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664B1 -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휴대형 에어 냉난방 장치 - Google Patents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휴대형 에어 냉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664B1
KR101625664B1 KR1020140009653A KR20140009653A KR101625664B1 KR 101625664 B1 KR101625664 B1 KR 101625664B1 KR 1020140009653 A KR1020140009653 A KR 1020140009653A KR 20140009653 A KR20140009653 A KR 20140009653A KR 101625664 B1 KR101625664 B1 KR 101625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tier element
temperature
air
heat
heat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245A (ko
Inventor
백성학
안병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주전자
Priority to KR102014000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66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싱크에 연결되는 펠티에 소자의 온도를 제어하고 펠티에 소자의 온도 제어로 가열 또는 냉각되는 히트싱크에 공기를 분사하여 온풍 또는 냉풍을 발생시키는 기술로서, 컨트롤러가 펠티에 소자의 온도를 제어하면 펠티에 소자에 연결되는 히트싱크가 가열 또는 냉각되며, 히트싱크에 인접 배치되는 에어팬이 가열 또는 냉각된 상태의 히트싱크에 공기를 분사하면 히트싱크의 온도에 따라 온풍 또는 냉풍으로 외부에 분사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펠티에 소자의 온도를 넓은 외표면으로 전도시키는 히트싱크를 펠티에 소자에 밀착함으로써 펠티에 소자의 온도 제어에 따라 효과적으로 에어팬에 의한 온풍/냉풍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휴대형 에어 냉난방 장치 {portable air temperature control device using peltier element}
본 발명은 히트싱크에 연결되는 펠티에 소자의 온도를 제어하고 펠티에 소자의 온도 제어로 가열 또는 냉각되는 히트싱크에 공기를 분사하여 온풍 또는 냉풍을 발생시키는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컨트롤러가 펠티에 소자의 온도를 제어하면 펠티에 소자에 연결되는 히트싱크가 가열 또는 냉각되며, 히트싱크에 인접 배치되는 에어팬이 가열 또는 냉각된 상태의 히트싱크에 공기를 분사하면 히트싱크의 온도에 따라 온풍 또는 냉풍으로 외부에 분사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펠티에 소자는 사각형의 구조로 내부에는 복수 쌍의 P형 열전반도에와 N형 열전반도체가 직렬연결로 구성되며, 펠티에 소자에 DC전압을 인가하면 펠티에 소자의 한쪽 면은 흡열이 발생하여 저온이 되고 반대쪽면은 발열이 발생하여 고온이 된다.
이와 같은 펠티에 소자의 저온면과 고온면 각각에 열선 등 열전달 매개체를 구비하여 냉방 또는 난방용으로 사용된다. 이처럼 펠티에 소자는 소스 열원으로 사용되지만, 펠티에 소자의 소스 열원을 외부에 전달하는 열전달 매개체의 구성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은 전혀 다르게 구현되므로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해결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냉난방 겸용 열교환 환기장치(특허출원 10-2006-0036724호)
2. 냉난방 기능이 부가된 이동 통신 단말기(특허출원 10-2005-0130883호)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트싱크에 연결되는 펠티에 소자의 온도를 제어하고 펠티에 소자의 온도 변화에 따라 가열 또는 냉각되는 히트싱크에 공기를 분사하여 온풍 또는 냉풍을 발생시키는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에어 냉난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에어 냉난방 장치는 전원공급 제어에 의해 제 1 면이 고온 또는 저온으로 선택적으로 발열하며 제 1 면이 고온인 경우 제 1 면의 후면인 제 2 면은 저온으로 발열하도록 하고 제 1 면이 저온인 경우 제 2 면은 고온으로 발열하도록 하는 펠티에 소자; 펠티에 소자의 제 1 면에 밀착 연결되어 제 1 면과의 열전도에 따라 고온 또는 저온 상태로 변화하며, 제 1 면에 밀착되어 펠티에 소자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부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부의 전면으로부터 몸체부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다단 돌출 형성되어 몸체부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하는 복수의 방열핀을 구비하는 히트싱크; 방열핀과 평행하게 근접 배치되어 방열핀 사이를 통해 공기를 분사하여 히트싱크의 온도 상태에 따라 외부로 온풍 또는 냉풍을 유도하는 에어팬; 제 2 면과 마주하는 측벽에 외부와 공기 소통이 가능하도록 개구된 제 1 통기부와, 에어팬의 전,후면에 각각 대응하는 측벽에 외부와 공기 소통이 가능하도록 개구된 제 2,3 통기부를 구비하고, 펠티에 소자를 격벽으로 하여 내부 공간이 제 1 면에 대응하는 제 1 공간과 제 2 면에 대응하는 제 2 