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533B1 - 기압식 노즐장치 - Google Patents

기압식 노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533B1
KR101622533B1 KR1020140029857A KR20140029857A KR101622533B1 KR 101622533 B1 KR101622533 B1 KR 101622533B1 KR 1020140029857 A KR1020140029857 A KR 1020140029857A KR 20140029857 A KR20140029857 A KR 20140029857A KR 101622533 B1 KR101622533 B1 KR 101622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rod
stopper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253A (ko
Inventor
야-트산 왕
Original Assignee
더진 (홍콩) 홀딩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진 (홍콩) 홀딩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더진 (홍콩) 홀딩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40029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53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5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Abstract

일종의 기압식 노즐장치로서 하나의 실린더를 포함하는데 그 내부에는 하나의 칸막이가 있고 칸막이의 가운데 위치에 뚫린 구멍이 있다. 실린더 내부에는 하나의 용납홈이 있으며 뚫린 구멍과 서로 연결된다. 용납홈 내에는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체크 밸브에는 역지봉이 있으며 뚫린 구멍 속에 끼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내에는 피스톤연결봉이 설치되어 있으며, 피스톤연결봉에는 스프링을 씌워 설치하였다. 실린더는 회전마개에 끼워 연결하고, 회전마개는 또 잠금마개와 연결되며 피스톤연결봉에 끼워 설치한다. 잠금마개 내에는 상압봉을 끼워 설치하고 상압봉은 잠금마개에 끼워 설치한 후 실린더와 접합된다. 상압봉내에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와 서로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상압봉은 압축헤드와 연결되며 또한 그와 서로 통한다. 압축헤드는 밖으로 뻗어 나간 노즐이다.

Description

기압식 노즐장치{atmospheric pressure nozzle device}
본 발명은 일종의 압축헤드장치에 관련되는데 액체용기병 입구에 설치한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는 액체형태의 상품은 용기설계에 있어서 모두 노즐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 노즐장치는 아래로 누르는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서 압력의 변화를 빌어 병속에 저장된 액체 흘러나오게 하며 조작이 간편하고 유출량이 고정적인 등 장점을 가지고 있어 액체용기의 액체를 뽑아내는데 광범히 응용되며 그 응용범위는 개인의 청결용품인 샴푸, 샤워 젤 혹은 주방, 욕실에서 사용하는 주방세제, 세척제 등을 포괄하고 있다. 그 압축헤드장치의 적용범위가 매우 광범하고 또한 다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업계에서 매우 광범하게 사용되는 기술의 하나로 되었다.
노즐장치의 구조형태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점차적인 연구개발을 통하여 새로운 돌파를 거두어 이미 많은 개선을 거두었지만 지금 흔히 알려지고 있는 구조의 설계를 놓고 말하면 아직도 문제와 결함이 존재한다. 도 1 의 흔히 알려지고 있는 구조단면도가 표시한 바와 같이 노즐장치(200)의 설계상에서 압축헤드(201)는 충돌 혹은 임의로 누를 때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그 압축헤드(201)를 아래로 눌러 아래쪽 병체(202)와 서로 단단히 잠그어진 상태를 이루게 한다. 그런데 압축헤드(201)은 아래로 누른 상태에 처해 있기에 흔히 알려져 있는 노즐장치(200)내의 피스톤(203)으로 하여금 열림 상태에 처하게 하여 액체통로(204)로 하여금 거침없이 통하게 하기에 운송과정에서 병체(202)가 부주의로 넘어진 상태에 처할 때 병체(202)내의 액체가 액체통로(204) 혹은 기타 틈새를 통하여 누출하게 된다.
이밖에 일반적인 노즐장치는 방수설계가 되어있지 않아 흔히 물이 연결 틈새로 스며들어 병속의 액체를 변질되게 하며 또한 일반적인 노즐장치는 아래로 눌러 사용한 후 압축헤드의 노즐 속에 일부 액체가 머물게 하기에 만약 도로 빨아들이는 기능이 없다면 통상적으로 노즐 속에 머물러 있는 액체는 지구인력의 영향을 받아 천천히 흘러나오게 된다. 이런 것은 모두 현재 설계된 노즐장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결함이다.
