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928B1 -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928B1
KR101907928B1 KR1020170072280A KR20170072280A KR101907928B1 KR 101907928 B1 KR101907928 B1 KR 101907928B1 KR 1020170072280 A KR1020170072280 A KR 1020170072280A KR 20170072280 A KR20170072280 A KR 20170072280A KR 101907928 B1 KR101907928 B1 KR 101907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nsion
contact member
drum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7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7/00Coke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for the raw material inside the oven
    • C10B7/14Coke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for the raw material inside the oven with trucks, containers, or tray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13/00Coke ovens with means for bringing and keeping the charge under mechanical 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행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견인차; 상기 주행경로의 일측에 구비되는 와이어 드럼; 상기 주행경로의 타측에 구비되는 풀리; 일단은 상기 견인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 드럼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일단은 상기 견인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풀리를 거쳐 상기 와이어 드럼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풀리 사이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텐션 검지부;를 포함하고, 견인차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텐션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견인장치{Traverser}
본 발명은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차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텐션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Coke Dry Quenching; CDQ, 이하 CDQ 라 함)하는 코크스 오븐에서 압출된 적열 코크스를 질소 가스 등을 이용한 건식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설비이다.
적열 코크스는 코크스 오븐(cokes oven)의 여러 탄화실에 석탄을 장입한 후 가열하여 건류시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적열 코크스는 코크스 오븐 탄화실의 도어 개방시에 진입되는 압출기 램에 의해 탄화실에서 그 반대편의 버켓(bucket)에 장입된다.
적열 코크스가 장입된 버켓은 중간트럭 상부에 탑재된 상태로 전차(Loco)와 연결된 운반차(carriage car) 상부에 다시 탑재되어 APS(Auto Position System)로 이송된다. APS에서는 견인장치에 의해 버켓이 탑재된 중간트럭을 CDQ 대기 위치로 견인한 후, 크레인에 의해 버켓을 소화탑으로 상승시켜 챔버 내의 적열 코크스를 챔버로 장입한다.
APS에서 버켓은 전차와 운반차에 의해 CDQ로 이송되기 전 APS(Auto Position System)까지 이동되고, APS에서 일시 정지한 다음 중간트럭에 의해 CDQ 대기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APS까지의 운반차가 이동하는 주행경로를 제1구간이라 하고, APS에서 CDQ 대기 위치까지 중간트럭이 이동하는 주행경로를 제2구간으로 할 때 제1구간과 제2구간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제1구간에서 제2구간으로 중간트럭을 이동시킬 때 운반차를 정지시킨 후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중간트럭을 제2구간으로 견인하여 중간트럭을 제1구간에서 제2구간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중간트럭을 이동시키기 위한 견인장치는, 중간트럭에 연결 가능한 견인차와, 견인차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와이어를 권취 및 권출하는 와이어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는 견인차를 일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와이어와, 견인차를 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차는 중간트럭을 견인하기 전 및 버켓을 소화탑으로 상승시키기 전 정지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에 중간트럭을 견인하기 전에는 제1와이어를 팽팽하게 유지하여 APS 위치에서 중간트럭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키고, 다음 동작을 위해서 제2와이어는 느슨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버켓을 소화탑으로 상승시키기 전에는 제2와이어를 팽팽하게 유지하여 중간트럭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키고, 제1와이어는 느슨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서 수동 텐션 조절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만,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후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기 때문에 와이어의 텐션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 견인차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렵고, 심한 경우에는 와이어가 끊어지는 등의 조업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998-042456 U
본 발명은 견인차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텐션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는, 주행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견인차; 상기 주행경로의 일측에 구비되는 와이어 드럼; 상기 주행경로의 타측에 구비되는 풀리; 일단은 상기 견인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 드럼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일단은 상기 견인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풀리를 거쳐 상기 와이어 드럼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풀리 사이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텐션 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 검지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제1와이어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 접촉부재 및 상기 제2와이어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 검지부는, 상기 접촉부재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는, 로드, 플레이트 또는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 검지부는,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의 접촉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풀리 사이에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를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 검지부는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접촉부재와 상기 하부 접촉부재의 상부면은 상기 가이드 롤러의 상부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텐션 검지부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는, 견인차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견인차의 이동 방향에 따른 와이어의 상태를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텐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견인차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와이어가 끊어지는 등의 조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해줄 수 있다.
