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517B1 - 물티슈 적층체 - Google Patents

물티슈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517B1
KR101623517B1 KR1020150180125A KR20150180125A KR101623517B1 KR 101623517 B1 KR101623517 B1 KR 101623517B1 KR 1020150180125 A KR1020150180125 A KR 1020150180125A KR 20150180125 A KR20150180125 A KR 20150180125A KR 101623517 B1 KR101623517 B1 KR 10162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issue
folded surface
folded
folding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국
Original Assignee
이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경 filed Critical 이현경
Priority to KR102015018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4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napkins, handkerchiefs, towels, doili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행하는 물티슈와 후행하는 물티슈의 접촉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1번의 인출 동작으로 1장의 물티슈만이 인출될 뿐만 아니라 후행하는 물티슈가 적정하게 돌출되기 때문에 물티슈의 사용이 편리하고, 물티슈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하는 물티슈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행하는 물티슈 인출 시 후행하는 물티슈의 일부가 포장체의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적층된 물티슈 적층체에 있어서, 물티슈는 단변과 평행한 제 1, 제 2, 및 제 3 절곡선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절힘면을 가지며, 제 4 접힘면은 제 3 접힘선을 기준으로 제 3 접힘면의 상부 측으로 접히고, 제 2 접힘면는 제 2 접힘선을 기준으로 제 3 접힘면의 하부 측으로 접히며, 제 1 접힘면은 제 1 접힘선을 기준으로 제 2 접힘면의 하부 측으로 접히되, 홀수번째의 물티슈와 짝수번째의 물티슈는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면서 후행하는 상기 물티슈의 제 4 접힘면 및 제 4 접힘면과 이어지는 제 3 접힙면의 일부분이 직전하는 물티슈의 제 2 접힘면과 제 3 접힘면 사이에 끼워져 적층된다.

Description

물티슈 적층체{WET TISSUE LAMINATE}
본 발명은 물티슈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티슈의 사용 시 후행하는 물티슈가 적정하게 노출되게 하는 물티슈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포대형 포장체 속에 밀봉되어 수용되며, 포장체에는 물티슈를 순차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개구부는 물티슈 미사용 시 또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물티슈의 습윤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덮개에 의해 밀봉된다.
그리고 포장체 내에 수용된 물티슈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선행하는 물티슈를 개구부를 통해 인출할 때 후행하는 물티슈의 일부분이 개구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서로 적층된 적층체의 형태로 포장체 내에 수용된다.
즉, 선행하는 물티슈를 개구부로 통해 인출시키면, 후행하는 물티슈는 선행하는 물티슈와 겹쳐진 부분의 마찰력에 의해 선행하는 물티슈를 따라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다.
그런데, 종래 물티슈는 선행하는 물티슈 인출 시 후행하는 물티슈 2~3장이 같이 인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후행하는 물티슈가 과도하게 노출되기 때문에 개구부를 덮개로 밀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도하게 노출된 물티슈를 사용자가 직접 말거나 또는 손으로 접어서 다시 포장체 내로 밀어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0140810 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35185 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선행하는 물티슈와 후행하는 물티슈의 접촉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1번의 인출 동작으로 1장의 물티슈만이 인출될 뿐만 아니라 후행하는 물티슈가 적정하게 돌출되기 때문에 물티슈의 사용이 편리하고, 물티슈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하는 물티슈 적층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선행하는 