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234B1 -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불연속 플루오로중합체 층을 그 위에 포함하는 물품 - Google Patents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불연속 플루오로중합체 층을 그 위에 포함하는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234B1
KR101626234B1 KR1020147018159A KR20147018159A KR101626234B1 KR 101626234 B1 KR101626234 B1 KR 101626234B1 KR 1020147018159 A KR1020147018159 A KR 1020147018159A KR 20147018159 A KR20147018159 A KR 20147018159A KR 101626234 B1 KR101626234 B1 KR 10162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opolymer
stent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
fibr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510A (ko
Inventor
래리 제이 코바치
레이첼 래드스피너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351,052 external-priority patent/US20130183515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3/675,730 external-priority patent/US9510935B2/en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05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318Fluorine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12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containing fluorine
    • B29K2027/18PTFE, i.e. polytetrafluorethene, e.g. ePTFE, i.e. expanded polytetrafluor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3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4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사행형 피브릴을 가지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플루오로중합체의 불연속 코팅을 그 위에 가지는 물품을 제공한다. 플루오로중합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의 공극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는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이다. 인장력을 가하면 사행형 피브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곧게 펴지고, 이로써 물품은 신장된다.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은 실질적으로 피브릴만의 미세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은 추가 신장이 급격한 강성 증가에 의해 억제되는 지점인 사전 결정된 지점까지 신장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물품을 사용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제1 직경까지 팽창시키는 데에는 힘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지만, 제2 직경(정지점)까지의 추가 팽창에 대하여 고도로 저항성인 피막형 스텐트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직경의 상당한 증가는 이롭게는 정지점에 도달하기 이전에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불연속 플루오로중합체 층을 그 위에 포함하는 물품{ARTICLES INCLUDING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S WITH SERPENTINE FIBRILS AND HAVING A DISCONTINUOUS FLUOROPOLYMER LAYER THEREON}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1월 16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3/351,052호(White 등)의 부분 계속 출원이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사행형 피브릴 및 불연속 플루오로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질에 관한 것이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 "사행형 피브릴"이라는 용어는 한 방향으로, 이어서, 또 다른 방향으로 만곡하거나, 방향을 바꾸어 도는 다중 피브릴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 "제어된 수축"이라는 용어는 육안에 보이는 후속 물품의 접힘, 주름 형성, 또는 구김을 억제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열을 가함으로써, 용매로 습윤화시킴으로써,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준 또는 그의 조합에 의해 물품의 길이를 1 이상의 방향으로 단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 "흡수되어 있는 또는 흡수"라는 용어는 다공성 물질, 예컨대, ePTFE 등의 공극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임의의 수단을 기술하는 것으로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 "신장"이라는 용어는 인장력을 가하는 것에 대한 반응으로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 "불연속적으로 위치한다"라는 용어는 물질이 연결되지 않은 영역을 1 이상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 "전구체 멤브레인"이라는 용어는 출발 멤브레인을 의미한다.
"스텐트 그래프트" 및 "피막형 스텐트"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그 위에 피막이 있는 스텐트를 기술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 "강성 증가"라는 용어는 일단 정지점에 도달한 후, 추가 신장에 대한 저항성 증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장치의 1 cm 길이 범위내 그래프트 부분에 구김 및 접힘이 없다면, 이때 전체 장치는 "구김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접힘이 없다," "접힘이 없는," 및 "접힘을 포함하지 않는"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
다공성 플루오로중합체 물질, 및 특히,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물질은 전형적으로는 피브릴 배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응력을 받았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신장률을 보인다. 보다 저강도인 팽창된 ePTFE 물질과 비교하였을 때, 고강도 팽창된 ePTFE 물질은 상대적으로 낮은 신장률 값을 가진다. 단축 팽창된 물질은 피브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응력을 받았을 때에는 높은 신장률을 보일 수 있지만, 그러나, 멤브레인은 상기 방향으로는 예상대로 약하다.
맨드렐에 배치된 단축 팽창된 ePTFE 관을 기계로 압착시키고, 열 처리하여 파열되기 전까지 보다 높은 신장률을 달성하였다. 상기 관은 또한 파열되기 전까지 신장되고, 응력으로부터 유리되면, 회복된다. 미국 특허 번호 제4,877,661호(House 등)에는 특성상 회복이 빠른 다공성 PTFE, 및 상기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추가로, 압착식 관의 공극에는 엘라스토머 물질이 침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제7,789,908호(Sowinski 등)에는 엘라스토머 매트릭스를 정의하는 공극내 엘라스토머 물질이 침투되어 있는 ePTFE 물질로 이루어진 길이 방향으로 압착된 피브릴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회복가능한 PTFE 물질이 개시되어 있다.
높은 신장도, 예컨대, 50% 초과의 신장도를 보이는 강력한 박막의 존재가 계속해서 요구되고 있다. 일부 출원인은 추가로 정질, 예컨대, 얇음, 낮은 밀도, 및/또는 작은 공극 크기 뿐만 아니라, 그의 조합을 요구한다. 다른 출원인들은 멤브레인을 신장시키는 데 상대적으로 낮은 힘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의 강도 특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높은 신장률을 보이는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멤브레인은 특징적으로 너비가 약 1.0 ㎛ 이하인 사행형 피브릴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루오로중합체의 불연속 코팅을 그 위에 가지는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플루오로중합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의 공극 중 일부 또는 그들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은 특징적으로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고, 이는 실질적으로 사행형 피브릴만의 미세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행형 피브릴의 너비는 약 1.0 ㎛ 이하이다. 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은 복수 개의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1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은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다. 한 예시적인 플루오로중합체는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이다. 인장력을 가하면 사행형 피브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곧게 펴지고, 이로써 물품은 신장된다. 복합 재료는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의 강도 특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높은 신장률을 보인다. 추가로,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이 1 이상의 방향으로 초기의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길이의 약 90% 미만으로 열로 수축될 수 있다. 또한,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은 열 수축 동안 1 이상의 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 이상의 개구부,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관형 부재를 포함하는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로서, 여기서, 관형 부재는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 및 플루오로중합체의 불연속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행형 피브릴의 너비는 약 1.0 ㎛ 이하이다. 플루오로중합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의 공극 중 일부 또는 그들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은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고, 플루오로중합체는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복합 재료는 직경 약 7 mm로 팽창될 때, 강성 증가를 보인다. 관형 부재는 스텐트용 피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1) 1 이상의 개구부,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벽을 가지는 스텐트, 및 (2) 스텐트에 부착된 피막을 포함하는 스텐트 그래프트로서, 여기서, 피막은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 및 플루오로중합체의 불연속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 그래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플루오로중합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의 공극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사행형 피브릴의 너비는 약 1.0 ㎛ 이하이다. 