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166B1 -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166B1
KR101624166B1 KR1020150122984A KR20150122984A KR101624166B1 KR 101624166 B1 KR101624166 B1 KR 101624166B1 KR 1020150122984 A KR1020150122984 A KR 1020150122984A KR 20150122984 A KR20150122984 A KR 20150122984A KR 101624166 B1 KR101624166 B1 KR 101624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exterior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제
박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보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보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보메탈
Priority to KR102015012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용 외장 패널이 고정되는 패널 지지부, 및 상기 패널 지지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거나 상기 패널 지지부와 결합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는 제1모서리 및 상기 제1모서리와 만나는 제2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1모서리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거나 상기 제1모서리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모서리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거나 상기 제2모서리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의 끝단에 위치하며 건축물의 외벽을 만드는 콘크리트 타설시 매설되어 상기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벽에 대한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EXTERIOR PANEL ANCHORAGE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및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외장 패널은 대개 사각형상의 임의의 크기로 제작되고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외벽보호 및 장식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석재, 유리, 타일, 금속재 패널 등의 마감자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법 개정으로 인해 이와 같은 석재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할 경우, 건축물의 외벽과 석재패널 사이에 일정 두께 이상의 단열재를 설치해야 되도록 되었다. 이와 같이 단열재가 석재패널과 건축물의 외벽 사이에 설치될 경우, 외벽과 단열재 사이에 공간이 있게 되어 문제가 있고, 단열재 외부에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 구조체 설치를 위해 수평 수직 위치 설정을 위한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외벽을 구성하고, 단열재를 시공한 후 단열재와 건축물의 외벽에 홀을 뚫은 다음 앙카를 삽입하고 파스너를 설치한 후 파스너의 수평과 수직을 맞춘 후 스틸 트러스를 시공하고, 이 트러스 위에 외장재를 시공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은 벽체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지며, 단열재를 파내는 작업부터 다시 메우는 작업, 앙카와 파스너를 설치하는 작업 등이 늘어나며, 단열재 위에 트러스(패널 설치를 위한 구조재) 용접을 하는 과정에서 단열재에 화재가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를 콘크리트 외벽에 고정시킬 때 드릴로 앙카 홀을 뚫고 삽입하는 경우 건축물 외벽 손상과 구조상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벽 손상을 줄이고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건축물 외벽의 결합력을 높이고, 건축용 외장 패널과 건축물 외벽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열재와 외벽을 밀착시켜 열교 차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설치와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건축용 외장 패널 결합 공정을 단순화하고 작업자의 안전성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는 건축용 외장 패널이 고정되는 패널 지지부, 및 상기 패널 지지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거나 상기 패널 지지부와 결합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는 제1모서리 및 상기 제1모서리와 만나는 제2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1모서리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거나 상기 제1모서리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모서리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거나 상기 제2모서리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의 끝단에 위치하며 건축물의 외벽을 만드는 콘크리트 타설시 매설되어 상기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벽에 대한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는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사각판의 네 엣지부와 결합하는 4개의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는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사각판의 두 모서리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2개의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는 상기 다리부의 측면 모서리에 오목부가 위치하는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후크 형상이거나 상기 고정부의 측면 모서리에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는 직선 형태이며, 상기 고정부는 원 또는 반원 형상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는 직선 형태이며, 상기 고정부는 톱니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는 원판, 타원판, 사각판, 다각판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는 거푸집을 고정하는 체결구와 결합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는 다리부의 고정부가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타설시 매설되어 건축물 외벽에 손상이 없고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콘크리트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구조적 안전성이 높다.