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115B1 -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115B1
KR101623115B1 KR1020150161202A KR20150161202A KR101623115B1 KR 101623115 B1 KR101623115 B1 KR 101623115B1 KR 1020150161202 A KR1020150161202 A KR 1020150161202A KR 20150161202 A KR20150161202 A KR 20150161202A KR 101623115 B1 KR101623115 B1 KR 101623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ing
flange
joint member
j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배
Original Assignee
엠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티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엠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5016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선체 배기계통의 연결과 열전달을 방지하는 분야에 특화된 구성으로, 배기파이프를 연결시키는 구성요소들을 이격시켜 상호 간의 접촉을 차단하면서도 수밀이 가능한 구조를 구현하여 선체에서 사람이 이동하는 공간의 격벽으로 열이 전달되는 원천적인 문제 해결 및 수밀성능의 신뢰성 확보할 수 있는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선체의 배기계통을 연결하기 위한 격벽의 오프닝에 설치되어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며. 격벽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페네트레이션 피스(penetration piece) 에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고정이음부재; 상기 고정이음부재의 내부에 구비되어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며 둘레에 링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연결파이프; 상기 링플레이트 상에 구비되는 패킹; 및, 상기 고정이음부재 상에 설치되어 조여짐에 따라 패킹을 링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이음부재로부터 연결파이프를 이격 고정시킴과 더불어 고정이음부재와의 이격공간에 수밀구조를 형성 가능케 하는 잭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이음부재는 상기 오프닝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1 고정파이프, 상기 제1 고정파이프 상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1 고정플랜지, 상기 제1 고정파이프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파이프, 상기 제2 고정파이프 하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제1 고정플랜지와 결합되는 제2 고정플랜지 및, 상기 제2 고정파이프 상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3 고정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파이프는 상기 제2 고정파이프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며, 둘레에 상기 링플레이트가 설치되되 상기 제3 고정플랜지의 하부 측에 해당되는 둘레에 설치되는 상부관체, 상기 상부관체 하단부에서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게끔 형성되는 콘 리듀싱부 및, 상기 콘 리듀싱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잭킹부재는 상기 제3 고정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잭킹플랜지 및, 상기 잭킹플랜지의 내주를 따라 설치되되 상기 잭킹플랜지와 제3 고정플랜지가 조여짐에 따라 패킹을 가압할 수 있게끔 설치되는 가압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 {Penetration piece assembly for exhaust gas piping system of ship}
본 발명은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엔진 등의 기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선내 가스파이프를 통하여 연돌(funnel)까지 배출시키기 위해 선체에 설치되는 배기계통의 배기파이프를 연결함에 있어서, 격벽을 관통하여 배기파이프 사이를 연결시키는 열차단용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는 엔진 등의 기관들이 구동됨에 따라 고온의 배기가스가 발생되며, 배기가스는 선체의 배기계통을 통해 연돌(funnel)로 배출된다.
이러한 배기계통은 다수의 배기파이프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선체 구조상 배기파이프들은 기관실로부터 연돌까지 사람이 이동하는 공간의 수밀격벽(water tight bulkhead), 횡방향 격벽, 종방향 격벽 및 데크 등의 격벽을 여러 번 통과하여 연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격벽에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배기계통의 연결을 위해 오프닝이 형성되며, 오프닝 상에는 배기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열차단용 페네트레이션 피스(penetration piece)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페네트레이션 피스는 배기가스와 동반되는 고온의 열이 격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격벽의 오프닝에 조립 설치된다.