상술한 결함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종의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목적으로 하는데 그 장치에 체크 밸브를 설치하여 누르는 압력을 받은 후 바로 그 실린더를 밀봉하여 흘러나오는 것을 막는 기능을 형성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일종의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압축헤드가 제 위치로 돌아올 때 내부에 진공흡인력을 산생하여 노즐에 남아있는 잔류 액체를 회수시켜 밖으로 흐르지 않게 함으로서 누출방지기능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일종의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그 장치에 하나의 사각방수부를 설치하고 사각방수부가 높이 솟아오른 사각을 가지도록 하여 외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사용할 때 물이 실린더에 흘러들지 않게 함으로서 방수기능을 실현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로서, 하나의 파이프체로서 내부에는 칸막이를 가지고 있으며, 칸막이 가운데 위치에 뚫린 구멍 있다. 실린더 내부에 용납홈이 있으며 용납홈은 뚫린 구멍과 서로 연결되는 실린더; 용납홈 속에 설치하며 또한 용납체의 주위에 주입구를 형성하고, 체크 밸브에는 마개체와 역지봉이 있으며, 마개체는 용납홈의 주입구에 설치하며 또한 마개체는 주입구에 위로 열리고 아래로 닫히도록 하는 왕복운동을 제공하며 역지봉은 뚫린 구멍 속에 끼워 설치하는 체크밸브; 하나의 중공파이프체로서 실린더 속에 설치하고, 피스톤연결봉의 한쪽 끝에 피스톤부를 설치하고 실린더내벽면에 끼워 사용하는 피스톤연결봉; 피스톤연결봉의 파이프체에 끼워 설치하여 제 위치로 돌아오는 탄력을 산생하는데 사용하는 스프링; 실린더에 씌워 연결하며 개구가 있는 회전마개; 하나의 중공파이프체로서 실린더 속에 끼워 설치하며 또한 피스톤연결봉에 끼워 설치하는 잠금마개; 중공파이프체로서 잠금마개 속에 끼워 설치하고, 상압봉은 잠금마개에 끼워 설치한 후 다시 실린더와 접합하여 서로 연결하고, 상압봉내면에 피스톤연결봉고리를 설치하여 스프링과 피스톤연결봉이 서로 떠받치는데 사용하는 상압봉; 중공상태로서 상압봉 속에 설치하며 그와 서로 연결되고, 피스톤의 링 주변에는 배출밸브가 있으며, 피스톤 밑 부분에는 도관이 있는데 실린더 속에 끼워 설치하고 그와 서로 통하게 하는 피스톤; 및 상압봉과 연결하고 그와 서로 통하게 하고 압축헤드는 중공상태이며, 압축헤드는 바깥으로 뻗은 노즐이 있고 압축헤드는 밑 끝에 연결 파이프가 있으며 상압봉과 회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압축헤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실린더에는 클램핑단과 흡입단이 있으며 흡입단의 파이프 직경은 실린더의 파이프체 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클램핑단의 바깥 면에는 클램핑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클램핑부위치에 가까운 바깥 면에 고리 판이 있으며 회전마개를 정박시키는데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역지봉은 첫 번째 봉체 및 두 번째 봉체로 구성되며 양자 사이에는 간격이 있다. 첫 번째 봉체와 두 번째 봉체 사이에는 복수의 탄성체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탄성체는 원형상태, 형,반원형, 혹은 사각형의 임의의 한 가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두 번째 봉체 한 끝에 챔퍼가 설치되어 있으며 뚫린 구멍에 끼워 당기는데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피스톤연결봉 봉체 두 끝 바깥 면에 각각 하단저지계단과 상단저지계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저지계단위치는 피스톤부 가까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잠금마개에는 도출구와 도입구가 있으며 도입구의 내벽에는 리미트 계단을 형성하며 리미트 계단은 잠금마개와 피스톤연결봉에 끼워 연결한 후 하단저지계단과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잠금마개 주위에 밖으로 확장한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의 클램핑부와 끼워 연결하는데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잠금마개 내부의 도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하나의 잠금마개 나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상압봉 