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는 구조 강도가 높고 단열재와 동시에 사용하게 되므로 외벽을 좀더 얇게 시공할 수 있어 건축물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설치방법은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단열재 및 외측 거푸집이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것이므로 외측 거푸집이 콘크리트 타설시 압력에 버티는 힘이 강화되어 외측 거푸집의 철판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거푸집은 외측 거푸집에 단열재가 고정되어 있어 콘크리트 타설 전까지 바람이나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하여 단열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 거푸집의 철판 부분이 없는 외측 거푸집 하부와 단열재에 설치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사이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 전까지 외측 거푸집 하부가 바람이나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하여 단열재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설치방법은 거푸집에 단열재를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열재와 외벽의 밀착도를 높여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설치방법은 거푸집 설치시 단열재에 설치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를 사용하므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의 수평이나 수직 배열을 조절하기 위한 복잡한 수정 없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고공에서 건축물 외벽에 단열재를 설치하거나 천공하는 작업과정 없이 지상에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를 단열재에 장착하므로 작업자의 고공체류 시간이 절감되어 작업 안정성에 유리하고,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설치와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건축용 외장 패널 결합 공정을 단순화하여 시공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건축용 외장 패널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에 스프링 장치를 삽입한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설치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설치방법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설치방법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및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설치방법의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와 건축용 외장 패널(900)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전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는 패널 지지부(200) 및 다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고 다리부(300)는 단열재(400)가 삽입되는 단열재 지지부와 고정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는 철이나 아연 등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는 건축용 외장 패널(900)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패널 지지부(200)는 건축용 외장 패널(900)이 고정되는 것이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패널 지지부(200)는 건축용 외장 패널(900)과 결합하여 건축용 외장 패널(9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패널 지지부(200)는 4㎜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패널 지지부(200)는 건축용 외장 패널(900)과 결합하는 부분으로 구조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패널 지지부(200)는 원판, 타원판, 사각판(210), 다각판의 형태일 수 있으나 판의 형태는 특정 형태로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200)는 거푸집(500, 560)을 고정하는 체결구(600, 700)와 결합하는 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지지부(200)는 후술하는 외측 거푸집(500)과 건축물의 외벽을 결합하는 결합구(600)나 후술하는 외측 거푸집(500)과 내측 거푸집(560)을 결합하는 결합핀(700)과 결합하기 위해 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300)는 패널 지지부(20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거나 패널 지지부(200)와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패널 지지부(200)는 제1모서리(230) 및 상기 제1모서리(230)와 만나는 제2모서리(240)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300)는 상기 제1모서리(23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거나 상기 제1모서리(230)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310)와 상기 제2모서리(24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거나 상기 제2모서리(240)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310)와 제2결합부(3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리부(300)는 패널 지지부(20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거나 패널 지지부(200)와 결합되어 패널 지지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패널 지지부(200)와 다리부(300)가 결합하는 경우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리부(300)는 후술하는 고정부(360)가 콘크리트(800)에 매설되어 건축물의 외벽에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지지부(200)가 다각판 형태인 경우 다각판의 두 변이 만나는 모서리가 생긴다. 제1모서리(230)는 두 변 중 한 변을 뜻하고 제2모서리(240)는 나머지 한 변을 뜻할 수 있다.
제1결합부(310)는 제1모서리(23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거나 제1모서리(230)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 2나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판 형태일 수 있다. 제2결합부(320)는 제2모서리(24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거나 제2모서리(240)와 결합되는 것으로 제1결합부(310)와 같이 판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제1결합부(310)나 제2결합부(320)는 3㎜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리부(300)의 길이는 후술하는 단열재(400)의 두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일례로 220㎜ 정도일 수 있다.
제1결합부(310)와 제2결합부(320)는 제1모서리(230)와 제2모서리(240)가 만나는 지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선(330)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리부(300)는 제1결합부(310)와 제2결합부(320)가 만나는 면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형태를 갖을 수 있다.
패널 지지부(200)는 사각판(210) 형태를 가지며, 다리부(300)는 사각판(210)의 네 엣지부(모퉁이)(250)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다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지지부(200)가 사각판(210) 형태를 가지는 경우, 다리부(300)는 사각판(210)의 네 모퉁이(250)에 각각 결합하는 4개의 다리부(300)를 갖을 수 있다.
