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264B1 -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264B1
KR101623264B1 KR1020140107522A KR20140107522A KR101623264B1 KR 101623264 B1 KR101623264 B1 KR 101623264B1 KR 1020140107522 A KR1020140107522 A KR 1020140107522A KR 20140107522 A KR20140107522 A KR 20140107522A KR 101623264 B1 KR101623264 B1 KR 10162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trip
reel
inclination angl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414A (ko
Inventor
신재석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0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2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압연기가 구비된 가역식 압연 장치에 설치되고, 제2릴에서 권출되는 스트립을 안내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로서, 상기 압연기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2릴과 제1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릴에서 권출되는 스트립의 이동을 지지하며, 제어에 따라 스트립의 정 방향 이동방향으로 가변적인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브릿지, 상기 제1릴과 상기 압연기 사이에 설치되어 스트립의 이동을 지지하며, 제어에 따라 스트립의 역 방향 이동방향으로 가변적인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브릿지 및 상기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은 정 방향 이동하여 상기 압연기에서 패스 압연된 후 역 방향 이동하여 상기 제1릴에 권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립이 상기 제1릴에 권취될 시 상기 제1브릿지와 상기 제2브릿지가 제1릴의 중심부와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APPARATUS FOR GUIDING STRIP}
본 발명은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간 압연공정의 가역식 압연기 설비에서 릴과 릴간의 자연스러운 통판을 유도하기 위한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 냉연공장 가역식 압연기를 사용하는 CRM설비는 20단 가역식 Cluster Mill로서 상하 각각 10개의 크고 작은 롤 구성되어 소둔 처리된 열간코일을 냉간 압연하는 설비이다. CRM 설비에 적용되는 냉간 압연방식은 가역식 압연방식으로 양 방향에 설치된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을 감아주는 릴이 있으며 중간에는 냉간 압연하는 압연기가 설치되어 있어 양향으로 5~6회 가역 하면서 압연을 한다. 압연시 스트립에 작용되는 압연 하중이 최대 1000TON의 힘을 가하여 압연작업을 한다. CRM 라인 프로세스는 페이오프 릴에서 1차로 압연기를 중심으로 통판하여 왼쪽 릴에서 권취하여 냉간압연 작업을 시작한다. 1차 패스로 작업한 후에는 오른쪽 릴에서 권취하여 왼쪽 방향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진행 하면서 2차 패스 압연 작업을 한다. 이러한 공정을 5~6회 거치면서 가역식으로 압연 하면서 최종 두께의 원하는 강판을 가공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CRM설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스테인리스 냉연 공장의 냉간 압연공정인 가역식 압연기를 사용하는 CRM 설비에 있어서, 페이오프 릴(10)에서 압연기(20) 방향으로 1차 패스 작업을 위한 통판 작업시 A구간 및 B구간에서 스트립(30)을 통판시켜 주는 장치가 없어 작업자가 치공구를 이용하여 스트립(30)을 압연기 방향으로 진행 시키기 위한 통판 작업으로 하고 있었다. 또한 A구간 및 B구간은 2차 압연 패스 작업시 권취되는 코일 외경의 폭 때문에 일정구간 통판을 위한 장치가 설치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코일 형태의 스트립을 직선방향으로 통판 시키기 위한 작업 중 스트립(30)이 하부 방향으로 자주 끼임 현상이 발생되어 치공구를 이용하여 진행을 도와 주는 역할을 하였던 바, 이 경우 생산성 저하와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내포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어왔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5-0020176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릴과 릴 사이에서 스트립의 끼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공구에 의한 조작 없이도 자연스럽게 스트립이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릴의 권취시에도 릴의 외경변화를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는 압연기가 구비된 가역식 압연 장치에 설치되고, 제2릴에서 권출되는 스트립을 안내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로서, 상기 압연기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2릴과 제1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릴에서 권출되는 스트립의 이동을 지지하며, 제어에 따라 스트립의 정 방향 이동방향으로 가변적인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브릿지, 상기 제1릴과 상기 압연기 사이에 설치되어 스트립의 이동을 지지하며, 제어에 따라 스트립의 역 방향 이동방향으로 가변적인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브릿지 및 상기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은 정 방향 이동하여 상기 압연기에서 패스 압연된 후 역 방향 이동하여 상기 제1릴에 권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립이 상기 제1릴에 권취될 시 상기 제1브릿지와 상기 제2브릿지가 제1릴의 중심부와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어부는 스트립이 정 방향 이동할 때, 스트립이 제1릴과 제2브릿지의 상방을 지나가도록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1브릿지는 제2릴 측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1브릿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타단부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브릿지의 경사각을 가변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릿지는 압연기 측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2브릿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타단부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브릿지의 경사각을 가변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신장 또는 압축되는 실린더일 수 있다.