종래의 페네트레이션 피스의 조립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파이프(3)와 연결되는 연결파이프(10)의 외면에 용접 고정되는 카운터플랜지(20)와, 데크(5)에 용접 고정되는 파이프 타입의 수직플랜지(30) 및, 카운터플랜지(20)와 수직플랜지(30) 사이를 연결하는 진동차단수단(40)으로 이루어지며, 진동차단수단(40)은 카운터플랜지(20)와 수직플랜지(30) 사이 곳곳에 다수의 가스켓과 열전달을 방지하는 진동차단부재(50)가 구비되며 이를 볼팅 체결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파이프의 외면에 용접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 플레이트(30)와, 데크(1)에 용접 고정되는 고정배럴(20) 및, 고정 플랜지 플레이트(30)와 고정배럴(20)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 플랜지 플레이트(40)로 이루어지며, 연결 플랜지 플레이트(40)는 고정 플랜지 플레이트(30)와 고정배럴(20) 사이에 설치되되 각 연결부위에 다수의 가스켓이 구비되며 각 연결부위를 볼팅 체결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열전달 방지효과를 향샹시키기 위해 가스켓류를 사용하는데, 특히 진동차단부재(50)는 폼스톤으로 이루어져 그 가격대가 선박에 설치되는 장비들의 가격과 맞먹는 정도의 매우 고가에 형성되어 있어 비용적인 면에서 상당히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비용 문제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상기의 종래기술들이 금속간의 열전달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구조라는 점이다. 즉 종래기술들의 구성요소 간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오프닝을 통과하는 파이프와 데크에 각각에 용접되며, 오프닝을 통과하는 파이프와 데크 사이사이에 다수개의 부재가 나누어져 배치된다 한들, 결국에는 볼트 체결 방식으로 상호 간에 결합됨에 따라 금속 간의 접촉면 발생에 따른 열전달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오프닝을 통과하는 파이프가 용접을 통해 연결되는 구성은 오프닝이 수밀격벽에 형성되는 경우 용접부의 누설 유무를 테스트하기 위한 까다로운 절차를 통과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 및, 파이프가 용접되면서 변형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선체 배기계통의 연결과 열전달을 방지하는 분야에 특화되어 상기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8943호 (출원일자: 2014. 04. 10) "선박용 배기가스 파이프의 열전달 방지 결속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3564호 (출원일자: 2010. 10. 18) "선박용 배기가스 파이프의 열전달 및 진동 차단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체 배기계통의 연결과 열전달을 방지하는 분야에 특화된 구성으로, 배기파이프를 연결시키는 구성요소들을 이격시켜 상호 간의 접촉을 차단하면서도 수밀이 가능한 구조를 구현하여 선체 격벽으로 열이 전달되는 원천적인 문제 해결 및 수밀성능의 신뢰성 확보할 수 있는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더욱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온의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는, 선체의 배기계통을 연결하기 위한 격벽의 오프닝에 설치되어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며. 격벽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페네트레이션 피스(penetration piece) 에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고정이음부재; 상기 고정이음부재의 내부에 구비되어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며 둘레에 링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연결파이프; 상기 링플레이트 상에 구비되는 패킹; 및, 상기 고정이음부재 상에 설치되어 조여짐에 따라 패킹을 링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이음부재로부터 연결파이프를 이격 고정시킴과 더불어 고정이음부재와의 이격공간에 수밀구조를 형성 가능케 하는 잭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이음부재는 상기 오프닝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1 고정파이프, 상기 제1 고정파이프 상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1 고정플랜지, 상기 제1 고정파이프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파이프, 상기 제2 고정파이프 하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제1 고정플랜지와 결합되는 제2 고정플랜지 및, 상기 제2 고정파이프 상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3 고정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파이프는 상기 제2 고정파이프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며, 둘레에 상기 링플레이트가 설치되되 상기 제3 고정플랜지의 하부 측에 해당되는 둘레에 설치되는 상부관체, 상기 상부관체 하단부에서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게끔 형성되는 콘 리듀싱부 및, 상기 콘 리듀싱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잭킹부재는 상기 제3 고정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잭킹플랜지 및, 상기 잭킹플랜지의 내주를 따라 설치되되 상기 잭킹플랜지와 제3 고정플랜지가 조여짐에 따라 패킹을 가압할 수 있게끔 설치되는 가압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배기파이프를 연결시키는 구성요소들을 이격시켜 상호 간의 접촉을 차단하여 선체 격벽으로 열이 전달되는 원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선체의 