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602B1 -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602B1
KR101622602B1 KR1020090015457A KR20090015457A KR101622602B1 KR 101622602 B1 KR101622602 B1 KR 101622602B1 KR 1020090015457 A KR1020090015457 A KR 1020090015457A KR 20090015457 A KR20090015457 A KR 20090015457A KR 101622602 B1 KR101622602 B1 KR 10162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me bar
dew
refrigerator
preve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542A (ko
Inventor
채수남
이윤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6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구비되는 홈바와, 이 홈바에 구비되어 홈바의 표면에 이슬맺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냉기 누설을 억제할 수 있고 이슬맺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냉장고, 냉각실, 도어, 홈바, 이슬맺힘, 이슬맺힘방지부재

Description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DEWFALL PREVENTING MEMBER}
본 발명은,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슬맺힘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식품(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들과, 상기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는 도어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물 및/또는 얼음을 인출할 수 있게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는 도어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식품을 인출 또는 수납할 수 있게 홈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바는, 냉장고의 도어에 결합되고 일 측에 개구가 형성된 홈바케이스와, 상기 홈바케이스의 개구를 개폐하는 홈바도어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홈바케이스와 상기 홈바도어 사이에는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홈바케이스의 표면에 이슬맺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 히터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전력 소비가 증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전기 히터의 열은 냉장고 본체의 고내, 즉, 냉동실 또는 냉장실의 내부로 유입되어 고내 온도를 높이게 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기 누설을 억제할 수 있고 이슬맺힘을 방지할 수 있는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은, 도어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냉각실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홈바; 및 상기 홈바에 구비되어 상기 홈바의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홈바는,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개구가 형성되는 홈바케이스; 및 상기 홈바케이스의 개구를 개폐하는 홈바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는 상기 홈바케이스 및 상기 홈바도어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는 접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홈바케이스 및 상기 홈바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바케이스 및 상기 홈바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가 안착될 수 있게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 및 도어와, 상기 홈바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홈바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는 상기 냉장고 본체 및 도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더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는 섬유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는 기모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는, 지지층과, 상기 지지층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모 또는 실을 구비한 모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층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층은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층은 재질 및 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복수의 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은 상기 홈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층은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바에 이슬맺힘이 방지되게 하는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이슬맺힘 방지를 위해 설치 되는 히터의 용량을 줄이거나 히터의 동작(사용)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냉기 누설 차단 성능이 제고되므로, 냉기 누설 차단을 위해 홈바 케이스 및 홈바 도어의 테두리 간의 상호 접촉 길이(거리)를 줄일 수 있어, 홈바 케이스 및 홈바 도어의 구성이 단순하게 되고 제작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 및/또는 도어에 이슬맺힘 방지부재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냉기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기 누설을 위해 설치되는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의 자석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자석 사용량의 저감에 따라 냉장고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홈바영역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홈바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이슬맺힘 방지부재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2의 이슬맺힘방지부재의 변형례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각실(120,130)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110)와, 상기 냉각실(120,130)을 개폐하는 도어(125,135)와, 상기 도어(135) 중 어느 하나(135)에 형성되는 홈바(140) 및 상기 홈바(140)에 구비되어 상기 홈바(140)의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 실(120,130)은 냉동실(120) 및 냉장실(130)을 총칭하는 말이고,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냉동실(120) 및 냉장실(130)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내부 상부영역에는 냉장실(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130)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실(1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한 쌍의 냉장실도어(1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저부에는 상기 냉동실(120)을 개폐할 수 있게 