도 1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로 버켓을 이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텐션 검지부의 사시도.
도 4는 견인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텐션 검지부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견인차의 위치에 따라 와이어의 텐션을 검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장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피견인체를 견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견인장치를 코크스 오븐(coke oven)에서 압출된 적열 코크스가 장입된 버켓을 탑재하는 중간트럭을 APS(Auto Position system)에서 CDQ 대기 위치로 견인하는 과정에서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원료는 적열 코크스일 수 있고, 용기는 버켓일 수 있으며, 대차는 상부에 버켓을 탑재하여 운반하는 중간트럭일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견인장치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종류의 피견인체를 견인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로 버켓을 이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적열 코크스가 장입된 버켓의 이동경로를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코크스 오븐(미도시)에서 압출된 적열코크스는 중간트럭(30)에 탑재된 버켓(40)에 담겨지고, 중간트럭(30)은 다시 운반차(20)에 탑재된다. 운반차(20)는 다시 전차(10)에 연결되고, 전차(10)에 의해 제1경로(1, 제1구간)를 따라 이동하여 CDQ 설비로 이동한다. 이때, 전차(10)는 코크스 오븐과 CDQ 설비(60)와의 연결점인 APS(Auto Position System)까지 이동한 후 일시 정지하게 된다.
APS에는 제1경로(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경로(2)가 설치되어 있고, 제2경로(2)는 APS에서 CDQ 설비(60)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APS에서는 운반차(20)에 탑재된 중간트럭(30)을 제2경로(2)로 이동시켜 중간트럭(30)을 CDQ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APS에는 중간트럭(30)을 제2경로(2)로 이동시키기 위한 견인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다. 견인장치(100)는 운반차(20) 상부에 탑재된 중간트럭(30) 즉, 상부에 버켓(40)이 탑재되어 있는 중간트럭(30)을 운반차(20) 상부에서 제2경로(2)로 견인하여 CDQ 챔버(62)로 상승시키기 위한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크레인(50)을 이용하여 중간트럭(30)에 탑재되어 있는 버켓(40)을 상승시켜 CDQ 챔버에 적열 코크스를 장입하고, 빈 버켓(40)을 다시 중간트럭(30)에 탑재하면 견인장치(100)를 통해 중간트럭(30)을 APS로 이동시킨다.
다음, 중간트럭(30)을 운반차(20) 상부에 탑재시키면 전차(10)의 기동에 의해 운반차(10)를 코크스 오븐 설비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와 같이 버켓(40)이 탑재된 중간트럭(30)은 견인장치(100)에 의해 APS에서 CDQ 설비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텐션 검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견인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텐션 검지부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견인장치(100)는 주행경로(11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견인차(120)와, 주행경로(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와이어 드럼(140)과, 주행경로(110)의 타측에 구비되는 풀리(130)와, 일단은 견인차(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와이어 드럼(140)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152)와, 일단은 견인차(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풀리(130)를 거쳐 상기 와이어 드럼(140)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154) 및 와이어 드럼(140)과 풀리(130) 사이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1와이어(152) 및 제2와이어(154)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텐션 검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견인장치(100)는 제1와이어(152) 및 제2와이어(154)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텐션 검지부(170)에서 검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텐션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텐션 조절부는 작업자가 제1와이어(152) 및 제2와이어(154)의 텐션을 직접 조절할 수 있는 수동 텐션 조절장치와, 텐션 검지부(170)에서 검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제1와이어(152) 및 제2와이어(154)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경로(110)는 APS와 CDQ 설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주행경로(110)는 중간트럭(3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경로(2)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2경로(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견인차(120)는 주행경로(110) 상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와이어 드럼(1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APS에서 CDQ 설비 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CDQ 설비 측에서 APS로 이동할 수 있다. 주행경로(110)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레일일 수 있다.