격벽으로 열이 전달되어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열전달 방지를 위한 고가의 가스켓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비용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함께 수밀격벽 상에 연결파이프가 설치되는 경우 수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연결파이프의 리듀싱 구조에 의해 배기가스의 유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부수적으로 배기파이프를 연결시키는 구성요소들을 이격시켜 상호 간의 접촉을 차단하고 배기가스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연결파이프 주위에 잔존하는 열들을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를 측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도 3에 도시된 "A"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B"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의 설치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선박의 엔진 등의 기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연돌(funnel)을 통하여 배출시키기 위해 선체에 설치되는 배기계통의 배기파이프를 연결함에 있어서, 사람이 이동하는 공간의 격벽을 관통하여 배기파이프 사이를 연결시키는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설치되는 제반환경은 다음과 같다. 선체 배기계통은 다수의 배기파이프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선체 구조상 배기파이프들은 기관실로부터 연돌까지 수밀격벽(water tight bulkhead), 횡방향 격벽, 종방향 격벽 및 데크 등의 격벽을 여러 번 통과하여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격벽에는 배기계통의 연결을 위해 오프닝이 형성되며, 오프닝 상에는 배기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어셈블리는 배기가스와 동반되는 고온의 열이 격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 및 수밀격벽의 경우 수밀이 가능한 구조로 격벽의 오프닝에 조립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환경에 특화된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임을 주지하여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상기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는 고정이음부재(100), 연결파이프(300), 패킹(500) 및 잭킹부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이음부재(100)는 연결파이프(300)의 외부를 감쌀 수 있는 구조로 격벽의 오프닝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파이프(300)는 고정이음부재(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 측과 하부 측에 위치하는 배기파이프를 연결시키게 되며 둘레에는 플렉시블(flexible) 재질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킹(500)이 놓여지게 되는 링플레이트(340)가 설치된다. 이와 함께 잭킹부재(700)는 고정이음부재(100) 상에 설치되어 조여짐에 따라 패킹(500)을 링플레이트(340)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이음부재(100)로부터 연결파이프(300)를 이격 고정시킴과 더불어 고정이음부재(100)와의 이격공간에 수밀구조를 형성 가능케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결합관계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이음부재(100)는 제1 고정파이프(110), 제1 고정플랜지(120), 제2 고정파이프(140), 제2 고정플랜지(130) 및 제3 고정플랜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고정파이프(110)는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격벽의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게끔 그 하부측이 격벽의 오프닝 둘레를 따라 용접 설치되며, 상기 제1 고정플랜지(120)는 내주면이 제1 고정파이프(110)의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용접 설치되어 파이프 이음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파이프(140)는 제1 고정파이프(11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플랜지(130)는 내주면이 제2 고정파이프(140)의 하부 측의 둘레를 따라 용접 설치되며 제1 고정플랜지(120)와 볼트 체결된다. 상기 제1 고정플랜지(120)와 제2 고정플랜지(130) 각각에는 상호 대응되는 개소에 각각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 상호 간의 볼트 체결을 가능케 하고, 각각의 볼트 체결부위 및 제1 고정플랜지(120)와 제2 고정플랜지(130)의 접촉면에는 수밀, 진동 저감등의 다양한 효과를 위한 가스켓이 구비된다. 