냉동실도어(125)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25)는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냉동실(120)을 개폐하는 서랍형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35) 중 어느 하나에는 냉장실도어(135)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물 또는 얼음을 인출할 수 있게 디스펜서(1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35) 중 다른 하나에는 냉장실도어(135)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식품을 수납 또는 인출할 수 있게 홈바(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바(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전면이 개구된 수용공간(142)을 형성하며 상기 냉장실도어(135)에 결합되는 홈바케이스(141)와,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홈바도어(15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홈바케이스(141) 및 상기 홈바도어(151)는 상기 홈바케이스(141)와 상기 홈바도어(151)의 상호 접촉영역을 통해 냉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폭이 단계적으로 감소된 계단 단면 형상의 단턱부(143,153)가 각각 형성될 수 있 다. 이에 의해 냉기 누설 경로가 연장되어 냉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개구영역에는 상기 홈바도어(151)의 닫힘 시 상기 홈바도어(151)와 접촉되어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홈바도어가스켓(14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개구영역에는 냉기 누설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어 맺히게 되는 소위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히터(electric heater)(1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147)는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개구영역을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수분이 응결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슬맺힘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홈바케이스(141)와 상기 홈바도어(151)의 상호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는 이슬맺힘방지부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띠 형상을 가지는 지지층(161)과, 상기 지지층(161)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층(161)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모, 털 또는 실(이하, "모"로 표기함)를 구비한 모층(16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들은 가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조밀하게 배치되어,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모층(165) 외부의 공기와 접촉 또는 열교환이 억제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기 홈바케이스(141) 및 상기 홈바도어(151)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어 상기 홈바(140)의 냉기와 상대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실내의 공기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홈바케이스(141)에 이슬맺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는 상기 홈바(140)의 내부 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상기 히터(147)의 발열용량을 저감하거나, 히터(147)의 동작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는 단열 보온 성능이 우수한 섬유부재(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부재는 일 면에 기모처리하여 미세한 모층(미도시)이 형성된 기모직물(예를 들면, 플란넬. 벨벳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는 폴리 프로필렌(수지 또는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161)은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층(171)과, 서로 다른 재질로 모(177,178)들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층(171)의 폭방향을 따라 모(177,178)들이 복수의 겹(176a,176b,176c)을 이루는 모층(175)을 구비하게 이슬맺힘방지부재(17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모(177,178)들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냉기 누설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모(177,178)의 겹(176a,176b,176c)의 수는 2겹, 3겹 또는 다수의 겹으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177,178)들은 서로 다른 굵기(각 모의 직경)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177,178)들은 식별의 편의를 위해 성기게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매우 조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홈바도어(151)를 닫으면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의 각 모들은 선단이 상기 홈바도어(151)의 내면에 접촉되어 상대적으로 온 도 및 습도가 높은 실내 공기와 홈바(140) 내부의 냉기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슬맺힘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히터(147)의 사용을 배제하거나, 상기 히터(147)의 발열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용량의 히터(147)를 사용할 경우 동작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히터(147)의 사용 저감으로 히터(147)의 열이 홈바(140)의 내부 유입에 기인한 홈바(140)의 내부 온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홈바영역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각실(120,130)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110)와, 상기 냉각실(120,130)을 개폐하는 도어(125,135)와, 상기 도어(125,135) 중 어느 하나(135)에 형성되는 홈바(140) 및 상기 홈바(140)에 구비되어 상기 홈바(140)의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홈바(140)는, 도어(135)에 결합되고 내부에 전면이 개구된 수용공간(142)을 형성하는 홈바케이스(141)와,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개구를 개폐하는 홈바도어(151)를 구비한다.