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211B1 -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인열 방지기 및 인열 방지기를 갖춘 차량 시트 커버링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인열 방지기 및 인열 방지기를 갖춘 차량 시트 커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211B1
KR101624211B1 KR1020147032956A KR20147032956A KR101624211B1 KR 101624211 B1 KR101624211 B1 KR 101624211B1 KR 1020147032956 A KR1020147032956 A KR 1020147032956A KR 20147032956 A KR20147032956 A KR 20147032956A KR 101624211 B1 KR101624211 B1 KR 101624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at
air cushion
seam
side air
t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476A (ko
Inventor
볼프강 비데르회프트
한스 에르버
크리스티안 라우발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15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002/5808Seat coverings comprising opening zones for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60R2021/2076Removable covers with te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1)용 차량 시트 커버링(5)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 상의 인열 방지기(2, 3)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각 경우에 직물 호스(16)는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두 개의 시임 단부들 상에서 차량 시트 커버링(들)의 내부 측 상에 배열되고 차량 시트 커버(5)에 재료 결합 방식 및/또는 마찰 잠김 방식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 상의 인열 방지기(2, 3)을 가지는 차량 시트 커버(5)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인열 방지기 및 인열 방지기를 갖춘 차량 시트 커버링 {TEAR PREVENTER ON A SIDE AIR CUSHION OUTLET SEAM OF A VEHICLE SEAT COVERING AND VEHICLE SEAT COVERING WITH A TEAR PREVENTER}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에서 청구된 것과 같은 차량 시트용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인열 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제 8 항의 전제부에서 청구된 것과 같은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인열 방지기를 갖춘 차량 시트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직물 접착 테이프가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의 양 단부들에 배열되고, 상기 직물 접착 테이프는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의 방향으로 향하는 개방 직물 모서리(open fabric edge)를 가진다.
DE 297 04 593 U1은 등받이 부품(backrest part)들 및 시트 부품들로 구성되는, 승용 자동차들의 후방 및 전방 시트들의 쿠션들에 부착될 수 있는 차량 시트 커버링들을 개시하며, 여기서 차량 문쪽으로 향하는 이들의 측면 상에서 커버링들의 등받이 부품들 및 시트 부품들은 등받이 및/또는 시트에 위치되는 사이드 에어백들을 위한 선결정된 파단점(rupture point)들을 가진다.
WO 2009/120 754 A1은 차량 시트를 개시하며, 이의 커버링은 접착 테이프에 의해 폐쇄되는 관통-개구(through-opening)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진다.
DE 10 2004 003 983 B3은 에어백이 제공되는 자동차 시트의 커버링 내의 약한(frangible) 시임 구성을 개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약한 시임 구성에는 서로 교차하고 커버링 부분들을 함께 연결하는 약한 시임들이 제공되며, 상기 약한 시임 구성 내에서 시임들의 교차 영역에 위치될 리벳들은 시임의 강도의 임의의 국부적 증가를 생성하지 않는다. 교차 영역의 약한 시임들의 리벳들이 각 경우에서 단지 관련된 커버링 부품들 중 하나에만 놓여진다.
DE 102 54 723 A1은 차량 시트의 시트 커버링의 에어백 출구 영역에 구성되는 에어백 출구 개구 시임을 갖춘 특히 자동차의 차량 시트 상의 승객 보호 장치를 개시하고, 여기서 시트 커버링은 차량 실내를 향하는 가시적인 면 및 차량 실내로부터 멀어지는 시트 커버링 후방 면을 가지며, 비-활성화된 처음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에어백이 시트 커버링 뒤에 절첩되어 배열된다. 승객 보호 장치의 활성화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에어백은 팽창될 수 있고, 개구에 의해 에어백 출구 개구 시임이 차량 실내에서 에어백 출구 영역에서 형성되는 출구 개구를 통해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 출구 개구 시임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 이상의 변위 장치, 바람직하게는 견인 수단(traction means)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커플링된다. 승객 보호 장치의 활성화된 상태에서, 변위 장치는 적어도 에어백 출구 개구 시임의 구성요소를 에어백 출구 영역으로부터 멀리 변위시킴으로써 시임 구조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괴되고 따라서 에어백 출구 개구를 개방하기 위해 가해지는 개방력이 감소된다.