복합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텐트의 내부 및 외부 표면 중 1 이상을 피복한다. 추가로, 복합 재료는 스텐트의 외부 및/또는 내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플루오로중합체는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일 수 있다. 복합 재료는 스텐트 그래프트의 직경과는 상관없이 구김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 및 접힘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복합 재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의 강도 특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높은 신장률을 보인다.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은 실질적으로 사행형 피브릴만의 미세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은 복수 개의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재료는 직경 약 7 mm로 팽창될 때, 강성 증가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1) 1 이상의 개구부,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벽, 및 (2) 스텐트에 부착된 피막을 포함하는 스텐트 그래프트로서, 여기서, 피막은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 및 플루오로중합체의 불연속 코팅을 그 위에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 그래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복합 재료는 직경 약 7 mm로 팽창될 때, 강성 증가를 보인다. 추가로, 복합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텐트의 내부 및 외부 표면 중 1 이상을 피복한다. 플루오로중합체는 실질적으로 스텐트에 부착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플루오로중합체는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일 수 있다.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은 실질적으로 사행형 피브릴만의 미세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1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은 복수 개의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또 다른 목적은 (1) 스텐트의 내부 표면 상에 제1 관형 부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2) 스텐트의 외부 표면 상에 제2 관형 부재를 배치시키는 단계로서, 여기서, 각 관형 부재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 및 플루오로중합체의 불연속 코팅을 그 위에 가지는 복합 재료를 포함하고,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은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3) 제1 및 제2 관형 부재를 그 위에 가지는 스텐트를 가열하여 스텐트의 간극을 통해 제1 관형 부재 상의 플루오로중합체를 제2 관형 부재에 부착시키고, 피막형 스텐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막형 스텐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플루오로중합체는 제1 관형 부재의 외부 표면 상에, 및 제2 관형 부재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사행형 피브릴의 너비는 약 1.0 ㎛ 이하이다. 1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는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1)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 및 플루오로중합체의 불연속 코팅을 그 위에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관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플루오로중합체는 관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되는 것인 단계, (2) 관을 횡단 절단하여 제1 관형 부재 및 제2 관형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3) 제2 관형 부재를 반전시켜(everted) 제2 관형 부재의 내부 표면 상에 플루오로중합체를 배치시키는 단계, (4) 제1 관형 부재를 스텐트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 (5) 제2 관형 부재를 스텐트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6) 제1 및 제2 관형 부재를 그 위에 가지는 스텐트를 가열하여 스텐트의 간극을 통해 제1 관형 부재 상의 플루오로중합체를 제2 관형 부재에 부착시켜 피막형 스텐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막형 스텐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은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한다. 사행형 피브릴의 너비는 약 1.0 ㎛ 이하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 하기 상세한 설명의 고찰로부터 더욱 상세하게 제시될 것이다. 그러나,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의 것이며, 본 발명의 한계를 정의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함을 명확하게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특히,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 본 발명의 상세한 개시내용의 고찰을 통해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이상화된 사행형 피브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200x로 촬영된, FEP의 불연속 코팅을 포함하는 수축된 멤브레인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SEM: scanning electron micrograph)이다;
도 3은 10,000x로 촬영된, 스텐트 피막 표면에 대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스텐트 그래프트의 압력 대 직경 곡선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접선의 교차점은 복합 재료의 정지점을 나타낸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계의 숙련가가 보편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도면에서 선, 층, 및 영역의 두께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확대되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 전역에 걸쳐 유사 번호는 유사 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의 강도 특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높은 신장률을 보이는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멤브레인은 특징적으로 사행형 피브릴, 예컨대,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은 이상화된 사행형 피브릴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사행형 피브릴은 일반적으로 화살표 (10) 방향의 한 방향으로, 이어서, 일반적으로 화살표 (20) 방향의 또 다른 방향으로 만곡하거나, 방향을 바꾸어 돈다. 도 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행형 유사 피브릴의 진폭, 주파수, 또는 주기성은 달라실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은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이다. 팽창가능한 플루오로중합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팽창된 PTFE, 팽창된 변성 PTFE, 및 PTFE의 팽창된 공중합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허,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제5,708,044호(Branca); 미국 특허 번호 제6,541,589호(Bailiie); 미국 특허 번호 제7,531,811호(Saboi 등);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1/906,877(Ford)호; 및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2/410,050호(Xu 등)로 PTFE의 팽창가능한 블렌드, 팽창가능한 변성 PTFE, 및 PTFE의 팽창된 공중합체가 출원되었다.
상대적으로 직쇄형인 피브릴을, 압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실질적으로 곧게 펴지는 사행형 피브릴로 형성함으로써 높은 신장률을 얻을 수 있다.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열로 유도된 제어된 수축을 통해, 용매를 이용한 물품의 습윤화(이어서 건조)를 통해, 또는 상기 두 기법의 조합에 의해 사행형 피브릴을 생성할 수 있다. 용매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소프로필 알콜 또는 플루오리너트(Fluorinert)®(3M 인코퍼레이티드(3M, Inc.: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퍼플루오르화된 용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속되지 않은 물품의 경우, 온도가 고온일수록, 체류 시간은 장기화되고, 최대 수축 지점으로까지의 수축 정도는 더 높아진다. 추가로, 수축 속도는 수축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기계식 압착 동안에는 ePTFE의 주름 형성, 접힘, 또는 구김이 발생하는 것과 달리, 멤브레인 수축으로는 그러한 주름 형성, 접힘, 또는 구김이 시각적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수축은 또한 공지된 방법과 달리, 초박막에도 적용될 수 있다. 수축 공정 동안, 피브릴의 형상은 사행형이 될 뿐만 아니라, 그 폭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전구체 물질은 2축 팽창된 ePTFE 멤브레인일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특별히 공극 크기가 작은 물품을 원하는 경우, 물질,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제7,306,729호(Bacino 등)의 일반 교시에 따라 제조된 물질이 적합한 전구체 멤브레인이다. 이러한 멤브레인은 실질적으로 피브릴만의 미세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구체 멤브레인은 무정형으로 로킹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전구체 멤브레인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가의 물질로 충전되거나, 코팅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그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구체 멤브레인은 플루오로중합체, 예를 들어,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을 함유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로 상기 멤브레인을 코팅시키거나, 그를 상기 멤브레인에 흡수시킬 수 있다.
전구체 멤브레인은 최종 물품의 원하는 신장량을 규정하기 위해 수축 공정 동안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다. 신장량은 수축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고, 그에 의해 측정된다. 본 발명에서, 수축량은 초기의 수축되지 않은 길이의 약 90%, 75%, 50%, 또는 25% 미만일 수 있다. 수축 방향으로 생성된 신장량은 적어도 약 60%, 80%, 100%, 200%, 300%, 400%, 500%, 600%, 또는 심지어 그보다 클 수 있다(이들 사이의 임의의 모든 백분율 값 포함).
