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103B1 - 수술용 기구 - Google Patents

수술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103B1
KR101626103B1 KR1020147004141A KR20147004141A KR101626103B1 KR 101626103 B1 KR101626103 B1 KR 101626103B1 KR 1020147004141 A KR1020147004141 A KR 1020147004141A KR 20147004141 A KR20147004141 A KR 20147004141A KR 101626103 B1 KR101626103 B1 KR 101626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fiber
surgical instrument
suction por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274A (ko
Inventor
카즈오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츄쿄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츄쿄메디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츄쿄메디칼
Publication of KR2014005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3Fluid jet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61F9/00763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with rot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elements, e.g. concentric cutt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81Apparatus for modifying intraocular pressure, e.g. for glaucom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61B2017/005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pneu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 A61B2090/0802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of the patient or his org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술용 기구(1)는, 강성을 갖는 프로브(2)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브(2)를 슈렘 관 내에 삽입하여 섬유주대를 절제한다. 프로브 내에는, 커터를 갖는 내통부(內筒部)가 장비되며, 구멍부(22)로부터 흡인된 섬유주대가, 내통부의 운동에 의해 커터로 절단된다. 프로브(2)의 선단에는 보호부(21)가 형성되어, 섬유주대 절제시에 슈렘 관 외벽을 보호한다. 이로써, 조작성이 뛰어나며, 절제하지 않아야 하는 부분의 절제를 확실히 방지하는 녹내장 환자에 대한 안과의 수술용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술용 기구{SURG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수술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녹내장은 눈의 주요한 병의 하나이며, 실명의 원인도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가 불가결하다. 녹내장은 안압이 장기간에 걸쳐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치를 지속했을 때에 일어나며, 안압의 상승은, 방수(房水)의 유출이 손상됨에 따라 발생한다. 따라서 녹내장에 대해서는, 적절히 방수가 유출되기 위한 치료가 실시된다.
녹내장의 치료법으로서는, 약의 처방(안약이나 경구약)도 있지만, 외과적 처치도 있다. 섬유주대(trabecular meshwork)의 이상이 방수의 유출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외과적 처치로서 섬유주대를 제거하는 수술이 있다. 이 수술을 위한 기구가 아래와 같이 특허 문헌 1에서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표 공보 제 2002-541975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섬유주대 절개기구는, 섬유주대 절제(切除)를 행하는 선단부를 포함하여 전체가 유연한 구조이기 때문에, 조작성이 높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섬유주대 절제수술에 있어서는, 절제할 부분은 적절히 절제하는 동시에, 절제하지 않는 부분은 확실하게 절제를 방지하는 기능이 요구되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구에서는, 절제하지 않아야 하는 부분의 절제 방지를 위한 구조가 명확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작성이 뛰어나며, 절제하지 않아야 하는 부분의 절제를 확실히 방지하는 안과의 수술용의 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수술용 기구는, 섬유주대 절제수술에서 사용되는 수술용 기구로서, 시술자가 파지(把持)하는 파지부와, 그 파지부의 단부(端部)로부터 봉(棒)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강성을 갖는 프로브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브는, 절제 부위인 섬유주대를 향해 세정액을 유출하는 유출구와, 상기 프로브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된 세정액을 폐액(廢液)으로서 회수하는 동시에, 섬유주대를 프로브 내부로 흡인하는 흡인구와, 그 흡인구에 흡인된 섬유주대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흡인구 및 절단부보다 상기 프로브의 선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브의 선단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가 형성된 측면쪽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절단부에 의한 섬유주대 절제중에, 상기 절단부와 슈렘(Schlemn) 관 외벽과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비절제 부위인 슈렘 관 외벽을 절제 및 흡인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를 구비하고, 유리체 절제수술에 있어서의 동력의 전달과 세정액의 송출과 폐액의 회수를 행하는 유리체 절제용 장치에 있어서의 유리체 절제용의 동력 공급부에 접속되어, 그 장치로부터 상기 절단부로 절단을 위한 동력을 보내기 위한 제 1 송출부와, 상기 유리체 절제용 장치에 있어서의 유리체 절제용의 세정액 공급부에 접속되어, 그 유리체 절제용 장치로부터 상기 유출구에 세정액을 보내기 위한 제 2 송출부와, 상기 유리체 절제용 장치에 있어서의 유리체 절제용의 흡인부에 접속되어, 그 유리체 절제용 장치로 상기 흡인구에서 흡인된 폐액 및 절단된 섬유주대를 보내기 위한 제 3 송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관한 수술용 기구는, 강성(剛性)을 가지며 조작성이 뛰어난 프로브를 가지고 섬유주대를 절제하는 안과의 수술용 기구로서, 그 프로브의 선단측에, 섬유주대의 절제중에, 절단부와 슈렘 관 외벽과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슈렘 관 외벽을 절제 및 흡인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섬유주대를 확실히 절제하면서, 슈렘 관 외벽의 절제는 확실히 억제한다. 따라서 녹내장에 대한 효과적인 외과적 처치를 행할 수 있는 수술용 기구가 실현된다. 또, 절단부가 인접하는 흡입구를 프로브의 측면에 배치하고, 프로브의 선단에 있어서의 흡입구가 형성된 측면 쪽에 보호부를 연장 설치한 형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간소한 구조에 의해, 예컨대 프로브를 슈렘 관 내에 삽입하여 섬유주대를 절제하고, 또한 프로브 선단에 대향되는 위치의 슈렘 관 외벽을 보호부에 의해 절제나 흡인으로부터 확실히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술용 기구를, 유리체 절제용 수술용의 장치에 접속함으로써, 녹내장 환자에 대한 섬유주대 절제 수술을 실행할 수가 있다. 이로써, 종래는 별개로 구축되어 있던 유리체 절제용의 시스템과 섬유주대 절제용의 시스템의 장치 부분을 겸용하여, 의료에 있어서의 시스템의 간소화, 공간절약화, 저비용화에 기여한다는 현저한 효과를 거둔다.