DE 696 01 699 T2는 객실부 벽을 향하는 차량 시트의 측면에 장착하는 측면 에어백 장치를 개시하고, 여기서 에어백 하우징 개구의 주변에서의 시트 커버링 재료는 커버링 재료가 개구를 커버링하고 추가적인 커버링 재료가 함께 봉합되는 시임 부분을 가지며, 여기서 이러한 시임 부분들이 에어백 내에서 선결정된 전개 압력에서 인열될 수 있고, 여기서 테이프는 에어백이 작동될 때 추가적인 커버링 재료의 팽창을 방지하기 위해 시임 부분 상의 추가적인 커버링 물질과 고정된 요소들, 다시 말해 시트 프레임(frame) 사이에서 연장되고, 여기서 테이프의 한 단부는 고정된 요소에 체결되고 다른 단부는 시임 부분의 재봉사(sewing thread)들에 의해 추가적인 커버링 재료에 봉합된다.
DE 197 46 387 A1은 모듈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에어백 모듈을 개시한다. 에어백 모듈이 자동차의 시트의 시트 백 내부에 배열되고 커버로부터 차량의 객실 내부로 에어백을 전개하기 위해 자동차의 측면 충돌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폭발하여 개방하는 에어백의 압력에 의해 모듈 하우징의 커버가 개방된다. 충돌의 충격에 의해 변형된 문에 의해 눌렸을 때 커버가 개방될 수 없을지라도, 모듈 하우징의 하우징 본체 내에 형성되는 인열 라인들은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하우징 본체의 전방 벽을 피벗팅(pivot)시키기 위해 파괴된다. 따라서, 에어백이 하우징 본체의 전방 벽 부분으로부터 객실 내부로 방해 없이 전개될 수 있다.
DE 198 31 462 A1은 특히 승용 자동차의 측면 문을 위한, 측면 충격 보호(에어백)가 제공되는 내부 트림 부분을 개시한다. 내부 트림 부분은 성형된 폼 부분(shaped foam part)에 의해 커버되는 컷아웃(cutout)을 갖춘 지지 본체를 포함한다. 지지 본체는 장식용 스킨(decorative skin)에 의해 차례로 커버되는 성형된 폼 부분을 또한 커버링하는 폼 지지부(foam support)를 지탱한다. 장식용 스킨은 두 개의 부분들 내에 있고, 장식용 스킨 부분들이 인열 시임을 통해 함께 연결된다. 인열 시임은 컷아웃에 걸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선결정된 인열점(tearing point)을 형성하고, 상기 선결정된 인열점은 폼 부분들 내에 또한 제공된다. 내부 트림 부분의 특이점은 시임의 전체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실링 스트립(sealing strip)에 의해 시임에 대한 실링, 및 지지 본체와 장식용 스킨 사이의 공간에 폼을 적용함에 의한 성형된 부분과 지지 본체의 일체형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대해 개선되고, 특히 덜 비싸고 더 효율적인 차량 시트용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인열 방지기,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인열 방지기를 갖춘 차량 시트 커버링 및 이의 생산 방법을 명시하는 것이다.