수축 온도 범위는 전구체 멤브레인을 수축시키는 온도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수축 온도는 전구체 멤브레인의 무정형 로킹 온도를 초과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수축은 열 또는 용매, 둘 그 둘 모두를 가하기 이전의 전구체 멤브레인의 폭보다 짧은 거리를 두고 레일을 배치함으로써 단축 텐터 프레임에서 달성될 수 있다. 2축 텐터 프레임을 사용할 경우, 그립, 핀, 또는 다른 적합한 부착 수단 세트 중 하나 또는 그 둘 모두는 유사하게 전구체 멤브레인의 크기보다 작은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축 수단은 상기에서 언급된 (House 및 Sowinskt)의 특허에 의해 교시된 기계식 압착과는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물품은 손에 들고 있는 동안에도 수축될 수 있다. 관형 물품은 이를 수축 이전에 맨드렐 상에 피팅시킴으로써 수축시킬 수 있다. 추가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멤브레인을 오븐에 놓고, 구속되지 않은 것을 수축시킬 수 있다. 시각적으로 관찰되는 접힘, 주름, 또는 구김을 형성하지 않는, 물품을 수축시키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생성된 수축된 물품은 놀랍게도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의 강도 특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높은 신장률을 보인다. 수축시,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은 사행형 피브릴을 가진다. 이러한 수축된 멤브레인은 특징적으로 사행형 피브릴을 가지며, 구김이 없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수축된 멤브레인은 실질적으로 사행형 피브릴만의 미세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정 경우에서, 확대 배율로 사행형 피브릴을 관찰하기 위해 수축된 멤브레인을 부분적으로 신장시킬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1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은 복수 개의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 "복수 개의 사행형 피브릴"이라는 어구는 하기 교시되는 바와 같이, 관측 시야내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 중 2개 이상, 5개 이상, 10개 이상, 또는 15개 이상의 사행형 피브릴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행형 피브릴의 너비는 약 1.0 ㎛ 이하이고,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 0.5 ㎛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사행형 피브릴의 너비는 약 0.1 내지 약 1.0 ㎛, 또는 약 0.1 내지 약 0.5 ㎛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복합체 형성을 위해 엘라스토머 물질을 수축 이전에, 그동안, 또는 그 이후에 상기 기술된 전구체 멤브레인 내로 흡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엘라스토머 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플루오로중합체 물품은 신장 이후에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회복을 보이지 않는다. 적합한 엘라스토머 물질로는 PMVE-TFE(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PAVE-TFE(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실리콘,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PMVE-TFE 및 PAVE-TFE는 플루오로엘라스토머라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다른 플루오로엘라스토머가 적합한 엘라스토머 물질이다. 생성된 수축된 물품은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의 강도 특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높은 신장률을 가질 뿐만 아니라, 회복 불가능한 변형 에너지 밀도(%)가 낮은 추가의 특성도 가진다. 이러한 물품은 약 85% 미만, 약 80% 미만, 약 70% 미만, 약 60% 미만, 및 그보다 낮은 값(이들 사이의 임의의 모든 백분율 값 포함)의 회복 불가능한 변형 에너지 밀도(%) 값을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FEP), 다른 플루오로중합체,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중합체, 에틸렌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EFEP), THV(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삼원중합체), PFA(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 수지), ECTFE(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PEEK(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1 이상의 다른 물질을 전구체 멤브레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흡수 또는 코팅시키거나, 또는 다르게는 상기 멤브레인과 결합시킨다. 상기 다른 물질을 수축 동안, 그 이전에 또는 그 이후에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 내로 흡수시킬 수 있거나, 코팅시킬 수 있다. 플루오로중합체(또는 물질)는 또한 또는 별법으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의 공극의 적어도 일부 또는 그들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는 본 발명의 복합 재료(즉, 플루오로중합체의 불연속 코팅을 그 위에 가지는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의 유익한 특성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복합 재료는 신장율을 보일 뿐만 아니라, 높은, 임의적으로 사전 결정된 신장율을 달성한 이후에도 급격한 강성 증가를 보인다. 그 결과, 복합 재료는 추가 신장이 급격한 강성 증가에 의해 억제되는 지점까지 신장될 수 있다. 즉, 복합 재료는 오직 압력 또는 힘의 유의적 증가와 함께 결부된 경우에만 추가의 팽창, 신장, 또는 그 둘 모두가 발생하게 되는 정지점을 가진다. 추가로, 복합 재료에는 실질적으로 구김이 없다.
한 구체적인 경우에서, 제1 직경까지 팽창시키는 데에는 압력이 거의 필요하지는 않지만, 특정 직경에 도달한 이후에는 추가 팽창에 대하여 고도로 저항성인 피막형 스텐트 장치를 형성하는 데 본 발명의 복합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직경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힘 하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직경은 본 발명의 복합 재료와 함수 관계에 있다. 다시 말해, 정지점에 도달하기 이전의 피막형 스텐트 장치의 직경의 직경 증가는 본 발명의 물질에 대한 신장 대 힘 곡선에서 변곡점과 함수 관계에 있으며, 결국, 이는 전구체 멤브레인의 수축 정도와 함수 관계에 있다. 복합 재료의 이점은 피막형 스텐트 장치의 직경의 상당한 증가는 정지점 도달 이전에 달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시적인 피막형 스텐트에서 복합 재료의 정지점은 직경이 약 7 mm 이상, 약 8 mm 이상, 약 9 mm 이상, 약 10 mm 이상, 또는 그보다 클 때 존재할 수 있다. 정지점의 한가지 의의는 스텐트 그래프트 그 자체가 동맥류성이 아니라는 점이다.