사각판(210)의 한 변의 길이는 건축용 외장 패널(900)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례로 110㎜ 정도 일 수 있다. 다리부(300)는 패널 지지부(200)인 사각판(210)과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4개의 다리부(300)는 서로 형태가 동일할 수 있다.
다리부(300)는 상기 다리부(300)의 측면 모서리(340)에 오목부가 위치하는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300)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폭이 일정한 구간(341), 제1오목부(342), 제1볼록부(343), 제2오목부(344), 제2볼록부(345), 끝단(346)을 포함할 수 있다.
폭이 일정한 구간(341)은 패널 지지부(200)와 결합하는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폭을 유지하는 구간(341)이다. 제1오목부(342)는 폭이 일정한 구간(341) 이후 폭이 좁아진 부분이다. 제1볼록부(343)는 제1오목부(342) 이후 폭이 넓어진 부분이다. 제2오목부(344)는 제1볼록부(343) 이후 다시 폭이 좁아진 부분이다. 제2볼록부(345)는 제2오목부(344) 이후 다시 폭이 넓어진 부분이다. 끝단(346)은 제2볼록부(345) 이후 다시 폭이 좁아져 다리부(300)에서 가장 폭이 좁은 형태를 갖는 부분이다. 다리부(300)의 측면 모서리(340)가 요철을 갖는 경우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가 후술하는 단열재(400)와 결합하였을 때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서, 제1모서리(230)와 제2모서리(240)가 만나는 지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선(330)을 기준으로 다리부(300) 측면의 폭에 대하여, 패널 지지부(200)와 결합하는 부분의 길이는 30㎜ 정도, 제1오목부(342)의 길이는 25㎜ 정도, 제1볼록부(343)의 길이는 30㎜ 정도, 제2오목부(344)의 길이는 20㎜ 정도, 제2볼록부(345)의 길이는 30㎜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다리부(300)의 적어도 일부는 건축물의 외벽에 삽입될 수 있으며, 다리부(300)는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삽입되어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대한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고정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60)는 다리부(300)의 하부로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800)가 타설될 때 콘크리트(800)에 매설되는 부분이다. 고정부(360)는 콘크리트(800)에 매설되어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외벽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도 2나 도 3에서와 같이 제1볼록부(343)로부터 빗금 부분이 고정부(36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1볼록부(343)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제2볼록부(345)까지 20㎜ 정도일 수 있으며, 제2볼록부(345)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끝단(346)까지 40㎜ 정도일 수 있다.
고정부(360)는 후크 형상이거나 상기 고정부(360)의 측면 모서리(347)에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60)는 다리부(300)의 하부로 후술하는 단열재(400)를 관통하는 부분이므로 다리부(300)의 끝단(346)이 쇄기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360)는 단열재(400)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리부(300)의 측면 모서리(340)를 제1결합부(310)와 제2결합부(320)가 만나는 면의 두께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60)는 콘크리트(800)에 매설되어 이탈되지 않고 콘크리트(800)와의 결합력을 더 강화하기 위해 후크 형상을 이루거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는 패널 지지부(200)가 판 형태로 되어 있어 건축용 외장 패널(900)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리부(300)의 고정부(360)가 콘크리트(800)에 매설되어 건축물의 외벽 손상 없이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를 건축물의 외벽에 강력히 고정시킬 수 있어 건축용 외장 패널(900)의 건축물 외벽에 대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는 패널 지지부(200), 다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패널 지지부(200), 다리부(300)에 대하여는 앞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다리부(300)는 직선형(350)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삽입되는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는 반원 형상의 홀(35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나 도 6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리부(300)의 측면 모서리(340)는 제1실시예와 달리 요철없이 직선형(350)으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부(360)는 반원 형상의 홀(351)을 포함하여 콘크리트(800)에 매설되는 경우 콘크리트(800)와 고정부(360)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360)에 있는 반원 형상의 홀(351)은 전술한 제1모서리(230)와 제2모서리(240)가 만나는 지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선(330)을 기준으로 고정부(360)의 중앙부분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의 빗금 부분은 콘크리트(800)에 매설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고정부(360) 길이는 60㎜ 정도일 수 있고, 반원의 지름 길이는 30㎜ 정도일 수 있다.