견인차(120)는 몸체(122)와, 몸체(122) 하부에 레일 상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휠(12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주행경로(110)에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166, 168)와 텐션 검지부(17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22)의 하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견인차(120)는 중간트럭(30)를 견인하기 위하여 중간트럭(30)과 체결을 위한 체결돌기(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간트럭(30)에는 체결돌기(126)와 결합을 위한 체결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견인차(120)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주행경로(110)의 일측, 예컨대 CDQ 측에는 와이어 드럼(140)이 구비될 수 있고, 주행경로(110)의 타측, 예컨대 APS 측에는 풀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 드럼(140)은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를 각각 권취 및 권출할 수 있도록, 제1와이어 드럼(142)과 제2와이어 드럼(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152)는 견인차(120)와 제1와이어 드럼(142)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와이어(152)의 일단은 견인차(120)의 일측, 예컨대 CDQ 설비 측에 대향하는 쪽에 연결되고, 제1와이어(152)의 타단은 제1와이어 드럼(14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와이어(154)는 풀리(130)를 거쳐 견인차(120)와 제2와이어 드럼(144)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와이어(154)의 일단은 견인차(120)의 타측, 예컨대 APS 측에 대향하는 쪽에 연결되고, 타단은 풀리(130)를 거쳐 제2와이어 드럼(14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2와이어(154)의 일부는 제1와이어(15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 배치되고, 일부는 제1와이어(15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와이어 드럼(142)과 제2와이어 드럼(144)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와이어 드럼(142)이 제1와이어(152)를 권취할 때, 제2와이어 드럼(144)은 제2와이어(154)를 권출하고, 제1와이어 드럼(142)이 제1와이어(152)를 권출할 때, 제2와이어 드럼(144)은 제2와이어(154)를 권취할 수 있다. 이에 APS와 CDQ 설비 사이에서 견인차(120)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와이어 드럼(142)과 제2와이어 드럼(144)을 통칭할 때, 와이어 드럼(140)이라 기재한다.
한편, 제1와이어(152) 및 제2와이어(154)는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쳐질 수 있다. 이에 풀리(130)와 와이어 드럼(140) 사이에는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60)는 주행경로(110)에 설치되는 제1지지플레이트(162)와, 제1지지플레이트(162)의 상부에 상하방향, 즉, 제1지지플레이트(16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프레임(164) 및 제1지지프레임(164)에 연결되는 가이드 롤러(166, 16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롤러(166, 168)는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이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160)는 주행경로(110)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를 지지할 수 있다.
텐션 검지부(170)는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의 텐션을 검지하도록 주행경로(1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텐션 검지부(170)는 주행경로(110)에 설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172)와, 제2지지플레이트(172)의 상부에 상하방향, 즉, 제2지지플레이트(17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프레임(174) 및 제2지지프레임(174)에 연결되는 접촉부재(176, 17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재(176, 178)는 로드(rod), 플레이트 및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재(176, 178)는 제1와이어(152)와 접촉 가능한 상부 접촉부재(176)와, 상부 접촉부재(176)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2와이어(154)와 접촉 가능한 하부 접촉부재(17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접촉부재(176)와 하부 접촉부재(178)는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 사이 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접촉부재(176)와 하부 접촉부재(178)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재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제2지지프레임(174)에 장방형의 관통구(175)를 형성하고, 상부 접촉부재(176)와 하부 접촉부재(178)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77)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제2지지프레임(174)에는 상부 접촉부재(176)와 하부 접촉부재(178)의 높이를 조절하기