물티슈와 후행하는 물티슈의 접촉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물티슈들이 적층된 적층체의 양측면 부분이이 단단하여 적층체의 파지감이 우수한 물티슈 적층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적정"이란 개구부로 노출된 후행 물티슈의 일부분을 사용자가 직접 말거나 또는 손으로 접어서 다시 포장체 내로 밀어 넣지 않아도 후행 물티슈의 노출된 일부분이 덮개에 의해 덮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행하는 물티슈 인출 시 후행하는 물티슈의 일부가 포장체의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적층된 물티슈 적층체에 있어서, 물티슈는 단변과 평행한 제 1, 제 2, 및 제 접힘선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절힘면을 가지고, 제 4 접힘면은 제 3 접힘선을 기준으로 제 3 접힘면의 상부 측으로 접히고, 제 2 접힘면는 제 2 접힘선을 기준으로 제 3 접힘면의 하부 측으로 접히며, 제 1 접힘면은 제 1 접힘선을 기준으로 제 2 접힘면의 하부 측으로 접히며, 홀수번째의 물티슈와 짝수번째의 물티슈는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면서 후행하는 상기 물티슈의 제 4 접힘면 및 제 4 접힘면과 이어지는 제 3 접힙면의 일부분이 직전하는 물티슈의 제 2 접힘면과 제 3 접힘면 사이에 끼워져 적층되되, 제 1 접힘면 및 제 4 접힘면은 190~200㎜의 길이를 가지는 물티슈의 장변의 길이 에 대하여 0.15~0.185 비율 사이의 폭 길이를 가지며, 제 2 접힘면은 장변의 길이에 대하여 0.175~0.237 비율 사이의 폭 길이를 가지고, 제 3 접힘면은 장변의 길이에 대하여 0.43~0.47 비율 사이의 폭 길이를 가지며, 적층체 형성 시, 후행하는 물티슈의 제 3 접힘면은 직전하는 물티슈의 제 2 접힘면과 14~16㎜의 길이로 중첩되게 끼워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행하는 물티슈와 후행하는 물티슈의 접촉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1번의 인출 동작으로 1장의 물티슈만이 인출될 뿐만 아니라 후행하는 물티슈가 개구부 외측으로 적정하게 노출되기 때문에 물티슈의 사용이 편리하고, 물티슈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티슈들이 적층된 적층체의 양측면을 단단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파지감이 우수한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제를 형성하는 물티슈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티슈가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적층제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200)는 다수의 물티슈(100)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200)를 형성하는 물티슈(100)들은 선행하는 물티슈(100) 인출 시 후행하는 물티슈(100)의 일부가 적정하게 포장체(도시되지 않음)의 개구부(도시되지 않음)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적층되어 형성된다.
물티슈(100)는 마주하는 2개의 단변(S1, S2)과 서로 마주하는 단변(S1, S2)의 단부를 연결하는 2개의 장변(L1, L2)으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시트(sheet) 형상을 가진다.
또한, 물티슈(100)는 제 1, 제 2, 및 제 3 접힘선(F1, F2, F3)과, 제 1, 제 2, 및 제 3 접힘선(F1, F2, F3)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접힘면(P1, P2, P3, P4)을 포함한다.
제 1, 제 2, 제 3 접힘선(F1, F2, F3)은 단변(S1, S2)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면서 어느 하나의 단변(S1)에서부터 또 다른 단변(S2) 측으로 순차적이게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접힘면(P1, P2, P3, P4)도 어느 하나의 단변(S1)에서부터 또 다른 단변(S2) 측으로 순차적이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힘면(P1)은 어느 하나의 단변(S1)과 제 1 접힘선(F1) 사이에 형성되고, 제 2 접힘면(P2)은 제 1 접힘선(F1)과 제 2 접힘선(F2)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접힘면(P3)은 제 2 접힘선(F2)과 제 3 접힘선(F3) 사이에 형성되며, 제 4 접힘면(P4)은 제 3 접힘선(F3)과 또 다른 단변(S2)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물티슈(100)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접힘면(P1, P2, P3, P4)은 제 1, 제 2, 및 제 3 접힘선(F1, F2, F3)에 의해 접철되는데, 제 4 접힘면(P4)은 제 3 접힘선(F3)을 기준으로 제 3 접힘면(P3)의 상부 측으로 접히고, 제 2 접힘면(P2)는 제 2 접힘선(F2)을 기준으로 제 3 접힘면(P3)의 하부 측으로 접히며, 제 1 접힘면(P1)은 제 1 접힘선(F1)을 기준으로 제 2 접힘면(P2)의 하부 측으로 접힌다.
