레임(81a)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은 제2프레임(81b) 내부, 즉 삽입홈(81bb)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85)은 제1프레임(81a)에 고정설치되고, 제2프레임(81b)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회전축(85)의 일단은 너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86)를 이용하여 중공부(81aa) 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회전축(85)을 제1프레임(81a)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프레임(81a)을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삽입홈(81bb)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회전축(85)의 타단에도 삽입홈(81bb)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회전축(85)을 제2프레임(81b)에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2프레임(81b)은 회전축(85)을 중심, 즉 제1프레임(81a)과 제2프레임(81b)이 연결되어 연장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재(800)는 제1프레임(81a)에 구비되는 제1지지축(185a)과, 제1프레임(81a)과 제2프레임(81b)에 걸쳐 구비되는 제2지지축(185b) 및 제1지지축(185a)과 제2지지축(185b)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187)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지지축(185a)은 제1프레임(81a) 내부의 중공부(81aa)에 너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186)를 이용하여 고정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축(185b)은 일단은 제1프레임(81a) 내부의 중공부(81aa)에 배치되고, 타단은 제2프레임(81b)의 삽입홈(81bb)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지지축(185b)의 일단은 제1프레임(81a)의 중공부(81aa)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188)를 이용하여 제1프레임(81a) 내부에 고정시키거나 제2지지축(185b) 자체를 볼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제2지지축(185b)은 제1프레임(81a)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187)는 중공부(81aa) 내부에서 제1프레임(81a)과 제2프레임(81b)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2프레임(81b)은 제1프레임(81a)에 제1프레임(81a)과 제2프레임(81b)의 연장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87)를 통해 중간트럭 견인 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2프레임(81b)의 상부에는 체결돌기(82)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돌기(82)는 볼트와 와셔 등과 같은 고정부재(83a, 83b)를 통해 제2프레임(81b)에 교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체결돌기(82)는 제2프레임(81b)의 상부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몸체에는 곡면이 형성되어 중간트럭(30)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체결돌기(82)는 중간트럭(30)에 형성되는 키홈(32)에 삽입되어 중간트럭(30)과 견인차(7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중간트럭(30)에는 체결돌기(82)가 삽입되는 키홈(32)이 형성될 수 있는데, 키홈(32)은 중간트럭(30)의 소정 위치, 예컨대 바닥에 형성되어 체결돌기(8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키홈(32)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벽체에는 회전 가능한 파이프(32a)가 형성되어 체결돌기(82)의 삽입 및 분리 시 회전함으로써 체결돌기(82)의 삽입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도 6의 b)를 참조하면, 키홈(32)의 서로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벽체는 중간트럭(30)이 APS와 CDQ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과장에서 체결돌기(82)와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한 쌍의 벽체에 형성된 파이프(32a)와 같은 구성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중간트럭(30)이 APS에서 코크스 오븐 설비로 이동하기 위해 제2주행경로(2)에서 제1주행경로(1)로 이동할 때 중간트럭(30)의 이동 방향이 변경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파이프(32a)가 구비되지 않는 한 쌍의 벽체에 충돌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중간트럭(30)이 빈 버켓을 탑재한 상태로 APS에 도달하여 제2주행경로(2)에서 제1주행경로(1)로 이동하는 경우, 체결기(80)는 프레임을 하강시켜 체결돌기(82)를 중간트럭(30)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체결기(80)가 오작동하여 체결돌기(82)가 중간트럭(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거나, 체결기(80)가 중간트럭(30)으로부터 분리되기 전 전차가 이동하는 경우, 체결돌기(82)가 파손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체결기(80) 전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체결돌기(82)를 중간트럭(3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7는 APS에서 중간트럭(30)이 운반차(20) 상부에 탑재된 후 체결돌기(82)가 중간트럭(30)의 키홈(3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전차(10)에 의해 코크스 오븐 설비로 이동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이때, 전차(10)는 제2주행경로(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제1주행경로(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는 중간트럭(30)이 제2주행경로(2)를 따라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전차(10)가 이동함에 따라 중간트럭(30)은 전차(10)와 연결된 운반차(20) 상에 탑재된 상태로 전차(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중간트럭(30)의 키홈(3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체결돌기(82)는 키홈(32)의 벽체와 충돌하게 된다. 이에 체결돌기(82)가 설치되어 있는 제2프레임(81b)은 전차(10)의 이동방향, 즉 제2주행경로(2)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키홈(32)에 삽입되어 있던 체결돌기(82)가 키홈(32)으로부터 빠져나와 중간트럭(30)을 견인차(70)와 연결하고 있던 체결기(8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제2프레임(81b)이 회전하여 체결돌기(82)가 정위치, 즉 중간트럭의 키홈(32)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경우, 검지부(미도시)를 통해 이를 검지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2프레임(81b)을 회전시켜 체결돌기(82)를 정위치로 복귀시키거나 별도의 복귀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제2프레임(81b)을 회전시켜 체결돌기(82)를 정위치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검지부는 제1프레임(81a)이나 견인차(70) 등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체결돌기(82)의 주변에서 체결돌기(82)의 위치를 검지하여 체결돌기(82)의 회전 여부, 즉 제2프레임(81b)의 회전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귀수단은 체결기(80)는 별도로 구비되어 체결돌기(82)가 중간대차(30)로부터 분리된 이후 제2프레임(81b)을 회전시켜 체결돌기(82)가 정위치, 즉 중간대차(30)의 키홈(32)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 2: 주행경로 10: 전차
20: 운반차 30: 중간트럭
40: 버켓 50: 크레인
60: CDQ 100: 균형유지장치
110: 견인부 150: 지지부
170: 자력발생부재 180: 자력감지센서