한 끝 안쪽 면에 속나사가 설치되어 있으며 잠금마개와 접합하는데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상압봉 다른 한 끝 바깥 면에 첫 번째 스냅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 파이프 안쪽 면에 두 번째 스냅링이 설치되어 첫 번째 스냅링과 끼워 연결하는데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피스톤부는 피스톤연결봉과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피스톤부는 피트톤연결봉에 끼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압식 노즐장치는 그 중에서 도출구 주위에 위로 확장하여 사각방수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노즐이 방수기능을 달성하는데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종의 기압식 노즐장치를 제공하는데 하나의 실린더를 포함하며 파이프체이며, 그 내부에는 칸막이가 있으며 칸막이 가운데 위치에 뚫린 구멍이 있다. 실린더 내부에는 용납홈이 있으며 그 용납홈과 뚫린 구멍은 서로 연결된다. 용납홈의 주위에 주입구를 형성하고 용납홈 내에는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체크 밸브는 마개체와 역지봉을 가지고 있으며, 마개체는 그 용납홈의 주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마개체는 주입구에 위로 열리고 아래로 닫히도록 하는 왕복운동을 제공하며 그 역지봉은 뚫린 구멍 속에 끼워 설치하는데 사용된다. 실린더에는 피스톤연결봉이 설치되어 있는데 중공파이프체이며 피스톤연결봉의 한 끝에 피스톤부를 설치하여 실린더 내 벽면에 끼워 당기는데 사용한다. 피스톤연결봉의 파이프체에는 스프링을 끼워 설치하여 제 위치로 돌아오는 탄력을 산생하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실린더에 회전마개를 씌워 연결하고 또 잠금마개와 연결한 후 피스톤연결봉에 끼워 설치한다. 잠금덮개 내에 상압봉을 끼워 설치하고 상압봉을 잠금마개에 끼워 설치한 후 실린더와 접합시켜 서로 연결되게 한다. 상압봉 안쪽 면에 피스톤 연결봉고리가 있으며 스프링 및 피스톤 연결봉이 서로 작용하는데 사용되며 그 상압봉내에 피스톤을 설치하고 그와 서로 연결되게 한다. 피스톤의 링 주변에 배출밸브가 있고 피스톤 밑 부분에는 도관을 가지고 있으며 실린 내에 끼워 설치하고 그와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상압봉과 압축헤드를 연결하고 그와 서로 통하게 한다. 압축헤드는 중공상태이며 밖으로 뻗어 나간 노즐이다. 압축헤드 밑 끝에는 연결 파이프가 있는데 상압봉과 끼워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피스톤은 그 속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내용과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더욱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에 비교한 우수한 실행 예와 그림을 결합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한다.
도 1 은 종래 기압식 노즐장치의 구조단면도이다.
도 2 의(a)~(b)는 본 발명의 입체구조 분해 및 분석 관찰대조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조합완성도이다.
도 4 의(a)~(c)는 본 발명의 조작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조작설명도이다.
도 6 의(a)~(c)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행 예 구조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행 예 구조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기압식 노즐장치는 도 2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2(a)~(b)를 참고로 한다. 본 발명의 입체구조 분해 및 분석관찰대조도이다. 도면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압식 노즐장치는 하나의 실린더(1)를 포함하는데 그 실린더(1)는 파이프체이다. 실린더(1)는 클램핑단(11) 및 흡입단(12)을 가지고 있으며 본 실행 예에서 흡입단(12)의 파이프 직경은 실린더(1)의 파이프체보다 작으며 클램핑단(11)의 바깥 면에 클램핑부(13)이 설치되어 있다. 클램핑부(13) 위치에 가까운 바깥 면에 고리 판(14)이 있고 흡입단(12)의 내부에는 칸막이(15)가 있으며 칸막이(15)의 가운데 위치에 뚫린 구멍(151)이 있다. 