고정부(360) 외의 다리부(300)는 단열재 지지부가 되며 단열재 지지부의 길이나 형태는 단열재(400)의 두께나 단열재(400)와의 결합력에 따라 변형될 수 있고, 다리부(300)의 고정부(360)는 콘크리트(800)와의 결합강도에 따라 길이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는 패널 지지부(200), 다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패널 지지부(200), 다리부(300)에 대하여는 앞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다리부(300)는 직선형(350)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삽입되는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는 톱니 형상(352)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와 달리 반원 형상의 홀(351)이 없고 고정부(360)의 측면 모서리(347) 부분에 톱니 형상(352)의 요철이 있다.
고정부(360)는 톱니 형상(352)의 오목부를 포함하여 콘크리트(800)에 매설되는 경우 콘크리트(800)와 고정부(360)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360)에 있는 톱니 형상(352)의 오목부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는 패널 지지부(200) 및 다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패널 지지부(200), 다리부(300)에 대하여는 앞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200)는 사각판(210) 형태를 가지며, 다리부(300)는 사각판(210)의 두 모서리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2개의 다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지지부(200)가 사각판(210) 형태를 가지는 경우,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300)는 사각판(210)의 서로 마주보는 이격된 모서리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2개의 다리부(300)를 갖을 수 있다.
다리부(300)는 상기 다리부(300)의 고정부(360)에 원 형상의 홀(35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60)에 구비되는 원 형상의 홀(353)은 콘크리트(800)와 고정부(360)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400)와 결합된 거푸집(500, 560)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900) 설치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400)에 스프링 장치(1000)를 삽입한 단열재(400)와 결합된 거푸집(500, 560)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100) 설치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400)와 결합된 거푸집(500, 560)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설치방법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400)와 결합된 거푸집(500, 560)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설치방법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및 단열재(400)와 결합된 거푸집(500, 560)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900) 설치방법의 블럭도이다.
단열재(400)와 결합된 거푸집(500, 560)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900) 설치방법은 분리 가능한 결합구(600)로 외측 거푸집(500)을 건축물의 외벽에 결합하는 단계(S1), 상기 외측 거푸집(500)의 하부(511)와 상기 단열재(400)에 삽입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사이에 지지대(540)를 설치하는 단계(S2),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일측에 단열재(400)를 결합하는 단계(S3), 상기 단열재(400)가 결합된 상기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타측에 상기 외측 거푸집(500)을 결합하는 단계(S4), 내측 거푸집(560)이 상기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일측에 상기 단열재(400)와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분리 가능한 결합핀(700)으로 상기 외측 거푸집(500)과 상기 내측 거푸집(560)을 결합하는 단계(S5) 및 상기 단열재(400)와 상기 내측 거푸집(560) 사이에 콘크리트(800)를 타설하는 단계(S6)를 포함하며, 상기 (S6) 단계에서 상기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다리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콘크리트(800)에 매설될 수 있다.
거푸집은 콘크리트(800) 구조물을 일정한 형태로 만들기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외측 거푸집(500)은 건축물 외벽의 외부, 즉 실외와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거푸집을 뜻하고, 내측 거푸집(560)은 건축물 외벽의 내부, 즉 실내와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거푸집을 뜻한다. 도 9과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측 거푸집(500)은 단열재(400)와 접촉하는 철판(530)과 철판(530)을 지지하는 지면과 대체로 수직인 제1구조재(510)와 지면과 대체로 평행한 제2구조재(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거푸집(500, 560)은 건물이나 아파트 건축에 사용되는 경우 한층 씩 사용하고 상층으로 이동 가능한 거푸집(500, 560)일 수 있다.