또 상기 프로브 내부에 길이방향 축을 공유하도록 배치된 내통부(內筒部)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는, 그 내통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내통부의 프로브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 운동 또는 병진(竝進) 운동에 의해 절제 부위를 절단하는 절단 날을 구비한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브 내부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내통부를 구비하고, 내통부에 구비된 절단 날이, 내통부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절단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프로브의 원통 형상을 이용하여, 간소한 구조에 의해 절단 날을 운동시키는 기구를 형성하며, 이로써 절제 부위를 흡인하면서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술용 기구는, 섬유주대 절제수술에서 사용되는 수술용 기구로서, 절제 부위인 섬유주대를 향해 세정액을 유출하는 유출구와, 상기 프로브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된 세정액을 폐액으로서 회수하는 동시에, 섬유주대를 프로브 내부로 흡인하는 흡인구와, 그 흡인구에 흡인된 섬유주대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한 강성을 갖는 프로브에, 상기 수술용 기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와, 상기 흡인구 및 절단부보다 상기 프로브의 선단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브의 선단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가 형성된 측면 쪽으로 연장 설치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절단부에 의한 섬유주대 절제중에, 상기 절단부와 슈렘 관 외벽과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비(非)절제 부위인 슈렘 관 외벽을 절제 및 흡인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와, 상기 부착부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보호부와 상기 흡인구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수술용 기구는, 보호부와 부착부를 갖는 구성에 의해, 예컨대 기존의 안과의 수술용 기구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안과 수술에 있어서의 큰 비용 삭감에 기여한다는 현저한 효과를 거둔다. 또, 보호부와 흡인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행해지는 안과 수술에 적합한 거리로 조절하여, 적절한 수술에 공헌할 수 있다. 예컨대 녹내장 환자에 대한 섬유주대의 제거 수술에 사용할 경우, 슈렘 관 내에 보호부가 진입한 상태에서, 흡인구의 위치가 절제해야 할 섬유주대의 위치에 오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섬유주대 절제수술을 행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술용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어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술용 기구의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통부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술용 기구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술용 기구의 제 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술용 기구의 제 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통부가 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술용 기구를 이용한 녹내장 수술의 모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보호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A는 도 11을 구멍부의 옆에서 본 제 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1을 구멍부의 옆에서 본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수술용 기구를 유리체 절제용 시스템과 겸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녹내장 수술에 있어서 도 10에 앞서는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수술용 기구의 부착 타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부착 타입의 수술용 기구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9는 부착 타입의 수술용 기구의 조절용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부착 타입의 수술용 기구의 제 2 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부착 타입의 수술용 기구의 제 3 예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0 또는 도 21을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술용 기구(1; 이하, 기구)이다. 기구(1)는, 녹내장 수술에 있어서의 특히 섬유주대의 절제에서 사용되는 기구로서, 프로브(2), 동체부(胴體部, 3), 케이블·튜브부(4)를 구비한다.
프로브(2)는, 동체부(3)의 선단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환자의 눈에 삽입되는 부위이다. 프로브는 동체부(4)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1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확대 부분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선단측에 위치하는 지름이 작은 소지름부(2a)와, 동체(3)측의 대지름부(2b)로 이루어진다. 프로브(2; 소지름부(2a), 대지름부(2b))의 지름은, 섬유주대의 절제에 적합한 수치로 하면 된다.
프로브(2)의 소지름부(2a)는, 도 1과 같이, 내부가 공동(空洞)인 원통부(20)의 선단 근방의 측면에 구멍부(20)가 형성되며, 구멍부(20)의 반대측의 측면 및 선단 단면측에 보호부(21)를 구비한다. 수술시에 프로브(2)의 선단이 섬유주대에 삽입된다. 원통부(20)의 내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인 기구와 접속되어 있으며, 구멍부(20)의 내부에 섬유주대의 일부가 흡인된다. 구멍부(20)의 내부에는 커터(절단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커터에 의해 흡인된 섬유주대가 절단되어, 동체부(3) 쪽으로 흡인된다. 수술에 의해 오염된 세정액도, 구멍부(20)로부터 동체부(3) 쪽으로 흡인된다.
프로브(2)의 대지름부(2b)는, 그 선단 근방의 측면에 구멍부(23)를 구비한다. 구멍부(23)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부위로부터 연결되어 있으며, 수술시에, 구멍부(23)로부터 프로브 선단 방향을 향해, 즉 시술 위치 주변을 향해, 세정액이 유출(분출, 사출)된다. 프로브(2)의 재질은, 예컨대 금속이나 강성을 갖는 수지 등으로 하면 된다.
동체부(3; 파지부)는, 수술시에 시술자가 파지하는 부위로서, 예컨대 파지에 적합한 통형(筒型) 형상으로, 내부에 절단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등을 구비한다(후술). 또 절제된 섬유주대나, 세정액, 그 오염된 폐액 등은, 동체부(3)의 내부를 지나, 프로브로부터(혹은 프로브로) 보내진다.
케이블·튜브부(4)는, 동체부(3)의 후단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전력 공급, 세정액 공급, 절제 부위 및 폐액 회수에 관계한다. 케이블·튜브부(4)는 복수의 케이블 혹은 튜브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면 되며, 예컨대 도 1 등과 같이, 전력 케이블(40), 세정액(세정 유체) 공급 튜브(41), 폐액 튜브(42)의 3개(혹은 전력 케이블(40)의 양 극선(polar lines)을 각각 세면 4개)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
전력 케이블(4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로브(2)의 선단에 있어서의 절제 처리를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세정액 공급 튜브(41)는, 섬유주대의 절제 시술중에 시술부에 세정액을 보내기 위한 튜브이다. 폐액 튜브(42)는, 절제된 섬유주대나, 시술부 세정 후의 오염된 폐액이나 수술 부위로부터의 출혈 등을 회수하여 폐기하기 위한 튜브이다.