실린더(1)의 내부에는 용납홈(16)이 있으며 용납홈(16)과 칸막이(15)의 뚫린 구멍(151)은 서로 연결된다. 용납홈(16)의 주위에 주입구(17)를 형성하고 용납홈(16)에는 체크 밸브(2)를 설치한다. 체크 밸브(2)에는 마개체(21)이 있으며 본 실행 예에서 그 마개체(21)는 원형이다. 마개체(21)은 용납홈(16)의 주입구(17)에 설치하며 또한 마개체(21)은 주입구(17)에 위로 열리고 아래로 닫히도록 하는 왕복운동을 제공한다. 마개체(21)의 밑 부분은 역지봉(22)과 연결되며 그중에서 역지봉(22)는 첫 번째 봉체(221)와 두 번째 봉체(222)로 구성되며 또한 양자 사이에는 간격이 있다. 첫 번째 봉체(221)과 두 번째 봉체(222)사이에는 복수의 탄성체(223)를 연결하며 탄성체(223)은 마개체(21)을 적당히 잡아당길 수 있어 마개체(21)가 주입구(17)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밖에 본 실행 예에서 탄성체(223)는 원형상태를 나타내며 두 번째 봉체(222)는 뚫린 구멍(151)에 끼워 설치하며 또한 두 번째 봉체(222)의 한 끝에는 챔퍼(224)를 설치하여 두 번째 봉체(222)를 뚫린 구멍(151)에 끼워 설치한 후 챔퍼(224)의 영향을 받아 이탈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이밖에 실린더(1)에는 피스톤연결봉(3)이 설치되어 있으며 피스톤연결봉(3)은 중공파이프체이다. 피스톤연결봉(3)의 한 끝에는 피스톤부(31)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행 예에서 피스톤부(31)는 피스톤연결봉(3)과 일체로 구성되었다. 피스톤부(31)은 실린더(1)의 내 벽면에 끼워져 있으며 피스톤부(31)에 가까운 피스톤연결봉(3)의 봉체 바깥면에 하단저지계단(32)이 설치되어 있으며 피스톤연결봉(3)의 다른 한 끝 봉체 바깥면에 상단저지계단(33)이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연결봉(3)에 스프링(34)을 끼워 설치하며 스프링(34)은 제 위치로 돌아오는 탄력을 산생하는데 사용된다.
계속하여 도면 2(a)~(b)를 참고한다. 실린더(1)에 회전마개(4)를 씌워 연결하는데 회전마개(4)는 개구(41)가 있고 회전마개(4)의 안쪽 면에는 나사(42)가 설치되어 있다. 나사(42)는 병체(그림에 표시하지 않음)에 채워 연결할 수 있으며 회전마개(4)와 실린더(1)은 끼워 고리 판(14)와 맞물리게 연결한다. 회전마개(4)는 잠금마개(5)와 연결하는데 잠금마개(5)는 중공파이프체로서 실린더(1)의 클램핑단(11)에 끼워 설치하는데 사용하며 피스톤연결봉(3)에 끼워 설치한다. 잠금마개(5)에는 도출구(51)과 도입구(52)가 있으며 도입구(52)의 내벽에는 리미트 계단(53)이 형성되어 있고 리미트 계단(53)은 잠금마개(5)와 피스톤연결봉(3)에 끼워 연결한 후 하단저지계단(32)과 대응하여 맞물린다. 잠금마개(5)내부의 도입구(52)에 가까운 위치에 잠금마개나사(54)가 설치되어 있으며 잠금 마개(5)의 주위에 바깥으로 확장한 돌출부(55)를 설치하여 실린더(1)의 클램핑부(13)과 끼워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도출구(51) 주위에 위로 확장하여 사각방수부(56)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각방수부(56)에는 높이 솟아있는 사각이 있다. 때문에 외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할 때 물이 실린더(1)에 흘러들지 않도록 하여 노즐로 하여금 방수 기능을 가지게 한다. 잠금마개(5)에 상압봉(6)을 끼워 설치하는데 상압봉(6)은 중공파이프체이다. 상압봉(6)은 잠금마개(5)의 도출구(51)에 끼워 설치한 후 실린더(1)과 접합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밖에 상압봉(6)내면에 피스톤연결봉고리(61)가 있으며 피스톤연결봉고리(61)는 각각 스프링(34) 및 상단저지계단(33)과 맞물리는데 사용된다. 상압봉(6)의 한 끝 안쪽 면에 속나사(62)가 설치되어 있으며 속나사(62)는 잠금마개나사(54)와 접합하는데 쓰인다. 상압봉(6)의 다른 한 끝 바깥 면에 첫 번째 스냅링(63)이 설치되어 있다. 상압봉(6)에는 피스톤(7)를 설치하고 피스톤(7)의 내부는 중공상태이며 또한 상압봉(6)과 서로 연결된다. 피스톤(7)의 링 주변에 배출밸브(71)이 있고 피스톤(7) 밑 부분에는 도관(72)가 있으며 실린더(1)속에 끼워 설치하여 그와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상압봉(6)에 압축헤드(8)를 연결하고 그와 서로 통하게 한다. 압축헤드(8)은 중공상태이며 압축헤드(8)에는 바깥으로 뻗은 노즐(81)이 있으며 압축헤드(8)의 밑 끝에 연결 파이프(82)가 있다. 연결 파이프(82)내면에 두 번째 스냅링(8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압봉(6)의 첫 번째 스냅링(63)과 끼워 연결하는데 쓰이며 피스톤(7)을 그 속에 포함시킨다. 그 조합완성도는 도면 3에서 표시한 바와 같다.