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 사이에는 스트립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스트립의 정 방향 이동 시 스트립이 감지되는 경우 스트립이 제2브릿지의 상방을 지나갈 수 있도록 제어부가 제2브릿지의 경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2브릿지가 스트립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감지센서는 제1릴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가상의 선을 그었을 때 가상의 선을 지나는 스트립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감지센서의 스트립 감지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브릿지가 스트립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이 제2릴에서 역 방향 이동할 때, 상기 스트립 감지센서의 스트립 감지 전까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브릿지의 제1릴 측 단부가 제1릴의 최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1브릿지의 경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가 제1릴과 이루는 거리는 스트립이 제1릴에 권취될 시의 최대 반경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에 따르면, 스트립의 이동시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자연스러운 스트립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스트립의 권취에 따른 일정한 거리 유지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권취에 어려움이 없게 되어 생산성 향상과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의 구성도.
도 4는 내지 도 6은 스트립이 제2릴에서 압연기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본 발명의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내지 도 6은 스트립이 제2릴에서 압연기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본 발명의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릴과 연동되어 이동하는 스트립(100)의 통판을 안내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에 있어서, 제1릴(120)과 제2릴(110) 사이에서 스트립(100)의 이동을 지지하며, 제어에 따라 스트립(100)의 정 방향 이동방향으로 가변적인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브릿지(200); 스트립(100)의 이동을 지지하며, 제어에 따라 스트립(100)의 역 방향 이동방향으로 가변적인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브릿지(300); 및 상기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제2릴(110)에서 제1릴(120)로 정 방향 이동하고, 상기 제2브릿지(300)는 상기 제1릴(120)의 정 방향 측에 위치할 수 있는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는 압연기(130)가 구비된 가역식 압연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압연기(130)의 일측에 상기 제1릴(120)과 제2릴(110)이 순차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브릿지(300)는 상기 압연기(130)와 제1릴(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스트립(100)이 정 방향 이동할 때, 스트립(100)이 제1릴(120)과 제2브릿지(300)의 상방을 지나가도록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각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트립(100)은 스트립(100)이 압연기(130)에서 제1릴(120) 방향으로 역 방향 이동할 시 제1릴(120)에 권취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500)는 스트립이 제1릴(120)에 권취될 시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가 제1릴(120)의 외주면과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의 경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100)의 정 방향 또는 역 방향 이동 여부는 제2릴(110)과 제1릴(120)의 구동여부 내지는 회전 방향 등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위치 센서등을 통해 스트립(100)의 이동을 검출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역식 압연 장치에서 스트립(100)이 제2릴(110)에서 타측릴로 이동한 뒤 다시 타측릴에서 제1릴(120)로 이동하여 제1릴(120)에 권취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제2릴(110)과 타측릴 사이에 스트립(100)이 다수 회 왕복한 뒤 특정 시점에서 타측릴에서 제1릴(120)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는 상기 가역식 압연 장치 외에도 다양한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브릿지(200)는 스트립(100)의 이동을 지지하고 제2릴(110) 측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1브릿지(200)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타단부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브릿지(200)의 경사각을 가변시키는 제1구동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브릿지(300)는 스트립(100)의 이동을 지지하고 압연기(130) 