단열재(400)와 결합된 거푸집(500, 560)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900) 설치방법은 먼저 (S1) 단계를 살펴 보면, 결합구(600)로 외측 거푸집(500)과 건축물의 외벽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일례로, 결합구(600)는 두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앵커 볼트일 수 있다. 두 부분으로 나뉠 수 있는 결합구(600)는 후술하는 콘크리트(800) 타설시 매설되는 부분(620)과 그 외 부분(610)으로 나눌 수 있다. 결합구(600) 중 콘크리트(800) 타설시 매설되는 부분(620)의 외측 거푸집(500) 방향 부분은 끝단이 너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결합구(600) 중 콘크리트(800) 타설시 매설되는 부분(620)의 외측 거푸집(500) 방향 부분은 끝단이 단열재(400)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볼트 기능을 하는 볼록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볼록부는 매설되지 않고 단열재(400)에 삽입될 수도 있다.
외측 거푸집(500)과 건축물의 외벽은 두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결합구(600)의 두 부분 중 건축물의 바닥을 이루는 콘크리트(800) 부분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620)과 결합구(600)의 나머지 한 부분(610)을 결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구(600)가 사용되는 부분은 외측 거푸집(500)에서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이므로 결합구(600)는 건축물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패널 지지부(200)의 홀(220)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전술한 결합구(600)의 분리 가능한 두 부분 중 외측 거푸집(500)과 결합하는 부분은 외측 거푸집(500)과 나사 결합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외측 거푸집(500) 제거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S2) 단계는 상기 외측 거푸집(50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 거푸집(500)의 하부(511)와 상기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가 삽입된 단열재(400) 사이에 지지대(54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외측 거푸집(500)의 철판(530)은 외측 거푸집(500)이 설치되는 층의 바닥 부근까지 설치될 수 있어 외측 거푸집(500)은 외측 거푸집(500) 제1구조재(510)의 하부(511)만이 건축물의 하층 부분까지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건축물의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를 장착한 단열재(400)와 외측 거푸집(500)을 결합하게 되면 외부의 바람이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외측 거푸집(500)이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외측 거푸집(500)의 제1구조재(510)의 하부(511)가 하층 건축물의 외벽에 시공된 단열재(400)와 접촉하여 단열재(400)를 손상시키거나 단열재(400)를 뚫고 들어갈 수 있다.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하층 건축물의 외벽에 시공된 단열재(400)의 손상을 막기 위해 외측 거푸집(500) 제1구조재(510)의 하부(511)와 단열재(400)에 설치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사이에 지지대(540)를 설치할 수 있다. 지지대(540)는 외측 거푸집(500)이 기울어질 때 건축물 하층의 단열재(400)에 가하는 힘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재(400)에 삽입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540)는 외부의 물리력에 대응하여 외측 거푸집(500)이 지면과 대체로 수직을 이루도록 하여 외측 거푸집(500)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S2) 단계는 후술하는 (S5) 단계 후에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S3) 단계를 살펴보면, 전술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를 단열재(400)에 삽입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다리부(300)는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를 단열재(400)에 좀더 효과적으로 삽입하기 위해, 다리부(300)의 끝단(346)을 날카로운 쇄기형으로 하거나 다리부(300)의 측면 모서리(340)를 제1결합부(310)와 제2결합부(320)가 만나는 면의 두께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먼저 단열재(400)에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를 삽입하기 위하여 단열재(400)에 구멍을 뚫을 수 있다. 다만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다리부(300)의 끝단(346)이 날카로워서 단열재(400)에 천공이 필요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400)와 결합된 거푸집(500, 560)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900) 설치방법은 건축물 시공 현장에서 단열재(400)에 구멍을 뚫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와 후술하는 결합구(600), 결합핀(700) 등의 삽입 위치에 맞게 구멍을 뚫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패널 지지부(200)는 홀(220)을 포함하거나 홀(22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패널 지지부(200)가 홀(220)을 포함하는 경우는 후술하는 외측 거푸집(500)과 내측 거푸집(560)을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결합핀(700)이 관통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일 수 있다. 패널 지지부(200)가 홀(22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건축용 외장 패널(900)과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가 결합하거나 외측 거푸집(500)과 내측 거푸집(560)을 결합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일 수 있다.