도 4 (a)~(c)를 참고한다. 본 발명의 조작설명도의 연속되는 그림 설명이다. 도 4의 (a)가 표시한 바와 같이 압축헤드(8)을 눌러 아래로 이동하게 하면 이때 상압봉(6)을 이끌어 그림에서 표시한 (S1)구역까지 이동하며 동시에 피스톤연결봉(3)의 피스톤부(31)은 실린더(1)내벽면의 마찰력 영향을 받아 정지하여 움직이지 않는다. 이때 압축헤드(8)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피스톤(7)의 배출밸브(71)로 하여금 점차적으로 노즐(81)과 서로 통하게 하며 압축헤드(8)이 (S1)구역까지 이동한 후 피스톤(7)의 끝 부분과 서로 맞대어 배출밸브(71)로 하여금 노즐(81)에 완전히 대응하게 한다. 이때 압력으로 인하여 체크 밸브(2)의 마개체(21)가 아래로 향하여 주입구(17)를 폐쇄하게 된다. 도 4 (b)가 표시한 바와 같이 압축헤드(8)이 (S2)구역에 진입한 후 압축헤드(8)은 상압봉(6)을 이끌어 스프링(34)를 눌러 상압봉(6)속의 나사(62)이 잠금마개(5)의 잠금마개 나사(54)와 맞물린 후 실린더(1)내부의 공기는 피스톤연결봉(3)의 피스톤부(31)가 실린더(1)의 공간을 누르기에 노즐(81)로부터 도출하게 되며 연대하여 도출하려고 하는 액체도 노즐(81)로부터 도출시킨다. 도 4 (c)가 표시한 바와 같이 압축헤드(8)이 제 위치로 돌아오려고 할 때 상압봉(6)은 스프링(34)의 탄력을 받아 위로 향하며 피스톤연결봉(3)의 피스톤부(31)은 실린더(1)내벽의 마찰력을 받아 정지하여 움직이지 않는다. 압축헤드(8)와 상압봉(6)은 계속 위로 향한 후 상압봉(6)의 피스톤연결봉고리(61)은 피스톤연결봉(3)의 상단저지계단(33)에 걸리어 피스톤연결봉(3)도 함께 위로 향하게 하며, 동시에 상압봉(6)은 피스톤(7)의 배출밸브(71)을 폐쇄한다. 마지막으로 피스톤연결봉(3)의 하단 저지계단(32)와 잠금마개(5)의 리미트 계단(53)이 서로 떠받아 정지되어 제 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완성한다. 이와 동시에 실린더(1)의 공간이 증대되기에 액체는 압력을 받는 관계로 뚫린 구멍(151)을 거쳐 용납홈(16)에 흘러들어 마개체(21)을 밀어 열며 점차적으로 주입구(17)을 열어 액체로 하여금 체크 밸브(2)를 거쳐 실린더(1)에 들어가게 함으로서 다음에 원료를 뿜어내기 위하여 준비를 하게 된다.