기구(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술시에는 제어장치(5)에 접속되어 사용된다. 제어장치(5)는, 주요한 구성으로서, 전원(50; 전력 공급부), 세정액 공급부(51), 흡인부(52)를 구비한다. 전원(50)은, 기구(1)의 전력 케이블(40)이 접속됨으로써, 기구(1)에 전력을 공급한다. 공급된 전력에 의해 기구(1)는, 절단부를 구동한다. 전원(50)은, 상용 전력을 기구(1)에 적합한 전력(예컨대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치)으로 변환하여, 기구(1)에 공급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 세정액 공급부(51)는, 기구(1)의 세정액 튜브(41)가 접속됨으로써, 기구(1)에 세정액을 공급한다. 흡인부(52)는, 기구(1)의 폐액 튜브(42)가 접속됨으로써, 기구(1)를 통해 폐액, 절제 부위 등을 흡인한다.
도 3 내지 도 8은, 기구(1)의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구(1)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개요도로서, 예컨대 도시된 세로 방향의 길이가 압축되어 있다.
우선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로브(2), 및 동체부(3)의 축방향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브(2)는 도 1에 도시된 원통부(20)를, 외통부(外筒部; 외측의 원통부)로 하고, 그 내측에 내통부(25; 내측의 원통부)를 구비한다. 내통부(25)는 외통부(원통부(20))에 대해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통부(25)는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된 원통 형상이며, 도 3의 위치 관계에서 외통부(20)의 구멍부(22) 내부와 겹치는 위치에, 내통부(25)에도 구멍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25)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는, 구멍부(24)로부터 폐액 튜브(41)까지 연결한다. 외통부(20)의 도시된 우측과 상측에 걸쳐, 보호부(21)가 배치되어 있다. 보호부(21)는, 예컨대 외통부(20)의 외형을 따라 굴곡된 판형상으로 하면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브(2)는, 예컨대 동체부(3)에 형성된 구멍부에 삽입하여 고정된 형태로 하면 된다. 또 보호부(21)도, 예컨대 소지름부(2a)와 대지름부(2b)와의 경계의 테이퍼부에 형성된 구멍부에 삽입하여 고정된 형태로 하면 된다. 도 3 등에서는, 원통부(20; 외통부)를 대지름부(2b)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지만, 원통부(20; 외통부)는 대지름부(2b)와는 별체(別體)로서 형성하여, 대지름부(2b) 내에 삽입하는 형태여도 무방하다.
소지름부(2a)와 대지름부(2b)와의 경계의 테이퍼부에는 구멍부(23), 나아가 동체부(3)를 지나 세정액 튜브까지 관통하는, 세정액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액은, 적절한 수압(水壓)과 함께 제어장치(5)의 세정액 공급부(51)로부터 공급되고, 동체부(3), 프로브(2)를 통과하여 구멍부(23)로부터 수술 부위 주변으로 분출된다.
수술시에 구멍부(22)와 구멍부(24)가 겹친 위치 관계가 되었을 때에, 제어장치(5)의 흡인부(52)가 흡인함으로써 구멍부(22, 24)의 내부에 그 근방의 섬유주대(섬유주대 전체 중 일부)가 흡인된다. 동시에 수술 부위를 세정한 세정액도 구멍부(22, 24) 내에 흡인된다.
도 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체부(3) 내에 모터(30)가 장비되어 있다. 모터(30)는, 동체부(3)의 중앙의 위치에, 프로브(2)의 축선과 회전축선을 공유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모터(30)는, 전력 케이블(40)을 통해 제어장치(5)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내통부(25)가 프로브(2)의 축선 둘레의 회전운동을 하도록 한다. 도 4는, 내통부(25)가 90도 정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내통부(25)의 구멍부(24)의 단부(예컨대 도시 좌우 방향의 단부)에는 커터(24a)가 형성되며, 내통부(25)가 외통부(20)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구멍부(22, 24) 내에 흡인된 섬유주대가 커터(24a)에 의해 절단된다. 외통부(20)의 구멍부(22)에도 커터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절단된 섬유주대와 폐액은, 내통부(25) 내의 통로를 통해, 더욱이 폐액 튜브를 지나 흡인부(52)까지 흡인된다. 흡인부(52)에 저류(貯留)된 섬유주대나 폐액은, 예컨대 적절한 방법으로 폐기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5는, 기구(1)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내지 도 8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 3, 도 4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어진 부위는 같은 부위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의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30) 대신에 에어 실린더의 기구가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5')는 전력 공급부(50) 대신에 펌프(53)를 장비한다. 또 기구(1)는, 전력 케이블(40) 대신에, 동력으로서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튜브(40')를 장비한다. 기구(1)는, 동체부(3) 내에 실린더(31)가 형성되며, 피스톤(32), 나사부(33)를 구비한다.
실린더(31)는 프로브(2)와 축선을 공유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린더(31) 내에 도시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32)이 배치된다. 피스톤(32)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나사부(33)의 나사 홈과 나사 끼움 결합되어 있다. 나사부(33)는 내통부(25)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제어장치(5')의 펌프(53)로부터 동력으로서 공기의 공급 및 흡인이 반복되면, 피스톤(32)이 상하 운동하고, 그 상하 운동이 피스톤(32)과 나사부(33)간의 나사 기구에 의해, 나사부(33)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나사부(33)가 회전 운동함에 따라, 내통부(25)가 회전한다. 이로써 내통부(25)의 구멍부(24)의 커터(24a)가, 구멍부(24) 내에 흡인된 섬유주대를 절단한다.