다만, (S3) 단계는 (S1) 단계나 (S2) 단계 전에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S4) 단계를 살펴보면, (S3) 단계에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가 삽입된 단열재(400)를 외측 거푸집(500)과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일례로, 나사 결합을 통해 외측 거푸집(500)과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단열재(400)에 삽입되는 삽입부(1100) 및 상기 외측 거푸집(50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끝단부(1200)를 갖는 스프링 장치(1000)를 이용하여 상기 외측 거푸집(500)과 상기 단열재(400)를 임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스프링 장치(1000)는 외측 거푸집(500)과 내측 거푸집(560)을 후술하는 결합핀(700)으로 결합하기 전까지 임시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를 장착한 단열재(400)를 외측 거푸집(5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스프링 장치(1000)는 단열재(400) 제조시 천공된 후술하는 결합핀(700)이 삽입되는 자리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 장치(1000)는 형태가 제한되지 않고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가 삽입된 단열재(400)를 외측 거푸집(500)에 임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이면 된다. 일례로 스프링 장치(1000)는 단열재(400)에 삽입되는 삽입부(1100)가 원형이거나 타원형, 다각형도 가능하다. 스프링 장치(1000)의 삽입부(1100)는 탄성을 가지므로 탄성이 있는 단열재(400)에 삽입된 후 팽창되어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스프링 장치(1000)의 끝단부(1200)는 단열재(400) 밖으로 연장되어 외측 거푸집(500)의 철판(530)과 외측 거푸집(500)의 제1구조재(510)를 관통하여 외측 거푸집(500)의 제1구조재(510) 표면으로 절곡되어 단열재(400)와 외측 거푸집(5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S5) 단계는 외측 거푸집(500)과 내측 거푸집(560)을 결합하는 단계로, 외측 거푸집(500)과 결합되어 있는 단열재(400)와 내측 거푸집(560) 사이에 콘크리트(800)를 타설하기 위하여 외측 거푸집(500)과 결합되어 있는 단열재(400)와 내측 거푸집(560) 사이를 건축물의 외벽 두께 만큼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할 수 있다.
단열재(400)와 결합된 거푸집(500, 560)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900) 설치방법은 분리 가능한 결합핀(700)으로 외측 거푸집(500)과 내측 거푸집(560)을 결합할 수 있다.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듯이, 결합핀(700)는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패널 지지부(200)의 홀(220)을 통해 외측 거푸집(500)과 내측 거푸집(560)을 결합할 수도 있으나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을 관통해 외측 거푸집(500)과 내측 거푸집(560)을 결합할 수도 있다.
두 부분으로 나뉠 수 있는 결합핀(700)은 후술하는 콘크리트(800) 타설시 매설되는 부분(720)과 그 외 부분(710)으로 나눌 수 있다. 결합핀(700) 중 콘크리트(800) 타설시 매설되는 부분(720)은 양 끝단이 너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결합핀(700) 중 콘크리트(800) 타설시 매설되는 부분(720)의 외측 거푸집(500) 방향 부분은 끝단이 단열재(400)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볼트 기능을 하는 볼록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볼록부는 매설되지 않고 단열재(400)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일례로, 결합핀(700) 중 콘크리트(800) 타설시 매설되는 부분(720)과 내측 거푸집(560)은 나사 결합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결합핀(700)의 분리 가능한 두 부분 중 외측 거푸집(500)과 결합하는 부분(710)은 외측 거푸집(500)과 나사 결합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외측 거푸집(500) 제거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S6) 단계를 살펴보면, 단열재(400)와 내측 거푸집(560) 사이에 콘크리트(800)를 타설하는 단계로, 전술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고정부(360)와 결합구(600) 중 콘크리트(800) 타설시 매설되는 부분(620), 결합핀(700) 중 콘트리트 타설시 매설되는 부분(720)이 매설된다.