측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1브릿지(200)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타단부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브릿지(200)의 경사각을 가변시키는 제2구동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210)와 제2구동부(31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신장 또는 압축되는 실린더가 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링크와 모터를 이용한 구동, 또는 제1브릿지(200) 또는 제2브릿지(30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제1브릿지(200) 또는 제2브릿지(300)을 직접 회전시키는 모터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구동부(210) 및 제2구동부(310)의 구현에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브릿지(200) 및 제2브릿지(300)의 일단부는 지면 또는 별도로 구비된 고정부재에 힌지 결합 되어 자유회동 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1구동부(210)와 제2구동부(310) 또한 지면 또는 별도로 구비된 다른 고정부재에 힌지 결합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브릿지(300)의 일단부는 별도의 링크(320)를 매개로 지면 또는 다른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제2브릿지(300)의 회전 자유도를 높이기 위함이며, 제1브릿지(200)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브릿지(200)과 제2브릿지(300)는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프레임 지지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브릿지(300)의 타단에는 스트립(100)의 단부가 제1브릿지(200)를 지나 제2브릿지(300)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롤러(330)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 사이에는 스트립 감지센서(400)가 더 구비되고, 스트립(100)이 제2릴(110)에서 압연기(130) 방향으로 이동할 시 스트립(100)이 감지될 경우 스트립(100)이 제2브릿지(300)의 상면을 따라 지나갈 수 있도록 제어부(500)가 제2브릿지(300)의 경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 제어는 스트립(100)을 구성하는 재료의 속성 및 성질에 의한 스트립(100)의 거동에 따라 다양하게 실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데, 제1브릿지(200)에서 넘어온 스트립(100)이 제2브릿지(300)로 들어오는 각도가 크게 절곡되어 들어온다면, 스트립(100)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브릿지(300)의 경사각은 낮아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어느 상황에서도 스트립(100)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500)는 제2브릿지(300)가 스트립(100)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경사각을 가지게 제2구동부(310)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트립(100)의 이동방향이라 함은 제2릴(110)에서 압연기(130) 방향 또는 그 역방향이 될 수 있다. 예컨데 스트립(100)이 지면과 평행하게 제2릴(110)에서 압연기(130) 방향으로 이동한다면 상기 제2브릿지(300) 또한 지면과 평행하게, 다시 말해 경사각이 0 또는 0에 인접하게 되도록 제2구동부(310)를 제어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반드시 제2브릿지(300)가 0의 경사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2릴(110)에서 압연기 방향 또는 그 역방향이 지면과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있다면, 그에 따라 경사각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외부 조작, 예컨데 작업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 수동적으로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스트립(100)의 절곡각에 맞춰서 경사각이 변화 되도록 조작 할 수도 있고, 상기 스트립 감지센서(400)를 비롯한 다수개의 센서를 더 구비하여 스트립(100)이 제1릴(120)에 들어올 때의 가변적인 이동경로에 따라 스트립(100)이 안정적으로 제1릴(120)에 수용되도록 제1구동부(210)와 제2구동부(310)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에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물론, 이는 제2릴(110)에 스트립(100)이 수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감지센서(400)는 레이저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2브릿지(30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스트립(100)이 제2릴(110)에서 압연기(130) 방향으로 이동시 제2브릿지(300)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제어부(500)가 판단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트립 감지센서(400)는 제1릴(120)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가상의 선(410)을 그었을 때 가상의 선을 지나는 스트립(100)을 감지하도록 설정되어 제2브릿지(300)로 유입되는 스트립(100)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트립(100)이 제2릴(110)에서 압연기(130)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트립 감지센서(400)의 스트립(100) 감지 전까지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브릿지(200)의 제1릴(120) 측 단부, 즉 제2브릿지(300)의 타단부가 제1릴(120)의 최상단 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1브릿지(200)의 경사각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통해 스트립(100)의 단부가 제1브릿지(200)를 통과할 때는 제1릴(12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고 제1릴(120)의 하방으로 말려 내려가는 일 없이 제2브릿지(300)에 안착되어 자연스럽게 제1릴(120)을 넘어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브릿지(200)의 경사각은 상기 