복합 재료가 스텐트용 피막으로서 사용될 때, 피막형 스텐트 장치의 직경과는 상관없이 복합 재료는 여전히 구김을 포함하지 않고, 접힘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장치의 1 cm 길이 범위내 그래프트 부분에 구김 및 접힘이 없다면, 이때 전체 장치는 "구김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장치 전체 길이가 1 cm 미만이 아니라면, 장치의 1 cm 길이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장치가 "구김을 포함하지 않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데 전체 장치가 사용되어야 한다. 구김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로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피막의 능력을 통해 압축 동안 물질은 거의 접히지 않거나, 전혀 접히지 않게 되고, 이로써, 결국 생성된 피막형 스텐트 장치는 보다 작은 프로파일(즉, 약 1 Fr 이상의 전달 프로파일 감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피막에 접힘이 없는 바, 결국에는 장치 전체를 폐색시킬 수 있는 혈전 축적의 잠재성은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또한, 복합 재료는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의 강도 특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강성 증가에 상응하는 길이 신장에 도달할 때까지 높은 신장률을 보인다. 복합 재료 중 사행형 피브릴이 실질적으로 직쇄 배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놀랍게도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의 강성 특성을 유지시켜 준다. 복합 재료를 통해 피막은 작은 스텐트 직경에서도 스텐트에 부착될 수 있고, 스텐트 그래프트가 팽창될 때에도, 피막에 접힘은 일어나지 않는다. 추가로, 복합 재료는 스텐트 그래프트의 과다 팽창을 억제시킬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더 높은 힘을 가한 경우에는 과다 팽창을 허용할 수 있다. 추가로, 피막형 스텐트는 과다 팽창 이전, 팽창 과정 동안 최소의 포어쇼트닝을 보인다.
소수 또는 다수의 복합 재료 층을 사용하여 스텐트를 피복시킴으로써 피막의 파괴 강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별법으로, 또는 추가로,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는 데 더 약한, 또는 더 강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복합 재료가 스텐트용 피막으로서 사용될 때,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 상의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은 실질적으로는 스텐트에 부착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 "실질적으로 부착된"이라는 용어는 플루오로중합체가 스텐트에 부착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오직 최소로만 스텐트에 부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플루오로중합체는 두 복합 재료를 함께 부착시켜 피막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플루오로중합체로 피복된 외부 표면을 가지는 제1 관 및 플루오로중합체 내부 표면을 가지는 제2 관은 각각 스텐트의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로써, 제1 관 상의 플루오로중합체는 스텐트의 간극을 통해 제2 관 상의 플루오로중합체(즉, 반대쪽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피막형 스텐트 장치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피막을 형성하는 복합 재료는 스텐트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중요하다. 만일 복합 재료가 견고하게 부착되었다면, 피막형 스텐트 장치 팽창시에 피막은 인열될 것이다. 즉, 1차 부착 수단은 스텐트의 간극을 통해 복합체 피막의 플루오로중합체(예컨대, FEP) 부분을 결함시킴으로써 달성한다.
본 발명의 물품은 시트, 관, 피막 및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기술되었는 바, 단지 예시 목적으로 제공되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두를 포함하거나, 한정하고자 하지 않는, 하기 예시되는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함으로써 추가로 이해할 수 있다.
시험 방법
비록 특정 방법 및 장치가 하기 기술되기는 하였지만, 당업계의 숙련가에 의해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임의의 방법 또는 장치도 별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두께
(케이퍼(Kaefer) Fz1000/30 스냅 게이지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멤브레인 샘플을 다이 절단함으로써 약 2.54 cm x 약 15.24 cm 직사각형 단면을 수득하였다. 3개 측정치의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주사 전자 현미경법
피브릴을 확인하는 데 적합한 확대 배율을 선택하여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작성하였다. 사행형 피브릴을 확인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수축된 물품은 수축 방향으로의 신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사행형 피브릴의 개수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7 ㎛ x 7 ㎛의 샘플에 대한 관측 시야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추가로, 피브릴 너비의 특징을 규명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질적으로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함께 뭉쳐있지 않거나, 또는 다르게는 멤브레인 내에서 서로 평행하는 일련의 피브릴을 형성하는 사행형 피브릴에 대해 측정하여야 한다. 피브릴 너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SEM 영상을 통해 선을 그어 양분한다. SEM 영상은 5개의 이상의 사행형 피브릴 내지 20개 이상의 사행형 피브릴이 SEM 영상 내에서 매우 시각화될 수 있도록 충분한 확대 배율을 가져야 한다. 양분된 영상의 한쪽 에지로부터 출발하여, 양분선과 교차하는 처음 5개의 연속된 사행형 피브릴의 너비를 측정하였다. 피브릴와 양분선과의 교차점을 측정한다. 이어서, 5개의 측정치의 평균값을 구하고, 측정치 평균값을 기록한다.
방사상 신장 시험
하기 시험 방법은 8 mm 피막형 스텐트에 대한 시험 방법을 기술하는 것이다:
패키징형과 같은(즉, 공기가 빠진) 8 mm 풍선 상에서 그의 전달 직경으로 크러싱된 피막형 스텐트를 풍선 카테터 단부에 배치시켰다. 피막형 스텐트를 레이저 마이크로미터(예컨대, 데이터마이크 모델(DataMike Model 700), 테크메트 컴퍼니(TechMet Co.: 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턴))의 측정 구역 내에 놓았다.
풍선 팽창기(예컨대, COMPAK 풍선 팽창기, 메리트 메디컬(Merit Medical: 미국 유타주 사우스 조던))를 입수하였다. 풍선 팽창기를 물로 충전시키고, 풍선 카테터의 루어 피팅에 부착시켰다.
다이얼 상에 표시된 압력 변화를 관찰하면서, 팽창기에 있는 핸들을 천천히 돌렸다. 이어서, 풍선을 2 대기압까지 팽창시켰다. 스텐트는 쉽게 계속해서 팽창하였고, 이로써, 압력은 저하되었다. 압력이 2 ATM으로 유지될 때까지 계속해서 팽창시켰다. 이어서, 스텐트를 1 ATM 간격으로 팽창시키고, 일단 압력이 평형을 유지하면, 상기 압력에서의 직경을 기록하였다. 풍선 파열 압력 등급보다 1 ATM만큼 낮은 등급인, 14 기압을 달성할 때까지 계속해서 팽창시켰다.
크기가 다른 피막형 스텐트에 대해서도 유사한 방법을 따라 수행하도록 하였다. 크기가 다른 피막형 스텐트의 경우, 적절한 크기의 풍선을 선택한다. 풍선 파열 압력 등급보다 1 ATM만큼 낮은 등급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팽창시킨다.