인열 방지기에 대해, 상기 목적은 제 1 항에서 진술되는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차량 시트 커버링에 대해, 상기 목적은 제 8 항에서 진술되는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방법에 대해, 상기 목적은 제 9 항에서 진술되는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들은 종속항들의 요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인열 방지기에서, 각각의 경우에 직물 튜브는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의 두 개의 시임 단부들 상의 차량 시트 커버링의 내부 면 상에 배열되고 포지티브, 재료 및/또는 논-포지티브 연결(positive, material and/or non-positive connection)에 의해 차량 시트 커버링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의 한정된 인열은 두 개의 시임 단부들에 직물 튜브들이 있는 한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본원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포지티브 연결 또는 논-포지티브 연결의 의미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지티브 연결(positive connection)은 인터록킹 연결(interlocking connection) 또는 피팅 연결(fit connection)으로서도 지칭되며, 연결되는 두 개의 부품들이 고정된 연결부(fixed connection)를 형성하도록 인터록킹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핀이 상응하는 홀에 삽입되어 이들이 서로 결합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논-포지티브 연결(non-positive connection)은 논-포지티브 록킹 연결(non-positive locking connection)로서도 지칭되며 특히, 예를 들어 브레이크 디스크 또는 아스팔트 포장재(tarmac) 위의 차량 휠과 같은, 마찰 연결(frictional connection)이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재료 연결(material connection 또는 bonded connection)은 두 부품들이 adhesion force (유사한 또는 상이한 재료들 간의 bonding force) 및 cohesion force (internal strength of a substance)에 의해서 원자 또는 분자 레벨에서 함께 결합되는 연결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접착(adhesive), 용접(welding) 및 납땜(soldering)과 같은 본디드 조인트에 의해서 두 부품들을 연결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중 본디드 조인트로써 접착(adhesive)을 사용하는 것은 부품들 간에 특정 영역에 걸쳐 균일 분포된 힘 전달을 가능하게 하며, 접착층(layer of adhesive)의 두께 및 탄성은 국소적인 응력 집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참고로, 이와 같은 "포지티브 연결(positive connection)", "논-포지티브 연결(non-positive connection)" 및 "재료 연결(material connection 또는 bonded connection)"에 대한 정의는 예를 들어, 서적 “Glass in Building: Principles, Applications, Examples”, Bernhard Weller et al., 2009, Walter de Gruyter Verlag의 59페이지(Table: Material bond -> adhesive joint -> Separate or continuous gluing)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다음 링크를 참조하실 수 있다.
https://books.google.de/books?id=NXXTAAAAQBAJ&pg=PA59&lpg=PA59&dq=adhesive+positive+material+joint&source=bl&ots=ir4Qyj9oci&sig=oAsoRBnbwZKPEq_8UOSOz9Aagqk&hl=de&sa=X&ei=4bBMVeqaJoSWygP_yIBY&ved=0CDMQ6AEwAg#v=onepage&q=adhesive%20positive%20material%20joint&f=false
특히 유리하게, 직물 튜브가 하나 이상의 부가 시임에 의해 차량 시트 커버링에 봉합된다. 결과적으로, 차량 시트 커버에 대한 직물 튜브의 특히 안전하고 확고한 보존이 가능하게 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직물 튜브가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의 길이방향의 범위에 대해 횡방향으로의 이의 길이방향의 범위로 배열된다. 따라서,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의 시임 단부들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직물 튜브의 부분은 개방 직물 모서리를 가지지 않으며, 이에 의해 직물 튜브에 의해 형성되는 인열 방지기는 특히 저항력이 있다(resistant).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직물 튜브는 시임이 없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주변 방향으로 직물 튜브는 내인열성(tear resistance)을 잠재적으로 줄이거나 감소시키는 시임들을 가지지 않는다.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이 바람직하게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 측면 요소의 영역 내에 배열되고 차량 시트의 등받이 측면 요소를 따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이 선결정된 인열 시임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선결정된 인열 시임은 측면 에어 쿠션이 전개될 때 전개 측면 에어 쿠션이 차량 시트 커버링의 인열된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측면 에어 쿠션은 시트 탑승자에 지정된 효과를 전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인열 방지기를 갖춘 차량 시트 커버링에서, 각 경우에서 직물 튜브가 포지티브, 재료 및/또는 논-포지티브 연결에 의해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의 단부에 있는 차량 시트 커버링의 내부 면 상에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의 한정되는 인열은 두 개의 시임 단부들에 직물 튜브들에 의해 형성되는 인열 방지기가 있는 한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의 인열 방지기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서, 각 경우에서 직물 튜브가 포지티브, 재료 및/또는 논-포지티브 연결에 의해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의 단부에 있는 차량 시트 커버링의 내부 면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개략도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에 인열 방지기를 갖춘 차량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인열된 측면 에어 쿠션 시임을 갖춘 차량 시트 커버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구 시임 상의 상부 인열 방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직물 접착 테이프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인열 방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직물 튜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하부 인열 방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인열 방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서로에게 상응하는 부품들이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제공된다.