다음으로, 도 6은 기구(1)의 제 3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도 에어 실린더 구조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구(1)는 동체부(3) 내에, 실린더(34)가 형성되고, 피스톤(35), 기어(36), 랙(37)을 구비한다. 실린더(34)는 그 축방향이, 프로브(2)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원통 형상으로서 형성되며, 피스톤(35)이 도시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실린더(34) 내에 배치된다. 랙(37)은 피스톤(35)에 고정되어, 피스톤(37)과 일체로 좌우로 운동한다. 기어(36)는, 랙(37)과의 사이에 캠 기구를 형성하며, 랙(37)의 병진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 기어(36)는 내통부(25)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기구(1)는, 제어장치(5')의 펌프(53)로부터 동력으로서 공기의 공급 및 흡인이 반복되면, 피스톤(32)이 도시된 좌우로 운동하며, 이것과 일체로 랙(37)도 좌우로 운동하여, 그 좌우 운동이 랙(37)과 기어(36)간의 캠 기구에 의해, 기어(36)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기어(36)가 회전 운동함에 따라, 내통부(25)도 회전한다. 이로써 내통부(25)의 구멍부(24)의 커터(24a)가, 구멍부(24) 내에 흡인된 섬유주대를 절단한다.
또한, 도 3, 도 4에 있어서의 내통부(25)의 회전 운동은 동일 방향으로의 일정 속도의 회전 운동이며, 도 5, 도 6에 있어서의 내통부(25)의 회전 운동에서는, 정역(正逆) 방향으로의 소정 회전 각도 폭의 회전을 반복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7, 도 8은, 기구(1)의 제 4 실시 형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부(25)가 도시된 상하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기구(1)는, 실린더(31)가 형성되며, 피스톤(38)을 구비한다. 실린더(31)는 프로브(2)와 축선을 공유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린더(31) 내에 도시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피스톤(38)이 배치된다. 피스톤(38)은 내통부(25)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제어장치(5')의 펌프(53)로부터 동력으로서 공기의 공급 및 흡인이 반복되면, 피스톤(38)이 도시된 상하로 운동한다. 피스톤(38)이 상하 운동함에 따라, 내통부(25)도 상하 운동한다. 도 8에는 내통부(25)가 도시의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내통부(25)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통부(25)의 구멍부(24)의 커터(24a)가, 구멍부(24) 내에 흡인된 섬유주대를 절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부(25)의 구멍부(24)에 있어서의 상측의 단부에 커터(24a)를 형성하면 된다. 혹은 내통부(25)의 이동거리를 길게 하고, 내통부(25)의 구멍부(24)에 있어서의 상하 양측의 단부에 커터(24a)를 형성하여, 상하 양방의 커터(24a)로 섬유주대를 절단하도록 하는 것도 적합하다. 물론 외통부(25)의 구멍부(22)에도 커터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기구(1)를 녹내장의 외과적 처치에 있어서의 섬유주대의 절제에 있어서 사용한다. 도 9에 나타낸 눈의 구조의 개요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눈의 홍채(104)의 도시된 하부에 위치하는 모양체(毛樣體)에 있어서 방수는 생성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방수는, 수정체(105)로 몰려 온 후에, 전안방(前眼房, 101)의 둘레 방향에 있는 우각(隅角)으로부터 흘러나온다. 우각에는 섬유주대(102)나 슈렘 관(103)이 존재한다. 섬유주대(102)는 방수의 유출을 제한하는 필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슈렘 관(103)은 방수가 흘러나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섬유주대(102)가 비정상으로 변형하거나 기능 이상을 일으켰을 경우, 전안방(101)을 나오는 방수의 흐름이 제한된다. 이것에 의해 안압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녹내장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술용 기구(1)는, 이러한 녹내장에 대한 외과적 처치에 있어서 효과적인 기구이다. 기구(1)를 이용한 수술 방법의 일례는 이하와 같다.
수술의 준비로서, 섬유주대가 우각경(隅角鏡)을 통해 정면에서 보이도록, 현미경을 수술자 쪽으로 30에서 45도 기울이는 동시에 환자의 두위(頭位)도 결정한다. 각막을 나이프(예컨대 1.7mm)로 절개하여, 방수를 조금 뺀 후, 점탄성(粘彈性) 물질을 주입한다.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특히 우각 부분에 가득 채우면 된다. 우각경을 놓고 섬유주대를 확인하였으면 프로브(2)를 슈렘 관(103)에 삽입하여, 절제를 개시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슈렘 관(103) 내에 있어서, 구멍부(21)가 형성된 쪽을 향해 기구(1)를 움직인다. 이때, 기구(1)가 전진하는 방향은, 보호부(21)가 연장 설치된 방향과 같게 된다.
시계방향, 그 후 반(反) 시계방향으로 절제를 진행하면, 90에서 120도까지 절제할 수 있다(백내장 수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는, 여기서 1.7 mm의 각막 절개 창(incision wound)을 3.0mm까지 넓혀, 렌즈를 넣는다). 마지막으로 점탄성 물질과 역류성 출혈을 씻어 완전하게 제거하였으면, 창상 부위(wound portion)로부터 방수가 새어 오지 않는 것을 확인한다. 어느 정도 안압이 유지되도록, 필요하면 1바늘(예컨대 10-0 나일론) 정도 상처를 봉합한다.
본 수술의 이점으로서는 예컨대, 각막(100)의 절개 창이 작고, 슈렘 관이 손상되기 어렵다는 저침습성(低侵襲性)과, 섬유주대를 실제로 보면서 절개할 수 있는 확실성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술 후의 심각한 합병증이 적기 때문에, 조기, 중기에서 21 mmHg 이상의 고안압의 녹내장이라면, 점안(點眼)을 늘리는 것보다 조기에 수술에 적응할 가능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구(1)를 이용하여, 섬유주대가 절제(소파)된다(또한 섬유주대 절제라는 표현에는, 전방(前房) 측으로부터 슈렘 관 내벽을 소정 각도 범위에서 절제하여, 섬유주대를 노출시키는 것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슈렘 관 외벽은 보호부(21)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보호부(21)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도 11 내지 도 13A에는, 보호부(21)의 일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사시도, 도 12는 도 11을 도시된 상방에서 본 도면, 도 13A는 도 11을 구멍부(22)측에서 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브(2)의 소지름부(2a)에 있어서의 구멍부(22)가 형성된 측면과 반대측의 측면에 맞닿도록 보호부(21)는 배치되며, 프로브(2)의 선단 형상을 따라 굴곡되어, 프로브(2)의 선단 면에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부(21)의 앞부분(21a)은, 삼각형상(혹은 테이퍼 형상(tapered shape))으로 하면 된다(단, 모서리부는 곡면 형상으로 하면 좋다). 이 형상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브(2)를 슈렘 관(103)을 따라 진행시킬 때, 진행 방향을 향해 보호부(21)의 끝이 가늘게 되어 있으므로, 프로브(2)의 진행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부(21)는, 프로브의 선단을 슈렘 관을 따라 진행시키는 가이드부의 역할도 한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부(21)의 선단(21b)은 뾰족한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형상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술의 최초에 프로브의 선단을 섬유주대 내에 진입시킬 때, 보호부(21)의 선단(21b)을 섬유주대에 찔러 프로브를 진입시키는데 적합하다.