본 발명의 복합 재료 및 피막형 스텐트와 관련된 압력-직경 곡선은 본원에서 정지점으로 지칭되는, 직경에 도달하였을 때의 기울기 변화에 기인하는 변곡점을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스텐트 그래프트의 압력 대 직경 곡선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접선의 교차점은 복합 재료의 정지점을 나타낸다. 접선의 교차점은 참조 번호 (70)으로 표시된다. 정지점의 추정치는 하기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도 4에서 선 (50)으로 제시된 것과 같은, 곡선에 접하는 직선을 그어 정지점에 도달하기 전의 압력-직경 곡선의 기울기의 근사값을 구할 수 있다. 도 4에서 선 (60)으로 제시된 것과 같은, 곡선에 접하는 직선을 그어 정지점 이후의 압력-직경 곡선의 기울기의 근사값을 구할 수 있다. 두 접선의 교차점에 상응하는 직경이 복합 재료에 대한 정지점의 추정치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불연속 FEP 를 포함하는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
미국 특허 번호 제6,541,589호에 기술되고, 교시된 바와 같은 PTFE 중합체의 미세 분말을 미세 분말 1 g당 0.209 g의 비율로 이소파르 K(Isopar K)(엑손 모빌 코포레이션(Exxon Mobil Corp.: 미국 버지니아주 페어팩스))와 블렌딩시켰다. 윤활된 분말을 원통으로 압착시켜 2개의 펠릿을 수득하고, 이를 49℃로 설정된 오븐에 대략 12시간 동안 놓았다. 압착되고, 가열된 펠릿을 램(ram) 압출시켜 대략 너비 16.2 cm x 두께 0.70 mm인 테이프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압출된 테이프 2개를 층상으로 만들고, 압착 롤 사이에서 압연시켜 두께가 0.381 mm가 되도록 만들었다. 이어서, 캘린더 테이프를 횡방향으로 32 cm까지 (즉, 2.0:1 비로) 연신시키고, 대략 230℃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듀폰 데 뉴머러스 인코퍼레이티드(Dupont De Numerous, Inc.: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로부터 이용가능한 대략 12.5 um 두께 x 대략 28 cm 너비의 FEP 필름을 입수하였다. 캘린더 PTFE 테이프 및 FEP 필름은, 300℃ 온도로 설정된 가열된 플레이트 상의 압연 뱅크 사이에서 서로 접촉하는 두 물질을 연신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종방향 팽창 공정 동안 함께 적층시켰다. 제2 압연 뱅크 대 제1 압연 뱅크 사이의 속도비는 10:1이었다. 생성된 종방향으로 팽창된 멤브레인이 너비는 대략 14 cm였다. 이어서, (한쪽에 FEP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종방향으로 팽창된 멤브레인을 대략 280℃ 온도에서 약 30:1의 비로 횡방향으로 팽창시킨 후, 수축되지 못하게 하고, 360℃로 설정된 오븐에서 대략 10초 동안 가열하였다. 생성된 팽창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 표면 상에는 FEP 영역이 불연속적으로 위치하였다.
상기 팽창된, 불연속적으로 코팅된 플루오로중합체 멤브레인을 하기 방식으로 열로 수축시켰다. 길이 방향이 멤브레인의 강도가 가장 큰 방향(최강 방향)과 부합되는 것인 전구체 멤브레인의 롤을 가열된 단축 텐터 프레임의 클램프에서 구속시키고, 텐터 프레임의 가열된 챔버에 공급하였다. 오븐 온도를 약 270℃로 설정하였다. 열에 대한 반응으로 멤브레인이 그의 원래 너비의 약 24.6%로 수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열된 챔버 내의 텐터 프레임의 레일을 내향으로 굽혀 놓았다. 멤브레인은 대략 20초 동안의 기간에 걸쳐 수축되었다.
200x 확대 배율의, 수축된 멤브레인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은 도 2에 제공되어 있다. 참조 번호 (40)으로 표시된, 표면 상에 불연속적으로 위치하는 FEP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에 주목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수축된 멤브레인을 사용하여 피막형 스텐트 장치를 제조하였다. 8 mm 직경 x 6 mm 길이의 스테인레스 스틸 스텐트(코디스 팔마즈-샷츠 경간 담도(Cordis Palmaz-Schatz Transhepatic Biliary) 스텐트, 카탈로그 번호 PS5608A, 로트 번호 R0599853, 코디스 코포레이션(Cordis Corp.: 미국 뉴저지주 브리지워터))를 입수하였다. 실시예 1의 수축된 멤브레인을 사용하여 스텐트를 하기와 같이 피복시켰다. 너비가 150 mm인 멤브레인 샘플로부터 관을 구성하였다. 직경 4 mm, 길이 150 mm의 스테인레스 스틸 맨드렐을 입수하였다. 너비가 150 mm인 멤브레인으로 된 12개의 층을 맨드렐에 원주 방향으로 랩핑하여 멤브레인의 수축 방향이 맨드렐의 원주 축을 따라 배향하게 만들었다. 멤브레인의 FEP 쪽은 바깥쪽으로 향해 있었다. 320℃로 설정된 납땜용 인두를 사용하여 필름의 자유 에지 위치를 압정으로 고정시켰다. 후속 가열 동안 종방향으로 수축되지 못하게 ePTFE 필름의 1.3 cm 너비의 슬릿을 관의 양쪽 끝에 랩핑하였다. 이어서, 어셈블리를 340℃로 설정된 오븐에 약 20분 동안 놓았고, 이로써 관이 생성되었다. 관을 냉각시키고, 맨드렐로부터 제거하였다. 관을 75 mm 길이의 관 2개로 절단하였다. 관 내부 표면 상에 FEP를 배치시키기 위해 한 길이의 것을 반전시켰다.
FEP가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관을 4 mm 스테인레스 스틸 맨드렐 위에 놓았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스텐트가 탑재되어 있는 풍선을 사용하여) 8 mm 스텐트를 약 3 mm까지 부분적으로 팽창시켰다. 풍선으로부터 스텐트를 제거하고, 직경을 증가시키기 위해 테이퍼형 4.5 mm 스테인레스 스틸 맨드렐을 슬립핑(slipped)시켰다. 스텐트를 4.5 mm 맨드렐로부터 제거하고, 멤브레인으로 피복된 4 mm 스테인레스 스틸 맨드렐 상단부에서 슬립핑시켰다. 이어서, 반전된 관을 스텐트의 상단부에 놓았다. 내경 5 mm, 두께 0.75 mm의, 압출된 팽창된 희생 ePTFE 관을 관/스텐트 어셈블리에 놓았다. 아이리스 스타일(iris-style)의 방사상 크러싱 장치(바이옥와이즈 엔지니어링 LLC(Biockwise Engineering LLC: 미국 애리조나주 템피))를 사용하여 스텐트 개구부로 통하는 외부 관을 내부 관과 접촉시켜 두 관 모두에 있는 FEP가 접촉하도록 만들었다.
관이 여전히 접촉 상태 그대로 유지되어 있을 때, ePTFE 필름을 외부 희생 관 바깥쪽에 랩핑하였다. 이어서, 전체 어셈블리를 320℃로 설정된 오븐에 약 15분 동안 놓았다. 어셈블리를 오븐으로부터 제거하고, 냉각시키고, 그렇게 형성된 피막형 스텐트를 맨드렐 및 희생 층으로부터 제거하였다. 스텐트 끝에 있는 과량의 관 재료를 손질하였다. 스텐트가 장착되어 있는, 공기를 뺀 8 mm 풍선 상에서 피막형 스텐트를 크러싱시켰다.