도 1에서, 차량 시트 커버링(5)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상부 인열 방지기(2) 및 하부 인열 방지기(3)를 갖춘 차량 시트(1)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이 또한 SAB(Side Air Bag) 시임으로서 표시된다. 차량 시트(1)는 하나 이상의 시트 표면(6), 시트 백(7) 및 머리 받침대(8)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이다.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이 차량 시트(1)의 등받이 측면 요소(9)의 영역 내에 배열되고 차량 시트(1)의 등받이 측면 요소(9)를 따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 뒤에 도시되지 않은 측면 에어 쿠션이 등받이 측면 요소(9) 내에 배열되고, 상기 측면 에어 쿠션이 사고의 결과로서 작동(trigger)될 때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을 통해 전개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이 종래의 선결정된 인열 시임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선결정된 인열 시임은 측면 에어 쿠션이 전개될 때 전개 측면 에어 쿠션이 차량 시트 커버링(5)의 인열된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에서, 측면 에어 쿠션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인열되는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을 갖춘 차량 시트 커버링(5)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각 경우에서 인열 방지기(2, 3)는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두 개의 시임 단부들 상의 단부에 배열된다. 이러한 인열 방지기(2, 3)가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 너머까지의 차량 시트 커버링(5)의 제어되지 않은 인열을 방지하는 것이 의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종래 기술에서 직물 접착 테이프 부분(10)이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단부에 배열된다.
도 3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시트 커버링(5)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 상의 이러한 상부 인열 방지기(2)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4에서 더 상세하게 도시된 직물 접착 테이프 부분(10)이 차량 시트 커버링(5)의 내부 상의 지그재그형(zig-zag) 시임(11)에 의해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직물 접착 테이프 부분(10)이 이중 시임(12)의 연장부(extention)에 체결되고, 상기 이중 시임은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천공된 직물 테이프 부분(perforated fabric tape portion)(13)을 차량 시트 커버링(5)에 체결한다. 따라서 직물 접착 테이프 부분(10)의 개방 직물 모서리는 하중(load)들이 적용될 때 인열될 수 있는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방향으로 향한다. 결과적으로, 인열 방지기(2)가 약화되고 일어나는 모든 작동 조건들 하에서 작용하는 힘들을 견디지 못한다.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양 측면 상의 이중 시임(12)에 의해 체결되는 천공된 직물 테이프 부분(13)은 측면 에어 쿠션을 위한 선결정된 인열 시임을 형성한다.
직물 접착 테이프 부분(10)이 캐리어 필름(15)에 적용되는 길이로 절단된 부분들로 전달된다.
도 5는 차량 시트 커버링(5)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 상의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인열 방지기(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직물 튜브(16)가 이중 시임(12)의 연장부(extension)에 배열되고 차량 시트 커버링(5)의 내측에 지그재그형 시임(11)에 의해 체결된다. 부가적으로, 직물 튜브(16)는 각각의 일 부가 시임(17)에 의해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양 측면들 상의 차량 시트 커버링(5)에 봉합(stitch)된다.
직물 튜브(16)가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길이방향의 범위에 대해 횡방향으로의 이의 길이방향의 범위로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시임 단부들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직물 튜브(16)의 부분은 개방 직물 모서리를 가지지 않고, 결과적으로 직물 튜브(16)에 의해 형성되는 인열 방지기(2)는 특히 저항력이 있다.
도 6에서 직물 튜브(16)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직물 튜브(16)는 시임이 없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직물 튜브(16)는 주변 방향의 모든 곳에서 시임들을 가지지 않고, 시임들의 존재는 이의 내인열성(tear resistance)을 줄이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시트 커버링(5)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 상의 하부 인열 방지기(3)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직물 접착 테이프 부분(10)이 차량 시트 커버링(5)의 절첩되어-겹쳐진(folded-over) 부분(18) 내에 배열되고 절첩된(folded) 시임(19) 및 이중 시임(12)에 의해 차량 시트 커버링(5)에 체결된다. 따라서, 직물 접착 테이프 부분(10)의 개방 직물 모서리는 하중들이 적용될 때 인열되는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방향으로 향한다. 결과적으로, 하부 인열 방지기(3)가 약화되고 일어나는 모든 작동 조건들 하에서 작용하는 힘들을 견디지 못한다.
도 8은 차량 시트 커버링(5)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 상의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인열 방지기(3)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직물 접착 테이프 부분(10)은 직물 튜브(16)로 교체된다. 따라서 직물 튜브(16)가 차량 시트 커버링(5)의 절첩되어-겹쳐진 부분(18) 내에 배열되고 절첩된 시임(19) 및 이중 시임(12)에 의해 차량 시트 커버링(5)에 체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직물 튜브(16)가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길이방향의 범위에 대해 횡방향으로의 이의 길이방향의 범위로 배열되고, 결과적으로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방향으로 향하는 직물 튜브(16)의 개방 직물 모서리는 없다.