또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부(21)의 도시된 상단은 둥글게 오목 형상을 갖게 하면 된다. 이로써 수술시에 슈렘 관의 곡면 형상을 따라, 슈렘 관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적합하다. 보호부(21)의 상단의 형상은, 산형(山形)의 오목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혹은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부의 도시된 상단은 평탄한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 13A, B의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보호부(21)의 도시된 상단의 형상은, 비(非)절제부를 보호하는 역할, 가이드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형상으로 하면 된다.
프로브의 선단의 형상에 있어서는, 보호부(21)(의 상단)로부터 구멍부(22)까지의 거리를 적절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부(21)(의 상단)로부터 구멍부(22)까지의 거리(d)는, 보호부(21)가 섬유주대에 진입하고 나서 슈렘 관에 맞닿을 때까지의 범위 내에 있는 상태에서, 구멍부(22)가 절제해야 할 섬유주대의 위치에 오도록 설정한다. 여기서, 절제해야 할 섬유주대의 위치란, 예컨대 슈렘 관 내의 섬유주대 중에서 눈의 중심에 가까운 쪽(슈렘 관에 프로브를 삽입하는 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녹내장의 수술용 기구(1)는, 기존의 의료 장치와의 병존(竝存)이 가능하다. 그 구조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는, 유리체 절제용의 수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동(同) 시스템은, 유리체 절제용 제어장치(500)와 유리체 절제용 기구(100)를 구비한다. 유리체 절제용 제어장치(500)는, 유리체 절제용의 전력 공급부(50)(혹은 펌프(53)), 세정액 공급부(51), 흡인부(52)를 구비한다. 유리체 절제용 기구(100)는, 케이블 혹은 튜브를 구비하고, 이들을 전력 공급부(50)(혹은 펌프(53)), 세정액 공급부(51), 흡인부(52)에 접속함으로써, 유리체 절제용 기구(100)의 절제부에 환부(유리체) 절제를 위해 커터를 구동하는 전력이 공급되고, 수술 부위에 세정액이 공급되며, 절제된 부위(유리체)나, 수술 부위로부터 환류된 폐액이 흡인, 회수된다. 이로써 유리체 절제용 기구(100)를 이용한 유리체 절제 수술이 가능해진다.
발명자의 지견(知見)에 의하면, 섬유주대 절제용의 제어장치(5(5'))에 요구되는 기능은, 기존의 유리체 절제용 제어장치(500)와의 기능에 가까워, 양 장치의 겸용이 충분히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기구(1)에 대한 상술한 제어장치(5(5'))는, 도 14의 유리체 절제용 제어장치(500)로 겸용(대행)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는 별개로 구축되어 있던 유리체 절제용의 시스템과 섬유주대 절제용의 시스템의 장치 부분을 겸용하여, 안과 의료에 있어서의 시스템의 간소화, 공간절약화, 저비용화에 크게 기여할 수가 있다. 또한, 유리체 절제용 제어장치(500)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동일한 기능을 갖는 장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예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취지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예컨대 기구(1)는, 유리체의 절제 수술에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기구(1)는, 유리체 절제에 필요한 장비를 가지므로, 녹내장과 유리체의 양방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은 범용성을 실현할 수가 있다.
이상 기술한 실시 형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부(21)와, 그 이외의 프로브(2), 동체부(3), 케이블·튜브부(4)가 일체가 된 형태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에는, 보호부만을 부착하는 형태의 부착형 기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을 부착하는 대상은, 예컨대 도 14에 나타낸 유리체 수술용 기구(200)로 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기구(200)에 부착한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기구(200)는, 보호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기구(1)와 같은 구조,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구(200)의 프로브는, 소지름부(220)와 대지름부(230)를 가지며, 소지름부(220)에 구멍부(221)가 형성되고, 대지름부(230)로부터 소지름부(220)로의 테이퍼부에 구멍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231)로부터 시술부로 세정액을 공급한다. 구멍부(221)는 커터를 장비하며, 섬유주대(혹은 유리체)를 흡입하고, 커터로 절단하여, 폐액과 함께 제어장치로 보낸다.
도 17에 나타난 부착 타입의 수술용 기구(300; 이하, 기구)는, 선단측 원통부(310; 부착부), 동체측 원통부(320; 부착부), 접속부(330; 조절부)로 이루어진다. 선단측 원통부(310)에 보호부(311)가 형성되고, 선단측 원통부(310), 동체측 원통부(320), 접속부(330)의 순으로, 기구(200)의 프로브의 선단측부터 배치된다. 선단측 원통부(310), 동체측 원통부(320), 접속부(330)에는, 축방향 중앙부에 기구(200)의 프로브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3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은, 기구(300)가 기구(200)에 부착된, 즉 기구(200)가 관통 구멍(312)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일부 단면도이다. 기구(300)는, 기구(200)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와 함께, 보호부(311)의 위치 결정을 위한 구조를 구비한다. 이하에, 이들을 설명한다.