스트립(100)이 제1브릿지(200)와 제1릴(120)을 넘어 제2브릿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각이 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는 스트립(100)의 금속 특성에 의해 제1브릿지(200)를 넘은 후 얼마나 크게 절곡이 되는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다수회의 실험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립 감지센서(400)의 스트립(100) 감지 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브릿지(200)가 스트립(100)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제1구동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스트립 감지센서(400)에 스트립(100)이 감지되는 경우, 스트립(100)의 단부가 제2브릿지(300)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스트립(100)의 단부가 더 이상 제1릴(120)의 하방을 향하는 일이 없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릴(110)에서 풀려나오는 스트립(100)이 제2릴(110)에서 압연기(130)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제1브릿지(200)의 경사각을 스트립(100)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예컨데 스트립(100)이 제2릴(110)에서 압연기(130) 방향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이동한다면 경사각이 0 또는 0에 인접하게 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스트립(100)이 압연기(130)에서 제1릴(120)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릴(120)에 권취될 시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가 제1릴(120)의 중심부와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제1구동부(210)와 제2구동부(310)를 제어하여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의 경사각을 설정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가 제1릴(120)과 이루는 거리는 스트립(100)이 제1릴(120)에 권취될 시의 최대 반경 이상이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가 제1릴(120)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기 때문에 제1릴(120)이 권취되면서 점점 외경이 증가하더라도 제1브릿지(200) 또는 제2브릿지(300)가 제1릴(120)의 외경에 접하여 걸리는 일이 없으며, 안정적인 권취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가 제1릴(120)의 중앙부와 이루는 거리는 미리 설정된 거리값이 됨이 바람직하지만,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릴(120)의 외경과 제1브릿지(200)가 이루는 거리를 검출하는 센서와 제1릴(120)의 외경과 제2브릿지(300)가 이루는 거리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제1릴(120)의 외경과 이루는 거리에 따라 가변적으로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의 경사각이 변화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는 내지 도 6은 스트립이 정방향 이동할 때, 본 발명의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00)이 제2릴(110)로부터 풀려나오면 상기 제1브릿지(200)의 타단부는 상방으로 상승하여 경사를 이루게 되고 스트립(100)은 제1릴(120)의 상방을 넘어 제2브릿지(300)를 향하게 된다.
이때, 스트립(100)의 접근을 감지한 스트립 감지센서(400)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부(310)가 작동하여 제2브릿지(300)가 스트립(100)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경사를 이루게 되며, 스트립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릴(120)의 하방으로 빠지는 일 없이 제2브릿지(300)의 상면을 타고 다음 릴 또는 압연기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이 때 제1브릿지(200) 또한 스트립(100)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경사를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가 제1릴(120)의 양측에 마련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제1브릿지(200)와 제2브릿지(300)가 압연기(130)의 일측에 복수개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제2릴(110)과 제1릴(120)에 더불어 압연기(130)의 타측에 제1타측릴과 제2타측릴이 마련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릴의 개수는 더 많을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1브릿지(200) 및 제2브릿지(300)의 수도 변화될 수 있다. 여기에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에 따르면, 스트립의 정방향 이동시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자연스러운 스트립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스트립의 역방향 이동시에도 스트립의 권취에 따른 일정한 거리 유지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권취에 어려움이 없게 되어 생산성 향상과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스트립 110 : 제2릴
120 : 제1릴 130 : 압연기
200 : 제1브릿지 210 : 제1구동부
300 : 제2브릿지 310 : 제2구동부
320 : 링크 330 : 롤러
400 : 스트립 감지센서

Claims (14)

  1. 압연기가 구비된 가역식 압연 장치에 설치되고, 제2릴에서 권출되는 스트립을 안내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로서,
    상기 압연기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2릴과 제1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릴에서 권출되는 스트립의 이동을 지지하며, 제어에 따라 스트립의 정 방향 이동방향으로 가변적인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브릿지;