10,000x 확대 배율의, 대략 4 mm로 팽창된 피막에 대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은 도 3에 제공되어 있다.
풍선 팽창기(예컨대, COMPAK 풍선 팽창기, 메리트 메디컬: 미국 유타주 사우스 조던)를 입수하고, 이를 사용하여 상기 기술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압력-직경 곡선을 작성하였다. 도 4는 피막이 불연속 FEP를 함유하는 수축된 멤브레인으로 형성된 것인 피막형 스텐트에 상응하는 압력-직경 곡선이다. 도 4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축된 멤브레인은 곡선의 기울기가 실질적으로 감소하는 지점의 직경에 도달할 때까지 낮은 압력하에서 신장할 수 있는데, 이는 강성이 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스텐트 피막은 전 시험 기간 내내 구김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 그대로 유지되었다. 약 3 ATM에서, 스텐트는 팽창하기 시작하였다. 일단 약 9 ATM에 도달한 이후에 스텐트는 피막 존재에 기인하여 추가 팽창에 대해 저항성을 띠었다. 피막형 스텐트는 팽창 과정 동안 최소의 포어쇼트닝을 보였고, 복합 재료는 약 7 mm의 직경에서 정지점을 보였다.
본 출원의 발명은 일반적으로, 및 구체적인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두 방식 모두로 상기에 기술되었다. 본 발명은 하기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의 상술 내용을 제외하면, 달리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53)

  1. 플루오로중합체의 불연속 코팅을 그 위에 가지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물품으로서,
    여기서, 상기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은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며, 상기 사행형 피브릴 각각의 너비는 1.0 ㎛ 이하이고,
    상기 사행형 피브릴은 첫 번째 방향에서 첫 번째 만곡을 갖고 두 번째 방향에서 두 번째 만곡을 가지고, 상기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실질적으로 사행형 피브릴만의 미세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공극을 포함하고, 플루오로중합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수 개의 상기 공극을 침투하는 것인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가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인 물품.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복수 개의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것인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1 이상의 방향으로 초기의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 길이의 90% 미만으로 열로 수축되는 것인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1 이상의 방향으로 열로 수축되는 것인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상기 열 수축 동안 1 이상의 방향으로 구속되는 것인 물품.
  10.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 내로 혼입되어 있는 1 이상의 엘라스토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물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형 피브릴의 상기 너비가 0.5 ㎛ 이하인 물품.
  12. 1 이상의 개구부,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구김을 포함하지 않는 관형 부재를 포함하는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로서, 상기 관형 부재는 사행형 피브릴을 가지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 및 플루오로중합체의 불연속 코팅을 그 위에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사행형 피브릴은 첫 번째 방향에서 첫 번째 만곡을 갖고 두 번째 방향에서 두 번째 만곡을 가지고, 상기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실질적으로 사행형 피브릴만의 미세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형 피브릴 각각의 너비가 1.0 ㎛ 이하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형 피브릴 각각의 너비가 0.5 ㎛ 이하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공극을 포함하고, 플루오로중합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수 개의 상기 공극을 침투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가 스텐트용 피막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면 상의 상기 플루오로중합체가 상기 스텐트의 간극을 통해 상기 내부 표면 상의 상기 플루오로중합체에 결합하여 상기 피막을 상기 스텐트에 부착시키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중합체가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FEP), 에틸렌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EFEP), THV(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삼원중합체), PFA(퍼플루오로알콕시 공중합체 수지), ECTFE(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PEEK(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중합체가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21. 삭제
  22. 제12항에 있어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복수 개의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재료가, 추가 팽창이 억제되는 것을 초과하는 직경까지 방사상으로 팽창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24.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 내로 혼입되어 있는 1 이상의 엘라스토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25. 제12항에 있어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1 이상의 방향으로 초기의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 길이의 90% 미만으로 열로 수축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상기 열 수축 동안 1 이상의 방향으로 구속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2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재료가 직경 7 mm로 팽창될 때, 강성 증가를 보이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장치.
  28. 1 이상의 개구부,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벽을 가지는 스텐트; 및
    상기 스텐트에 부착된, 구김을 포함하지 않는 피막으로서, 상기 피막은 사행형 피브릴을 가지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 및 플루오로중합체의 불연속 코팅을 그 위에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피막을 포함하는 스텐트 그래프트로서,
    여기서, 상기 복합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스텐트의 내부 및 외부 표면 중 1 이상을 피복하고, 상기 사행형 피브릴은 첫 번째 방향에서 첫 번째 만곡을 갖고 두 번째 방향에서 두 번째 만곡을 가지고, 상기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실질적으로 사행형 피브릴만의 미세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 그래프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형 피브릴 각각의 너비가 1.0 ㎛ 이하인 스텐트 그래프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형 피브릴 각각의 너비가 0.5 ㎛ 이하인 스텐트 그래프트.
  31. 제28항에 있어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공극을 포함하고, 플루오로중합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수 개의 상기 공극을 침투하는 것인 스텐트 그래프트.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가 제1 압력에서 제1 직경까지 및 제2 압력에서 제2 직경까지 연장하며, 상기 제2 압력은 상기 제1 압력보다 큰 것인 스텐트 그래프트.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면 상의 상기 플루오로중합체가 상기 스텐트의 간극을 통해 상기 내부 표면 상의 상기 플루오로중합체에 결합하여 상기 피막을 상기 스텐트에 부착시키는 것인 스텐트 그래프트.
  34. 제28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가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인 스텐트 그래프트.
  35. 삭제
  36. 삭제
  37. 제28항에 있어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복수 개의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 그래프트.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재료가, 추가 팽창이 억제되는 것을 초과하는 직경까지 방사상으로 팽창되는 것인 스텐트 그래프트.
  3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재료가 직경 7 mm로 팽창될 때, 강성 증가를 보이는 것인 스텐트 그래프트.
  4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재료에 구김이 없는 것인 스텐트 그래프트.
  41. 스텐트의 내부 표면 상에 제1 관형 부재를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스텐트의 외부 표면 상에 제2 관형 부재를 배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관형 부재는 각각 사행형 피브릴을 가지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 및 플루오로중합체의 불연속 코팅을 그 위에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플루오로중합체는 상기 제1 관형 부재의 외부 표면 상에, 및 상기 제2 관형 부재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고,
    상기 사행형 피브릴은 첫 번째 방향에서 첫 번째 만곡을 갖고 두 번째 방향에서 두 번째 만곡을 가지고, 상기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실질적으로 사행형 피브릴만의 미세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를 그 위에 가지는 상기 스텐트를 가열하여 상기 스텐트의 간극을 통해 상기 제1 관형 부재 상의 상기 플루오로중합체를 상기 제2 관형 부재에 부착시키고, 피막형 스텐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막형 스텐트를 형성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가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인 방법.