선단측 원통부(310)에는, 플랜지부(312), 끼움 결합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12)는, 선단측 원통부(310)의 외주면에 있어서 둘레 방향 외방(外方)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끼움 결합부(313)는, 선단측 원통부(310)의 도시된 하단, 즉 동체측의 단부에 있어서, 축방향을 향하는 오목 형상과 볼록 형상이 둘레 방향을 따라 반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330)에는, 오목부(332), 나사 홈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32)는, 접속부(330)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 형상으로서, 선단측 원통부(310)의 플랜지부(312)와 끼움 결합한다. 이로써 선단측 원통부(310)와 접속부(330)는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나사 홈부(331)는, 접속부(330)의 내주면의 오목부(332)보다 도시된 하부에 형성된 나사 홈이다.
동체측 원통부(320)는, 나사 홈부(321), 끼움 결합부(323), 볼트(322)를 구비한다. 나사 홈부(321)는, 동체측 원통부(3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홈으로서, 접속부(330)의 나사 홈부(331)와 나사 결합한다. 이로써, 접속부(330)를 축 둘레로 회동(回動)시킴으로써, 접속부(330)와 동체측 원통부(320)는 도시된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끼움 결합부(323)는, 동체측 원통부(320)의 도시된 상단측에 있어서, 축 방향을 향하는 오목 형상과 볼록 형상이 둘레 방향을 따라 반복하도록 형성되어, 선단측 원통부(310)의 끼움 결합부(313)와 끼움 결합한다. 이로써 동체측 원통부(320)와 선단측 원통부(310)는, 끼움 결합부(313, 323)가 끼움 결합하면서 도시된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볼트(322)는, 동체측 원통부(32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기구(300)에 기구(200)가 삽입되어 적절한 위치가 된 상태에서 볼트(322)를 조임으로써, 동체측 원통부(320)가 기구(200)에 대해 고정(위치 결정)된다. 또한 볼트(322)를 구비하지 않고, 동체측 원통부(320)가 적절한 압력으로 압입(壓入)됨에 따른 고정이어도 무방하다.
볼트(322)에 의해 동체측 원통부(320)가 기구(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접속부(330)를 축 둘레로 우(右)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동체측 원통부(320)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330)가 회동하면서 도시된 상방으로 이동한다. 플랜지부(312)와 오목부(332)가 끼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330)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선단측 원통부(310)도 도시된 상방으로 이동한다. 선단측 원통부(310)의 상방으로의 이동시에, 끼움 결합부(313, 323)의 끼움 결합에 의해, 선단측 원통부(310)의 축 둘레의 회동은 규제(금지)된다. 따라서 선단측 원통부(310)는 회동하지 않고, 도시된 상방으로 평행 이동한다. 당연히, 접속부(330)를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선단측 원통부(310)는 도시된 하방으로 평행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기구(300)에 기구(200)의 프로브를 삽입하고, 볼트(322)로 동체측 원통부(320)를 기구(200)에 고정하며, 그 상태에서 접속부(330)를 회동시킴으로써, 선단측 원통부(310)가 도시된 상하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다. 이로써, 접속부(33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호부(311)의 적절한 위치 결정을 행할 수가 있다. 즉, 보호부(311)(의 상단)로부터 구멍부(221)까지의 거리(도 15의 d)를 적절히 조절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부착 타입의 기구(300)는 기존의 안과 수술용 기구(예컨대 유리체 수술용 기구나 녹내장용의 기구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안과 수술용 기구여도 무방하다)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현저한 비용 삭감의 효과를 거둔다.
접속부(330)를 회동하여, 보호부(311)(의 상단)로부터 구멍부(221)까지의 거리를 적절히 조절하는 처리는, 시술자(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행하여도 무방하지만, 미세한 위치 결정이기 때문에, 기계에 의해 행하여도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장치의 예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도 19의 장치(400)는, 케이스 내에(기구(200)가 삽입되어 볼트(322)로 고정된) 기구(300)를 배치(파지)하여, 보호부(311)를 정밀하게 위치 결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장치(400)는, 주요한 구조로서, 파지부(401), 끼움 지지부(402, 403), 모터(410), 계측부(420), 제어부(430)를 구비한다.
파지부(401)는, 접속부(330)를 지름 방향 외방으로부터 파지하는 부위이다. 파지부(401)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거나, 혹은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된다. 끼움 지지부(402, 403)는, 봉형상의 부위로서, 도시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부(311)의 상단(도시된 우단(右端))과 구멍부(221)의 상단(도시된 우단)을 (적절한 압력으로) 끼움 지지한다.
모터(410)는, 예컨대 스텝 모터 등으로서, 파지부(401)가 축 둘레의 지령된 각도만큼 회동하도록 구동한다. 계측부(420), 끼움 지지부(402, 403)의 각각의 선단간의 거리를 계측한다. 계측 방법은 주지(周知)의 전자 계측의 수법을 이용하면 된다.
제어부(430)는, 통상의 컴퓨터와 같은 구조, 즉 각종 계산 등의 정보 처리를 위한 CPU, CPU의 작업 영역으로서의 일시 기억부인 RAM, 프로그램 등 필요한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ROM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430)는, 계측부(420)의 계측 결과를 모니터하면서, 보호부(311)(의 상단)로부터 구멍부(221)까지의 거리가, 섬유주대 절제수술에 최적인 거리가 되기 위한 회동 각도를 모터(410)에 지령한다.
제어부(430)에 의한 이러한 제어는, 예컨대 피드 백 제어로 하면 된다. 즉, 계측부(420)에서의 계측치를 피드 백하여 목표치(목표 거리)와의 차분(差分)을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를 적절히 설계된 컨트롤러에 입력하여, 그 출력을 모터(410)에 대한 입력치로 하면 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보호부(311)(의 상단)로부터 구멍부(221)까지의 거리를 최적의 거리로 조절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수술용 기구의 부착 타입의 형태는 이상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0 내지 도 21에 다른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은, 부착 타입의 수술용 기구의 제 2 예에 대한 사시도, 도 21은, 부착 타입의 수술용 기구의 제 3 예에 대한 사시도, 도 22는, 도 20 또는 도 21을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의 예는, 도 17 등의 예보다 간소한 형태로서, 기존의 기구(예컨대 기구(200)의 경우로 설명한다)의 선단에만 부착하는 형태이다.