    상기 제1릴과 상기 압연기 사이에 설치되어 스트립의 이동을 지지하며, 제어에 따라 스트립의 역 방향 이동방향으로 가변적인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브릿지; 및
    상기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은 정 방향 이동하여 상기 압연기에서 패스 압연된 후 역 방향 이동하여 상기 제1릴에 권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립이 상기 제1릴에 권취될 시 상기 제1브릿지와 상기 제2브릿지가 제1릴의 중심부와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트립이 정 방향 이동할 때, 스트립이 제1릴과 제2브릿지의 상방을 지나가도록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릿지는 제2릴 측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1브릿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타단부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브릿지의 경사각을 가변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브릿지는 압연기 측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2브릿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타단부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브릿지의 경사각을 가변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신장 또는 압축되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 사이에는 스트립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스트립의 정 방향 이동 시 스트립이 감지되는 경우 스트립이 제2브릿지의 상방을 지나갈 수 있도록 제어부가 제2브릿지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브릿지가 스트립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감지센서는 제1릴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가상의 선을 그었을 때 가상의 선을 지나는 스트립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감지센서의 스트립 감지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브릿지가 스트립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이 제2릴에서 역 방향 이동할 때, 상기 스트립 감지센서의 스트립 감지 전까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브릿지의 제1릴 측 단부가 제1릴의 최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1브릿지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가 제1릴과 이루는 거리는 스트립이 제1릴에 권취될 시의 최대 반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KR1020140107522A 2014-08-19 2014-08-19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KR10162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522A KR101623264B1 (ko) 2014-08-19 2014-08-19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522A KR101623264B1 (ko) 2014-08-19 2014-08-19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414A KR20160022414A (ko) 2016-03-02
KR101623264B1 true KR101623264B1 (ko) 2016-05-23

Family

ID=5558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522A KR101623264B1 (ko) 2014-08-19 2014-08-19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2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1223A (ja) * 2009-03-19 2010-10-07 Jfe Steel Corp サイドガイ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924B1 (ko) 2003-08-21 2010-03-24 주식회사 포스코 피딩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1223A (ja) * 2009-03-19 2010-10-07 Jfe Steel Corp サイドガ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414A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2760B2 (en) Cut-to-length steel coil processing line with stretcher leveler and temper mill
KR101687476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용 와이어 공급장치
KR101331173B1 (ko) 슬리팅 라인을 위한 브레이킹 캐리지 장치
JP4677186B2 (ja) 高温の金属から成る熱間圧延された粗ストリップの巻取り及び巻戻しをするための装置
CN104144754A (zh) 用于卷绕材料幅面的方法和装置
JP4736752B2 (ja) 熱延ダウンコイラーの段差回避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23264B1 (ko) 스트립 통판 안내장치
KR101530786B1 (ko) 코일 누름장치
KR101551287B1 (ko) 스트립의 스크래치 방지장치
KR101758494B1 (ko) 스트립 권취 장치
CN106475425B (zh) 一种带钢在线表面质量检查设备以及检查方法
JP5623794B2 (ja) 巻線用線材のバックテンション付与装置及びそのバックテンション付与方法
KR102521374B1 (ko) 스크랩 투입장치
US3422649A (en) Automatic threading device for rolling mills
JP6619241B2 (ja) コイル材通板装置、およびコイル材通板方法
JP7080795B2 (ja) 圧延機の蛇行検出装置および圧延機の蛇行検出方法
CN107587340B (zh) 一种提布跟踪装置及花边切割系统
KR101896192B1 (ko) 스트립의 가변식 홀딩이 가능한 슬리팅 라인용 리와인더
KR100760568B1 (ko) 스트립의 권취위치 조정장치
US9669441B2 (en) Segmented breaker roll apparatus and method
KR20110120135A (ko) 불량소재 처리장치 및 방법
JP6636027B2 (ja) エンドレス圧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316158B1 (ko) 권취기
JP2004167597A (ja) ルーパキャリッジの懸吊装置
JPH0531532A (ja) ストリツプの巻取制御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