단열재(400)와 결합된 거푸집(500, 560)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900) 설치방법은 상기 콘크리트(800)를 타설한 후 상기 외측 거푸집(500)을 제거하는 단계(S7), 상기 단열재(400)와 상기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사이의 틈새를 단열재(400)로 충진하는 단계(S8) 및 건축물의 외장 패널(900)과 상기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패널 지지부(200)를 결합시키는 단계(S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S7) 단계는 단열재(400)와 내측 거푸집(560) 사이에 콘크리트(800)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800)가 굳어지면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거푸집을 제거할 때 전술한 분리 가능한 결합구(600)와 결합핀(700) 중 콘크리트(800)에 매설되지 않는 부분(610, 710)도 모두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S8) 단계를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단열재(400)를 천공하여 단열재(400)와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와 틈이 있거나, 천공하지 않은 경우라도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와 단열재(400) 사이에 틈이 있는 경우 틈새 부분을 충진형 단열재(400)로 충진하는 단계이다. 결합핀(700)을 단열재(400)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800)에 매설되지 않는 결합핀(700) 부분을 제거하여 결합핀(700)이 삽입되었던 단열재(400) 부분에 틈이 있는 경우나 결합구(600)의 콘크리트(800)에 매설되지 않는 부분을 제거하여 결합구(600)가 삽입되었던 단열재(400) 부분에 틈이 있는 경우 이 틈새 부분을 충진형 단열재(400)로 충진할 수 있다.
다음으로 (S9) 단계를 살펴보면, 건축용 외장 패널(900)과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패널 지지부(200)를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일례로 건축용 외장 패널과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는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400)와 결합된 거푸집(500, 560)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900) 설치방법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외측 거푸집(500)에 단열재(400)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콘크리트(800) 타설 전까지 바람이나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한 단열재(4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단열재(400)와 외측 거푸집(500)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800) 타설시 외측 거푸집(500)이 압력에 버티는 힘이 강화되어 외측 거푸집(500)의 철판(530) 두께를 줄여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철판(530)이 없는 외측 거푸집(500)의 제1구조재(510) 하부(511)와 단열재(400)에 설치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사이에 지지대(540)를 설치하여 외측 거푸집(500)의 제1구조재(510) 하부(511)가 바람이나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하여 단열재(400)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는 구조 강도가 높고 단열재(400)와 동시에 사용하게 되므로 외벽을 좀더 얇게 시공할 수 있어 건축물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거푸집(500, 510) 설치시 가공 단계에서 천공된 단열재(400)에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를 설치하므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의 수평이나 수직 배열을 수정 없이 사용 가능하고,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설치와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와 건축용 외장 패널(900) 결합 공정을 단순화하여 시공 기간 단축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400)와 결합된 거푸집(500, 560)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900) 설치방법에 따라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를 설치하는 경우 드릴로 건축물의 외벽을 뚫어 앵커 볼트를 박을 때 발생하는 건축물의 외벽 손상과 건축물 외벽의 구조적 안전성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 다리부(300)의 하단부인 고정부(360)가 콘크리트(800) 타설시 매설되고, 결합구(600)의 일부가 매설되어 건축용 외장 패널(900)과 건축물 외벽 결합의 구조적 안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단열재(400)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800)를 타설함으로써 단열재(400)와 콘크리트(800) 외벽 사이의 공간을 좁히고, 거푸집을 제거한 후 단열재(400)의 틈새를 단열재(400)로 충진하여 건축물 내외부의 열교 차단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지상에서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100)를 단열재(400)와 결합한 후에 이를 외측 거푸집(500)에 결합하므로 고공에 있는 거푸집 작업발판(550) 위에서의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공사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들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실시예는 일체에서 함께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의 일부 구성들만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200 : 패널 지지부
210 : 사각판 220 : 홀
230 : 제1모서리 240 : 제2모서리
250 : 엣지부 300 : 다리부
310 : 제1결합부 320 : 제2결합부
340 : 다리부의 측면 모서리 347 : 고정부의 측면 모서리
350 : 직선형 351 : 반원 형상의 홀
352 : 톱니 형상 353 : 원 형상의 홀
360 : 고정부 361 : 고정부의 끝단
400 : 단열재
500 : 외측 거푸집 540 : 지지대
560 : 내측 거푸집 600 : 결합구
700 : 결합핀 800 : 콘크리트
900 : 건축용 외장 패널 1000 : 스프링 장치
1100 : 삽입부 1200 : 끝단

Claims (10)