도 20에 도시된 기구(300a)는, 좌우 양측으로 만곡(灣曲)되어 연장 설치된 만곡부(340)의 도시된 상방에 보호부(311)를 갖는다. 보호부(311)는, 상술한 보호부(21)와 같은 형상으로 하면 된다. 기구(300a)는, 기구(200)의 프로브가 만곡부(340) 내에 삽입되도록 하여, 예컨대 기구(200)의 선단측으로부터 장착한다.
기구(300a)의 기구(200)에 대한 고정은, 예컨대 기구(200)의 프로브가 만곡부(340)에 압입됨으로써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혹은, 기구(200)의 프로브를 만곡부(340) 내에 삽입한 후에, 만곡부(340)를 펜치(pliers) 등의 기구로 외측으로부터 코킹(가압하여 변형)함으로써 기구(200)에 고정하는 형태여도 무방하다. 혹은 만곡부(340)의 내측에 접착재(점착재)층을 형성하여, 접착(점착)에 의해 기구(200)에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도 21에 도시된 기구(300b)는, 원통 형상의 원통부(341)의 도시된 상방에 보호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기구(300b)는, 기구(200)의 프로브가 원통부(341) 내에 삽입되도록 하여, 예컨대 기구(200)의 선단측으로부터 장착한다.
기구(300b)의 기구(200)에 대한 고정은, 예컨대 기구(200)의 프로브가 원통부(341)에 압입됨으로써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혹은, 기구(200)의 프로브를 원통부(341) 내에 삽입한 후에, 원통부(341)를 펜치 등의 기구로 외측으로부터 코킹(가압하여 변형)함으로써 기구(200)에 고정하는 형태여도 무방하다. 혹은 원통부(341)의 내측에 접착재(점착재)층을 형성하여, 접착(점착)에 의해 기구(200)에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기구(300a, 300b)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보호부(311)의 상단으로부터 흡입구(22)까지의 거리(d)를 적절히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기구(300a, 300b)에는, 도 20,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부(311)의 도시된 하측에 예컨대 판형상의 길이 조절부(311a)가 형성되어 있다.
길이 조절부(311a)의 형성에 의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구(200)의 선단이 길이 조절부(311a)에 맞닿도록 기구(300a, 300b)가 기구(200)에 고정되면, 보호부(311)의 상단으로부터 흡입구(22)까지의 거리(d)가, 상술한 의미에서 녹내장 수술의 섬유주대 절제에 적절한 길이가 되도록 한다. 길이 조절부(311a)의 두께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도록, 기존의 기구(200)의 치수에 적합하게 설정해 둔다. 이상과 같이 간이(簡易)한 형태의 기구(300a, 300b)를, 기존의 기구(기구(200)로 한정되지 않음)에 장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녹내장 수술용 기구를 작성할 수가 있다.
1; 수술용 기구
2; 프로브
3; 동체부(파지부)
4; 케이블·튜브부
40; 전력 케이블(제 1 송출부)
40'; 에어 튜브(제 1 송출부)
41; 세정액 튜브(제 2 송출부)
42; 폐액 튜브(제 3 송출부)

Claims (3)

  1. 섬유주대 절제수술에서 사용되는 수술용 기구로서,
    시술자가 파지(把持)하는 파지부와,
    그 파지부의 단부로부터 봉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강성(剛性)을 갖는 프로브
    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브는,
    절제 부위인 섬유주대를 향해 세정액을 유출하는 유출구와,
    상기 프로브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된 세정액을 폐액(廢液)으로서 회수하는 동시에, 섬유주대를 프로브 내부에 흡인하는 흡인구와,
    그 흡인구에 흡인된 섬유주대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흡인구 및 절단부보다 상기 프로브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로브의 선단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가 형성된 측면 쪽으로 연장 설치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절단부에 의한 섬유주대 절제중에, 상기 절단부와 슈렘(Schlemn) 관 외벽과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비(非)절제 부위인 슈렘 관 외벽을 절제 및 흡인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를 구비하고,
    유리체 절제수술에 있어서의 동력의 전달과 세정액의 송출과 폐액의 회수를 행하는 유리체 절제용 장치에 있어서의 유리체 절제용의 동력 공급부에 접속되어, 그 장치로부터 상기 절단부로 절단을 위한 동력을 보내기 위한 제 1 송출부와,
    상기 유리체 절제용 장치에 있어서의 유리체 절제용의 세정액 공급부에 접속되어, 그 유리체 절제용 장치로부터 상기 유출구로 세정액을 보내기 위한 제 2 송출부와,
    상기 유리체 절제용 장치에 있어서의 유리체 절제용의 흡인부에 접속되어, 그 유리체 절제용 장치로 상기 흡인구에서 흡인된 폐액 및 절단된 섬유주대를 보내기 위한 제 3 송출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내부에 길이방향 축을 공유하도록 배치된 내통부(內筒部)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는, 그 내통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프로브에 대한 내통부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 또는 병진(竝進) 운동에 의해 절제 부위를 절단하는 절단 날을 구비한 수술용 기구.
  3. 섬유주대 절제수술에 사용되는 수술용 기구로서,
    절제 부위인 섬유주대를 향해 세정액을 유출하는 유출구와, 프로브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된 세정액을 폐액으로서 회수하는 동시에, 섬유주대를 프로브 내부로 흡인하는 흡인구와, 그 흡인구에 흡인된 섬유주대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한 강성을 갖는 프로브에, 상기 수술용 기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와,
    상기 흡인구 및 절단부보다 상기 프로브의 선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브의 선단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가 형성된 측면쪽으로 연장 설치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절단부에 의한 섬유주대 절제중에, 상기 절단부와 슈렘 관 외벽과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비절제 부위인 슈렘 관 외벽을 절제 및 흡인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와,
    상기 부착부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부와 상기 흡인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기구.