공간으로 구획되며 제 1 공간에 히트싱크와 에어팬을 실장하는 하우징; 펠티에 소자의 테두리와 하우징의 내벽에 맞닿아 연결됨으로써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이 상호 기밀 유지되도록 구획하는 열기류 차단 실링부; 펠티에 소자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펠티에 소자의 제 1 면에 대한 고온 또는 저온 발열을 선택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펠티에 소자, 히트싱크, 에어팬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마감하고 에어팬의 전,후면에 각각 대응하는 측부에 외부와 공기 소통이 가능하도록 개구된 제 2,3 통기부를 구비한 하우징; 펠티에 소자의 제 1 면과 제 2 면을 열적으로 상호 분리시키는 열기류 차단 실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히트싱크는 펠티에 소자의 제 1 면에 밀착되어 펠티에 소자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부의 전면으로부터 몸체부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다단 돌출 형성되어 몸체부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하는 복수의 방열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에어팬은 방열핀과 평행하게 근접 배치되어 방열핀 사이를 통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은 펠티에 소자의 제 2 면에 대응하는 측부에 외부와 공기 소통이 가능하도록 개구된 제 1 통기부를 더 구비하고, 열기류 차단 실링부는 펠티에 소자의 테두리와 하우징의 내벽에 맞물려 연결되어 펠티에 소자의 제 1 면과 제 2 면을 분리 구획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컨트롤러는 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 미리 설정된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 펠티에 소자를 히팅시키고 미리 설정된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 펠티에 소자를 냉각시키며 펠티에 소자의 히팅 또는 냉각에 연동하여 에어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펠티에 소자를 히팅 또는 냉각시킬 때 펠티에 소자에 인가되는 전원 부하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펠티에 소자의 최고 히팅 온도 또는 최저 냉각 온도를 조절하는 PWM 제어 IC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회로기판에 탑재되며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칩; 하우징에 장착되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펠티에 소자의 온도에 따라 컨트롤러의 제어로 메모리칩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에어 냉난방 장치는,
(1) 펠티에 소자의 온도를 넓은 외표면으로 전도시키는 히트싱크를 펠티에 소자에 밀착함으로써 펠티에 소자의 온도 제어에 따라 효과적으로 에어팬에 의한 온풍/냉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2)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주위의 온도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펠티에 소자를 히팅/냉각시키고 에어팬을 동작시킬 수 있다.
(3) PWM 제어 IC를 구비하여 단위 시간당 펠티에 소자의 히팅량 또는 냉각량을 조정할 수 있다.
(4) 소형의 펠티에 소자, 히트싱크를 구비하여 휴대가 가능한 탁상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에어 냉난방 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에어 냉난방 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티에 소자, 히트싱크, 에어팬, 열기류 차단 실링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에어 냉난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에어 냉난방 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에어 냉난방 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티에 소자, 히트싱크, 에어팬, 열기류 차단 실링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에어 냉난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펠티에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한 에어 냉난방 장치는 펠티에 소자(10), 히트싱크(20), 에어팬(30), 하우징(40), 열기류 차단 실링부(50), 온도감지센서, 컨트롤러(70), 스피커(80), LED 표시소자(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펠티에 소자(10)는 육면체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복수 쌍의 P형 열전반도에와 N형 열전반도체가 직렬연결로 구성되며 컨트롤러(70)의 제어로 펠티에 소자(10)에 DC전압을 인가하면 펠티에 효과에 따라 펠티에 소자(10)의 한쪽 면은 흡열이 발생하여 저온 상태로 온도변화가 생기고 다른 한쪽면은 발열이 발생하여 고온 상태로 온도변화가 생긴다.