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개구영역에는 냉기 누설을 억제할 수 있게 홈바도어가스켓(145)이 구비되며, 홈바케이스(141)의 내측에는 이슬맺힘이 방지될 수 있게 홈바케이스(141)의 개구영역을 가열하는 히터(1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바도어(151)에는 홈바(140)의 냉기와 상대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실내 공기가 상호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홈바(140)에 이슬맺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는, 지지층(161)과, 상기 지지층(161)에서 돌출된 다수의 모를 구비한 모층(16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는 상기 홈바도어(151)의 최외곽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실내 공기가 상기 홈바(1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홈바(140)에 이슬맺힘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는 상기 홈바도어(151)의 네 변부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바도어(151)에는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의 지지층(161)이 안착될 수 있게 안착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55)는 상기 홈바도어(151)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55)의 깊이는 상기 지지층(16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161)은 상기 안착부(155)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홈바도어(151)의 표면에는 상기 모층(165)만이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층(165)은 상기 홈바케이스(141)와 상기 홈바도어(151) 사이의 거리에 비해 더 긴 돌출길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길이는 상기 홈바도어(151)의 테두리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모들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에 의해 상기 각 모들의 선단이 상기 홈바케이스(141)와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홈바케이스(141)와 상기 홈바도어(151) 사이의 틈새가 더욱 확실하게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들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홈바도어(151)가 부드럽게 닫힐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홈바도어(151)를 닫으면,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의 각 모(167)들은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홈바케이스(141)와 상기 홈바도어(151)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실내공기가 상기 홈바케이스(141) 및 상기 홈바도어(151) 사이의 틈새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실내 공기와 홈바(140)의 냉기의 접촉에 의한 상기 홈바(140)의 이슬맺힘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히터(147)의 사용을 배제하거나, 상기 히터(147)의 발열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용량의 히터(147)를 사용할 경우 동작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히터(147)의 사용 저감으로 히터(147)의 열이 홈바(140)의 내부 유입에 기인한 홈바(140)의 내부 온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홈바영역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각실(120,130)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110)와, 상기 냉각 실(120,130)을 개폐하는 도어(125,135)와, 상기 도어(125,135) 중 어느 하나(135)에 형성되는 홈바(140) 및 상기 홈바(140)에 구비되어 상기 홈바(140)의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단턱부(143)에는 상기 홈바(140)의 내부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홈바도어가스켓(145)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단턱부(143)의 배면측에는 상기 홈바케이스(141)를 가열하여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표면에 이슬맺힘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히터(147)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바케이스(141)에는 상기 홈바(140)의 냉기와 상대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실내 공기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이슬맺힘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160)가 구비된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는, 지지층(161)과, 상기 지지층(161)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지지층(161)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모(167)에 의해 형성되는 모층(16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161)은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내측, 즉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바케이스(141)에는 상기 모(167)들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관통공(14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48)은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홈바도어(151)를 닫으면 상기 홈바케이스(141)로부터 돌출된 각 모(167)들은 상기 홈바도어(151)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상기 홈바 케이스(141)와 상기 홈바도어(151)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실내공기가 상기 홈바케이스(141) 및 홈바도어(151) 사이의 틈새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상기 홈바(140)의 냉기와 접촉 및 열교환이 곤란하게 되어 상기 홈바(140)의 표면에 이슬맺힘이 방지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홈바영역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도 9의 홈바도어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각실(120,130)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110)와, 상기 냉각실(120,130)을 개폐하는 도어(125,135)와, 상기 도어(125,135) 중 어느 하나(135)에 형성되는 홈바(140) 및 상기 홈바(140)에 구비되어 상기 홈바(140)의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단턱부(143)에는 상기 홈바(140)의 내부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는 홈바도어가스켓(145) 및 홈바케이스(141)를 가열하여 이슬맺힘 방지되게 하는 히터(147)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바도어(151)에는 상기 홈바(140)의 냉기와 상대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실내 공기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홈바케이스(141)의 이슬맺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160)가 구비된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는, 지지층(161)과, 상기 지지층(161)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지지층(161)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모(167)에 의해 형성되는 모층(16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홈바도어(151)에는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게 고정부(1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57)는,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의 지지층(161)이 수용되는 수용부(158)와, 상기 수용부(158)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돌기부(159)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58)는 상기 홈바도어(151)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58)는 상기 홈바도어(151)의 테두리를 따라 네 