한편, 물티슈(100)의 장변(L1, L2)은 190~200㎜의 길이(ℓ)를 가지는데, 이때 제 1 접힘면(P1) 및 제 4 접힘면(P4)은 장변(L1, L2)의 길이(ℓ)에 대하여 0.15~0.185 비율 사이의 폭 길이(ℓ1, ℓ4)를 가지고, 제 2 접힘면(P2)은 장변(L1, L2)의 길이(ℓ)에 대하여 0.175~0.237 비율 사이의 폭 길이(ℓ2)를 가지며, 제 3 접힘면(P3)은 장변(L1, L2)의 길이(ℓ)에 대하여 0.43~0.47 비율 사이의 폭 길이(ℓ1, ℓ4)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예컨대, 물티슈(100)의 장변(L1, L2)의 길이(ℓ)가 195㎜일 경우, 제 1 및 제 4 접힘면(P1, P4)은 35㎜의 폭의 길이(ℓ1, ℓ4)를, 제 2 접힘면(P2)은 40㎜의 폭의 길이(ℓ2)를, 그리고 제 3 접힘면(P3)은 85㎜의 폭의 길이(ℓ3)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접힘면(P1)의 폭의 길이(ℓ1)가 0.15 미만이면 물티슈(100)들 적층 시, 즉 물티슈 적층체(200; 도 3 참조) 형성 시 제 1 접힘면(P1)의 길이가 짧아 적층체(200)의 양측면을 단단하게 형성할 수 없으며, 제 1 접힘면(P1)의 폭의 길이(ℓ1)가 0.185을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제 2 접힘면(P2)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적층체(200) 형성 시 후행하는 물티슈(100)와의 접촉 면적이 너무 좁기 때문에 후행하는 물티슈(100)가 선행하는 물티슈(100)를 따라 포장체(도시되지 않음)의 개구부(도시되지 않음)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 2 접힘면(P2)의 폭의 길이(ℓ2)가 0.175 미만이면 제 2 접힘면(P2)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후행하는 물티슈(100)와의 접촉면적이 너무 좁게 되며, 제 2 접힘선(P2)의 폭의 길이(ℓ2)가 0.237을 초과하면 후행하는 물티슈(100)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후행하는 물티슈(100)가 포장체(도시되지 않음)의 개구부(도시되지 않음) 외측으로 과도하게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제 3 접힘선(P3)의 폭의 길이(ℓ3)가 0.43 미만이면 적층체(200) 형성 시 적층제(200)의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파지감이 떨어지며, 제 3 접힘선(P3)의 폭의 길이(ℓ3)가 0.47을 초과하면 적층체(200)의 폭이 너무 넓어지기 때문에 파지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포장체의 크기가 커진다.
마지막으로, 제 4 접힘선(P4)의 폭의 길이(ℓ4)가 0.15 미만이면 적층체(200) 형성 시 적층체(200)의 중앙부분이 함몰되기 때문에 적층체(200)가 평탄하게 적층되지 못하고, 제 4 접힘선(P4)의 폭의 길이(ℓ4)가 0.185를 초과하게 되면 선행하는 물티슈(100)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후행하는 물티슈(100)가 포장체(도시되지 않음)의 개구부(도시되지 않음) 외측으로 과도하게 노출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물티슈(100)는 적층체(200) 형성 시 홀수번째 적층되는 물티슈(100)와 짝수번째 적층되는 물티슈(100)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상태 하에서 후행하는 물티슈(100)의 제 4 접힘면(P4) 및 제 4 접힘면(P4)과 이어지는 제 3 접힙면(P3)의 일부가 직전하는 물티슈(100)의 제 2 접힘면(P2)과 제 3 접힘면(P3) 사이에 끼워지도록 적층된다.
이때, 직전하는 물티슈(100)의 제 2 접힘면(P2) 및 제 3 접힘면(P3) 사이에 끼워지는 후행하는 물티슈(100)의 제 3 접힘면(P3)은 직전하는 물티슈(100)의 제 2 접힘면(P2)과 14~16㎜의 범위 이내의 중첩길이(W)로 중첩되게 끼워진다.