펠티에 소자(10)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컨트롤러(70)의 전원공급 제어에 의해 제 1 면이 고온 또는 저온으로 선택적으로 발열하도록 구성된다. 펠티에 소자(10)는 제 1 면이 고온 상태인 경우 제 2 면은 저온 상태이고, 제 1 면이 저온 상태인 경우 제 2 면은 고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히트싱크(20)는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에 밀착 연결되어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으로부터 열을 전도받아 고온 상태로 되거나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으로 열을 전도하여 저온 상태로 된다.
히트싱크(20)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부(21)가 저온 상태와 고온 상태의 변화가 가능한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에 밀착되어 펠티에 소자(10)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한다.
그리고, 히트싱크(20)는 몸체부(21)와 일체로 연결되는 복수의 방열핀(22)을 구비하는데, 방열핀(22)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부(21)의 전면으로부터 몸체부(21)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다단 돌출 형성되어 몸체부(21)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하여 몸체부(21)의 열을 외부로 방열하도록 구성된다.
방열핀(22)은 펠티에 소자(10)로부터 전달되는 몸체부(21)의 열을 효율적으로 전도시키기 위해 몸체부(21)로부터 다단 돌출 형성되어 외표면적을 넓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에어팬(30)은 히트싱크(20)에 근접 배치된 상태로 히트싱크(20)에 공기를 분사하여 히트싱크(20)의 온도 상태에 따라 외부로 온풍 또는 냉풍을 유도한다. 에어팬(30)은 방열핀(22)과 평행하게 근접 배치되어 방열핀(22) 사이를 통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에어팬(30)으로부터 분사된 공기는 방열핀(22) 사이를 통과하면서 방열핀(22)과의 열교환으로 방열핀(22)의 온도에 따라 냉풍 또는 온풍으로 변경된 후 에어팬(30)의 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하우징(40)의 제 2 통기부(42)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하우징(40)은 제 2 면과 마주하는 측벽에 외부와 공기 소통이 가능하도록 개구된 제 1 통기부(41)와, 에어팬(30)의 전,후면에 각각 대응하는 측벽에 외부와 공기 소통이 가능하도록 개구된 제 2,3 통기부(42,43)를 구비한다.
하우징(40)은 펠티에 소자를 격벽으로 하여 내부 공간이 제 1 면에 대응하는 제 1 공간(S1)과 제 2 면에 대응하는 제 2 공간(S2)으로 구획되며 제 1 공간(S1)에 히트싱크(20)와 에어팬(30)을 실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40)은 바람직하게는 펠티에 소자(10)에서 일종의 부산물(side-effect)로 발생하는 열이나 냉기를 사용자가 느끼지 못하는 상태로 방출할 수 있도록 펠티에 소자(10)의 제 2 면에 대응하는 측부에 외부와 공기 소통이 가능하도록 개구된 제 1 통기부(41)를 구비한다. 다만, 제 1 통기부(41)가 아닌 다른 방식, 예컨대 방열판(미도시)으로 열이나 냉기를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이 저온 상태인 경우 펠티에 소자(10)의 제 2 면은 펠티에 효과에 의해 고온 상태가 되는데, 펠티에 소자(10) 제 2 면의 고온 열을 하우징(40)의 외부로 방열할 수 있도록 펠티에 소자(10)의 제 2 면에 대응하는 하우징(40)의 일측부에 제 1 통기부(4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에어팬(30)의 후면에 대응하는 하우징(40)의 일측에도 제 3 통기부(4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에어팬(30)의 후면에 대응하는 제 3 통기부(43)는 에어팬(30)이 방열핀(22)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우징(40) 외부와 공기를 소통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열기류 차단 실링부(50)는 펠티에 소자(10)의 테두리와 하우징(40)의 내벽에 맞물려 연결됨으로써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과 제 2 면을 분리 구획한다.([도 4] 참조)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과 제 2 면이 펠티에 효과에 따라 고온과 저온으로 나뉘는데, 이는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과 제 2 면이 공기소통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에 대응하는 하우징(40)의 제 1 공간(S1)과 펠티에 소자(10)의 제 2 면에 대응하는 하우징(40)의 제 2 공간(S2)이 상호 기밀 유지되도록 구획된다.
