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913B1 - 주택의 바닥구조 - Google Patents

주택의 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913B1
KR101624913B1 KR1020140065546A KR20140065546A KR101624913B1 KR 101624913 B1 KR101624913 B1 KR 101624913B1 KR 1020140065546 A KR1020140065546 A KR 1020140065546A KR 20140065546 A KR20140065546 A KR 20140065546A KR 101624913 B1 KR101624913 B1 KR 101624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block
block support
radon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531A (ko
Inventor
권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규조토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규조토세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규조토세상
Priority to KR102014006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91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의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초수평면부와 직사각형의 폐루프를 이루도록 상기 기초수평면부의 상면에 기립 형성되고 각 면에는 통풍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초수직면부를 가지고, 상기 기초수평면부가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부와; 상기 기초콘크리트부의 상측에 배치된 바닥마감재층과; 상기 바닥마감재층을 상기 기초콘크리트부에 대하여 지지하는 중간지지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라돈배출구조가 간단하고 라돈배출동작이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일어난다.

Description

주택의 바닥구조{Bottom Structue of House}
본 발명은 주택의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이 거주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택의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라돈은 토양이나 암석 등에서 라듐이 핵분열할 때 발생하는 무색·무취 가스로, 높은 농도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폐암, 위암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돈은 건축자재 등에서도 방출되지만 대부분은 지각으로부터 방출되는 바,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이 주택의 거주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주택이 안출되어 있다.
도7은 종래 주택의 단면도이고, 도8은 종래 주택의 중간지지층부와 바닥마감재층의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종래 주택의 요부 단면도이다.
종래의 주택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부(110)와, 기초콘크리트부(110)의 상측에 배치된 바닥마감재층(147)과, 바닥마감재층(147)을 기초콘크리트부(110)에 대하여 지지하는 중간지지층부(120)와, 기초콘크리트부(110)에 기립 설치된 벽체(202)와, 벽체(202)의 상단에 형성된 천정(203) 및 지붕(204)과, 천정(203)과 지붕(204)사이에 설치된 천정배기관(152)과, 천정(203)과 기초콘크리트부(110) 사이에 설치된 벽체배기관(151)과, 천정배기관(152)에 설치된 통풍기(152)를 갖고 있다.
기초콘크리트부(110)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지지층부(120)는 중간지지판부(121)와, 중간지지판부(121)의 저면에 기립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122)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중간지지층부(120)는 지지기둥(122)의 종단이 기초콘크리트부(11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통풍기(152)는 배기팬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주택의 거주공간(205)으로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이 유입되는 것이 저지되는 과정을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풍기(152)는 소정의 동작전압이 공급되어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은 기초콘크리트부(110)를 통과하여 기초콘크리트부(110)의 상면, 중간지지판부(121)의 저면 및 지지기둥(12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206, 이하 "라돈수집공간"이라 한다)에 수집된다.
라돈수집공간(206)에 수집된 라돈은 통풍기(152)의 흡입력에 의해 벽체배기관(151) 및 천정배기관(15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주택은 2010년 특허출원 제0102444호(발명의 명칭 :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유해 물질 배출 시스템 및 시공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주택에 따르면, 벽체배기관(151), 천정배기관(152) 및 통풍기(152)를 설치하여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을 강제통풍방식으로 외부로 배출하고 있기 때문에 라돈배출구조가 복잡하고 라돈배출동작이 안정적이지 못하고(통풍기의 오프조작시 및 고장시 라돈배출동작이 진행되지 못함) 비효율적(라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가 벽체배기관과 천정배기관으로 한정됨)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라돈배출구조가 간단하고 라돈배출동작이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일어나도록 한 주택의 바닥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초수평면부와 직사각형의 폐루프를 이루도록 상기 기초수평면부의 상면에 기립 형성되고 각 면에는 통풍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초수직면부를 가지고, 상기 기초수평면부가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부와; 상기 기초콘크리트부의 상측에 배치된 바닥마감재층과; 상기 바닥마감재층을 상기 기초콘크리트부에 대하여 지지하는 중간지지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의 바닥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단열성능의 정도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고 라돈이 거주공간 전 영역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지지층부는 상기 기초수직면부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된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와 상기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의 내표면에 결합된 다수의 단열블럭지지격벽부를 가지고, 상기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의 하단이 상기 기초수직면부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단열블럭지지부와; 상기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와 상기 단열블럭지지격벽부가 형성하는 각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단열블럭지지부에 설치되는 단열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이 거주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지지층부는 상기 단열블럭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된 합성수지시트층과, 상기 합성수지시트층의 상면에 설치된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을 수집하기 위한 공간을 갖도록 기초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한편, 수집공간에 수집된 라돈을 자연통풍방식으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풍공을 기초콘크리트부에 형성함으로써, 통풍기를 설치하지 않고 안정적이며(통풍기의 동작여부와 관계없이) 효율적으로(라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가 여러 개가 됨)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이 거주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의 바닥구조의 사시도,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의 바닥구조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의 바닥구조의 부분절개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의 바닥구조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의 바닥구조에 벽체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7은 종래 주택의 단면도,