여기서 후행하는 물티슈(100)의 제 3 접힘면(P3)이 직전하는 물티슈(100)의 제 2 접힘면(P2)에 14㎜ 미만으로 중첩되면 접촉 면적이 너무 좁기 때문에 후행하는 물티슈(100)가 선행하는 물티슈(100)를 따라 포장체(도시되지 않음)의 개구부(도시되지 않음)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후행하는 물티슈(100)의 제 3 접힘면(P3)이 직전하는 물티슈(100)의 제 2 접힘면(P2)에 16㎜를 초과하여 중첩되면 접촉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후행하는 물티슈(100)가 포장체(도시되지 않음)의 개구부(도시되지 않음) 외측으로 과도하게 노출되게 된다.
한편, 물티슈(100)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종이, 또는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물티슈(100)의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물티슈(100)는 물 또는 액체 약품이 함침될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로 제조되더라도 무방하다.
[실시예]
<물티슈 및 적층체의 제조>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에 소재한 본 출원인의 공장에서 동일한 물티슈 제조기를 이용한 동일한 방법 및 동일한 재질의 물티슈를 제조한 후, 제조된 물티슈를 접철하고, 접철된 물티슈들을 적층시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적층체들의 외관과, 선행하는 물티슈 인출 시 후행하는 물티슈의 노출 길이를 평가하였다.
하기의 표 1에서 적층체 "A"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충족하는 물티슈 및 이들이 적층된 적층체(본 발명)이며, 적층체 "B"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벗어나는 물티슈이다.
Figure 112015123375977-pat00001
(ℓ: 물티슈의 장변의 길이, ℓ1: 제 1 접힘면의 폭의 길이, ℓ2: 제 2 접힘면의 폭의 길이, ℓ3: 제 3 접힘면의 폭의 길이, ℓ4: 제 4 접힘면의 폭의 길이, W: 선행하는 물티슈와 후행하는 물티슈의 중첩 길이)
그리고 하기의 표 2는 적층체 "A" 및 적층체 "B"를 촬영한 사진이다.
A B
Figure 112015123375977-pat00002
Figure 112015123375977-pat00003
<적층체의 외관 평가>
적층체의 외관 평가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충족하는 적층체 "A"는 적층체의 양측면 부분이 단단하게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벗어난 적층체 "B"는 적층체의 양측면 부분이 단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하부 측으로 처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를 충족하는 적층체는 단단한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적층체 파지 시 안정감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선행하는 물티슈 인출 시 후행하는 물티슈의 노출 길이를 평가>
상기 적층체 "A" 및 상기 적층체 "B"를 동일한 규격 및 동일한 개구부를 가지는 포장체에 포장한 후, 3회 연속으로 선행하는 물티슈를 인출한 후 개구부로 노출된 후행하는 물티슈의 길이를 평가하였다.
회차 A B
1회
Figure 112015123375977-pat00004
Figure 112015123375977-pat00005
2회
Figure 112015123375977-pat00006
Figure 112015123375977-pat00007
3회
Figure 112015123375977-pat00008
Figure 112015123375977-pat00009
평가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충족하는 적층체 "A"는 선행하는 물티슈 인출 시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후행하는 물티슈의 길이가 적정하게 노출되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 없이 개구부 덮개를 이용해 개구부를 덮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벗어난 적층체 "B"는 선행하는 물티슈 인출 시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후행하는 물티슈의 길이가 과도하게 노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접힘 구조 및 이들이 적층된 적층체에 의하면, 선행하는 물티슈와 후행하는 물티슈의 접촉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1번의 인출 동작으로 1장의 물티슈만이 인출될 뿐만 아니라 후행하는 물티슈가 적정하게 노출되기 때문에 물티슈의 사용이 편리하고, 물티슈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티슈들이 적층된 적층체의 양측면을 단단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파지감이 우수한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물티슈 접힘 구조 및 이들이 적층된 적층체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물티슈 200 : 적층체
F1 : 제 1 접힘선 F2 : 제 2 접힘선
F3 : 제 3 접힘선 P1 : 제 1 접힘면
P2 : 제 2 접힘면 P3 : 제 3 접힘면
P4 : 제 4 접힘면

Claims (3)