또한, 텐션 검지부(170)는 제1와이어(152) 및 제2와이어(154)의 접촉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179)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79)는 상부 접촉부재(176) 및 하부 접촉부재(178)에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의 접촉 여부를 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압력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텐션 검지부(170)는 가이드부(160) 사이에서 제1와이어(152) 및 제2와이어(154)의 텐션을 검지할 수 있는데,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를 팽팽하게 당겼을 때, 즉 텐션을 증가시켰을 때에는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가 상부 접촉부재(176) 및 하부 접촉부재(178)와 접촉하지 않고,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를 느슨하게 했을 때, 즉 텐션을 감소시켰을 때에는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가 상부 접촉부재(176) 및 하부 접촉부재(178)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도 4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접촉부재(176)와 하부 접촉부재(178)는 가이드부(160)를 구성하는 가이드 롤러(166, 168)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와이어(152) 및 제2와이어(154)와 접촉되는 상부 접촉부재(176)와 하부 접촉부재(178)의 상부면은 제1와이어(152) 및 제2와이어(154)와 접촉되는 가이드 롤러(166, 168)의 상부면 높이(h1, h2)보다 낮은 높이(h11, h22)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는 텐션 정도에 따라 상부 접촉부재(176) 및 하부 접촉 부재와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텐션 검지부(170)는 가이드부(160) 사이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의 텐션 정도를 검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텐션 검지부(170a, 170b, 170c)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부(160) 사이에 3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152)가 하나의 텐션 검지부(170a)의 상부 접촉부재(176a)에서 접촉한 것으로 검지되면 제1와이어(152)의 텐션이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1와이어(152)가 복수개의 텐션 검지부(170a, 170b, 170c)의 상부 접촉부재(176a, 176b, 176c)에서 접촉한 것으로 검지되면 제1와이어(152)의 텐션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수동 텐션 조절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와이어(152)의 텐션이 증가하도록 조정하거나, 자동 텐션 조절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와이어(152)의 텐션이 증가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피견인체, 예컨대 중간트럭을 견인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텐션을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코크스 오븐에서 압출된 적열코크스는 중간트럭(30)에 탑재된 버켓(40)에 담겨지고, 중간트럭(30)은 다시 운반차(20)에 탑재된다. 운반차(20)는 다시 전차(10)에 연결되고, 전차(10)에 의해 제1경로(1, 제1구간)를 따라 이동하여 CDQ 설비로 이동한다. 이때, 전차(10)는 코크스 오븐과 CDQ 설비와의 연결점인 APS까지 이동한 후 일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APS 측에 대기하고 있던 견인차(120)는 체결돌기(126)를 중간트럭(30)에 형성된 체결홈(32)에 삽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견인차(120)는 APS 측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제2와이어(154)에 텐션을 강하게 부여하여 팽팽한 상태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견인차(120)와 중간트럭(30)이 연결된 이후에는 제1와이어(152)를 권취하여 CDQ 설비 측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1와이어(152)는 텐션을 감소시켜 느슨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때, 제1와이어(152)에 텐션을 강하게 부여하는 경우, 견인차(120)의 이동을 위해 제1와이어 드럼(142)을 이용하여 제1와이어(152)를 권취하게 되면, 제1와이어(152)에 텐션이 지나치게 많이 부여되어 제1와이어(152)가 끊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와이어(152)와 제2와이어(154) 모두에 텐션을 강하게 부여한 상태에서 견인차(120)의 이동이 불가하기 때문에 견인차(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 예컨대 제1와이어(152)는 텐션을 감소시켜 느슨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통상의 방법이다.
이와 같이 견인차(12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텐션이 강하게 부여된 제2와이어(154)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여, 제2와이어(154)는 가이드부(160)의 가이드 롤러(166, 168)에 접촉하고, 하부 접촉부재(178)와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와이어(152)는 텐션이 감소되어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며, 가이드부(160)의 가이드 롤러(166, 168)에 접촉하고 상부 접촉부재(176)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접촉부재(178)에 설치된 센서(179)에서는 제2와이어(154)의 접촉이 검지되면 안되고, 상부 접촉부재(176)에서는 제1와이어(152)의 접촉이 검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하부 접촉부재(178)에서 제2와이어(154)의 접촉이 검지되면, 제2와이어(154)의 텐션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하고, 수동 텐션 조절장치(미도시) 또는 자동 텐션 조절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와이어(154)의 텐션을 조절, 즉 제2와이어(154)에 텐션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이후, 제1와이어 드럼(142)을 구동하여 제1와이어(152)를 권취하고, 제2와이어 드럼(144)을 구동하여 제2와이어(154)를 권출하여, 견인차(120)를 CDQ 설비 측으로 이동시킨다.