상기 제3 고정플랜지(150)는 내주면이 제2 고정파이프(140)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용접 설치되어 파이프 이음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파이프(300)는 상부관체(310), 콘 리듀싱부(320) 및 하부관체(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관체(310)는 제2 고정파이프(14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둘레에 링플레이트(340)가 용접 설치되되 링플레이트(340)의 설치 위치는 제3 고정플랜지(150)의 하부 측에 해당되는 상부관체(310)의 둘레에 설치되어 가압되는 패킹(50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 리듀싱부(320)는 상부관체(310)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게끔 형성되며, 상기 하부관체(330)는 콘 리듀싱부(320)의 하단부에서 하부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배기가스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파이프(300)를 살펴보면 하부 방향 측의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는 하부관체(330)에서 시작하여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져 배기가스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키게 되는 콘 리듀싱부(320)를 거쳐 상부 방향 측의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는 상부관체(310)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연결파이프(300)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잭킹부재(700)는 잭킹플랜지(710) 및 가압파이프(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잭킹플랜지(710)는 제3 고정플랜지(15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파이프(720)는 내주를 따라 용접 설치되되 잭킹플랜지(710)와 제3 고정플랜지(150)가 조여짐에 따라 패킹(500)을 가압할 수 있게끔 설치된다. 즉 가압파이프(720)는 패킹(500)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기 위해 잭킹플랜지(710)의 상부가 잭킹플랜지(710)의 내주를 따라 용접 설치되어 잭킹플랜지(710)가 수직 하방으로 이동(조여짐)되면 가압파이프(720)의 하단부가 패킹(500)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잭킹플랜지(710)와 제3 고정플랜지(150)의 접촉면에는 가스켓이 구비되고, 잭킹플랜지(710)의 하부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볼트조임홈이 다수개가 형성되며 제3 고정플랜지(150)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볼트조임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조임홀이 형성되어 볼트로 조여짐에 따라 가압파이프(720)가 패킹(500)을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는 배기파이프를 연결시키는 연결파이프(300)와 고정이음부재(100)를 이격시켜 상호 간의 접촉을 차단하여 선체 격벽으로 열이 전달되는 원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선체의 격벽으로 열이 전달되어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있게 된다. 그리고 열전달 방지를 위한 고가의 가스켓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비용절감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수밀격벽 상에 연결파이프(300)가 설치되는 경우 종래의 용접 설치보다 상대적으로 패킹(500)에 의해 연결파이프(300)가 지지 고정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과 수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파이프(300)가 용접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결파이프(300)는 패킹(500)에 가압되어 고정되어 지기 전까지 어떠한 수단에 의해 지지되고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한 도면들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300)의 하부관체(330)와 제1 고정파이프(110)에는 임시지지부재(9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임지지지부재(900)는 지지플레이트(920) 및 임시플레이트(9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플레이트(920)는 하부관체(330)의 외주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임시플레이트(910)는 지지플레이트(920)와 각각의 단부가 상호 볼트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고정파이프(110)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임시지지부재(900)는 연결파이프(300)의 고정이 완료된 이후 제거 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선체 배기계통의 연결 및 열전달을 방지하는 분야에 특화된 구성으로, 배기파이프를 연결시키는 구성요소들을 이격시켜 상호 간의 접촉을 차단하면서도 수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정이음부재
110: 제1 고정파이프
120: 제1 고정플랜지
130: 제2 고정플랜지
140: 제2 고정파이프
150: 제3 고정플랜지
300: 연결 파이프
310: 상부관체
320: 콘 리듀싱부
330: 하부관체
500: 패킹
700: 잭킹부재
710: 잭킹플랜지
720: 가압파이프

Claims (4)

  1. 고온의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선체 배기계통을 연결하기 위한 격벽의 오프닝에 설치되어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며. 격벽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페네트레이션 피스(penetration piece) 에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고정이음부재;
    상기 고정이음부재의 내부에 구비되어 배기파이프와 연결되며 둘레에 링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연결파이프;
    상기 링플레이트 상에 구비되는 패킹; 및,
    상기 고정이음부재 상에 설치되어 조여짐에 따라 패킹을 링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이음부재로부터 연결파이프를 이격 고정시킴과 더불어 고정이음부재와의 이격공간에 수밀구조를 형성 가능케 하는 잭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이음부재는,