  43. 삭제
  44. 제41항에 있어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복수 개의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재료가, 추가 팽창이 억제되는 것을 초과하는 직경까지 방사상으로 팽창되는 것인 방법.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형 부재가 구김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방법.
  47. 제41항에 있어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공극을 포함하고, 플루오로중합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수 개의 상기 공극을 침투하는 것인 방법.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재료가 직경 7 mm로 팽창될 때, 강성 증가를 보이는 것인 방법.
  49.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형 피브릴 각각의 너비가 1.0 ㎛ 이하인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형 피브릴 각각의 너비가 0.5 ㎛ 이하인 방법.
  51. 사행형 피브릴을 가지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 및 플루오로중합체의 불연속 코팅을 그 위에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관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플루오로중합체는 상기 관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사행형 피브릴은 첫 번째 방향에서 첫 번째 만곡을 갖고 두 번째 방향에서 두 번째 만곡을 가지고, 상기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이 실질적으로 사행형 피브릴만의 미세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상기 관을 횡단 절단하여 제1 관형 부재 및 제2 관형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관형 부재를 반전시켜(everted) 상기 제2 관형 부재의 내부 표면 상에 상기 플루오로중합체를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관형 부재를 스텐트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2 관형 부재를 상기 스텐트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피막형 스텐트를 가열하여 상기 스텐트의 간극을 통해 상기 제1 관형 부재 상의 상기 플루오로중합체를 상기 제2 관형 부재에 부착시켜 피막형 스텐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막형 스텐트를 형성하는 방법.
  52. 삭제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형 피브릴 각각의 너비가 1.0 ㎛ 이하인 방법.
KR1020147018159A 2012-01-16 2012-11-14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불연속 플루오로중합체 층을 그 위에 포함하는 물품 KR101626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51,052 2012-01-16
US13/351,052 US20130183515A1 (en) 2012-01-16 2012-01-16 Articles including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s with serpentine fibrils
US13/675,730 US9510935B2 (en) 2012-01-16 2012-11-13 Articles including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s with serpentine fibrils and having a discontinuous fluoropolymer layer thereon
US13/675,730 2012-11-13
PCT/US2012/064908 WO2013109337A1 (en) 2012-01-16 2012-11-14 Articles including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s with serpentine fibrils and having a discontinuous fluoropolymer layer there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510A KR20140105510A (ko) 2014-09-01
KR101626234B1 true KR101626234B1 (ko) 2016-05-31

Family

ID=472790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159A KR101626234B1 (ko) 2012-01-16 2012-11-14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불연속 플루오로중합체 층을 그 위에 포함하는 물품
KR1020147018153A KR101675653B1 (ko) 2012-01-16 2012-11-26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물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153A KR101675653B1 (ko) 2012-01-16 2012-11-26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2) EP2804895B1 (ko)
JP (2) JP5997294B2 (ko)
KR (2) KR101626234B1 (ko)
CN (2) CN104039875B (ko)
AU (3) AU2012366177B2 (ko)
BR (2) BR112014017472A8 (ko)
CA (2) CA2860530C (ko)
HK (2) HK1201549A1 (ko)
RU (2) RU2587183C2 (ko)
WO (2) WO20131093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9540B2 (en) 2011-01-14 2017-12-12 W. L. Gore & Associates, Inc. Stent
US10166128B2 (en) 2011-01-14 2019-01-01 W. L. Gore & Associates. Inc. Lattice
US9283072B2 (en) 2012-07-25 2016-03-15 W. L. Gore & Associates, Inc. Everting transcatheter valve and methods
US9931193B2 (en) 2012-11-13 2018-04-03 W. L. Gore & Associates, Inc. Elastic stent graft
US9101469B2 (en) 2012-12-19 2015-08-11 W. L. Gore & Associates, Inc. Prosthetic heart valve with leaflet shelving
US10279084B2 (en) 2012-12-19 2019-05-07 W. L. Gore & Associates, Inc. Medical balloon devices and methods
US9968443B2 (en) 2012-12-19 2018-05-15 W. L. Gore & Associates, Inc. Vertical coaptation zone in a planar portion of prosthetic heart valve leaflet
US9144492B2 (en) 2012-12-19 2015-09-29 W. L. Gore & Associates, Inc. Truncated leaflet for prosthetic heart valves, preformed valve
AU2014378588A1 (en) * 2013-01-31 2015-08-20 W.L. Gore & Associates, Inc. Elastic stent graft
EP3679955A1 (en) * 2013-03-13 2020-07-15 W.L. Gore & Associates Inc. Elastomeric leaflet for prosthetic heart valves
US10842918B2 (en) 2013-12-05 2020-11-24 W.L. Gore & Associates, Inc. Length extensible implantable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such devices
US9862859B2 (en) 2014-09-12 2018-01-09 W. L. Gore & Associates, Inc. Porous air permeable polytetrafluoroethylene composites with improved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US20160075914A1 (en) * 2014-09-12 2016-03-17 W. L. Gore & Associates, Inc. Porous Air Permeable Polytetrafluoroethylene Composites with Improved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US9827094B2 (en) 2014-09-15 2017-11-28 W. L. Gore & Associates, Inc. Prosthetic heart valve with retention elements
RU2676621C2 (ru) * 2016-04-07 2019-01-09 Дмитрий Сергеевич Лопатин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ая анионообменная мембран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AU2016403450B2 (en) 2016-04-21 2019-10-03 W. L. Gore & Associates, Inc. Diametrically adjustable endoprosthes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8075910A1 (en) * 2016-10-21 2018-04-26 W. L. Gore & Associates, Inc. Acoustic protective cover assembly containing a retracted membrane material
US11020221B2 (en) 2017-09-27 2021-06-01 W. L. Gore & Associates, Inc. Prosthetic valve with expandable fram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3687452A1 (en) 2017-09-27 2020-08-05 W. L. Gore & Associates, Inc. Prosthetic valves with mechanically coupled leaflets
US11497601B2 (en) 2019-03-01 2022-11-15 W. L. Gore & Associates, Inc. Telescoping prosthetic valve with retention element
EP3983196A1 (en) * 2019-06-13 2022-04-20 W.L. Gore & Associates Inc. Highly oriented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with superior stiffness