도8은 종래 주택의 중간지지층부와 바닥마감재층의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종래 주택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의 바닥구조의 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의 바닥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의 바닥구조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의 바닥구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의 바닥구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부(10)와, 기초콘크리트부(10)의 상측에 배치된 바닥마감재층(47)과, 바닥마감재층(47)을 기초콘크리트부(10)에 대하여 지지하는 중간지지층부와, 바닥마감재층(47)과 중간지지층부에 설치된 온돌패널(45)과, 기초콘크리트부(10)에 설치된 그릴창(48) 및 방충망(49)과, 중간지지층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벽체토대목(44)을 갖고 있다.
기초콘크리트부(10)는 기초수평면부(11)와, 직사각형의 폐루프를 이루도록 기초수평면부(1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기초수직면부(12)와, 기초수평면부(11)의 저면에 상호 나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기초각부(13)를 갖고 있다.
기초수직면부(12)는 각 면에 통풍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각 기초각부(13)는 사다리꼴 단면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기초콘크리트부(10)는 기초수평면부(11)가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기초콘크리트부(10)의 형성은 기초각부(13)와 기초수평면부(11)의 저면이 지면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바닥마감재층(47)은 강화마루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다수 개로 분할되어 있다(47a 참조).
중간지지층부는 기초수직면부(12)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단열블럭지지부(20)와, 단열블럭지지부(20)에 설치되는 단열블럭(41a)과, 단열블럭지지부(20)의 상단에 설치된 합성수지시트층(42)과, 합성수지시트층(42)의 상면에 설치된 보호판(43)을 갖고 있다.
단열블럭지지부(20)는 기초수직면부(12)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된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21)와, 상호 나란하도록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21)의 내표면에 결합된 다수의 단열블럭지지격벽부(22)를 갖고 있다.
단열블럭지지격벽부(22)에 의해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21)의 내부공간은 직사각형 형태로 구획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단열블럭지지부(20)는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21)의 하단이 기초수직면부(12)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각 단열블럭(41a)은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21)와 단열블럭지지격벽부(22)가 형성하는 각 공간(22a)을 밀폐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각 단열블럭(41a)의 설치는 억지끼움 등의 방법으로 할 수 있다. 단열블럭(41a)에 의해 단열층(41)이 형성된다.
합성수지시트층(42)은 비닐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된 시트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보호판(43)은 OSB(Oriented Strand Board) 구조용 합판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보호판(43)은 다수 개로 분할되어 있다(43a 참조)
온돌패널(45)은 온돌하부보드(45a)와, 온돌하부보드(45a)의 상면에 설치된 온수배관(45b)과, 온수배관(45b)을 덮도록 온돌하부보드(45a)의 상면에 설치된 온돌상부보드(45c)를 갖고 있다.
온돌상부보드(45c)는 다수 개로 분할되어 있다.
벽체토대목(44)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보호판(43)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의 바닥구조를 사용하여 주택을 짓는 방법을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단이 벽체토대목(44)에 지지되도록 기둥(202a)을 설치한다.
다음에 기둥(202a) 사이에 벽돌(202b)을 적층하는 방법 등으로 벽체(202)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벽체(202)의 상단에 지붕을 형성한다.
한편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의 바닥구조를 사용하여 지은 주택의 거주공간으로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이 유입되는 것이 저지되는 과정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은 기초수평면부(11)를 통과하여 기초수평면부(11)의 상면, 기초수직면부(12)의 내표면, 단열블럭(41a) 및 단열블럭지지부(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206, 이하 "라돈수집공간"이라 한다)에 수집된다.
라돈수집공간(206)에 수집된 라돈의 대부분은 바람의 작용 등에 의한 자연통풍방식으로 통풍공(1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라돈이 자연통풍방식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동안 단열블럭(41a)과 단열블럭지지부(20)는 라돈이 주택의 거주공간(205)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라돈수집공간(206)에 유입된 라돈 중 통풍공(1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단열블럭(41a) 및 단열블럭지지부(20)을 통과하는 라돈은 합성수지시트층(42)에 의해 주택의 거주공간(205)으로 진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을 수집하기 위한 공간(라돈수집공간)을 갖도록 기초콘크리트부(10)를 형성하는 한편, 라돈수집공간에 수집된 라돈을 자연통풍방식으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풍공(12a)을 기초콘크리트부(10)에 형성함으로써, 통풍기를 설치하지 않고 안정적이며(통풍기의 동작여부와 관계없이) 효율적으로(라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가 여러 개가 됨)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이 거주공간(205)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21)와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2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21)의 내표면에 결합된 다수의 단열블럭지지격벽부(22)를 갖는 단열블럭지지부(20)에 단열블럭(41a)을 설치함으로써, 단열성능의 정도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고(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의 높이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단열층의 두께를 선택할 수 있음) 라돈이 거주공간(205) 전영역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라돈수집공간에 유입된 라돈 중 통풍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단열블럭 및 단열블럭지지부을 통과하는 라돈이 단열블럭지지격벽부에 의해 기초수평면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저지됨).
또한 합성수지시트층(42)을 갖도록 중간지지층부를 구성함으로써, 지각으로부터 방출된 라돈이 거주공간(205)으로 유입되는 것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l10 : 기초콘크리트부 11 : 기초수평면부
12 : 기초수직면부 13 : 기초각부
20 : 단열블럭지지부 41 : 단열층
42: 합성수지시트층 43 : 보호판
45 : 온돌패널 47, 147 : 바닥마감재층
120 : 중간지지층부 152 : 벽체배기관
152 : 천정배기관 153 : 통풍기