  1. 선행하는 물티슈 인출 시 후행하는 물티슈의 일부가 포장체의 개구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적층된 물티슈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물티슈는 단변과 평행한 제 1, 제 2, 및 제 3 접힘선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절힘면을 가지고, 상기 제 4 접힘면은 상기 제 3 접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접힘면의 상부 측으로 접히고, 상기 제 2 접힘면는 상기 제 2 접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접힘면의 하부 측으로 접히며, 상기 제 1 접힘면은 상기 제 1 접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접힘면의 하부 측으로 접히며, 홀수번째의 상기 물티슈와 짝수번째의 상기 물티슈는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면서 후행하는 상기 물티슈의 상기 제 4 접힘면 및 상기 제 4 접힘면과 이어지는 상기 제 3 접힙면의 일부분이 직전하는 상기 물티슈의 상기 제 2 접힘면과 상기 제 3 접힘면 사이에 끼워져 적층되되, 상기 제 1 접힘면 및 상기 제 4 접힘면은 190~200㎜의 길이를 가지는 상기 물티슈의 장변의 길이 에 대하여 0.15~0.185 비율 사이의 폭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 2 접힘면은 장변의 길이에 대하여 0.175~0.237 비율 사이의 폭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 3 접힘면은 장변의 길이에 대하여 0.43~0.47 비율 사이의 폭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적층체 형성 시, 후행하는 상기 물티슈의 상기 제 3 접힘면은 직전하는 상기 물티슈의 제 2 접힘면과 14~16㎜의 길이로 중첩되게 끼워지는 물티슈 적층체.
  2. 삭제
  3. 삭제
KR1020150180125A 2015-12-16 2015-12-16 물티슈 적층체 KR101623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125A KR101623517B1 (ko) 2015-12-16 2015-12-16 물티슈 적층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125A KR101623517B1 (ko) 2015-12-16 2015-12-16 물티슈 적층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517B1 true KR101623517B1 (ko) 2016-05-24

Family

ID=5611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125A KR101623517B1 (ko) 2015-12-16 2015-12-16 물티슈 적층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5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383A (ja) 1997-05-23 2003-02-12 Procter & Gamble Co:The 複数のウェットワイプのための折り重ね及び積み重ね構造
JP2009028448A (ja) * 2007-07-30 2009-02-12 Fukuyoo:Kk 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連続取出し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383A (ja) 1997-05-23 2003-02-12 Procter & Gamble Co:The 複数のウェットワイプのための折り重ね及び積み重ね構造
JP2009028448A (ja) * 2007-07-30 2009-02-12 Fukuyoo:Kk 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連続取出し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152B2 (en) Wet tissue package, manufacturing method of wet tissue package and manufacturing device of wet tissue package
JP3730105B2 (ja) シート包装体
JP5577133B2 (ja) ポケットティッシュ
JP2002085289A (ja) シート積層体
CN101983027B (zh) 片材层叠体和片材收容装置
JP3730030B2 (ja) ウェットシートの積層体
KR101623517B1 (ko) 물티슈 적층체
CN107438385A (zh) 用于分配器中的多个互连的擦拭物
US6730012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sheet stack
CN107280559B (zh) 抽取式折叠纸巾及抽纸用品
CA2668993A1 (en) Paper sheet, in particular a napkin
KR101040330B1 (ko) 시트 적층체
US6745917B2 (en) Sheet package
KR200484545Y1 (ko) 물티슈 포장체
JP2011218015A (ja) ウェットワイプス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ウェットワイプス
US8393496B2 (en) Stack of sheets and sheet container
CN104814695B (zh) 家庭用薄纸、压花加工装置以及家庭用薄纸的制造方法
KR102034987B1 (ko) 상자접기 판재부를 구비한 치킨박스
AU2019100849A4 (en) Stacked fiber products
JP2003135305A (ja) 二回v折りウェブ積層体及びその包装体
JP2637053B2 (ja) 連続取出しに供する多重腰折紙の形成装置
JP7198462B1 (ja) 整形トイレットペーパ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2904Y1 (ko) 절첩식 휴대용 화장지
CN207792288U (zh) 床品内衬折叠器
FI64051C (fi) Saett att tillverka en fiberproduk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