온도감지센서(미도시)는 하우징(40)의 내측에 장착되어 하우징(40) 주변을 온도를 감지하고 컨트롤러(70)는 온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한 주변 온도에 따라 펠티에 소자(10)를 히팅시키거나 냉각시킨다.
컨트롤러(70)는 기본적으로 펠티에 소자(1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에 대한 고온 또는 저온 발열을 선택한다.
그리고, 컨트롤러(70)는 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 미리 설정된 소정 온도(예: 10℃)이하인 경우 펠티에 소자(10)를 히팅시키고, 미리 설정된 소정 온도(예: 20℃) 이상인 경우 펠티에 소자(10)를 냉각시키며 펠티에 소자(10)의 히팅 또는 냉각에 연동하여 에어팬(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하우징(40) 주변의 온도가 8℃인 경우 주변의 온도는 춥다고 느낄 수 있는 온도이기 때문에 온도감지센서가 8℃ 온도를 감지함에 따라 컨트롤러(70)는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을 히팅시키는 방향으로 펠티에 소자(1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동시에 에어팬(30)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이 히팅됨에 따라 펠티에 소자(10)에 인접하는 히트싱크(20)의 몸체부(21)와 방열핀(22)으로 고열이 전도되고 방열핀(22)의 측부에 에어팬(30)에 의한 공기가 분사되면 방열핀(22)의 고열에 의해 에어팬(30)으로부터 분사된 공기는 열을 흡수하여 온풍을 발생시킨다.
반대로, 하우징(40) 주변의 온도가 25℃인 경우 주변의 온도는 덥다고 느낄 수 있는 온도이기 때문에 온도감지센서가 25℃ 온도를 감지함에 따라 컨트롤러(70)는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을 냉각시키는 방향으로 펠티에 소자(1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동시에 에어팬(30)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이 냉각됨에 따라 펠티에 소자(10)에 인접하는 히트싱크(20)의 몸체부(21)와 방열핀(22)은 펠티에 소자(10)로 열을 빼앗기면서 냉각되고 방열핀(22)의 측부에 에어팬(30)에 의한 공기가 분사되면 방열핀(22)의 냉각에 의해 에어팬(30)으로부터 분사된 공기는 열을 빼앗기면서 냉풍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컨트롤러(70)가 냉각 모드 또는 히팅 모드에 따라 펠티에 소자(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70)가 탑재된 회로기판에는 자동 모드 전환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온도감지센서에 따라 컨트롤러(70)가 자동 모드 전환 스위치의 온오프 를 제어하는 것과 별도로 사용자의 조작으로 동작하는 펠티에 소자(10) 제 1 면의 냉각 모드 전환 스위치 또는 펠티에 소자(10) 제 1 면의 히팅 모드 전환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70)는 바람직하게는 PWM 제어 IC(71)를 구비할 수 있으며, PWM 제어 IC(71)는 펠티에 소자(10)를 히팅 또는 냉각시킬 때 펠티에 소자(10)에 인가되는 전원 부하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펠티에 소자(10)의 최고 히팅 온도 또는 최저 냉각 온도를 조절한다.
컨트롤러(70)가 장착되는 회로기판에는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칩(72)을 더 탑재될 수 있다. 메모리칩(72)은 대략 8Hz ~ 10Hz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음원을 미리 저장한다.
보통 8Hz ~ 10Hz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음원은 α파와 동일한 수준의 주파수 대역으로서, 출력시 청취자의 두뇌 개발이나 두뇌 건강에 이로운 대역으로 알려져 있다.