    상기 오프닝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1 고정파이프,
    상기 제1 고정파이프 상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1 고정플랜지,
    상기 제1 고정파이프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파이프,
    상기 제2 고정파이프 하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제1 고정플랜지와 결합되는 제2 고정플랜지 및,
    상기 제2 고정파이프 상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3 고정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파이프는,
    상기 제2 고정파이프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며, 둘레에 상기 링플레이트가 설치되되 상기 제3 고정플랜지의 하부 측에 해당되는 둘레에 설치되는 상부관체,
    상기 상부관체 하단부에서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게끔 형성되는 콘 리듀싱부 및,
    상기 콘 리듀싱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잭킹부재는,
    상기 제3 고정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잭킹플랜지 및,
    상기 잭킹플랜지의 내주를 따라 설치되되 상기 잭킹플랜지와 제3 고정플랜지가 조여짐에 따라 패킹을 가압할 수 있게끔 설치되는 가압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61202A 2015-11-17 2015-11-17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 KR101623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202A KR101623115B1 (ko) 2015-11-17 2015-11-17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202A KR101623115B1 (ko) 2015-11-17 2015-11-17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115B1 true KR101623115B1 (ko) 2016-05-20

Family

ID=56103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202A KR101623115B1 (ko) 2015-11-17 2015-11-17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1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0133A (zh) * 2017-06-09 2017-09-08 中航鼎衡造船有限公司 一种沥青船货物管路穿舱密封装置
IT202000010432A1 (it) * 2020-05-08 2021-11-08 Luciano Lombardi Dispositivo per la gestione in sicurezza di scarichi naval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564B1 (ko) * 2010-10-18 2012-01-06 (주) 한성티엔에스이 선박용 배기가스 파이프의 열전달 및 진동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564B1 (ko) * 2010-10-18 2012-01-06 (주) 한성티엔에스이 선박용 배기가스 파이프의 열전달 및 진동 차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0133A (zh) * 2017-06-09 2017-09-08 中航鼎衡造船有限公司 一种沥青船货物管路穿舱密封装置
IT202000010432A1 (it) * 2020-05-08 2021-11-08 Luciano Lombardi Dispositivo per la gestione in sicurezza di scarichi naval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4260A (en) Pipe repair fittings
JP6190683B2 (ja) 壁貫通配管のシール装置
JP7273804B2 (ja) ボートのパイプの管路用の安全装置
EP3735549B1 (en) Pipe coupling capsulation assembly with retaining elements
KR101623115B1 (ko)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
US20160178104A1 (en) Pipe assembly comprising a draining system
KR101448943B1 (ko) 선박용 배기가스 파이프의 열전달 방지 결속장치
EP0964196B1 (en) Water-tight, fire-resistant bulkhead passages or bridges
WO2018000539A1 (zh) 无人船载管线连接器
US4000921A (en) Tubular clamping and sealing coupler
KR20190135819A (ko)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
US9598181B2 (en) Device for fastening a fluid transport circuit to an element of the structure of an aircraft and related aircraft
JP6964879B2 (ja) 漏洩補修構造及び漏洩補修具
CN111350881A (zh) 一种水密穿舱组件和安装方法
WO2020048462A1 (zh) 法兰连接装置
US7661718B2 (en) Means for fire protection of pipe joints and valves in pipelines
KR101449428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2305130B1 (ko) 그루브드 파이프 커플링장치
US10364929B2 (en) Pipe coupling encapsulation assembly
JP2019183894A (ja) 配管継手構造
US9771852B2 (en) Exhaust pipe flange
RU117557U1 (ru) Ограничитель разрывов трубопровода в местах его неподвижной фиксации
US3433507A (en) Split t
RU172205U1 (ru) Муфта для ремонта подвод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JP6100739B2 (ja) 可撓継手の止水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