이밖에 압축헤드(8)가 제 위치에 돌아올 때 배출밸브(71)는 점차적으로 폐쇄되며 압축헤드(8)내부 공간의 압력은 점차적으로 증대되어 진공흡인력을 산생하게 하여 노즐(81)내부의 남아있는 액체로 하여금 되로 돌아가게 하는 작용을 발생하게 한다. 이를 통하여 노즐(81)내부의 액체가 지구인력의 영향을 받아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5 를 참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조작설명도의 연속되는 그림 설명이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압식 노즐장치 역시 잠금, 누출방지, 흐름 멈춤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5 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압축헤드(8)을 눌러 아래로 운동하게 하여 구역(S1)과 (S2)를 통과한 후 시계바늘 방향으로 압력헤드(8)을 구역(S3)까지 회전시켜 상압봉(6)내면의 나사(62)와 잠금마개(5)의 잠금마개나사(54)가 잠기도록 한다. 이때 체크 밸브(2)는 피스톤연결봉(3)에 눌리어 실릴더(1)의 용납홈(16)으로 하여금 탄성체(223)의 변형 및 충전을 받아 밀봉상태를 형성하게 함으로서 액체가 스며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a)~(c)를 참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행예의 구조단면도이다. 체크 밸브(2)에 설치한 탄성체(223)은 전술한 실행예의 원형상태 외에 도 6(a)에서 표시한 형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도 6(b)에서 표시한 바와 같은 반원 형태, 혹은 도 6(c)에서 표시한 사각형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도 7의 또 하나의 실행 예 구조단면도를 참고한다. 전술한 피스톤(7) 한 끝의 피스톤부(31)와 피스톤연결봉(3)은 일체로 구성되었는데 그 역시 피스톤부(31)를 피스톤연결봉(3)의 한 끝에 끼우는 것으로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 기압식 노즐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실린더
11: 클램핑단 12: 흡입단
13: 클램핑부 14: 고리 판
15: 칸막이 151: 구멍
16: 용납홈 17: 주입구
2: 체크 밸브
21: 마개체 22: 역지봉
221: 첫 번째 봉체 222: 두 번째 봉체
223: 탄성체 224: 챔퍼
3: 피스톤연결봉
31: 피스톤부 32: 하단저지계단
33: 상단저지계단 34: 스프링
4: 회전마개
41: 개구 42: 나사
5: 잠금마개
51: 도출구 52: 도입구
53: 리미트 계단 54: 잠금마개나사
55: 돌출부 56: 사각방수부
6: 상압봉
62: 속나사 61: 피스톤연결봉고리
63: 첫 번째 스냅링
7: 피스톤
71: 배출밸브 72: 도관
8: 압축헤드
81: 노즐 82: 연결 파이프
83: 두 번째 스냅링

Claims (15)

  1. 기압식 노즐장치로서,
    하나의 파이프체로서 내부에는 칸막이를 가지고 있으며, 칸막이 가운데 위치에 뚫린 구멍 있다. 실린더 내부에 용납홈(16)이 있으며 용납홈은 뚫린 구멍과 서로 연결되는 실린더(1);
    용납홈 속에 설치하며 또한 용납체의 주위에 주입구를 형성하고, 체크 밸브(2)에는 마개체(21)와 역지봉(22)이 있으며, 마개체는 용납홈의 주입구에 설치하며 또한 마개체는 주입구에 위로 열리고 아래로 닫히도록 하는 왕복운동을 제공하며 역지봉(22)은 뚫린 구멍 속에 끼워 설치하는 체크밸브(2);
    하나의 중공파이프체로서 실린더 속에 설치하고, 피스톤연결봉의 한쪽 끝에 피스톤부를 설치하고 실린더내벽면에 끼워 사용하는 피스톤연결봉(3);
    피스톤연결봉의 파이프체에 끼워 설치하여 제 위치로 돌아오는 탄력을 복원하는데 사용하는 스프링(34);
    실린더에 씌워 연결하며 개구가 있는 회전마개(4);
    하나의 중공파이프체로서 실린더 속에 끼워 설치하며 또한 피스톤연결봉에 끼워 설치하는 잠금마개(5);
    중공파이프체로서 잠금마개 속에 끼워 설치하고, 상압봉은 잠금마개에 끼워 설치한 후 다시 실린더와 접합하여 서로 연결하고, 상압봉내면에 피스톤연결봉고리를 설치하여 스프링과 피스톤연결봉이 서로 떠받치는데 사용하는 상압봉(6);
    중공상태로서 상압봉 속에 설치하며 그와 서로 연결되고, 피스톤의 링 주변에는 배출밸브가 있으며, 피스톤 밑 부분에는 도관이 있는데 실린더 속에 끼워 설치하고 그와 서로 통하게 하는 피스톤(7); 및
    상압봉과 연결하고 그와 서로 통하게 하고 압축헤드는 중공상태이며, 압축헤드는 바깥으로 뻗은 노즐이 있고 압축헤드는 밑 끝에 연결 파이프가 있으며 상압봉과 회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압축헤드(8);가 포함된 기압식 노즐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지봉(22)의 두 번째 봉체(222) 한 끝에 챔퍼(224)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멍에 끼워 당기는데 사용되고,
    상기 피스톤연결봉(3) 봉체 두 끝 바깥 면에 각각 하단저지계단(32)과 상단저지계단(33)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저지계단(32)위치는 피스톤부(31) 가까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마개(5)에는 도출구(51)와 도입구(52)가 있으며 도입구(52)의 내벽에는 리미트 계단(53)을 형성하며 상기 리미트 계단(53)은 잠금마개(5)와 피스톤연결봉(3)에 끼워 연결한 후 하단저지계단(32)과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잠금마개(5) 내부의 도입구(52)에 가까운 위치에 하나의 잠금마개 나사(5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압봉(6)의 한 끝 안쪽 면에 속나사(62)가 설치되어 있으며 잠금마개(5)와 접합하는데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8 항에 있어서,
    도출구(51) 주위에 위로 확장하여 사각방수부(56)가 설치되어 있으며 노즐(81)이 방수기능을 달성하는데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식 노즐장치.