컨트롤러(70)는 펠티에 소자(10)에 전원을 인가하여 펠티에 소자(10)의 제 1 면을 히팅 또는 냉각하도록 제어하면서 메모리칩(72)에 저장됨 음원을 스피커(8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피커(80)는 하우징(40)에 장착되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펠티에 소자(10)의 온도에 따라 컨트롤러(70)의 제어로 메모리칩(72)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한다.
LED 표시소자(90)는 하우징(40)의 측부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메모리칩(72)에 저장된 음원이 출력되는 경우 출력되는 음원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컨트롤러(70)가 점멸 동작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펠티에 소자(10)의 온도 증감에 따라 컨트롤러(70)가 점멸 동작 개수를 조절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나의 하우징(40)에 펠티에 소자(10), 히트싱크(20), 에어팬(30)이 각각 듀얼로 배치되어 하우징(40)의 외부로 분사되는 온풍 또는 냉풍의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10 : 펠티에 소자
20 : 히트싱크
21 : 몸체부
22 : 방열핀
30 : 에어팬
40 : 하우징
41 : 제 1 통기부
42 : 제 2 통기부
43 : 제 3 통기부
50 : 열기류 차단 실링부
70 : 컨트롤러
71 : PWM 제어 IC
72 : 메모리칩
80 : 스피커
90 : LED 표시소자
S1 : 제 1 공간
S2 : 제 2 공간

Claims (7)

  1. 전원공급 제어에 의해 제 1 면이 고온 또는 저온으로 선택적으로 발열하며 상기 제 1 면이 고온인 경우 상기 제 1 면의 후면인 제 2 면은 저온으로 발열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면이 저온인 경우 상기 제 2 면은 고온으로 발열하도록 하는 펠티에 소자(10);
    상기 펠티에 소자의 상기 제 1 면에 밀착 연결되어 상기 제 1 면과의 열전도에 따라 고온 또는 저온 상태로 변화하며, 상기 제 1 면에 밀착되어 상기 펠티에 소자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부(21)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다단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하는 복수의 방열핀(22)을 구비하는 히트싱크(20);
    상기 방열핀과 평행하게 근접 배치되어 상기 방열핀 사이를 통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히트싱크의 온도 상태에 따라 외부로 온풍 또는 냉풍을 유도하는 에어팬(30);
    상기 펠티에 소자를 격벽으로 하여 내부 공간이 상기 제 1 면에 대응하는 제 1 공간(S1)과 상기 제 2 면에 대응하는 제 2 공간(S2)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1 공간(S1)에 상기 히트싱크와 상기 에어팬을 실장하고 상기 에어팬의 전,후면에 각각 대응하는 측벽에 외부와 공기 소통이 가능하도록 개구된 제 2,3 통기부(42,43)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공간(S2)에 상기 제 2 면과 마주하는 측벽에 외부와 공기 소통이 가능하도록 개구된 제 1 통기부(41)를 구비하는 하우징(40);
    상기 펠티에 소자의 테두리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맞닿아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공간(S1)과 상기 제 2 공간(S2)이 상호 기밀 유지되도록 구획하는 열기류 차단 실링부(50);
    하우징(40)의 내측에 장착되어 하우징(4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펠티에 소자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펠티에 소자의 상기 제 1 면에 대한 고온 또는 저온 발열을 선택하며, 자동 모드 전환 스위치의 스위칭 온 동작에 따라,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 사용자 조작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펠티에 소자의 상기 제 1 면을 히팅시키고 사용자 조작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펠티에 소자의 상기 제 1 면을 냉각시키며, 상기 펠티에 소자의 히팅 또는 냉각에 연동하여 상기 에어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0);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펠티에 소자(10)의 상기 제 1 면을 냉각 또는 히팅시키도록 제어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휴대형 에어 냉난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펠티에 소자를 히팅 또는 냉각시킬 때 상기 펠티에 소자에 인가되는 전원 부하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상기 펠티에 소자의 최고 히팅 온도 또는 최저 냉각 온도를 조절하는 PWM 제어 IC(7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휴대형 에어 냉난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회로기판에 탑재되며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칩(72);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펠티에 소자의 온도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로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휴대형 에어 냉난방 장치.