1: 차량 시트
2: 상부 인열 방지기
3: 하부 인열 방지기
4: 측면 에어 쿠션 시임
5: 차량 시트 커버링
6: 시트 표면
7: 시트 백
8: 머리 받침대
9: 등받이 측면 요소
10: 직물 접착 테이프 부분
11: 지그재그형 시임
12: 이중 시임
13: 천공된 직물 테이프 부분
15: 캐리어 필름
16: 직물 튜브
17: 부가 시임
18: 절첩되어-겹쳐진 부분
19: 절첩된 시임

Claims (8)

  1. 차량 시트(1)용 차량 시트 커버링(5)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seam)(4) 상의 인열(tear) 방지기(preventer)(2, 3)에 있어서,
    각 경우에 직물 튜브(16)가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두 개의 시임 단부들 상의 차량 시트 커버링(5)의 내부 면 상에 배열되고 포지티브, 재료 또는 논-포지티브 연결에 의해 차량 시트 커버링(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방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튜브(16)가 하나 이상의 부가 시임(17)에 의해 차량 시트 커버링(5)에 봉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방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튜브(16)가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길이방향의 범위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의 길이방향의 범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방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튜브(16)가 시임이 없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방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이 차량 시트(1)의 등받이 측면 요소(9)의 영역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방지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이 차량 시트(1)의 등받이 측면 요소(9)를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방지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이 미리 결정된(predetermined) 인열 시임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인열 시임은 측면 에어 쿠션이 전개될 때, 전개되는 측면 에어 쿠션이 차량 시트 커버링(5)의 인열된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방지기.
  8.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 상의 인열 방지기(2, 3)을 갖춘 차량 시트 커버링(5)에 있어서,
    각 경우에서 직물 튜브(16)가 포지티브, 재료 또는 논-포지티브 연결에 의해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4)의 단부에 있는 차량 시트 커버링(5)의 내부 면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방지기를 갖춘 차량 시트 커버링.

KR1020147032956A 2012-04-23 2012-04-23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인열 방지기 및 인열 방지기를 갖춘 차량 시트 커버링 KR101624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2/057386 WO2013159805A1 (de) 2012-04-23 2012-04-23 Aufreissschutz an einer seitenluftkissenaustrittsnaht eines fahrzeugsitzbezuges und fahrzeugsitzbezug mit einem aufreissschu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476A KR20150015476A (ko) 2015-02-10
KR101624211B1 true KR101624211B1 (ko) 2016-05-25

Family

ID=4600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956A KR101624211B1 (ko) 2012-04-23 2012-04-23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인열 방지기 및 인열 방지기를 갖춘 차량 시트 커버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54809B2 (ko)
EP (1) EP2841310B1 (ko)
JP (1) JP5883987B2 (ko)
KR (1) KR101624211B1 (ko)
CN (1) CN104245434B (ko)
IN (1) IN2014DN09078A (ko)
WO (1) WO2013159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9765B2 (ja) * 2014-12-11 2017-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DE102020104215A1 (de) 2020-02-18 2021-08-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mit einer 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99B1 (ko) 2008-12-23 2014-10-28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에어백 전개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4994A1 (fr) 1995-08-02 1997-02-13 Toyo Tire & Rubber Co., Ltd. Dispositif de coussin de securite lateral gonflable
JP3393753B2 (ja) * 1996-06-04 2003-04-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H1016697A (ja) * 1996-07-04 1998-01-20 Tachi S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内蔵シートのトリムカバー構造
DE19746387B4 (de) 1996-10-25 2004-06-24 Honda Giken Kogyo K.K. Airbagvorrichtung
FR2760701B3 (fr) * 1997-03-12 1999-05-21 Safar Ets Housse pour un siege d'automobile muni d'un coussin gonflable de securite a deploiement lateral
DE29704593U1 (de) 1997-03-13 1997-05-07 Diana Kfz Textil Gmbh Autositzbezüge
DE19727746A1 (de) * 1997-06-30 1999-01-07 Gerhard Retter Autoinnenaussta Schonbezu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FR2772699B1 (fr) * 1997-12-19 2000-08-25 J C Dezarnaud Houss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a sac gonflable