변부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159)는 상기 수용부(158)의 입구영역에서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58) 및 상기 돌기부(159) 간 거리는 상기 지지층(161)이 죔새를 가지고 삽입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층(161)은 상기 수용부(158)에 수용되고 양 측면부가 복수의 돌기부(159)에 의해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홈바도어(151)를 닫으면 상기 홈바도어(151)에서 돌출된 각 모(167)들은 홈바케이스(141)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홈바케이스(141)와 상기 홈바도어(151)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실내공기가 상기 홈바케이스(141) 및 홈바도어(151) 사이의 틈새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상기 홈바(140)의 냉기와 접촉 및 열교환이 곤란하게 되어 상기 홈바(140)의 표면에 이슬맺힘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지지층(161)의 일 단으로부터 차례로 당겨 지지층(161)의 고정부와 수용부 사이에 끼인 영역을 분리해 수용부(158)의 외부로 꺼내면 된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각실(220,230)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210)와, 상기 냉각실(220,230)을 개폐하는 도어(225,235)와, 상기 도어(225,235)에 형성되는 홈바(140) 및 상기 홈바(140)에 구비되어 상기 홈바(140)의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 본체(210)의 내부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냉동실(220) 및 냉장실(2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220) 및 냉장실(230)의 각 전면에는 냉동실(220) 및 냉장실(230)을 각각 개폐할 수 있게 냉동실도어(225) 및 냉장실도어(23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도어(235) 및 냉동실도어(225)에는 홈바(140)(냉동실홈바(140a) 및 냉장실홈바(140b))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바(140)는, 상기 냉장실도어(235) 및 냉동실도어(225)에 각각 결합되는 홈바케이스(141)와, 해당 홈바케이스(141)의 각 전면개구를 개폐하는 홈바도어(151)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들 냉동실홈바(140a) 및 냉장실홈바(140b)에는 상대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실내 공기와 이들 홈바(140a,140b) 내부의 냉기가 서로 접촉되어 홈바케이스(141)에 이슬맺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이슬맺힘방지부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는, 지지층(161)과, 지지층(161)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모를 가지는 모층(16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225) 및 냉장실도어(235)와 냉장고 본체(21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220) 및 냉장실(230)의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냉동실도어가스켓(227) 및 냉장실도어가스켓(237)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가스켓(227) 및 냉장실도어가스켓(237)은 상기 냉동실도어(225) 및 냉장실도어(235)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사각 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가스켓(227) 및 냉장실도어가스켓(237)은, 상기 냉동실(220) 및 냉장실(230)의 각 전면 개구의 테두리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고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도어가스켓(227) 및 냉장실도어가스켓(237)은 상기 냉동실도어(225) 및 냉장실도어(235)가 상기 냉장고본체(210)에 더욱 밀착될 수 있게 영구자석(성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냉동실도어 가스켓(227) 및 상기 냉장실도어가스켓(237)이 상기 냉장고 본체(210)에 자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호 간 틈새가 거의 발생하지 아니하게 되어 냉기누설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본체(210)의 전면에는 상대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실내공기와 상기 냉동실(220) 및 냉장실(230)의 냉기가 상호 접촉되어 열교환되면서 응축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210)에 이슬맺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냉매가스라인(238)이 배치된다. 상기 냉매가스라인(238)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매가스가 유동하게 되면 냉매가스의 열에 의해 상기 냉장고 본체(210)의 개구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이슬맺힘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225) 및 냉장실도어(235)에는 상대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실내 공기와 냉동실(220) 및 냉장실(230)의 냉기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이슬맺힘방지부재(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층(161)과, 상기지지층(161)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모를 구비한 모층(16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161)은 상기 냉동실도어(225) 및 냉장실도어(235)의 내부 테두리에 고정되고, 상기 모층(165)은 상기 냉장고 본체(210)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냉동실(220) 및 냉장실(230)로부터 누설된 냉기와 실내공기의 상호 접촉을 억제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각 도어(220,230)에 구비되는 이슬맺힘방지부재(160)는 상기 냉동실(220) 및 냉장실(230)의 냉기가 누설되어 실내 공기와 접촉되어 냉장고 본체(210)의 표면에 이슬맺힘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상기 냉동 실(220) 및 냉장실(230)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냉동실도어가스켓(227) 및 냉장실도어가스켓(237)에 사용되는 영구자석의 사용량을 저감하거나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도어가스켓(227,237)의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각 도어가스켓(227,237)의 자기력의 저감에 따라 냉동실도어(225) 및 냉장실도어(235)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 본체(210)의 전면에 배치되는 냉매가스라인(238)에 흐르는 냉매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매가스라인(238)에 의한 냉동실(220) 및 냉장실(230)의 고내 온도 상승을 그만큼 억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홈바영역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홈바케이스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이슬맺힘 방지부재의 확대도,
도 5는 도 2의 이슬맺힘방지부재의 변형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홈바영역의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홈바영역의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슬맺힘 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홈바영역의 부분단면도,
도 10은 도 도 9의 홈바도어의 부분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냉장고 본체 120 : 냉동실