KR1020147004141A 2011-09-06 2012-08-13 수술용 기구 KR101626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3780 2011-09-06
JP2011193780A JP5000000B1 (ja) 2011-09-06 2011-09-06 手術用器具
PCT/JP2012/070599 WO2013035497A1 (ja) 2011-09-06 2012-08-13 手術用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274A KR20140057274A (ko) 2014-05-12
KR101626103B1 true KR101626103B1 (ko) 2016-05-31

Family

ID=4679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141A KR101626103B1 (ko) 2011-09-06 2012-08-13 수술용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40194916A1 (ko)
EP (1) EP2754427B1 (ko)
JP (1) JP5000000B1 (ko)
KR (1) KR101626103B1 (ko)
CN (1) CN103781445B (ko)
IL (1) IL230888A0 (ko)
WO (1) WO20130354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9789B2 (en) 2006-06-26 2011-03-22 Sight Sciences, Inc. Intraocular implants and methods and kits therefor
WO2011097408A1 (en) 2010-02-05 2011-08-11 Sight Sciences, Inc Intraocular implants and related kits and methods
EP2844200B1 (en) 2012-03-20 2020-11-25 Sight Sciences, Inc Ocular delivery systems
JP5458205B1 (ja) * 2013-06-28 2014-04-02 株式会社中京メディカル 手術用器具
US10299958B2 (en) 2015-03-31 2019-05-28 Sight Sciences, Inc. Ocular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DE102015208646A1 (de) * 2015-05-08 2016-11-10 Frank Zastrow Chirurgisches Handgerät sowie eine Schutzeinrichtung
JP6770291B2 (ja) * 2015-09-01 2020-10-14 マニー株式会社 硝子体手術用プローブ
CN105662700A (zh) * 2016-01-07 2016-06-15 佛山市禾才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双液流管的眼科手术刀
US10555834B2 (en) * 2016-07-11 2020-02-11 Novartis Ag Vitrectomy probe with rotary cutter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WO2018123973A1 (ja) * 2016-12-27 2018-07-05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手術器具
CN107174399B (zh) * 2017-05-27 2019-07-12 天津优视眼科技术有限公司 一种内路实施的施莱姆氏管手术输送系统
WO2019160508A1 (en) * 2018-02-19 2019-08-22 Singapore Health Services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hearing tissue at a target surgical site
WO2020069521A1 (en) * 2018-09-28 2020-04-02 Flow Medical Corporation Catheter apparatus
GB2581316B (en) * 2018-11-08 2023-08-09 Nachum Zvi Device for removing liquid from an eye of a subject
US11504270B1 (en) 2019-09-27 2022-11-22 Sight Sciences, Inc. Ocular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JP6934685B2 (ja) * 2020-03-05 2021-09-15 株式会社中京メディカル 眼科手術用器具
CN115590677A (zh) * 2022-10-20 2023-01-13 微创视神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Cn) 小梁网切除设备
JP7411297B1 (ja) 2023-08-28 2024-01-11 株式会社トラベクター 眼科手術用器具、眼内切除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0260A2 (en) * 2003-06-10 2004-12-23 Neomedix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s useable for treatment of glaucoma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9363A (en) * 1985-09-17 1988-07-26 Jensen Ronald P Scalpel with removable depth guard
US5106364A (en) * 1989-07-07 1992-04-21 Kabushiki Kaisha Topcon Surgical cutter
US5643297A (en) * 1992-11-09 1997-07-01 Endovascular Instruments, Inc. Intra-artery obstruction clearing apparatus and methods
US6514268B2 (en) * 1999-08-30 2003-02-04 Alcon Universal Ltd. Method of operating microsurgical instruments
JP2005185427A (ja) * 2003-12-25 2005-07-14 Takashima Sangyo Kk 硝子体カッター及び該硝子体カッターを備える硝子体手術装置、硝子体カッター製造方法
WO2008116095A1 (en) 2007-03-20 2008-09-25 Alcon, Inc. Surgical laser system control architecture
US20090287233A1 (en) * 2008-05-15 2009-11-19 Huculak John C Small Gauge Mechanical Tissue Cutter/Aspirator Probe For Glaucoma Surgery
JP5301945B2 (ja) * 2008-10-22 2013-09-25 株式会社ニデック 灌流吸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0260A2 (en) * 2003-06-10 2004-12-23 Neomedix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s useable for treatment of glaucoma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5497A1 (ja) 2013-03-14
JP5000000B1 (ja) 2012-08-15
US20170311970A1 (en) 2017-11-02
JP2013052168A (ja) 2013-03-21
US10463385B2 (en) 2019-11-05
IL230888A0 (en) 2014-03-31
US20140194916A1 (en) 2014-07-10
CN103781445A (zh) 2014-05-07
CN103781445B (zh) 2015-11-25
EP2754427A4 (en) 2015-04-22
EP2754427A1 (en) 2014-07-16
EP2754427B1 (en) 2019-04-03
KR20140057274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103B1 (ko) 수술용 기구
US10987248B2 (en) Devices and methods useable for treatment of glaucoma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EP3362014B1 (en) Uni-port hybrid gauge surgical apparatuses
JP5529853B2 (ja) 緑内障手術のための小口径の機械組織切除/吸引プローブ
US20090076463A1 (en) Trocar Cannula
US202000006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acoemulsification
TW201617034A (zh) 具有光纖掃描器之玻璃體切除術探針
CN111867532A (zh) 在靶外科手术部位处剪切组织的方法和设备
PT1609446E (pt) Aparelho cirúrgico
JP5458205B1 (ja) 手術用器具
US11806281B2 (en) Ophthalmic surgery instrument
US5730156A (en) Method for cutting and removing wrapping from an intraocular lens implant within an eye
CN115363853A (zh) 可视化连续灌注房角切开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