KR1020140029857A 2014-03-13 2014-03-13 기압식 노즐장치 KR101622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857A KR101622533B1 (ko) 2014-03-13 2014-03-13 기압식 노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857A KR101622533B1 (ko) 2014-03-13 2014-03-13 기압식 노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253A KR20150107253A (ko) 2015-09-23
KR101622533B1 true KR101622533B1 (ko) 2016-05-20

Family

ID=5424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857A KR101622533B1 (ko) 2014-03-13 2014-03-13 기압식 노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692B1 (ko) * 2020-08-07 2020-12-31 이재환 내용물 오염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9821A (zh) * 2018-11-14 2019-04-19 杭州余杭振华日化玻璃有限公司 一种外置弹簧式泵芯
WO2021230429A1 (ko) * 2020-05-14 2021-11-18 주식회사 선앤엘 펌프 디스펜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351B2 (ja) * 1990-12-06 2001-06-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エフェクト装置
JP2008036488A (ja) 2006-08-02 2008-02-21 Canyon Corp トリガー式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KR100999932B1 (ko) 2010-08-31 2010-12-09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유체 펌핑디스펜서
KR101107519B1 (ko) * 2011-09-20 2012-01-31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유체 펌프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351B2 (ja) * 1990-12-06 2001-06-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エフェクト装置
JP2008036488A (ja) 2006-08-02 2008-02-21 Canyon Corp トリガー式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KR100999932B1 (ko) 2010-08-31 2010-12-09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유체 펌핑디스펜서
KR101107519B1 (ko) * 2011-09-20 2012-01-31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유체 펌프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692B1 (ko) * 2020-08-07 2020-12-31 이재환 내용물 오염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253A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81498A1 (en) Waterproof emulsion pump with external spring
KR100326905B1 (ko) 수밀부재를구비한액체분배펌프
RU2014147691A (ru) Контейнер с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м клапаном
KR101622533B1 (ko) 기압식 노즐장치
JP5645214B2 (ja) ポンプ
KR20220008297A (ko) 완전 플라스틱 유액 펌프
KR200479685Y1 (ko) 플립형 스포츠 병뚜껑 및 해당 병뚜껑을 포함하는 물저장 용기
JP2017535422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
JP5477865B2 (ja) 噴出ポンプ
CN206827252U (zh) 一种液体按压喷头装置
GB2505439A (en) Foam spray head assembly
US9708099B2 (en) Check valve and flu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CN108602083B (zh) 分配机构和包括该分配机构的分配器
JP5995893B2 (ja) スプレー装置
CN104859936A (zh) 气压式喷头装置
KR20150120041A (ko) 거품펌프
JP6429265B2 (ja) 液体容器用吐出ポンプ
US20080223458A1 (en) Tank vent pallet
KR20090127979A (ko) 분무기
JP7011813B2 (ja) 操作装置
JP2019099213A (ja) 泡吐出器
CN204473569U (zh) 一种新型喷罐装置
JP6177685B2 (ja) 液体噴出ポンプ
TW201532905A (zh) 氣壓式噴頭裝置
CN212986220U (zh) 液体控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