Claims (3)

  1. 삭제
  2. 기초수평면부와 직사각형의 폐루프를 이루도록 상기 기초수평면부의 상면에 기립 형성되고 각 면에는 통풍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초수직면부를 가지고 상기 기초수평면부가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부와, 상기 기초콘크리트부의 상측에 배치된 바닥마감재층과, 상기 바닥마감재층을 상기 기초콘크리트부에 대하여 지지하는 중간지지층부를 갖는 주택의 바닥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층부는 상기 기초수직면부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된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와 상기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의 내표면에 결합된 다수의 단열블럭지지격벽부를 가지고 상기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의 하단이 상기 기초수직면부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단열블럭지지부와, 상기 단열블럭지지둘레벽부와 상기 단열블럭지지격벽부가 형성하는 각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단열블럭지지부에 설치되는 단열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의 바닥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층부는 상기 단열블럭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된 합성수지시트층과, 상기 합성수지시트층의 상면에 설치된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의 바닥구조.
KR1020140065546A 2014-05-30 2014-05-30 주택의 바닥구조 KR10162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546A KR101624913B1 (ko) 2014-05-30 2014-05-30 주택의 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546A KR101624913B1 (ko) 2014-05-30 2014-05-30 주택의 바닥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531A KR20150137531A (ko) 2015-12-09
KR101624913B1 true KR101624913B1 (ko) 2016-05-27

Family

ID=5487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546A KR101624913B1 (ko) 2014-05-30 2014-05-30 주택의 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9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8460A (ja) 2002-05-10 2003-11-19 Spi Iguteibu Kk 住宅の通気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8460A (ja) 2002-05-10 2003-11-19 Spi Iguteibu Kk 住宅の通気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531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143B1 (ko)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유해 물질 배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US7921610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assembly and building
KR101708172B1 (ko) 환기 기능을 구비한 게르
KR20170009422A (ko) 주거 및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다층식 큐브 하우스
US2345500A (en) Demountable house
JP4974707B2 (ja) 建物
KR101624913B1 (ko) 주택의 바닥구조
CA2148626C (en) Vapor exhaust system for use in building wall construction
KR20200089156A (ko)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JP4758838B2 (ja) 蓄煙システム
JP6958224B2 (ja) 壁体通気構造
JP2017214808A (ja) 建物
JP6783084B2 (ja) カーテンボックスを利用した換気装置
JP2011094305A (ja) 曲面壁構造
US20140298741A1 (en) Integrated cabinet and building structure
JP6435211B2 (ja) 建物
JP6730027B2 (ja) 建物
JP2015168920A (ja) 建物の換気構造
JP2015096679A (ja) 建物
KR101839469B1 (ko) 복층 처마를 구성하기 위한 한옥의 기둥구조
JP2007031955A (ja) 木造家屋
JP4060780B2 (ja) 建築物
JP2017036585A (ja) 木造住宅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4068275A (ja) 内壁通気構造
JP3225253B2 (ja) 木造住宅用の通気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