Claims (7)

  1. 원료가 장입된 용기를 운반하는 대차를 이동시키는 견인장치로서,
    주행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견인차와,
    상기 견인차에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상기 대차와의 연결을 위한 체결돌기가 구비되는 체결기 및
    상기 체결돌기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주행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견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견인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의 회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견인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견인차에 연결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견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견인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축과,
    상기 일단은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지지축 및
    상기 제1프레임 내부에 구비되어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견인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되는 견인장치.
  7. 삭제
KR1020140186227A 2014-12-22 2014-12-22 견인장치 KR101626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227A KR101626816B1 (ko) 2014-12-22 2014-12-22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227A KR101626816B1 (ko) 2014-12-22 2014-12-22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816B1 true KR101626816B1 (ko) 2016-06-02

Family

ID=5613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227A KR101626816B1 (ko) 2014-12-22 2014-12-22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8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3673A (ja) * 1997-03-27 1998-10-13 Nippon Steel Corp コークバケットの回転ずれ防止機能を有する赤熱コークス受骸装置
KR20030010161A (ko) 2001-07-25 2003-02-05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전차의 비상주행장치
KR100784146B1 (ko) 2006-11-27 2007-12-10 주식회사 포스코 버켓 차량 견인 장치
KR101053319B1 (ko) 2009-09-29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버켓 탑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3673A (ja) * 1997-03-27 1998-10-13 Nippon Steel Corp コークバケットの回転ずれ防止機能を有する赤熱コークス受骸装置
KR20030010161A (ko) 2001-07-25 2003-02-05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전차의 비상주행장치
KR100784146B1 (ko) 2006-11-27 2007-12-10 주식회사 포스코 버켓 차량 견인 장치
KR101053319B1 (ko) 2009-09-29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버켓 탑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54563A1 (en) System for transporting people
KR20170137890A (ko) 차량 견인 장치 및 차량 견인 방법
CN206288006U (zh) 抽屉式设备箱及磁悬浮车辆
KR101626816B1 (ko) 견인장치
CN109436010A (zh) 一种轨道动力平车自动连挂装置及方法
JP5475577B2 (ja) X線検査用車両搬送装置
KR20180136452A (ko) 케이블 운송 설비
CN203998198U (zh) 用于垂直提升和水平输送的底开门料车装置
CN110002129B (zh) 集装箱
KR101791037B1 (ko) 무정차 방식의 카 덤퍼 시스템
CN201186829Y (zh) 一种装载小车
CN101439805B (zh) 牵引装置
CN104649025B (zh) 一种自动装卸料车
CN106043338A (zh) 一种高铁装卸固定装置
CN206983823U (zh) 一种便于路面摩擦系数测试设备的装卸运输车厢
CN204172741U (zh) 一种车载油机装卸机构及使用该机构的车辆
CN203666470U (zh) 集装箱装载导向支撑装置
CN205709612U (zh) 一种带反滚轮运行小车和反倾翻的半门架悬臂起重机
KR101907928B1 (ko) 견인장치
CN102351107B (zh) 翻车机系统
CN201961856U (zh) 翻车机系统
KR101562459B1 (ko) 견인차 및 견인대상물 연결 어셈블리
CN201961855U (zh) 翻车机系统
CN219134145U (zh) 一种索道运输交通用货物缆车
CN107352435A (zh) 一种带运行小车和端梁反倾翻的桥式悬臂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