DE19831462C2 (de) 1998-07-14 2002-08-14 Johnson Contr Interiors Gmbh Innenverkleidungsteil
DE10238909C1 (de) * 2002-08-24 2003-10-16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raftfahrzeugsitz mit einem Seiten-Airbag
DE10254723A1 (de) 2002-11-23 2004-06-03 Volkswagen Ag Insassenschutzvorrichtung an einem Fahrzeugsitz,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4003983B3 (de) 2004-01-27 2004-12-09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Reißnahtausbildung im Bezug eines mit einem Airbag ausgerüsteten Kraftfahrzeugsitzes
CN2714385Y (zh) * 2004-07-13 2005-08-03 上海比亚迪有限公司 适用于安全气囊的座椅
DE102004044715A1 (de) * 2004-09-16 2006-04-06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Rücken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FR2889493B1 (fr) * 2005-08-05 2008-10-17 Faurecia Sieges Automobile Element de siege integrant un dispositif de securite a coussin gonflable, muni d'une fermeture a glissiere
DE102007050274A1 (de) * 2007-07-23 2009-01-29 Johnson Controls Gmbh Sitzbezug und damit ausgestatteter Fahrzeugsitz mit integriertem Airbag
JP5571652B2 (ja) 2008-03-25 2014-08-13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縫合の代わりに接着剤を使用する車両トリムの応用
US7695064B2 (en) * 2008-06-24 2010-04-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seat side air bag
US8113539B2 (en) * 2008-07-29 2012-02-14 Lear Corporation Automotive seat trim cover
DE102008063486B3 (de) * 2008-12-17 2010-06-02 Faurecia Autositze Gmbh Fahrzeugsitz
DE102009006732B4 (de) * 2009-01-29 2017-02-09 Topp Textil Holding GmbH & Co. KG Band zum Verstärken einer Nah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99B1 (ko) 2008-12-23 2014-10-28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에어백 전개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5415A (ja) 2015-05-28
CN104245434B (zh) 2016-08-17
IN2014DN09078A (ko) 2015-05-22
KR20150015476A (ko) 2015-02-10
JP5883987B2 (ja) 2016-03-15
EP2841310B1 (de) 2015-08-12
US9254809B2 (en) 2016-02-09
US20150048601A1 (en) 2015-02-19
WO2013159805A1 (de) 2013-10-31
CN104245434A (zh) 2014-12-24
EP2841310A1 (de)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0010B2 (en) Cost-effective use of one-piece woven fabric for curtain airbags
EP3074280B1 (en) Wrap around side impact airbag systems and methods
US8240701B2 (en) Mounting assemblies with wrappers for inflatable curtain airbags
US8336910B1 (en) Active bolster with integrated tear seam
US20090295134A1 (en) Textile gas guide for inflatable curtain
US20090146401A1 (en) Airbag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20110101659A1 (en) Curtain airbag device for vehicle
JP3046780U (ja) 車両用座席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展開装置
GB2420745A (en) Vehicle seat with airbag and inflation guide member
US7597342B2 (en) Energy absorbing feature for inflatable curtain airbag
KR20010024929A (ko) 측면 장막 에어백 시스템
US7000945B2 (en) Inflatable windshield curtain
KR102157025B1 (ko) 커튼 에어백 장치의 쿠션
US20190256031A1 (en) Knee protection apparatus in a motor vehicle and knee air bag module for use in such knee protection apparatus
US7204510B2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located in the rear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US10059298B2 (en) Head airbag system for a vehicle and vehicle with a head airbag system
US8662530B2 (en) Vehicle seat assembly with rigid air bag protection member
CN117460649A (zh) 具有辅助展开包裹件的正面安全气囊系统
KR101624211B1 (ko) 차량 시트 커버링의 측면 에어 쿠션 출구 시임 상의 인열 방지기 및 인열 방지기를 갖춘 차량 시트 커버링
WO2009131045A1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10906497B2 (en) Airbag with deployment controlling flap
JP6507586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搭載車両のルーフサイド補強構造
EP3808610B1 (en) Airbag device
US11498510B2 (en) Airbag unit, more particularly head side airbag
US11938883B2 (en) Side airbag deployment r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