  1.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외측 거푸집을 건축물의 시공된 바닥 부분으로부터 이격시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외측 거푸집의 내측에, 단열재가 결합되어 있는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와 이격되도록 내측 거푸집을 상기 외측 거푸집의 내측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측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및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이전에 사용되는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외면에 상기 건축용 외장 패널이 고정되며, 제1모서리 및 상기 제1모서리와 직교하는 제2모서리를 포함하는 패널 지지부; 및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는 단열재 지지부 및 상기 외벽에 삽입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1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의 단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단부는 직교하며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끝단은 상기 패널 지지부와 평행한 직선형이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측 거푸집 사이에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사각판의 네 엣지부와 결합하는 4개의 다리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다리부의 측면 모서리에 오목부가 위치하는 요철을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후크 형상이거나 상기 고정부의 측면 모서리에 오목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직선 형태이며,
    상기 고정부는 원 또는 반원 형상의 홀이나 톱니 형상을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거푸집을 고정하는 체결구와 결합하는 홀을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22984A 2015-08-31 2015-08-31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KR101624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84A KR101624166B1 (ko) 2015-08-31 2015-08-31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84A KR101624166B1 (ko) 2015-08-31 2015-08-31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595A Division KR101564932B1 (ko) 2015-04-30 2015-04-30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및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166B1 true KR101624166B1 (ko) 2016-05-25

Family

ID=5611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984A KR101624166B1 (ko) 2015-08-31 2015-08-31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1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125B1 (ko) * 2011-04-12 2011-08-11 김승묵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
KR101515937B1 (ko) * 2014-12-12 2015-05-04 백승웅 말발굽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의 판넬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125B1 (ko) * 2011-04-12 2011-08-11 김승묵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
KR101515937B1 (ko) * 2014-12-12 2015-05-04 백승웅 말발굽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의 판넬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719B1 (ko)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KR102045614B1 (ko)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KR101125549B1 (ko)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84782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및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
US10273698B2 (en) Connector for form boards and system for cast construction
KR101244981B1 (ko)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US20120073230A1 (en) Pre-engineered brick panel and methods of making and installing same
JP6301587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KR20180047905A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 및 그 고정구의 제작방법
KR200478374Y1 (ko) 외장재 고정 브라켓 및 건축 외장 벽체
KR102100751B1 (ko) 건축물 상에 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한 막대형 외장재 고정 장치
KR101606439B1 (ko)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용 스페이서
JP2010150871A (ja) 型枠兼用外断熱材の化粧板取付工法と外壁取付用掛止め部材
KR101624166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
KR101564932B1 (ko)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및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
JP2010065453A (ja) 基礎ブロック、基礎ブロック連結治具及び基礎
KR20160148415A (ko) 전도방지장치가 구비된 휨모멘트 전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JP6026794B2 (ja) 鉄骨柱の柱脚構造
KR101656270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에서의 단열재 결합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KR20100119949A (ko)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가진 기설기둥의 내진 보강장치, 내진 보강구조 및 내진 보강방법
KR101532690B1 (ko) 내진보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KR101618805B1 (ko) 기존 건축물에의 부착력 향상을 통하여 단열성능 및 구조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리모델링 방법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EP3219869B1 (en) Fastener and wall element of building
KR101842239B1 (ko) 내진강도가 향상되는 비탈형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