125 : 냉동실도어 130 : 냉장실
135 : 냉장실도어 140 : 홈바
141 : 홈바케이스 143,153 : 단턱부
147 : 히터 160 : 이슬맺힘방지부재
161 : 지지층 165 : 모층
167 : 모

Claims (15)

  1. 냉각실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개구가 형성되는 홈바케이스 및 상기 홈바케이스의 개구를 개폐하는 홈바도어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홈바;
    상기 홈바케이스의 개구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홈바케이스의 개구영역을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
    상기 홈바케이스의 개구에 구비되고 상기 홈바도어의 닫힘 시 상기 홈바도어에 접촉되어 상기 홈바케이스 및 상기 홈바도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상기 홈바의 냉기 누설을 억제하는 홈바도어가스켓; 및
    상기 홈바케이스 및 상기 홈바도어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상기 홈바도어가스켓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홈바케이스 및 상기 홈바도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상기 홈바의 냉기와 외부 공기의 접촉을 억제하여 상기 홈바의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는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바케이스 및 상기 홈바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바케이스 및 상기 홈바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가 안착될 수 있게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 및 도어와, 상기 홈바는 각각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홈바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8. 전면이 개구된 냉각실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면 개구에 구비되고 냉매 가스가 유동하여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냉매가스라인;
    상기 냉장고 본체와 자기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영구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냉장고 본체와 상기 도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상기 냉각실의 냉기의 누설을 억제하는 도어가스켓; 및
    상기 냉장고 본체 및 도어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상기 도어가스켓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냉장고 본체와 상기 도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상기 냉각실의 냉기와 외부 공기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9.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 및 상기 냉장고본체와 도어 사이에 구비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는 섬유재질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 및 상기 냉장고본체와 도어 사이에 구비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는 기모직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맺힘방지부재 및 상기 냉장고본체와 도어 사이에 구비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는, 지지층과, 상기 지지층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모 또는 실을 구비한 모층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층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층은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 를 구비한 냉장고.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층은 재질 및 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복수의 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홈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층은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090015457A 2009-02-24 2009-02-24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22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457A KR101622602B1 (ko) 2009-02-24 2009-02-24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457A KR101622602B1 (ko) 2009-02-24 2009-02-24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542A KR20100096542A (ko) 2010-09-02
KR101622602B1 true KR101622602B1 (ko) 2016-05-20

Family

ID=4300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457A KR101622602B1 (ko) 2009-02-24 2009-02-24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9895B2 (en) 2022-02-10 2024-01-0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ion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2282B (zh) * 2011-11-30 2017-03-01 先正達合夥公司 含有螺雜環吡咯啶二酮的殺有害生物混合物
CN115355654B (zh) * 2022-08-18 2024-02-13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防凝露冰箱门体及冰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010Y1 (ko) 2001-03-06 2001-09-28 서영수 나무문짝의 틈새 막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010Y1 (ko) 2001-03-06 2001-09-28 서영수 나무문짝의 틈새 막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9895B2 (en) 2022-02-10 2024-01-0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io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542A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557B1 (ko) 제빙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1560147B1 (ko) 냉장고
JP4195263B2 (ja) 冷蔵庫用密閉装置
US20130014533A1 (en) Refrigerator
KR101622602B1 (ko) 이슬맺힘방지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US20070216272A1 (en) Refrigerator and sealing gasket therefor
JP2012083069A (ja) 冷蔵庫
TWI727629B (zh) 冰箱
US8464549B2 (en) Airway seal apparatus and method, and refrigerator apparatus using the seal
CN106996671B (zh) 冰箱
JP5773958B2 (ja) 冷凍冷蔵庫
JP2000154968A (ja) 冷蔵庫
JP6398076B2 (ja) 冷蔵庫
JP6439133B2 (ja) 冷蔵庫
WO2008120894A2 (en) Door seal for a refrigerator
JP5441518B2 (ja) 冷却ユニット
CN111829223A (zh) 冰箱
JP2019032158A (ja) 冷蔵庫
KR200344279Y1 (ko) 내측에 단차를 가지는 붙박이형 반찬 냉장고용 도어
JPH112485A (ja) 冷蔵庫
KR200344276Y1 (ko) 붙박이형 반찬 냉장고용 가스켓
JP2019158284A (ja) 冷蔵庫
KR101592564B1 (ko) 냉장고
KR101191501B1 (ko) 자석에 의한 냉장고도어 밀착구조
KR200157104Y1 (ko) 냉동고용 제상히터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