AU2021248824B2 (en) * 2020-04-03 2023-12-14 W. L. Gore & Associates, Inc. Articles containing expanded poly (tetramethyl-p-silphenylenesiloxane)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9133A1 (en) * 2002-06-25 2006-11-16 Scimed Life Systems, Inc. Elastomerically impregnated ePTFE to enhance stretch and recovery properties for vascular grafts and covering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1975Y2 (ja) * 1982-07-07 1985-12-21 博志 松本 心臓外科用人工補綴材
SU1373402A1 (ru) * 1986-06-02 1988-02-15 Латв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равматологии И Ортопедии Эндопротез трубчатой кости
US5071609A (en) * 1986-11-26 1991-12-10 Baxter International Inc. Process of manufacturing porous multi-expanded fluoropolymers
US4816339A (en) * 1987-04-28 1989-03-28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layered poly(tetrafluoroethylene)/elastomer materials useful for in vivo implantation
US4877661A (en) 1987-10-19 1989-10-31 W. L. Gore & Associates, Inc. Rapidly recoverable PTFE and process therefore
EP0313263B1 (en) * 1987-10-19 1993-03-24 W.L. Gore & Associates, Inc. Rapid recoverable ptfe and a process for its manufacture
RU2124986C1 (ru) * 1993-01-25 1999-01-20 Дайкин Индастриз Лтд. Пористая политетрафторэтиленовая пленк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AU6987594A (en) * 1993-08-18 1995-03-14 W.L. Gore & Associates, Inc. A tubular intraluminal graft
US6027779A (en) * 1993-08-18 2000-02-22 W. L. Gore & Associates, Inc. Thin-wall polytetrafluoroethylene tube
EP0777567B1 (en) 1994-09-02 2001-08-22 W.L. Gore & Associates, Inc.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compositions
US5868704A (en) * 1995-09-18 1999-02-09 W. L. Gore & Associates, Inc. Balloon catheter device
JPH09241412A (ja) * 1996-03-07 1997-09-16 Sumitomo Electric Ind Ltd 延伸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チューブとその製造方法
EP2298241A3 (en) * 1996-12-03 2011-11-02 Atrium Medical Corporation Multi-stage prothesis
US6010529A (en) * 1996-12-03 2000-01-04 Atrium Medical Corporation Expandable shielded vessel support
JP4222655B2 (ja) * 1998-04-06 2009-02-12 ジャパンゴアテックス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
US7049380B1 (en) 1999-01-19 2006-05-23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Thermoplastic copolymer of tetrafluoroethylene and perfluoromethyl vinyl ether and medical devices employing the copolymer
CA2328999C (en) * 1999-01-22 2005-07-12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Covered endoprosthesis and delivery system
US6716239B2 (en) * 2001-07-03 2004-04-06 Scimed Life Systems, Inc. ePTFE graft with axial elongation properties
US6541589B1 (en) 2001-10-15 2003-04-0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US6719784B2 (en) * 2001-11-21 2004-04-13 Scimed Life Systems, Inc. Counter rotational layering of ePTFE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of a prosthesis
EP1465685B1 (en) * 2001-12-20 2010-03-17 TriVascular2,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ndovascular graft section
US6790213B2 (en) * 2002-01-07 2004-09-14 C.R. Bard, Inc. Implantable prosthesis
US8308789B2 (en) * 2004-07-16 2012-11-13 W. L. Gore & Associates, Inc. Deployment system for intraluminal devices
US7524445B2 (en) * 2004-12-31 2009-04-2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thod for making ePTFE and structure containing such ePTFE, such as a vascular graft
US20060149363A1 (en) * 2005-01-06 2006-07-06 Scimed Life Systems, Inc. Optimally expanded, collagen sealed ePTFE graft with improved tissue ingrowth
US7531611B2 (en) 2005-07-05 2009-05-12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US7306729B2 (en) 2005-07-18 2007-12-1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Porous PTFE materials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US20090036996A1 (en) * 2007-08-03 2009-02-05 Roeber Peter J Knit PTFE Articles and Mesh
US7968190B2 (en) * 2008-12-19 2011-06-28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PTFE fabric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9133A1 (en) * 2002-06-25 2006-11-16 Scimed Life Systems, Inc. Elastomerically impregnated ePTFE to enhance stretch and recovery properties for vascular grafts and cover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4133514A (ru) 2016-03-10
CA2860530A1 (en) 2013-07-25
JP2015509123A (ja) 2015-03-26
BR112014017472A8 (pt) 2017-07-04
EP2804895A1 (en) 2014-11-26
AU2012366183B2 (en) 2016-05-12
WO2013109343A1 (en) 2013-07-25
BR112014017472A2 (pt) 2017-06-13
BR112014017438A8 (pt) 2017-07-04
KR20140099529A (ko) 2014-08-12
JP6062960B2 (ja) 2017-01-18
RU2583395C2 (ru) 2016-05-10
CA2860420C (en) 2017-02-28
EP2804739A1 (en) 2014-11-26
RU2014133532A (ru) 2016-03-10
AU2012366183A1 (en) 2014-07-03
CN104039529B (zh) 2017-09-08
AU2012366177A1 (en) 2014-07-03
HK1201549A1 (en) 2015-09-04
AU2016201878B2 (en) 2017-08-17
JP2015507505A (ja) 2015-03-12
RU2587183C2 (ru) 2016-06-20
AU2012366177B2 (en) 2015-10-29
AU2016201878A1 (en) 2016-04-21
CA2860530C (en) 2017-02-21
EP2804895B1 (en) 2018-08-01
KR101675653B1 (ko) 2016-11-11
KR20140105510A (ko) 2014-09-01
WO2013109337A1 (en) 2013-07-25
CN104039875B (zh) 2017-05-31
EP2804739B1 (en) 2019-01-02
JP5997294B2 (ja) 2016-09-28
BR112014017438A2 (pt) 2017-06-13
CN104039875A (zh) 2014-09-10
HK1203896A1 (en) 2015-11-06
CN104039529A (zh) 2014-09-10
CA2860420A1 (en)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234B1 (ko) 사행형 피브릴을 포함하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불연속 플루오로중합체 층을 그 위에 포함하는 물품
US9987395B2 (en) Articles including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s with serpentine fibrils having a discontinuous fluoropolymer layer thereon
US20130183515A1 (en) Articles including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s with serpentine fibrils
US20180177583A1 (en) Elastic stent graft
JP5595802B2 (ja) 伸びの異方性が小さい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636291B1 (en) Porous materials having a fibrillar microstructure and a fracturable coating
EP3061598A1 (en)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a porous film assembly
JP6599845B2 (ja) 補綴心臓弁用エラストマー製リーフレット
WO2019103537A1 (ko) 불소계 수지 다공성 막 및 그 제조방법
AU2014378588A1 (en) Elastic stent graft
EP2983729A1 (en) Elastic stent g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