KR1020140009653A 2014-01-27 2014-01-27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휴대형 에어 냉난방 장치 KR101625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653A KR101625664B1 (ko) 2014-01-27 2014-01-27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휴대형 에어 냉난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653A KR101625664B1 (ko) 2014-01-27 2014-01-27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휴대형 에어 냉난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245A KR20150089245A (ko) 2015-08-05
KR101625664B1 true KR101625664B1 (ko) 2016-06-13

Family

ID=5388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653A KR101625664B1 (ko) 2014-01-27 2014-01-27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휴대형 에어 냉난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6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583B1 (ko) * 2019-03-14 2019-09-27 양승운 인덕션 히터를 이용한 열풍기
KR20230053766A (ko) 2021-10-14 2023-04-24 이승희 휴대용 냉온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1866B (zh) * 2016-08-03 2018-06-12 福建星海通信科技有限公司 全封闭机箱的散热装置
CN106455455A (zh) * 2016-12-04 2017-02-22 新乡市振英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涡流冷凝器降温的控制箱
KR101992175B1 (ko) * 2017-07-05 2019-06-24 주식회사 포시 코어 내부의 열전달 유체 및 에너지 절감형 저전력 난방장치
KR102010966B1 (ko) * 2019-02-28 2019-10-21 (주)에이스 열전효과 냉각부 구성을 구비한 공조장치
KR102246339B1 (ko) * 2019-12-19 2021-04-2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챔버 오염 측정 센서 용 히트 싱크
KR102318536B1 (ko) * 2021-08-26 2021-10-28 주식회사 엘파워 에너지 하베스팅 열전소자를 이용한 led투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7177A (ja) * 2004-03-11 2005-09-22 Inax Corp 冷房装置
JP2006075697A (ja) * 2004-09-08 2006-03-23 As One Corp 除湿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032855A (ja) 2011-06-25 2013-02-14 Yoshiro Nakamatsu 超小型節電冷暖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6405B2 (ja) * 2007-01-31 2009-11-1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7177A (ja) * 2004-03-11 2005-09-22 Inax Corp 冷房装置
JP2006075697A (ja) * 2004-09-08 2006-03-23 As One Corp 除湿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032855A (ja) 2011-06-25 2013-02-14 Yoshiro Nakamatsu 超小型節電冷暖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583B1 (ko) * 2019-03-14 2019-09-27 양승운 인덕션 히터를 이용한 열풍기
KR20230053766A (ko) 2021-10-14 2023-04-24 이승희 휴대용 냉온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245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664B1 (ko)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휴대형 에어 냉난방 장치
CN109168302B (zh) 一种可穿戴设备
KR200296197Y1 (ko) 전기 기구
KR20160001242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스위치 절환 마사지 팩
KR20170063016A (ko)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KR20030063595A (ko) 열전반도체 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냉난방 장치
CN219713700U (zh) 一种半导体制冷件以及美容或理疗仪
KR101684327B1 (ko) 열전소자 복합 특성 평가장치
US20120266609A1 (en) Can heating and cooling device
CN202339047U (zh) 一种半导体制冷器
KR20130077365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도자기
KR102147542B1 (ko) Pcm 및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무소음의 냉온 공기 공급장치
KR0153181B1 (ko)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온장고와 이 냉온장고의 제어방법
KR20140146438A (ko) 열 교환 모듈
KR200390049Y1 (ko) 휴대용 냉온장고
JP2002353668A (ja) 電子部品冷却装置および電子部品冷却システム
JP2017221505A (ja) 美容器
JP2011096983A (ja) 冷却装置
KR101125151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알에프 수신기
KR102008303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장치
JP6716128B2 (ja) 温調器及び温度試験装置
JP2003269838A (ja) 電子冷温蔵庫
KR20140144598A (ko) 냉온풍기
CN212659823U (zh) 激光器的冷却结构及激光装置
KR100335828B1 (ko)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순간 냉/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