견인차(120)와 중간트럭(30)이 CDQ 설비 측으로 이동하여 권상 위치에 도달하면, 제1와이어(152)의 권취 및 제2와이어(154)의 권출을 중단하여 견인차(120)와 중간트럭(3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크레인(50)을 이용하여 중간트럭(30) 상부에 탑재된 버켓(30)을 권상하여 CDQ 챔버(62)에 코크스를 장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견인차(120)와 중간트럭(30)이 정지한 상태에서 제1와이어(152)는 텐션이 강하게 부여되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2와이어(154)는 텐션이 감소되어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1와이어(152)는 가이드부(160)의 가이드 롤러(166, 168)에 접촉하고, 상부 접촉부재(176)와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2와이어(154)는 텐션이 감소되어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며, 가이드부(160)의 가이드 롤러(166, 168)에 접촉하고 하부 접촉부재(178)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접촉부재(176)에 설치된 센서(179)에서는 제1와이어(152)의 접촉이 검지되면 안되고, 하부 접촉부재(178)에서는 제2와이어(154)의 접촉이 검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부 접촉부재(176)에서 제1와이어(152)의 접촉이 검지되면, 제1와이어(152)의 텐션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하고, 수동 텐션 조절장치 또는 자동 텐션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제1와이어(152)의 텐션을 조절, 즉 제1와이어(152)에 텐션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 제1경로 2: 제2경로
10: 전차 20: 운반차
30: 중간트럭 40: 버켓
50: 크레인 60: CDQ 설비
62: 챔버 100: 견인장치
110: 주행경로 120: 견인차
130: 풀리 140: 와이어 드럼
152: 제1와이어 154: 제2와이어
160: 가이드부 170: 텐션 검지부

Claims (8)

  1. 주행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견인차;
    상기 주행경로의 일측에 구비되는 와이어 드럼;
    상기 주행경로의 타측에 구비되는 풀리;
    일단은 상기 견인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 드럼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일단은 상기 견인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풀리를 거쳐 상기 와이어 드럼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풀리 사이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텐션 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검지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제1와이어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 접촉부재 및 상기 제2와이어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견인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션 검지부는,
    상기 접촉부재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견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로드, 플레이트 또는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견인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텐션 검지부는,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의 접촉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견인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풀리 사이에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를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 검지부는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구비되는 견인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접촉부재와 상기 하부 접촉부재의 상부면은 상기 가이드 롤러의 상부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견인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텐션 검지부를 복수개 구비하는 견인장치.
KR1020170072280A 2017-06-09 2017-06-09 견인장치 KR101907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280A KR101907928B1 (ko) 2017-06-09 2017-06-09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280A KR101907928B1 (ko) 2017-06-09 2017-06-09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928B1 true KR101907928B1 (ko) 2018-10-15

Family

ID=63866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280A KR101907928B1 (ko) 2017-06-09 2017-06-09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9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6641B2 (ja) * 1990-08-28 1999-04-26 三菱化学株式会社 コークス炉消火車の扉開閉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6641B2 (ja) * 1990-08-28 1999-04-26 三菱化学株式会社 コークス炉消火車の扉開閉制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9403B2 (en) Bridge crane
US20130334157A1 (en) Arrangement for damping oscillation of loading member in crane
CN110240048A (zh) 一种外附式高层建筑用货物起重系统
CN116891183B (zh) 一种桥梁工程施工用物料吊运装置
US7296661B1 (en) Elevator levelling
KR101907928B1 (ko) 견인장치
KR101618531B1 (ko) 천장 크레인 시스템
CN105658562A (zh) 升降机设施
CA1235570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harging scrap into arc furnace
US10544008B2 (en) System to enable access to travelling cable dead end hitch from inside an elevator car
KR100955019B1 (ko) 파이프 이동 및 상하차장치
US20160090277A1 (en) Secured gripping system
CN103935869A (zh) 双层电梯
CN105600519A (zh) 一种装车站自动平煤装置
CN111094167B (zh) 安装装置以及用于将安装装置送入电梯竖井中的安装位置中的方法
CN203513033U (zh) 电梯装置
CN109552967A (zh) 电梯井内物料提升装置及其安装方法
CN208182475U (zh) 一种预制箱梁钢绞线张拉操作平台
CN106240430A (zh) 一种移动龙门式、可旋转自动配重车载自装卸设备
JPH05202360A (ja) コークス炉における装炭車の入替え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704610B1 (ko) 다기능 하이브리드 호이스트 리프트 장치
KR102388090B1 (ko)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및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방법
KR101626816B1 (ko) 견인장치
EP0197210B1 (en) Apparatus for charging scrap into a furnace
CN204751989U (zh) 桥式起重机及其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